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나. 지역혁신체제 구축 활동의 성과

지역실정을 고려한 알라바마주의 인적자원 개발방안의 성공요인은 다음과 같다. 그 첫째는 지역혁신주체로서 알라바마주는 분명한 지역산업정책의 비 전을 제시하여 주민들의 공감대를 형성하였다는 점이다. 지역혁신주체가 지 역산업정책을 수립하고 시행하는 데 있어서 가장 중요한 주민들의 동의를 얻었고, 이에 따라 주민들이 알라바마주의 장기비전실현에 적극 참여를 하게 되었다. 둘째는 지역혁신주체로서 알라바마주는 이를 담당하는 기구를 조직 적이고 체계적으로 수립하여 지속적으로 유지・발전시켜 나갔다는 점이다.

알라바마주는 인적자원개발을 위한 AIDT를 설립하여 AIDT로 하여금 현실 에 적합한 인적자원개발 방안을 수행하도록 하였다. 셋째로는 AIDT가 지역 의 산업발전의 기본방향에 적합한 인적자원의 개발뿐만 아니라 향후 기업의 인적자원수요를 예측하여 미래지향적인 인적자원의 교육 및 공급기능을 수 행하였다는 점이다. 알라바마주는 지역내 양질의 교육을 받은 기능인력을 기 초로 하여 적극적인 외국기업 유치활동이 가능하였다. 넷째는 AIDT는 지역 발전을 위하여 기업이 필요로 하는 인적자원개발을 위한 계획을 세워 기업 의 지속적인 관심과 참여를 유도하였다. 기업은 인적자원개발을 AIDT를 통 하여 수행함으로써 비용절감 효과를 거둘뿐만 아니라 기업활동에만 전념할 수 있었다. 이러한 노력으로 인하여 알라바마주는 1971년 ADO를 설립하여 인적자원개발을 시작한 이래 수많은 기업을 지역내로 유치하였을 뿐만 아니 라 BMW, 현대자동차와 같은 대규모 생산공장을 유치하는 성과를 보였다.

마지막으로 외국기업의 투자활동계획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처음부터 진출 하려고 하는 외국기업의 수요에 적합한 인적자원을 교육・훈련시킴으로써 외국기업의 진출을 유도하였다. 잘 교육받은 기능인력의 확보는 외국기업의 진출에 중요한 요소라는 점을 알라바마주는 인지하고 있었다고 할 수 있으 며, 이를 통한 지역산업의 발전을 유도할 수 있었다.

4. 시사점

지역혁신체제는 기업ㆍ대학ㆍ연구소 및 지방정부 등 지역내 다양한 경제 주체들이 지역의 생산과정이나 새로운 기술 의 창출, 도입, 확산과정에서 상 호 협력하여 상승작용을 함으로써 지역의 혁신역량을 최대화하고 지역경쟁 력을 제고시키기 위한 지역내 연결망이다. 따라서 RIS는 지역의 핵심전략산 업을 중심으로 형성될 때 그 효과가 극대화가 된다. 지역혁신체제는 산업생 산체계가 중심이 되어 과학기술체계, 기업지원체계가 서로 접합되어 하위시 스템을 구성하고 이 하위시스템을 직ㆍ간접적으로 연계하는 기관 및 제도가 상위시스템으로 존재한다. 또한 상위시스템구성에서 지방정부의 역할이 중요 하며 네트워크의 활성화를 통하여 지역혁신체제의 효율성이 배가된다.

지역발전을 위한 인적자원의 개발에는 지역의 특수성을 고려하여야 한다.

따라서 지역혁신체제를 운영하는 지역혁신주체는 지역의 상황을 고려하여 미래 장기비전을 제시하여 지역주민의 공감대를 형성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 지역산업의 구조 재편의 계획을 수립・시행하여야 한다. 지역내 혁신주체들 간의 의사를 공유하고 지역발전을 위한 프로그램을 공동개발할 수 있는 영 국의 지역개발청(Regional Development Agency; RDA)이나 미 알라바마주의 알라바마 개발청(ADO)과 같은 지역내 협의체를 구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 러한 협의체의 구성ㆍ운영을 통하여 지역혁신주체들간에 원활한 의사소통이 이루어지고 또 지역혁신주체간 비전을 공유함으로써 지역현안문제를 해결하 는 추진력을 획득할 수 있을 것이다.

Ⅴ. 지역혁신체제 구축을 통한 인적자원개발 방안

1. RIS를 통한 인적자원개발 방안 모색시 고려사항

지역혁신체제의 구축ㆍ운영을 통한 인적자원개발 방안은 기본적으로 지역 발전에 필요한 인적자원을 양성ㆍ공급하기 위하여 기획ㆍ추진한다. 따라서 지역혁신체제를 통한 인적자원개발 방안은 현재의 교육ㆍ훈련체제(formal &

non-form al education and training system)가 지역 인적자원의 양적ㆍ질적 수요를 어떻게 어느 정도나 충족시킬 수 있으며, 인적자원개발을 위한 교육 ㆍ훈련체제의 효과성 및 효율성을 어떻게 어느 정도나 개선할 수 있는가 하 는 문제에 대한 답을 제시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지역혁신체제를 통한 인적 자원개발은 다음과 같은 정책문제에 대한 하나의 해결방안이라 할 수 있다:

지역의 인적자원개발 수요는 무엇이고, 어떠한 변화를 경험하고 있는가? 지 역 인적자원개발 수요 변화에 교육ㆍ훈련기관, 연구ㆍ개발기관, 기업체, 지방 자치단체, 중앙정부 등은 적절히 대응하고 있는가? 비용 대비 효과를 개선함 과 동시에 수준높은 교육ㆍ훈련기회를 보장할 수 있는 정책이 개발ㆍ적용되 고 있는가? 지역 인적자원개발 관련 기관간 연계ㆍ협력은 활발히 생산적으 로 이루어지고 있는가? 지역 공공부문과 민간부문간 연계ㆍ협력은 잘 이루 어지고 있는가? 중앙정부와 지방정부간 정책 연계는 잘 이루어지고 있는가?

관련 기관간 연계ㆍ협력을 촉진 또는 방해하는 요인은 무엇인가?

어느 특정지역의 지역혁신체제를 통한 인적자원개발 방안을 모색하기 위 해서는 우선 해당 지역의 지역혁신체제 현황을 파악할 필요가 있다. 구체적 으로 해당지역의 지역혁신체제(개념)의 존재 여부, 해당 지역 지역혁신체제의 구성 기관ㆍ조직 및 관련 제도ㆍ법령, 해당 지역 지역혁신체제의 leadership, 현재 실시 중이거나 계획 중인 구체적인 지역혁신체제 프로그램 사례, 그리 고 해당 지역 지역혁신체제 구축ㆍ운영의 종합적인 성과 평가 등을 면밀히 분석할 필요가 있다. 이는 환경 변화 분석에 기초하여 새로운 지역혁신체제

모형을 설정하고 이의 성공적 실현을 위한 정책 지원 방안 모색 시 중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게 된다.

두 번째로 지역의 교육ㆍ연구와 지역산업과의 관계를 면밀히 파악할 필요 가 있다. 이와 관련하여 우선 지역 산업기반의 변화 다시 말해 지역 산업구 조의 변화 방향 및 정도에 대한 분석이 이루어져야 한다. 지역 산업기반이 새로운 수요에 부응하지 못하고 과거 구조에 매여 있을 때, 산업이 더 이상 발전 못하고, 따라서 지역혁신체제도 작동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해 당 지역 산업이 새로운 수요에 적절히 대응하고 있는지 그리고 새로운 기업 을 유치하거나 기존 기업의 현대화를 지원하기 위하여 어떤 정책적 노력을 경주하고 있는지 (예, 세액 공제, incubator facilities, science and technology park, venture capital 등) 등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다.

이와 관련하여 해당 지역의 산업구조가 예를 들어, 새로운 지식과 기술에 대한 수요가 높은 산업구조로 변화할수록 새로운 지식 및 인력에 대한 수요 가 증가하고 대학, 기업, 연구소 등 관련 기관과의 상호 연계ㆍ협력의 필요 성이 높아질 것이다. 연구ㆍ개발과 산업간 상호 연계ㆍ협력 및 기술향상을 위한 교육ㆍ훈련에 대한 수요 증가에 대하여 어떠한 변화가 필요하고 실제 그러한 변화의 발생 정도를 분석할 필요가 있다.

이는 지역의 교육ㆍ훈련ㆍ연구체제와 지역 산업과의 관계 분석이 필요함 을 말해 준다. 대학교육ㆍ연구의 경우, 해당 지역 대학에서 지역 산업 발전 에 필요한 인력 양성ㆍ공급의 가능 여부, 해당 지역 대학 및 연구소의 필요 기술 개발ㆍ보급 능력 정도, 대학 교육과정 설계 시 관련 기업과의 협력 여 부, 지역 산업연구소, 대학, 기업간의 협력 경험 여부 등에 대한 면밀한 분석 이 필요하다. 중등교육의 경우에도, 해당 지역 실업계 고교에서 지역 산업에 필요한 인력 양성ㆍ공급의 가능 여부, 실업계 고등학교 교육 프로그램 개발 시 관련 기업과의 협력 여부 등을 파악할 필요가 있다.

세 번째로 지역의 사회적 자본(social capital, localized institutions)의 존재 여부 및 그 영향력을 파악하여야 한다. 관련 조직간 network 구축 정도 (eg.

기업과 대학ㆍ전문대학 또는 기업과 연구소간 협력 관계,...), 기업 경영자, 대 학 교수 등의 조직간 network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 정도, 해당 지역 관련

조직간 지식공유 전통 유무, 고용주・경영자/ 근로자의 종업원 교육ㆍ훈련에 대한 인식 정도, 관련 제도 및 지원 방안 등에 대한 분석은 지역 특성에 맞 는 지역혁신체제 구상에 중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지역에 지 방정부, 대학, 연구소, 기업체 등 관련 조직들간의 협력체제가 구축ㆍ운영되 고 있는 사례가 있는가? 있다면 이러한 협력체제에서 협력 파트너들 각각의 역할과 책임이 분명히 정해져 있는가? 이해 당사자들의 대표 성은 충분하게 반영되어 있는가? 해당 지역에만 존재ㆍ적용되는 지역 노동시장의 작동 행 태, 지역 생산체제의 운영 방식, 조직과 조직간의 상호 교류ㆍ협력 방식 (localized institutions/ social capital) 등이 존재하는가? 존재한다면, 그 특징 (과 차이)은 무엇인가? 그 지역의 사회적 자본은 지역혁신체제의 구축ㆍ운영 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가?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가? 등에 대한 체계적 인 분석과 논의가 필요하다.

아울러 해당 지역의 사회적 자본의 변화ㆍ축적 유도 노력 유무 및 정도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다. 지역혁신체제 구성 기관간 상호 교류ㆍ협력 증진을 위한 새로운 제도/ 법 도입 여부, 새 제도에 새로운 인력 투입 여부, 기업/ 조 직 경영자간 networking 촉진/ 유도 노력 여부 (incentives), 정치적 구심점 형성 여부(정치적, 정책적 리더쉽 발휘) 등을 파악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분 석은 지역혁신체제의 구축ㆍ운영 그리고 이를 통한 지역 인적자원개발에 긍 정적인 영향 유도를 목적으로 해당 지역의 사회적 자본을 개선하기 위하여 어떠한 정책적 노력이 필요한가? 조직내 개인의 교육ㆍ훈련(학습), 조직의 교 육ㆍ훈련(학습), 관련 조직과 조직간의 network 구축을 통한 학습/ 기술혁신 을 촉진하는 사회적 자본의 형성을 위해 어떤 정책이 필요한가? 등의 문제 에 대한 해결방안을 제시하게 될 것이다.

네 번째로는 지역혁신체제를 구성하였을 경우 각 구성 기관의 역할을 미 리 규정해 볼 필요가 있다. 민간부문의 경우, 대기업은 교육/ 훈련 기회 제공 과 기업 R&D 인프라 구축・운영 면에서 중ㆍ소기업에 비하여 큰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중ㆍ소기업은 새로운 기술 적용이 대기업에 비하여 용이할 것이 다. 구체적으로 지역혁신체제 운영 및 지역 인적자원개발에서 기업은 어떠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가? 현재 해당 지역의 상황은? 개선방향은? 기업내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