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미술은 생활 속 체험을 반영하며 인간의 삶과 밀접한 관련을 가지고 있다. 예 를 들어 넥타이를 매거나 머리 손질하는 일, 주변환경을 가꾸는 일 그리고 자연 의 미나 조형미를 감상하는 등 일상생활의 다양한 모습이 모두 미술활동의 영 역에 속한다.

미술교육은 다양한 조형활동을 통해 주변세계의 아름다움을 느끼며 정서를 순화하고 상상력, 창의적인 사고력을 길러주고 아울러 미술문화를 이해하며 계 승, 발전시킬 수 있는 능력을 갖춘 전인적인 인간을 육성하는 데 목적이 있다.

따라서 미적 정서와 창의성을 신장시키기 위해서는 학습자 스스로 미술 수업 의 주체가 되어 미적인 체험을 하고, 다양한 미술활동을 통해 개성을 표현하고 감정을 순화시킨다. 우리는 자연물과 인공물 속에서 아름다움을 느끼고 감동을 받으며 생활 속에서 미적 체험으로 보다 풍요로운 삶을 누릴 수 있다. 생활이 풍족해짐에 따라 미술을 즐기고 향유할 수 있도록 미의 개념을 넓혀 미술을 보 편화시키고 생활 속에서 미적 안목육성하고 미술을 이해, 발견하여 미술을 생활 화하고자 하는 의식이 보편화되었다.

생활 속에서 이를 찾아 감상하고 활용하기 위한 미술교육중 공예염색은 학생 들을 미적인 삶을 향유하고 느끼며 가꿀 수 있도록 이끌어 줄 것이다. 또한 공 예염색도 학습자가 창의적이고 틀에 박히지 않은 우연적인 염색작업과 다양한 표현영역의 확대를 통하여 미술수업에 적극 참여하며 사고할 수 있도록 하고 초등미술교육과도 연계를 이룰 것이다.

공예염색은 생활미술로서 접근가능하고, 실용성과 미를 접목시켜 창조적 표현 이 가능한 학습이다. 공예염색을 통한 미적 체험은 학습자에게 미적인 삶을 향 유하도록 이끌어 주어 수업에 적극 참여하도록 할 것이다.

앞으로의 중등미술수업은 생활과의 관련 속에서 학습자의 관심과 흥미를 높 여 자기주도적 학습활동으로 지도하기 위하여 다양한 학습자료를 계발하여야 한다. 교육현장에서 학습자에게 미적 감수성 및 가치관 확립을 할 수 있는 다양 한 조형활동 중에서 공예염색을 통해 미적 경험을 하며 기능보다는 창의적인 사고능력을 길러주는 교육되어야겠다.

본 연구에서는 중등미술교육에서 공예염색학습의 장점을 일깨워 실생활과 관 련한 미적 체험을 바탕으로 중학교 교육현장에서 공예염색교육의 현황을 분 석·조사하여 문제점을 파악하고 효과적인 공예염색 방향을 제시하는 데 목적

을 두었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예염색학습에 대한 분석결과 교사와 학생들의 관심과 흥미도는 대체 로 높은 편이었다. 공예염색은 생활 속 아름다움을 창조하며 생활 미술인을 길 러주기에 감수성 예민한 중등학습자에게 매우 필요한 미술체험이다.

둘째, 중등교육현장에서 미술수업 시수의 부족, 시설의 미비 등으로 공예염색 수업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그리고 순수미술을 전공한 미술 교사들은 공예 염색시 준비과정과 재료준비의 어려움, 염색기법에 대한 지식부 족 등의 이유로 공예염색지도를 회피하는 경향이 있기에 공예염색기법을 교육 현장여건을 고려한 공예염색학습지도안을 제시하였다. 그러나 좀더 효율적인 공 예염색실습을 위해 교육환경 개선과 염색수업 시수의 확보 및 일선교사들의 연 구개발이 이루어져야겠다.

셋째, 미적 체험을 통한 공예염색영역을 생활미술로써의 방향을 체계적으로 정립하여 미술 소비자를 기르는 교육이 되어야 한다.

넷째, 다양하고 창의적인 공예염색기법의 활용방안을 모색하여 미술과의 연계 를 이루어야겠다.

참고 문헌

단행본

김삼랑, 미술교육개론, 서울 : 미진사, 1992 김정, 세계의 미술교육, 서울 : 예경, 1995 서재행, 공예염색기법, 서울, 미진사, 1994 송번수, 염색의 실제, 서울, 미진사, 1991 이규선 외 2명, 미술교육학개론, 교육과학사, 1994 한국교육개발원, 교육용지도서 중학교 서울, 교육부, 1997 김준호, 공예염색입문, 서울, 조형사, 1995 김정희, 미술교육입문, 서울, 형설출판사, 1998

신상재, 공예염색의 길잡이, 서울: 중앙대학교 출판부, 2000 김경환, 염색학,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1990 백태호, 염색의 미, 서울: 학문사 , 1997

신영선, 염색의 기초-공예염색과 천연염료 서울: 학문사, 1991

연구 및 학위논문

임정기,이성도. "중등미술과 교육학 -교과교육 공동연구결과보고서"

한국교원대학교 연구논문, 1996년 박미현. “초등학교 미술과 미적 체험영역에서 자연미 지도방안”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00 박종호. “중학교 미술수업에서의 일상용품을 활용한 표현”

인하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2000 서울교육대학교 미술교육연구회. “국민학교 미술수업지도 방안에 대한 연구”

사향미술교육논총 제2집, 1993 김명옥. “중학교 미술교육에서 공예지도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1994 유민아. “도자공예 학습지도 방안 연구” 국민대학교 석사학위 논문.2000 인터넷

http://www01.inticity.com/colorsilk/ . www.parkjungwoo.com http://edu.co.kr/parktage/

http://www.art2me.org/

A study on dyeing for art education of Secondary students.

Historically world Art education had been spread by three flows greatly.

First flow is function-centric education to foster artist, and Second flow is originality-centric education that is education through art, and Third flow is Art comprehension-centric education of doing to utilize art directly in society by emphasizing comprehensions about art and fostering one who has an eye for Art.

Art expresses things (feeling, emotion, intelligence, sense etc.) of human's inside visually, spacialy and formatively, and should be comprehended and appreciated. and Art education expresses human's inside visually, spacialy and formatively to help human's possibility be extended by maximum and it helps us comprehend and appreciate that.

Profitable essence in personal development of learner about 'aesthetic experiance' which is related to comprehending and expressing of aesthetic sense and value can be summarized by the meaning of creativity, affectivity and formative sense.

Affectivity means sentimental propensity that react to aesthetic subject as aesthetic emotion which reacts to beautiful thing.

Creativity means only own free and new originality.

Formative sense accommodates own ideas to physical condition and is to do form.

In the curriculum of Middle-school art education, We should appreciate work of art and nature and understand visual elements and the relation of those, and finding art within life and applying art, We must focus on the education that foster art consumer who improve surrounding.

Therefore, Art consumer can do art life, making up own surrounding environment beautifully, cultivating behavior which can enjoy finding aesthetic subject within life.

Accordingly, in order to have an aesthetic eye and develop it and accomplish art education to find and apply art within life, We can have a positive attitude toward improving environment aestheticaly and applying art

to his or her life by doing Industrial art education among many art education.

Do so that industrial arts educations of several area of art education may can find and applies art within life as box and have attitude which improve surrounding esthetically.

Industrial arts dyeing can experience union of practicality and beauty and must be able to raise creative mind and Eungyongryeok and color sensation to learner handling fiber that is life and close site. and it does to become subject of class to learner who degree are low truth in art class and display each character because realistic delineation or expression function is insufficient.

But, it is real condition been managing indifferently for reason of insufficiency of equipment and peculiarity of material, teachers' comprehension tribe and so on to study in middle school education spot.

See that it is important that select industrial arts dyeing technique to do practical use possibility in middle school education spot than ignore industrial arts dyeing to problem on item only these learning environment and offer an opportunity of Mijeok experience.

Put Chotjeom that grope education system and method of industrial arts dyeing area in this research and ready efficient and actual industrial arts dyeing class guidance plan in school spot.

부록 1

< 설문지 -교사용>

1. 현재 일주일에 배정된 미술수업시간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① 많다. ② 적당하다 ③ 부족하다 2. 자신의 성별은?

① 남 ② 여 3. 근무하고 계신 학교는?

① 사립 ② 공립 4. 교사가 전공한 분야는?

① 회화 ② 조소 ③ 디자인 ④ 공예 5. 공예염색지도에 대한 교사의 견해는?

① 매우 중요 ② 그저그렇다 ③ 한두번 경험해 보는 것도 좋다.

④ 필요없다.

6. 공예염색수업과정 중 어려운 점은?

① 동이유발 ② 표현기법 ③ 감상 ④ 뒷정리 7. 공예염색 중 어떤 기법을 주로 배웠는가?

① 홀치기염 ② 파라핀염 ③ 크래용염 ④ 풀염 8. 공예염색교육을 하신 경험은?

① 있다. ② 없다.

9. 실제 공예염색수업의 문제점은?

( )

10. 공예염색 중 수업해 보았던 기법은?

( )

11. 제7차 교육과정에서 좀 더 보완을 요하는 영역은?

① 미적체험 ② 표 현 ③ 감상 12. 미술교과서 활용도는?

① 미술교과서만 ② 미술교과서와 교사의 지도계획 병행

③ 교사의 지도 계획서 위주로

부록 2

<설문지-학생용>

1. 현재 미술수업의 시간배정은?

① 많다 ②적당하다 ③ 부족하다

2. 자신의 성별은?

① 남 ② 여

3. 본교에는 미술실이 있는가?

① 있다 ② 있지만 비품보관이나 수업준비실 정도의 시설이다

③ 없다

4. 초등학교때 미술수업에 대한 흥미도는?

① 높다 ② 그저그렇다 ③ 낮다

5. 중학생이 된 후 미술수업에 대한 흥미도는?

① 높다 ② 그저그렇다 ③ 낮다 6. 공예염색학습에 대한 관심도는?

① 대단히 높다 ② 높은 편이다 ③ 보통이다 ④ 관심없다 7. 공예염색에서는 어느 영역이 흥미로운가?

① 염색공예 ② 금속공예 ③ 도자공예 ④ 목공예 8. 공예염색수업이 어려운 이유는?

① 시설의 미비 ② 수업시간의 부족 ③ 재료용구의 부족 9.평소 생활 속에서 공예염색에 대한 관심이 있었는가?

① 있다 ② 없다

10. 만일 공예수업이 흥미롭다면 그 이유는?

① 자유로운 사고표현 ② 실기가 흥미롭기 때문

③ 실생활에 활용할 수 있기 때문

④ 자유로운 사고표현

⑤ 기타( )

11. 공예염색 중 어떤 기법을 주로 배웠는가?

① 홀치기염 ② 파라핀염 ③ 기타 ( )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