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곡물 물동량 추이와 전망

문서에서 해외곡물시장 동향 (페이지 64-71)

곡물 해상운임 동향과 전망

1. 곡물 물동량 추이와 전망

세계 곡물 수급 동향과 전망곡물 해상운임 동향과 전망

동량 증가의 직접적인 원인이 되고 있으며 이러한 추세는 앞으로도 계속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그림 1. 세계 곡물 물동량 추이와 전망

자료: Clarkson, Dry Bulk Trade Outlook, FEB, 2014.

▮ 곡물 물동량 추이와 전망 (수입국 기준)

표 2. 대륙별 곡물 수입 추이와 전망

단위: 백만 톤

구 분 2009/10 2010/11 2011/12 2012/13 2013/14 전 기간 대비증감률(%)

세 계 240 243 270 261 285 9.2

아 시 아 75.5 80.2 80.9 79.9 94.9 18.8

아프리카 52.6 53.1 58.6 52.8 57.4 8.7

중 동 42.5 34.9 45.7 45.9 49.4 7.0

북 중 미 29.2 27.7 33.7 29.5 31.5 6.8

남 미 23.9 23.1 24.8 25.3 27.2 7.5

그림 2. 대륙별 곡물 수입 추이와 전망

자료: Clarkson, Dry Bulk Trade Outlook, FEB, 2014.

대두를 제외한 대륙별 곡물 수입량 추이를 보면 2013년 7월~2014년 6월 기간 (이하 2013/14 시즌) 동안 아시아 지역의 수입량이 전 기간 대비 18.8% 증가하며 물동량 증가를 이끌 것으로 예상되며 이는 전월 전망치와 거의 변함없는 수치를 유지하고 있다.

한편, 유럽 지역의 경우 곡물 수입량이 전월에는 전 기간 대비 19% 가량 큰 폭 으로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었으나 금월 전망치는 11% 감소에 그칠 것으로 예상되 고 있는데, 이는 서유럽 지역의 수입량 예상치가 전월 대비 크게 증가하며 나타난 현상으로 볼 수 있다.

아프리카, 중남미, 북중미, 중동 지역의 곡물 수입량 또한 전월 전망치 대비 증 가세를 보이고 있으며 이에 따라 2013/14 시즌 대두(Soybean)을 제외한 곡물 물 동량은 전 기간 대비 9.2% 가량 크게 늘어난 ‘285 백만 톤’으로 전망되고 있다.

세계 곡물 수급 동향과 전망곡물 해상운임 동향과 전망

▮ 곡물 물동량 추이와 전망 (수출국 기준)

표 3. 주요 국가별 소맥 수출 추이와 전망

단위: 백만 톤

구 분 2009/10 2010/11 2011/12 2012/13 2013/14 전 기간 대비증감률 (%)

세 계 128.1 125.7 144.8 138.5 146.6 5.8

미 국 23.9 35.7 27.9 28.1 30.5 8.5

유 럽 20.8 22.1 15.6 21.0 23.7 12.9

캐 나 다 18.2 16.3 18.2 18.8 22.6 20.2

호 주 13.7 18.5 23.1 20.0 20.0 0.0

자료: Clarkson, Dry Bulk Trade Outlook, FEB, 2014.

주요 국가별 소맥 수출량을 살펴보면 2013/14 시즌 전 세계 소맥 물동량은 전기 간 대비 ‘8.1 백만 톤’ 증가한 ‘146.6 백만 톤’으로 예상된다. 이는 전월 전망치인

‘142.3 백만 톤’ 대비 ‘4.3 백만 톤’ 상향 조정된 수치로 경작 면적이 예상보다 크게 늘어난 캐나다의 수출량 전망치가 크게 늘어난 것이 주요 원인으로 보이는데 많은

그림 3. 주요 국가별 수맥 수출 추이와 전망

양이 직접 미국으로 수출됨으로 인해 해상 운임 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일 것이라는 분석 또한 나오고 있다.

2013/14 시즌 미국, 캐나다, 유럽 지역의 소맥 수출은 큰 증가세를 보이는 반면 호주 지역의 수출량은 전 기간 대비 거의 변동이 없을 것으로 예상되며 특히 아르 헨티나 지역은 수출량이 큰 폭으로 줄어들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북반구와 남반구 지역의 물동량 흐름이 큰 대조를 보일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주로 사료용 옥수수로 구성된 Coarse Grain 물동량의 경우 2013/14년 물동량 이 전 기간 대비 ‘15.5 백만 톤’ 가량 증가한 ‘137.9 백만 톤’으로 예상되며 이는 전월 전망치 대비 ‘3.2 백만 톤’ 가량 상향 조정된 수치이다.

지역별로는 미국의 수출량이 전 기간 대비 60% 가까이 크게 늘어나는 한편 아 르헨티나 지역은 수출량이 소폭 감소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한편 전 세계 Coarse Grain의 주요 수출국 가운데 한 곳인 우크라이나 지역의 긴장이 고조되고 있는데 유조선 등에 비해 건화물선 시황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 일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다만 가능성이 낮지만 곡물 수출이 봉쇄될 경우 우크라 이나로부터 곡물을 수입하던 서유럽 지역 국가들은 수입 선을 북미 지역 등으로 바꿈에 따라 톤・마일이 증가하며 해상 운임은 상승할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예측 되고 있다.

표 4. 주요 국가별 Coarse Grain 수출 추이와 전망

단위: 백만 톤

구 분 2009/10. 2010/11. 2011/12. 2012/13. 2013/14. 전 기간 대비증감률 (%)

세 계 112.3 117.0 124.8 122.4 137.9 12.7

미 국 55.3 52.0 44.7 23.9 37.8 58.2

아르헨티나 14.9 18.5 20.2 24.4 22.3 -8.6

우크라이나 11.7 7.9 16.1 15.1 19.6 29.8

자료: Clarkson, Dry Bulk Trade Outlook, JAN, 2014.

세계 곡물 수급 동향과 전망곡물 해상운임 동향과 전망

그림 4. 주요 국가별 Coarse Grain 수출 추이와 전망

자료: Clarkson, Dry Bulk Trade Outlook, FEB, 2014.

‘Clarkson’ 자료 기준 금년 대두(Soybean) 물동량은 전년 대비 6.8% 증가한 110 백만 톤으로 예상되고 이는 전월 전망치와 동일한 수준으로 파나막스 선형에 의해 운송되는 옥수수(Corn)와 대두(Soybean)의 물동량 증가폭이 큰 것으로 전망 됨에 따라 동 선형 시황에 도움을 줄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한편 남미 곡물 출하 시즌에 접어들며 동 지역 해상 운임 상승에 대한 기대감 또한 높아지고 있으나 금년 초 태평양 수역에서 상당히 많은 파나막스 선박들이 남미 지역으로 공선항해를 실시함에 따라 운임 상승이 제한되고 있으며 아르헨티 나와 브라질에 위치한 주요 곡물 선적항들의 체선은 심화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 고 있다.

▮ 세계 곡물 물동량 추이와 전망 (분기별)

표 5. 분기별 곡물 물동량 추이와 전망

단위: 백만 톤 구 분 2013년

3분기 2013년 4분기 2014년 1분기 2014년 2분기 2014년 3분기 2014년 4분기

Wheat 38.5 31.9 27.8 30.7 35.5 31.5

Coarse Grain 29.4 37.4 30.9 30.9 30.8 37.7

Soy(bean+Meal) 34.1 36.6 32.5 42.0 36.1 39.2

Total 102.0 105.9 91.2 103.6 102.4 108.4

자료: SSY Dry Bulk Forecaster, FEB, 2014.

그림 5. 분기별 곡물 물동량 추이와 전망

자료: SSY Dry Bulk Forecaster, FEB, 2014.

한편 영국의 다른 해운 시황 분석 기관인 SSY(Simpton Spence & Young)는 2014년 소맥과 Coarse Grain 물동량이 전년 대비 각각 2.6%와 9.1% 증가할 것으 로 전망하고 있으며 분기별로는 금년 1분기에 물동량이 크게 줄어드나 2분기부터 는 물동량 증가 속도가 다시 빨라질 것으로 전망함에 따라 해상 운임 반등에 대한 기대 또한 높은 상황으로 볼 수 있다.

세계 곡물 수급 동향과 전망곡물 해상운임 동향과 전망

▮ 미국 곡물 수출 현황

美 농무부(USDA) 자료에 따르면 지난 2월 주간 평균 미국의 옥수수 수출량은

‘922,184톤’으로 전년 동기 대비 180% 가량 크게 증가하였으며 대두 수출량 또한 전년 같은 기간 대비 54% 증가한 ‘1,432,377톤’을 기록한 것으로 집계되었다. 계 절적으로 미국의 곡물 수출이 줄어드는 시점임에도 불구하고 예년에 비해 많은 양 의 곡물이 수출되며 건화물선 시황을 지지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림 6. 미국 주간 대두・옥수수 수출량 추이

자료: 美 농무성 (USDA)

문서에서 해외곡물시장 동향 (페이지 64-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