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4. 果實生長

4.4. 收穫期 果實의 지름과 무게

4.4.1. 橫徑

Table 16은 수확기 果實橫徑을 조사한 결과이다. 수확기 果實橫徑의 平均은 65.2㎜였지만 가장 컸던 1995년의 수산리는 74.6㎜였고 가장 작았던 1997년 강정동은 52.4㎜밖에 안되었으며 해에 따라 지역에 따라 큰 차이를 보였다.

Table 16. Transversal diameter(mm) of fruit in 'Okitsu Wase' satsuma mandarin at the different locations in Jeju island.

Year

Location '94 '95 '96 '97 '98 '99 '00 '01 Mean N-Doryeon 66.7 61.7 67.4 54.9 64.9 - - - 63.1 N-Odeung 70.9 68.9 68.5 59.6 66.8 - - - 66.9 S-Bomok 64.3 66.7 70.5 61.8 69.5 - - - 66.5 S-Gangjeong 59.5 61.6 60.8 52.4 64.4 - - - 59.8 S-Topyeong 62.5 65.7 64.6 66.9 61.9 64.2 70.3 67.3 65.4 S-Wimi 65.2 65.4 68.6 58.8 67.8 - - - 65.2 S-Sinye-1 68.6 63.7 74.2 64.7 69.5 - - - 68.1 S-Sinye-2 66.7 67.8 65.0 65.6 69.9 - - - 67.0 S-Harye 71.1 66.8 69.8 68.7 73.0 - - - 69.9 S-Ipseok 62.5 58.3 62.4 58.1 64.9 - - - 61.2 E-Susan 69.8 74.6 62.4 64.4 64.1 62.8 64.4 64.0 65.8 E-Nansan 60.7 69.0 63.9 64.4 66.9 - - - 65.0 W-Sinsu 66.3 61.0 67.4 54.0 68.5 - - - 63.4 W-Wolgwang 67.5 61.6 67.6 58.0 67.3 65.9 70.4 61.5 65.0 Mean 65.9 65.2 66.6 60.9 67.1 64.3 68.3 64.3 65.2

수확기 횡경을 年度別 平均으로 비교해 보면 가장 컸던 1998년이 67.1㎜였 고 가장 작았던 1997년이 60.9㎜로 6.2㎜ 차이가 있었다. 地域間 平均은 가장 큰 곳이 하례리로 69.9㎜인데 비해 가장 작은 곳은 강정동으로 59.8㎜ 불과하 여 10.1㎜ 차이를 보였다. 그러나 한 지역의 연도별 변이는 이보다 훨씬 커 월광동인 경우 1998년은 68.5㎜였는데 비해 1997년은 54.0㎜로 14.5㎜ 차이를 보였다. 또 1997년의 경우 하례리는 68.7㎜였는데 비해 강정동은 52.4㎜로 무려 16.3㎜나 차이가 있어 收穫期 果實 橫徑은 年度間 차이보다 地域間 차이가 더 컸다.

이러한 차이의 원인을 분석하고자 5월부터 수확기까지의 월별 積算溫度, 강 수량, 일조시수 등 기상요인 그리고 엽과비 및 만개기등과 수확기 果實 橫徑 과의 相關을 구한 것이 Table 17이다. 수확기 과실횡경 크기와 가장 관계가 깊은 요인은 엽과비였다. 葉果比와 收穫期 果實 橫徑과는 고도로 유의한 정상 관 관계를 보여 착과가 적어 엽과비가 많을수록 과실 횡경 비대는 잘 되었고 과실이 많이 달려 엽과비가 적을수록 과실 횡경 비대는 적어짐을 확인할 수 있 었다. 이와 같은 경향은 풍년이었던 홀수년은 흉년이었던 짝수년에 비해 상대 적으로 횡경이 작아지는 연도별 변화에서도 나타나고 있다. 이와 같이 葉果比가 커 着果量이 적을수록 과실비대가 잘 된다는 것은 森岡 (1988), Stover(2000) 등 의 보고를 비롯해 잘 알려진 사실이다. 단순 상관 분석에서 收穫期 橫徑과 積算 溫度는 8월만 유의한 정상관이 있었고, 강수량은 6월과 10월에 정상관을, 일조시 수는 6월과 10월에 逆相關을 보였다.

그러나 葉果比 요인을 고정시킨 偏相關의 경우 7월부터 10월까지 모든 달의 積算溫度가 유의성이 인정되었다. 과실 비대기의 기온과 수확기 과실 횡경이 正相關을 보이는 것은 제주도의 과실 비대기 平均氣溫이 7∼8월만 25℃를 넘 고 그 외의 달은 20℃내외로 과실 비대 最適溫度인 20∼25℃(新居 등, 1970) 보다 낮아 적산온도가 부족하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되었다.

Table 17.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the transversal diameter of fruit at harvest and monthly weather conditions, the number of leaves per fruit or date of full bloom in 'Okitsu Wase' satsuma mandarin in Jeju island.

Month May June July Aug. Sept. Oct. Oct.+Nz Totaly Cumulative

temp.

0.025 0.189

-0.177 -0.078

0.122 0.287*

0.267*

0.311**

0.113 0.244*

0.140 0.231*

0.176 0.219

0.015 0.264*

Precipitation -0.010 -0.013

0.389**

0.264*

-0.033 -0.008

0.016 0.014

0.217 0.334**

0.259**

0.266*

0.246**

0.173

0.197 0.225 Hours of

sunshine

-0.111 -0.306**

-0.418**

-0.306**

0.112 0.166

0.169 0.126

0.062 0.085

-0.316**

-0.315**

-0.220 -0.092

-0.118 0.028 No. of leaves per fruit : 0.527** Date of full bloom : 0.165

*Significant at 5% level, **Significant at 1% level.

Upper Fig.ures indicate the simple correlation coefficients, while the lowers the partial correlation coefficients when the number of leaves per fruit is held constant.

Variables with correlation coefficient underlined were selected as predictors in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ith P-to-enter=0.15 (R2=0.4293).

zOct.+N contains data from Oct. 1 to Nov. 12.

yTotal contains data from May 1 to Nov. 12.

또한 降水量과의 偏相關은 6, 9, 10월에 유의한 정상관을 보여 과실비대는 가을철 강수량과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것은 森永 등(1985)이 강수 량이 적을수록 과실크기도 적었다는 보고와 일치하며 白 등(1991)이 토양멀칭 에 의해 8월부터 강우를 차단하면 과실횡경비대가 억제되었다는 보고와도 유 사하였다.

日照時數와의 偏相關은 5, 6, 10월에 유의한 逆相關을 보였는데 5∼6월은 생리낙과기의 일조증가가 생리낙과를 적게하여 착과량이 많아졌기 때문이며 10월은 강수량 부족과 결부되어 蒸散이 促進되었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

수확기 果實橫徑을 從屬變數로 한 단계적 회귀분석에서 엽과비, 9월 강수량, 8월 적산온도, 6월 일조시수 등 4요인이 獨立變數로 채택되었으나 R2값은 0.4293에 불과하여 과실횡경 크기는 검토된 요인 이외에 栽培管理 등 다른 요 인의 영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