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하천복원 소재 응용 및 하천환경 평가.모니터링 체계 기술개발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하천복원 소재 응용 및 하천환경 평가.모니터링 체계 기술개발"

Copied!
7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하천복원 소재 응용 및 하천환경 평가·모니터링 체계 기술개발

1. 서 론

기후변화와 홍수에 안전하며, 생물서식공간의 재생과 하천생태계의 연속성 확보, 그리고 수질의 관리와 친수활동이 가능한

새로운 하천복원기술의 개 발이 시급하게 요구되고 있 다. 우리나라의 경우 유럽과 호주, 일본, 미국 등 하천환 경관리의 선진국에 비해 하 천환경의 특성이 매우 복잡 하고 독특함에도 불구하고, 관련 학제적 지식과 기술의 수준은 크게 미흡한 실정이 며, 더욱이 무비판적으로 검 증없이 외국의 기술을 답습 하고 있는 상태이다.

따라서「자연과 인간이 공존하는 생태하천 조성기

술개발(Green River)」연구단(2012~2017)의 제 2 세부과제에 해당하는 본 연구과제에서는 콘크리 트를 배제한 무저독성 소재를 활용한 생태하천복 원기술의 개발, 하천복원사업의 성공여부를 판단 할 수 있는 한국형 하천환경평가 및 진단체계의 개 발, 대규모 하천사업의 적응관리를 위한 사용자 편 의 모니터링평가 시스템의 구축과 제내외지의 격 리·차단된 서식처 연계, 그리고 하천의 종적 및 횡적 수리/생태 연결 기술 등 4개의 세세부과제로 나누어 단계별 연구계획을 수립하여 추진하고 있 으며 최종 목표는 Fig. 1과 같다.

전 승 훈▶▶▶

가천대학교 교수 chunsh@gachon.ac.kr

Fig. 1. GreenRiver 연구단 제2세부과제의 연구목표

(2)

위 4개 세세부과제의 연구개발 추진체계는 Fig.

3과 같으며, 주요 연구내용 및 핵심 기대성과는

Table 1과 같다.

2. 연구내용 및 연차별 추진계획

제 2 세부과제인“하천복원 소재 응용 및 하천

환경 평가·모니터링 체계 기술개발”연구에서 다 루고 있는 4가지 세세부 연구과제의 연구범위는 Fig. 2와 같다.

Fig. 2. 개발기술의 정의 및 범위

Fig. 3. 연구수행체계

(3)

Fig. 3. 연구수행체계(계속) Table 1. 연차별 주요 연구내용 및 핵심성과

세세부 년차 주 요 연 구 핵 심 성 과

과제

<2-1> 1 무·저독성 소재활용 생태하천 복원기술 개발 무·저독성 소재활용 국내외 하천복원기술 분석 콘크리트를 2 무·저독성 소재활용 생태하천 복원기술 개발 무·저독성 소재를 활용한 고수호안 생태복원

배제한 기법개발

무독성 3 무·저독성 소재활용 생태하천 복원기술 개발 무·저독성 소재를 활용한 인공호안 대체기술 개발 소재활용 4 무·저독성 소재활용 생태하천 복원기술 개발 무·저독성 소재를 활용한 하도내 수질정화기법

생태하천 개발

복원기술 5 복원기술의 수리적 안정성 검토기술 개발기술의 수리적 안정성 평가 모델 개발 개발

1 하천환경평가 및 진단체계의 구축 방향 정립 국내외 하천환경평가체계 분석 및 하천환경특성 분류 및 평가 등 하천환경평가체계의 구축방향의 정립

<2-2> 2 하천환경 유형별 평가 및 진단모델의 개발 하천환경 평가유형 및 단위에 따른 평가지표 및

하천환경 기준의 개발

평가 및 3 하천환경평가체계의 대권역 시범하천의 대권역 하천환경평가체계의 시범적용 및 분석평가 진단체계 적용 및 검증

구축 4 하천환경평가체계의 중소권역 시범하천의 중소권역 하천환경평가체계의 시범적용 및 분석평가 기술개발 적용 및 검증

5 한국형 하천환경평가 및 진단체계의 우리나라 하천환경의 유형과 특성에 적합한 한국형

구축기술 개발 하천환경평가체계의 개발

<2-3> 1 격리/차단된 서식처의 생태적 연결을 위한 제내지 하천환경의 생태조사기법 개발 하천환경의 연계 평가 기법의 현황 파악

정량적 2 격리/차단된 서식처의 생태적 연결을 위한 격리/차단된 제내지의 공간적 연계 평가 기준

모니터링 연계의 평가 기준 개발 분석 및 선별

결과의 3 격리/차단된 서식처의 생태적 연결을 위한 격리/차단된 제내지 유형별 기능 모니터링 체계

평가 및 연계의 평가 기법 구축 개발

격리/차단된 4 격리/차단된 서식처의 연계 평가 시스템 개발 격리/차단된 제내지의 연계 평가 및 진단 기법 서식지의 확립 및 편의성 증대

연계평가 5 격리/차단된 서식처의 연계 평가 시스템의 평가시스템의 홍보, 보급 및 실용화 시스템 현장적용 및 검증

개발

<2-4> 2 하천 종횡적 연결기술 개발 자연하도형 생태이동통로, 본류/지류 생태연결 기술 하천 3 종횡적 연결기술의 수리적 안정성 평가기술 2차원수치모델로 치수 안정성 분석 및 홍수 분담능 종횡적 개발, 기술의 현장적용 평가, 구리시 내동천, 왕숙천을 대상으로 현장 적용 연결 및 4 적용기술의 모니터링 및 평가 생물 이동성 및 수리적 안정성 모니터링, 하천환경/

복원기술 수리인자를 바탕으로 평가기준선정 및 지침마련

개발 5 적용기술의 검증 및 실용화 기술검증을 바탕으로 실용화, 기술지침서, 매뉴얼 제작, 특허등록, 지적재산권 추진

(4)

3. 세세부과제별 연구방향

3.1 무·저독성 소재활용 생태하천복원기술 개발

콘크리트를 배제한 무·저독성 소재를 활용하여 하도 및 저수호안 등에서 자연친화적으로 하천의 생태적 기능을 복원할 수 있는 생태하천복원 기술 을 개발하고, 실규모 하천실험 및 고속수로 실험을 통한 개발기술의 수리적 안정성 검토로 국내 여건 에 맞는 치수적 안정성을 과학적으로 확보하며, 시 범사업을 통하여 개발기술을 현장에 적용하여 실 용성 검증을 통한 현장적용이 가능한 실용화 기술 을 제시한다. Fig. 4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다공질 입자를 활용한 Bioriver 블럭을 다양한 형태와 구 조 및 조합방식으로 적용하는 기술로서 하상과 고 수 및 저수호안을 복원하는 기술이라 할 수 있다.

3.2 하천환경평가 및 진단체계 구축기술 개발 하천복원사업의 실행과정에서 기본방향의 설정

기준 및 사업의 성공여부를 평가할 수 있는 통합적 하천환경평가 체계의 개발, 우리나라 하천환경의 규모와 특성에 적합하면서도 과학적이고 정량적으 로 표준화된 한국형 하천환경평가 및 진단 체계의 구축기술을 제시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하천 환경의 평가분야는 물리, 생태, 수질, 어메니티 분 야이며, 각 분야별 평가항목, 지표와 기준을 정립 하고, 이를 실현시키기 위한 기반환경으로서 Fig.

5에서 제시한 바와같이 Web-GIS DB시스템을 구 축하고자 한다. 또한 우리나라 모든 하천환경평가 에 적용하기 위하여 유역-하도-구간-세구간으로 이어지는 하천공간의 계층적 체계를 고려한 하천유 형화 및 평가단위의 분류방식을 적용하고자 한다.

3.3 격리/차단된 제내지 하천환경의 연계 평가 및 진단 기술개발

대규모 하천 사업 전·후 물리/화학/생태적 변 화 모니터링 결과의 정량적 평가 매뉴얼 개발, 사 용자 편의 모니터링, 평가 및 진단 시스템 구축과 Fig. 4. 2-1세세부 연구개발 모식도

Fig. 5. 2-2 세세부과제 연구개발 모식도

(5)

격리/차단된 제내지 하천환경 서식처 연계를 위한 수리수문, 생태의 종합적 평가 및 예측 시스템을 구축한다.

3.4 하천 종횡적 연결 및 복원기술개발

횡구조물인 암거나 낙차공의 생태이동 단절을 방지하기 위하여 자연하도형 생물이동통로 기술 및 본류/지류 생태적 연결기술을 개발하고 콘크리 트 위주의 인공호안을 식생활착이 가능한 토양피 복형의 자연하안으로 변화를 유도하는 추이대, 저 수호안의 자연하안화 기술을 개발하며, 저수로/고 수부지 횡적 연결기술을 개발함으로써 종횡적 연 결기술의 수리적 안정성 기술확보를 통한 하천의 종횡적 연결 및 복원기술을 구축한다.

4. 기대효과 및 활용방안

본 연구에서 수행되는 하천복원 소재 응용 및 하 천환경 평가·모니터링 체계 기술개발은 기후변화 로 예상되는 하천환경 변화에 대처할 수 있는 기술 의 안정성 확보 및 국내 하천환경의 특성에 적합 한 하천환경평가와 격리/차단된 서식지의 연계평 가 시스템 구축, 정량적 모니터링 결과의 평가 그 리고 종횡적 연결 및 복원기술을 개발을 함으로써 Fig. 8과 같은 기술적 기대효과 및 활용방안을 제 시한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기술은 자연과 문화가 공존할 수 있는 지속적 하천환경조성을 위한 복원 기술 및 평가체계로 활용될 것이다.

감사의 글

본 연구는 국토교통부 물관리연구사업의 연구비 지원(12기술혁신C06)에 의해 수행되었습니다.

Fig. 6. 2-3 세세부과제 연구개발 모식도

Fig. 7. 2-4 세세부과제 연구개발 모식도 본류/지류 생태적 연결기술 개발

자연하도형 생물이동통로 기술 개발

추이대, 저수호안의 자연하안화 기술 개발

(6)

Fig. 8. 기대효과 및 활용방안

참고문헌

1. 국토해양부. 2002. 국가수자원종합정보시스템, WAMIS.

2. 노태호. 전동준. 김명철. 김현정. 2009. 하천건전성 평가모델 LOCOPEM을 적용한 환경평가 예측기법.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3. 조용현. 1997. 생태적 복원을 위한 중소하천 자연도 평가방법 개발.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7)

4. Fitzpatrick, Faith A. Peppler, Marie C. DePhilip, Michele M. and Lee, Kathy E. 2006.

Geomorphic characteristics and calssification of Duluth-Area streams, Minnesota. U.S.

Department of the Interior and U.S. Geological Survey.

5. Gale A. Norton-U.S. Department of the interior, P.Patrick Leahy-U.S. Geological Survey(2006), Geomorphic Characteristics and Classification of Duluth-Area Streams, Minnesota.

6. Kamp, Ulrich and Binder, Walter and Holzl Konrad. 2006. River habitat monitoring and assessment in Germany. Environ Monit Assess(2007) 127:209-226.

7. LAWA(Laenderarbeitsgemeinschaft Wasser), 2000, Gewaesserstrukturguetekar- tierung in der BRD. 1. Aufl. Schwerin

8. Sudaryanti, Sri. Trihadiningrum. Hart, Barry, T. Davies, Peter, E. Humphrey, Chris.

Norris, Richard. Simpson, Justen and Thurtell. 2001. Assessment of the biological health of Brantas River, East Java, Indonesia using the Australian River Assessment System(AUSRIVAS) methodology. Aquatuc Ecology 35: 135-146

9. USEPA, 1999, Rapid Bioassessment Protocols, For Use in Streams and Wadeable Rivers:

Periphyton, Benthic Macroinvertebrates, and Fish.

10. Verdonschot, Piet F. M. 2000. Integrated ecological assessment methods as a basis for sustainable catchment management, 49-60

11. Weiß, Annet and Matouskova, Milada and Matschullat, Jorg. 2007. Hydromorphological assessment within the EU-Water Framework Directive. Hydrobiologia (2008) 603:53-72

수치

Fig. 3. 연구수행체계 (계속) Table 1. 연차별 주요 연구내용 및 핵심성과 세세부 년차 주 요 연 구 핵 심 성 과 과제 &lt;2-1&gt;  1 무·저독성 소재활용 생태하천 복원기술 개발 무·저독성 소재활용 국내외 하천복원기술 분석 콘크리트를 2 무·저독성 소재활용 생태하천 복원기술 개발 무·저독성 소재를 활용한 고수호안 생태복원 배제한 기법개발 무독성 3 무·저독성 소재활용 생태하천 복원기술 개발 무·저독성 소재를 활용한 인공호안 대체기술
Fig. 8. 기대효과 및 활용방안 참고문헌 1. 국토해양부. 2002. 국가수자원종합정보시스템, WAMIS. 2. 노태호. 전동준. 김명철. 김현정. 2009

참조

관련 문서

*단어 사이의 공통성과

(Taekwondo, Weight Lifting Players) (90 min × 6 days/week) Warming

15) 세광음악출판사

[r]

자석 팽이는 볼록한 두 부분에는 고리 자석이 들어 있고, 받침대에는 팽이의 고 리 자석 위치와 일치하는 부분에 삼각형 모양의 자석이 네 개 들어 있다.. 그리고

실시해 환경특별시 인천의 조성에 기여함은 물론 시민들이 직접 하천 정화 활동에 참여했다는데 의의가 크다...

[r]

2 동물장묘업의 규제합리화를 위한 법제분석 농림축산식품부 장은혜 3 법령상 단체에 대한 법적 규율의 분석 및 개선방안 연구 여성가족부 이유봉 4 상품권의 발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