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국토환경·문화

문서에서 국토연구원 30 년사 (페이지 108-111)

1. 환경 및 자연자원 관리 1970년대 전후 _ 환경문제 인식기

1980년대 _ 자원 및 환경보전관련 지원제도의 확립기 1990년대 _ 환경과 조화된 지속가능한 개발정책 모색기 2000년대 _ 지속가능한 국토환경관리체계 구축기

2. 수자원 및 방재정책 1970년대까지 _ 태동기 1980년대 _ 확충기 1990년대 _ 전환기 2000년대 _ 도약기

3. 관광 및 문화

1970년대 전후 _ 관광기반 조성 1980년대 _ 국민관광의 활성화 1990년대 _ 관광자원의 지역경제자원화 2000년대 _ 지속가능한 관광개발 시대

전 개 과 정 과

연 구 실 적

/ 107

연구원 설립 이후 환경·문화에 대한 연구가 전혀 없었 던 것은 아니나 대부분 산발적으로 이루어졌으며, 보다 큰 계획의 일부분으로 다루어졌던 것이 사실이다. 그러 던 중 국토환경·문화연구실의 신설로 더욱 체계적이 고 심도 있는 환경 및 문화 분야의 연구를 수행할 수 있 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국토환경·문화연구실의 연구 활동은 개발과 보전의 조화라는 모토 아래 국토·지역 분야를 포함한 연구원 내 다른 연구분야의 연구활동과 도 방향과 보조를 맞출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2008 년까지 이루어진 본 연구원의 환경부문 연구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국토자원의 이용과 보전이 조화되는 지속가능한 개발(ESSD)로의 패러다임 변화에 부응하여 국토자원 의 건강성 유지, 지속성 확보, 국토의 쾌적성(amenity) 확보, 국토의 경쟁력 증대를 위한 종합적인 연구를 수행 하여 현 세대는 물론 미래세대를 위한 국토관리의 전략 과 방안을 제시할 것이다.

둘째, 국토자원의 효율적 이용과 국민의 삶의 질 개선을 위한 환경정책 수립, 그리고 개발과 환경의 조화방안에 대한 정책개발, 기후변화에 대응한 국토관리 등을 위한 제도개선 및 계획수립에 대한 연구를 수행할 것이다.

셋째, 국토정책 수립 시 장기적인 국토의 지속가능성 확 보, 개발과 보전이 조화될 수 있는 국토관리방안 등에 대한 철학과 개념을 정립하여 다른 분야의 정책개발, 계 획수립에 개발과 환경의 기본틀을 제시할 것이다.

넷째, 국토개발 과정에서 일어난 많은 문화유산의 훼손 과 멸실, 지역공동체의 해체는 경제성장의 후유증이라 고 할 수 있다. 성숙된 국토관리는 문화유산을 보전하고 지역공동체를 회복하는 노력이 있을 때 가능하다. 문화 유산의 보전과 지역공동체 회복방안에 대한 연구도 필 요하다.

다섯째, 국토환경 및 문화연구를 뒷받침하기 위한 과학 적 분석과 이론의 정립을 위한 기초연구와 국토자원, 환 경, 문화관련 정보체계의 구축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고 자 노력할 것이다.

특별강좌: 국토개발과 환경문제(숭산스님) (1990. 10. 16)

/ 109

문서에서 국토연구원 30 년사 (페이지 108-1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