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앞 절에서 서술한 평가의 차원과 척도를 바탕으로 각 대상자에 대 한 조사표를 작성하였다. 구체적인 조사항목을 다음과 같다.

가. 受給者

1) 一般事項 ① 성별 ② 연령 ③ 학력수준 ④ 건강상태 ⑤ 직업 등 2) 統合性

① 당면문제 및 욕구

② 현재 받고 있는 서비스 내용(생활보호서비스, 사회복지서비스, 보건의료 서비스 등)

③ 서비스를 받게된 경위 ④ 더 필요한 서비스

⑤ 서비스 이용별 주된 이용기관 3) 效果性

① 다른 서비스에 대한 인지 여부

② 문제해결 정도 및 욕구 충족 정도에 대한 만족도 4) 接近性

① 이용기관 방문 횟수

② 방문 수단, 소요 시간, 소요 비용 ③ 방문상 어려움

④ 기관내 시설 이용의 편의성 5) 專門性

① 상담을 받은 경험 및 내용, 만족도

② 타 전문기관으로 의뢰되어 서비스를 받은 경험

나. 社會福祉專門要員

1) 一般事項 ① 성별 ② 연령

③ 전문요원 경력

④ 사회복지사 자격증 소유유무 등 2) 서비스의 統合性과 관련된 사항 ① 분야별 담당업무 내용

- 공적부조업무

- 일반사회업무(장애인, 가출 부랑인 등)

- 가정복지업무(아동, 청소년, 노인, 모자가정 등) - 기타 업무(일반행정, 보건 위생, 통업무 등) - 후원 및 결연 사업

② 분야별 담당업무 비중(100% 기준)

③ 복지관련기관과의 연계성(기관유형 및 해당되는 의뢰 건수) ④ 조직내 타인력과의 연계

⑤ 관련 행정기관(상급 및 하급)과의 협조 정도 3) 서비스의 效果性과 관련된 사항 ① 1인당 담당가구수

② 담당업무에 대한 만족도

③ 단위 사업별 서비스 목적달성정도 및 장애요인 ④ 생활보호대상자 중 자활로 인해 탈락한 가구의 수 ⑤ 서비스 및 보호의 적절성

⑥ 현재의 업무환경이 업무수행에 주는 긍정적 영향 ⑦ 현재의 업무환경이 업무수행에 주는 부정적 영향 4) 서비스의 接近性과 관련된 사항

① 가정방문 여부 ② 가정방문 이유

③ 가정방문시 이용 교통수단

④ 가정방문횟수, 1회 가정방문시 왕복 소요시간 ⑤ 관련서비스에 대한 정보제공 방법

⑥ 서비스 대상자에 대한 정보파악의 경로 5) 서비스의 專門性과 관련된 사항

① 현근무지에서 상급자로 부터 받은 지도감독의 내용

② 동료전문요원들과의 정기적 모임유무 및 모임성격 ③ 사후지도 여부

④ 상담일지기록 여부

⑤ 상담일지 기록하지 않는다면 그 이유 ⑥ 상담일지 작성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 ⑦ 상담장소 및 상담횟수(월평균)

⑧ 생활보호대상자외 일반주민으로부터 요청받은 서비스(내용, 빈도) ⑨ 일반 지역주민으로부터 요청받은 서비스의 해결방법

⑩ 생활보호대상자의 상황파악의 충분성 정도 ⑪ 전문적 기술과 능력발휘에 대한 인식 ⑫ 독자적 프로그램 개발 유무 및 내용 6) 서비스의 適合性과 관련된 사항 ① 담당가구가 가지고 있는 문제의 유형

② 문제의 유형과 제공되고 있는 서비스와 일치도 ③ 문제해결 정도

④ 규정된 업무분담과 현실적 업무수행과의 일치도 7) 保健福祉事務所에 대한 見解

① 보건복지사무소 인지여부

② 보건복지사무소에 대한 태도(찬, 반) ③ 찬성 혹은 반대의 이유

④ 보건복지사무소 설치시 예상되는 문제점

⑤ 보건복지사무소 설치시 개발할 수 있는프로그램 ⑥ 보건복지사무소 설치시 내부 조직체계에 대한 의견 ⑦ 보건복지사무소 설치시 1인당 적정 담당가구수

다. 訪問保健要員

1) 一般事項 ① 성별 ② 연령

③ 방문간호 경력

④ 간호사 자격증 소유유무 및 자격증 종류 등

2) 서비스의 統合性과 관련된 사항 ① 분야별 담당업무 내용

- 가족계획업무 - 모자보건업무 - 보건교육업무

- 지역사회 건강진단업무 - 가정방문 건강상담업무 - 결핵관리 업무

- 방역사업 - 일반행정업무

- 애로사항 연계처리업무 등 ② 분야별 담당업무 비중(100% 기준)

③ 복지관련기관과의 연계성(기관유형 및 해당되는 의뢰건수) ④ 관련 행정기관과의 협조정도

3) 서비스의 效果性과 관련된 사항 ① 담당업무에 대한 만족도

② 단위 사업별 서비스 목적달성 정도 및 장애요인 ③ 서비스 및 보호의 적절성

④ 현재의 업무환경이 업무수행에 주는 긍정적 영향 ⑤ 현재의 업무환경이 업무수행에 주는 부정적 영향

4) 서비스의 接近性과 관련된 사항 ① 가정방문 여부

② 가정방문 이유

③ 가정방문시 이용 교통수단

④ 가정방문횟수, 1회 가정방문시 왕복 소요시간 ⑤ 관련서비스에 대한 정보제공 방법

⑥ 서비스 대상자에 대한 정보파악의 경로

5) 서비스의 專門性과 관련된 사항 ① 사후지도 여부

② 상담장소 및 상담횟수(월평균)

③ 생활보호대상자외 일반 지역주민으로부터 요청받은 서비스(내용, 빈도) ④ 일반 지역주민으로부터 요청받은 서비스의 해결방법

⑤ 생활보호대상자의 상황파악의 충분성 정도 ⑥ 전문적 기술과 능력발휘에 대한 인식

6) 서비스의 適合性과 관련된 사항 ① 담당가구가 가지고 있는 문제의 유형

② 문제의 유형과 제공되고 있는 서비스와 일치도 ③ 문제해결 정도

7) 保健福祉事務所에 대한 見解 ① 보건복지사무소 인지여부

② 보건복지사무소에 대한 태도(찬, 반)

③ 찬성 혹은 반대의 이유

④ 보건복지사무소 설치시 예상되는 문제점

⑤ 보건복지사무소 설치시 현 서비스업무 외에 개발할 수 있는 프 로그램

⑥ 보건복지사무소 설치시 내부 조직체계에 대한 의견

라. 關係者

1) 一般事項 ① 성별 ② 연령 ③ 직급

④ 근무경력등

2) 保健福祉事務所에 대한 見解 ① 보건복지사무소 인지여부

② 보건복지사무소에 대한 태도(찬, 반) ③ 찬성 혹은 반대의 이유

④ 보건복지사무소 설치시 예상되는 문제점

⑤ 보건복지사무소 설치시 내부 조직체계에 대한 의견

第 3 節 事前調査 結果分析

본 보고서의 주요 목적은 조사결과를 정확하게 제시함으로 보건복 지사무소 시범사업 실시에 따른 中間評價와 最終評價를 위한 基礎資 料를 제공하는데 있다. 조사결과 각 시범지역에서 회수된 유효 조사표 는 수급자 조사표 279개, 전문요원 조사표 137개, 방문간호 조사표 83 개, 관계자 조사표 89개였다. 문항분석에 있어서 관련성이 없는 ‘비해 당’과 ‘무응답’의 경우는 분석대상에서 제외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였 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