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국내문헌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139-147)

강두용(2009). “한국경제의 성장둔화와 경제성숙화 요인 : 인구학적 변화와 취업 구조변화의 성장둔화 효과,” 국제경제연구 15(3). pp.93-132.

강미나․김진범(2013). “농촌지역 빈집정비 실태와 정책방향,” 국토정책 Brief 430 호. pp.95-115.

강인호(2018). “일본 축소도시의 콤팩트 시티 추진전략,” 한국정책학회보 27(2).

pp.221-244.

______(2019). “지방소도시의 도시축소 및 실태에 관한 실증적 연구,” 한국지역개 발학회보 31(5). pp.45-72.

______(2021). “지방소멸 원인 및 진단과제,” 2021 지방분권특별위원회 제2차 권 역별 토론회집.

강인호․박성진(2020). “지방 소도시의 스마트 축소를 위한 협력적 거버넌스 체계 구축을 위한 시론적 연구,” 한국공공관리학보 34(4). pp.279-300.

강인호․염대봉․장명본(2021). “비수도권 郡지역의 축소와 실태에 관한 실증적 연구,” 한국공공관리학보, 35(2). pp.87-113.

강인호 이영철 염대봉(2015). “도시수축: 도시재생의 새로운 패러다임,” 한국사회 와 행정연구 26(3). pp.25-50.

고우림․조영태․차영재․장대익(2020). “한국 합계출산율의 결정 요인으로서의 인구밀도,” 사회과학 담론과 정책 13(2). pp.129-153.

곽채기(2014). “인구구조변화에 따른 영향분석과 국가의 역할 구조 및 재정 시스 템의 변화방향,” Local Finance Magazine, 17. pp.98-127.

곽현근(2016). “인구구조의 변화와 지역발전: 농촌지역을 중심으로,” 지방해정 65(753). pp.32-35.

구형수․김태환․이승욱․민범식(2016). 저성장 시대의 축소도시 실태와 정책방 안 연구, 국토연구원.

권규호(2015). “한국의 인구구조 변화와 장기 성장 전망: 일반균형론적 접근 (Korea’s Demographic Changes and a Long-Term Growth Projection: A

General Equilibrium Analysis),” KDI Policy Study 26. pp.1-75.

권오규․마강래(2014). “변이할당모형을 이용한 수도권 인구 유출입 분석,” 국토 계획 49(8). pp.5-19.

권일․김정연(2011). 인구감소시대의 도시정책과제, 도시정보.

기정훈(2011). 인구감소지역의 지역쇠퇴대응을 위한 정책과제 연구. 국회입법조사 처.

김광중(2010). “한국 도시쇠퇴의 원인과 특성,” 한국도시지리학회지 13(2).

pp.43-58.

김기호(2005). “인구고령화가 경제성장에 미치는 영향,” 금융경제연구 224호, 한국 은행.

김기호․유경원(2008). “인구고령화가 인적자본 투자 및 금융시장에 미치는 영 향,” 보험금융연구,55. pp.165-207.

김동구․박선영(2013). “고령인구 비중 증가가 소비구조 변화를 통해 생산과 고용 에 미치는 영향,” 산업경제연구, 26(6). pp.2519-2546.

김동석(2006). “소비구조 장기전망:인구구조 변화의 영향을 중심으로,” 한국개발연 구원, 28(2). pp.1-49.

김동환․안정근(2016). “농촌지역 인구구조 특성에 따른 지역발전 방안 : 경상남 도 농촌지역을 중심으로,” 농촌계획 22(4). pp.159-169.

김상욱(2010). 인구 구조 변화가 정치ᆞ경제ᆞ사회 분야에 미치는 영향, 국회입법조사 처.

김수정(2019). “저출산·고령화 시대 한국의 인구 정책에 관한 비판적 고찰,” 한국 도시지리학회지 22(2). pp.143-158.

김숙경․구진경(2017). 인구구조 변화가 유통산업에 미치는 영향, 산업연구원.

김순은(2016). “저출산․고령사회와 인구감소에 대한 국가와 지역의 대응,” 한일 지방자치단체의 저출산․인구감소 대응정책 2016 한일 공동세미나.

______(2017a). “고령화에 따른 지방행정의 영향과 향후 대책,” 지방행정연구 31(1).

______(2017b). “저출산․고령사회의 인구감소와 지방소멸로 인한 대응책,” 지방 행정 66(759). pp.26-29.

김용민(2013). “일본의 지역경제 성장구조 변화,” 아태연구 20(1). pp.3-34.

김용진․이철인(2013). “고령화에 의한 인구증가와 경제성장의 장기적 메커니즘,”

한국경제의 분석19(1). pp.1-69.

김은경(2016). “인구 구조 변화가 경제 지형도를 바꾼다 ‘행복한 고령화 시대’ 위 한 체계적 정책 필요인구와 경제,” January. pp.10-11.

______(2016). “저출산⋅고령화시대의 지방복지재정정책,” EU학 연구 21(2).

pp.83-118.

김진범 등(2010). 인구감소에 대응한 바람직한 도시정책 방향. 국토연구원.

김태일(1994). “인구구조의 변화로 본 고령화 동향과 연령별 주택수요의 예측에 관한 연구, 한국과 일본의 비교분석,” 대한건축학회논문집 10(11).

pp.37-45.

김태헌․김동희․정구현(2006), “코호트 요인법을 이용한 시군구별 장래인구추 계,” 통계연구 11(2), pp.1-40.

김현호․박진경(2019). 인구감소지역 유형별 모델 및 사업개발, 한국지방행정연구 원.

김형만(2019). “인구구조 변화에 따른 인적자원 정책 방향,” 월간 공공정책 162.

김호범․곽소희(2007). “한국의 인구전환과정과 경제성장 : 연령구조 변화를 중심 으로,” 경제연구 25(4). pp.125-144.

대한상공회의소(2007). 고령사회와 고령인력 활용 증진방안.

모수원․이광배․박정환(2017). “전남 연안지역의 인구구조 분석 : 고흥군 장흥 군 보성군을 대상으로,” 한국도서연구 29(4). pp.151-165.

박경철(2014). “한계마을의 사회경제적 특성에 관한 탐색적 연구,” 농촌사회 24(2). pp.7-59.

박문수․고대영․구진경․이경희(2013). 인구구조 변화가 서비스 수요에 미치는 영향, 산업연구원.

박병호․김준용(2009). “우리나라 중소도시의 쇠퇴유형 분석,” 한국도시지리학회 지 12(3). pp.125-137.

박세훈 외(2012). 인구구조 변화에 따른 국토․도시공간의 재편과 정책방향. 국토 연구원.

박승규(2016). “인구구조의 변화와 지역발전: 도시지역을 중심으로,” 지방행정 65(754). pp.28-31.

______(2020). “산업별 고용구조변화에 따른 노동자 인구이동의 지역경제효과에 관한 연구,” 지역산업연구Ⅰ 43(2). pp.231-261.

박준식․정동일․성경륭(2009). “지역 낙후성의 구조와 전환을 바라보는 이론적 접근:사회적·창조적 자본이론의 관점,” 지역사회학 10(2), pp.31-62.

박진경․김상민(2017), 인구구조 변화에 대응한 유형별 지역발전전략 연구, 한국 지방행정연구원.

박진경․김현호․김상민․임태경(2019). 지역인구감소 대응을 위한 종합대책 마 련 연구, 한국지방행정연구원.

박진경․김상민(2018). 인구구조 변화에 대응한 유형별 지역발전전략 연구. 한국 지방행정연구원.

박하일․박창귀(2017). “우리나라의 인구구조 변화와 정책과제,” 한국경제의 분석 23(2). pp.47-87.

방하남(2005). 인구 고령화와 노동시장 변화 및 노동정책과제, 한국노동연구원.

변필성 외(2014). 인구과소지역 공공시설 공급 및 활용방안. 국토연구원.

서준교(2014). “도시쇠퇴와 수축의 원인가 대응전략 연구 –리버풀과 라이프치히 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지방자치학회보 26(1). pp.97-115.

성은영․임유경․심경미․윤주선(2015). 지역특성을 고려한 스마트 축소 도시재 생 전략연구, auri 연구보고서.

성주인․진영․박유진․정규형(2014). 농촌의 중장기 인구 변화에 대응한 지역 활성화 과제.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손연정(2019), “중고령층 노동이동과 자영업 소득,” 노동리뷰 9. pp.32-45.

신관호․황윤재(2005), “인구구조의 변화가 실질임금 및 총노동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경제분석 11(2), 한국은행. p.1-35.

심재권(2008). “저출산⋅고령화의 인구구조변화에 따른 농촌과 도시지역의 산업구 조변화 비교분석,” 한국정책과학학회보 12(2). pp.125-146.

안병권․김기호․육승환(2017), “인구고령화가 경제성장에 미치는 영향(The Effect of Population Aging on Growth),” 경제분석 23(4). pp.1-33.

___________________(2017), 고령화와 경제성장-인구구조 고령화의 영향과 정책 과제, 한국은행.

염돈민(2014). “고령화와 지속가능한 지역사회,” 정책메모(103), 강원발전연구원.

오은열(2016). “지역인구 구조변화와 리질리언스 : 전라남도를 중심으로,” 지역개 발연구 48(1). pp.47-70.

오정일․안기돈(2007). “우리나라 15개 시도의 일자리수 변화와 인구이동간 인과

성 검정,” 국토연구 53. pp.57-76.

유창근․송두석(2006). “농촌지역의 인구 이동과 적정인구 유지 방안,” 농어촌관 광연구, 13(2). pp.107-126.

윤상호(2019), 인구구조의 변화와 지방소멸론.

이경은․김순은(2014). “유형별 지방정부의 고령화와 향후 과제,” 한국지방정부학 회 학술발표 논문집. pp.516-544.

______________(2015). “인구고령화가 지방재정지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지방행정연구 29(2). pp.297-325.

이백훈(1980). 한국 인구이동의 계량모형 정립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이병기(2017). 인구감소에 따른 기초자치단체의 지속가능성 강화방안, 한국지방행 정연구원.

이삼식 등(2015). 고령화 및 생산가능인구 감소에 따른 대응전략 마련 연구, 한국 보건사회연구원.

이삼주(2016). “고령화에 따른 지방재정의 변화,” 지역정보화 3월호. pp.50-53.

이상훈․황지욱(2013). “도시재생의 정책배경과 패러다임의 전환,” 국토계획 48(6). pp.387-410.

이소영․오은주․이희연(2012). 지역쇠퇴분석 및 재생방안, 한국지방행정연구원.

이순호(2020). “인구 및 인구구조 변화와 경제성장과의 관계:한국과 일본의 인구 및 인구구조 변화와 경제성장 간 선형⋅비선형 관계 분석,” 한일경상논집 88. pp.97-118.

이윤경(2019). 인구 정책 전망과 과제, 복건복지포럼.

이인희(2008). 우리나라 중소도시 쇠퇴실태와 특성, 충남발전연구원.

이재원(2017). “저출산 고령화에 따른 지방재정의 영향과 향후 대책,” 지방행정연 구 31(1). pp.35-62.

이재준(2015). “고령화의 거시경제적 영향과 정책시사점,” 한국경제포럼 8(4).

pp.83-102.

이정록(2017). “지방중심도시의 인구이동과 공간구조 변화: 전남 순천시를 사례 로,” 대한지리학회지 52(5). pp.579-594.

______(2020). “인구과소지역의 인구이동과 인구구조 변화에 관한 연구 : 전남 고 흥군을 사례로,” 한국지역지리학회지 26(2). pp.172-184.

이종근(2014). 한계고령화의 동태적 요인과 공간적 영향분석, 충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이종하․이병주(2019). “인구구조의 변화가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 : 광주와 전 남을 중심으로,” 재정정책논집 22(1). pp.3-36.

이종하․황진영(2018). “광역자치단체의 출산지원예산이 출산율에 미치는 영향,”

보건사회연구 38(3). pp.555-579.

이지만(2016). “고령화 현상의 공간적 패턴 변화와 지역특성과의 관계 분석,” 논 총계획 22(4). pp.139-146.

이한방(2001). “과소농촌지역의 휴경요인과 유형,” 한국지역지리학회지 7(3).

pp.74-90.

이헌창․승정헌․박이택․김형종․이경록(2012). 저출산 고령화에 따른 지역별 인구분포와 변화요인 분석과 정책과제, 연구보고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고려대학교경제연구소.

이현훈․이영련․허현승(2008). “인구구조의 변화가 경제성장에 미치는 효과,”  경제발전연구14(2). pp.27-50.

이회찬(2007). “농촌인구 전망과 과소화구분에 따른 농촌사회의 적정인구,” 농어 촌관광연구 14(1). pp.159-181.

이희연(2013). “인구감소시대가 오고 있다: 지역별 인구 전망과 주요 쟁점,” 국토 연구 378. pp.6-15.

임상연․변필성(2014). “일본의 고소지역 정책동향과 시사점 : 작은 거점 만들기 와 향토집락생활권 형성을 중심으로,” 국토정책 Brief 492. pp.1-6.

임석회(2016). “대도시 도심부의 인구변동과 쇠퇴 양상의 변화 - 도심쇠퇴의 이 완과 도심회귀 증후의 검토,” 한국지역지리학회지 22(3). pp.599-614.

______(2016). “인구감소도시의 유형과 지리적 특성 분석,” 국토지리학회지 52(1).

pp.65-84.

임종현․이주형(2008). “출산율 증가에 따른 주택수요 변화가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 대한국토 도시계획학회지 43(5). pp.63-78.

입법조사처(2010). 인구 구조 변화가 정치ㆍ경제ㆍ사회 분야에 미치는 영향.

장인수(2020). “인구 변화에 대응한 지방자치단체 재정 여건 제고 방안,” 보건복 지포럼. pp.63-72.

장희순․송상열(2006). “비성장형도시의 쇠퇴원인 분석과 활성화 방안,” 국토연구

50. pp.39-57.

전성애․형남원(2012). “인구구조 및 가구특성 변화를 고려한 주택수요의 예측,”

대한국토 도시계획학회지 47(3). pp.191-208.

정경희․이재훈․김병량(2014). “일본 ‘한계취락 (限界聚落)’의 인구감소 대책방안 사례연구,” 주거환경(한국주거학회논문집) 25(3). pp.35-43.

정원기․안영진(2016). “우리나라 한계촌락의 구조적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지 역지리학회지 22(3). pp.515-528.

정의철․조성진(2005). “인구구조 변화에 따른 장기주택수요 전망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 도시계획학회지 40(3). pp.37-46.

정준호(2021). “글로벌 가치 사슬과 한국의 지역 간 격차 : 2010년대 이후를 중심 으로,” 경제와사회(131). pp.88-125.

제현정(2019). “인구감소지역 유형별 대응정책 사례 연구,” 한국도시지리학회지 22(1). pp.131-147.

제현정․이희연(2017). “지역별 인구구조 변화와 유형별 특성분석,” 한국도시지리 학회지 20(1). pp.27-43.

조영재(2014). 사라지는 농촌마을! 한계(限界)마을정책 도입해야, 충남리포트 101.

조윤성(2009). 인구구조변화에 따른 주택유형별 수요 전망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 논문,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조윤숙․이종필(2017). “시도별 인구구조 변화 고찰을 위한 인구동태모형 개발,”

한국시스템다이내믹스연구 18(4). pp.5-45.

조주현(2011). “저출산 고령화 사회의 부동산 시장구조 변화,” 부동산연구 21(2).

pp.5-26.

조준범(2009). “농어촌지역 마을단위 과소화(過疎化)특성에 관한 연구 전남 장흥 군을 중심으로,” 한국지역개발학회지 21(3). pp.163-182.

조진희 등(2010). “도시쇠퇴 수준 및 특성 유형화,” 국토지리학회지 44(1).

pp.35-50.

조진희 등(2015). “충청권 농촌지역 쇠퇴 특성 및 유형에 관한 연구,” 대한토목학 회논문집 35(1). pp.203-215.

조하현․임성훈․임형우(2019). “인구구조 변화가 경제성장에 미치는 효과:

VARX 모형을 이용한 한국(1987~2017) 사례 분석,” 한국경제연구 37(4).

pp.113-142.

조현승․고대영․이동희․황원식(2015), 베이비붐 세대의 은퇴로 인한 소비구조 변화와 고령친화산업 활성화, 산업연구원.

채성주․배민기․백기영(2014). “지역 낙후도 유형에 따른 인구이동 특성과 이동 요인: 충북 시 군을 사례로,” 국토연구 81. pp.91-103.

최경수․문형표․신인석․한지희(2003). 인구구조 고령화의 경제적 영향과 대응 과제(I), 연구과제, 한국개발연구원.

최경식(2002). “인구구조변화와 경제성장과의 관계분석 : 한국의 ‘고령화사회’를 중심으로,” 협동조합경영연구 27. pp.48-61.

최길수(2014). “인구구조의 변화와 도시거버넌스의 구축,” 대전발전포럼 48.

pp.39-57.

최남희(2016). “읍․면지역 한계고령화의 인과순환적 구조분석과 인구소멸 임계점 에 대한 시뮬레이션,” 한국시스템다이내믹스 연구 17(1). pp.107-134.

최남희․이종근․김근세․이명석(2014). “우리나라 군지역의 고령화 위기와 동태 성의 인과 순환적 구조분석,” 한국시스템다이내믹스 연구 15(1). pp.75-96.

최슬기(2015). “한국사회의 인구변화와 사회문제- 인구 변동요인과 인구수/인구구 조를 중심으로,” 경제와 사회 106. pp.14-40.

최영출․금창호․하능식․하혜수․홍준헌․이동필․배정환(2010). 성장촉진지역 의 행정 및 서비스 전달체계 발전방안, 행정안전부.

최은영(2004). “지역 간 인구이동의 공간적 특성 분석-수도권을 중심으로,” 서울 도시연구 5(3). pp.49-66.

최은영․구동회․조순기(2010). “부산 대도시권의 인구이동(1),” 한국지역지리학회 지 16(2). pp.123-136.

최진호(2011). “인구감소시대의 도시서비스 변화,” 국토 353. pp.30-39.

최창용(2017), “고령화정책 거버넌스 평가-인구구조 고령화의 영향과 정책과제, 한국은행.

충북개발연구원(2010). 인구감소시대 축소도시 활성화 전략, 충북개발연구원 연구 보고서.

통계청(2016). 장래인구추계(2015 인구총조사 기준). 통계청.

하봉찬(2016), “서비스산업으로의 노동이동과 경제성장,” 산업경제연구 29(1).

pp.151-167.

하상근(2005). “지역 간 인구이동의 실태 및 요인에 관한 연구: 경상남도의 기초

자치단체를 중심으로,” 한국지방정부학회, 지방정부연구 9(3). pp.309-332.

하혜수․최영출․홍준헌(2010). “준지방자치단체의 개념과 적용가능성 연구,” 한 국지방자치학회보 22(3). pp.237-256.

한국고용정보원(2016). 한국의 지방소멸에 관한 7가지 분석.

한주성(1992). “한국에 있어서 시 도간 인구이동의 시 공간 분석,” 충북대학교 지 역개발연구.

______(2018). “과소지역의 한계취락 출현과 지역재생: 경상북도 의성군을 사례 로,” 대한지리학회지 53(3). pp.327-346.

허문구(2006). “지역성장과 지역변동경로 분석,” 지역경제 2(2), 산업연구원.

허문구․Dai Erbiao․김동수·박형진(2014). 인구구조 변화에 따른 지역경제 성장 패턴 분석, 산업연구원.

허문구․김낙현(2017). “고령화시대의 생산인구 변화와 지역성장 변동경로,” 지역 개발연구 49(2). p.1-34.

허문구․이상림․정윤선․김은정․이소영․박형진(2014). 지역의 인구경쟁력 분 석과 정책적 시사점-인구구조 고령화를 중심으로. 산업연구원.

허문구․이상호․김낙현(2016). 경남지역의 인구구조 변화가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 한국은행 경남본부.

허문구․이상호․최윤기․김동수․Dai Erbiao(2013). 고령화가 지역경제에 미치 는 경제효과 분석, 연구보고서 2013-667, 산업연구원.

홍기석(2003). 인구구조 고령화와 거시경제적 파급효과-인구구조 고령화의 경제 적 영향과 대응과제(Ⅰ), 한국개발연구원.

황지욱 김귀진(2013). “농촌도시 김제의 인구변화 특성에 관한 연구,” 지역개발연 구 45(2). pp.65-80.

황진영(2007). “표본선택에 따른 재정지출 구성의 세대 간 경쟁,” 경제연구 25(1).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139-1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