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성인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에서의 유효성 연구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성인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에서의 유효성 연구"

Copied!
6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서 론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이하 ADHD)는 50% 이상이 성인이 되어서도 증 상이 지속되며, 치료를 적절하게 받지 않으면 행동, 감정, 사 회, 학업, 작업상의 문제를 일으키는 신경발달장애이다.1) ORIGINAL ARTICLE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2020;59(2):136-141 Print ISSN 1015-4817 Online ISSN 2289-0963 www.jknpa.org

The Korean Version of the Barkley Deficits in Executive Functioning Scale:

성인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에서의 유효성 연구

국립정신건강센터 정신건강의학과,1 임상심리과,2 덕성여자대학교 심리학과,3

삼성서울병원 정신건강의학과4

최지승1·이원혜2·안호원3·김지혜4·정유숙4·이근희1·이종일1

The Korean Version of the Barkley Deficits in Executive Functioning Scale: Clinical Utility in Adult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Jie-seung Choi, MD1, Wonhye Lee, PhD2, Ho-won Ahn, MS3, Ji-Hae Kim, PhD4, Yoo-Sook Joung, MD, PhD4, Keun hee Lee, MS1, and Jong-Il Lee, MD, PhD1

1Department of Psychiatry, 2Clinical Psychology, National Center of Mental Health, Seoul, Korea

3Department of Psychology, Duksung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4Department of Psychiatry, Samsung Medical Center, Seoul, Korea

Received November 15, 2019 Revised January 21, 2020 Accepted January 22, 2020 Address for correspondence Jong-Il Lee, MD, PhD Department of Psychiatry, National Center for Mental Health, 127 Yongmasan-ro, Gwangjin-gu, Seoul 04933, Korea

Tel +82-2-2204-0151 Fax +82-2-2204-0393 E-mail lji7542@hanmail.net

Objectives To identify the clinical util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Barkley Deficits in Executive Functioning Scale (K-BDEFS) assessing executive functioning.

Methods The patient group included 144 adult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ADHD) patients visiting the Adult ADHD Outpatient Clinic of the National Center for Mental Health. Adult ADHD Self-Report Scale version 1.1, Mini International Neuropsychiatric Interview, and K-BDEFS were used. The control subjects were 144 age, sex, and education-matched general adults who participated in the study of the validity of the K-BDEFS in Samsung Medical Center.

Results An analysis of the mean total K-BDEFS score, executive functioning symptom count, and ADHD-executive function (EF) index score reveale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adult ADHD and control group (p<0.05). Five subscales of the K-BDEFS, which assess the specific domains of the executive function, reveale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ADHD group and control group (p<0.05). The area under curve (AUC) of the K-BDEFS total score, the EF symp- tom count, and the ADHD-EF index were 0.943, 0.949, and 0.908, respectively, in the analysis using the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curve. All AUC values were over 0.90. Therefore, K- BDEFS is a reliable and valid screening instrument for diagnosing adult ADHD. In an assessment of the sensitivity and specificity of the cutoff scores, a cutoff of 183.5 points for the K-BDEFS to- tal score, 26.5 points for the EF symptom count, and 23.5 points for the ADHD-EF index showed a reliable sensitivity and specificity above 80%.

Conclusion To the best of the authors’ knowledge, this is the first study to examine the predic- tive validity and clinical utility of K-BDEFS in adult ADHD.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K-BDEFS could be used as a valid and reliable tool for the diagnosis and clinical intervention of adult ADHD.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2020;59(2):136-141

KEY WORDS Adult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ADHD) · Executive functions · Barkley Deficits in Executive Functioning Scale (BDEFS).

(2)

ADHD 발병에는 유전적인 요인이 연관되어 있으며, 매우 치 료하기 어려운 질병으로 알려져 있다.2) 추정컨대 정신과 외 래 환자의 경우 17∼22%가 이 질환으로 고통을 받고 있다고 한다.3) 또한 ADHD 성인의 경우 우울장애, 불안장애, 물질사 용장애, 조울병, 인격장애 등 많은 공존질환이 함께 동반되 어 있으며, 소아 시기와는 달리 과다활동은 감소하고, 주의 집중의 어려움과 충동성이 주 증상으로 알려져 있다.4,5)

성인 ADHD 진단은 흔히 진단 척도가 사용되며, 그 밖에 부모나 친구, 가까운 친척들의 진술에 의존하여 진단을 내리 는 등 표준화되지 않은 진단 과정을 거치는 경우가 많다. 성 인 ADHD를 진단할 때 특별한 생물학적 진단 근거는 없으 며,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5th edition(이하 DSM-5) 진단체계6)를 이용하여 의학적 검 사, 행동과 병력 평가, 주의력 검사 등을 통해 종합적인 임상 적 판단을 내리게 된다. 그러나 성인 ADHD 진단은 증상의 주관적인 과대 혹은 과소화하는 경향의 문제와 핵심 증상 중 하나인 주의집중력의 어려움이 정상 성인에서도 존재할 수 있는 문제로 정확한 진단에 어려움이 있다고 한다.7)

Barkley8)는 성인 ADHD 증상을 실행기능장애로 설명을 하였다. 실행기능은 인간이 작업기억, 억제, 주의전환, 계획 등을 이용하여 미래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필요한 행동과 사고를 통제하는 복잡한 인지과정으로 성인 ADHD는 대조 군에 비해 실행기능이 유의하게 떨어져 있다고 한다.9,10) 실 행기능은 성장하면서 발달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 어서, 성인 ADHD 환자에서 실행기능의 결함이 발견되는 것 은 성장 시기에 실행기능이 충분히 발달하지 못한 채 성인기 로 넘어가기 때문이라고 보고하였다.8) 대뇌의 전두엽은 실행 기능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성인 ADHD 환자에서 전두 엽의 구조적 및 기능적 이상이 원인으로 제시되고 있어 실 행기능과 성인 ADHD 환자와의 연관성을 지지하고 있다.11) 실행기능의 대표적인 기능에는 계획, 작업기억, 주의, 억제, 자기감시 및 조절, 동기 등이 있다. 성인 ADHD의 경우 실행 기능의 결함이 일상생활에서 적응의 어려움과 밀접한 연관 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일상생활에서 조직화와 시간 관리, 계획, 의사결정, 업무의 배분 등의 어려움을 초래한다 고 한다. 따라서 성인 ADHD 환자의 실행기능 평가는 치료 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그러나 심리 검사를 통한 인 지기능 검사는 실행기능의 중요한 속성인 일상생활에서 필 요한 과업들을 목표지향적이고 효율적으로 수행하는 능력 을 평가하기 어렵다고 한다. 이에 Barkley와 Murphy12)는 실 행기능과 관련된 여러 증상들을 효과적으로 평가하기 위해 Barkley Deficits in Executive Functioning Scale(이하 BDEFS) 평가 도구를 개발하였고 성인 ADHD 환자의 실행

기능을 효율적으로 평가한다고 보고하였다.

최근 진단이 적극적으로 이루어지고 있고, 치료적 접근이 증가하고 있는 성인 ADHD 환자의 효율적인 진단 및 치료를 위해 환자의 정확한 평가가 매우 중요하게 생각되고 있다.

BDEFS 평가 도구는 최근 국내에서 일반인을 대상으로 표 준화되었다. 이 연구는 Lee 등13)이 일반 성인 1022명을 대상 으로 실시한 BDEFS 평가 도구의 신뢰도 및 타당도 연구 결 과와 클리닉을 방문하여 성인 ADHD 진단을 받은 대상자의 평가 결과를 비교하여 The Korean version of BDEFS(이하 K-BDEFS)의 유효성을 평가하기 위해 계획되었다.

방 법

대 상

연구대상자들은 2017년 10월 23일~2018년 12월 31일까지 국립정신건강센터 성인 ADHD 클리닉을 방문한 188명 중 Adult ADHD Self-Report Scale version 1.1(이하 ASRSV1.1), Mini International Neuropsychiatric Interview(이하 MINI), 정신장애의 진단 및 통계 편람, 제 5판(DSM-5) 기준에 따라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가 성인 ADHD로 진단을 내린 144명 (남자 77명, 여자 67명)의 성인을 대상으로 하였다. 진단 도 구의 내용을 이해하지 못하는 시각장애 또는 지적장애인, 글 을 읽지 못하거나 쓰지 못하는 대상자들은 제외되었다. 대조 군은 삼성서울병원에 K-BDEFS 표준화 과정에 참여한 국 내 일반인들 중에서 연구대상자들과 비슷한 연령과 교육수 준의 일반 대상자 144명을 선정하였다. 이 연구는 국립정신 건강센터 성인 ADHD 클리닉의 연구윤리위원회(Institutional Review Board, 이하 IRB)의 심사 및 승인을 받았으며(IRB 번호: 116271-2019-13), 후향적 연구로 별도의 동의 과정이 필요하지 않았다.

도 구

한국판 ASRSV 1.1

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가 주축이 되 어 개발한 성인 ADHD 진단 도구14)로서 18문항으로 구성되 어 있으며, 증상의 빈도를 기준으로 4점 척도로 평가를 하게 되어 있다. 척도 점수는 빈도로 정한 각 문항의 심각도를 충 족하는 문항수가 0~3까지는 낮은 수준, 4~8까지는 중등도 수준, 그리고 9 이상은 임상적인 개입이 필요한 수준으로 평 가하게 되어 있다. 1~3번, 9번, 12번, 16번, 18번 문항은 빈도 가 ‘가끔 그렇다.’부터 심각도를 충족하는 문항으로 평가하며, 나머지 9개 문항은 빈도가 ‘자주 그렇다.’부터 충족하는 문항

(3)

으로 평가한다. 이 척도는 임상과 지역사회 표본 검사에서 좋은 신뢰도와 타당도를 보인 것으로 보고되었다.

MINI

Sheehan 등15)이 만든 진단 도구를 Yoo 등16)이 번안한 내 용을 사용하였다. MINI는 유년기 시절 10문항과 성인 시기 14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반구조화 면담을 통해 증상의 유무를 판단한다. 유년기 시절 10문항 중 6개 문항, 성인 시 기 14문항 중 9개 이상 있으면 성인 ADHD로 진단한다.

K-BDEFS

Barkely와 Murphy12)가 개발한 실행기능 평가 척도로 Lee 등13)이 번안하여 국내 표준화를 한 K-BDEFS를 사용하였다.

이 도구는 시간에 대한 자기관리(self-management of time) 21문항, 자기조직화(self-organization)/문제해결(problem solving) 24문항, 자제 및 억제(self-restraint/inhibition) 19 문항, 동기(self-motivation) 12문항, 정서에 대한 자기조절 (self-regulation of emotion) 13문항 등 다섯 개의 하위 척도 를 가진 총 89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1점(전혀 그렇지 않 다.)부터 4점(거의 항상 그렇다.)까지 4점 척도로 평가를 한다.

89개 문항 중 11개 문항은 ADHD 증상을 평가하는 ADHD- executive function(이하 EF)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EF 증상 점수는 실행기능 결함이 임상 증상일 가능성을 나타내 는 것으로 각 문항에서 일반적으로 흔하지 않은 반응, 즉 3(자주 그렇다.)과 4(거의 항상 그렇다.)로 반응한 문항의 개 수를 합친 수치이다. 척도는 Lee 등13)으로부터 사용을 승인 받았다.

자료 분석

임상적 자료들과 평가 도구 점수의 분포 등을 분석하는 데 χ2과 t검정이 시행되었으며, 연구대상자와 통제군 사이의 인 구통계학적 차이 등을 확인하였다. 모든 자료 분석은 SPSS 21.0(IBM Corp., Armonk, NY, USA)을 통해 이루어졌다.

척도의 내적 일치도(internal consistency)를 평가하기 위해 Cronhack-alpha를 산출하였다. K-BDEFS가 ADHD 임상 군을 얼마나 정확히 변별할 수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re- 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이하 ROC) 곡선 분석을 실시 하였다. 진단적 정확도를 ROC 곡선의 곡선하 면적(area un- der curve, 이하 AUC)을 통해 알아보았는데, AUC가 0.80 이 상일 때, 검사 도구는 유용한 진단 도구로 생각될 수 있다.17,18)

결 과

대상자의 인구학적 특징

연구대상자와 대조군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비교에서 성인 ADHD 환자 중 77명(53.5%)은 남자였고, 대조군은 대상자와 같은 성별, 비슷한 연령과 교육수준의 일반대상자를 선출하 였기 때문에 동일한 77명(53.5%)이 남자였다. 환자군과 대 조군의 평균 연령은 각각 33.54세[standard deviation(이하 SD)=10.063]와 33.56세(SD=9.913)로 나타났고, 연령 범위는 18~71세로 확인되었다. 결혼 유무에 대해서는 환자군에서는 101명(70.1%)이 미혼, 대조군에서는 78명(54.2%)이 미혼이 었다. 최종 학력을 살펴보면, 전문대졸 이상의 대학 교육을 마친 사람은 환자군에서는 85명(59.0%), 대조군에서는 109명 (75.7%)이었다. 환자군과 대조군의 인구학적 특징에서 결혼 유무에 따라(χ2=21.530, p<0.001) 그리고 학력에 따라(χ2= 39.938, p<0.001)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표 1).

K-BDEFS 및 EF 증상 점수 등의 집단 간 비교

K-BDEFS의 타당성을 ADHD 환자군과 대조군 비교분석 을 통해 평가하였다(표 2). 양 군 간의 차이점들은 t-test를 사 용하여 평가하였다. K-BDEFS의 총점의 평균은 환자군의 경 Table 1.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ADHD and control groups

ADHD (n=144)

Control

(n=144) χ2 p-value Sex, n (%)

Male 77 (53.5) 77 (53.5)

Female 67 (46.5) 67 (46.5)

Marital status, n (%) 21.530 <0.001

Single 101 (70.1) 78 (54.2)

Marriage 32 (22.2) 62 (43.0)

Remarriage 3 (2.1) 3 (2.1)

Divorce 8 (5.6) 0 (0)

Bereave 0 (0) 1 (0.7)

Educational level, n (%) 39.938 <0.001

Middle school graduate 6 (4.2) 1 (0.7) High school graduate 53 (36.8) 34 (23.6) College graduate 20 (13.9) 26 (18.1) University graduate 54 (37.5) 32 (22.2) Grad school graduate 11 (7.6) 51 (35.4)

Age, n (%) <0.001 1.000

10s 6 (4.2) 6 (4.2)

20s 47 (32.6) 47 (32.6)

30s 56 (38.9) 56 (38.9)

40s 26 (18.0) 26 (18.0)

Over 50 9 (6.3) 9 (6.3)

ADHD: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4)

우 236.59±42.09점, 대조군의 경우 149.6±35.06점으로 양 군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EF 증상 점수에서도 환자군 49.31±18.97, 대조군 10.57±12.41로 ADHD군이 대조군과 비교하여 유의하게 높았다(p<0.05).

K-BDEFS 중 ADHD 실행기능을 평가하도록 계획된 ADHD- EF 분석에서는 환자군 28.75±5.62점, 대조군 18.92±4.56점 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K-BDEFS 의 다섯 개의 세부 요인인 시간에 대한 자기관리, 자기조직화/

문제해결, 자제 및 억제, 동기, 정서에 대한 자기 조절에 대한 양 군 간의 비교분석에서도 ADHD 환자군이 대조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여주었다(p<0.05).

K-BDEFS의 ROC 분석

K-BDEFS 총점, EF 증상 점수 그리고 ADHD-EF 수에 대한 각각의 ROC curve 분석(그림 1)에서 진단적인 정확도

를 의미하는 AUC는 각각 0.943, 0.949, 0.908로 모두 0.90 이 상으로 상당히 높은 진단적 정확도를 보여주었다. AUC가 0.80 이상일 때에는 높은 민감도와 특이도를 가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기 때문에 K-BDEFS 척도는 유용한 진단 도구로 평가할 수 있었다(표 3). K-BDEFS의 각 항목별 기준 점수 (cutoff)에 대한 민감도와 특이도 분석에서 K-BDEFS 총점 의 경우 183.5점을 ADHD 임상집단으로 진단했을 때 정확하 게 진단할 확률(민감도)은 88%, 183.5점 이하를 ADHD 임상 집단이 아니라고 올바르게 판단할 확률(특이도)은 85%로 조 사되었다. EF 증상 점수의 절단 점수를 26.5점으로 할 때 민감 도 87%, 특이도 85%, ADHD-EF 점수의 절단 점수를 23.5점 으로 할 때 민감도 81%, 특이도 82%였다(표 4).

고 찰

Kessler 등19)이 조사한 연구에서 성인 ADHD 유병률은 4.4%로 매우 흔한 질병이라고 보고하였다. 성인 ADHD 환 자들은 낮은 교육수준을 보이며, 직장 고용 유지나 성과 면 Table 2. Comparison of the K-BDEFS scores between the ADHD and control groups

ADHD (n=144) Control (n=144) t p-value

Total score 236.59±42.09 149.6±35.06 4.002 0.046

EF count symptom 49.31±18.97 10.57±12.41 29.520 <0.001

ADHD index 28.75±5.62 18.92±4.56 5.306 0.022

Self-management to time 58.60±12.29 37.31±10.21 7.452 0.007

Self-organization 67.30±14.88 41.40±11.63 7.139 0.008

Self-restraint 47.73±11.25 30.61±7.86 16.697 <0.001

Self-motivation 27.85±7.88 18.38±5.22 23.571 <0.001

Self-regulation of emotion 35.10±9.71 21.85±6.97 14.726 <0.001

K-BDEFS: Korean version of Barkley Deficits in Executive Functioning Scale, ADHD: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EF: Ex- ecutive function

Table 3. ROC analysis for the ADHD group

AUC p-value 95% confidence Low limit Up limit Total score 0.943 <0.001 0.918 0.967 EF count symptom 0.949 <0.001 0.926 0.972 ADHD index 0.908 <0.001 0.875 0.941 ROC: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s, AUC: Area under curve, ADHD: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EF: Ex- ecutive function

Table 4. Sensitivity and specificity values of the scales

Sensitivity Specificity 1-Specificity Total score (cutoff=183.5) 0.882 0.854 0.146 EF count symptom

(cutoff=26.5)

0.875 0.854 0.146

ADHD index (cutoff=23.5) 0.819 0.826 0.174 ADHD: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EF: Executive function

Fig. 1. ROC curves for the ADHD group. ADHD: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EF: Executive function, ROC: Receiver op- erating characteristic.

1.2

1.0

0.8

0.6

0.4

0.2

0.0

1-Specificity

Total score EF count symptom ADHD index Reference line ROC curve

Sensitivity

0.0 0.2 0.4 0.6 0.8 1.0 1.2

(5)

에서 낮은 성취를 보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 이유는 집 중력의 저하와 함께 시간을 잘 관리하지 못하고, 꾸물거리 며, 낮은 조직화 능력과 청취하는 기술이 부족하고, 자주 잊 어버리며, 쉽게 좌절하고 감정이나 충동을 효과적으로 제어 하지 못하는 등 실행기능 저하가 원인으로 보고되고 있다.20)

성인 ADHD의 낮은 진단율은 성인 ADHD 진단에 대한 생소함, ADHD 증상은 성인 시기까지는 지속되지 않으며 지속되더라도 증상이 심하지 않다는 잘못된 믿음, 어린 시절 ADHD 증상에 대한 정확한 회상의 어려움과 다양한 공존질 환으로 인하여 잘못된 진단의 가능성이 높다는 점, 그리고 성인 ADHD를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기준이 없다는 것이 원인으로 지적되고 있다.20,21) ADHD는 성인으로 진행되면 서 다양한 변화를 경험하게 된다. 이런 변화는 매우 다양하기 때문에 현행 진단 체계의 기준인 범주에 따른 세부 진단은 성인에서 크게 의미가 없을 수 있다. 진단 기준 또한 성인에 서 나타날 수 있는 다양한 변화를 수용하지 못하고 있는 것도 현실이다. 임상 검사나 뇌파, 영상 검사 등이 성인 ADHD를 진단하는 데 보조적인 역할을 할 수 있지만 현재로서는 철 저한 병력조사와 함께 진단 기준을 적용하여 정확한 진단을 내리고, 감별 진단을 잘하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라고 한 다. 따라서 진단 의사는 ADHD 증상을 성인에서 확인하기 위해 진단 체계를 적용할 때는 매우 유연한 태도를 가지도 록 권고하고 있다.22)

Murphy 등23)은 성인 ADHD를 진단하고 이해하는 데 실 행기능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고 보고하였다. 억제기능과 작업기억에 대한 철저한 조사가 필요하며, 진단 기준에서도 실행기능에 대한 평가 내용이 폭넓게 포함되어야 한다고 하 였다. Barkley24)는 ADHD의 핵심 증상인 부주의, 과다행동, 충동성이 감정-동기 조절의 결함에서 기인한다고 추정하였 다. 감정조절의 이상은 정신사회적기능, 위험한 운전, 비행, 미숙한 양육 능력 등과 연관성이 있으며, 억제의 어려움과 작 업 기억의 저하, 그리고 재구성의 어려움과 함께 ADHD의 핵심증상이라고 하였다.

이 연구는 성인 ADHD 실행기능 평가 척도로 개발된 K- BDEFS의 유효성을 평가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K-BDEFS 는 타당도와 신뢰도가 모두 높은 평가 도구로 ADHD 성인 의 실행기능을 평가하는 데 유용한 척도로 알려져 있다. 연구 결과에서 성인 ADHD 환자군의 경우 K-BDEFS 총점, EF 증상지수, ADHD-EF 점수 모두에서 대조군에 비해 통계적 으로 유의하게 높은 점수를 보이고 있었다. 또한 K-BDEFS 의 세부 다섯 개 요인인 시간에 대한 자기관리, 자기조직화/

문제해결, 자제 및 억제, 동기, 정서에 대한 자기조절 분석 모두에서도 성인 ADHD 환자군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한 차

이를 보이고 있어, K-BDEFS가 매우 유용한 성인 ADHD 실행기능 평가 척도임을 보여주었다.

K-BDEFS 총점의 Cronhack-alpha는 0.787이었으며 각 하위 척도의 경우도 모두 0.739~0.779의 결과를 보이며 높은 내적 일치도를 보여주었다. 성인 ADHD 환자군을 대상으로 하여 ROC 분석을 실시하였는데, K-BDEFS 총점은 183.5점, EF 증상 점수 26.5점, ADHD-EF 점수 23.5점을 기준 절단 점수로 정했을 때 정확하게 진단할 확률인 민감도와 성인 ADHD 환자가 아니라고 올바르게 판단할 확률인 특이도 모 두 80% 이상으로 이 척도가 유효성이 높다는 결과를 보였다.

K-BDEFS 총점, EF 증상 점수, ADHD-EF 점수에 대한 진 단 정확도를 의미하는 AUC 분석에서도 각각 0.943, 0.949, 0.908로 모두 0.90 이상으로 상당히 높은 진단적 정확도를 보 여주었다. AUC가 0.80 이상일 때에는 높은 민감도와 특이도 를 가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기 때문에 K-BDEFS 척도는 매 우 유용한 진단 도구로 판단되었다. 또한 위양성율(1-speci- ficity) 분석에서도 모두 10% 미만으로 매우 높은 진단율을 보이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그러나 이 연구는 몇 가지 제한점이 있다. 첫째, K-BDEFS 가 자가 척도로 증상을 과장하거나 축소할 수 있어 진단의 정확성이 떨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그러나 BDEFS 개발 연 구에서 ADHD-EF 점수 20점 이상일 때 성인 ADHD 진단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하였는데, 이 연구 환자군에 포함된 144명 모두 20점이 넘는 결과를 보여주고 있었다. 둘째, 환자 군과 대조군이 동시에 모집되지 않아 연구 결과의 신뢰성에 대한 의문이 제시될 수 있다. 그러나 삼성서울병원 실시한 표 준화 연구에 참여한 일반인에서 연령별 기준을 적용하여 대 조군을 선별하여 이런 문제점을 줄이고자 노력하였다. 일부 교육수준에서 양 군 간에 의미 있는 차이가 있었지만 연구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적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 연구는 성인 ADHD에서 중요한 증상으로 평가받고 있 는 실행기능의 평가 도구인 K-BDEFS를 이용하여 성인 ADHD 환자군을 대상으로 유효성을 검증한 첫 연구라는 점 에서 의미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 연구에서 K-BDEFS 가 성인 ADHD 환자의 실행기능을 평가하는 유용한 도구임 을 보여주었고, 향후 임상에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 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실제 실행기능의 세부적인 결함을 나 타내는 각 하위 영역 평가에서도 대조군에 비해 ADHD 환 자군이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여주고 있어 성인 ADHD의 치 료에서도 유용한 척도로 판단되었다.

(6)

결 론

이 연구는 성인 ADHD 환자에게 한국어로 번안한 K- BDEFS를 평가 도구로 적용한 첫 연구로 실행기능 평가에 서 유효성을 확인하였다. 향후 임상연구와 진단 및 치료에서 K-BDEFS가 매우 유용한 척도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 단되었다.

중심 단어: 성인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실행기능・바 클리집행기능결핍척도.

Acknowledgments None.

Conflicts of Interest

The authors have no financial conflicts of interest.

Author Contributions

Conceptualization: Jong-Il Lee. Data curation: Jie-seung Choi, Keun hee Lee. Investigation: Jie-seung Choi. Methodology: Jong-Il Lee, Wonhye Lee, Ho-won Ahn, Jie-seung Choi, Ji-Hae Kim, Yoo- Sook Joung. Supervision: Jong-Il Lee. Visualization: Jie-seung Choi, Ho-won Ahn. Writing—original draft: Jieseung Choi. Writ- ing—review & editing: Jong-Il Lee, Jie-seung Choi.

ORCID iD

Jie-seung Choi https://orcid.org/0000-0002-0969-4665 REFERENCES

1) Ginsberg Y, Quintero J, Anand E, Casillas M, Upadhyaya HP. Un- derdiagnosis of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in adult pa- tients: a review of the literature. Prim Care Companion CNS Disord 2014;16:PCC.13r01600.

2) Franke B, Faraone SV, Asherson P, Buitelaar J, Bau CH, Ramos- Quiroga JA, et al. The genetics of attention deficit/hyperactivity dis- order in adults, a review. Mol Psychiatry 2012;17:960-987.

3) Turgay A, Goodman DW, Asherson P, Lasser RA, Babcock TF, Puc- ci ML, et al. Lifespan persistence of ADHD: the life transition model and its application. J Clin Psychiatry 2012;73:192-201.

4) Davids E, Krause DA, Specka M, Gastpar M. [Analysis of a special consultation for attention 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in adults].

Gesundheitswesen 2004;66:416-422.

5) Halmøy A, Fasmer OB, Gillberg C, Haavik J. Occupational outcome in adult ADHD: impact of symptom profile, comorbid psychiatric problems, and treatment: a cross-sectional study of 414 clinically di- agnosed adult ADHD patients. J Atten Disord 2009;13:175-187.

6)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DSM-5. 5th ed. Arlington, VA: American Psychait- ric Association;2013.

7) Biederman J, Mick E, Faraone SV. Age-dependent decline of symp- toms of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impact of remission definition and symptom type. Am J Psychiatry 2000;157:816-818.

8) Barkley RA. Behavioral inhibition, sustained attention, and execu- tive functions: constructing a unifying theory of ADHD. Psychol Bull 1997;121:65-94.

9) Anderson SW, Bechara A, Damasio H, Tranel D, Damasio AR. Im- pairment of social and moral behavior related to early damage in hu- man prefrontal cortex. Nat Neurosci 1999;2:1032-1037.

10) Alderson RM, Kasper LJ, Hudec KL, Patros CH.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 and working memory in adults: a me- ta-analytic review. Neuropsychology 2013;27:287-302.

11) Casey BJ, Castellanos FX, Giedd JN, Marsh WL, Hamburger SD, Schubert AB, et al. Implication of right frontostriatal circuitry in re- sponse inhibition and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J Am Acad Child Adolesc Psychiatry 1997;36:374-383.

12) Barkley RA, Murphy KR. The nature of executive function (EF) def- icits in daily life activities in adult with ADHD and their relationship to performance on EF tests. J Psychopatho Behavio Ass 2011;33:

137-158.

13) Lee HB, Yang MJ, Lee EH, Joung YS, Hwang SR, Hong SH, et al.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Barkley Deficits in Executive Functioning Scale (K-BDEFS). Korean J Clin Psychol 2016:35;519-539.

14) Kessler RC, Adler L, Ames M, Demler O, Faraone S, Hiripi E, et al.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Adult ADHD Self-Report Scale (ASRS): a short screening scale for use in the general population.

Psychol Med 2005;35:245-256.

15) Sheehan DV, Lecrubier Y, Sheehan KH, Amorim P, Janavs J, Weiller E, et al. The Mini-International Neuropsychiatric Interview (M.

I.N.I.):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structured diagnostic psy- chiatric interview for DSM-IV and ICD-10. J Clin Psychiatry 1998;

59 Suppl 20:22-33.

16) Yoo SW, Kim US, Noh JS, Oh KS, Kim CH, Namkoong K, et al.

Validity of Korean Version of the Mini-International Neuropsychiat- ric Interview. Anxiety Mood 2006;2:50-55.

17) Langlotz CP. Fundamental measures of diagnostic examination per- formance: usefulness for clinical decision making and research. Ra- diology 2003;228:3-9.

18) Swets JA. Measuring the accuracy of diagnostic systems. Science 1988;240:1285-1293.

19) Kessler RC, Adler L, Barkley R, Biederman J, Conners CK, Demler O, et al. The prevalence and correlates of adult ADHD in the United States: results from the National Comorbidity Survey Replication.

Am J Psychiatry 2006;163:716-723.

20) Kooij SJ, Bejerot S, Blackwell A, Caci H, Casas-Brugué M, Carpen- tier PJ, et al. European consensus statement on diagnosis and treat- ment of adult ADHD: the European Network Adult ADHD. BMC Psychiatry 2010;10:67.

21) Asherson P, Akehurst R, Kooij JJ, Huss M, Beusterien K, Sasané R, et al. Under diagnosis of adult ADHD: cultural influences and soci- etal burden. J Atten Disord 2012;16(5 Suppl):20S-38S.

22) McGough JJ, Barkley RA. Diagnostic controversies in adult atten- 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m J Psychiatry 2004;161:1948- 1956.

23) Murphy KR, Barkley RA, Bush T. Executive functioning and olfac- tory identification in young adults with attention 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Neuropsychology 2001;15:211-220.

24) Barkley RA.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 handbook for diagnosis and treatment. 4th ed. New York, NY: The Guilford Press;

2015. p.898.

참조

관련 문서

아나필락시스양 자반증(anaphylactoid purpura) 또는 알레 르기 자반증(allergic purpura), 혈관 자반증(vascular purpura) 등으로도 불리는 헤노흐-쉔라인

management of community-acquired pneumonia: an evidence- based update by the Canadian Infectious Diseases Society and the Canadian Thoracic Society. The

비록 어린이 발육부진 수준이 낮은 국가들이 상대적으로 높은 성인 비만율을 보이 고 있다고 하더라도 많은 국가들에서 어린이 발육부진과 성인 비만율 모두 높다는

본 연구는 성인 발달장애 자녀를 둔 일하는 여성이 경험한 바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혔고, 그 삶의 경험이 사회적으로도 장애인 가족지원 상담의 현실화, 장애 인

ADHD 아동의 창의성에 관한 미술놀이활동 선행연구가 부족하여 연구 결과를 비교 하고 분석하는 데에 어려움이 있었지만, 본 연구에서는 미술놀이활동이 ADHD 아동

첫째, 성인 여성들의 필라테스 참여 기간에 따른 여성적 매력의 차이에 대한 분 석결과 개인적 매력과 사회적 매력 모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2년 이상 집단

이러한 필요성에 따라 이 연구의 목적은 주의력결핍 과잉행동 유아에 대한 유치 원 교사의 문제인지 정도와 교사들이 유아를 위해 사용하는

남녀 모두에서 자궁경부암 지식점수가 높은 경우 백신접종률이나 접종 의도가 유의하 게 높아졌는데,선행연구에서 여학생이나 성인 여성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