•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이 연구의 목적은 대기업 공식적 멘토링 프로그램 프로테제가 인식한 멘토링 기능과 조직유효성의 관계에 있어 조직사회화의 매개효과를 구명하는데 있었다. 이를 위한 구체 적인 연구 문제로 ①대기업 공식적 멘토링의 프로테제가 인식하는 멘토링 기능 전체와 경력지원기능, 심리사회적기능, 역할모델기능의 인식수준은 각각 어떠한가, 대기업 공식적 멘토링의 프로테제가 인식하는 멘토링 기능의 인식수준은 응답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 차이가 나타나는가, ② 대기업 공식적 멘토링의 프로테제가 인식하는 멘토링 기능은 조직 몰입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가, 대기업 공식적 멘토링의 프로테제가 인식하는 경력지원 기능은 조직 몰입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가, 대기업 공식적 멘토링의 프로테제가 인식하 는 심리사회적기능은 조직몰입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가, 대기업 공식적 멘토링의 프로 테제가 인식하는 역할모델기능은 조직몰입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가, 대기업 공식적 멘 토링의 프로테제가 인식하는 멘토링 기능은 직무 성과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가, 대기업 공식적 멘토링의 프로테제가 인식하는 경력지원기능은 직무성과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가, 대기업 공식적 멘토링의 프로테제가 인식하는 심리사회적기능은 직무성과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가, 대기업 공식적 멘토링의 프로테제가 인식하는 역할모델기능은 직무성과 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가, 대기업 공식적 멘토링의 프로테제가 인식하는 멘토링 기능은 이직 의도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가, 대기업 공식적 멘토링의 프로테제가 인식하는 경력 지원기능은 이직의도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가, 대기업 공식적 멘토링의 프로테제가 인 식하는 심리사회적기능은 이직의도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가, 대기업 공식적 멘토링의 프로테제가 인식하는 역할모델기능은 이직의도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가, ③대기업 공식 적 멘토링의 프로테제가 인식하는 멘토링 기능은 조직몰입의 관계에 있어서 조직사회화 가 매개하는가, 대기업 공식적 멘토링의 프로테제가 인식하는 멘토링 기능은 직무성과의 관계에 있어서 조직사회화가 매개하는가, 대기업 공식적 멘토링의 프로테제가 인식하는 멘토링 기능은 이직의도의 관계에 있어서 조직사회화가 매개하는가를 설정하였다.

이 연구의 모집단은 우리나라 대기업 공식적 멘토링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프로테제 전 체이다. 대기업의 범위 설정을 위하여 코참비즈에서 제공하는 1000대 기업에서 운영되고

있는 공식적 멘토링 프로그램 프로테제를 연구의 모집단으로 설정하였고 독립변인의 수에 따른 회귀분석을 위한 최소 표집수는 60명이었다. 표본집단은 한국멘토링코칭센터에서 파 악한 기업 리스트와 연구자가 코참비즈의 리스트를 기준으로 직접 조사한 기업을 대상으 로 하여 16개의 기업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기업에 전화연락을 통하여 협력자를 섭외하였 으며, 기업당 30명씩의 대상자를 요청하여 총 480명을 조사대상으로 확정하였다

조사도구는 크게 멘토링 기능, 조직사회화, 조직유효성, 일반적 특성 변인 네 가지로 구성된 설문지가 사용되었다. 멘토링 기능은 경력지원기능 11문항, 심리사회적기능 10문 항, 역할모델기능 4문항으로 총 25문항이고 5점 리커트 척도로 반응하도록 구성되었다.

조직사회화는 대인관계 6문항, 조직의 목적 및 가치 7문항, 수행숙달 5문항, 총 18문항 이고 5점 리커트 척도로 반응하도록 구성되었다. 조직유효성은 조직몰입, 직무성과, 이직 의도를 통해 측정되며 조직몰입은 15문항, 직무성과 5문항, 이직의도 4문항을 5점 리커 트 척도로 반응하도록 구성되었다. 일반적 특성 변인은 인구통계하적 특성 6문항과 멘토 링 관계 특성 7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사용된 질문지는 기업교육 박사학위 소지자 2인으 로부터 내용타당도를 검증 받았으며 대기업 종사자 및 기업교육 전공 대학원생에게 지시 문의 명확성 및 읽기와 반응의 용이성을 검증받았다. 또한 예비조사(pilot test)를 실시하 고 신뢰도를 검사하였다.

자료의 수집은 2012년 5월 7일부터 2012년 5월 20일까지 실시되었다. 온라인 설문 시스템 및 우편을 통해 이루어졌고 총 298부가 회수되었으며 회수율은 62.1%였다. 이 중 불성실응답 및 이상치 제거를 통해 최종 분석에는 214부가 사용되었으며, 유효자료율 은 44.6%였다.

자료분석에 사용된 통계치로 우리나라 대기업 공식적 멘토링 프로테제들의 특성 및 멘 토링 기능 수준을 구명하기 위하여 빈도, 평균, 표준편차 등이 사용되었고, 응답자의 특성 에 따른 멘토링 기능의 차이를 구명하기 위하여 t-test 및 ANOVA가 사용되었다. 또한 우리나라 대기업 멘토링 프로테제들의 멘토링 기능과 조직유효성의 관계 및 설명력을 구 명하기 위하여 중다회귀분석이 사용되었고, 조직사회화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Baron & Kenny(1986)가 제시한 3단계 중다회귀분석이 사용되었다. 추리통계에서 통계 적 유의미성은 0.05를 기준으로 판단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를 연구문제를 중심으로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나라 대기업 공식적 멘토링 프로테제가 인식한 멘토링 기능 수준은 5점으로 환산한 평균에서 3.49로 나타났다. 이를 기능 유형별로 구분하여 보았을 때, 경력지원기 능은 3.37, 심리사회적기능은 3.59, 역할모델기능은 3.56으로 심리사회적기능의 수준이 가장 높고 그다음 역할모델기능, 경력지원기능 순이었다.

둘째, 우리나라 대기업 공식적 멘토링 프로테제의 인구통계학적 변인과 멘토링 관계 변 인에 따른 멘토링 기능 수준의 차이는 다음과 같다.

① 응답자의 개인적 특성에 따른 멘토링 기능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으나 멘토링 관계 특성에 따른 멘토링 기능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을 알 수 있었다.

② 멘토와 프로테제의 접촉빈도에 따른 멘토링 기능의 차이는 수시로 접촉하는 프로테 제가 멘토링 기능을 가장 높게 인식하고 있었으며, 접촉빈도가 높은 순으로 나타나 멘토 와 자주 접촉할수록 멘토링 기능 수준이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③ 멘토와 프로테제의 직무 일치에 따른 멘토링 기능의 차이는 경력지원기능에 있어 멘토와 프로테제의 직무가 일치하는 경우에 경력지원기능 수준이 높았다.

④ 멘토와 프로테제의 소속 일치에 따른 멘토링 기능의 차이는 경력지원기능에 있어 멘토와 프로테제의 소속이 일치하는 경우에 경력지원기능 수준이 높았다.

⑤ 멘토의 직위에 따른 멘토링 기능의 차이는 역할모델기능에 있어 대리나 과장급의 멘토가 차장 이상급의 멘토보다 역할모델기능의 수준이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우리나라 대기업 공식적 멘토링 프로테제의 조직유효성에 대한 멘토링 기능의 영 향은 다음과 같다.

① 멘토링 기능을 독립변인으로 하여 조직몰입에 대한 단순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이 회귀모형의 F값은 10.413으로 유의수준 0.01에서 유의한 모형이었으며 설명량(R2)은 30.6%였다. 멘토링 기능이 조직몰입을 유의하게 설명하는 예측변인으로 나타났으며 β 값은 0.290(p<0.01)으로 정적인 관계를 보이고 있었다. 멘토링 기능의 유형별로 경력지 원기능, 심리사회적기능, 역할모델기능을 독립변인으로 하여 조직몰입에 대한 중다회귀분 석을 실시한 결과 이 회귀모형의 F값은 10.122로 유의수준 0.01에서 유의한 모형이었으

며 설명량(R2)은 34.2%였다. 역할모델 기능이 조직몰입을 유의하게 설명하는 예측변인 으로 나타났으며 β 값은 0.418(p<0.01)로 정적인 관계를 보이고 있었다.

②멘토링 기능을 독립변인으로 하여 직무성과에 대한 단순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이 회귀모형의 F값은 3.759으로 유의수준 0.01에서 유의한 모형이었으며 설명량(R2)은 11.5%였다. 멘토링 기능이 직무성과를 유의하게 설명하는 예측변인으로 나타났으며 β 값은 0.316(p<0.01)으로 정적인 관계를 보이고 있었다. 멘토링 기능의 유형별로 경력지 원기능, 심리사회적기능, 역할모델기능을 독립변인으로 하여 직무성과에 대한 중다회귀분 석을 실시한 결과 이 회귀모형의 F값은 4.107로 유의수준 0.01에서 유의한 모형이었으 며 설명량(R2)은 15.0%였다. 멘토링 기능 중에서 경력지원기능이 직무성과를 유의하게 설명하는 예측변인으로 나타났으며 β 값은 0.381(p<0.01)로 정적인 관계를 보이고 있 었다.

③ 멘토링 기능을 독립변인으로 하여 이직의도에 대한 단순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이 회귀모형의 F값은 8.803으로 유의수준 0.01에서 유의한 모형이었으며 설명량(R2)은 26.9%였다. 멘토링 기능이 이직의도를 유의하게 설명하는 예측변인으로 나타났으며 β 값은 -0.347(p<0.01)으로 정적인 관계를 보이고 있었다. 멘토링 기능의 유형별로 경력 지원기능, 심리사회적기능, 역할모델기능을 독립변인으로 하여 이직의도에 대한 중다회귀 분석을 실시한 결과 이 회귀모형의 F값은 8.234로 유의수준 0.01에서 유의한 모형이었

③ 멘토링 기능을 독립변인으로 하여 이직의도에 대한 단순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이 회귀모형의 F값은 8.803으로 유의수준 0.01에서 유의한 모형이었으며 설명량(R2)은 26.9%였다. 멘토링 기능이 이직의도를 유의하게 설명하는 예측변인으로 나타났으며 β 값은 -0.347(p<0.01)으로 정적인 관계를 보이고 있었다. 멘토링 기능의 유형별로 경력 지원기능, 심리사회적기능, 역할모델기능을 독립변인으로 하여 이직의도에 대한 중다회귀 분석을 실시한 결과 이 회귀모형의 F값은 8.234로 유의수준 0.01에서 유의한 모형이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