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Ⅳ. 연구 결과

6. 가설적 정형화 및 관계 진술

가. 가설적 정형화

가설적 정형화란 관계 유형을 찾아내기 위한 유형분석의 첫 단계로 핵심범주 와 각 범주간의 가설적 관계 유형을 정형화하는 작업이다(김연미, 2003). 기존의 연구에서는 핵심범주와 맥락적 조건 및 중재적 조건에 따라(하정, 2007; 이진숙, 2011), 핵심범주와 중재적 조건에 따라(유은주, 2005; 김영희 2014), 핵심범주와 인과적 조건 및 맥락적 조건에 따라(김경미, 2010), 핵심범주와 맥락적 조건에 따 라(김진숙, 2003; 신수진, 2006) 가설적 관계 정형화 작업을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핵심범주를 중심으로 맥락적 조건을 형성하는 속성과 차원에 따른 상관관계를 정형화하고 이를 원자료와 비교하는 과정을 거쳤다. 핵심범주와 맥락적 조건에 따라 가설적 관계 정형화 작업을 한 이유는 다음과 같다.

먼저 맥락적 조건은 광범위한 구조적 전후관계로서 중심현상에 영향을 미치고 작용/상호작용을 다루고 조절하고 수행하는 특수한 조건들이다(김영희, 2014). 따

범주

14 약함 큼 적음 큼 강함 약함

49 강함 큼 큼 적음 약함 강함

50 강함 큼 적음 적음 약함 강함

51 강함 적음 큼 적음 약함 강함

52 강함 적음 적음 적음 약함 강함

53 약함 큼 큼 적음 약함 강함

54 약함 큼 적음 적음 약함 강함

55 약함 적음 큼 적음 약함 강함

56 약함 적음 적음 적음 약함 강함

57 강함 큼 큼 적음 약함 약함

58 강함 큼 적음 적음 약함 약함

59 강함 적음 큼 적음 약함 약함

60 강함 적음 적음 적음 약함 약함

61 약함 큼 큼 적음 약함 약함

62 약함 큼 적음 적음 약함 약함

63 약함 적음 큼 적음 약함 약함

64 약함 적음 적음 적음 약함 약함

나. 가설적 관계 진술(relational statement)

본 연구의 가설적 관계 진술은 맥락적 조건과 핵심범주의 속성 사이에 상정할 수 있는 가설적 관계를 원자료와 지속적으로 대조하여 진술한 것이다. 총 64개의 가설적 관계진술문 중에서 연구참여자들의 근거자료를 비교한 결과 원자료에 나 타난 현상을 설명하는 가설진술문 8개를 도출하였다. 이에 대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상담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강하고 학교시스템과 상담의 부조화가 크며 상 담에 대한 자신감 부족이 클 경우의 ‘변화와 성장에 대한 목마름으로 희망을 갖 고 투신하기’는 학생상담사로서 일하는 의미 발견이 크고 변화의지가 강하며 미 래낙관성이 강한 경우 학교 현장에서 신뢰받는 체험으로 이어질 것이다.

2) 상담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강하고 학교시스템과 상담의 부조화가 크며 상 담에 대한 자신감 부족이 적을 경우의 ‘변화와 성장에 대한 목마름으로 희망을 갖고 투신하기’는 학생상담사로서 일하는 의미 발견이 크고 변화의지가 강하며

미래낙관성이 강한 경우 학교 현장에서 신뢰받는 체험으로 이어질 것이다.

3) 상담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약하고 학교시스템과 상담의 부조화가 크며 상 담에 대한 자신감 부족이 클 경우의 ‘변화와 성장에 대한 목마름으로 희망을 갖 고 투신하기’는 학생상담사로서 일하는 의미발견이 크고 변화의지가 강하며 미래 낙관성이 강한 경우 학교 현장에서 신뢰받는 체험으로 이어질 것이다.

4) 상담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약하고 학교시스템과 상담의 부조화가 크며 상 담에 대한 자신감 부족이 적을 경우의 ‘변화와 성장에 대한 목마름으로 희망을 갖고 투신하기’는 학생상담사로서 일하는 의미 발견이 크고 변화의지가 강하며 미래낙관성이 강한 경우 학교 현장에서 신뢰받는 체험으로 이어질 것이다.

5) 상담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강하고 학교시스템과 상담의 부조화가 크며 상 담에 대한 자신감 부족이 클 경우의 ‘변화와 성장에 대한 목마름으로 희망을 갖 고 투신하기’는 학생상담사로서 일하는 의미 발견이 크고 변화의지가 약하며 미 래낙관성이 강할 경우 현실 만족으로 이어질 것이다.

6) 상담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강하고 학교시스템과 상담의 부조화가 크며 상 담에 대한 자신감 부족이 적을 경우의 ‘변화와 성장에 대한 목마름으로 희망을 갖고 투신하기’는 학생상담사로서 일하는 의미 발견이 크고 변화의지가 약하며 미래낙관성이 강할 경우 현실 만족으로 이어질 것이다.

7) 상담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약하고 학교시스템과 상담의 부조화가 적으며 상담에 대한 자신감 부족이 클 경우의 ‘변화와 성장에 대한 목마름으로 희망을 갖고 투신하기’는 학생상담사로서 일하는 의미 발견이 크고 변화의지가 약하며 미래낙관성이 강할 경우 현실 만족으로 이어질 것이다.

8) 상담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약하고 학교시스템과 상담의 부조화가 적으며 상담에 대한 자신감 부족이 적을 경우의 ‘변화와 성장에 대한 목마름으로 희망을 갖고 투신하기’는 학생상담사로서 일하는 의미발견이 크고 변화의지가 약하며 미 래낙관성이 강할 경우 현실 만족으로 이어질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