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u-Traffic 사용자 서비스 정립방안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u-Traffic User Services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u-Traffic 사용자 서비스 정립방안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u-Traffic User Services"

Copied!
124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u-Traffic 사용자 서비스 정립방안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u-Traffic User Services

(2)

국토연 2006-45 ․ u-Traffic 사용자서비스 정립방안 연구

글쓴이․윤하중, 이시복/ 발행자․최병선 / 발행처․국토연구원 출판등록․제 2-22호 / 인쇄․2006년 6월 26일 / 발행․2006년 6월 30일

주소․경기도 안양시 동안구 관양동 1591-6 (431-712) 전화․ 031-380-0114(대표), 031-380-0426(배포) / 팩스․031-380-0474

ISBN․89-8182-415-0

한국학술진흥재단 연구분야 분류코드․D240100 http://www.krihs.re.kr

Ⓒ2006, 국토연구원

*이 연구보고서의 내용은 국토연구원의 자체 연구물로서 정부의 정책이나 견해와는 상관없습니다.

(3)

국토연 2006-45

u-Traffic 사용자서비스 정립방안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u-Traffic User Services

• 윤하중․이시복

(4)

연구책임 윤하중 연구위원 이시복 영산대학교 교수

연구심의위원 염형민 선임연구위원 정일호 연구위원 류재영 연구위원 김정훈 연구위원 연구협의(자문)위원

공주대학교 교수

교통개발연구원, 책임연구원 시립대학교 교수

김경석 박상조 이청원

연 구 진

(5)
(6)

P ․ R ․ E ․ F ․ A ․ C ․ E

발 간 사

우리는 지금 「교통혼잡 완화」라는 전통적 교통정책 기조에서 「통행의 편의와 안전」을 추구하는 방향으로 패러다임이 전환되는 시기를 맞이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새로운 패러다임과 시기를 같이 하고 있는 것이 근래 들어 주목받고 있는 유비쿼터스 기술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유비쿼터스 기술은 개개인의 통행목적을 구체적으로 반영한 맞춤형 서비스를 비롯하여 과거에 배려가 없었던 교통약자에 대한 서비스 등 교통서비스에 있어 매우 의미 있 는 진전을 가져올 것으로 전망됩니다.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중앙정부 차원의 u-Korea 계획, 지자체별로 추진되고 있는 u-City 사업 등 다수의 관련 사업들이 추진 중에 있습니다. 그러나 명 확한 개념의 정립, 체계적인 추진 틀 없이 다소 성급하게 사업이 진행됨으로 인해 향후 여러 가지 문제점이 예상되고 있는 바, 현시점에서 명확한 u-교통 서비스(u-Traffic 서비스)의 개념을 정립하고 구체적인 제공서비스를 정의하여 체계적 추진의 기틀을 마련하여야 할 것입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u-Traffic 서비스의 목표와 개념의 정립, 나아가 사용자 에게 제공할 서비스의 분야와 구체적인 세부 단위서비스내용을 설정함으로써

(7)

국가전체 차원의 통합적 u-Traffic 추진기반 마련에 일조하고자 하였습니다.

또한, u-Traffic 서비스 구현을 위해 선행되어야 할 정책적 과제를 도출하고 추진 로드맵을 작성하여 향후 이 분야 정책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습니 다.

본 연구는 국내 u-Traffic 분야에서는 최초의 연구 중 하나라 할 수 있는 만 큼, 이를 시작점으로 하여 앞으로 u-Traffic 관련 후속연구가 활성화되기를 기 대합니다.

2006년 6월 국토연구원장 최 병 선

(8)

F ․ O ․ R ․ E ․ W ․ O ․ R ․ D

서 문

최근 들어 주목을 받기 시작하고 있는 유비쿼터스 기반의 교통서비스인 u-Traffic(ubiquitous-Traffic)은 크게 보면 도시생활 전반에 걸쳐 다양한 서비 스를 제공하는 u-City 범주에 포함되는 요소서비스의 개념이라 할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u-City는 일종의 붐처럼 추진되고 있으나, 아직 초기 기 획․설계단계로서 u-Traffic 역시 개념 정립조차 명확치 않은 상태에서 공통 적인 틀 없이 개별 지자체 단위로 추진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추세대로 성급히 추진될 경우, 향후 도시간 시스템간 통합성, 호환성 측면에서 심각한 문제가 예상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를 방지하기 위해 현시점에서 u-Traffic의 명확한 개념 및 제공 서비스를 정립할 필요가 있다는 인식하에 수행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u-Traffic의 개념 정의, 추진목표, 비젼 등을 포함한 추진방향을 가늠해 보고 이어 u-Traffic 사업을 통해 이용자에게 실질적으로 제공할 서비스 항목을 도 출하기 위해 기존의 관련사업, 특히 지능형교통체계(ITS)와의 면밀한 비교분 석을 통해 두 사업간의 관계를 명확히 설정하고자 하였다.

(9)

설정된 관계에 부합되도록 u-Traffic과 ITS사업의 영역을 정의하고, 기존 ITS 사용자서비스에 대한 면밀한 분석을 통해 u-Traffic 사용자서비스로 편입 가능한 부분을 포함시켜 u-Traffic 세부서비스를 도출하였다. 또한, u-Traffic 서비스를 국가사업으로서 효율적으로 구현하기 위해 선행되어야 하는 주요 추진과제를 도출하고 추진시기를 제시하여 관련 정책 수립에 일조코자 하였 다.

본 연구는 u-Traffic 분야의 구체적인 사용자서비스를 정립하고자 한 최초의 시도 중 하나로서, 연구의 범위상 관련 전문가 그룹의 공감대를 얻는 데까지 는 시도할 수 없었으나, 향후 다양한 전문적 견해를 충분히 반영하여 명실공 히 u-Traffic 서비스를 “정립”하는데 있어 하나의 이정표 역할을 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2006년 6월 윤하중 연구위원

(10)

S ․ U ․ M ․ M ․ A ․ R ․ Y

요 약

본 연구는 현재 우리나라 u-Traffic 관련사업의 추진현황을 파악하고 이에 대한 인식하에 u-Traffic 부문의 추진방향과 목표를 설정하였으며 나아가 실 질적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할 세부서비스를 도출하는 데에 연구의 초점을 맞 추었다. 아울러 국가사업으로서 u-Traffic 사업을 효율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선행되어야 하는 추진과제를 도출하는 데에도 중점을 두었다. 이에 따른 구 체적인 내용을 총 6장으로 구성하였으며, 각 장별 주요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 과 같다.

제 1 장 연구의 개요

제 1장에서는 연구의 배경 및 목적, 연구의 범위와 방법에 대해 기술하였 고, 선행연구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았다.

최근 들어, 안전하고 편리하며 쾌적한 인간중심의 교통서비스 제공수단 중 하나로 유비쿼터스 컴퓨팅 기술을 활용한 교통서비스의 개념이 주목을 받기 시작하여, 유비쿼터스 기반의 교통서비스인 u-Traffic에 대한 연구가 시작되었 다. u-Traffic은 도시생활 전반에 걸쳐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u-city 범주 에 포함되는 요소서비스의 개념이라 할 수 있으며, 세계적으로도 주목을 받는 신개념의 서비스이다. 국내에서도 활발한 추진이 논의되고 있으나 아직 초기 기획단계로서 서비스의 내용이나 추진방식 등에서 방향성이 명확히 정립되지 않은 상태이며, u-Traffic은 개념 정립조차 명확치 않은 상태로서 공통적인 틀

(11)

이 마련되지 않고 있어 향후 여러 측면의 문제를 초래할 것으로 예상되는 실 정이다. 따라서, 현시점에서 u-Traffic의 명확한 개념 및 제공서비스를 정립하 여 체계적 추진체제 구축의 기틀을 마련하여야 하며, 향후 u-Traffic 추진 시 발생할 수 있는 시행착오 및 잠재적 상충/장애요소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u-Traffic 구축 이전에 현 시점에서 시급히 선행되어야 하는 과제를 도출하여 추진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국가전체 차원의 통합적 u-Traffic 추진기반 마련을 위한 첫 단 계 연구로서 “인간중심의 교통서비스”를 구현하기 위한 u-Traffic 서비스의 목 표와 개념을 정립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연구내용 및 방법을 간단히 정리하 면, 문헌조사를 통해 파악된 u-Traffic 분야의 주요 선행연구의 연구내용을 파 악하여 본 연구와 비교․검토함으로써 독창성과 차별성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문헌, 웹문서 조사를 통해 u-Traffic 관련 국내외 사례를 검토하여 파악된 추진동향을 참조하여 u-Traffic 서비스의 개념 및 목표를 정립하고, 서비스 제 공 시나리오를 구상한다. 또한, u-Traffic과 ITS간의 관계를 정립하고 이를 기 반으로 설정된 개념과 목표에 부합하는 서비스 분야 및 세부 사용자서비스를 도출하여 현 시점에서 u-Traffic 구현을 위하여 추진되어야 하는 과제를 도출 하고 추진 로드맵을 작성한다. 그리고 도출된 u-Traffic 사용자서비스의 우선 순위를 적정한 평가기준 하에 평가하고 우선순위에 따라 서비스 제공 추진일 정을 단계별로 제시하는 방법으로 추진 내용 및 절차를 설정하였다.

u-Traffic 분야의 주요 선행연구의 내용은 본문에서 구체적으로 소개하였으 며, 이들 선행연구는 국내․외 유비쿼터스 추진현황 및 계획 검토, 향후 유비 쿼터스 환경 하에서 교통부문의 여건 변화 분석, 향후 전개될 교통시스템의 미래상 제시, 나아가 유비쿼터스 환경에 능동적으로 대비하기 위한 대응전략 수립 등을 주요 내용으로 하고 있다. 반면, 본 연구는 한 단계 더 구체적인

(12)

수준에서 기존 ITS사업과의 심층적 비교분석에 의해 u-Traffic 서비스를 도출 하고, 도출된 서비스의 구현을 위해 선행되어야 하는 추진과제를 제안하고자 했다는 점에서 차별화된다고 할 수 있다.

제 2 장 국내외 유비쿼터스 추진현황 및 전망

유비쿼터스 관련 문헌조사 결과, u-교통 또는 u-Traffic으로서의 독립적 사 업 추진사례는 찾아보기 어렵고, 대다수가 국가차원의 유비쿼터스 사업 또는 u-City 사업의 한 분야로서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본 연구에서 는 개별 사업추진 사례 각각에 대해 구체적으로 교통부문의 세부 내용을 파 악해 내는 것은 어렵다고 판단하여, 유비쿼터스 컴퓨팅이라는 큰 틀에서 국내 외 현황을 살펴보고, 한 단계 구체화된 레벨에서 u-Traffic을 담는 “그릇”이라 할 수 있는 u-City 사업의 추진현황과 앞으로의 전망을 살펴보았다.

국내외 유비쿼터스 컴퓨팅 추진현황을 간단하게 살펴보기 위해 해외사례로 는 미국, 일본, 유럽에 대해 정리하였다. 우선 미국은 유비쿼터스에 대한 관심 이 그 어느 나라보다 높았으며, 90년대부터 정부주도하에 첨단 IT 기업과 MIT, CMU, 워싱턴 대학 등 주요 대학을 중심으로 유비쿼터스 기술 연구개발 을 시작하였고, 일상생활의 공간과 컴퓨터간의 자연스러운 통합이 가능한 HCI(Human Computr Interface) 기술 개발을 가장 중요한 부분으로 인식하고 있다.

특히 최첨단 컴퓨팅, 대규모 네트워킹, 신뢰성 소프트웨어 및 서비스, 인간 과 컴퓨터의 상호작용 및 정보 관리, 소프트웨어 디자인 및 생산성 등이 주요 개발 영역에 해당된다. 그리하여 미국의 IT 기업은 여타 국가의 기업체들보 다 유비쿼터스 기술개발에 많은 투자를 하고 있고, MS, HP, Oracle 등 주요 기업이 이 분야 연구개발을 선도하고 있으며, MIT, CMU, 워싱턴 등 주요 대 학 연구소는 미 국방부 산하의 고등연구계획국(DARPA)과 국립 표준기술원으

(13)

로부터 연구 자금을 지원 받아 유비쿼터스 컴퓨팅 연구개발에 중추적인 역할 을 하고 있다.

미국은 전통적인 IT강국으로서 막대한 자본을 투자하여 유비쿼터스 기술 개발 및 실용화를 위한 대규모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어, 유비쿼터스 관련 핵심 기술을 조기에 확보할 것으로 보이며, 이를 실생활에 적용하여 상용화된 유비쿼터스 서비스 또한 가까운 시일내에 현실화 될 것으로 전망된다.

일본은 다른 IT 강국보다 한발 늦게 IT산업에 뛰어들었지만 유비쿼터스를 통해 IT 선도국으로 급부상하려는 계획을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계획은 유비 쿼터스를 통해 국가경쟁력 향상은 물론 자국민의 삶의 질 향상을 비롯한 사 회 전반에 걸친 긍정적 파급효과를 도모하는 것을 기본방향으로 하고 있다.

일본 u-Japan의 궁극적인 목표는 국민 누구나가 시간과 공간의 제약 없이 네 트워크에 접속하고 자신이 원하는 정보를 간단히 이용할 수 있는 사회를 구 현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일본은 자국의 특성과 기술이 반영된 차별화된 구 현전략을 개발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일본정부 차원의 IT추진전략은 ‘e-Japan전략I'과 그에 이어 발표된 ’e-Japan 전략II'를 들 수 있으며 이러한 범국가적인 네트워크망 구축이 앞으로 다가올 u-Japan 실현의 기반이 될 것이다. 일본에서 유비쿼터스 컴퓨팅 개념이 가장 먼저 제안된 것은 사카무라 겐 교수의 TRON(The Realtime Operating system Nucleus) 프로젝트를 통해서이다. TRON의 궁극적인 목표는 OS(Operating System)의 호환성을 통해 어디서나 쓸 수 있는 컴퓨터 사회를 구현하여 일상생활에 사용되는 모든 것들을 컴퓨터로 제어함으로써 인간생활 의 안전과 편리를 추구하는 것이다. 그로인해 TRON 지능형 주택, TRON 지 능형 빌딩, TRON 디지털 박물관 등의 설계 연구가 추진되었고, 민간 기업의 유비쿼터스 프로젝트로는 구패스(goopas), 노부모 지킴이 서비스 등이 있다.

(14)

일본은 침체된 자국의 경제부양을 위하여 유비쿼터스 산업에 과감한 투자 를 하고 있으며, 관련 산업이 전체 시장경제에 미칠 총체적 파급효과는 매우 클 것으로 보인다. 한편, 유럽은 EU 공통전략을 중심으로 각 국가의 특징과 성향에 적합한 형태로 유비쿼터스 컴퓨팅 프로젝트가 추진되고 있다. EU의 유비쿼터스 비전에 해당되는 AmI(Ambient Intelligence)는 EU 차원에서 구현 하려는 차세대 정보화 비전으로써 생할에 필요한 모든 기기와 물리적 공간에 지능형 컴퓨터들이 자연스럽게 밀착되는 편재형 지능을 통하여 삶의 질을 제 고하고자 하는 것이다.

유럽의 유비쿼터스 프로젝트의 특징으로는 산업부문 보다는 인간생활의 질 향상과 복지환경조성에 대한 연구에 주력하고 있다는 것과, 서버 중심의 네트 워크망 구축보다는 사물과 사물간의 근거리 통신에 중점을 두고 있다는 점이 다. EU는 차세대 유비쿼터스 비전인 AmI를 구체화할 신개념의 패러다임으 로서 ‘Ambient Intelligence Space'를 제시하였는데, 이것은 정보통신기술을 통하여 앞으로 당면할 사회 및 경제적 과제들을 해결하는 지능 기반환경을 의미하고 이러한 지능기반 환경구축을 위한 전망예측 차원에서 'Grand Challenges 11' 프로젝트를 수행한 바 있으며, 이 프로젝트의 내용은 본문에 서 자세히 소개하였다.

또한, 유럽 내에서 대학을 중심으로 이루어진 유비쿼터스 관련 연구개발은

’유비캠퍼스‘ 프로젝트로서 대표된다고 할 수 있다. 이 프로젝트는 캠퍼스 내 교육환경 개선을 목표로 기존 교육 형태를 벗어나 보다 효과적인 지식전달과 교수-학생 간 interaction 향상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유비쿼터스 컴퓨팅 영역 의 새로운 기술 통합 및 기반기술에 대한 실험을 통하여 실제적인 경험을 얻 고자 하였다. 그리고, 유럽의 민간기업에 의해 추진 중인 대표적인 사례로는 Urban Tapestries 프로젝트를 들 수 있는데, 이 프로젝트는 상호 교환적인 서

(15)

비스 제공을 목표로 도시 내에서 무선으로 특정장소에 대한 멀티미디어 정보 에 접근하여 정보를 제공받기도 하고 자신의 정보컨텐츠를 업로드하기도 하 는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러한 시스템을 통해 도시 내 어떤 장소에 대한 정보라 하더라도 자유롭 게 제공받을 수 있고 자신의 정보를 업로드 함으로써 실시간 정보교환이 가 능하게 되며, 이러한 서비스가 확장됨에 따라 지역사회간 정보교류도 활발해 질 것이다.

우리나라는 2002년부터 유비쿼터스에 대한 국민과 언론의 집중적인 관심으 로 정부의 각 부처와 기업들의 투자가 시작되었으며, 최근에는 IT 강국이라는 명성에 걸맞게 모든 국가 자원을 지능화, 네트워크화하고 이를 바탕으로 국가 사회 시스템 혁신, 국민 생활수준 향상, 국가 경제 발전을 추구하려는 u-Korea 기본계획을 중심으로 다양한 유비쿼터스 관련 사업 및 기술개발이 추진 중이다.

u-KOREA 기본계획은 주요 선진국보다 앞서 유비쿼터스 사회를 실현하고, 새로운 경제사회적 수요에 대응하여 관련 IT기술을 육성하며, 급속하게 변화 하는 유비쿼터스 시대에 발맞춰 세계 최고의 IT강국으로 자리매김하고자 하 는 것을 골자로 하고 있다. IT 기업에서는 삼성전자, KT, SK텔레콤, LG 등 이 주축이 되어 연구개발을 선도하고 있고,「u-비즈니스」기술개발에 적극적 투자를 하고있다. 향후 우리나라가 유비쿼터스 분야에서 선도 국가로 발돋움 하기 위해서는 앞으로도 정부 부처, 기업, 학계 등 관련주체간의 협력체계를 기반으로 하는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u-Traffic을 포함하고 있는 넓은 단계인 u-City는 유비쿼터스 컴퓨팅, 정보 통신 기술을 도시공간에 융합하여 도시생활의 편의 증대와 삶의 질 향상, 체 계적 도시관리에 의한 안전보장과 시민복지 향상, 신산업 창출 등 도시의 제

(16)

반 기능을 혁신시킬 수 있는 차세대 정보화 도시를 의미한다. u-City에서는 도시공공시설을 구성하는 모든 사물에 감지(sensing), 추적(trackin), 감시 (monitoring), 작동장치(actuator) 역할을 하는 전자칩이 이식되고 이것이 네트 워크로 연결되어 도시기능을 획기적으로 제고시키게 된다. u-City의 특성은 지능화(Intelligence), 네트워크(Network), 플랫폼(Platform), 서비스 (Application) 등 4가지 측면에서 살펴볼 수 있으며 자세한 내용은 본문에 기 술하였다.

아직은 세계적으로도 ’유비쿼터스‘ 또는 u-City라는 개념을 직접적으로 표방 한 사업 추진사례는 많지 않지만, “u-City 범부”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는 대표적인 해외 추진사례를 들면, 홍콩의 사이버 포트와 두바이의 기업도 시, 말레이시아의 MSC 프로젝트, 핀란드의 Aribianranta 프로젝트, 독일 쾰른 의 미디어 파트 등이 있다. 이들 해외 u-City 사업의 공통점은 도시가 보유 하고 있는 특성과 자원을 최대한 부각하고 관련 산업과의 연계를 통해 도시 의 경쟁력을 제고함과 동시에 기본적인 기능도시 차원을 넘어 쾌적하고 안전 한 생할 서비스를 제공하는 자족도시의 구현을 추구하고자 한다는 것이다.

국내 u-City 사업은 공통적으로 지자체의 주도 하에 교통, 환경, 시설물관 리, 도시안전관리, 문화 등 다양한 도시 활동에 유비쿼터스 기술을 접목하여 지능형 서비스를 구현함으로써 시민의 생활편익을 도모하고 지역 특성에 맞 는 특화산업을 선정하여 이를 유비쿼터스 기술로 발전시켜 지역도시 경제를 활성화하고자 하고 있는데, 우리나라는 세계 최고 수준의 통신 인프라 및 건 설 등 경쟁력 있는 관련 산업을 보유하고 있으며 폭 넒은 이용자 기반이 있 어 u-City 사업추진 환경은 비교적 잘 조성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제 3 장 u-Traffic 서비스의 개념 및 목표 정립

제 3장에서는 ‘유비쿼터스 컴퓨팅’이라는 새로운 환경이 조성되었을 때 교

(17)

통서비스 부문에서 새롭게 요구되는 사항들을 정리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u-Traffic의 개념과 목표를 정의하였다. 또한, 현 시점에서 서비스의 실체가 가시적인 내용을 중심으로 통행단계별 u-Traffic 서비스 이용 시나리오를 소 개하였다.

유비쿼터스는 우리의 삶에 많은 변화를 가져올 것이며 이러한 변화 중 가 장 큰 관심사는 우리의 일상생활에 관한 것이다. u-교통 분야에서는 “맞춤 형” 서비스가 강조되는데, 이전에는 이용자의 needs나 의사와는 무관하게 불 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매우 일반적인 교통정보를 제공하던 방식에서 벗어나 개별 이용자의 특수상황에 따른 매우 구체적이고 사적인 needs에 적합하도록 적재적소에서 정보서비스가 제공될 것이며, u-교통 서비스는 보행자 및 어린 이, 장애인 등 교통약자를 적극적으로 배려하는 서비스를 제공할 것이다.

이러한 유비쿼터스 컴퓨팅 기술이 접목된 u-교통 서비스는 교통분야의 안 전성과 편의성 측면에서 일대 혁명적 도약을 가져옴으로써 보다 안전하고 편 리한 도시생활의 영위를 가능케 하는 기대해 볼 만한 교통서비스의 미래상이 라 할 수 있다. 유비쿼터스 환경 하에서의 사용자는 ubiquitous와 citizen이 결합된 신조어로서 ubitizen이라고 불리워지기도 하는데, 이는 「어떤 디바이 스에서도 자신의 욕구에 가장 적합한 정보를 언제, 어디에서나, 자신이 느끼 지 못하는 가운데 제공받고, 자동적으로 필요한 양방향 의사결정이 이루어지 는」 서비스를 요구하고 제공받게 될 것이다.

u-Traffic 서비스는 각종 센서, 네트워크, 통신, 컴퓨터 등 유비쿼터스 컴퓨 팅 기술을 활용하여 교통체계 이용자의 개별적 통행목적 및 니즈(needs)에 대 응하여 실시간 맞춤형으로 편의(convenience) 및 안전성(safety)을 획기적으로 증진시킬 수 있는 제반 자동화 교통서비스로서 정의할 수 있으며, 「사용자 입장에서의 u-교통서비스 요구사항」에 대한 부합여부가 u-Traffic 서비스로서

(18)

의 전제조건이 될 것이다. 이를 바탕으로 u-KOREA 기본계획상의 우리나라 유비쿼터스 추진방향을 고려하여 목표를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도시생활 영위를 위한 보이지 않는 “봉사수단”으로서의 교통체계를 구현하 고, 교통체계 이용의 편의성 및 쾌적성을 획기적으로 증대시키며, 교통안전이 철저히 보장되는 교통체계를 구현 - 교통 사고율 “zero"추구 - 한다. 또한 인 간이 중심이 되는 교통 환경을 구축하고, 교통약자 및 보행자의 편의와 안전 을 확보할 수 있으며, 모든 이용자가 동등한 mobility(이동성)를 가질 수 있는 교통 환경을 구축하는 것이다.

제 4 장 u-Traffic 사용자서비스 분야 및 단위서비스 도출

먼저 ITS와 u-Traffic간의 특성과 장단점, 그리고 상호관계를 분석하여 u-Traffic의 입지를 판단해 보았으며, 이어서 ITS 사용자서비스 항목을 면밀히 분석하여 u-Traffic 서비스로 편입가능한 항목을 선별하고 여기에 신규 u-교통 서비스 요소를 조합하는 방식으로 u-Traffic 사용자서비스의 분야 및 단위서 비스를 도출하고 우선순위를 부여하였다.

서비스 목표 측면에서 ITS는 시스템 차원의 혼잡처리나 도로이용 효율성 제고에 중점을 두는 반면, u-Traffic은 이용자의 개별적 통행 니즈, 쾌적성, 그 리고 안전성에 높은 비중을 두고 있다. 서비스 내용에 있어서 대표적인 차이 점은 ITS의 경우 교통관리, 신호제어, 제어성 교통정보제공 등의 교통흐름관 리를 위한 관주도형의 공공 서비스 중심인 반면 u-Traffic은 민간이 주도하는 맞춤형 부가 교통정보서비스 중심이라는 점이다.

u-Traffic과 ITS간의 장단점 비교는 본문에 자세히 기술한 바와 같이, ITS 사업은 국내에서 추진기반이 견고히 마련되어 있지만 일반인의 인식이 취약 하여 민간이 참여하는 서비스 분야의 경우 비즈니스 모델이 취약한 단점이

(19)

있고, 반면 u-Traffic의 경우는 일반인들의 인식수준이 상대적으로 높고 특성 상 민간 비즈니스 모델 개발 잠재력이 크지만, 아직 개념과 서비스가 구체적 으로 정립되지 않았고, 추진기반이 견고히 마련되지 못했으며 앞으로 많은 시 간과 노력이 요구된다는 것이다.

교통부문은 도시생활 전체 차원에서 여타 분야와 유기적으로 연계되어야 하는 바 u-Traffic를 매개로 하여 ITS분야와 여타 u-분야간의 연계가 이루어질 것이다. 궁극적으로는 ITS는 u-Traffic안에 흡수되는 형태일 것이나, 현재로서 는 u-Traffic은 사업으로서 추진되기에는 여러 가지 여건이 성숙하지 못한 상 황이므로 단․중기적으로 이용자에게 가시적, 실질적 서비스 제공을 위한 사 업 진행을 위하여 두 분야는 구분하여 추진하되 장기적으로 점차 통합해 나 아가는 형태가 바람직할 것이다.

u-Traffic은 차세대 ITS(post-ITS)라 불리워지기도 하는 만큼 서비스 설정은 기존 ITS가 출발점이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국가 ITS 기본계획에 명시되어 있는 기존 ITS 사용자 서비스에 대한 면밀한 분석을 통해 앞에서 제시된 u-Traffic 서비스로의 정의, 목표 및 전제조건에 부합하는 일부 서비스는 u-Traffic 서비스로 편입할 수 있을 것이다.

주요 u-Traffic 서비스 도출방향과 방법은 본문에서 보다 상세히 기술하였 다. 국가 ITS 기본계획상의 63개 세부 사용자서비스를 대상으로 u-Traffic 서 비스로서의 적합도 분석을 수행한 결과를 살펴보면, 여행자정보고급화 분야가 가장 높은 점수를 받아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는 차량 및 도로첨단화 분야, 전자지불처리분야, 대중교통활성화 분야 등의 순으로 적 합도가 분석되었다.

교통관리최적화 분야의 서비스는 전반적으로 모든 세부서비스가 낮은 점수 를 받아 u-Traffic 서비스로는 적합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었으므로 ITS 고유영

(20)

역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앞의 내용을 바탕으로 u-Traffic 사 용자서비스 분야 설정을 하였으며, 그 구분은 여행자 편의 및 의사결정 지원 서비스 분야, 교통요금 자동지불 서비스 분야, 차량 안전운행지원 서비스 분 야, 차량운행 자동화 서비스 분야, 교통약자 및 보행자 통행지원 서비스 분야 로 나뉜다. 이러한 개별 단위서비스의 구현 우선순위를 평가하고 이를 토대 로 서비스의 구현시기를 설정하였으며, 구체적 내용은 본문에 자세히 기술하 였다.

제 5 장 u-Traffic 부문의 추진과제와 로드맵

제 5장에서는 u-Traffic 서비스 제공을 위한 본격적 사업추진 이전에 선행되 어야 하는 추진과제와 일정을 먼저 살펴보고, 이를 기반으로 하는 추진될 u-Traffic 서비스 제공(구축) 일정을 3단계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u-Traffic 사업추진을 위해서 가장 우선되어야 할 것은 현재까지 추진되어온 ITS 사업과의 관계를 중앙정부의 주도아래 조속히 정립하여 사업추진상의 혼 선을 방지하는 것이다. 원론적으로는 u-Traffic 사업을 post-ITS로 보고 기존 의 ITS 사업내용을 업그레이드 하는 수준에서 그대로 가져갈 것인지, 아니면 본 연구가 제시한 방식으로 u-Traffic과 ITS간의 사업 영역 구분을 하여 추진 할 것인지에 대한 명확한 방향정립이 우선되어야 할 것이다.

그 다음으로 ‘국가 u-Traffic 기본계획’의 얼개를 구상하고 추진체계, 재원조 달 계획 등 국가사업으로서 추진하기 위해 필요한 사항들을 망라함으로써 국 가 기본계획이 u-Traffic 사업추진의 가이드라인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할 것이며, 법제도적 추진기반을 마련해야 한다. u-Traffic 사업의 원활한 추 진을 위해서는 사업추진에 필요한 재원의 마련, 추진체계 등의 법적 근거가 필요한데, 기존의 관련 법률을 u-Traffic 사업에 적합하도록 정비하고 필요한 경우 신규 법령을 마련하여야 할 것이다. 신규 법령으로는 정통부와 건교부

(21)

가 공동으로 입법을 추진하고 있는 가칭 ‘u-City 건설지원법’을 들 수 있다.

이 ‘u-City 건설지원법’은 u-City 건설을 종합 지원하는 것을 골자로 하고 있는데, 여타 u-Traffic을 비롯한 여타 u-분야 추진의 근거법 역할을 할 것으 로 기대되고 있다. 또한, u-Traffic 서비스는 태생적으로 개인정보 유출이나 프라이버시 침해와 관련된 논란의 여지가 많은 특성을 지니고 있으므로 신규 법령은 물론 기존 교통 관련 법령도 면밀히 검토하여 u-Traffic 서비스 구현에 장애요소가 될 수 있는 부분은 사회적 공감대를 얻어 이후 적절히 정비하여 야 하며, 개인정보유출 및 프라이버시 침해를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조 항이 관련법에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u-Traffic 서비스의 대다수는 민간의 주도하에 구현되어야 하므로 관련 민간 기업체가 u-Traffic 서비스 사업에 참여할 수 있는 명확한 법제도적 근거와 지 원체제가 마련되어야 한다. 그 다음으로는 사업의 추진체계를 구축하여야 하 는데, 건설교통부가 주축이 되어 정부의 관련부처, 지자체, 민간업계, 연구소, 학계의 전문가로 구성되는 TFT를 구성하여 추진방향을 설정하고 세부적인 역 할분담 체계를 구상하여 그 결과가 국가 기본계획 및 법령에 반영되어야만 실질적인 사업추진이 원활히 진행될 것이다. 또한 정립된 u-Traffic 사용자서 비스를 실질적으로 구현하기 위해서는 서비스 제공을 위한 틀에 해당되는 아 키텍쳐가 구상되어야 한다.

u-Traffic 아키텍쳐는 여러 시스템간 연계통합 구도를 제시하여 인프라의 중 복없이 효율적으로 서비스가 제공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며 여타 u-분야 및 ITS와의 관계도 아키텍쳐를 통하여 명확히 설정할 수 있다. ITS 분야와 마찬 가지로 u-Traffic 분야 역시 아키텍쳐에 규정된 다양한 장치간의 인터페이스 및 정보흐름에 대하여 일정한 규약을 제정하여 호환성과 시스템간 연동성을 확보해야 하는 것이 아키텍쳐 구상 및 기술 표준화 과제이며, 요소기술 성숙

(22)

도 분석 부분에 제시되듯이 u-Traffic 구현의 기반이 되는 기술 중 상당수는 아직 개념 단계이거나 실용화를 위한 기술개발이 필요한 단계라 할 수 있으 므로 정부차원에서 체계적인 연구개발 및 시범사업 계획을 수립하여 추진해 나아가야 한다. 이후로는 민간 비즈니스 모델 개발과제가 있을 것이다.

유비쿼터스라는 새로운 패러다임 하에서 교통부문의 민간서비스는 그간의 부진을 극복하고 수익성 높은 서비스로 전환할 수 있는 기회를 맞이하고 있 는데, 이를 위해 정보수집인프라인 UTSN을 효과적으로 구축함으로써 수집되 는 교통정보의 양적, 질적 수준을 한 차원 업그레이드하고, 이용자가 원하는 정보의 내용, 수준, 시기 등 수요에 대한 조사분석을 통해 고부가가치를 갖는 서비스 모델을 개발․확보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서비스 모델은 종전처럼 목적지까지 최단시간에 도달하는 방법을 찾는 ‘문제해결’에만 치중하기 보다는 통행의 편의성, 안전성 및 이동 중 생활 과 업무의 연속성 제공에 중점을 둔 새로운 서비스요소를 결합시키는 방식의 접근이 요구되고 있다.

본문에서는 u-Korea 추진계획, u-City 사업추진 등 u-Traffic 관련 추세를 고려하여 추진과제 및 그와 관련된 주요사항들의 수행시기를 2007년 상반기 를 기점으로 하여 제안하였고, 3단계로 구분된 추진단계는 1단계 (5년 이내 ~ 2010)를 기반조성 및 기초서비스 제공단계, 2단계 (2010 ~ 2015)를 성숙단계, 3단계 (2015 이후)를 완성단계로 설정하였다.

제 6장 결론 및 정책제언

본 연구는 이 분야의 연구가 전무한 것과 다름없는 상황에서 일종의 초기 연구로써 u-Traffic 서비스 추진의 방향성을 가늠해 보는 것에 초점을 맞추었 으며, 본 연구가 제시하는 대다수 사용자서비스의 추진방법 상 공통점은 사업

(23)

추진 초기단계부터 공공과 민간이 공동 참여하는 추진체계 구축이 필수적이 라는 것이다. 또한 현재 u-Traffic은 정부부처, 지자체별로 뚜렷한 방향성 없 이 막연한 수준에서 추진이 논의되고 있어 향후 많은 시행착오가 예상되고 있으므로, 이러한 시행착오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건교부 차원에서 방향을 명확히 정립하여 관련 기관 및 이해당사자들을 선도적으로 이끌어 나아가야 할 것이며, 본 연구를 통해 제안된 추진과제들은 조속히 수행되어야만 향후 u-Traffic 사업의 차질없는 추진이 가능할 것이다.

․색인어(Keyword) : u-Traffic, ubiquitous, ITS, u-City

(24)

C ․ O ․ N ․ T ․ E ․ N ․ T ․ S

차 례

발간사 ··· ⅰ 서 문 ··· ⅲ 요 약 ··· ⅴ

제 1 장 연구의 개요 ··· 1

1.연구 배경 및 목적 ··· 1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 1 2) 연구의 목적 ··· 3 2. 연구내용 및 방법 ··· 4 3. 선행연구 검토 ··· 5

제 2 장 국내외 유비쿼터스 추진현황 및 전망 ··· 9

1. 국내외 유비쿼터스 컴퓨팅 추진현황 ··· 9 1) 해외사례 ··· 9 2) 국내 유비쿼터스 추진현황 ··· 23 2. 국내외 u-City 사업 추진현황과 전망 ··· 26 1) u-City의 개념 및 특성 ··· 26 2) 국내․외 u-City사업 추진현황 ··· 28

(25)

제 3 장 u-Traffic 서비스의 개념 및 목표 정립 ··· 33

1. 유비쿼터스 환경하에서 서비스 요구사항 ··· 33 1) 유비쿼터스 환경이 교통부문에 가져올 변화의 전망 ··· 33 2) 사용자 입장에서의 u-교통 서비스 요구사항 ··· 37 2. u-Traffic 서비스의 개념 및 목표 정립 ··· 38 1) u-Traffic 서비스의 정의 및 개념 ··· 38 2) u-Traffic 서비스의 목표 ··· 39 3. 서비스 시나리오 개념 예시 ··· 40

제 4 장 u-Traffic 사용자서비스 분야 및 단위서비스 도출 ··· 45

1. u-Traffic과 ITS의 비교분석 ··· 45 1) 특성 비교 ··· 45 2) 장단점 분석 ··· 47 3) 관 계 ··· 48 2. 서비스 도출 방안 ··· 49 1) 기본방향 ··· 49 2) 서비스 도출 방법 ··· 51 3. ITS 서비스의 u-Traffic 적합성 분석 ··· 52 1) 분석평가 기준 ··· 52 2) ITS 세부서비스별 적합도 분석 ··· 54 3) 분석평가 결과 종합 ··· 56 4. 사용자서비스 분야 및 단위서비스 설정 ··· 58 1) u-Traffic 사용자서비스 분야 설정 ··· 58 2) 분야별 세부서비스(단위서비스) 설정 ··· 60 3) 분야별 세부서비스의 내용 ··· 67 5. 서비스 구현 우선순위 설정 ··· 72 1) 우선순위 평가방식 및 기준 ··· 72 2) 서비스별 우선순위 평가 ··· 77

(26)

제 5 장 u-Traffic 부문의 추진과제와 로드맵 ··· 79

1. 추진과제 ··· 79 1) u-Traffic과 ITS 사업간의 관계 설정 ··· 79 2) u-Traffic 기본계획 수립 ··· 80 3) 법제도적 추진기반 마련 ··· 81 4) 추진체계 구축 ··· 83 5) u-Traffic 아키텍쳐 구상 및 기술 표준화 ··· 84 6) 연구개발 및 시범사업 ··· 85 7) 민간 비즈니스 모델 개발 ··· 85 8) u-Traffic 서비스 사업추진 ··· 87 2. 추진로드맵 ··· 87 1) 과제추진 로드맵 ··· 87 2) 서비스 제공 추진 ··· 88

제 6 장 결론 및 정책제언 ··· 91

1. 결론 ··· 91 2. 정책제언 ··· 92

참 고 문 헌 ··· 93

SUMMARY ··· 95

(27)

C ․ O ․ N ․ T ․ E ․ N ․ T ․ S

표 차 례

<표 1-1> 주요 선행연구와의 차별성 ··· 7

<표 2-1> ‘Grand Challenges 11’ 프로젝트 ··· 21

<표 2-2> ‘사라지는 컴퓨팅 계획’의 16개 프로젝트 ··· 22

<표 2-3> u-City의 특성 ··· 28

<표 2-4> 국내 주요 u-City 추진 현황 ··· 32

<표 4-1> u-Traffic과 ITS 특성비교 ··· 47

<표 4-2> u-Traffic과 ITS의 장단점 비교 ··· 48

<표 4-3> ITS서비스의 u-Traffic서비스로서의 적합도 분석 ··· 56

<표 4-4> TS 서비스 중 u-Traffic 서비스 후보군 ··· 58

<표 4-5> 여행자 편의 및 의사결정 지원 분야의 세부 서비스 ··· 68

<표 4-6> 교통요금 자동지불 분야의 세부 서비스 ··· 69

<표 4-7> 차량 안전운행지원 분야의 세부 서비스 ··· 70

<표 4-8> 차량운행 자동화 분야의 세부 서비스 ··· 71

<표 4-9> 교통약자 및 보행자 통행지원 분야의 세부 서비스 ··· 72

<표 4-10> u-Traffic 관련 핵심요소기술별 성숙도 ··· 74

<표 4-11> 서비스별 관련기술 종합성숙도 ··· 76

<표 4-12> u-Traffic 세부서비스의 우선순위 ··· 78

<표 5-1> 추진단계별 제공서비스 ··· 91

(28)

C ․ O ․ N ․ T ․ E ․ N ․ T ․ S

그 림 차 례

<그림 1-1> U-City의 개념과 u-Traffic 서비스 ··· 2

<그림 1-2> u-Korea 기본계획상의 교통부문 로드맵 ··· 3

<그림 1-3> 연구 추진 내용 및 절차 ··· 5

<그림 2-1> u-Japan실현을 위한 추진 전략 ··· 15

<그림 3-1> u-Korea 기본계획상의 우리나라 유비쿼터스 추진방향 ··· 40

<그림 4-1> ITS와 u-Traffic간의 관계 개념도 ··· 50

<그림 4-2> 서비스 도출과정 ··· 52

<그림 4-3> 적합도 평가표 ··· 55

<그림 4-4> ITS 사용자서비스 분야별 적합도 평가점수 ··· 57

<그림 4-5> 서비스 도출방법 ··· 62

<그림 4-6> 여행자 편의 및 의사결정 지원 분야 세부 서비스 도출 ··· 63

<그림 4-7> 교통요금 자동지불 분야 세부 서비스 도출 ··· 64

<그림 4-8> 차량 안전운행지원 분야 세부 서비스 도출 ··· 65

<그림 4-9> 차량운행 자동화 분야 세부 서비스 도출 ··· 66

<그림 4-10> 교통약자 및 보행자 통행지원 분야 세부 서비스 도출 ··· 67

<그림 5-1> 과제추진 로드맵 ··· 89

<그림 5-2> u-Traffic 서비스 추진단계 설정 ··· 90

(29)
(30)

1

C ․ H ․ A ․ P ․ T ․ E ․ R ․ 1

연구의 개요

본 장에서는 연구의 배경 및 목적, 연구의 범위와 방법에 대해 기술하였다. 문헌조사 를 통해 파악된 u-Traffic 분야의 주요 선행연구 내용을 파악하여 본 연구와 비교․검 토함으로써 독창성과 차별성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1. 연구 배경 및 목적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최근 들어, 교통정책의 중요한 방향성 중 하나는 “안전하고 편리하며 쾌적 한 인간중심의 교통서비스제공”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서비스 제공수단 중 하나로 유비쿼터스 컴퓨팅(Ubiquitous Computing) 기술을 활용한 교통서비스 의 개념이 주목을 받기 시작하고 있다.

이러한 유비쿼터스 기반의 교통서비스를 u-Traffic(ubiquitous-Traffic)이라 하며, 이는 크게 보면 도시생활 전반에 걸쳐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u-City 범주에 포함되는 요소서비스의 개념이라 할 수 있다.

u-City는 세계적으로도 최근 들어 주목을 받기 시작한 신개념의 서비스로서 우리나라가 유비쿼터스 기술을 도시 분야에 적용하기 위해 세계 최초로 시도 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국내에서도 서울시, 부산시, 울산시 등 광역시를 중 심으로 u-City는 일종의 붐처럼 동시다발적으로 추진이 논의되고 있으나 모두 아직 초기 기획․설계단계로서 서비스의 내용이나 추진방식 등에서 방향성이 명확히 정립되지 않은 상태이다. 특히, u-Traffic 부문은 아직 구체적인 구축사

(31)

례도 거의 없으며 개념 정립조차 명확치 않은 상태로서 기존 ITS 사업내용을 답습하는 수준에서 개별 지자체 단위로 공통적인 틀이 마련되지 않은 채 추 진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림 1-1〉 U-City의 개념과 u-Traffic 서비스

최근 신행정수도복합도시, 혁신도시, 기업도시 등의 신도시 개발과 함께 정 보통신기술(ICT)을 접목한 새로운 도시모델 창출이 u-City를 통해 이뤄질 것 이라는 사회적 기대감은 일면 고무적인 일이기도 하나, 현 추세대로 성급히 추진될 경우, 향후 도시간 시스템간 통합성, 호환성 측면에서의 문제뿐 만 아 니라, 기존 사업과의 상충 문제도 초래할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2006년 5월 정보통신부가 발표한 u-Korea 기본계획의 내용 중 교통부 문의 계획에는 현재까지 건교부를 중심으로 추진 중인 ITS 관련사업의 내용 이 대다수 반영되어 있는데, 이것이 새로운 방향의 사업 추진인지 건교부 사 업내용이 단순 포함된 것인지 명확치 않은 바, ITS주무부처인 건교부 관점에 서의 추진방향이 조속히 제시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u-Traffic 서비스는 차세 대 ITS(Post-ITS) 서비스로 이해되기도 하는데, ITS 서비스 내용과 상당부분 중첩되고 혼동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어 전문가 사이에서도 관점에 따라 상당 한 인식의 차이가 있는 것이 사실이다.

(32)

따라서, 현시점에서 u-Traffic의 명확한 개념 및 제공서비스를 정립하여 체 계적 추진체제 구축의 기틀을 마련하여야 하며, 향후 u-Traffic 추진시 발생할 수 있는 시행착오 및 잠재적 상충/장애요소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u-Traffic 구축이전에 현 시점에서 시급히 선행되어야 하는 과제를 도출하여 추진할 필요가 있다.

〈그림 1-2〉 u-Korea 기본계획상의 교통부문 로드맵

2) 연구의 목적

본 연구는 국가전체 차원의 통합적 u-Traffic 추진기반 마련을 위한 첫 단계 연구로서 “인간중심의 교통서비스”를 구현하기 위한 u-Traffic 서비스의 목표 와 개념을 정립하는 것을 주목표로 한다.

(33)

아울러, 사용자(시민)에게 제공할 서비스 분야와 구체적인 세부 단위서비스 내용을 설정하고 u-Traffic 서비스 구현을 위해 추진되어야 할 과제를 도출하 고 추진시기를 제시한다.

2. 연구내용 및 방법

○ 문헌, 웹문서 조사를 통해 u-Traffic 관련 국내외 사례를 검토한다.

○ 국내외 사례를 통해 파악된 u-Traffic 추진동향을 참조하여 u-Traffic 서 비스의 목표와 미션을 정립하고, 서비스제공 시나리오를 구상한다.

○ 국가 ITS 기본계획의 사용자서비스 내용 분석을 통해 u-Traffic과 ITS간 의 관계를 정립하고 이를 기반으로 설정된 목표와 미션에 부합하는 서 비스 분야 및 세부 사용자서비스를 도출한다.

○ 현 시점에서 u-Traffic 구현을 위하여 추진되어야 하는 과제를 도출하고 추진 로드맵을 작성한다.

○ 도출된 u-Traffic 사용자서비스의 우선순위를 적정한 평가기준 하에 평가 하고 우선순위에 따라 서비스 제공 추진일정을 단계별로 제시한다.

<그림 1-3> 연구 추진 내용 및 절차

(34)

3. 선행연구 검토

일반적인 유비쿼터스 전반에 대하여 다루고 있는 연구논문 또는 보고서는 소수 발표된 바 있으나, 이들 연구는 유비쿼터스 컴퓨팅이라는 신 분야에 대 한 개념 소개나 발전방향, 비젼, 추진현황 등을 다소 포괄적 수준에서 다루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들 연구 중 국내외 유비쿼터스 추진동향과 관련된 문헌의 내용은 다음 장에서 구체적으로 소개하기로 한다.

<표 1-1>은 유비쿼터스 일반을 다룬 연구보다는 ‘u-Traffic 서비스’와 직접 관련 있는 연구에 국한하여 본 연구와의 차별성을 비교․정리한 것이다.

u-Traffic과 직접 관련된 내용을 다룬 연구보고서로는, 한국교통연구원의 연구 과제로 추진된 “유비쿼터스 환경에서의 교통부문 여건변화 분석 및 대응전략 개발연구(2005)”가 유일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정기간행물로는 한국교통연구 원이 발간한 “월간교통 통권 95호(2006. 1)”에 유비쿼터스 특집으로 게재된 다수의 article이 있는데, 이들 article들은 위 한국교통연구원 연구수행 시 부 문별 책임자가 연구결과물을 토대로 작성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들 선행연구는 국내·외 유비쿼터스 추진현황 및 계획 검토, 향후 유비쿼 터스 환경 하에서 교통부문의 여건 변화 분석, 향후 전개될 교통시스템의 미 래상 제시, 나아가 유비쿼터스 환경에 능동적으로 대비하기 위한 대응전략 수 립 등을 주요 내용으로 하고 있다. 반면, 본 연구는 한 단계 더 구체적인 수 준에서 기존 ITS사업과의 심층적 비교분석에 의해 u-Traffic 서비스를 도출하 고, 도출된 서비스의 구현을 위해 선행되어야 하는 추진과제를 제안하고자 했 다는 점에서 차별화된다고 할 수 있다.

(35)

〈표 1-1〉 주요 선행연구와의 차별성

구 분 연구명 / 연구목적 연구방법 주요 연구내용

1

「유비쿼터스 정보기술을 활용한 물리공간과 전자공간간의 연계구도와 어플리케이션 체계에 대한 연구(Telecommunication Review, 제 13권 1호)」

유비쿼터스 환경하에서 전자공간과 물리공간간의 연계구도와 그것이 실현될 경우 어플리케이션의 활용방향 제시

-문헌연구 -사례연구

- 물리적 교통공간을 전자적 교통공간으로 연계시키기 위해 칩, 센서, RFID-tag 등을 교통시설, 자동차 등에 부착한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 구축 개념을 소개

- U-도시교통시스템의 어플리케이션 체계로 유비쿼터스 컴퓨팅과 네트워크기술을 기반으로 한 u-텔레메틱스, u-ITS, u-교통단속, u-교통신호체계 등서비스 제공개념을 소개

2

유비쿼터스 환경에서의 교통부문 여건변화 분석 및 대응전략

개발연구(한국교통연구원, 2005) 국내·외 유비쿼터스 추진현황 및 계획을 검토하고 향후

유비쿼터스 환경 하에서 급변하게 될 교통부문의 여건 변화를 심층적으로 분석하여 향후 전개될 교통시스템의 미래상을 제시하고, 이러한 환경에 능동적으로 대비하기 위한 대응전략을 수립

-사례연구 -문헌고찰 -비교연구 -각 기관

전문가 들의 협동연구 -분야별

전문가 의견수렴

- 유비쿼터스의 이해, 의미, 기본개념, 국내·외 추진현황 및 환경변화 분석, 교통부문 추진현황, 추진체계 및 분류체계 검토·분석

-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교통부문의 개념과 범위 검토·정립, 관련 법·제도체계 검토 및 분석 - 국가적인 u-Transportation 비전과

목표를 도출 하고 추진전략의 기본방향 설정, 추진전략 수립 - u-Transportation의 특성 및

발전방향에 따라 추진체계, 역할 및 주체별 기능 정립, 대응방향 및 대응전략 개발과 u-Transportation의 단계별 도입전략 개발

- 유비쿼터스 서비스 구현을 위한 교통기술 수준과 발전동향과 전망, 미래예측

3

국내외 유비쿼터스 추진현황 및 교통부문의 시사점(월간교통 통권 95호, 한국교통연구원, 2006. 1) 미국, 유럽, 일본 등 해외사례와 국내 추진사례의 검토를 토대로 시사점을 도출하여 향후 교통부문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모색

-사례연구 -문헌고찰 -비교연구

- U-Korea 추진현황 및 미국, 유럽, 일본 등 선진국의 추진사례 검토 - 각국 유비쿼터스 추진의 시사점 - 중앙정부, 관련학회의 역할 제시 - 교통컨텐츠 개발 및 관리,

비즈니스모델 개발 등에 대한 추진방향

(36)

< 표계속 >

구 분 연구명 / 연구목적 연구방법 주요 연구내용

4

u-Transportation의 비젼과 추진전략(월간교통 통권 95호, 한국교통연구원, 2006. 1)

유비쿼터스 환경에서의 교통을 정의하고 이를 기반으로 향후 전개될 여건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전략을 제시

-사례연구 -문헌고찰 -비교연구

- u-Transportation의 정의, 특징 - u-Transportation 비젼 및 목표의

설정

- 전략수립 기본방향, 추진전략 - u-Transportation단계별 도입방안

5

u-Transportation 시스템의 공공부문 적용서비스(월간교통 통권 95호, 한국교통연구원, 2006. 1)

유비쿼터스 교통시스템 구현을 위해 공공부문이 담당하여야 할 서비스의 형태 및 내용을 제시

-사례연구 -문헌고찰 -비교연구

- UTSN(u-Transportation Sensor Network)의 개요 및 기본구조, 정보수집 및 제공형태

- 공공부문 적용서비스 도출 유비쿼터스 공공 교통정보 서비스 유비쿼터스 교통관리서비스 - 교통계획의 정밀도 증진, 사고분석의

정확도 제고방안 등

- “인간중심의 교통서비스”를 구 현하기 위한 u-Traffic 서비스의 목표와 개념을 정립하고 관련 이슈에 대한 대응방안을 모색 - 사용자(시민)에게 제공할 서비

스 분야와 구체적인 세부 단위 서비스내용을 설정하고 기존의 ITS, Telematics, LBS 등의 개념 을 고려한 서비스 범위를 설정

-문헌연구 -사례연구 -비교연구

- u-Traffic 서비스의 목표/미션 정립 및 시나리오 개념설계

- u-Traffic 사용자서비스 분야 및 단위 서비스 도출

- u-Traffic 부문의 추진과제와 로드맵 제시

(37)
(38)

2

C ․ H ․ A ․ P ․ T ․ E ․ R ․ 2

국내외 유비쿼터스 추진현황 및 전망

유비쿼터스 관련 문헌조사 결과, u-교통 또는 u-Traffic으로서의 독립적 사업 추진사례 는 찾아보기 어렵고, 대다수가 국가차원의 유비쿼터스 사업 또는 u-City 사업의 한 분 야로서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본 연구의 범위상 개별 사업추진 사례 각각에 대해 구체적으로 교통부문의 세부 내용을 파악해 내는 것은 어렵다고 판단하 여, 유비쿼터스 컴퓨팅이라는 큰 틀에서 국내외 현황을 살펴보고, 한 단계 구체화된 레벨에서 u-Traffic을 담는 “그릇”이라 할 수 있는 u-City 사업의 추진현황과 앞으로의 전망을 살펴보았다.

1. 국내외 유비쿼터스 컴퓨팅 추진현황

1) 해외사례

(1) 미 국

미국은 유비쿼터스에 대한 관심이 그 어느 나라보다 높았으며, 90년대부터 정부주도하에 첨단 IT 기업과 MIT, CMU, 워싱턴 대학 등 주요 대학을 중심 으로 유비쿼터스 기술 연구개발을 시작하였다. 미국은 장기적인 관점에서 유 비쿼터스 관련 기술 개발 및 정보화 정책을 전략적 관점에서 적극적으로 추 진하고 있는데, 특히 일상생활의 공간과 컴퓨터간의 자연스러운 통합이 가능 한 HCI (Human Computer Interface) 기술 개발을 가장 중요한 부분으로 인 식하고 있다.

(39)

IT 선진국으로서 거의 모든 IT 분야의 기술을 주도하고 있는 미국은 민간 통신업체와 대학교 연구실을 중심으로 다양한 유비쿼터스 관련 연구를 진행 중이다. 주목할 만한 것은 자국이 보유한 기술을 고도화시켜 2003년부터 나 노(NA), 바이오(BT) 기술과 컴퓨팅 기술이 복합된 신기술을 창출하고자 노력 하고 있다는 점이다. 여기에는 주로 고도컴퓨팅 인프라, 휴먼 컴퓨터 인터액 션, 대규모 네트워킹, 고신뢰 소프트웨어 등에 대한 연구개발이 포함되는데, 특히 광통신기술을 기반으로 무선 네트워크 등 언제, 어디서나 쉽고 편하게 이용 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 통신기술과 수십억 개의 센서를 연결하기 위한 센서네트워크 그리고 신뢰성과 안정성 제고를 위한 기술개발에 초점이 맞추 어져 있다.

이와 같이 미국 연방정부의 유비쿼터스 및 정보통신기술 R&D는 네트워킹 및 정보기술 연구개발법인 NITRD (Netwoking and Information Technology R&D)에 근거하여 해마다 투자 예산이 증가하고 있으며, 2006년에는 21억 5,500만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 주체별 추진 현황

○ 정 부

미국의 유비쿼터스 기술 개발은 정부의 주도하에 민간 기업과 대학을 중심 으로 추진 중이다. 특히 최첨단 컴퓨팅, 대규모 네트워킹, 신뢰성 소프트웨어 및 서비스, 인간과 컴퓨터의 상호작용 및 정보 관리, 소프트웨어 디자인 및 생산성 등이 주요 개발 영역에 해당된다.

주요 기술개발 내용으로는 최첨단 컴퓨팅 기술 분야에서는 Peta급 컴퓨팅 에 필요한 요소 기술에 대한 기초 연구 및 컴퓨터를 공유하여 사용 할 수 있

(40)

는 툴 및 애플리케이션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대규모 네트워킹 기술 분 야에서는 데이터 전송속도 및 용량 임베디드 디바이스의 확장 등에 관한 기 술과 안전성을 제공하는 All-Optical 네트워킹 기술의 개발이 주를 이루고 있 다.

신뢰성 소프트웨어 및 서비스 기술 분야에서는 인터넷 시스템과 네트워크 의 안전성 확보 기술과 오류제거 기술에 초점을 맞추어져 있으며, 인간과 컴 퓨터의 상호작용 및 정보 관리 기술 분야에서는 차세대 양방향 통신 기술의 개발, 그리고 소프트웨어 디자인 및 생산성 기술 분야에서는 컴포넌트 소프트 웨어 임베디드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연구 개발이 진행 중이다.

한편, 미국의 정보기술응용국(ITAO)은 퍼베이시브 컴퓨팅(Pervasive Computing)을 집중 지원하고 있는데, 여기서 퍼베이시브 컴퓨팅은 누구나 쉽 고 간편하게 유비쿼터스 네트워크에 접속 할 수 있는 컴퓨팅 환경으로 정의 할 수 있다.

○ 민간 기업

미국의 IT 기업은 여타 국가의 기업체들보다 유비쿼터스 기술개발에 많은 투자를 하고 있다. MS, HP, Oracle 등 주요 기업이 이 분야 연구개발을 선 도하고 있다.

MS사는 생활하기 편리한 지능형 공간을 만드는 Easy Living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으며, 아울러 인터넷 기능이 적용된 알람시계, 주방용 전자기기 등과 같은 소형 전자기기 개발에 주력하고 있다. HP사의 경우 미술관, 회의 실, 가정, 사물 등 현실세계에 존재하는 것들이 웹상에도 존재할 수 있도록 만들어 사이버 공간과 사람, 사물, 장소가 연동되는 미래 도시, Cool Town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41)

○대학/학계

미국의 MIT, CMU, 워싱턴 등 주요 대학 연구소는 미 국방부 산하의 고등 연구계획국(DARPA)과 국립 표준기술원으로부터 연구 자금을 지원 받아 유비 쿼터스 컴퓨팅 연구개발에 중추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대학의 유비쿼터스 연구로는 캘리포니아 대학의 스마트 먼지, 즉 지능형 먼 지 개발을 먼저 꼽을 수 있다. 이 스마트 먼지는 가로 세로 1mm의 초소형 센서로 무선 네트워크에 연결된 상태로 가볍게 떠다닐 수 있다.

한편, MIT 연구소는 컴퓨터가 산소와 같이 흔하게 되어 이용자들이 언제 어디서나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는 환경을 구축하고자 하는 옥시전 프로젝트 를 진행하고 있다. 카네기 멜론 대학의 Aura 프로젝트는 퍼베이시브 컴퓨팅 환경에서 사용자의 집중도를 떨어뜨리지 않고, 작업 할 수 있는 컴퓨팅 환경 을 구현하고자 하고 있다.

□ 미국의 유비쿼터스 시장 전망

미국은 전통적인 IT강국으로서 막대한 자본을 투자하여 유비쿼터스 기술 개발 및 실용화를 위한 대규모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어, 유비쿼터스 관련 핵심 기술을 조기에 확보 할 것으로 보이며, 이를 실생활에 적용하여 상용화 된 유비쿼터스 서비스 또한 가까운 시일내에 현실화 될 것으로 전망된다.

유비쿼터스 관련 사업에 대한 미국의 투자 규모는 해마다 늘어나 2010년에 는 10,260억 달러 달할 것으로 보이며, 향후 10년간 유비쿼터스와 관련된 신 규 일자리가 대폭 늘어 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42)

(2) 일 본

일본은 일찍부터 정부주도로 정보화 산업이 추진되어 왔으며 u-Japan(ubiquitous-Japan) 또한 예외가 아니다. 일본정부는 정책 수립시 현 실적인 정책 수립을 위해 민관전문가 구성의 간담회를 개최하여 다양한 이해 당사자들의 의사를 적절히 정책에 반영하는 효과적인 정책수립 시스템을 채 택하고 있다.

다른 IT강국보다 한발 늦게 IT산업에 뛰어든 일본은 유비쿼터스를 통해 IT 선도국으로 급부상하려는 야심찬 계획을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계획은 유비 쿼터스를 통해 국가경쟁력 향상은 물론 자국민의 삶의 질 향상을 비롯한 사 회 전반에 걸친 긍정적 파급효과를 도모하는 것을 기본방향으로 하고 있다.

일본 u-Japan의 궁극적인 목표는 국민 누구나가 시간과 공간의 제약없이 네 트워크에 접속하고 자신이 원하는 정보를 간단히 이용 할 수 있는 사회를 구 현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일본은 자국의 특성과 기술이 반영된 차별화된 구 현전략을 개발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일본의 유비쿼터스 관련 전략을 거슬러 올라가면서 살펴보면, 차세대 정보 통신 기반 네트워크 구축을 목표로 한 e-Japan전략Ⅰ이 지난 2001년부터 5년 간의 단기적인 계획으로 추진되었음에도 불구하고 2003년 조기 구축하는 성 과를 거둔 바 있고, 이어 2003년 7월에 발표된 e-Japan전략Ⅱ는 ‘2005년까지 최첨단 IT국가 달성’ 이라는 목표달성을 눈앞에 두고 있으며, 그 후속계획에 해당되는 u-Japan은 빠르게 변화하는 IT 시대에 발맞춰 ‘2005년부터 2010년까 지’ 5년간의 단기 계획으로 추진될 전망이다.

(43)

<그림 2-1> u-Japan 실현을 위한 추진 전략

□ 주체별 추진현황

○ 정 부

정부차원의 IT추진전략은 2001년 1월 IT전략본부에서 발표한 ‘e-Japan전략

Ⅰ’과 그에 이어 2003년 7월 발표된 ‘e-Japan전략Ⅱ’를 들 수 있으며 이러한 e-Japan 전략은 케이블 인터넷 2,300만 세대, 고속인터넷 3,500만 세대, 초고속 인터넷 1,770만 세대 보급을 통한 차세대 정보통신 기반 네트워크 형성을 2005년까지 완료할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러한 범국가적인 네트워크망 구 축이 앞으로 다가올 u-Japan(Ubiquitous-Japan) 실현의 기반이 될 것이다.

(44)

일본 총무성은 u-Japan 에 관한 3가지 중점 프로젝트를 다음과 같이 제안 한 바 있다.

▷ 일상생활에 필요한 모든 물품에 마이크로칩을 내장시켜 100억개 이상의 단말기에 연결․협조제어를 가능하게 할 수 있는 ‘초소형 칩 네트워크 프로젝 트’

▷ 비접촉식 IC(integrated circuit)카드를 단말기에 부착하여 어떠한 단말기 라 하더라도 자신의 단말기로 사용할 수 있는 ‘무엇이든 내 단말기 프로젝트’

▷ 언제 어디서든 네트워크에 연결하면 자신의 작업환경과 동일한 네트워 킹 환경으로 실현시켜주는 ‘어디서든 네트워킹 프로젝트’

○ 대학/학계

일본에서 유비쿼터스 컴퓨팅 개념이 가장 먼저 제안된 것은 1984년 도쿄대 학 사카무라 겐(坂村 健)교수의 TRON(The Realtime Operating system Nucleus) 프로젝트를 통해서이다. TRON의 궁극적인 목표는 OS(Operating System)의 호환성을 통해 어디서나 쓸 수 있는 컴퓨터 사회를 구현하여 일상 생활에 사용되는 모든 것들을 컴퓨터로 제어함으로써 인간생활의 안전과 편 리를 추구하는 것이다. 당시에는 ‘너무 앞서 나가는 것 아니냐’ 는 비판을 받 으며 주목받지 못했으나, ‘90년대 들어 유비쿼터스가 미래사회구현을 위한 핵 심적인 기술임이 인지되기 시작하면서 다시금 TRON이 주목받게 되었다.

2004년 6월 TRON은 20주년을 맞이하였는데 현재까지 휴대폰, 디지털 카메라 등 수많은 기기에 TRON의 임베디드 운영체제가 탑재되었다. 이러한 기술적 기반이 일본인의 생활에 깊숙이 스며들게 되었고, 이를 토대로 향후 본격적인 유비쿼터스 사회로의 진입을 준비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TRON 프로젝트 개념을 도입한 적용사례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참조

관련 문서

Traffic congestion is becoming a serious urban problem in Pusan area, where is suffering from the severe traffic congestion because of the incoming and

ⅲ) Traffic characteristic variables selected were considerably correlated with the delay predictive modeling on the merge sections of urban freeway interchange

The public water surface covers very wide area and produces a variety of goods and services and also generates the problem of common resources related

Overall, international logistics service factors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satisfaction with international logistics services provided to trading companies,

With the opening of the Songdo Bridge 4, IFEZ is looking forward to less congestion in traffic that connects from Songdo International City locations, including Incheon New

 Figuring out the dynamics involved in highway operations including tradeoffs among toll charges, service level,. volume of traffic,

In this research, we measured the traffic amount, the number of lanes, and the speed limit that are affecting the road traffic noise for both daytime

Under those demands, we need to develope the new service model for future collaborative u-Government extending the governmental working process, grou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