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고유성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43-48)

한지에는 동양적 품격과 한민족 고유의 미의식이 잠재되어 있다. 한지가 우리 선조들의 생활과 함께 살아온 과거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우리의 고유한 정서 를 담고 있기 때문에, 우리는 한지에서 소박함과 온화함 등을 느낄 수 있다. 한 지를 이용한 조형작업은 동양적, 한국적 미를 표현할 수 있는 재료 선택에 있어 큰 기여를 하였으며, 단순한 표현 매체 이상의 물질성과 정신성을 동시에 포함 하고 있다.

5.균질성

종이의 균질성을 주며 강도를 증가시킨다. 닥 풀의 사용으로 종이에 빳빳한 기 운을 주고, 종이의 강도를 높이는데 큰 역할을 한다. 또한 닥 풀의 농도는 종이 의 광택에 다소 영향을 끼쳐 그 사용량이 많으면 그 종이의 광택이 훨씬 좋아진 다.

6.침전 방지

한지를 뜰 수 있는 통(지통)속에 물과 한지의 원료를 혼합하여 섞으면 일단은 섬유가 분산하게 되지만, 곧 섬유끼리 응집하고 지통 밑 부분에 가라앉기 때문 에 균일하고 치밀한 종이를 뜨기란 불가능하다. 여기에 적당량의 닥 풀을 섞게 되면 그러한 결점이 제거되며 초지하기 쉽게 된다.53)

7.고유의 품격성

한지의 특성 중에는 동양 고유의 품격성을 바탕으로 한 한민족 고유의 미의식이 있다. 한국 최초의 미학자 겸 미술학자였던 고유섭은 한국의 미를 무기교의 기 교, 무계획의 계획, 비 정체성, 무관심성, 자연에의 순응 등으로 표현하였다.

세부가 치밀하지 않은 곳에서 더 큰 전체로 포용되고 거기서 구수한 맛이 생긴 다고 했듯이 한지는 우리민족의 오랜 역사를 바탕으로 한 고유의 정서에 가장 잘 부합되는 매체일 것이다. 한지를 이용한 조형작업이 확장되는 이유는 한지가

53) 김유진, op.cip., pp.11~12

장점 단점 -잘 찢어지지 않는다

-냄새가 향긋하다 -지질이 부드럽다 -빛깔이 곱고 은은하다 -통풍이 잘 된다

-여러 가지 무늬를 넣어서 제작할 수 있다

-기름을 잘 먹기 때문에 유지 제조가 쉽다

-먹물을 잘 빨아들여 글을 쓰거나 그 림 그리기에 좋다

-가볍기 때문에 운반하고 다루기 쉽다 -옷을 제작하거나 생활용품으로 쓰인다

-물기에 약하다

-오래되면 먼지가 많이 낀다

-방문에 발랐을 경우 통풍이 잘 되어 겨울 방한에는 좋지 않다

-물리적 마찰에 약하다

-물감이 잘 번지므로 염색시 주의해 야한다

단순한 표현매체 이상의 물질성과 동양적 정신성을 동시에 포함하고 있기 때문 이다.54)

<표2> 한지의 장, 단점

제2절. 한지의 종류

한지의 종류는 많지만 크게 생지와 숙지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생지와 숙지 는 가공 여부를 말하는 것으로, 생지는 건조판에서 바로 나온 것을 말하며 숙지 는 생지를 가공한 것이다. 숙지는 대부분 생지에 물에 품어 밟거나 도침하여 만 든 한지를 말한다. 생지는 종이가 질긴 반면 표면이 매우 거칠다. 이것은 섬유 질이 고르지 못하기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이며 또 수분이나 물감과 같은 이물질 을 고르게 흡수하지 못하며 다소 불규칙하다.

숙지는 필요에 따라 품거55)나 염색, 표백하여 도침하는데 이때 일광표백56)을 이용하여 만들어진 종이는 오랜 기간이 경과되어도 변색되거나 부패하지 않으며 표면이 고르고 윤기가 난다.

54) 한효중, 한지의 질료적 특성을 통한 조형적 표현 연구: 작품 제작을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2003, pp.8~9

55) 거품질

56) 말린 다음 다시 적시고 도침하여 다시 말리는 방법을 되풀이하면서 햇볕에 건조시키면 누런 종이가 표백되어 하얗게 됨

전통 한지의 종류는 많지 않고, 그 쓰임새도 다분히 제한되어 있다.

한지의 종류를 세종실목지리지 전라도 궐공조에 나타난 것으로 나누어보면 대체 로 원료, 색채, 광협, 장단, 후박, 외양의 형태, 용도 등에 의하여 이름이 지어 졌다.57)

종이는 서사재료로서의 용도 이외에도 인간의 오랜 역사적 과정 동안 인간의 삶과 긴밀한 관계 속에서 실로 다종다양한 용도로 사용되어 온 생활용품이다.

종이가 보편적인 서사재료는 물론 모든 용도에 사용되었다. 서적은 말할 것도 없고, 창호, 모자, 병풍, 우산, 장판, 혼서용, 장례용, 서화용, 지폐, 저화, 갑 의 등 거의 모든 부문에서 종이가 응용되고 일상용품화 하였다. 한갓된 물질에 지나지 않는 종이가 인간의 삶과 문명의 내면에 깊은 각인을 남길 수 있었던 것 은 무엇보다도 우리민족의 오랜 역사를 바탕으로 한 고유의 정서에 가장 부합되 는 우리의 문화라고 해야 할 것이다.

오늘날에는 종이의 종류를 세분하면 무려 3,000여 종에 달한다고 한다. 이것들 은 기계를 이용한 화학지가 대부분이지만, 이것 또한 일상생활에서 필요성이 점 차 감소하고 있는 현실에서 우리가 부지불식간에 얼마나 종이와 섬세한 관계를 맺고 사는가를 말해 준다고 하겠다.58)

1.원료에 따른 한지 종류

가. 농선지

저피와 펄프를 원료로 제조하여 도침한 것으로‘창호지’라고도 불리우며 저피 섬유의 특유한 광택이 있고 두텁고 강도가 높은 것이 특징이다. 용도는 혼서지, 이북, 만주 등 추운 지방의 문종이, 부채 재료 등으로 많이 사용한다.

나. 태지

저피와 모조지 설을 배합한 원료에 태를 가하여 태의 형태를 살렸거나 기다란 물이끼를 섞어 물이끼의 형태를 살린 종이로써 미려함이 뛰어나며, 표구 제작, 고급편지지 및 봉투, 벽지, 명가지 등으로 사용되었다.

57) 이승철, 전통 한지 제작에 관하여, 동덕여자대학교 예술대학, 석사논문, 2005, pp.60~61 58) 윤미라, 앞op.cip., pp.13~14

다. 장자지

크기가 가로 4자, 세로2.5자의 크기로 제작되고, 다른 한지보다 크고 두껍게 만 들어져 주로 문종이로 사용되었다. 저피지에 실을 삽입해서 만들어진 종이로 질 기며 통기성이 양호해서 창문 종이로도 많이 사용된다.

라. 박엽지

순수 저피지로서 여자의 화장용지로 사용되는데, 화학 처리를 한 것은 엷고 내 수성이 강하여 홍차 여과지 등으로 사용된다.

마. 화선지

전라도 흑석골에서 개발된 것으로 일명 군용지라고도 하며, 저피에 볏짚, 모조 지설, 펄프 등을 첨가해서 만들어진 수록지로서 먹물을 잘 받으며 오래 되어도 변색하지 않는 특징이 있고 종류가 다양하여서 동양화 및 서예지로 사용된다.

바. 공물지

조선시대 공납의 일부로 각 지방에서 상납된 종이,

가로 2자 세로 1자의 크기로 되어 있고, 문종이로 사용된다.

사. 당좌지

가로 1.8자 세로 2.8자의 크기로 제작되어 문종이로 사용된다.

아. 장판지

저피지 또는 유피지를 여러 겹 합지해서 두껍게 하여 들기름을 먹여 건조시킨 것으로서 두껍고 질기며 윤기가 있고 방수성이 좋아 주로 온돌 장판 용지로 사 용된다.

자. 미농지

순수 저피지로서 매미 날개와 같이 얇게 제작된 것으로서 얇고 질긴 점이 특징 이며 주로 깨지기 쉬운 물건의 포장지나 복사용지로 사용된다.

차. 피지

닥 껍질을 함께 넣어 만든 한지. 질이 낮다.

도배시 초배지로 사용된다.

타. 마포지

대마 섬유를 원료로 해서 만든 종이로서 옻을 여과하거나 장판지 밑에 바르는 종이로 사용된다.

2.제작방법에 따른 분류

가.분백지

분을 먹인 흰 종이다.

나. 분주지

전라북도에서 생산되는 두루마리 한지로 종이 표면에 쌀가루를 뿌리고 두들겨 만들었다.

다. 사록지

종이를 뜰 때 발의 눈을 없애기 위해 비단을 씌워 뜬 종이다. 일명 미사라시지 라고 한다.

라. 포목지

종이를 뜰 때 발의 눈을 없애기 위해 포를 씌워 뜬 종이다.

3.종이의 크기 및 두께에 따른 한지의 분류

가. 대호지

한지(韓紙)의 하나, 넓고 길며 약간 거친 종이다, 넓고 길며 품질이 조금 낮다.

나. 소호지

조선 시대 종이의 한 종류, 대호지보다 약간 작고 품질 또한 떨어진다. 길이는 2척2촌 2분, 넓이는 1척 6촌 5분임.

다. 사괴지

본이 크고 두꺼운 백지다. 보통의 것보다 좀 크고 두껍다.

라. 선익지

잠자리 날개처럼 매우 얇은 종이다.59)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43-48)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