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농촌 생활환경 개선방향

2. 농촌 교육

2.1. 농촌 교육 실태 및 문제점

제2장의 농촌주민 대상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교육에 대한 농촌주민의 만족

도는 다소 낮은 편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나이가 젊을수록 교육에 대한 만족도가 감소하고 있으며, 더 나아가 학교 교육의 주 관심층인 30대 이하는 교육이 복지 다 음으로 해결 중요도가 높은 분야라고 응답하였다.

유은영(2018)에 따르면, 교육은 7대 정책 부문 중 경제활동·일자리와 문화·여 가 다음으로 세 번째로 만족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도시민과 농어촌 주민 간 만족도 차이도 두 번째로 크게 나타났다. 교육 부문의 세부 항목 중 농어촌 주민 의 만족도가 가장 낮은 항목은 ‘평생학습 기회’로 나타났는데, 이는 농어촌지역 주 민의 고령화가 반영된 결과로 해석된다. 교육 부문의 세부 항목 중 도·농 간 만족 도가 가장 크게 차이나는 항목은 학교 교육과 관련된 항목으로 통학의 편리성, 학 생들의 성취수준, 방과 후 교육 등에 대해 도시와 농어촌 간 만족도 차이가 특히 큰 것으로 조사되었다(<그림 3-5> 참조).

그림 3-5 교육 부문 세부 항목별 만족도

단위: 점

주: 11점 척도(0~10점 부여)를 사용하여 조사한 결과임.

자료: 유은영(2018).

이와 같은 도·농 간 학교 교육 만족도 차이는 농촌의 학교 교육 환경 및 질이 도 시에 비해 열악하다고 해석할 수 있으며, 이는 농촌의 학령인구 감소→학교 통폐

합→교육여건 악화→학생 유출→학력인구 감소의 악순환에 의한 것으로 조사되 었다. 이와 같은 교육여건의 악화는 결국 낮은 학업 성취로 이어졌으며, 실제로 농 촌지역 학생의 학업 성취수준은 도시지역 학생보다 낮게 나타났다.

그림 3-6 지역 규모별 중학생 성취수준 비율(2018년)

단위: %

자료: 한국교육과정평가원(2019).

또한 전반적으로 농어촌 지역의 학생의 통학에 소요되는 시간이 도시지역 학생 보다 큰 것으로 조사되어, 교육시설 즉 학교에 대한 접근성도 농어촌 지역이 도시 지역보다 더 낮고, 고등교육(초등학교→중학교→고등학교)로 갈수록 접근성은 더 낮아지고 도시와의 격차도 더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농어촌지역의 교육여건 개선을 위해 방과 후 프로그램 및 강사 지원이 가장 필 요한 것으로 조사되었고, 그다음으로 지역 특성에 맞춘 교육 프로그램 개발, 우수 교사 확보 순으로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도시지역에 비해 사교육 접근성 이 낮기 때문에 방과 후 프로그램이나 강사 지원에 대한 필요성이 높게 나타났으 며, 통학 시간이 많이 소요됨에 따라 통학버스 운영에 대한 필요성도 도시지역보 다 높게 나타났다.

그림 3-7 통학 시 편도 소요시간

단위: 분

자료: 농촌진흥청(2019).

그림 3-8 교육여건 개선을 위해 필요한 사항

단위: %

자료: 농촌진흥청(2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