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출생 출생 출생 출생 초기 초기 초기 초기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출생 출생 출생 출생 초기 초기 초기 초기"

Copied!
40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2006 년 8월 박사학위 논문

출생 출생 출생 출생 초기 초기 초기 Thyroxine 초기 Thyroxine Thyroxine 투여가 Thyroxine 투여가 투여가 투여가 흰쥐

흰쥐 흰쥐

흰쥐 소뇌에서 소뇌에서 소뇌에서 소뇌에서 BDNF BDNF BDNF와 BDNF 와 와 와 TrkB TrkB TrkB TrkB함유 함유 함유 함유 조롱박세포의

조롱박세포의 조롱박세포의

조롱박세포의 생후 생후 생후 생후 발달 발달 발달 발달 및 및 및 BDNF 및 BDNF BDNF BDNF

단백 단백 단백 양에 단백 양에 양에 양에 미치는 미치는 미치는 미치는 영향 영향 영향 영향

조선대학교 조선대학교 조선대학교 대학원 조선대학교 대학원 대학원 대학원

의 의 의 의 학 학 학 학 과과과과

김 김 김 복 김 복 복 복

(2)

출생 출생 출생 출생 초기 초기 초기 초기 Thyroxine Thyroxine Thyroxine Thyroxine 투여가 투여가 투여가 투여가 흰쥐

흰쥐 흰쥐

흰쥐 소뇌에서 소뇌에서 소뇌에서 소뇌에서 BDNF BDNF BDNF와 BDNF 와 와 와 TrkB TrkB TrkB TrkB함유 함유 함유 함유 조롱박세포의

조롱박세포의 조롱박세포의

조롱박세포의 생후 생후 생후 생후 발달 발달 발달 발달 및 및 및 BDNF 및 BDNF BDNF BDNF

단백 단백 단백 양에 단백 양에 양에 양에 미치는 미치는 미치는 미치는 영향 영향 영향 영향

Effect Effect Effect

Effect of of of of Early Early Early Early Thyroxine Thyroxine Thyroxine Thyroxine Treatment Treatment Treatment Treatment on on on on the the the the Postnatal

Postnatal Postnatal

Postnatal Development Development Development of Development of of of BDNF- BDNF- BDNF- BDNF- and and and TrkB- and TrkB- TrkB- TrkB- containing

containing containing

containing Purkinje Purkinje Purkinje Purkinje Cell Cell Cell Cell and and and and BDNF BDNF BDNF Protein BDNF Protein Protein Amount Protein Amount Amount Amount in in in

in the the the Rat the Rat Rat Rat Cerebellum Cerebellum Cerebellum Cerebellum

2006 년 8 월 일

조선대학교 조선대학교 조선대학교 대학원 조선대학교 대학원 대학원 대학원

의 의 의 의 학 학 학 과학 과과과

김 김 김 복 김 복 복 복

(3)

출생 출생 출생 출생 초기 초기 초기 초기 Thyroxine Thyroxine Thyroxine 투여가 Thyroxine 투여가 투여가 투여가 흰쥐

흰쥐 흰쥐

흰쥐 소뇌에서 소뇌에서 소뇌에서 소뇌에서 BDNF BDNF BDNF와 BDNF 와 와 와 TrkB TrkB TrkB TrkB함유 함유 함유 함유 조롱박세포의

조롱박세포의 조롱박세포의

조롱박세포의 생후 생후 생후 생후 발달 발달 발달 발달 및 및 및 BDNF 및 BDNF BDNF BDNF

단백 단백 단백 단백 양에 양에 양에 양에 미치는 미치는 미치는 미치는 영향 영향 영향 영향

지 지 도 지 지 도 도 교 도 교 교 수 교 수 수 정 수 정 정 윤 정 윤 윤 영 윤 영 영 영

이 논문을 의학박사학위 신청 논문으로 제출함

2006 년 4월 일

조선대학교 조선대학교 조선대학교 대학원 조선대학교 대학원 대학원 대학원

의 의 의 의 학 학 학 과학 과과과

김 김 김 복 김 복 복 복

(4)

김 김 김

김 복의 복의 복의 박사학위논문을 복의 박사학위논문을 박사학위논문을 인준함 박사학위논문을 인준함 인준함 인준함

위원장 조선대학교 교수 인 위 원 조선대학교 교수 인

위 원 조선대학교 부교수 인

위 원 조선대학교 조교수 인 위 원 조선대학교 부교수 인

2006 년 6월 일

조선대학교 조선대학교 조선대학교 조선대학교 대학원 대학원 대학원 대학원

(5)

목 목 차목 목 차차차

표 목 목 차

도 목 목 차

ABSTRACT ABSTRACTABSTRACT ABSTRACT

서 론 론 --- --- --- 1--- 111

실험재료 실험재료 실험재료

실험재료 및 및 방법 방법 방법 ---4방법 ---4---4---4

결 과 과 --- --- --- 9--- 999

고 찰 찰 ---20---20---20---20

결 론 론 ---24---24---24---24

참 고 고 문 문 헌 헌 --- --- --- 25 --- 25 25 25

저작물이용허락서 저작물이용허락서 저작물이용허락서

저작물이용허락서 --- --- --- 32--- 323232

감사의 감사의 감사의

감사의 글 글 --- --- --- --- 33 33 33 33

(6)

표 표 목 표 표 목 목 차목 차차차

Table Table Table

Table 1.1.1. Blood thyroxine levels ---13 1.

(7)

도 도 목 도 도 목 목 차목 차차차

Fig.

Fig. Fig.

Fig. 1.1.1.1. Contents of BDNF protein between group C and group T at P10, P15, P30 and difference of BDNF protein amount according to postnatal age in the cerebellum --- 14

Fig.

Fig. Fig.

Fig. 2.2.2. The number of BDNF-IR Purkinje cells between group C and 2.

group T at P10, P15, P30 and numerical difference of BDNF-IR Purknje cells according to postnatal age --- 15

Fig.

Fig. Fig.

Fig. 3.3.3. The number of trkB-IR Purkinje cells between group C and 3.

group T at P10, P15, P30 and numerical difference of TrkB -IR Purknje cells according to postnatal age ---16

Fig.

Fig. Fig.

Fig. 4.4.4.4. BDNF-IR Pukinje cells in group C and group T at P10, P15 and P30. The intensity of BDNF immunoreativity was most prominent at P10 in group T ---17

Fig.

Fig. Fig.

Fig. 5. 5. 5. 5. TrkB-IR Pukinje cells in group C and group T at P10, P15 and P30. The intensity of trkB immunoreativity was most prominent at P10 in group T --- 18

Fig.

Fig. Fig.

Fig. 6. 6. 6. 6. Electron micrographs of BDNF-immunoreactive Purkinje cell in the cerebellar cortex in group C and group T at P10 --- 19

(8)

ABSTRACT ABSTRACTABSTRACT ABSTRACT

Effect Effect Effect

Effect of of of of Early Early Early Early Thyroxine Thyroxine Thyroxine Thyroxine Treatment Treatment Treatment Treatment on on on on the the the the Postnatal

Postnatal Postnatal

Postnatal Development Development Development of Development of of of BDNF- BDNF- BDNF- BDNF- and and and TrkB- and TrkB- TrkB- TrkB- containing

containing containing

containing Purkinje Purkinje Purkinje Purkinje Cell Cell Cell Cell and and and and BDNF BDNF BDNF Protein BDNF Protein Protein Amount Protein Amount Amount Amount in in in

in the the the Rat the Rat Rat Rat Cerebellum Cerebellum Cerebellum Cerebellum

Jin Jin Jin FuJin FuFuFu

Advisor Advisor Advisor : Advisor : : Prof. : Prof. Prof. Prof. Chung Chung Chung Chung Yoon-Young, Yoon-Young, Yoon-Young, M.D., Yoon-Young, M.D., M.D., Ph.D.M.D., Ph.D.Ph.D.Ph.D.

Department Department Department of Department of of of Medicine,Medicine,Medicine,Medicine,

Graduate Graduate Graduate School Graduate School School School of of of of Chosun Chosun Chosun University Chosun University University University

Thyroid hormones (TH) are essential for the development of the brain. Furthermore, TH modulate the expression of neurotrophins or their receptors. Brain-derived neurotrophic factor (BDNF) and its receptor trkB are enriched in the mammalian central nervous system.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early thyroxine (T4) treatment on the postnatal development of BDNF- and trkB- immunoreactive (IR) Purkinje cell and BDNF protein amount in the rat cerebellum. In addition, electron microscopic finding of BDNF-IR Purkinje cell at P10 was examined.

Newborn Sprague-Dawley rats were randomly divided into two groups and treated during first 10 postnatal days, either with a daily subcutaneous injection of 0.05ml 7.5㎍ L-thyroxine sodium salt in buffered 0.9% saline (group T) or with an identical volume of normal

(9)

saline (group C).

The number of BDNF-and trkB-IR Purkinje cells and protein amount of BDNF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group T than in the group C at P10. At P10, electron microscopic observations of BDNF-IR Purkinje cells revealed numerous short segments of rough endoplasmic reticulum (rER), many of which showed a tendency of parallel alignment in the group T compared to the group C. A similar developmental pattern of BDNF- and trkB-IR Purkinje cells was observed in the group T and C on and after P15. However, in the group T, the number of BDNF-and trkB-IR Purkinje cells and protein amount of BDNF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at P30 compared to P15.

Based on the results, it can be suggested that the increase of protein amount of BDNF and BDNF-and trkB-IR Purkinje cell by early postnatal T4 treatment is transient during early postnatal life, and these morphological alterations are not kept until adolescence.

(10)

서 서 서 서 론론론론

갑상샘호르몬(thyroid hormones, TH)은 뇌 발생 중에 중요한 작용을 한 다(Pasquini와 Adamo, 1994). TH의 결핍에 의하여 신경세포의 증식과 이 동 장애, 말이집 형성 장애 및 연접형성 지연 등과 같은 중추신경계통의 형 태학적 변화를 초래하기도 한다(Rami 등, 1986; Rami와 Rabie, 1990).

또한 TH는 중추신경계통의 여러 종류의 신경영양인자와 그 수용체를 조절하 는데 특히 brain-derived neurotrophic factor (BDNF), neurotrophin-3 (NT-3)과 nerve growth factor (NGF) 등이 TH의 영향을 받는다 (Lűesse 등, 1998). 성숙 흰쥐에 thyroxine을 투여하였더니 뇌의 여러 부 위에서 NGF와 NT-3 mRNA 발현이 증가하였다는 보고가 있었다 (Giordano 등, 1992).

신경영양물질은 발생 중인 중추신경계통에서 신경세포의 생존, 분화 및 증 식을 조절하며 성장 중인 신경세포의 기능을 유지하는데 밀접하게 관여한다 (Chao, 1992). 대표적인 신경영양인자는 NGF, BDNF, NT-3 및 neurotrophin-4/5 (NT-4/5) 등이 있다(Ebendal, 1992). 이 중 BDNF는 포유동물의 중추신경계통 전체에 걸쳐 광범위하게 발현되는데 특히 해마구성 체(hippocampal formation), 대뇌겉질 및 편도복합체(amygdaloid complex) 등에서 많이 발현되며 콜린성 중격핵과 해마의 신경세포 축삭에서 역향성으로 수송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Hofer 등, 1990; Phillips 등, 1990; Wetmore 등, 1990; Distefano 등, 1992). 또한 BDNF는 출생 후 최고 수준에 도달할 때까지는 발현이 증가되며(Friedman 등, 1991;

Schecteson과 Bothwell, 1992),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크게 감소되지 않아 BDNF가 성숙한 중추신경계통에서도 필수적인 역할을 할 것이라 여겨지고 있다(Lapchack 등, 1993; Narisawa-Saito와 Nawa, 1996; Katoh Semba 등, 1997).

(11)

TrkB는 NT 중 BDNF와 NT-4/5가 고도의 친화성을 가지고 결합하는 수용 체이며(Barbacid, 1994), BDNF와 trkB의 결합이 신경세포의 가변성 (plasticity)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Thoenen, 1995; Korte 등, 1998; Bibel과 Barde, 2000). BDNF와 TrkB는 소뇌에서 높게 발현되는데 발생 중인 소뇌에서는 BDNF가 과립세포층의 신경돌기의 연장과 생존을 증가 시키는 역할을 하며 BDNF mRNA는 조롱박세포가 성숙해짐에 따라 증가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Gao 등, 1995; Yan 등, 1997a, b; Ohira 등, 1999).

배아발생 과정 중의 조롱박세포에서는 trkB가 발현되지 않으나 발달이 진행되 어 성숙한 조롱박세포에서는 trkB가 발현된다는 보고(Lindholm 등, 1997;

Ohira와 Hayashi, 1999)는 BDNF와 trkB가 성숙한 소뇌의 신경세포 생존과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고 생각하게 하였다. 또한 BDNF와 trkB는 GABA의 합성과 신경펩티드 및 glutamate 수용체 발현을 유도하여 신경그물 형성 뿐만 아니라 신경전달물질의 조절 등에 관여한다는 보고도 있었다 (Bessho 등, 1996).

최근에는 정신분열증을 가진 뇌와 정상 뇌를 비교했을 때 BDNF와 trkB단백 양이 의미 있는 차이가 있었다는 보고(Takahashi 등, 2000)가 있음으로서 BDNF와 trkB가 지적 기능 유지에 매우 중요할 뿐만 아니라 신경정신병의 병 인과도 연관이 있음을 암시하였다. 또한 BDNF와 trkB발현은 여러 가지 급성 뇌 손상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는데 성숙한 흰쥐 뇌에서 는 일시적 앞뇌 허혈(Merlio 등, 1993; Takeda 등, 1993; Ferrer 등, 1998;

Kokaia 등, 1998)이나 kainic acid 노출(Rudge 등, 1998)로 인해 BDNF와 trkB단백 합성이 증가된 반면, 어린 흰쥐에서 중등도의 저산소증에 의한 허혈 을 유도하였을 때 BDNF와 trkB면역반응이 현저히 감소하였다(Walton 등, 1999)는 보고 등은 이를 증명한다고 하겠다.

따라서 본 연구는 출생 초기 thyroxine (T4)투여가 흰쥐 소뇌에서 BDNF와 trkB함유 조롱박세포의 생후 성장과 발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기 위하여 출생 후 10일 동안 T4를 투여한 군에서 BDNF와 trkB함유 조롱박세포

(12)

의 발달 및 성숙 양상을 0.9% saline을 투여한 대조군과 생후 10, 15, 30일 에 형태학적으로 비교 관찰하였다. 또한 소뇌 BDNF 단백질 함량을 측정하여 비교하였으며 생후 10일의 소뇌 조롱박세포의 미세구조를 비교 관찰하였다.

(13)

재료 재료 및 재료 재료 및 및 방법및 방법방법방법

1.

1. 1.

1. 실험동물과 실험동물과 실험동물과 실험동물과 실험군 실험군 실험군 실험군

체중 200~250 gm의 Sprague-Dawley계 암컷 흰쥐 16마리를 숫컷과 교 배시켜 분만 후 한 어미의 새끼들을 임의로 T 군과 C 군으로 분류하였고 T 군 은 새끼 쥐의 꼬리부위에 형광펜으로 빨간색을 칠하여 C 군과 구분하였다. T 군은 T4 투여 효과를 위해 매일 L-thyroxine sodium salt (Sigma) 7.5 ㎍을 생리식염수 0.05 ㎖에 녹여 출생 당일부터 새끼 쥐의 목 뒷부분에 피하 주사하 여 T 군으로 하였고 C 군은 saline 0.05 ㎖를 새끼 쥐의 목 뒷부분에 피하 주 사하여 대조군으로 하였다. 이와 같은 처치는 출생 당일부터 시작하여 생후 10일까지 계속하였다. 8마리의 어미 쥐는 그 새끼들과 함께 각각의 cage에서 따로 사육하였고 21℃의 실내온도와 12시간씩 명암조절을 해주었으며 흰쥐 사료와 물을 충분히 섭취하도록 하였다. 두 군의 새끼 쥐들은 생후 21일에 이 유를 시작하였다.

2.

2. 2.

2. 조직처리 조직처리 조직처리 조직처리 및 및 및 및 표본제작 표본제작 표본제작 표본제작

각 군에서 8 마리씩 새끼 쥐를 생후 10일, 15일, 30일(P10, P15, P30)에 희생시켰다. 실험동물은 pentobarbital sodium (60 ㎎/㎏, 중외제약)을 복막 안에 주사하여 마취시켰다. 모든 실험동물은 고정하기 바로 직전 심장채혈을 하여 녹십자로 보내어 혈액 내 thyroxine 양을 측정하여 통계 처리하였다 (Table 1)

.

그 중 각 군에서 각 연령별로 3 마리씩은 BDNF 함량을 측정에 사용하기 위 하여 마취 후 바로 뇌를 꺼내어 액체질소에 얼려 -70℃에 보관하였다. 나머지 는 가슴안을 열고 왼심실에 관류용 도관을 삽입한 후, heparin (250 unit/㎖, 녹십자)을 함유한 생리식염수로 관류세척하고 0.1 M phosphate buffer (PB, pH 7.4)에 녹인 4% paraformaldehyde 용액이나 Zamboni 고정액으로 관류

(14)

고정한 다음 뇌를 적출하여 동일한 고정액에 담가 4℃에서 12 시간 후고정하 였다. Free-floating 방법으로 면역조직화학염색을 시행하기 위해 고정된 뇌 조직은 후고정 다음에 30% sucrose에 넣고 24시간 이상 침적시킨 후 꺼내어 동결절편기를 이용해 35 ㎛ 두께의 연속관상 동결절편을 제작하여 glycerol과 ethylene glycol이 함유된 저장용액에 담아 4℃에 보관하였다.

3. 3. 3.

3. Total Total Total Total protein protein protein isolation protein isolation isolation과 isolation 과 과 과 BDNF BDNF BDNF BDNF ELISA ELISA ELISA assay ELISA assay assay assay

-70℃에 저장된 각 군의 연령별 뇌 조직 100 ㎎에 lysis buffer (137 mM NaCl, 20 mM Tris-HCl, 1% NP40, 10% glycerol, 1 mM PMSF, 10 ㎍/㎖ aprotinin, 1 ㎍/㎖ leupeptin, 0.5 mM sodium vanadate) 1 ㎖ 을 첨가하여 분쇄하였다. 30초 동안 얼음에 놓아둔 후 4℃에서 15분 동안 12,000 rpm으로 원심분리한 후 상층 액을 분리하였다. 분리한 상층 액은 BSA protein assay kit (Pierce, US)를 사용하여 total protein 양을 측정 한 후 각 샘플에 동일한 양이 포함되도록 정량하였다. 정량한 total protein 300 ㎍을 본 실험에 사용하였다. BDNF 양은 현재 시판되고 있는 BDNF Emax

ImmunoAssay System (Promega)을 사용하였는데 먼저 BDNF 항체 를 carbonate coating buffer에 희석하여 ELISA 96-well plate에 200 ㎕ /well을 분배하여 4 ℃에서 overnight 하였다. TBST Wash buffer (20 mM Tris-HCl (pH 7.6), 150 mM NaCL, 0.05% Tween 20)로 수세한 다음 standard curve를 얻기 위하여 standard BDNF 1 x sample buffer 에 단계별로 희석하여 준비하여 놓은 후 정량한 샘플 (300 ㎍)과 함께 각각 200 ㎕/well을 분배하여 실온에서 흔들어주면서 1시간 배양하였다. 다시 수 세한 후 2차 항체로는 anti-human BDNF pAb를 1:500으로 희석하여 100

㎕/well을 분배하여 실온에서 2 시간 배양하고 수세한 후 anti-IgY HRP conjugate를 1:200으로 희석하여 200 ㎕/well을 분배하여 실온에서 1시간 배양하였다. 그 후 TBST Wash buffer로 수세하여 TMB one 용액을 100

㎕/well 분배하여 10분간 흔들어주며 반응시켰으며 1N NaCl 100 ㎕/well을

(15)

더하여 반응을 정지시킨 후 효소면역 측정기(ELA reader, Biorad, US)를 사용하여 450 nm의 파장에서 흡광도를 측정한 후 분석하였다. 모든 샘플은 두 번 이상 측정하여 그 평균값을 최종 농도로 정하였다.

4. 4. 4.

4. BDNF BDNF BDNF BDNF 양의 양의 양의 통계처리 양의 통계처리 통계처리 통계처리

두 군의 T4 양은 Origin 6.1 컴퓨터 Soft계통을 이용하여 mean ± SD를 구 하였고, 통계학적 유의성 검사는 t-test를 이용하였다. p<0.05 인 경우는 통 계학적 유의성이 있는 것으로 하였고, p<0.005 인 경우는 통계학적 유의성이 뚜렷한 것으로 하였다.

5.

5. 5.

5. 면역조직화학염색 면역조직화학염색 면역조직화학염색 면역조직화학염색

저장용액에 보관한 조직절편을 매 5장마다 1장씩을 취하여 0.1 M PB로 옮겨서 수차례 수세한 후 과산화수소(H2O2)를 처리하여 내인성 과산화효소 의 활성을 억제하였으며 다시 0.1 M PB로 세척한 후 면역조직화학반응을 실시하였다.

면역염색의 첫 단계로 비특이적 반응을 줄이기 위하여 3% 말혈청(normal horse serum)을 실온에서 1시간 반응시켰다. 1차 항체는 BDNF 항혈청 (1:1000, Chemicon)과 trkB 항혈청(1:1000, Chemicon)을 사용하였으며, 4℃에서 24~48시간 동안 진동시키면서 반응시켰다. 그 후 0.1 M PB로 10 분씩 3 회 수세 과정을 거쳤으며, 2 차 항체는 biotinylated horse anti-mouse IgG (Vector, 1:200)를 실온에서 1 시간 반응시킨 후, 0.1 M PB로 10 분씩 3 회 수세하였다. 그리고 peroxidase가 표지된 avidin-biotin complex (ABC, Vector)를 1:100으로 희석하여 실온에서 1 시간정도 반응시킨 후, 0.1 M PB로 10 분간 다시 3 회 수세하고 나서 3, 3′diaminobenzidine tetrahydrochloride (DAB, Sigma)를 tris-buffered saline (TBS)에 녹여 기질용액으로 사용하였는데 반응 직전에 H2O2

(16)

0.003%가 되도록 첨가하였으며, 실온에서 5-10분간 반응시킨 후 현미경하 에서 발색 정도를 확인하였다. 또한 흑색을 띄는 nickel chloride를 DAB에 용해시켜 여과하고 0.003% H2O2를 첨가하여 발색반응을 확인하였다. 그 후 TBS로 2~3회 세척한 후 염색한 조직절편들을 젤라틴이 피막된 슬라이드에 부착하여 실온에서 12시간 이상 건조한 다음, 통상의 조직처리 과정을 거쳐 polymount (Polyscience)로 봉입하여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6. 6. 6.

6. BDNF BDNF BDNF BDNF와 와 와 trkB 와 trkB trkB함유 trkB 함유 함유 조롱박세포 함유 조롱박세포 조롱박세포 수의 조롱박세포 수의 수의 통계처리 수의 통계처리 통계처리 통계처리

조롱박세포의 통계학적 처리를 위하여 먼저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한 후, 소 뇌겉질의 세부구조의 위치 및 영역 파악과 명칭은 흰쥐의 뇌 도보(Paxinos 와 Watson, 1997)를 참고하여 염색한 조직절편과 비교하였다. 일반적으로 흰쥐 소뇌는 10 개의 소엽으로 나뉘는데(Larsell, 1952) 통계처리의 정확성 을 위해 아래, 뒤 소엽을 제외한 부위인 주로 1~6 소엽 중 4/5 소엽의 소뇌 겉질층을 대상으로 단위 면적 당 BDNF와 trkB함유 조롱박세포의 수를

×100 배에서 각 각 계수하였다. 연령에 따른 각 군의 계수 결과는 Origin 6.1 컴퓨터Soft계통을 이용하여 mean ± SD를 구하였고, 통계학적 유의성 검사는 t-test를 이용하였다. p 값이 p<0.05 인 경우는 통계학적 유의성이 있는 것으로 하였고, p<0.005 인 경우는 통계학적 유의성이 뚜렷한 것으로 하였다.

7.

7. 7.

7. 면역전자현미경염색 면역전자현미경염색 면역전자현미경염색 면역전자현미경염색

면역조직화학염색을 시행한 후 포매전 방법(preembedding method)을 이 용하였는데 먼저 소뇌에서 관찰된 BDNF함유 조롱박세포를 광학현미경으로 확인한 후 뚜렷하게 염색된 세포가 포함되어 있는 절편만을 선택하여 0.1 M PB로 씻어내고 1% osmium tetroxide에 1 시간동안 고정하였다. 고정된 절 편은 알코올로 순차적인 탈수과정을 거쳐 prophylene oxide와 Epon을 1:1 로 희석한 용액에 1시간 동안 실온에서 반응시키고 이 절편은 plastic

(17)

embedding을 시행하여 62~65℃로 조정한 incubator에서 48 시간 동안 놓 아두었다. Plastic slide에서 BDNF양성반응 세포를 핀셋을 이용하여 떼어내 어 미리 준비해 둔 epon으로 된 block에 100% epon을 이용하여 붙였다.

BDNF양성반응 세포가 부착되어 있는 epon block을 동일한 incubator에 하 루정도 더 넣어 경화시켰다. 완전히 굳은 후 조직의 바닥 면에서부터 1 ㎛ 내외의 광학현미경용 절편을 얻어 toluidine blue 염색을 하여 박편을 얻을 부위를 선정하고 LKB 초박절편기로 60 ㎚의 투과전자현미경용 박편을 만들 었다. 전자현미경용 박편은 uranyl acetate와 lead citrate로 이중염색하여 Hitachi (H-7600) 투과전자현미경으로 80 KV 가속전압하에서 관찰하였다.

(18)

결 결 과결 결 과과과

1. 1. 1.

1. 혈중 혈중 혈중 혈중 thyroxine thyroxine thyroxine thyroxine 농도 농도 농도 농도(Table (Table (Table (Table 1) 1) 1) 1)

Mann-Whitney U test로 각 연령에서 T 군과 C 군의 T4의 양을 비교한 결과, P10에는 T 군의 T4 양이 C 군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며(p<0.05) P15 에는 T 군의 T4 양이 C 군보다 유의하게 낮았으나(p<0.05), P30에는 T 군 과 C 군 사이에 통계학적으로 유의성이 없었다(p>0.05).

T 군에서 연령에 증가에 따른 T4의 양을 비교 분석한 결과, P10에서 P15 로 연령이 증가할 때 T4 양이 현저한 감소가 있었으나 P15에서 P30으로 연 령이 증가할 때에는 통계학적인 유의성이 없었다. C 군에서는 P10에서 P15 로 연령이 증가할 때와 P15에서 P30으로 연령이 증가할 때 모두 통계학적 유의성이 없었다.

2.

2. 2.

2. BDNF BDNF BDNF BDNF ELISA ELISA ELISA assay ELISA assay assay assay 소견 소견 소견 소견

각 연령에서 T 군과 C 군 간의 BDNF 양을 t-test 로 비교분석하였다.

P10에 T 군의 BDNF 양이 C 군에 비하여 현저하게 증가되었고(p<0.005), P15에는 T 군의 BDNF 양이 C 군에 비하여 유의한 증가를 관찰할 수 있었 고(P<0.05), P30에는 두 군 사이에 통계학적 차이가 없었다(p>0.05)(Fig.

1A).

각 군에서 연령의 증가에 따른 BDNF 양의 변화를 t-test로 비교 관찰하 였다. C 군에서는 P10에서 P15로 연령이 증가 할 때에는 BDNF 양이 유의 하게 증가하였으나(p<0.05), T 군에서는 P10에서 P15로 연령이 증가할 때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p>0.05), P15에서 P30으로 연령 증가 할 때에는 C 군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변화가 없었으나(p>0.05), T 군에서는 BDNF 양의 유의한 감소가 있었다(Fig. 1B).

(19)

3.

3. 3.

3. BDNF BDNF BDNF BDNF함유 함유 함유 조롱박세포 함유 조롱박세포 조롱박세포 수의 조롱박세포 수의 수의 차이 수의 차이 차이 차이

P10에서 T 군은 C 군보다 BDNF함유 조롱박세포 수가 유의하게 많았으 나(p<0.05) P15과 P30에서는 두 군 사이에 BDNF함유 조롱박세포 수의 유 의한 차이가 없었다(Fig. 2A).

P10에서 P15로 연령이 증가할 때 C 군에서는 BDNF함유 조롱박세포 수 의 유의한 증가가 있었으나 T 군에서는 연령의 증가에 따른 세포 수의 유의 한 변화가 없었으며 P15에서 P30으로 연령이 증가할 때 C 군에서는 연령의 증가에 따른 세포 수가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T 군에서는 세포수의 유의 한 감소가 있었다(Fig. 2B).

4.

4. 4.

4. TrkB TrkB TrkB TrkB함유 함유 함유 조롱박세포 함유 조롱박세포 조롱박세포 수의 조롱박세포 수의 수의 차이 수의 차이 차이 차이

P10에서 T 군의 trkB함유 조롱박세포 수가 C 군보다 유의하게 많았고, P15와 P30에는 두 군 사이에 유의한 숫적 차이가 없었다(Fig. 3A).

각 군에서 연령에 증가에 따른 trkB함유 조롱박세포 수의 변화를 관찰 한 결과 P10에서 P15로 연령이 증가할 때 C 군에서는 세포 수의 유의 한 증가를 관찰할 수 있었으나 T 군에서는 유의한 숫적 변화가 없었다.

P15에서 P30으로 연령이 증가할 때는 C 군에서는 trkB함유 조롱박세포 수의 유의한 숫적 변화가 없었으나 T 군에서는 유의한 숫적 감소가 있었 다(Fig. 3B).

5.

5. 5.

5. BDNF BDNF BDNF BDNF함유 함유 함유 조롱박세포의 함유 조롱박세포의 조롱박세포의 분포 조롱박세포의 분포 분포 양상 분포 양상 양상 양상

P10에서 두 군 모두 분자층으로 들어가는 신경돌기를 확인할 수 있을 정 도로 뚜렷하게 염색된 양성반응 조롱박세포들을 다수 나타났으며 T 군에서 C 군보다 더 많은 BDNF함유 조롱박세포들이 관찰되었다(Fig. 4A, B).

P15에서 두 군 모두 조롱박세포 층에 단층을 이루어 일렬로 배열되어 있 는 조롱박세포들이 뚜렷하게 관찰되었으며 조롱박세포가 성숙한 세포 양상을

(20)

띠어 전형적인 긴축삭신경세포의 형태를 나타났다. T 군에서는 이전 연령에 비하여 세포 수가 현저히 감소되었음을 관찰할 수 있었고 C 군에서는 이전 연령에 비하여 세포 수가 증가하였음을 관찰할 수 있었다(Fig. 4C, D).

P30에서 조롱박세포의 크기, 모양 및 분포 등에서 이전 연령과 유사하였 고 단층 배열이 두드러졌다. 그러나 이전 연령에 비하여 모두 염색 강도는 감소하였다(Fig. 4E, F)

6.

6. 6.

6. TrkB TrkB TrkB TrkB함유 함유 함유 조롱박세포의 함유 조롱박세포의 조롱박세포의 분포 조롱박세포의 분포 분포 양상 분포 양상 양상 양상

P10에서 두 군 모두 trkB함유 조롱박세포들을 뚜렷하게 관찰할 수 있었으 나 조롱박세포들의 단층 배열은 두드러지지 않았다. T 군에서는 C 군에 비 해 분자층으로 들어가는 신경돌기들의 분포 양상이 뚜렷하였으며 C 군보다 많은 양성반응 조롱박세포들이 관찰되었다(Fig. 5A, B).

P15에서 T 군에서는 trkB함유 조롱박세포들이 단층 배열을 관찰할 수 있 었으나 C 군에서는 조롱박세포들이 단층으로의 배열이 뚜렷하지 않았다(Fig.

5C, D).

P30에서 두 군의 trkB함유 조롱박세포의 크기, 모양 및 분포 등이 매우 유사하였으며 조롱박세포의 단층 배열이 두드러졌으며 이전 연령에 비해 모 두 염색 강도는 매우 감소하였다(Fig. 4E, F).

7.

7. 7.

7. 전자현미경적 전자현미경적 전자현미경적 전자현미경적 소견 소견 소견 소견

두 군 사이에 BDNF함유 조롱박세포 수 및 BDNF 양이 뚜렷한 차이를 보이는 P10의 소뇌겉질 조롱박세포에서 미세구조를 비교 관찰하였다. 두 군 모두에서 핵은 중앙부위에 위치하였으며 난원형이나 구형을 하고 있었으며 불규칙한 모양을 띠기도 하였으며 두 군 모두에서 대부분 구형의 뚜렷한 핵 소체를 가지고 있었다. T 군에서는 세포질 전체에 산재되어 있는 사립체와 자유리보소체가 C 군보다 많이 관찰되었고 특히 골지장치를 포함한 세포소

(21)

기관이 뚜렷하였으며 특히 C 군보다 뚜렷한 과립세포질그물들이 평행으로 배열되어 닛슬소체를 형성함을 관찰할 수 있었다(Fig. 6).

(22)

Table Table Table

Table 1. 1. 1. 1. Blood thyroxine level

Values are expressed as Mean ± SD ㎍/㎗ for thyroxine . The symbol * indicates significant difference from the group C at the p<0.05 level. The symbol †† also indicates significant difference from previous age at the p<0.05 level determined by Mann-Whitney U test.

P10(n = 5) 15(n = 5) P30(n = 5) Group C 28.20 ± 5.89* 1.98 ± 0.47*†††

3.12 ± 0.51 Group T 3.58 ± 0.75 3.22 ± 0.51 3.24 ± 0.50

(23)

Fig.

Fig. Fig.

Fig. 1.1.1. Contents of BDNF protein between group C and group T at P10, 1.

P15, P30 (A) and difference of BDNF protein amount according to postnatal age (B) in the cerebellum. The symbol *, and ** indicate significant difference from the control group (*; p<0.05, **; p<0.005). The symbol # also indicate significant difference from the previous age (#; p<0.05).

(24)

Fig.

Fig. Fig.

Fig. 2.2.2. The number of BDNF-IR Purkinje cells between group C and group 2.

T at P10, P15, P30 (A) and numerical difference of BDNF-IR Purknje cells according to postnatal age (B). The symbol * indicates significant difference from the control group (*; p<0.05). The symbol # also indicates significant difference from the previous age (#; p<0.05).

(25)

Fig.

Fig. Fig.

Fig. 3.3.3. The number of trkB-IR Purkinje cells between group C and group 3.

T at P10, P15, P30 (A) and numerical difference of TrkB -IR Purknje cells according to postnatal age (B). The symbol * indicates significant difference from the control group (*; p<0.05). The symbol # also indicates significant difference from the previous age (#; p<0.05).

(26)

4F 4E

4D 4C

4A 4B

4F 4E

4D 4C

4A 4B

Fig.

Fig. Fig.

Fig. 4.4.4.4. BDNF-IR Pukinje cells in group C (A, C, E) and group T (B, D, F) at P10, P15 and P30. The intensity of BDNF immunoreativity was most prominent at P10 in group T (B). The monolayer arrangement of BDNF-IR Purkinje cells was reached at P15 both in group C and group T. The intensity of BDNF immunoreativity was decreased at P30 both in group C and group T compared to previous age. 100×.

(27)

5F 5E

5D 5C

5B 5A

5F 5E

5D 5C

5B 5A

Fig.

Fig. Fig.

Fig. 5.5.5. TrkB-IR Pukinje cells in group C (A, C, E) and group T (B, D, F) at 5.

P10, P15 and P30. The intensity of trkB immunoreativity was most prominent at P10 in group T (B). The monolayer arrangement of trkB-IR Purkinje cells was reached at P15 in group T, but this morphological features was not found at the sane age in group C. The intensity of trkB immunoreativity was decreased at P30 both in group C and group T compared to previous age. 100×.

(28)

6A

6B 6A

6B 6A

6B

Fig.

Fig. Fig.

Fig. 6.6.6. Electron micrographs of BDNF-immunoreactive Purkinje cell in the 6.

cerebellar cortex in group C (A) and group T (B) at P10. The BDNF-IR Pukinje cell of group C and T exhibited large nucleus, small cytoplasm, centrally located nucleus and prominent nucleolus. In group T, it was characterized by numerous mitochondria and cytoplasm exhibiting short segments of rough endoplasmic reticulum (rER) in a matrix of free ribosomes. Numerous short segments of rER showed a tendency of parallel alignment and many Golgi complexes were appeared in the perinuclear position in group T. Parallel arrays of rER formed Nissl bodies. G = Golgi complex; m = mitochondria; N = Nissl body; nu = nucleus. scale bars = 1.7

(29)

고 고 고 고 찰찰찰찰

BDNF와 trkB는 기억의 생성 및 유지와 학습과정 등 고도의 지적 기능 유지에 중요하며 정신분열증과 같은 신경정신병 등에서는 신경연접의 감소가 연접의 기 능적인 자극 전도에도 영향을 미쳐 결국 학습 장애와 같은 지적 기능 이상이 유발 된다는 보고가 있었다(Linnarsson 등, 1997; Minichiello 등, 1999; Iritani 등, 2003). 한편 갑상샘의 기질적 병변과 무관하게 미숙아, Down 증후군, 생후 1 분에 Apgar 점수가 낮게 측정된 경우 등 다양한 신생아 질환에서 갑상샘 호 르몬 결핍을 나타냈다(Huang 등, 2002). 또한 주산기(perinatal periods)에 갑상샘 호르몬 결핍은 사람과 동물 모두에서 뇌조직의 구조적 발달에 심한 손 상을 일으킨다(Pasquini와 Adamo, 1994; Oppenheimer와 Schwartz, 1997;

Loibuchi와 Chin, 2000). 따라서 현재 갑상샘 질환 외에도 여러 가지 신생아 질환에서 갑상샘 호르몬 결핍의 경우 T4의 사용 여부가 많은 논란이 되고 있 다. 이에 따른 이론적 기초를 제공하고자 본 연구에서는 출생 초기 지속적으로 T4를 투여한 어린 쥐의 소뇌에서 BDNF 및 trkB함유 조롱박세포의 생후 성장 과 발달 양상 및 소뇌에서의 BDNF의 단백의 양을 saline을 투여한 대조군과 비교 관찰하였고 또한 생후 10일에 소뇌겉질에 분포하는 BDNF함유 조롱박세 포의 미세구조를 비교 관찰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C 군에서는 생후 연령의 증가에 따른 혈중 T4 양에 유의한 변화가 없었으나 T 군에서는 혈중 T4의 양은 P10에서는 C 군 보다 현저히 증 가되었고 P15에서는 P10보다 유의한 양적 감소를 보였으며 C 군보다도 유의 한 감소를 나타냈다. P30에는 두 군 사이 혈중 T4 양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혈중 T4 양에 관련한 결과는 정상 흰쥐에서는 생후 첫 21일에 연령의 증 가에 따른 T4 양의 유의한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으며 출생 초기 T4를 투여한 군에 서는 T4 투여를 정지한 2일째부터 7일까지 갑상샘자극호르몬(thyroid stimulating hormone, TSH)의 작용으로 말미암아 혈중 T4 양의 유의한 감소가 있었고 투여를 정지한 10일 이후부터는 유의한 감소가 관찰되지 않았을 뿐만 아

(30)

니라 정상 군과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는 Carden Yeiser 등(1999)의 보고와 유사하였다.

본 연구에서 BDNF 양은 T 군에서는 C 군보다 P10에서 현저히 증가하였을 뿐 만 아니라 P15에서도 C 군보다 유의한 증가 양상을 나타냈는데 이러한 결과는 생후 일시적인 갑상샘기능항진이 생후 10-12일에 BDNF와 같은 NGF계 NT나 그 수용체의 mRNA 발현을 증가시켰다는 보고(Lűesse 등, 1998; Roskoden 등, 1999)와도 유사하였으며 또한 생후 10일 동안 T4를 투여한 후 흰쥐 뇌의 중 격핵에서 BDNF mRNA는 생후 7일에, BDNF 단백은 생후 10일에 현저하게 증 가하였다는 Camboni 등(2003)의 보고와도 유사하였다. 그러나 Lűesse 등 (1998)은 출생 후 12일간 T4를 투여한 흰쥐에서 생후 2일에서 21일의 모든 연 령의 해마구성체에서 BDNF와 NT-3 mRNA의 양이 유의한 증가가 있었다고 함 으로서 출생초기 T4 투여가 일정한 기간 동안 신경영양물질과 그 수용체의 합성 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되나 본 연구와는 실험 연령에 약간의 차이가 있어 생 후 발달과정을 거쳐 성체가 될 때까지의 관찰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본 연구에서 T 군에서는 생후 30일로 연령이 증가할 때 BDNF 단백 양이 유의한 감 소를 나타냈는데 Camboni 등(2003)의 보고에서는 T4를 투여한 군에서 생후 90 일로 연령이 증가할 때 BDNF 단백 양의 감소가 있었다고 하여 본 연구와는 연령 상 차이가 있었을 뿐 생후 발달이 진행되어 청소년기에서 성인에서는 BDNF 단백 양은 정상과 유사하게 감소하는 것으로 생각할 수 있었다.

한편, BDNF와 trkB함유 조롱박세포 수를 조사한 결과에서 T 군에서는 생후 15일에서 생후 30일로 연령이 증가할 때 BDNF와 trkB함유 조롱박세포 수의 유 의한 감소가 나타났으나 Camboni 등 (2003)의 보고에서는 출생초기 T4를 투여 한 군에서 생후 10일과 생후 90일 사이에 BDNF와 trkB함유 조롱박세포 수에는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고 하였으므로 생후 30일 이후의 연령과 성체 및 노화한 경 우 등 다양한 연령에서의 변화 양상을 비교해 볼 필요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BDNF와 trkB함유 조롱박세포의 면역염색 결과를 보면 두 군 모두에서 BDNF 함유 조롱박세포는 P15에서 조롱박 층에 일렬로 배열된 성숙된 BDNF함유 조롱

(31)

박세포를 관찰할 수 있었으나 T 군의 trkB함유 조롱박세포는 P15의 BDNF함유 조롱박세포와 유사한 양상을 나타냈는데 같은 연령의 C 군보다 더 뚜렷한 양상 의 조롱박세포들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로 보아 정상 군에서는 소뇌겉 질에서 trkB가 BDNF보다 더 늦게 성숙됨을 알 수 있었고 이는 trkB가 BDNF보 다 일주일 정도 늦게 발현된다는 Lindholm 등 (1997)과 Ohira와 Hayashi (1999)의 보고와 일치하는 소견이었다. 또한 T4를 투여한 T 군에서는 생후 소뇌 조롱박세포에서 trkB면역반응이 BDNF면역반응과 유사하게 나타남을 관찰 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T 군의 BDNF와 trkB함유 조롱박세포의 발달 양 상의 차이나 BDNF단백 양의 차이로 보아 뇌 발달 과정 중 매우 중요한 시기인 생후 10일 경에 BDNF뿐만 아니라 그 수용체 trkB발현에도 T4가 중요한 영향을 미칠 것임을 알 수 있었다. 정상적인 원숭이에서 연령이 증가할수록 대부분의 해 마 신경세포의 세포체 및 돌기의 BDNF 면역반응이 감소하였다는 보고 (Hayashi 등, 2001)가 있었는데 본 실험에서는 생후 30일까지도 소뇌겉질에서 BDNF함유 신경 돌기의 면역반응은 감소하였으나 여전히 뚜렷한 양성반응 세포 가 관찰되었다. 따라서 BDNF의 발현은 종간의 차이가 있어 형태학적으로 분포 양상에 약간의 차이가 있으며 설치류와 영장류와의 차이뿐 아니라 사람과의 차이 도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P10에서 소뇌겉질에 분포하는 BDNF함유 조롱박세포의 미세구조를 관찰한 결과 T 군에서는 과립세포질그물이 작은 단위를 이루어 평행을 이루며 다수 분포하여 닛슬소체 형성이 C 군보다 두드러지게 관찰됨으로서 출생 초기 T4

처치가 BDNF와 같은 단백 합성을 증가시켜 뇌 발달에 좋은 효과를 나타낼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출생 초기 T4 투여가 BDNF 단백 합성 및 BDNF와 trkB함유 조롱박세포의 수를 증가시켜 출생 초기 뇌 발달을 일정 기간동안 일시적으로 정상보다 촉진시킬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BDNF와 trkB함유 조롱박세포의 생후 발달에 미치는 출생 초기 T4 투여 효 과는 청소년기에서 성체가 될 때까지 지속적으로 정상보다 높게 유지되지는

(32)

않을 것으로 판단된다.

(33)

결 결 결 결 론 론 론 론

갑상샘호르몬은 뇌 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중추신경계통에 풍부하게 존재하는 BDNF와 그 수용체 trkB의 발현을 조절한다. 본 연구는 출생 초기 T4 투여가 흰쥐 소뇌에서 BDNF와 trkB함유 조롱박세포의 생후 성장과 발 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기 위하여 출생 초기 T4를 투여한 후 생후 10, 15, 30일에 BDNF와 trkB함유 조롱박세포의 양상을 0.9% saline을 투 여한 대조군과 형태학적으로 비교 관찰하였고 또한 BDNF 단백질 함량과 생 후 10일의 BDNF함유 조롱박세포의 미세구조를 비교 관찰하였다.

본 연구 결과, 소뇌에서 BDNF와 trkB함유 조롱박세포 수 및 BDNF 양 은 생후 10일에서 C 군에 비해 T 군에서 유의한 증가가 있었다. BDNF 양 및 BDNF함유 조롱박세포 수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생후 10일에 소뇌겉질에 분포하는 BDNF함유 조롱박세포의 미세구조를 관찰한 결과, T 군에서는 과 립세포질그물이 작은 단위를 이루어 평행을 이루며 다수 분포하여 닛슬소체 형성이 C 군보다 두드러지게 관찰됨으로서 출생초기 T4 처치가 BDNF와 같 은 단백 합성을 증가시켜 뇌 발달에 좋은 효과를 나타낼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었다. 생후 15일 이후부터는 BDNF와 trkB함유 조롱박세포가 T 군과 C 군에서 유사한 성숙 양상을 나타냈으며 생후 30일에 BDNF와 trkB함유 조롱박세포 수 및 BDNF 양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출생 초기 T4 투여가 BDNF 단백 합성 및 BDNF와 trkB함유 조롱박세포의 수를 증가시켜 출생 초기 뇌 발달을 촉진시킬 수 있 을 것으로 생각되나 이러한 증가 양상은 청소년기까지 지속적으로 유지되지 는 않을 것으로 판단된다.

(34)

참 참 참 참 고 고 고 고 문 문 문 문 헌헌헌헌

Barbacid M : The Trk family of neurotrophin receptors. J Neurobiol, 25: 1386-1403, 1994.

Bessho Y, Nakanishi S, Nawa H : Glutamate receptor agonists enhance the expression of BDNF mRNA in cultured cerebellar granule cells.

Brain Res Mol brain Res, 18: 201-208, 1993.

Bibel M, Barde YA : Neurotrophins: key regulators of cell fate and cell hape in the vertebrate nervous system. Genes Dev, 14: 2919-2937, 2000.

Camboni D, Roskoden T, Schwegler H : Effect of early thyroxine treatment on brain-derived neurotrophic factor mRNA expression and protein amount in the rat medial septum/diagonal band of Broca.

Neurosci Letters, 350: 141-144, 2003.

Carden Yeiser E, Cheryl A. Fitch, Mchelle S. Horning, Nancy Rutkoski, Cathy E. Levenson : Regulation of metallothionein-3 mRNA by thyroid hormone in developing rat brain and primary cultures of rat astrocytes and neurons. Developmental Brain Reserch, 115:

195-200, 1999.

Chao MV : Neurotrophin receptors: a window into neuronal differentiation. Neuron, 9: 583-593, 1992.

Das KP, Chao SL, White LD, Haines WT, Harry GJ, Tilson HA, Barron S : Differential patterns of nerve growth factor, brain-derived neurotrophic factor and neurotrophin-3 mRNA and protein levels in developing regions of rat brain. Neuroscience, 103: 739-761, 2001.

Distefano PS, Friedman B, Dadziejewski C, Alexander C, Boland P, Schick CM, Lindsay RM, Wiegand SJ : The neurotrophins BDNF,

(35)

NT-3, and NGF display distinct patterns of retrograde axonal transport in peripheral and central neurons. Neuron, 8: 983-993, 1992.

Ebendal T : Function and evolution in the NGF family and its receptors. J Neurosci Res, 32: 461-470, 1992.

Expression of nerve growth factor, brain-derived neurotrophic factor, neurotrophin-3, and neurotrophin-4 mRNA. Exp Brain Res, 119: 1-8, 1998.

Ferrer I, Lopez E, Pozas E, Ballabriga J, Marti E : Multiple neurotrophic signals converge in surviving CA1 neurons of the gerbil hippocampus following transient forebrain ischemia , J Comp Neurol 394: 416-430, 1998.

Frieman WF, Olson L, Presson H : Cells that express brain-derived neurotrophic factor mRNA in the developing postnatal rat brain, Eur J Neurosci 3: 688-697, 1991.

Gao WQ, Zheng JL, Karihaloo M : Neurotrophin4/5 and brain-derived neurotrophic factor act at later stages of cerebellar granule cell differenciation. J Neurosci, 15: 2656-2667, 1995.

Giordano T, Pan JB, Casuto D, Watanabe S. Arneric SP : Thyroid hormone regulation of NGF, NT-3 and BDNF RNA in the adult rat brain. Brain Res Mol Brain Res, 16: 239-245, 1992.

Goodlett CR, Marcussen BL, West JR : A single day of alcohol exposure during the brain growth spurt induces brain weight restriction and cerebellar Purkinje cell loss. Alcol, 7: 107-114, 1990.

Hayashi M, Mistunaga F, Ohira K, Shimizu K : Changes in BDNF- immunoreactive structures in the hippocampal formation of the aged

(36)

macaque monkey. Brain Res, 918: 191-196, 2001.

Hofer M, Pagliusi SR, Hohn A, Leibrock J, Barde YA : Regional distribution of brain-derived neurotrophic factor mRNA in the adult mouse brain. EMBO J, 9: 2459-2464, 1990.

Huang CB, Chen FS, Chung MY : Transient hypothyroxinemia of prematurity is associated with abnormal cranial ultrasound and illness severity American Journal of Perinatology. 19(3): 139-147, 2002.

Iritani S, Niizato K, Nawa H, Ikeda K, Emson PC : Immunohistochemical study of brain-derived neurotrophic factor

and its receptor, TrkB, in the hippocampal formation of schizophrenic brains. Prog Neuro-psychopharm Bio Psychiatry, 27:

801-807, 2003.

Katoh-Semba R, Takeguchi IK, Semba R, Kato K : Distribution of brain-dereved neurotrophic factor in rats and its changes with development in the brain, J Neurochem 69 : 34-42, 1997.

Koibuchi N, Chin WW : Thyroid hormone action and brain development, Trends, endocrinol. Metab. 11:123-128, 2000.

Kokaia Z, Andsberg G, Yan Q, Lindball O : Rapid alterations BDNF protein levels anterograde axonal transport, Exp Neurol 154:

289-301, 1998.

Korte M, Kang H, Bonhoeffer T, Schuman E : A role for BDNF in the

late-phase of hippocampal long-term potentiation.

Neuropharmacology, 37: 553-559, 1998.

Lapchack PA, Araujo DM, Beck KD, Finch CE, Johnson SA, Hefti F : BDNF and trkBexpression in the hippocampal formation of aging rats, Neurobiol Aging 14: 121-126, 1993.

(37)

Larsell O : The morphogenesis and adult pattern of the lobules and tissues of the cerebellum of the white rat, J Comp Neurol 97:

281-356, 1952.`

Lindholm D, Hamner S, Zirrgiebel U : Neurotrophins and cerebellar development. Perspect Dev Neurobiol, 5: 83-94, 1997.

Linnarsson S, bjorklund A, Emfors P : Learning deficit in BDNF mutant mice. Eur J Neurosci, 9: 2581-2587, 1997.

Lűesse HG, Roskoden T, Linke R, Otten U, Heese K, Schwegler H : Modulation of mRNA expression of the neurotrophins of the nerve

growth factor family and their receptors in the septum and hippocampus of rats after transient postnatal thyroxine treatment. I.

Expression of nerve growth factor, brain-derived neurotrophic factor, neurothrophin-3, and neurotrophin-4 mRNA, Exp Brain Res 119: 1-8, 1998.

Merlio JP, Ernfors P, Kokaia Z, Middlemas DS, Bengzon J, Lolaia M, Smith ML, Siesjo BK, Hunter T, Lindvall O, Persson H : Increased production of trkBprotein tyrosine kinase receptor after brain insults, Neurons 10: 151-164, 1993.

Minichiello L, Korte M, Wolfer D, Kuhn R, Unsicker K, Cestari V, Rossi-Amaud C, Lipp HP, Bonhoeffer T, Klein R : Essential role for trkBreceptors in hippocampus-mediated learning. Neuron, 24:

401-414, 1999.

Narisawa-Saito M, Nawa H : Differential regulation of hippocampal neurotrophins during aging in rats, J Neurochem 67: 1124-1131, 1996.

Nathaniel EJH, Hassard T, Burton L, Novak C : Effect of exogenous thyroxine on the development of the Purkinje cell in fetal alcohol

(38)

effects in the rat. Exp Mol Pathol, 93: 601-609, 1999.

Neveu I, Arenas E : Neurotrophins promote the survival and development of neurons in the cerebellum of hypothyroid rats in

vivo, J. Cell Biol. 133: 631-646, 1996.

Ohira K, Hayashi M : Compartment of the Purkinje cells expressing BDNF and trkBin the adult monkey cerebellum. Neurosci Res Suppl, 23: 165, 1999.

Ohira K, Shimizu K, Hayashi M : Chang of expression of full-length and truncated TrkBs in the developing monkey central nervous system. Dev Brain Res, 112: 21-29, 1999.

Oppenheimer JH, Schwartz H.L : Molecular basis of thyroid hormone-dependent brain development. Endocr. Rev. 18: 462-475,

1997.

Pasquini JM, Adamo AM : Thyroid hormones and the central nervous system. Dev Neurosci 1994: 16:1-8.

Paxinos G, Watson C : The rat brain in Stereotaxic coordinates, 3rd Ed. San Diego, Academic press, 1997.

Phillips HS, Hains JM, Laramee GR, Rosenthal A, Winslow JW : Widespread expression of BDNF but not NT3 by target areas of basal forebrain cholinergic neurons. Science, 250: 290-294, 1990.

Rami A, Patel AJ, Rabie A : Thyroid hormone and development of rat hippocampus: morphological alterations in granule and pyramidal cells. Neuroscience, 19: 1217-1226, 1986.

Rami A, Rabie A : Delayed synaptogenesis in the dentate gyrus of the thyroid-deficient developing rat. Dev Neurosci, 12: 398-405, 1990.

Roskoden T, Heese K, Otten U, Schwegler H : Modulation of mRNA expression of the neurotrophins of the nerve growth factor family

(39)

and their receptors in the septum and hippocampus of rats after transient postnatal thyroxine treatment. II. Effects on p75 and trk receptor expression. Exp Brain Res 127: 307-313, 1999.

Rudge JS, Mather PE, Pasnikowski EM, Cai N, Corcoran T, Acheson A, Anderson K, Lindsay RM, Weigand SJ : Endogenous BDNF protein is increased in adult rat hippocampus after kainic acid induced excitotoxic insult but exogenous BDNF is not neuroprotective, Exp Neurol 149: 398-410, 1998.

Schecterson LC, Bothwell M : Novel roles for neurotrophins are suggested by BDNF and NT-3 mRNA expression in developing neurons, Neuron 9: 449-463, 1992.

Takahashi M, Shirakawa O, Toyooka K, Kitamura N, Hashimoto T, Maeda K, Koizumi S, Wakabayashi K, Takahashi H, Someya T, Nawa H : Abnormal expression of brain-derived neurotrophic factor and its receptor in the corticolimbic system of schizophrenic patients. Mol Psychiatry, 5: 293-300, 2000.

Takeda A, Onodera H, Sugimoto A, Kogure K, Obinato M, Shabihara S : Coordinated expression of messenger RNAs for nerve growth factor, brain-derived neurotrophic factor and neuritrophin-3 in th4e rat hippocampus following transtient forebrain ischemia, Neurosci 55: 23-31, 1993.

Thoenen H : Neurotrophins and neural plasticity. Science 270:

593-598, 1995.

Thomas AP, Nathaniel EJH : Comparisons of capillary maturation in control and hypothyroih rat spinal cord : An ultrastructural study.

Exp Neurol, 116: 96-103, 1992.

Walton M, Connor B, Lawlor P, Young D, Sirimanne E, Gluckmann P,

(40)

Cole G, Draganow M : Neuronal death and survival in two models of hypoxic-ischemic brain damage, Brain Res Rev 29: 137-168, 1999.

Wetmore C, Ernfors P, Persson H, Olson L : Localization of brain-derived neurotrophic factor mRNA to neurons in the brain by

in situ hybridization. Exp Neurol, 109: 141-152, 1990.

Weton M, connor B, Lawlor P, Young D, Sirimanne E, Gluckmann P, Cole G, Draganow M : Neuronal death and survival in two mdels of hypoxic-ischemic brain damage, Brain Res Rev 29: 137-168, 1999.

Yan Q, Radeke MJ, Matheson CR, Talvenheimo J, Welcher AA, Feinstein SC : Immunocytochemical localization of trkBin the central nervous system of the adult rat. J Comp Neurol, 378: 135-157, 1997a.

Yan Q, Rosenfeld RD, Matheson CR, Hawkins N, Lopez OT, Bennet L, Welcher AA : Expression of brain-derived neurotrophic factor r r r

protein in the adult rat. Neuroscience, 78: 431-448, 1997b.

참조

관련 문서

② 유아의 행동에 대한 선별도구나 발달 체크리스 트를 완성하는 활동들에서 가족의 수행의 신뢰 성이 입증됨-가족들이 진단에 직접 참여함으로 써 가족들은 유아의 발달에

선천성 기형 신생아 간호.. 선천성 기형 아동의 출생.. 임신 중 모체가 갖고 있는 질병이나 유전적 혹은 환경적 요인에 의해서 신체 구조에 이상을 가지고 태어난

이상의 논의는 두 가지 추론을 함축한다. 첫째, 러시아와의 초기 협력 비용은 상대적으로 높다. 이는 상술한 러시아의 특수성으로 인해 협력 경험이 충분하 지 않은

5 초기 심한 인지 장애 (Moderately severe cognitive decline).. 초기

어숙권의 글에서 정작 문제가 되는 것은 《해동명적》에 실린 박경의 필적이 과연 박경의 글씨인지, 아니면 신자건의 글씨인지 하는 점이다.. 신자건은 《해동명적》에

(초기: 주민번호 뒷자리

• 성적 지향이 태아의 뇌 발달의 결정적 시기 동안 존재하는 호르몬의 양을 변화시키는 태내 환경에 의해 영향 받음을 시사하는 연구 있음. • 남성 동성애의 형제

세계의 간호역사 고대와 초기 기독교 시대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