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앞서 밝힌 바와 같이 각 격률의 위반이 어떤 함축으로 실현 되는지 그 양상을 분석하고 그 실현양상을 문화 간 비교하는 것이다. 동일 문화 권에 속하는 모국어 화자들 사이에는 어떤 암묵적 합의가 존재하며 그에 따라 일정한 패턴이 작용한다는 것은 화행에 있어서 문화 간 비교를 행한 다수의 연 구 결과나 문화 간 접촉 시 발생하는 의사소통의 문제를 언급한 연구들36)에서 잘 드러나고 있으며 본 논문에서도 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의사소통 시 해당 상황 맥락에서 청자는 화자의 발화를 통해 화자의 의도, 다 시 말해 표현된 의미를 어떻게 함축적 의미로 이해할 수 있는지를 설명해 주는 대화 함축 이론의 대전제는 Grice(1975)의 협력 원칙이다. 협력 원칙은 대화의 매 단계마다 그 대화의 목적이나 방향에 부합하도록 필요한 만큼 대화에 기여하 라는 것이며 네 가지 격률로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사람들이 실제 의사소통하는 것을 관찰해 보면 일부러 격률을 어기는 수가 있는데 이때에도 사람들은 대화가 성공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 기본적으로 대화 협력 원칙을 준수한다는 것이며 이때 함축이 발생한다.

동일한 상황에서 의사소통하는 방식이 국가, 문화마다 다르게 나타날 수 있기 때문에 문화권에 따라 화행이 어떻게 다른 지에 대해 연구하는 것은 의미가 있 는 작업이다. 이러한 화행의 문화 간 비교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영화를 분석 재 료로 사용하였다. 함축이 인간의 자유롭고 독창적인 언어 사용이면서, 청화자간 의 의사소통을 가능하게 하는 메커니즘이기 때문에 본질적으로 창의적이면서도 우리의 일상과도 가깝고 언어사용이 비교적 잘 드러나는 영화의 대사들을 대상 으로 하였다. 미국, 한국, 스페인 세 국가의 함축의 유형을 비교 분석하여 각 문 화 공동체의 언어 사용 유형의 차이점과 공통점을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조사 분석의 범위는 자유롭고 독창적인 언어 사용으로 일어나는 함

36) Blum-Kulka 외(1989)가 미국 영어, 영국 영어, 호주 영어, 캐나다 프랑스어, 독일어, 덴마크어, 러시아 어, 이스라엘어 등 모두 여덟 개 언어의 요청과 사과 화행을 비교 문화적 관점에서 연구한 ‘문화 간 화행 실현 비교 연구(cross-cultural speech act realization project)가 대표적이다.

축으로 한정하기 위해 맥락에 따라 비 고정적인 대화함축에 한정하였다. 또한 실

중 과장이었으나 미국영화에서보다는 조금 낮게 실현되었다.〈태도의 격률〉중

타났는데 우선, 세 국가 모두 어느 정도 빈도 이상으로 함축을 사용하였다는 점 을 지적할 수 있다. 즉, 격률 위반을 통한 함축은 특이한 현상이 아니라 보편적 인 대화의 하나의 방식임을 알 수 있었다. Grice의 대화 협력의 원리(CP)와 격 률 준수가 의사소통의 최대 경제성과 최대 효율성을 가정하고 있는 것이지만, 오 히려 격률위반, 즉 격률 활용으로 발생하는 함축이 국가 별로 약간씩의 차이는 있지만 일상적이고 이런 격률의 활용이 의사소통의 효율성과 다양성을 증진한다 는 점을 관찰 할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 격률위반으로 인한 함축의 빈도수에 있어서 미국(19.76%), 한국(19.54%), 스페인(22.40%)이 거의 비슷한 분포를 나 타내었다. 두 번째로는 문화별로 격률의 우선순위가 다르게 적용될 수 있는 경우 가 있는데 그 예로 각 국가의 공손성의 문화가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세 번째 로는〈태도의 격률〉이 세 나라 영화에서 거의 비슷하게 위반 된다는 점이다. 그 위반 빈도수에 있어서 미국(19.76%), 한국(19.54%), 스페인(22.40%)의 분포를 보였다. 상위 격률인〈태도의 격률〉은 모호하게 말하지 말고 명확하고 간결할 것을 요구하는 것인데 전달되는 내용에 대한 화자 자신의 확신이 없을 때에 일 어나는 것이어서 어떤 의도를 가지고 발화 한다 라기 보다 인간 무의식에 작용 하는 본성적인 것으로 본 연구 결과의 수치를 통해 이 부분에서 인간 심리적 보 편성을 찾아 볼 수 있다고 하겠다.

본 연구에서는 이론적인 주장을 실제 언어 자료에 적용하여 분석을 시도하였 다. 각 격률의 위반 양상과 함축의 양상을 각 문화를 담고 있는 영화 분석을 통 해 차이 및 보편성을 찾아봄으로써 점점 더 세계화되어 가고 있는 상황에서 언 어 이외의 요소에 대한 이해를 더 깊이하려는 연구를 시도를 하였다. 지금까지 각 국가 별로 자체 내의 격률위반 분석과 한국과 미국의 격률위반 분석, 또는 같 은 영어권인 미국과 영국의 격률위반 비교 등의 연구는 이루어져 왔으나, 본 연 구에는 미국, 한국, 스페인 세 국가의 격률위반 양상을 연구함으로서 새로운 시 도를 하였고 앞으로 대화함축에 대한 다양한 문화 간 언어 연구가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참고문헌

강미경. (2001). 함축의미이론의 비교연구, G-이론과 SW-이론을 중심으로, 호 서대학교 박사학위논문.

강창우. (2017). 공손성 규범의 의도적인 위반에 대한 상호문화적 고찰,

독일어문화 권연구,

26: 315-337.

강형석 외. (2014).

사회언어학: 언어와 사회, 그리고 문화,

글로벌콘텐츠.

김경애. (2012).

영어화용론

, 서울: 종합출판Eng.

김영실. (1996). 언어적 공손 현상의 화용론적 연구, 인하대학교 대학원 박사학 위 논문.

김하수. (2008).

문제로서의 언어1: 사회와 언어,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김현섭. (1999). 영어의 공손표현 연구, 청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김희숙. (1995). 현대국어의 공손표현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박성일. (2015). 한국어와 중국 제어의 경어법 문법화 정도에 대한 비교 연구,

국어교육연구

, 36: 51-81

서정수. (1984).

존대법의 연구-현행 대우법의 체계와 문제점 1

, 서울: 한신문화사.

신효필. (2005). 언어자료의 통계분석과 관련된 몇 가지 고려사항들.

어학연구

양용준. (2003). 간접화행과 대화함축의 비교 분석.

영어영문학,

9: 63-83.

______. (2009). 정중성의 의미와 쓰임에 관한 연구.

영어영문학연구,

35. 3: 183-204.

윤이령. (2004). 한국어와 스페인어 화행 대조 분석, 서울대학교 대학원 서어서 문학과 석사학위논문.

윤평현. (2008).

국어의미론

, 서울: 역락.

이민행. (2000).

광고카피와 대화함축-센스, 카피 그리고 거짓말.

독일언어문학 이성범. (1999).

언어와 의미

, 서울: 태학사.

______. (2012).

화용론 연구의 거시적 관점

, 서울: 소통.

______. (2015).

언어의 무례함에 대한 실험 화용적 연구

. 서울: 서강대학교 출판 이지원. (2005). 특정 대화함축의 분석, 부산대학교.

이혜승. (2008). 문화적 함축으로 야기되는 번역문제 고찰,

국제회의 통역과 번

Examples from Bashar Al-Assad's Interview udring the Arab Spring,

IOSR Journal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23. 5: 43-47.

Austin, J. L. (1962).

How to do things with words

, Oxford: Clarendon Press.

Blome-Tilmann, M. (2013). Conversational implicatures and how to spot them, Philosophy compass, 8. 2: 170-185.

Blum-Kulka, S., House, J., & Kasper, G. (1989).

Cross-cultural pragmatics: Requests and apologies.

Norwood, NJ: Ablex.

Brown, P., & Levinson, S. C. (1978). Universals of language usage:

Politeness phenomena. In E. Gooday (Ed.),

Questions and politeness

.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rnap, R. (1938). Foundations of logic and mathematics, In O. Neurath, R. Carnap & C. W. Morris (Eds.),

International Encyclopedia of Unified Science,

1: 139-214.

_________. (1942).

Introduction to Semantics,

Cambridge: Harvard University Press.

Chomksky. N. (1965).

Aspects of the Theory of Syntax.

The MIT Press Dobrzynka, T. (1995). Translating metaphor: Problems of meaning,

Journal

of pragmatics,

24: 594-604

Fasold, R. (1990).

The Sociolinguistics of language

. Oxford: Blackwell.

Gazdar, G. (1979).

Pragmatics: Implicature, presupposition and logical Form.

New York: Academic Press.

Goffman, E. (1967).

Interaction ritual: Essays on face-to-face behavior.

New York: Anchor Books.

Grice, H. P. (1975). Logic and conversation, In P. Cole & J. Morgan (Eds.),

Syntax and semantics

. New York: Academic Press.

_____________. (1975). Utterer's meaning, sentence-meaning, and word-meaning. In S. Davis (Ed.),

Pragmatics

. Oxford: Oxford

Gumperz, J. (1982).

Discourse strategies

. London. Edward Arnold.

Herbert, R. K. (1989). The ethnography of English compliments and compliment responses: a contrastive sketch. In W. Olesky (Ed.)

Contrastive pragmatics

. Amsterdam: Benjamins.

Holmes, J. (1988). Paying compliments: A sex-preferential politeness strategy.

Journal of Pragmatics.

12: 445-508.

Horn, L. R. (1984). Toward a new taxonomy for pragmatic inference:

Q-based and R-based implicature. In D. Schiffrin (Ed.),

Georgetown Round Table on Languages and Linguistics

. Washington, DC: Georgetown University Press.

Huang, Y. (2007).

Pragmatics

.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Hudson, T., Detmer, E., & Brown, J. D. (1992).

A Framework for Testing Cross-cultural Pragmatics

, USA: Natl Foreign Lg Resource.

Ide, S. (1989). Formal forms and discernment: Two neglected aspects of universals of linguistic politeness.

Multilingua

, 8: 223-248.

Karin A. & Christoph R. (2015).

Corpus Pragmatics.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Karttunen L. and & Peters. S. (1979). Conversational implicature. In Oh,

C. -K and Dineen, A. D. (Eds.)

Syntax and semantics

11:

Kreidler, C. (1998).

Introducing English Semantics.

London: Routledge.

Kussmaul, P. (1995).

Training the Translator

, Amsterdam/Philadelphia:

John Benjamins.

Leech, G. N. (1983).

Principles of pragmatics

, London and New York:

Longman.

Levinson, S. C. (1983).

Pragmatics.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Lippi-Green, R. (2012).

English with an Accent

. London and New York:

Routledge.

Lorenzo-Dus, N. (2001). Compliment responses among British and Spanish university students: A contrastive study.

Journal of Pragmatics,

33. 1: 107-127.

Manning, C. D, and Schütze H. (1999). Foundations of Statistical Natural Language Processing. Cambridge: MIT Press.

Mao, L. R. (1994). Beyond politeness theory: 'Face' revisited and renewed.

Journal of Pragmatics,

21. 5: 451-486.

Matsumoto, Y. (1988). Reexamination of the universality of face: Politeness Phenomena in Japanese.

Journal of Pragmatics,

12. 4: 403-426.

_______________. (1989). Politeness and conversational universals:

Observations from Japanese.

Multilingua,.

8: 207-221.

_______________. (1995). The Conversational Condition on Horn Scales.

Linguistics and Philosophy.

18: 21-60.

Mey, J. L. (1993).

Pragmatics

. Oxford: Blackwell.

__________. (1997).

Pragmatics: An introduction.

Cambridge, Mass: Blackwell.

pragmatics

, New York: Academic Press.

Parker F. & Riley K. (2010). Linguistics for non-linguists : a primer with exercises, Boston, Mass. : Allyn & Bacon.

Pomerantz, A. (1978). Compliment responses: Notes on the cooperation multiple constraints. In J. Schenkein (Ed.)

Studies in the organization of conversational interaction

. New York: Academic Press.

Ricoeur, P. (1976).

Interpretation Theory: Discourse and the Surplus of Meaning,

Texas: Texas Christian University.

Sacks H., Schegolff, E.A., & Jafferson, G. (1974). A Simplest Systematics for the Organization of Turn-taking for Conversation,

Language

, 50: 696-735.

Searle, J. (1969). Speech Acts,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_________. (1980). Speech Act Theory and Pragmatics. Dordrecht: Redel.

Sperber, D. & Wilson, D. (1986). Pragmatics and modularity. In S. Davis,

Pragmatics

.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_________________________. (1995).

Relevance: Communication & cognition.

Oxford: Blackwell.

Thomas, J. (1995).

Meaning in interaction,

New York : Travis, L. (Ed.),

Meaning and interpretation

. Oxford: Basil Balckwell.

___________. (1983). Cross-Cultural Pragmatic Failure.

Applied Linguistics

4. 2: 91-112.

Trosborg, A. (1995).

Interlanguage pragmatics: requests, complaints, and apologies.

Berlin; New York: Mouton-De Gruyter.

Wierzbicka, A. (1985). Different cultures, different languages, and different speech acts: Polish vs. English.

Journal of Pragmatics

, 9. 2: 145-178.

______________. (1991).

Cross-cultural pragmatics

. Mouton de Gruyter.

Wolfson, N. (1989).

Perspectives: Sociolinguistics and TESOL.

Cambridge:

Newbury House/HarperCollins.

Yu, M-C. (2003). On the Universality of Face: Evidence from Chinese Compliment Response Behaviour.

Journal of Pragmatics,

35. 10:

1679-1710.

Abstract

The Comparative Analysis of Particularized Conversational Implicatures

in the Movies of America, Korea and Spain

Kyong-hee Ko

Department of English Language and Literature GRADUATE SCHOOL

JEJU NATIONAL UNIVERSITY

Supervised Prof. Yong-Joon Yang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implicatures among three cultures, America, Korea, and Spain through flouting maxims of conversation developed by Grice (1975). To this end, I tried to analyze and categorize patterns of conversational implicature that are in violation of Gricean four maxims of quality, quanity, relevance and manner, and to examine how each maxim functions as an interpretative framework for different implicatures. I also demonstrated how basic concepts of pragmatics, including irony, metaphor, tautology, hyperbole, indirect speech acts, humor, polite expressions, and ambiguous expressions, can be explained by conversational implicature.

In Chapter 2, I reviewed Grice's theory of implicature and his concepts,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conversational implicature, and provided examples of English, Korean and Spanish sentences to illustrate them. As this study aimed to highlight the characteristics of each maxim and show their individual value as an interpretative framework, I limited the scope of this study to implicatures that violate conversational maxims because those inferred from the hearer's pragmatic competence, not those arising from the constituents of sentences, are only within the area of pragmatics.

The movies from three countries were used to present actual examples of conversational implicature classifying and analyzing its type and frequency and highlighting the importance of conversational implicature in the everyday life of speakers. Twelve movies were selected as the analysis data from three countries which well involved their native speakers' daily conversation, then, turn-takings are counted through all the texts, and the turn-takings including conversational implicature are also counted to reveal the ratio.

common in three countries. The people know the violation of conversational maxims and understand the intention of speakers clearly.

Despite their knowledge about the violation of conversational maxims, the violation occurred in their communication.

It is significant that this study applied the theoretical arguments to the actual language data and tried to analyze the aspects of the maxim violation and the implicature of three countries by analyzing the films which contain each culture. This shows that it is possible to understand more about elements other than language in this globalized world. Until now, there have been several studies of one's own nation's maxim violation analysis, the analysis of the maxim violation of Korea and the US, and the comparative studies of the violations of the U.S. and the U.K. In this alternative study, however, I tried to study various inter-cultural aspects about conversational implicature.

감사의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