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교육프로그램이 초기 혈액투석환자의 지식, 자가간호수행 및 생리적 지표에 미치는 효과 > 학술지 논문 검색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교육프로그램이 초기 혈액투석환자의 지식, 자가간호수행 및 생리적 지표에 미치는 효과 > 학술지 논문 검색"

Copied!
20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교육프로그램이 초기 혈액투석환자의 지식, 자가간호수행 및 생리적 지표에 미치는 효과

* 김애영 : 전남대학교병원 간호부

** 김수진 : 전남대학교 간호대학, 전남대학교 간호과학 연구소

김애형

*

․김수진

**

* 교신저자

김수진: 광주광역시동구 학동 5번지 전남대학교 간호대학 (501-746) 전화: 062-220-4351, 팩스: 062-227-4009

pinehill@chonnam.ac.kr

* 이 연구는 2007년 전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임

* 국문 주요어 : 교육프로그램, 초기 혈액투석환자, 지식, 자가간호수행, 생리적 지표

(2)

The Effect of Education Program on Early Hemodialysis Patients’

Knowledge, Self-Care Practice and Physiologic Index

Kim, Ae Yeong ․ Kim, Soo Jin

* Chonnam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Gwangju

** College of Nursing, Chonnam National University and Chonnam Reserch institute of Nursing Science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sis the effects of education program for early hemodialysis patients on knowledge, self-care practice and physiologic index (Kalium, Phosphate, Ideal weight gain). Method: The reserch design was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post test with repeated measure design.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from January 2, 2006 to March 4, 2006. Experimental subjects are 43 hemodialysis patients with less than 1 years in C university hospital, G city. 22 subjects in the control group received no intervention and 21 subjects in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an education program. Result:

There was significant increases on knowledge and self-care practice. physiologic index in the experimental group compared to controls. Conclusion: According to the above results, this education program for the early hemodialysis patients was increased the knowledge about hemodialysis, self-care and decreased physiologic index. Therefore this education program will be independent and very effective nursing intervention which can be used in early hemodialysis patients.

Key words

: education program, early hemodialysis patients, knowledge, self-care practice, physiologic index

Address reprint requests to : Kim, Soo, Jin

Professor, College of Nursing, Chonnam National University 5 Hakdong Dongku, Gwangju 501-746, Korea

Tel: +82-62-220-4351 Fax: +82-62-227-4009) E-mail: pinehill@chonnam.ac.kr

(3)

서 론

연구의 필요성

오늘날 경제 성장에 따른 생활수준의 향상과 과학 및 의료기술의 급격한 발달로 인간의 평균수 명이 연장되었고, 질병의 양상이 급성질환에서 개인뿐 아니라 가족, 나아가 국가경쟁력에 영향을 주는 만성질환으로 변화되고 있다. 만성질환 중에서도 만성신부전은 신 조직이 더 이상 기능할 수 없게 되어 나타나는 질병으로 회복할 수 없는 상태로 치료와 생명을 연장하기 위해서는 신 이식 이나 투석을 받아야 한다(Min, 2003). 또한 계속적으로 조절하며 살아야 하는 상황에 처해 있기 때 문에 질병을 관리하는 데 있어서 지속적인 자가간호수행을 해야 하며, 그에 따라 자신의 생활양식과 활 동을 재조직해야 하므로 현실적으로 많은 어려움에 직면하게 된다(Chang, 1996).

Korean Society of Nephrology(2004)에 따르면 2003년 말에 신 대체요법을 받고 있는 환자 수 는 혈액투석이 23,348명, 복막투석이 6,807명, 신장이식이 8,635명으로 총 환자 수는 38,790명이라 고 보고하고 있다. 그 중 혈액투석은 주기적으로 노폐물과 수분을 걸러내어 단지 증세를 완화시키 는 것에 불과하며 남은 일생동안 계속해서 기계에 의존하여 1회에 4시간 이상 주 2-3회의 치료를 받아야 하는 특성으로 인하여 환자는 정신적, 경제적 및 신체적 부담을 크게 느끼게 된다(Min, 2004).

혈액투석환자는 질병의 조절은 가능하나 완치되지 않는다는 점과 증상이 뚜렷하지 않아서 평생 동안 치료와 자가간호를 계속해야 되는 문제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환자들은 자신의 질병, 치료 절차, 질병치료과정에서의 환자역할을 이해하기 위해 좀 더 포괄적인 교육 및 정보를 필요로 한다 (Lauer et al, 1982). Lim(1997)은 혈액투석환자의 투석에 대한 지식과 교육요구도 조사에서 혈액 투석환자의 지식정도는 중정도이고 교육 요구도도 높았으나 간호사의 교육수행정도는 교육요구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게 지각하고 있는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 그러므로 이들의 교육요구를 충족시 켜 자가관리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도록 돕는 체계적인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이 필요하다.

또한 혈액투석환자는 정해진 투석일정에 맞추어 병원을 방문하여 기계에 의존한 혈액투석치료를 받아야 하는 수동적인 치료를 받게 되며, 신기능 저하와 관련된 불편감이나 합병증을 최소화하기 위해 엄격한 수분제한, 식이요법, 약물복용, 혈관통로 관리 등 지속적으로 노력하는 적극적인 자가 간호수행이 필요하다(Bae, 2005). 이러한 이행사항들을 어기게 되면 신체적으로 부작용이 초래되 거나 치명적 손상을 가져올 수도 있다(Evertt et al, 1993). 이 같은 혈액투석환자의 신체적 상태와 질병상태 변화를 평가하기 위해서는 혈중 칼륨, 혈중 인, 투석과 투석 간 체중증가 등과 같은 생 리적 지표를 이용하고 있고(Chang, 1996), 많은 연구들에서 혈액투석환자의 자가간호수행이 생리적 지표를 향상시킬 수 있다고 보고하고 있다(Kim, 1999; Lee, 2003; Song, 1999).

혈액투석실 간호사는 환자와의 접근이 용이하고 많은 시간을 같이 하는 의료인으로서 환자의 건 강문제를 파악하는데 용이하고, 진단과 치료, 예후를 알고 있으므로 대상자에게 적합한 교육을 할

(4)

수 있다(Bae, 2005). 또한 대상자의 교육요구를 사전에 파악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다른 분야의 전 문가에 의한 교육도 강화하고 조절할 수 있는 이상적인 위치에 있다고 할 수 있다(Magrill, Williams, & Caspi, 1986). 따라서 간호사는 환자와 가족에게 혈액투석과 관련된 유용한 교육과 정 보를 제공함으로써 혈액투석으로 인한 합병증을 최소화 하고 건강상태를 바람직한 방향으로 이끌 어 환자 자신이 건강문제에 잘 대처하고 환자 스스로 자가간호를 수행할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할 것이다.

혈액투석환자는 신체적 기능저하 뿐만 아니라 집중력, 기억력, 논리적 사고와 같은 인지기능이 감소하며(Galassi, Ferrari, Cobelli, & Rizzuto, 1998), 특히 혈액투석을 시작한 지 1년 미만의 시기 는 수난기로 신체적인 변화와 이상증상 발현에 관심이 집중되고 타인의 도움에 전적으로 의지하는 시기이므로(Shin, 1995), 환자교육과 효과적인 정보제공을 위해서는 대상자의 인지기능에 맞는 개별 화되고 체계적인 교육접근이 이루어져야 한다(Kwon, 1998). 그러나 혈액투석환자를 위해 사용되었 던 기존의 교육프로그램들은 강의식 교육방법이 주류를 이루고 있었으며, 이러한 강의형태는 다수 의 환자들이 동시에 교육을 받을 수 있는 경제적인 장점이 있는 반면 대상자의 다양한 수준이 고 려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Song, 2004). 따라서 본 교육프로그램은 대상자의 생활특성과 인지기 능에 맞는 개별화된 교육내용과 환자의 행위변화를 유도하는 전략과 환자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하 는 대화식 교육으로 동기가 유발될 수 있도록 교육프로그램 내용을 구성하였다.

최근 국내 혈액투석 환자교육과 관련된 간호연구는 운동과 식이요법에 대한 환자교육의 효과 (Kang, 2004; Shin, 2005; Suh, 2002), 교육이 자가 간호 지식이나 자가간호수행에 미치는 영향 (Jeong, 1995; Lee, 2003; Song, 1999; Song, 2004), 혈액투석환자 교육요구도와 교육실태 조사(Bae, 2005; Lim, 1997; Lim, 2005), 간호사 교육프로그램 개발(Jung, 2000)에 관한 연구로 이들 연구는 주로 전체 혈액투석환자를 대상으로 포괄적으로 이루어졌다. 그러나 신체적인 변화와 이상증상 발 현에 관심이 집중되고 타인의 도움에 전적으로 의지하는 시기인 초기 혈액투석환자를 대상으로 교 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효과를 분석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자는 초기 혈액투석환자를 대상으로 개별화되고 체계적인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초기 혈액투석환자들의 혈액투석에 관련된 지식과 자가간호수행 정도 및 생리적 지표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고자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초기 혈액투석환자를 대상으로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함으 로써 초기 혈액투석 환자를 위한 효율적인 간호 중재법을 개발하는 것이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 과 같다.

․교육프로그램이 초기 혈액투석환자의 혈액투석에 대한 지식정도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한다.

․교육프로그램이 초기 혈액투석환자의 자가간호수행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한다.

(5)

․교육프로그램이 초기혈액투석 환자의 생리적 지표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한다.

연구가설

․제 1가설 : 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한 초기 혈액투석환자는 참여하지 않은 초기 혈액투석환자보다 혈액투석에 대한 지식 정도가 더 높을 것이다.

․제 2가설 : 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한 초기 혈액투석환자는 참여하지 않은 초기 혈액투석 환자보다 자가간호수행 정도가 더 높을 것이다.

․제 3가설 : 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한 초기 혈액투석환자는 참여하지 않은 초기 혈액투석환자보다 생리적 지표가 더 양호할 것이다.

용어 정의

․초기 혈액투석환자 : 혈액투석을 시작한 지 1년 미만인 환자로 신체적인 변화와 이상증상 발 현에 관심이 집중되고 타인의 도움에 전적으로 의지하는 시기로서, 말기 신 질환으로 인공 신장기 를 통한 물질의 확산. 용질이동, 초여과에 의해 체내의 노폐물 배출과 전해질의 균형을 유지하는 환자이다(Korean Nephrology Nurses' Association, 이하 KNNA, 1996). 본 연구에서는 만성신부 전으로 진단을 받고 C대학병원 신장센터에 주 1-3회 정기적으로 내원하여 치료를 받는 외래환자 로서 혈액투석치료를 시작한지 1년 미만 된 환자를 말한다.

․혈액투석에 대한 지식 : 시각, 경험 또는 보고서에 의해 얻은 사실, 진실, 또는 원칙들에 대한 지적 습득으로(Simons-Morton, Greene, & Gottlieb, 1995), 본 연구에서는 혈액투석과 관련된 지 식의 정도를 측정한 것으로 Hong(1999)이 개발한 20문항 측정도구를 Song(2002)이 대상자가 응답 하기 쉬운 내용으로 수정ㆍ보완한 20문항의 측정도구로 측정한 점수를 말한다.

․자가간호수행 정도 : 자신의 생명, 통합된 기능 및 안녕을 위한 기능을 조절하기 위해 자신이 나 환경에 대해 수행하는 활동으로(Orem, 1985). 본 연구에서는 혈액투석과 관련해서 환자 스스로 수행하는 건강유지ㆍ증진행위로서 Song(1999)이 개발한 20문항의 측정도구를 Lee(2003)가 내용을 수정ㆍ보완한 31문항의 측정도구로 측정한 점수를 말한다.

․생리적 지표 : 혈액투석환자의 자가간호에 의해 영향을 받는 생리적 지표는 BUN, Creatine, 혈중 칼륨, 혈중 인과 같은 혈중 검사수치와 투석 간 체중증가, 투석전 이완기 혈압이다(Chang, 1996). 본 연구에서 혈액투석환자의 생리적 지표는 혈중칼륨(Kalium, 이하 K, mEq/ℓ), 혈중 인 (Phosphate, 이하 P, ㎎/㎖), 체중증가량(Ideal Weight Gain, 이하 IWG, Kg)의 측정치를 의미한다.

체중증가량은 현 체중증가에서 건 체중을 뺀 값이며 건 체중(dry weight)은 과다한 체액이 거의 또는 모두 제거된 투석 후의 목표 체중치를 의미한다(KNNA, 1996).

․교육프로그램 : 초기 혈액투석환자가 혈액투석에 대한 지식을 습득하고 자가간호수행 정도를

(6)

높일 수 있도록 연구자가 선행연구들을 토대로 개발한 교육프로그램이며, 초기 혈액투석환자를 대 상으로 혈액투석에 대한 지식과 자가간호수행 정도의 변화를 목적으로 1주 2회 각 50분씩 총 4주 간 8회 실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인 내용은 대상자의 생활특성과 인지기능에 맞는 개별화 된 교육내용과 환자의 행위변화를 유도하는 전략과, 환자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대화식 교육으 로 동기가 유발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질병의 특성, 혈액투석의 이해, 식이, 투약, 일상생활 및 운 동, 합병증, 추후관리의 7개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연구방법

연구설계

본 연구는 교육프로그램이 초기 혈액투석환자의 혈액투석에 대한 지식과 자가간호수행 정도 및 생리적 지표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반복측정설계(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post test with repeated measure design)의 유사 실험 연구이다.

연구대상자

본 연구의 대상자는 2006년 1월 2일부터 2006년 3월 4일까지 G 광역시에 소재한 C 대학교병원 에서 혈액투석을 받는 외래환자 50명중 편의표집한 실험군 25명 대조군 25명으로 배정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이해하고 참여에 동의한 자로 만성신부전 진단을 받고 투석치료를 받는 만 20세 이상 75세 이하의 성인 남․여이며, 혈액투석을 영구적 혹은 일시적 혈관통로를 통해 시행하고 있 는 1년 미만 된 환자로 의무기록상 정신질환 병력이 없고, 질문지의 내용을 이해할 수 있고 언어 적 의사소통이 가능하며, 청력과 시력에 이상이 없고 운동능력에 제한이 없는 자로 대상자를 선정 하였다.

실험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하여 실험군과 대조군의 배정은 오전과 오후로 달리하여 구분하였다.

본 연구의 실험군은 25명이었으나 실험 후 측정에 누락된 자 1명, 타 병원으로의 전원 3명을 제외 하고 4주 동안의 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한 총 21명으로 실험군의 탈락률은 16% 이었다. 대조군은 총 25명으로 시작하였으나 사후 측정 거부 2명, 타 병원으로의 전원 1명을 제외한 총 22명으로 대 조군의 탈락률은 12% 이었다.

연구도구

• 혈액투석에 대한 지식

(7)

혈액투석에 대한 지식 측정도구는 Hong(1999)이 개발한 20문항의 도구를 Song(2002)이 대상자 가 응답하기 쉬운 내용으로 수정ㆍ보완하고 본 연구자가 전문가 집단의 자문을 받아 어휘를 수정 한 20문항으로 구성되어있다. 도구는 정상신장의 기능과 질병의 특성, 혈액투석, 투약, 식이, 운동 및 일상생활, 합병증, 추후관리 및 치료 등으로 구성되었으며, 점수는 최저 0점에서 최고 20점으로 점수가 높을수록 혈액투석에 대한 지식정도가 높은 것을 의미한다. 본 도구의 개발 당시 신뢰도는 Cronbach' α 값이 .82이었으며, Song(2002)의 연구에서는 .79, 본 연구에서는 .88 이었다.

• 자가간호수행정도

자가간호수행 정도 측정도구는 Song(1999)이 개발한 24문항의 도구를 Lee(2003)가 수정ㆍ보완 한 31문항의 도구를 사용하였다. 도구는 동정맥루관리, 혈압과 체중측정, 식이, 약물복용, 운동과 휴식, 신체관리, 사회생활로 구성되어 있으며, 점수가 높을수록 자가간호수행 정도가 높음을 의미 한다. 도구개발 당시의 신뢰도는 Cronbach's α 값이 .89이었으며, 본 연구에서는 .89 이었다.

• 생리적 지표

․혈중 칼륨(K) : 혈액투석 시작 직전에 5cc의 혈액을 plain tube에 채취한 후 C 대학교병원 임 상병리과에서 10분간 원심 분리하여 Bayer 장비를 이용, 자동분석으로 계산한 값을 말하며, 정상 범위는 3.5∼5.5mEq/ℓ이다.

․혈중 인(P) : 혈액투석 시작 직전에 5cc의 혈액을 plain tube에 채취한 후 C 대학교병원 임상 병리과에서 10분간 원심 분리하여 Konelab 장비를 이용, 자동분석으로 계산한 값을 말하며, 정상 범위는 3.0∼4.5㎎/㎖이다.

․체중증가량(IWG) : C 대학교병원 신장센터 내에서 사용하고 있는 CAS 전자식 디지털 지시 저울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체중증가량은 현 체중에서 건 체중을 뺀 값을 말하며, 건 체중(dry weight)은 과다한 체액이 거의 또는 모두 제거된 투석 후의 목표 체중치를 의미한다(KNNA, 1996). 본 연구에서 체중증가량은 건 체중을 기준으로 변화한 체중증가량을 일주일간 3회 측정하 여 평균한 값(Kg)을 말한다.

교육프로그램

본 연구에서 교육프로그램은 기존에 개발된 혈액투석환자를 위한 교육프로그램을 참고로 하여, 본 연구자가 연구의 목적인 혈액투석환자의 지식과 자가간호수행 정도 증진을 위해 집단교육과 개인교육을 통해 서로의 정보를 나누고, 지지하며, 적절한 행위를 모델링 할 수 있도록 개발한 교육 프로그램이다.

(8)

혈액투석환자를 위한 교육프로그램을 주 2회, 1회 4주간 총 8회에 걸쳐 실험군에게만 실시하였 고, 1개 집단의 구성인원은 10-11명으로 2개 집단을 운영하였으며, 1회 소요시간은 50분이었다.

프로그램은 8회기로 구성되어 있으며, 1회기는 신장의 기능과 만성신부전의 이해, 2회기는 혈액 투석의 이해, 3회기는 동정맥루 관리 및 운동요법, 4회기는 약물요법, 5회기는 자가간호활동 비디 오 시청, 6회기는 개인별 약물교육, 7회기는 사회생활 및 합병증과 추후관리 8회기는 변화된 모습 점검으로 구성되어 있다. 프로그램 운영방법은 교육책자를 배부하고 애니메이션 효과가 있는 Power point 자료와 비디오 시청을 하도록 진행하면서 단계별로 학습할 수 있도록 하였다. 집단 교육 시에는 교육내용에 대한 강의가 끝난 후 구성원들끼리 경험을 나누는 토의 형식으로 진행하 여 프로그램에 참여함으로써 경험을 공유할 수 있도록 하였다. 개인별 교육은 환자가 투석을 받는 동안 침상 옆에서 실시하여 개개인의 약물투여 방식에 따라 다르게 설명하였고, 매회 마무리 단계 에서는 자가간호수행 일지를 점검하였다.

자료수집방법

자료는 질문지를 사용하여 면접법에 의해 2006년 1월 2일부터 3월 4일까지 수집하였고, 구체적 인 자료수집방법은 다음과 같다.

실험군과 대조군에게 프로그램 시작 전 일반적 특성, 질병관련 특성, 혈액투석에 대한 지식, 자 가간호수행 정도에 대하여 설문지를 통하여 직접면접법에 의해 조사하였고, 교육프로그램 종료 후 1주에, 교육프로그램 종료 후 4주에 혈액투석에 대한 지식, 자가간호수행 정도에 대해 조사하였다.

혈중 칼륨과 혈중 인, 투석 간 체중증가량은 의무기록지를 통하여 수집하였다. 혈중 칼륨과 혈중 인은 프로그램 실시 전과 교육프로그램 종료 후 1주에, 교육프로그램 종료 후 4주에 측정된 혈액 검사를 통하여 조사하였고, 투석 간 체중증가량은 프로그램 실시 전, 프로그램 종료 1주 후와 종 료 4주 후 혈액투석 시작 직전 일주일간 3회 측정된 체중 변화량의 평균을 이용하였다. 실험의 확 산을 방지하기 위하여 실험군과 대조군이 서로 만나지 않도록 오전과 오후에 나누어 자료를 수집 하였다.

자료분석방법

수집된 자료는 SPSS PC+ 12.0 for Windows를 사용하여 전산통계 처리하였으며, 사용된 분석 방법은 다음과 같다.

․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과 질병관련 특성은 빈도와 백분율을 이용하여 분석 하였다.

․ 정규성 검증을 위하여 Kolmogorov - Smirnov test를 통해 분석하였다.

․ 실험군과 대조군의 일반적 특성과 질병관련 특성 및 종속변수에 대한 사전 동질성검증은 Chi-square와 Fisher's exact test, t- test를 통해 분석하였다.

․ 가설 검정은 repeated measure ANOVA, 사후검증은 Bonferroni 다중비교법을 이용하여 분석

(9)

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특성 및 동질성 검증

․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질병관련 특성

실험군과 대조군의 일반적 특성과 질병관련 특성에 대한 동질성 검증결과, 성별, 연령, 학력, 결혼상태, 신장내과 외래 정규적 방문여부, 투석에 대한 정보 취득, 과거 교육프로그램 참여여부, 과거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 교육프로그램 참여의사, 주간병인, 혈액투석기간, 혈액투석 이 후 입원경험측면 측면에서 두 집단은 동질하였다<Table 1>

종속변수에 대한 동질성 검증

정규성 검증을 위하여 Kolmogorov - Smirnov test를 시행한 결과 각각 실험군과 대조군이 모 두 정규분포를 이루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프로그램 중재 전 실험군과 대조군은 혈액투석에 대 한 지식과 자가간호수행정도, 생리적 지표 측면에서 두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아 동질한 집단임을 확인하였다<Table 2>.

가설검증

• 제 1가설

“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한 초기 혈액투석 환자는 참여하지 않은 초기 혈액투석 환자보다 혈 액투석에 대한 지식 정도가 더 높을 것이다”라는 가설을 검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과 대조군의 사전, 중재 후 1주, 중재 후 4주의 혈액투석에 대한 지식 점수는 실험군은 사전 15.10점, 중재 후 1주 17.02점, 중재 후 4주 17.45점이었으며, 대조군 은 사전 14.59점, 중재 1주 후 14.87점, 중재 후 4주 15.05점 이었다.

이를 Repeated measures ANOVA로 분석한 결과, 주효과인 혈액투석에 대한 지식은 실험군과 대조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F=48.80,

p

=.002), 세 시점간의 지식 정도의 변화도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F=65.65,

p

=.001), 측정시기와 집단의 교호작용 효과도 유의한 차이를 보여(F=9.84,

p

=.005), 가설 1은 지지되었다<Table 3>. 또한 실험군의 혈액투석에 대한 지식의 측정시기별로 다 중비교한 결과, 사전조사 시기(T1)보다 사후 1주(T2)에 유의하게 높아졌고(

p

=.005), 사후 1주(T2)보 다 사후 4주 (T3)에도 유의하게 높았다(

p

=.001)<Table 3><Figure 1>.

(10)

• 제 2가설

“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한 초기 혈액투석 환자는 참여하지 않은 초기 혈액투석 환자보다 자 가간호수행 정도가 더 높을 것이다.”라는 가설을 검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과 대조군의 사전, 중재 후 1주, 중재 후 4주의 자가간호수행 정 도는 실험군은 사전 3.22점, 중재 후 1주 4.04점, 중재 후 4주 4.38점이었으며, 대조군은 사전 3.25 점, 중재 1주 후 3.46점, 중재 후 4주 3.47점 이었다.

이를 Repeated measures ANOVA로 분석한 결과, 주효과인 자가간호수행 정도는 실험군과 대 조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F=57.46,

p

=.001), 세 시점간의 자가간호수행 정도의 변화도 유 의한 차이를 보였고(F=26.65,

p

=.001), 측정시기와 집단의 교호작용 효과도 유의한 차이를 보여 (F=10.87,

p

=.004), 제 2가설은 지지되었다. 실험군의 자가간호수행 정도의 측정시기별 다중비교한 결과, 사전조사 시기(T1)보다 사후 1주(T2)에 유의하게 높아졌고(

p

=.001), 사후 1주(T2)보다 사후 4 주 (T3)에도 유의하게 높았다(

p

=.000) <Table 3><Figure 1>.

• 제 3가설

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한 초기 혈액투석환자는 참여하지 않은 초기 혈액투석환자보다 생리적 지표가 더 양호할 것이다.  생리적 지표는 혈중 칼륨과 혈중 인, 투석 간 체중증가량을 측정한 것으로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혈중 칼륨 : 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과 대조군의 사전, 중재 후 1주, 중재 후 4주의 혈 중 칼륨량은 실험군의 경우 사전 4.62, 중재 후 1주 4.11, 중재 후 4주 4.03 mEq/ℓ 이었으며, 대 조군의 경우에는 사전 4.60, 중재 후 1주 4.53, 중재 후 4주4.40mEq/ℓ 이었다. 이를 반복측정자료 에 대한 분산분석(Repeated measures ANOVA)으로 분석한 결과, 주효과인 혈중 칼륨량은 실험군 과 대조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F=48.37,

p

=.003), 세 시점간의 혈중 칼륨량의 변화도 유 의한 차이를 보였고(F=342.52,

p

=.001), 측정시기와 집단의 교호작용 효과도 유의한 차이를 보여 (F=10.84,

p

=.003), 제 3가설은 지지되었다. 실험군의 혈중 칼륨량을 측정시기별 다중비교한 결과, 사전조사 시기(T1)보다 사후 1주(T2)에 유의하게 높아졌고(

p

=.001), 사후 1주(T2)보다 사후 4주 (T3)에도 유의하게 높았다(

p

=.005).

․혈중 인 : 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과 대조군의 사전, 중재 1주 후, 중재 4주 후의 혈중 인량은 실험군의 경우 사전 4.78, 중재 후 1주 4.05, 중재 후 4주 4.01㎎/㎖이었으며, 대조군의 경우 에는 사전 4.74, 중재 후 1주 4.71, 중재 후 4주 4.52㎎/㎖이었다. 이를 반복측정자료에 대한 분산 분석(Repeated measures ANOVA)으로 분석한 결과, 주효과인 혈중 인량은 실험군과 대조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F=56.69,

p

=.002), 세 시점간의 혈중 인량의 변화도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F=27.54,

p

=.001), 측정시기와 집단의 교호작용 효과도 유의한 차이를 보여(F=9.99,

p

=.003), 제 3 가설은 지지되었다. 실험군의 혈중 인량의 측정시기별 다중비교한 결과, 사전조사 시기(T1)보다 사후 1주(T2)에 유의하게 높아졌고(

p

=.000), 사후 1주(T2)보다 사후 4주 (T3)에도 유의하게 높았다(

p

=.005).

(11)

․ 체중증가량 : 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과 대조군의 사전, 중재 후 1주 , 중재 후 4주 의 투석 간 체중증가량은 실험군의 경우 사전 2.84, 중재 후 1주 2.10, 중재 후 4주 2.03Kg이었으며, 대조군의 경우에는 사전 2.89, 중재 후 1주 2.82, 중재 후4주 2.71Kg이었다. 이를 반복측정자료에 대한 분산분석(Repeated measures ANOVA)으로 분석한 결과, 주효과인 체중증가량은 실험군과 대조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F=21.63,

p

=.004), 세 시점간의 체중증가량의 변화도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F=26.65,

p

=.001), 측정시기와 집단의 교호작용 효과도 유의한 차이를 보여(F=6.94,

p

=.007), 제 3가설은 지지되었다. 실험군의 체중증가량의 측정시기별 다중비교한 결과, 사전조사 시기 (T1)보다 사후 1주(T2)에 유의하게 높아졌고(

p

=.002), 사후 1주(T2)보다 사후 4주 (T3)에도 유의하게 높았다(

p

=.005)<Table 3><Figure 1>.

논 의

본 연구는 질병의 특성, 혈액투석의 이해, 식이, 투약, 일상생활 및 운동, 합병증, 추후관리의 7 개 영역으로 구성된 교육프로그램이 초기 혈액투석환자의 혈액투석에 대한 지식과 자가간호수행 및 생리적 지표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본 연구에서 초기혈액투석 환자를 위한 교육프로그램을 시행한 후 실험군의 지식정도가 대조군 보다 유의하게 높아 교육프로그램이 혈액투석에 대한 지식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 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Jeong(1995)의 혈액투석환자 대상 구조화된 환자 교육이 대상자의 혈액투 석에 대한 지식을 높일 수 있다는 연구결과와, Ford 등(2004)의 고인산혈증의 혈액투석환자에게 실시한 식이교육이 지식에 미치는 효과를 보는 연구에서 한 달에 한 번 20분에서 30분간 식이교 육을 받은 결과 6개월 후 실험군에서 지식수준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는 연구결과와 유사하였 다. 또한 50명의 복막투석환자를 대상으로 구조화된 교육을 1회 1시간씩 총 2시간을 실시한 결과 실험군에서 복막투석에 대한 지식이 높아졌다는 Lee(2000)의 연구결과와 Kim(1992)의 연구에서 20명의 복막투석환자를 대상으로 방문 간호교육을 2차에 걸쳐 시행한 결과 실험군의 지식정도가 더 높아졌다는 결과와도 유사하였다. 혈액투석을 시작한 지 1년 미만의 시기는 신체적인 변화와 이상증상 발현에 관심이 집중되고 타인의 도움에 전적으로 의지하는 시기로 이 시기의 환자들은 자신의 질병과 치료, 진단과 그들이 처한 새로운 상황에 대해서 알고 싶어 하며, 질병의 경과에 대처하고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 긴장에 적응할 수 있는 방법을 알고자하는 교육적 요구가 높다.

따라서 초기 혈액투석환자의 생활 특성을 고려하여 시행한 본 교육프로그램은 대상자의 교육적 요구를 충족시켜줌으로써, 혈액투석에 대한 지식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었다고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 초기혈액투석 환자를 위한 교육프로그램을 시행한 후 실험군의 자가간호수행 정도 가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높아 교육프로그램이 자가간호수행 정도를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인 것으 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Jeong(1995)의 혈액투석환자 41명을 대상으로 한 구조화된 환자 교육이 대상자의 자가간호수행 정도를 높일 수 있다는 연구결과와 유사하였고, 자기효능증진 프로

(12)

그램이 혈액투석환자의 자가간호수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Song(1999), Lee(2003)의 연구에서 실 험군의 자가간호 실천 점수가 대조군보다 높았다는 연구결과와 같았다. 또한 Song(2004)의 혈액투 석환자를 위한 엠파워먼트 프로그램의 적용효과를 검증하는 연구에서 교육프로그램이 자가간호수 행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결과와 같은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Lee(2000)의 연구에서 복막투석환자를 대상으로 1회 1시간씩 2회에 걸쳐 시행한 교육프로그램은 자가간호수행정도를 향 상시키지 못했다는 연구결과와 차이를 보이고 있다. 이는 단기간의 교육만으로는 자가간호수행정 도를 향상시키지 못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교육을 받더라도 환자 자신의 실천하고자 하는 의지나 신념이 변화되지 않는다면 환자의 행동을 변화시키기 어렵다는 것을 의미한다. 자가간호수 행 정도가 높아진 이유는 교육프로그램을 구성원들끼리 경험을 나누는 토의 형식으로 진행하여 프로그램에 참여함으로써 경험을 공유할 수 있도록 했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또한 매회 마무리 단 계에서는 자가간호수행일지를 점검하고 대상자와의 대화를 통해 그에 대한 문제해결을 하도록 하 여 지속적인 자가관리를 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연구에서 초기 혈액투석환자를 대상으로 교육프로그램을 실시한 후, 실험군의 생리적 지표가 모두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낮아져 교육프로그램이 생리적 지표를 양호하게 유지시키는데 효과적 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Chang(1996)의 생리적 지표로 투석 간 체중증가, 혈중 칼륨, 혈중 인을 이용하여 이행행위를 조사한 연구에서 이행행위를 잘할수록 투석간 체중증가와 혈청 인의 점수가 허용범위에 근접하는 것으로 보고한 결과나, Song(1999)의 자기효능증진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는 연구에서 프로그램에 참여한 혈액투석환자의 체중 증가량이 더 낮았고, 혈중 칼 륨과 혈중 인은 유의한 차이가 없다는 연구결과와 부분적으로 일치하고 있다. 이와 유사하게 Lee(2003)의 자기효능증진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는 연구에서 프로그램에 참여한 혈액투석환 자의 혈중 칼륨과 체중 증가량이 더 낮았고, 인은 유의한 차이가 없다고 보고하였다. Kim &

Kim(1992)은 혈액투석환자의 식이 및 약물복용을 위한 계속교육 후 실험군과 대조군간의 혈중 칼 륨치는 유의한 차이가 없다고 하였으나, 실험군의 경우 혈중 칼륨 평균치가 교육 전보다 낮아졌다 고 하였고, 각 단계별 계속교육 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2차 교육 이후로 유의한 차이를 보여 결 국 1회 교육만으로는 혈중 칼륨량의 변화를 초래하기에 충분치 않음을 시사하고 있다. Song(2004) 의 혈액투석환자를 위한 엠파워먼트 프로그램의 적용효과를 검증하는 연구에서 교육프로그램이 혈중 칼륨, 혈중 인, 투석 간 체중증가량을 감소시켰다는 결과와도 유사하였다. Chang(1996)은 생 리적 지표 중 투석 간 체중증가가 이행의 가장 어려운 점이라고 보고하고 있고, 한국인의 특성상 식습관이 채식위주로 되어있고 과일 섭취가 많기 때문에 칼륨조절에 대한 어려움이 많고, 인은 전 반적인 음식에 모두 함유되어 있어 인 조절에 어려움이 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실험군의 경우 식이요법과 약물복용에 대한 4주간에 걸친 반복적인 교육, feed back, 경험공유가 이루어진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받음으로써 생리적 지표를 조절한 성공적인 자가간호수행의 결과라고 할 수 있다.

투석 간 체중증가량은 통상적으로 1.5∼2.0kg 이하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두 군 모두 정상범위보다 높았고, 혈액투석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Lee, 2003; Song, 1999; Song, 2004)들에

(13)

서 대상자들의 투석 간 체중증가량이 2.0Kg 이상으로 보고된 연구결과를 보면 투석 간 체중증가 량을 정상적인 범위로 유지하는 것이 어렵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투석 간 체중 증가량은 급 격히 변하지 않고 서서히 변화되므로 수치의 감소 자체가 의미는 있으나 실제로 대상자의 체액수 준과 관련이 있어 모든 대상자에게 일반화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따라서 일방적인 투석 간 체중 증가량의 감소를 추구하기 보다는 적절한 투석 간 체중의 유지를 위한 보다 철저하고 집중적인 수분 및 염분조절 교육과 적극적인 체중조절 중재방법이 더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이를 종합해 볼 때 혈액투석환자를 위한 교육프로그램은 혈액투석 환자의 혈액투석에 대한 지 식 정도, 자가간호수행 정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생리적 지표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 실증적으 로 검증되었다. 또한 프로그램 종료 4주 후까지도 그 효과가 지속되었으므로 4주 이후에도 효과가 성공적으로 지속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교육프로그램이 지속적이고 반복적으로 적용되어야 할 것 으로 사료된다. 혈액투석실 간호사는 환자와의 접근이 용이하고 많은 시간을 같이 하는 의료인으 로서 대상자의 교육요구를 사전에 파악하고, 다른 분야의 전문가에 의한 교육을 강화하고 조절하 여 환자와 가족에게 혈액투석과 관련된 유용한 교육과 정보를 반복적이고 지속적으로 제공함으로 써, 혈액투석으로 인한 합병증을 최소화 하고 건강상태를 바람직한 방향으로 이끌어 환자 자신이 건강문제에 잘 대처해 나가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하여야 할 것이다.

결론 및 제언

본 연구는 초기혈액투석 환자를 위한 교육프로그램이 혈액투석환자의 혈액투석에 대한 지식과 자가간호수행, 생리적 지표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실시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설계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post test design)에 의한 유사 실험 연구이다. 연구기간은 2006년 1월 2일부터 3월 4일까지이었으며, 연구대상은 G 광역시에 소재한 C대학교병원에서 혈액 투석을 받는 1년 미만 된 외래환자로 실험군 21명, 대조군 22명이었다. 자료수집은 연구자의 편견 이 측정에 미치는 영향을 배제하기 위하여 혈액투석실에서 2년 이상 근무한 간호학 석사학위 소 지자 간호사 2명을 연구보조원으로 선정하여 교육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실시된 교육프로그램은 초기 혈액투석환자의 혈액투석에 대한 지식과 자가간호수 행 정도를 증진시키고 생리적 지표인 혈중 칼륨과 인, 투석 간 체중증가량을 감소시키는데 효과적 인 간호중재라는 것이 실증적으로 검증되었다. 따라서 혈액투석을 시작한지 1년 미만 된 초기혈액 투석환자를 대상으로 한 본 교육프로그램은 혈액투석환자의 건강을 유지 ․ 증진하기 위한 독자 적인 간호 중재법으로 임상실무현장에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 본 프로그램을 실험기간과 대상자 수를 확대하여 실시한 후 효과를 검증해 볼 것을 제언한다.

․ 교육프로그램 종료 후 혈액투석에 대한 지식과 자가간호수행, 생리적 지표에 대한 변화의 지속

(14)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장기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 사회생활의 제한을 경험하고 있는 초기 혈액투석환자를 위한 교육프로그램에 사회적 지지가 포함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 본 프로그램을 기초로 하여 초기 복막 투석환자를 위한 교육프로그램의 개발을 제언한다.

References

Bae, J. E. (2005).

A study on the status of hemodialysis patient educa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The Ewha Womens University Korea, Seoul.

Chung, H. J. (2000).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of hemodialysis nursing education program using web-based learning system.

Unpublished master's thesis, The Yonsei University Korea, Seoul.

Chang, M. Y. (1996).

A study of the relationship among health related hardiness, self efficacy, compliance in hemodialysis pati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The Seoul National University Korea, Seoul.

Everett, K. D., Sletten, C., Carmack, C., Brant ley, P. J., Jones, G. N., & McKnight, T. (1993).

Predicting noncompliance to fluid restrictions in hemodialysis patients.

Dial Transplant, 22

(10), 614-620.

Ford, J. C., Pope, J. F., Hunt, A. E., & Gerald, B. J. (2004). The effect of diet education on the laboratory values and knowledge of hemodialysis patients with hyperphosphatemia.

J ournal of Renal Nutrition. 14

(1), 36-44.

Galassi, G., Ferrari, S., Cobelli, M., & Rizzuto, N. (1998). Neuromuscular complications of kidney disease.

Nephrology, Dialysis, Transplantation, 13,

41-47.

Hong, K. Y. (1999).

A study of the relationships among dialysis related knowledge, self efficacy and compliance of patient role behavior in hemodialysis pati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The Hanyang University Korea, Seoul.

Jeong, Y. R. (1995).

The effect of structured patient education on knowledge and behavior about self-care in hemodialysis pati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The Kyung Hee University Korea, Seoul.

Kang, S. S. (2004).

Effect of pre-dialysis nutrition education on nutritional status of hemodialysis pati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The Ewha Womens University Korea, Seoul.

Kim, G. H. (1999).

A study of the Relationship among self-esteem, social support, self-care compliance in hemodialysis pati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The Chosun University Korea, Gwangju.

Kim J. H. & Kim, M. S. (1992). A study of effect on continuous education for diet and

(15)

medication control hemodialysis patient.

J Korean Acad of Adult Nurs, 4

(2), 193- 208.

Kim, S. N. (1992).

The effect of patient teaching during home visits on the self-care knowledge and behavior of CAPD cli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The Ewha Womens University Korea, Seoul.

Kwon, J. H. (1998).

The effect of medication education on medication knowledgefor psychiatric inpati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The Seoul National University Korea, Seoul.

Lee, E. O., Lim, N. Y., & Park, H. A. (1998).

Nursing Medical Research and Statistical Analysis.

Seoul : Sumunsa.

Lee, J. W. (2003).

The effect of self-efficacy promotion program on hemodialysis patients self-efficacy, self-care practice and physiologic index.

Unpublished master's thesis, Th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of Korea, Jinju.

Lee, S. Y. (2000).

The effect of structured education on knowledge and behavior about self-care in peritoneal dialysis pati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The Kyung Hee University Korea, Seoul.

Lim, H. S. (2005).

Level of knowledge and educational demands in pre-dialysis patients with chronic renal failure.

Unpublished master's thesis, The Yonsei University Korea, Seoul.

Lim, Y. A. (1997).

Study on the knowledge about hemodialysis and the educational demand in hemodialysis pati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The Yonsei University Korea, Seoul.

Magrill, K., Williams, S., & Caspi, A.(1996). Patient education: progress and problems.

Nursing Management, 17

(2), 44-49.

Min, K. A. (2004).

Comparison of quality of life among hemodialysis & peritoneal dialysis pati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The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Korea, Daejon.

Min, Y. S. (2003).

Relationship among burden, social support and quality of life for the family caregiver of hemodialysis pati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The Catholic University Korea, Seoul.

Orem, D. E.(1985).

Nursing concepts of practice(

3rd ed). New York : McGraw- Hill.

Shin, M. J. (1995).

A study of the lived experiences of clients receiving long-term hemodialysi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The Chung Ang University Korea, Seoul.

Shin, I. O. (2005).

The effect of exercise program on health promotion of hemodialysis pati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The Kyung Hee University Korea, Seoul.

Seo, H. J. (2002).

A Study on effect of nutrition education in hemodialysis patient.

Unpublished master's thesis, The Changwon National University, Korea, Kyungnam.

Simons-Morton, B. G., Greene, W. H., & Gottlieb, N. H. (1995).

Introduction health to health education and health promotion.

Prospect Heights, Illinois : Waveland Press.

Song, E. S. (2002).

Study on the knowledge about hemodialysis and compliance of patient role

behavior in hemodialysis pati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The Chosun University Korea, Gwangju.

(16)

Song, M. R. (1999).

The development and test of self-efficacy promotion program on self-care of hemodialysis patient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The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Korea, Seoul.

Song, M. S. (2004).

Effects of empowerment program on the hemodialysis patient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The Kosin University of Korea, Busan.

(17)

<Table 1> Homogeneity test of general and disease-related characteristics between two groups

Characteristics Category Exp.(n=21) Cont.(n=22) x

2

/or

Fisher's

exact test

p

n(%) n(%)

Gender Male 9(42.9) 10(42.5) 1.726 .195

Female 12(57.1) 12(54.5)

Age ≦40 6(28.6) 8(36.4) - .651

41-60 10(47.6) 11(50.0)

≧61 5(23.8) 3(13.6)

Education Elementary 2( 9.5) 1( 4.5) - .404

level Middle school 3(14.3) 4(18.2)

High school 10(47.6) 12(54.6)

College 5(23.8) 4(18.2)

Graduate school 1( 4.8) 1( 4.5)

Marital Single 3(14.3) 2( 9.1) - .347

status Married 16(76.2) 18(81.9)

Divorce 0( 0.0) 1( 4.5)

Bereavement 2( 9.5) 1( 4.5)

OPD visit Irregular 19(90.5) 20(90.9) .215 .412

Regular 2( 9.5) 2( 9.1)

Source of Doctor 10(47.6) 11(50.0) - .201

information Nurse 9(42.9) 10(45.5)

patient meeting 1( 4.8) 1( 4.5)

No 1( 4.8) 0( 0.0)

Past education Yes 17(81.0) 19(86.4) 1.685 .124

No 4(19.0) 3(13.6)

Satisfaction of Very high 1( 4.8) 2( 9.1) - .431

past education High 10(47.6) 11(50.0)

Moderate 6(28.6) 7(31.9)

Low 3(14.3) 1( 4.5)

Very low 1( 4.8) 1( 4.5)

Intention of education Yes 18(85.7) 19(86.4) 2.068 .091

No 3(14.3) 3(13.6)

Care giver Spouse 16(76.2) 18(81.9) - .154

Children 2( 9.5) 1( 4.5)

Siblings 1( 4.8) 0( 0.0)

Parents 2( 9.5) 2( 9.1)

Others 0( 0.0) 1( 4.5)

Duration of HD 1-6(ms) 7(33.3) 7(31.8) 1.201 .232

7-12(ms) 14(66.7) 15(68.2)

Admission. after HD Yes 3(14.3) 5(22.7)

No 18(85.7) 17(77.3) - .275

* OPD: Out Patient Department HD: Hemodialysis

(18)

<Table 2> Homogeneity test of dependent variables between two groups before education program

Exp.(n=21) Cont.(n=22)

t

p

M±SD M±SD

Knowledge 15.10±2.56 14.59±2.71 .027 .082

Self-care practice 3.22± .86 3.25± .59 -.032 .079

Physiologic index

Kalium(mEq/ℓ) 4.62± .71 4.60± .84 .137 .068

Phosphate(㎎/㎖) 4.78± .71 4.74±1.03 .182 .142

Ideal weight gain(Kg) 2.84± .57 2.89± .61 .160 .077

(19)

<Table 3> Changes of knowledge, self-care practice, physiologic index over time

source Sum of

Squares df Mean

Squares F

p

Knowledge Within-Subjects

time 642.743 1 642.743 65.65 .001

time*group 9.764 1 9.764 9.84 .005

Between-Subjects

group 648.957 1 648.957 48.80 .002

Self-care practice Within-Subjects

time 389.706 1 389.706 26.65 .001

time*group 23.807 1 23.807 10.87 .004

Between-Subjects

group 137.476 1 137.476 57.46 .001

Physiologic index

Kalium(mEq/ℓ) Within-Subjects

time 402.142 1 402.142 342.52 .001

time*group 22.718 1 22.718 10.84 .003

Between-Subjects

group 129.365 1 129.365 48.37 .003

Phosphate(㎎/㎖) Within-Subjects

time 397.311 1 397.311 27.54 .001

time*group 23.807 1 23.807 9.99 .003

Between-Subjects

group 148.663 1 148.663 56.69 .002

Ideal weight gain(Kg) Within-Subjects

time 301.214 1 301.214 26.65 .001

time*group 20.849 1 20.849 6.94 .007

Between-Subjects

group 104.311 1 104.311 21.63 .004

(20)

T i me (Kn o w l e d g e )

17.45

15.05 17.02

15.1 14.87

14.59 14 16 18 20

T 1 T 2 T 3

E x p . C o n t . (S c o r e s )

T i me (S e l f -c a r e p r a c t i c e )

4.38

3.47 4.04

3.22 3.46

3 3.25 3.5

4 4.5

T 1 T 2 T 3

E x p . C o n t . (S c o r e s )

T i me (Ka l i u m)

4.03 4.4 4.11

4.62 4.6 4.53

3.5 4 4.5 5

T 1 T 2 T 3

E x p . C o n t . (mE q / l )

T i me (P h o s p h a t e )

4.01 4.52 4.05

4.78 4.74 4.71

3.5 4 4.5 5

T 1 T 2 T 3

E x p . C o n t . (mg / ml )

T i me (Id e a l w e i g h t g a i n ) 2.03 2.84 2.71

2.1 2.89

2.82

1.5 2 2.5 3 3.5

T 1 T 2 T 3

E x p . C o n t . (Kg )

T1: pretest, T2: one week after treatment, T3: four weeks after treatment

<Figure 1> Changes of knowledge, self-care practice, physiologic index over time

참조

관련 문서

본 연구는 임상 간호사의 병원감염관리에 대한 지식, 인지도, 임파워먼트 및 병 원감염관리에 대한 실천 간의 관계를 파악하고 병원감염관리 실천에 영향을

보드게임기반 수학 STEAM 교육프로그램이 융합인재역량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본 연구는 소주천 명상수련이 스트레스 해소 및 치유 에너지 향상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종교를 가지고 있는 분들이 심오 한 기도를 하였을때 명상과 동등한 효과를

본 연구는 무용공연 사회공헌활동이 지역주민인식 및 지지협력의사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해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지자체에서 실시하고 있는 무용공연 활동에

At P10, electron microscopic observations of BDNF-IR Purkinje cells revealed numerous short segments of rough endoplasmic reticulum (rER), many of which showed

본 연구는 병원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병원 이미지가 고객 이용의도에 미치는 효과를 고찰하는데 있어,병원 이미지를 형성하는 병원 서비스 품질이 어떠한 경로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특허권 및 연구개발 활동 관련 지출에 대한 자본화 혹은 비용화에 따른 회계처리가 경제적 부가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으며,

본 연구의 목적은 생활체육 배드민턴 동호인들에게 체계적인 운동프로그램을 통하여 8 주간 배드민턴 운동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중년여성들에게 신체구성 및 체력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