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서울시 구별 공연장 여건 비교

지금까지 공연장 객석수를 중심으로 서울시의 구별 공연장 현황을 살펴보았다. 공연장의 객석수는 공연 인프라를 평가하는 가장 기초적인 자료이기는 하나, 공연장의 여건을 실질적으 로 파악하기 위해서는 공연장의 시설 수준이나 활용도, 관련 예술단체 유무 등의 요인들을 복합적으로 고려해야 한다. 객석수가 많다고 하더라도 관람률이 낮다든가 활용할 수 있는 예 술단체들이 부족하다면 해당 구의 공연장 여건은 좋지 못하다고 할 수 있으며, 부족한 부분을 보충할 수 있는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 반면 객석수가 적다고 하더라도 상대적으로 예술관 람률이나 활용 가능한 단체들이 근접해 있다고 하면, 해당 구의 공연장 여건은 좋다고 평가할 수도 있다.

서울시 자치구별 공연장의 여건을 보다 객관적으로 비교해보기 위해 공연장 여건 지표를 선 정하였다. 인구 천명당 객석수, 문화환경 만족도, 예술관람률, 문화단체수, 문화시설수 등은 현 재 자치구별로 자료 구축이 되어 있으며 공연장 운영과 직간접적 영향을 갖고 있다고 판단되는 지표들이다. 다음 <표 3-9>는 각각의 분석지표에 대한 설명이다.

평가지표 설명 자료

인구 천명당 객석수

자치구별 공공+민간 공연장의 인구 1,000명당 객석수

서울시 평균 9.1명

서울시 등록 공연장 현황(2011.5)

문화환경 만족도 자치구별 문화환경 만족도(7점 만점)

평균 4.6점, 최저 4.13점 ~ 최고 4.97점 설문조사 결과

예술관람률 자치구별 공연장 이용률

최저 5.5% ~ 최고 21.8% 서울서베이(2010)

문화단체수 최저 2개 ~ 최고 107개 서울의 문화자원 분포와 문화생태연구(2007) 문화시설수 문화공간(지역문화복지시설) 개소수

최저 6개 ~ 최고 16개 서울통계(2010)

<표 3-9> 자치구별 공연장여건 분석지표

인구 천명당 객석수는 이 연구 현황조사 결과를 근거로 도출된 지표이며 서울시 공연장(시설 등록업에 공연장으로 등록된 공연장) 전체의 인구대비 객석수는 1,000명당 평균 9.1석이다. 인 구대비 객석수는 종로구 134.9석, 중구 81.2석, 광진구 26.1석, 서초구 25.0석, 강남구 15.0석 순으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동대문구와 동작구의 경우 0석으로 조사되었다.

자치구

거주지

구별문화단체 현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서울에는 총 1,126개 예술단체가 분포하고 있으

관이 95개, 구민체육시설이 38개, 청소년수련시설이 64개로 조사되었다. 가장 많은 구는 강서구

인구 천명당 객석수 문화환경 만족도 예술관람률 문화단체수 문화시설수 총점

은평구 1.4 2 4.26 1 11.3 2 12 2 7 1 8

마포구 5.6 4 4.82 4 21.8 5 38 4 6 1 18

양천구 3.1 3 4.53 2 12 3 7 2 13 5 15

강서구 1.3 2 4.4 2 16.2 4 14 3 16 5 16

구로구 4.0 3 4.4 2 10.1 2 7 2 7 1 10

영등포구 9.0 5 4.34 1 11 2 17 3 12 4 15

금천구 3.8 3 4.86 4 11.3 2 2 1 6 1 11

관악구 1.3 2 4.66 4 8.5 1 19 3 11 4 14

강남구 15.0 5 4.58 3 15.8 3 51 5 13 5 21

송파구 6.6 4 4.79 4 12.9 3 14 3 12 4 18

강동구 3.1 3 4.53 2 9.3 1 11 2 6 1 9

서초구 25 5 4.91 5 16.9 4 64 5 9 2 21

서대문구  7.2 4 4.38 2 11.4 2 19 3 8 2 13

동대문구 0 3 4.66 4 11.3 2 16 3 7 1 13

동작구 0 2 4.38 2 11.4 2 12 2 13 5 13

<표 계속> 자치구별 공연장 여건 비교

총점이 높을수록 공연장의 여건이 안정적이며 총점이 낮을수록 여건이 좋지 않다고 생각할 수 있다. 물론 이 결과가 자치구의 공연장 여건을 100% 반영한다고 할 수는 없다. 앞서 언급한 바와 마찬가지로, 이 연구에서 활용한 분석지표는 자치구별 데이터가 확보 가능한 것에 한정되 어 있기 때문이다. 공연장 여건 분석을 더욱 정확히 하기 위해서는 공연장 전문인력(무대기술, 기획, 교육), 시설노후화 정도, 기획공연 비중 등이 추가되어야 하지만, 연구기간의 한계로 이들 자료를 구축하지 못하였다. 그러나 관련 지표들을 추가ㆍ정교화한다면 공연장 여건 비교의 신 뢰도가 높아지고, 자치구별 비교에 그치지 않고 서울시 공공 공연장 확충 계획을 수립하기 위 한 기초자료로도 활용될 수 있기 때문에 관련 연구의 심화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제3절 서울시 시립/구립 공공 공연장의 운영과 프로그램 1. 개요

공연장 시설 등록업에 등록된 서울시와 자치구 산하의 공공시설을 중심으로 공공 공연장의 운영 프로그램을 분석하였다. 서울시 공공 공연장 중 국립시설 등 총 16개 시설과 28개 공연

장은 제외하였다(제외시설:아르코예술극장 대극장/소극장, 대학로 예술극장 대/소/3관, 정동 극장, 국립극장 달오름/별오름/하늘극장/해오름, 한국의집 민속극장, 명동예술극장, 국립중앙 박물관 극장, 한국예술종합학교 중/소극장, KBS홀, 국립국악원 예악당/우면당, 예술의 전당 리사이트홀/오페라극장/자유소극장/콘서트홀/토월극장, 한국예술종합학교 크누아홀, 민속극 장풍류, 코우스, 가든파이브아트홀, 우리금융아트홀). 또한 공연장이 없는 자치구의 경우 공연 장으로 시설 등록이 되어 있지는 않지만, 자치구 내 공공 공연장의 역할을 수행하는 공연장 (서초구민회관, 서대문구민회관 대공연장/소극장, 동대문구민회관, 동작구민회관)은 연구대상 에 포함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한편 세종문화회관은 다목적 복합문화공간으로서 다른 연구 대상시설들과 규모 및 운영방식에 매우 차이가 나기 때문에 구체적인 프로그램 분석에서는 제외하였다.

[그림 3-17] 서울시 시립/구립 공공 공연장 현황

[세종문화회관]

연구대상 공연장을 시립/구립시설별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시립시설은 중구 2개소, 종로구 1개소, 성북구 2개소, 광진구 1개소, 양천구 1개소로 나타났 다. 자치구별로 현황을 살펴보면 서울시 시립 공공 공연장 전체의 인구대비 객석 수는 1,000명 당 평균 2.8석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인구대비 객석수는 종로구 22.6석, 중구 9.0석, 강북구 1.7 석, 광진구 0.9석, 성북구 0.8석, 양천구 0.7석, 종로구 0.6석, 관악구 0.5석 순으로 나타났다.

자치구 인구(명) 객석수(석) 객석/인구(석)

(1,000명당) 자치구 인구(명) 객석수(석) 객석/인구(석) (1,000명당)

종로구 178,539 4029 22.6 강북구 348,710 580 1.7

중구 140,682 1,262 9.0 양천구 506,126 337 0.7

광진구 387,864 342 0.9 동작구 548,820 296 0.5

성북구 496,556 375 0.8 총합계 2,607,297 7221 2.8

<표 3-16> 시립 공공 공연장 인구 천명당 객석수

[그림 3-18] 시립 공연장의 인구 천명당 객석수

구립시설은 강남구 5개소, 종로구 4개소, 금천구 3개소, 마포구 3개소, 광진구 2개소, 용산구 2개소, 동작구 2개소, 도봉구 2개소, 강동구 2개소, 구로구 2개소, 중구 1개소, 성북구 1개소, 강북구 1개소, 영등포구 1개소, 관악구 1개소, 중랑구 1개소, 노원구 1개소, 양천구 1개소, 은평 구 1개소, 송파구 1개소, 강서구 1개소, 성동구 1개소, 서초구 1개소, 서대문구 1개소, 동대문구 1개소로 나타났다. 자치구별로 현황을 살펴보면 서울시 구립 공공 공연장 전체의 인구대비 객 석수는 1,000명당 평균 2.0석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인구대비 객석수는 중구가 13.4석으로 가 장 많았으며, 그다음은 종로구 10.1석, 용산구 4.2석, 금천구 3.8석, 도봉구 2.7석, 구로구 2.5석, 강동구 2.5석, 마포구 2.4석, 서대문구 2.4석, 광진구 2.2석, 동대문구 2.1석 순으로 나타났다.

그 외의 자치구들은 평균 객석수에 못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자치구 인구(명) 객석수(석) 객석/인구(석)

(1,000명당) 자치구 인구(명) 객석수(석) 객석/인구(석) (1,000명당)

종로구 178,539 1,804 10.1 마포구 400,919 959 2.4

중구 140,682 1,885 13.4 양천구 506,126 760 1.5

용산구 259,810 1,091 4.2 강서구 577,142 754 1.3

성동구 311,504 520 1.7 구로구 456,552 1,161 2.5

광진구 387,864 860 2.2 금천구 264,183 995 3.8

동대문구 380,353 800 2.1 영등포구 443,820 526 1.2

중랑구 430,004 496 1.2 동작구 414,304 696 1.7

성북구 496,556 112 0.2 관악구 548,820 400 0.7

강북구 348,710 650 1.9 서초구 438,626 800 1.8

도봉구 368,674 1,007 2.7 강남구 576,409 1,178 2

노원구 609,725 908 1.5 송파구 691,842 179 0.3

은평구 497,433 701 1.4 강동구 501,670 1,276 2.5

서대문구 327,231 779 2.4 총합계 10,557,498 21,297 2.0

<표 3-17> 구립 공공 공연장 인구 천명당 객석수

[그림 3-19] 구립 공연장의 인구 천명당 객석수

서울시 시립 공공 공연장의 운영주체, 개관연도, 공연장 면적, 무대면적, 객석수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운영주체를 살펴보면 세종문화회관은 재단법인이 운영하고 있으며, 서울 남산국 악당, 삼청각, 꿈의 숲 아트센터 등 3개 공연장도 같은 법인이 위탁운영하고 있다. 그 외 공연장 들은 기타 재단이나 민간에 위탁 운영되고 있었다.

공연장 면적은 최소 217㎡(성북청소년수련관)에서 최대 17,620㎡(세종문화회관)까지, 무대 면적은 최소 47㎡(성북청소년수련관)에서 최대 1,653㎡(세종문화회관)까지 있었다.

연번 시설명 운영주체 개관연도 공연장 면적

(㎡)

무대면적 (㎡)

객석수 (석)

1 종로구

세종문화회관 대극장

(재)세종문화회관 1978

17,620 1,653 3,022

세종문화회관 M씨어터 3,140 315 609

세종체임버홀 1,421 156 398

<표 3-18> 서울시 시립 공연장_개관연도 및 규모

연번 시설명 운영주체 개관연도 공연장 면적

연번 시설명 운영주체 개관년도 공연장 면적

개관연도 공연장 개소수

구립 공연장의 장르와 대관료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구립 공연장은 대부분 다목적 공연장

연번 시설명 장르 대관료(평일기준)

운영방식 공연장 개소수

구립공연장의 경우 무대 전문인력이 있는 공연장은 21개소, 기획 전문인력이 있는 공연장은 17개소, 교육 전문인력이 있는 공연장은 18개소가 있었다. 전문적 공연장 운영을 위해서는 이 들 전문인력 확보 여부가 중요하다. 자치구 문화재단이 운영하는 공연장들의 경우 전문인력이 고루 배치되어 있으며, 시설관리공단 산하 공연장 중 3개시설(나루아트센터, 세대문구구민회 관, 광화문아트홀)이 무대/기획/교육 인력을 모두 갖추고 있다. 그러나 직영 공연장의 경우 3개 분야 인력을 모두 갖추고 있는 곳은 전무한 실정이다.

특히 공연예술의 종합적 특성과 문화예술교육의 중요성을 고려하면, 효과적인 공연장 운영 을 위해서는 무대/기획/교육 인력의 삼박자가 모두 맞아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조건을 갖춘 공연시설은 시립시설로는 세종문화회관, 구립시설로는 광화문아트홀, 충무아트홀, 나루아트센 터, 마포아트센터, 구로아트밸리, 서대문구민회관 등 7개 시설에 불과했으며, 다수가 재단법인 의 형태로 운영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3. 서울시 시립/구립 공공 공연장의 프로그램 운영 현황

1) 공연프로그램

공연 프로그램의 연간 운영 현황 파악을 위해 해당 시설의 홈페이지, 각종 문헌자료, 설문지 등을 통해 조사하였다. 그러나 해당자료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있는 시설이 많지 않아 연간 운영 현황을 정확히 파악하는 것은 쉽지 않았다. 이에 따라 여기에서는 가능한 한 수합된 자료 를 토대로 개괄적인 현황을 파악하는데 의의를 두고자 한다.

공연 프로그램의 연간 운영 현황 파악을 위해 해당 시설의 홈페이지, 각종 문헌자료, 설문지 등을 통해 조사하였다. 그러나 해당자료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있는 시설이 많지 않아 연간 운영 현황을 정확히 파악하는 것은 쉽지 않았다. 이에 따라 여기에서는 가능한 한 수합된 자료 를 토대로 개괄적인 현황을 파악하는데 의의를 두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