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2. 發芽期와 滿開期

2.2. 發芽期 관련 要因分析 結果

1월 상순부터 4월 상순까지 순별 평균기온을 이용하여 각 순별 또는 월별 평균기온과 발아일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발아기와 가장 상관이 높은 시기는 2월 하순으로 상관계수는 -0.816이였으며 다음은 2월 상순, 3월 중순 순이었다(Table 6). Table 6에는 나타나 있지 않지만 2월 1일부터 4월 10일까 지 10일 간격으로 조합하여 구한 20일 또는 30일 평균기온과 발아기와의 상관 은 모두 2월 하순 기온과의 상관보다 낮았다.

Table 6.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the date of sprouting and 10-day or monthly weather conditions in 'Okitsu Wase' satsuma mandarin in Jeju island.

Month

10-day mean air temp. Monthly

Early Middle Late Air temp. Prec. Sunshine January -0.094 -0.118 -0.171 - -0.1244 0.078 February -0.740** -0.168 -0.816** -0.664** -0.279* 0.107

March -0.627** -0.731** 0.025 -0.594** 0.415** -0.524**

*Significant at 5% level, **Significant at 1% level.

Variables with correlation coefficient underlined were selected as predictors in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ith P-to-enter=0.15 (R2=0.7388).

發芽期에는 溫度뿐 아니라 2, 3월의 降水量과 3월의 日照時數도 관련이 있는 것 으로 나타났는데 2월은 강수량이 많아야 발아가 빠르고 3월은 강수량이 적어야 빠 르며 일조시수는 반대로 2월은 많으면 발아가 늦어지고 3월은 많을수록 빨랐다.

이것은 2월의 강수는 뿌리의 活動再開에 도움을 주지만 3월의 강수는 일조부족과 온도저하를 초래하여 발아를 지연시키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기상요인 외에 전년도 葉果比도 발아기와 逆相關을 보였지만 5%에서 유의성이 인정되지는 않았다.

Date estimated

Date observed

April 1 April 10 April 20 April 30 Y = 32.9-2.055X1-0.085X2+0.031X3 (R2 = 0.739)

Y : Date of sprouting(April)

X1 : 10-day mean air temp(℃) in late Feb.

X2 : Monthly sunshine hours in March X3 : Monthly sunshine hours in Jan.

April 30

April 10 April 20

April 1

Fig. 2. Relationship between the date observed and the date estimated from the multiple regression equation for sprouting of 'Okitsu Wase' satsuma mandarin in Jeju island.

2월 하순 평균기온에 의해 발아기(Y : 4월 1일 기준 일수)를 예측하는 단순 회 귀식은 Y = 24.0-2.265X (R2 = 0.666)로 계산되었다. 段階的 回歸分析 결과 2월 하순 평균기온, 3월 일조시수, 2월 일조시수가 獨立變量으로 채택되었으며 그 회 귀식은 다음과 같았다.

Y = 32.9-2.055X1-0.085X2+0.031X3(R2=0.739)

Y : 발아기(4월 1일 기준일수) X1 : 2월 하순 평균기온, X2 : 3월 일조시수 X3 : 1월 일조시수

2월 하순의 平均氣溫에 의해 예측한 豫測値와 觀測値의 차이가 10일 이상되 는 것은 61개 예측치 중 2개였으며 5일 이상되는 것은 14개였고, 2월 하순 평 균기온 및 1월과 3월의 일조시수에 의해 多重回歸式으로 예측한 예측치와 관 측치의 차이가 10일 이상 되는 것은 없었고 5일 이상되는 것은 7개에 불과하 였다.

1월 1일 이후 발아기까지 0, 5, 7.5, 10, 12.5℃ 이상의 積算溫度를 계산한 결과(Table 7) 基準溫度를 높일수록 발아에 필요한 적산온도의 標準偏差가 작 아졌지만 12.5℃에서도 범위와 標準偏差가 매우 커 生育 零點溫度나 발아에 필 요한 積算溫度를 추정하기가 어려웠다.

Table 7. Cumulative effective temperature (heat unit) calculated above various minimum temperatures for the sprouting of 'Okitsu Wase' satsuma mandarin in Jeju island.

Classification

Minimum air temperature (℃)

0 5 7.5 10 12.5

Heat unit (℃) 635.0 526.1 395.8 215.3 90.1

Standard deviation 114.5 133.6 123.1 89.2 54.1

Range 308.2∼

878.4

196.2∼

791.8

78.3∼

661.9

10.3∼

467.0

0.0∼

241.3

이와같은 사실은 劉와 金(1979)이 포도나무의 발아기와 적산온도는 상관관 계가 적었다는 것과 유사한 것으로 온주밀감을 비롯한 果樹의 發芽期는 積算 溫度보다 일정시기의 溫度變化가 영향을 미칠 것으로 추정되었다.

온주밀감은 절대적인 휴면은 없고 적정 발아온도에서도 발아까지의 所要日數 가 긴 休眠狀態는 있는데(門屋, 1991), 최대로 휴면이 깊은 상태는 10월 중하순

이므로(失羽田 등, 1991a; 1995a), 봄철 發芽時 休眠의 영향은 받지 않는다. 그 리고 온주밀감은 1∼2월 평균기온이 10℃를 넘는 오끼나와 지방은 발아기인 3월 상순 평균기온이 15℃ 이상 되는데(佐藤와 宮城, 1986), 1∼2월 평균기온 이 3∼5℃인 제주지역은 발아기인 4월 상중순의 평균기온이 10℃ 안팎이다 (Table 3, Appendix 1).

즉 온주밀감은 適應地域의 溫度變化에 의해 봄순 발아가 빨리 되고 늦게 되 는 것으로 발아에 일정 이상의 온도가 필요한 것은 아닌 것으로 사료되었다.

제주도의 경우도 각 지역에 적응된 나무들이 一定溫度에서 발아하는 것이 아 니라 그 적응 지역의 온도변화에 따라 발아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地域別 發芽期는 연평균 기온이 높아 따뜻한 지역일수록 빨리 되었으며 이것 은 木原(1991)에 의해 보고된 일본에서의 지역별 온주밀감 평균 발아기와 같 은 경향을 보였다.

결국 溫州蜜柑의 發芽溫度는 지역에 따라 일정하지는 않지만 온도가 높은 지역일수록 발아가 빨라 發芽의 早晩은 發芽前의 溫度가 영향을 미치고 있음 이 인정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