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노동시장구조의 변화

광공업 (제조업)

4. 노동시장구조의 변화

산업구조의 변화는 노동시장 구조의 변화를 가져 왔다. <표 5>에 의하면, 농수산업 종 사자의 비율은 1965년에서 2000년 사이에 58.6%에서 10.9%로 급속히 감소한 반면, 광업 및 제조업의 경우 1965년의 10.4%에서 1990년에 27.6%까지 증가하였다가 점차 감소하여 2000년에는 20.2 %의 비중을 보이고 있다. 사회간접자본 및 기타 서비스업의 경우 그 비 중이 동기간 중 31.0%에서 68.9%로 지속적으로 증가하였다. 1970년대 중반까지 광공업 종사자의 연평균 성장률이 사회간접자본 및 서비스업 종사자의 성장률보다 높았으나, 80 년대부터 전자가 후자보다 낮아진 것은 주목할 만하다. 이는 우리나라가 1970년대 중반 까지는 노동집약적인 경공업에 초점을 맞추었으나, 1970년대 후반 이후부터는 중화학 공 업과 상대적으로 인력수요가 적은 기술집약적 산업에 경제개발의 중점을 두었기 때문으 로 해석할 수 있다.

<표 5> 산업별 종사자 비율 변화 추이 (1965~2000)

(단위: 천명) 구 분 1965 1970 1975 1980 1985 1990 1995 2000 전산업

연증가율(%) 구 성 비(%)

8,206 -100.0

9,475 3.50 100.0

11,830 39.5 100.0

13,706 3.00 100.0

14,935 1.73 100.0

18,085 3.8 100.0

20,377 2.4 100.0

21,061 0.7 100.0 농림어업

연증가율(%) 구 성 비(%)

4,810 -58.6

4,916 0.44 50.4

5,425 1.99 45.9

4,658 -3.00 34.0

3,722 -4.39 24.9

3,237 -2.5 17.9

2,541 -4.7 12.5

2,288 -2.1 10.9 광업 및 제조업

연증가율(%) 구 성 비(%)

849 -10.4

1,395 10.44 14.4

2,265 10.18 19.1

3,095 6.44 22.6

3,654 3.38 24.5

4,990 6.3 27.6

4,799 -0.7 23.5

4,262 -2.4 20.2 사회간접자본,

기타 서비스업 연증가율(%) 구 성 비(%)

2,547

-31.0

3,434

6.16 35.2

4,140

3.81 35.0

5,952

7.53 43.4

7,599

4.90 50.6

9,858

5.3 54.5

13,037

5.7 64.0

14,511

2.2 68.9 자료: 경제기획원 및 통계청(각년도). 경제활동인구연보.

통계청(2000). 주요경제지표.

산업구조의 변화는 노동시장의 직종구조의 변화도 초래하였다. <표 6>에 의하면, 전문 ㆍ행정직의 비중은 1965년의 2.8%에서 1993년에는 10.3%로 증가하였다.7) 이는 산업구조 가 경공업 중심에서 기술집약적 산업 위주로 바뀜에 따라 새 기술과 전문적 지식을 필 요로 하는 직종이 증가하였음을 의미한다. 같은 기간 중 사무직 비중도 4.0%에서 15.0%

로 늘었다. 반면에 농업 및 어업에 종사하는 사람의 비중은 58.5%에서 14.7%로 지속적 으로 감소하였다.

새 직업분류기준에 의한 1993년 이후 취업자의 변화 추이를 보면, <표 7>에 정리된 바와 같다. 취업자 총수는 1997년까지 증가하다가 1997년 말의 외환위기로 1998년에 감 소한 후 차츰 증가하여 2000년에는 1997년 수준을 회복하였다. 입법 공무원, 고위 임직 원 및 관리자의 비중이 1994년의 2.7%에서 2000년에는 2.3%로 약간 감소한 반면, 전문 가와 기술공 및 준전문가의 비중은 1994년의 12.9%%에서 2000년에는 15.8%로 증가하였 다. 또한 서비스 근로자 및 상점과 시장 판매 근로자의 비중이 1994년의 21.6%에서 2000 년에는 23.9%로 약간 증가한 반면, 사무직원, 농업 및 어업 숙련 근로자, 기능원 및 관

7) 1994년 새로운 직업분류기준이 도입됨에 따라 그 이전 자료와 비교가능한 관련 자료의 입 수가 불가하여 1993년까지의 자료만 비교함.

130

-련 기능 근로자, 그리고 장치ㆍ기계 조작원 및 조립원의 비중은 모두 약간 감소하였다.

단순 노무직 근로자의 비중도 약간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전반적으로 보았을 때, 전문 기술이 필요한 직종과 서비스 직종의 취업 비중이 증가한 반면, 농업 및 어업 종사자와 저급 기술이 필요한 직종 종사자의 비중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표 6> 직업별 취업자 추이(1965~1993)

(단위: 천명, %) 구 분 1965 1970 1975 1980 1985 1990 1993 전체

연증가율(%) 구 성 비(%)

8,206 -100.0

9,745 3.5 100.0

11,830 3.3 100.0

13,683 3.0 100.0

14,970 1.8 100.0

18,036 3.8 100.0

19,203 2.1 100.0 전문・관리직

연증가율(%) 구 성 비(%)

233 -2.8

462 14.8 4.7

417 -1.0 3.5

732 12.1 5.3

1,090 8.4 7.3

1,568 7.6 8.7

1,982 8.2 10.3 사무직

연증가율(%) 구 성 비(%)

329 -4.0

576 12.2 5.9

747 5.6 6.3

1,268 11.2

9.3

1,729 6.5 11.5

2,336 6.2 13.0

2,883 7.3 15.0 판매직

연증가율(%) 구 성 비(%)

976 -11.9

1,199 2.0 12.3

1,525 5.1 12.9

1,984 5.5 14.5

2,313 3.3 15.5

2,616 2.5 14.5

3,053 5.3 15.9 서비스직

연증가율(%) 구 성 비(%)

535 -6.5

636 5.7 6.5

847 6.4 7.2

1,078 5.2 7.9

1,622 8.7 10.8

2,008 4.4 11.1

2,366 5.6 12.3 농・어업

연증가율(%) 구 성 비(%)

4,797 -58.5

4,898 0.4 50.3

5,446 2.3 46.0

4,648 -3.1 34.0

3,686 -2.5 24.6

3,270 -2.4 18.1

2,818 -2.8 14.7 기타

연증가율(%) 구 성 비(%)

1,336 -16.3

1,974 8.2 20.3

2,848 7.7 24.1

3,974 7.6 29.0

4,530 2.7 30.3

6,238 6.6 34.8

6,100 -0.7 31.8 자료: 경제기획원(1975~1986). 경제활동인구 연보.

통계청(1993). 경제활동인구연보.

주: 1) 전문・관리직 = 전문, 기술, 관리, 경영직 2) 농・어업 = 농업, 임업, 수렵, 어업 관련직 3) 기타 = 제조업, 운송 장비 기사, 육체 노동자

<표 7> 새 직업분류에 의한 취업자 변화 추이 (1994~2000)

(단위: 천명) 구 분 1994 1995 1996 1997 1998 1999 2000 전체

전년대비 증가율(%)

구 성 비 (%)

19,837 -100.0

20,377 2.7 100.0

20,764 1.9 100.0

21,048 1.4 100.0

19,994 -5.0 100.0

20,281 1.4 100.0

21,062 3.9 100.0 입법공무원, 고위임직원

및 관리자

전년대비 증가율(%)

구 성 비 (%)

532 -2.7

525 -1.3 2.6

549 4.6 2.6

531 -3.3 2.5

511 -3.8 2.6

480 -6.1 2.4

490 2.1 2.3 전문가

전년대비 증가율(%)

구 성 비 (%)

825 -4.2

971 17.7 4.8

1,014 4.4 4.9

997 -1.7 4.7

1,103 10.6

5.5

1,061 -3.8

5.2

1,100 3.7 5.2 기술공 및 준전문가

전년대비 증가율(%)

구 성 비 (%)

1,717 -8.7

1,840 7.2 9.0

1,976 7.4 9.5

2,184 10.5 10.4

2,121 -2.9 10.6

2,322 9.5 11.4

2,234 -3.8 10.6 사무직원

전년대비 증가율(%)

구 성 비 (%)

2,433 -12.3

2,510 3.2 12.3

2,564 2.2 12.3

2,574 0.4 12.2

2,418 -6.1 12.1

2,219 -8.2 10.9

2,359 6.3 11.2 서비스근로자 및

상점과 시장판매근로자 전년대비 증가율(%)

구 성 비 (%)

4,288 -21.6

4,464 4.1 21.9

4,672 4.7 22.5

4,857 4.0 23.1

4,736 -2.5 23.7

4,819 1.8 23.8

5,037 4.5 23.9 농업 및 어업 숙련근로자

전년대비 증가율(%)

구 성 비 (%)

2,547 -12.8

2,389 -6.2 11.7

2,295 -3.9 11.1

2,213 -3.6 10.5

2,364 6.8 11.8

2,217 -6.2 10.9

2,154 -2.8 10.2 기능원 및 관련기능근로자

전년대비 증가율(%)

구 성 비 (%)

2,721 -13.7

3,219 18.3 15.8

3,229 0.3 15.6

3,163 -2.0 15.0

2,540 -19.7 12.7

2,600 2.4 12.8

2,709 4.2 12.9 장치, 기계 조작원 및 조립원

전년대비 증가율(%)

구 성 비 (%)

2,549 -12.8

2,175 -14.7 10.7

2,170 -0.2 10.5

2,173 0.1 10.3

2,093 -3.7 10.5

2,116 1.1 10.4

2,241 5.9 10.6 단순노무직 근로자

전년대비 증가율(%)

구 성 비 (%)

2,224 -11.2

2,284 2.7 11.2

2,295 0.5 11.1

2,355 2.6 11.2

2,108 -10.5 10.5

2,446 16.0 12.1

2,628 7.4 12.5 자료: 노동부(각년도). 노동통계연감.

노동시장의 산업별ㆍ직종별 구조 변화는 직종별 종사자의 교육수준의 변화를 가져 왔 다. <표 8>에 의하면, 전문ㆍ기술직의 경우 대학 졸업자(전문대학 포함)의 비율이 1960 년의 33.5%에서 1990년에는 81.8%로 증가하였다. 이는 전문직 또는 기술직을 얻기 위해 서는 대학교육이 필수가 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행정ㆍ관리직의 경우 대학 졸업자의 비율이 동기간 중 11.4%에서 52.2%로 증가하였다. <표 9>는 새로운 직종분류에 의한 직

132

-종별 학력 구성비의 변화를 정리한 것이다. 입법공무원ㆍ고위임직원 및 관리자, 전문가, 그리고 기술공 및 준전문가 직종에서 대졸 이상 학력 소지자의 비중이 점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기술공 및 준전문가의 경우, 대졸 이상 학력 소지자의 비중이 1993년 35.1%에서 2000년에는 44.9%로 9.8% 포인트나 증가한 반면, 고졸 학력 소지자의 비중은 같은 기간 중 44.1%에서 33.6%로 10.5% 포인트나 감소하였다. 서비스 및 시장판매 종사 자, 기능원 및 관련 근로자, 장치 및 기계 조작원의 경우는 고졸 이상 학력 소지자의 비 중이 점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는 전반적인 교육기회의 확산과 함께 산업 구조 고도화에 따라 직종별로 요구되는 직무능력 수준이 점차 높아졌기 때문으로 해석 할 수 있다.

전반적으로 과거 40여간 한국 노동력의 교육수준은 크게 성장하였다. 이는 중등교육 의 보편화와 고등교육의 대중화로 인하여 고등학교 졸업장이나 학사학위를 가진 인력을 대량 생산하게 되었고 이들이 노동시장으로 흡수되었으며, 산업구조가 변화함에 따라 최 소한 고등학교 수준 이상의 학력을 요구하는 직종이 많이 증가하였음을 뜻한다. 다시 말 해, 경제발전으로 인하여 새로운 기술변화에 적응하고 국제시장에서 경쟁하기 위하여 보 다 잘 교육받고 훈련받은 인력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여 온 것이라 할 수 있다.

<표 8> 직업별 교육수준별 취업구조의 변화 (1960~1990)

(단위: %)

직 업 1960 1975 1980 1985 1990

초등 중등 고등 초등 중등 고등 초등 중등 고등 초등 중등 고등 초등 중등 고등 총 계 84.2 13.4 2.4 62.0 32.2 5.8 34.3 41.9 9.1 26.6 52.6 13.6 19.9 60.2 19.9 전문・기술직 12.6 53.9 33.5 5.3 34.7 60.0 2.0 26.7 70.7 1.6 25.6 72.5 0.7 17.5 81.8 행정・관리직 51.6 37.0 11.4 12.0 45.5 42.5 4.5 34.5 60.6 3.0 39.3 57.6 3.3 44.5 52.2 사무직 22.2 58.0 19.8 7.3 66.8 25.9 4.1 68.3 27.4 2.1 64.7 33.1 1.5 59.6 38.9 판매직 77.7 19.9 2.4 46.9 47.0 6.1 29.9 54.1 8.9 20.6 65.3 11.0 13.2 68.5 18.3 서비스직 70.4 25.7 3.9 56.3 40.6 3.1 35.9 51.6 5.2 24.8 64.4 7.3 22.5 68.0 9.5 농림 수산직 92.8 6.7 0.5 84.1 15.4 0.5 47.7 19.0 0.7 51.2 27.5 1.5 60.7 37.0 2.3 생산직 80.4 18.5 1.1 50.9 46.9 2.2 34.6 58.5 3.1 21.1 72.6 4.6 16.4 77.8 5.8 자료: 경제기획원(각년도). 인구 및 주택조사보고.

김윤태(1989) 한국 산업화 과정에서의 인력공급실태 및 평가 에서 인용.

주: 1980년 및 1985년의 경우 불취학 및 미상은 포함되지 아니함.

<표 9> 새 직업분류에 따른 직업별 교육수준별 취업구조의 변화 (1993~2000)

(단위: %)

직업 교육 수준 1993 1997 2000

입법공무원, 고위임직원 및 관 리자

국졸이하 4.1 1.4 2.6

중졸 6.9 4.6 3.7

고졸 36.6 39.5 35.9

전문대졸 4.8 5.8 6.8

대졸이상 47.6 48.6 51.1

전문가

국졸이하 0.5 0.2 0.1

중졸 0.4 0.2 0.2

고졸 7.6 5.6 5.0

전문대졸 9.3 10.2 8.2

대졸이상 82.2 83.8 86.5

기술공 및 준 전문가

국졸이하 2.1 1.7 0.6

중졸 3.2 3.2 2.2

고졸 44.1 39.3 33.6

전문대졸 15.4 19.5 18.7

대졸이상 35.1 36.2 44.9

사무종사자

국졸이하 1.1 1.4 1.2

중졸 3.8 4.0 3.9

고졸 61.3 59.7 50.7

전문대졸 8.5 13.2 15.7

대졸이상 25.3 21.8 28.4

서비스 및 시장판매 종사자

국졸이하 20.1 19.0 16.5

중졸 20.6 20.9 18.8

고졸 49.2 49.8 52.1

전문대졸 3.4 4.5 5.3

대졸이상 6.7 5.8 7.3

농업 및 어업

국졸이하 70.1 69.0 66.4

중졸 15.8 16.6 15.3

고졸 12.4 12.5 15.8

전문대졸 0.5 0.6 0.6

대졸이상 1.2 1.3 1.9

기능원 및 관련 근로자

국졸이하 20.6 17.6 14.7

중졸 26.7 26.8 24.3

고졸 48.2 49.7 52.8

전문대졸 2.2 4.0 5.0

대졸이상 2.3 1.9 3.2

장치 및 기계 조작원

국졸이하 13.9 11.6 9.3

중졸 25.0 23.8 20.1

고졸 56.9 59.9 63.5

전문대졸 2.4 3.1 4.0

대졸이상 1.8 1.6 3.2

단순 노무직 근로자

국졸이하 45.8 38.4 33.1

중졸 23.6 24.3 21.3

고졸 28.2 33.4 40.6

전문대졸 0.8 1.8 2.2

대졸이상 1.5 2.1 2.8

자료: 통계청(각년도). 경제활동인구연보 데이터.

1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