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저작자표시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저작자표시"

Copied!
107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따르는 경우에 한하여 자유롭게

l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 및 방송할 수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조건을 따라야 합니다:

l 귀하는, 이 저작물의 재이용이나 배포의 경우, 이 저작물에 적용된 이용허락조건 을 명확하게 나타내어야 합니다.

l 저작권자로부터 별도의 허가를 받으면 이러한 조건들은 적용되지 않습니다.

저작권법에 따른 이용자의 권리는 위의 내용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이것은 이용허락규약(Legal Code)을 이해하기 쉽게 요약한 것입니다.

Disclaimer

저작자표시. 귀하는 원저작자를 표시하여야 합니다.

비영리. 귀하는 이 저작물을 영리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변경금지. 귀하는 이 저작물을 개작, 변형 또는 가공할 수 없습니다.

(2)

간호학 박사학위 논문

첫 자녀를 둔 어머니의

영아건강증진행위 강화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아 주 대 학 교 대 학 원

간 호 학 과

윤 채 민

(3)

첫 자녀를 둔 어머니의

영아건강증진행위 강화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지도교수 유 미 애

이 논문을 간호학 박사학위 논문으로 제출함.

2021년 2월

아 주 대 학 교 대 학 원

간 호 학 과

윤 채 민

(4)

윤채민의 간호학 박사학위 논문을 인준함.

심사위원장 박 진 희 (인)

심 사 위 원 유 미 애 (인)

심 사 위 원 송 주 은 (인)

심 사 위 원 서 은 지 (인)

심 사 위 원 진 주 혜 (인)

아 주 대 학 교 대 학 원

2020년 12월 22일

(5)

감사의 글

먼저, 모든 과정을 예비하시고, 제가 이 환경을 통과할 수 있도록 지혜와 은혜를 베풀어주신 하나님께 영광을 돌립니다. 박사과정을 시작하면서 꿈에 그리던 엄마가 되었고, 끝나는 시점에는 두 아이의 엄마가 되어 있네요. 길었던 과정만큼 감사드려야 할 분들이 너무나 많습니다. 지면을 빌어 감사한 마음을 가득 담아 인사를 전합니다.

아주대에서 박사과정을 다시 시작한다는 것 자체가 저에게는 불가능을 가 능하게 만드는 시작이었습니다. 너무나도 부족한 저를 기꺼이 지도학생으로 받 아주시고, 아이를 돌보는 엄마 마음으로 끝까지 이끌어주신 유미애 교수님께 감사드립니다. 논문의 시작부터 끝까지 교수님의 배려가 없었다면 지금의 제가 없었다는 것을 잘 압니다. 유미애 교수님, 진심으로 감사드리고 존경합니다.

그리고 부족함 가득했던 논문을 완성도 높게 마무리할 수 있도록 조언을 아끼지 않으시고, 세심하게 지도해주신 박진희 교수님, 송주은 교수님, 서은지 교수님께도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흔쾌히 부심을 허락해주시고 먼 길을 달려 와 애정 어린 조언을 해주신 진주혜 교수님께도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저의 박사 학위 논문에 존경하는 교수님들의 성함을 올릴 수 있어 영광이었습니다.

논문 심사 과정은 힘들었지만, 폭풍 성장과 깊이 있는 배움의 시간이었습니다.

교수님들께서 보여주신 따뜻한 가르침 잊지 않겠습니다. 다시 한번 머리 숙여 감사드립니다.

학업적으로 방황할 때, 가야할 길에 대해서 같이 고민도 해주시고, 어려움 이 생길 때마다 든든한 멘토가 되어주신 안혜경 교수님께 감사 인사를 드립니 다. 특별한 인연으로 우연히 만나, 이제는 같은 길을 가는 동지이자 중요한 인 연이 된 김혜진 교수님, 힘든 고비가 올 때마다 때로는 엄마처럼, 때로는 언니 처럼 위로와 응원을 보내주신 서윤주 교수님, 배한주 교수님께도 감사한 마음 을 전합니다. 포기하고 싶은 순간이 올 때마다, 다시 저를 일으켜 세울 수 있는 힘을 북돋아 주신 강나경 선생님, 황경진 선생님, 박윤순 선생님, 김정숙 선생

(6)

님, 마진경 선생님께도 감사 인사를 드립니다. 마지막 심사까지 마음 조리며, 힘든 과정을 함께 버텨준 조하나 선생님께도 깊은 감사와 축하 인사를 전합니 다. 저의 감사한 마음을 말로는 다 담을 수 없지만, 진심으로 감사하는 마음이 전해지길 바라며, 이분들과 졸업의 기쁨을 함께 나누고 싶습니다.

먼 타지방에서 아주대를 선택할 수 있게 발판이 되어주시고, 늘 기도와 말씀 으로 응원해 주신 이순자 이모와 이름만 떠올려도 힘이 되어주는 가족 같은 친 구 파란, 시현에게 감사의 마음을 전합니다. 교학팀 한송이 선생님, 베풀어주신 배려와 응원 잊지 않겠습니다. 박사 과정을 하는 동안 티나는 엄마의 빈자리를 대신 채워주고, 멋진 워킹맘이 되라며 응원해주신 이웃 사촌 명진 언니, 난영 언니, 수경 언니 그리고 케나다에서도 잊지않고 격려와 응원을 보내주신 민정 언니에게 감사 인사를 전합니다. 제가 모르는 순간에도 저를 위해 기도해주신 교회 식구들에게도 깊은 감사 인사를 전합니다. 또한 한마음 한 뜻으로 프로그 램에 참여해주신 어머니들께도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공부하는 워킹맘이라 바쁘다는 핑계로 배려와 관심이 부족한 엄마였을텐데, 오히려 엄마를 이해해주고, 바르고 건강하게, 밝게 잘 자라준 아이들과 박사 과정 마지막까지 함께 수원을 오가며 엄청난 외조를 보여 준 남편에게 미안함 과 고마운 마음을 가득 담아 사랑의 인사를 전합니다. 저보다 더 마음 졸이며 애태우셨을 시부모님과 제 삶의 버팀목이자 이유인 우리 엄마에게 진심으로 감 사와 존경을 표합니다. 아이들 믿고 맡길 수 있는 엄마가 있어서 마음 편히, 공부할 수 있었습니다. 하나뿐인 내 동생과도 이 기쁨을 함께 나누고 싶습니다.

내 삶의 전부인 가족을 떠올리면 고마움과 미안함이 함께 떠올라 가슴 벅찬 눈물이 흐릅니다. 소중한 가족의 울타리를 잊지 않겠습니다. 사랑합니다.

학위 과정을 마무리하며 지난 날을 돌아보니, 단언컨대, 혼자의 힘으로는 절 대로 여기까지 올 수 없었을 것입니다. 새로운 시작의 출발점에서 제가 받은 사랑과 응원을 잊지않고, 나눌 수 있는 연구자가 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2020년 12월 윤 채 민 올림.

(7)

- i - -국문요약-

첫 자녀를 둔 어머니의

영아건강증진행위 강화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본 연구는 영아기 첫 자녀를 둔 어머니를 위한 영아건강증진행위 강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개발한 프로그램이 어머니의 영아건강증진 지식, 양육 스트레스, 사회적지지, 어머니 역할수행 자신감과 영아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기 위해 시도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유사실험 연구이다.

자료수집 기간은 2020년 7월 15일부터 2020년 9월 7일 까지 였으며, 연구 대상자는 B시와 G시에 소재한 여성병원 소아청소년과를 방문한 영아기 첫 자녀를 둔 어머니로 실험군 17명과 대조군 17명을 편의표집 하였다.

실험군에는 영아건강증진을 위한 어머니 역할강화 프로그램을 총 4주에 걸쳐 1회기의 집합 교육과 7회기의 온라인 교육을 제공하였다. 프로그램 효과를 규명하기 위해 실험군과 대조군의 지역을 달리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사전조사, 사후조사, 추후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영아건강증진 지식은 연구자가 개발한 도구를 사용하였고, 양육스트레스는 Abidin & Richard(1990)이 개발한 척도를 우리나라에 맞도록 이경숙 (2008)이 수정하고 표준화한 한국형 부모 양육스트레스 척도 축약형 (PSI- SF)도구를 사용하였다. 사회적 지지는 박지원 (1985)이 개발한 도구를 윤혜정(1993)이 수정한 도구를 사용하였고, 어머니 역할수행 자신감은 Parker와 Zahr(1985)가 개발한 자가보고식 측정도구인 모성자신감척도 (Ma -ternal Confidence Questionnaire)를 채선미(2001)가 번안한 도구를 사용 하였다. 영아건강증진행위는 김신정 외(2007)가 개발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2.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연구대상자

(8)

- ii -

의 일반적 특성과 연구대상자의 자녀 관련 일반적 특성은 실수,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로 분석하였다. 종속변수의 사전 동질성 검정은 Chi-square test/

Fisher's exact test로 분석하였다. 영아건강증진행위 강화프로그램의 효과 검 정은 Repeated measure ANOVA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제 1 가설: “어머니 역할강화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참여하지 않 은 대조군에 비해 중재 후 영아건강증진 지식이 증가할 것이다.”를 검정 한 결과 시간의 흐름에 따라 집단 간의 차이가 유의하게 나타나 (F=22.91, p<.001) 제 1 가설은 지지되었다.

2. 제 2 가설: “어머니 역할강화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참여하지 않 은 대조군에 비해 중재 후 양육스트레스가 감소할 것이다.”를 검정한 결 과 시간의 흐름에 따라 집단 간의 차이가 유의하게 나타나(F=29.93, p<.001) 제 2 가설은 지지되었다.

3. 제 3 가설: “어머니 역할강화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참여하지 않 은 대조군에 비해 중재 후 사회적 지지가 증가할 것이다.”를 검정한 결 과 시간의 흐름에 따라 집단 간의 차이가 유의하게 나타나(F=27.64, p<.001) 제 3 가설은 지지되었다.

4. 제 4 가설: “어머니 역할강화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참여하지 않 은 대조군에 비해 중재 후 어머니 역할수행 자신감이 증가할 것이다.”를 검정한 결과 시간의 흐름에 따라 집단 간의 차이가 유의하게 나타나 (F=8.25, p=.005) 제 4 가설은 지지되었다.

5. 제 5 가설: “어머니 역할강화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참여하지 않

(9)

- iii -

은 대조군에 비해 중재 후 영아건강증진행위가 증가할 것이다.”를 검정 한 결과 시간의 흐름에 따라 집단 간의 차이가 유의하게 나타나 (F=16.85, p<.001) 제 5 가설은 지지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해보면 연구자가 개발한 영아건강증진행위 강화프 로그램은 영아기 첫 자녀를 둔 어머니의 영아건강증진 지식을 높이고, 양육스 트레스를 낮추며 사회적 지지와 어머니 역할수행 자신감을 향상시켜 영아건강 증진행위를 강화시키는 효과적인 프로그램임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Bandura의 자기효능 이론에서 제시한 자기효능 원천을 강화 전략으로 반영한 영아건강증 진행위 강화프로그램은 영아기 첫 자녀를 둔 어머니의 영아건강증진행위 강화 에 효과적인 중재 전략으로 활용할 수 있다.

핵심어: 강화, 건강증진행위, 영아, 어머니, 자신감.

(10)

- iv -

차 례

국문요약 ··· ⅰ 차례 ··· ⅳ 그림 차례 ··· ⅵ 표 차례 ··· ⅶ 부록 차례 ···

I.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 1

B. 연구의 목적 ··· 4

C. 연구가설 ··· 4

D. 용어의 정의 ··· 5

II. 문헌고찰

··· 8

A. 어머니의 자녀 건강증진행위 관련 요인 ··· 8

B. 어머니 대상 자녀 건강증진 프로그램 고찰 ··· 12

III. 개념적 기틀

··· 15

Ⅳ. 연구방법

··· 18

A. 영아건강증진행위 강화프로그램 개발 ··· 18

B. 영아건강증진행위 강화프로그램 효과 검정 ··· 28

(11)

- v -

Ⅴ. 연구결과

··· 42

A. 실험군과 대조군의 동질성 검정 ··· 42

B. 영아건강증진행위 강화프로그램의 효과 검정 ··· 48

Ⅵ. 논의

··· 58

A. 연구의 제한점 ··· 64

B. 연구의 의의 ··· 65

Ⅶ. 결론 및 제언

··· 66

A. 결론 ··· 66

B. 제언 ··· 67

참고문헌 ··· 67

부록··· 77

ABSTRACT ··· 92

(12)

- vi -

그림 차례

그림 1. 연구의 개념적 기틀 ··· 17

그림 2. IMP에 따른 프로그램 개발 과정 ··· 18

그림 3. 연구 설계 ··· 28

그림 4. 연구 진행과정 흐름도 ··· 34

그림 5. 온라인 프로그램 회기 별 화면 ··· 37

그림 6. 영아건강증진 지식 변화 ··· 49

그림 7. 양육스트레스 변화 ··· 51

그림 8. 사회적 지지 변화 ··· 53

그림 9. 어머니 역할수행 자신감 변화 ··· 55

그림 10. 영아건강증진행위 변화 ··· 57

(13)

- vii -

표 차례

표 1. 최종 개발된 영아건강증진행위 강화프로그램 ··· 25

표 2.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동질성 검정 ··· 43

표 3. 자녀의 일반적 특성 및 동질성 검정 ··· 45

표 4. 종속변수의 사전 점수에 대한 동질성 검정 ··· 46

표 5. 종속변수의 사전 점수에 대한 정규성 검정 ··· 47

표 6. 영아건강증진행위 강화프로그램의 영아건강증진 지식 효과검정 ··· 49

표 7. 영아건강증진행위 강화프로그램의 양육스트레스 효과검정 ··· 51

표 8. 영아건강증진행위 강화프로그램의 사회적 지지 효과검정 ··· 53

표 9. 영아건강증진행위 강화프로그램의 어머니 역할수행 자신감 효과검정 55 표 10. 영아건강증진행위 강화프로그램의 영아건강증진행위 효과검정 ··· 57

(14)

- viii -

부록 차례

부록 1. 설문지 ··· 79 부록 2. 영아건강증진행위 강화프로그램 중재 적용 및 평가 일정표 ··· 91

(15)

- 1 -

I. 서 론

A. 연구의 필요성

영아기는 신체적 변화와 발달이 가장 활발하게 일어나고, 인지 및 사회 발 달에 가장 중요한 시기이다(김영혜 외, 2020). 영아기의 건강상태는 유아기의 성장발달과 건강증진 뿐 아니라 성인기의 건강 유지에도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매우 중요하다(방경숙 외, 2014). 그러나 영아는 생존을 위해 어머니에게 의존 하는 정도가 가장 높은 시기이며(김영미와 송하나, 2015), 스스로의 건강관리 나 환경을 조절할 수 없기 때문에 주 양육자인 어머니의 건강에 관한 지식, 태 도, 실천 정도가 중요하다(조해련 외, 2018). 어머니가 영아건강증진을 위해 어떤 행위를 하느냐에 따라 직접적으로 영아의 건강이 달라질 수 있고(Britto et al., 2017; 민현숙과 문영경, 2013), 어머니의 돌봄 행위의 빈도가 높을수록 영아의 건강상태가 좋아질 수 있기 때문에(허보윤, 박영숙과 방경숙, 2012), 영아의 건강증진 도모를 위한 어머니의 영아건강증진행위를 강화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여성은 첫 출산을 통해 어머니라는 새로운 역할을 시작하게 되고, 동시에 처음으로 자녀와의 정서적 관계를 확립해야하는 혼란과 갈등의 상태에서 어머 니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황지애, 김성재와 김규수, 2016). 과거에도 첫 어머 니 역할은 어려웠을 것이나, 대가족 구성원의 도움을 쉽게 받을 수 있었던 반 면, 현대 사회는 핵가족화의 영향으로 즉각적인 도움을 줄 양육 지원 체계가 약화되었다(김양은, 조복희와 정민자, 2007). 또한 여성의 취업 증가로 일과 육아를 병행해야 하는 상황이 많아졌으며(노미영과 김대욱, 2017), 대중매체 발달로 자녀의 건강증진 및 양육 정보는 손쉽게 얻을 수 있으나 완전히 이해되 어 지식으로 내면화 되지 못해 육아에 활용되지 못하고 있다(이근영, 장유경과 임현정, 2004; 김양은 외, 2007).

(16)

- 2 -

이렇듯 영아기 자녀의 건강증진을 위한 관련 지식 부족은 어머니로 하여금 자녀의 건강증진행위를 올바르게 수행하지 못하게 하며(민현숙과 문영경, 2013;

이송은, 2012), 이로 인해 높은 양육스트레스를 경험하며, 이는 부적절한 양육 행위로 이어진다(양미선과 김양은, 2012; 송영주, 이미란과 천희영, 2014; 이지 은, 2016; 방은주, 2018). 또한 사회적 지지는 첫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스 트레스에 가장 큰 영향 요인이면서(김희순 외, 2005), 어머니 역할수행 자신감 에도 영향을 주는 중요 요인으로(김양은 외, 2007), 영아기 첫 자녀를 둔 어머 니는 주변의 도움과 관심이 더 많이 필요하다(이혜경, 2015). 그러나 이 시기 의 어머니는 첫 자녀에 대한 양육 부담과 사회적 지지의 부족으로 어머니 역할 수행 자신감 저하를 경험하며, 결과적으로 자녀건강증진행위를 잘 수행하지 못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정남옥, 2009; 이윤정, 2014; 우수희와 조규판, 2016; 이시연, 2017; 정미라, 김지원과 이영은, 2015; 황지애와 김성재, 2016).

어머니 역할수행 자신감이란 모성발달과업 대처능력에 대한 어머니 스스로 가 지각하고 있는 자기효능감 정도를 의미한다(Lederman, Wein-garten &

Lederman, 1981). Bandura(1977)는 자기효능 이론(Theory of self-efficacy) 에서 자기효능감을 주어진 상황에서 행동을 선택하고 수행하는데 직접적인 영 향을 주는 요인이자 가장 영향력이 큰 요인이며, 어려운 상황에서도 목표로 정 한 행동을 지속 가능하게 하는 요인으로 설명하고 있다. 어머니 역할수행 자신 감이 높을수록 긍정적인 양육행동으로 이어져 영아건강증진행위를 더 많이 수 행하게 되므로(이주연, 2009), 영아기 첫 자녀를 둔 어머니의 영아건강증진행 위 강화를 위해서는 자기효능감인 어머니 역할수행 자신감을 증진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국내외 간호학 분야에서 다양한 대상자들에게 자기효능 이론을 기반으로 한 건강증진 프로그램을 적용한 논문을 고찰한 결과, 자기효능의 원천을 활용 한 중재 프로그램은 연구대상자의 자기효능감 향상과 건강증진행위 변화에 효 과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Abarashi, Tahmassian, Mazaheri, Panaghi, &

Mansoori, 2014; Cook, Hersch, Schlossberg, & Leaf, 2015; 권용선, 2017;

(17)

- 3 -

김주이, 2017; 부은희, 2006; 이동원, 2016; 황선영과 최희승, 2020). 또한 어 머니를 대상으로 자녀의 건강증진을 위한 프로그램을 적용한 간호학 논문을 고 찰한 결과, 건강증진 중재프로그램을 통해 어머니의 건강증진관련 지식을 높이 고(서지영, 2013; 이경주 외, 2012), 양육스트레스를 낮추며(김혜영, 2016; 이 진희와 오상은, 2016), 사회적 지지(이혜진, 2013)와 어머니 역할수행 자신감 (이경주 외, 2012; 이진희와 오상은, 2016; 장숙과 김일옥, 2015)을 향상시키 며, 자녀건강관리행위(이경주 외, 2012)를 높일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Bandura(1977)의 자기효능 이론에서 제시한 자기효능 원 천 강화를 활용한 영아건강증진행위 강화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프로그램의 효 과를 검정함으로써 궁극적으로는 영아의 건강증진을 도모하고자 시도되었다.

(18)

- 4 -

B. 연구의 목적

본 연구는 영아기 첫 자녀를 둔 어머니를 대상으로 영아건강증진행위 강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효과를 규명하고자 하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영아건강증진행위 강화프로그램을 개발한다.

둘째, 개발한 프로그램이 어머니의 영아건강증진 지식, 양육스트레스, 사회 적 지지, 어머니 역할수행 자신감과 영아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 한다.

C. 연구의 가설

제 1 가설: 영아건강증진행위 강화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영아건강증진 지식이 높아질 것이다.

제 2 가설: 영아건강증진행위 강화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양육스트레스가 낮아질 것이다.

제 3 가설: 영아건강증진행위 강화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사회적 지지가 높아질 것이다.

제 4 가설: 영아건강증진행위 강화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어머니 역할수행 자신감이 높아질 것이다.

제 5 가설: 영아건강증진행위 강화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영아건강증진행위가 높아질 것이다.

(19)

- 5 -

D. 용어의 정의

1. 영아건강증진 지식

1) 이론적 정의: 어머니가 영아의 건강증진을 위해 자녀의 발달을 어떻게 지원할 것인지 방향을 제시하기 위한 영아의 전반적인 발달에 대한 지식 과 정보로(오미연, 2005), 영아의 신체, 인지, 정서, 사회성 영역의 발달 에 대해 주 양육자가 실제로 알고 있는 지식의 정도를 의미한다(윤형주, 2002).

2) 조작적 정의: 본 연구에서는 연구자가 개발하고, 전문가 5인에게 내용타 당도를 검정 받아 개발한 영아건강증진 지식 도구를 사용하여 측정한 점 수를 의미하며, 점수가 높을수록 영아건강증진 지식이 높은 것을 의미한 다.

2. 양육스트레스

1) 이론적 정의: 부모가 자녀와의 생활에서 일상으로 경험하는 부모 역할로 인해 어렵고 힘들다고 느끼는 정도를 의미한다(Abidin & Richard, 1990).

2) 조작적 정의: 본 연구에서는 Abidin & Richard(1990)의 ‘ Parenting Stress Index -Short Form(PSI-SF)’을 기초로 이경숙 외(2008)이 한국형으로 개발한 ‘ 부모 양육스트레스 검사 축약형 척도(Korean- Parent Stress Index Short Form: K-PSI-SF)’도구로 측정한 점수를 의미하며, 점수가 높을수록 양육스트레스가 높은 것을 의미한다.

(20)

- 6 - 3. 사회적 지지

1) 이론적 정의: 개인의 사회적 지지망속에서 구성원을 통해 정서적, 정보적, 물질적, 평가적 지지를 제공받을 수 있다고 기대하는 정도와 개인이 사 회망 구성원으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는 유대감, 자신감, 신뢰감에 대한 지각정도를 의미한다(박지원, 1985).

2) 조작적 정의: 본 연구에서는 박지원(1985)이 개발한 설문지 중 간접적 으로 지각한 지지척도를 윤혜정(1993)이 수정한 도구로 측정한 점수를 의미하며, 점수가 높을수록 사회적 지지가 높은 것을 의미한다.

4. 어머니 역할수행 자신감

1) 이론적 정의: 어머니 역할획득의 실증적 지표로써, 모성발달과업 대처능 력에 대한 어머니 스스로가 지각하고 있는 자기효능감 정도를 의미한다 (Lederman et al., 1981).

2) 조작적 정의: 본 연구에서는 Parker와 Zahr(1985)가 개발한 모성자신 감 척도(Maternal Confidence Questionnaire)를 채선미(2001)가 수정, 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여 측정한 점수를 의미하며, 점수가 높을수록 어머 니 역할수행 자신감이 높은 것을 의미한다.

5. 영아건강증진행위

1) 이론적 정의: 영아를 돌보는 주 양육자에 의해 제공되는, 영아가 정상적 으로 성장과 발달을 할 수 있도록 돕는 건강증진행위로(김혜진, 2015), 안전영역, 감정적지지, 활동/휴식, 질병예방, 의복 착용, 영양, 청결/위생

(21)

- 7 -

의 7개 영역에서 영아건강증진에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수행하는 어머니 의 행위이다(김신정 외, 2007).

2) 조작적 정의: 본 연구에서는 김신정 외(2007)가 개발한 영유아 건강증 진행위 도구로 측정한 점수를 의미하며, 점수가 높을수록 영아건강증진 행위가 많은 것을 의미한다.

(22)

- 8 -

II. 문헌고찰

A. 어머니의 자녀 건강증진행위 관련 요인

영아건강증진행위는 영아를 돌보는 주 양육자가 아동이 정상적으로 성장과 발달을 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한 행위를 말한다(김신정, 1997). 영아기 시기는 기간으로 보면 짧은 기간이나, 신체적 변화와 발달이 가장 활발하게 일어나고 인지,정서 및 사회 발달이 가장 빠르게 일어난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한 시기 이다(방경숙 외, 2014). 그러나 영아는 스스로 건강 관리나 환경을 조절할 수 없으므로 주 양육자인 어머니가 행하는 행위로부터 신체적, 정서적, 인지적 성 장과 발달에 중요한 여향을 받는다(김혜진, 2015). 따라서 영아를 돌보는 어머 니가 영아를 위한 바람직한 건강증진행위를 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해서는 어머 니의 영아건강증진행위 실천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어머니가 된다는 것은 여성이 임신과 출산의 과정을 거치며 창조적인 존재 로서의 여성이라는 자긍심과 완성감을 느끼게 하고, 여성성의 극대화 경험을 하게 하는 체험일 것이다(손승아, 2001). 특히 첫 자녀의 탄생은 여성에게 이 전까지는 느껴보지 못한 행복한 기분을 느끼게 해주기도 하지만, 동시에 어머 니라는 새로운 역할을 부여 받게 되고, 그 동안 부부간의 역할에만 초점을 두 었던 인생의 큰 전환점을 경험하게 됨으로써 새로운 역할에 대한 재확립이 필 요한 시기이다(김미옥과 김영란, 2019).

더욱이 한국의 현대사회는 자녀 양육의 전통적인 측면의 가치가 현저히 변 화되면서 양육 문화가 달라졌고(천희영과 이현철, 2017), 가족의 형태도 다양 해졌으며 여성의 취업 증가 등으로 과거보다 더 다양한 부모 역할수행이 요구 됨(노미영과 김대욱, 2017)에 따라, 첫 자녀를 둔 어머니는 생각했던 것 보다 더 많은 다중 역할에 따른 실질적 양육의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다(석현희, 2012).

(23)

- 9 -

첫 자녀를 둔 어머니의 경우 대부분이 어머니 역할에 대한 학습의 기회를 가져보지 못한 채 어머니가 되며, 새로운 역할 준비가 부족한 상태에서 첫 자 녀 돌봄을 시작하게 된다(Sharp & Ganong, 2007). 이는 영아를 돌보는 양육 지식부족으로 이어져 어머니로 하여금 부정적인 감정들을 경험하게 하며(최유 리, 2005), 이로 인한 낮은 어머니 역할수행 자신감과 높은 양육스트레스를 경 험하게 한다(김희순 외, 2005; 김희순, 2007; 최효신과 신영희, 2013).

첫 자녀를 둔 어머니는 영아의 울음이 어떤 의미인지 인지하지 못해 당황 하며, 영아의 행동과 반응의 의미를 파악하기 어려워, 영아가 보내는 신호에 대 한 적절한 대처와 원만한 상호작용을 못하고, 영아를 안아주는 것조차 익숙하 지가 않다(석현희, 2012; 최수진, 2018). 이러한 부정적 양육 경험은 어머니로 하여금 영아기 자녀를 위한 영아건강증진행위를 감소시키고, 부모-자녀 상호 작용을 적절하게 하지 못하게 하는 악순환이 반복되게 한다(최수진, 2018; 김 미옥과 김영란, 2019).

영아건강증진 지식은 영아건강증진행위를 향상시킬수 있는 관련 지식을 의미 한다. 영아건강증진 지식은 어머니의 영아건강증진행위에 직접적인 영향 을 주는 요인이기도 하며(조복희 외, 2006; 이동원과 권인수, 2009; 이주영과 신미진, 2019), 어머니 역할수행 자신감의 선행요인이기도 하다(방은주, 2018;

정미현, 2010). 또한 양육스트레스와 관련된 주된 인지적 요인이다(김영주와 송연숙, 2007). 따라서 첫 자녀를 둔 어머니에게 영아건강증진 지식을 제공 하는 것은 양육스트레스를 낮추고, 어머니 역할수행 자신감을 향상시키며, 영아건강증진행위를 강화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중재 전략이 될 것이다.

양육스트레스는 어머니가 자녀를 양육하는 일상생활의 과정에서 경험하는 스트레스를 의미한다(Abidin & Richard, 1990). 자녀가 어릴수록 자신의 행동에 대해 스스로 처리하는 능력이 불완전하여, 이로 인해 어머니는 더 높은 스트레스를 경험하는데(방은주, 2018), 특히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는 가장 많은 양육스트레스를 경험하는 시기이다(김영주와 송연숙, 2007). 영유아 어머니를 대상으로 아동건강증진행위의 영향요인을 조사한 연구에서 어머니의

(24)

- 10 -

양육 스트레스가 낮고 어머니의 감정이 긍정적일수록 아동 건강증진행위를 더 많이 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양미선과 김양은, 2012; 김혜진, 2015). 양육 스트레스는 어머니 역할수행 자신감에 따라서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를 낮추기 위해서는 어머니가 스스로 감정을 조절할 수 있는 중재 전략이 필요하다.

또한 사회적 지지는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로부터 개인을 보호하는 완충장치 같은 역할을 한다(이시연, 2017). 주위 사람(친한 친구, 배우자 외 가족, 동료 등)으로부터의 사회적 지지가 풍부할 때, 부정적 생활 사건도 덜 위협적으로 느끼며, 어려운 상황을 잘 극복해 나갈 수 있다(김혜진, 2015). 어머니의 사회적 지지와 관련된 선행 연구들을 살펴보면, 통상적으로 가족이나 비슷한 상황의 집단에게서 받는 사회적 지지가 어머니의 영아건강증진행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되고 있다(신순식, 2010;

이춘지, 2010; 우수희와 조규판, 2016). 이처럼 어머니의 영아건강증진행위를 변화시키기 위해서는 가족을 포함한 주위 사람의 사회적 지지가 영아건강 증진행위의 중요한 영향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라 예상되며, 이를 향상시키기 위한 효과적인 중재 전략이 고려되어야 한다.

Bandura(1977)의 자기효능 이론에 따르면 자기효능감은 이루고자 하는 목표를 위해서 특정 행동을 수행하도록 하는 직접적인 영향요인이며, 어려운 상황에서도 그 행동을 지속하게 해주는 요인으로 선행요인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다. 어머니 역할수행 자신감이란 어머니 스스로가 지각하고 있는 어머니 역할 능력에 대한 자기효능감으로(Lederman et al., 1981), 어머니 역할수행 자신감과 자녀의 건강증진을 위한 행위와의 관계를 조사한 선행 연구를 통해 어머니의 어머니 역할수행 자신감이 높을수록 자녀의 건강 증진을 위해 건강증진행위를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나(정남옥, 2009; 이경하 와 서소정, 2012; 김혜진, 2015; 손정화, 2016), 영아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요인이라는 것을 확인하였다.

영아기 첫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지원요구를 조사한 연구에서 어머니의 양육 부담이 높을수록 정보적 지원과 정서적 지원, 교육적 지원 순으로 요구도

(25)

- 11 -

가 높게 나타나(석현희, 2012), 영아건강증진행위를 강화하기 위해서는 영아건 강증진 정보와 정서적 지원을 모두 반영한 교육프로그램이 필요하다. 또한 영 아기 첫 자녀를 둔 부모의 교육 현황을 조사한 연구에서 부모교육의 내용으로 는 영아 발달에 관한 지식과 정보 제공이 가장 많았고, 다음이 영아의 바람직 한 생활지도를 위한 내용이었으나, 부모들이 희망하는 교육 내용은 자녀와의 효과적인 상호작용, 영아의 건강증진을 위한 간호, 식생활습관, 사회성 발달, 훈육, 자녀와 의사소통 순으로 나타나(정보미, 2013), 영아기 자녀의 건강증진 행위를 위한 맞춤 교육 내용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첫 자녀를 둔 어머니의 영아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연구한 문헌들을 종합해보면, 첫 자녀를 둔 어머니는 영아건강증진을 위한 지식과 경험의 부족으로 높은 수준의 양육 스트레스를 느끼고 있으며, 사회적 지지 약화와 낮은 어머니 역할수행 자신감으로 영아건강증진행위를 잘 수행하지 못하고 있었다. 반면 영아건강증진 지식이 높아지고, 양육스트레스를 낮추고, 사회적 지지와 어머니 역할수행 자신감이 향상될 때, 영아건강증진행위가 강화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영아기 첫 자녀를 둔 어머니의 영아건강증진행위 강화프로그램의 내용으로 영아건강 증진 관련 지식을 제공 하고, 양육스트레스를 감소시키며, 사회적 지지와 어머니 역할수행 자신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중재 전략이 포함될 때, 어머니의 영아건강증진행위가 강화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의 문헌 고찰의 결과를 영아건강증진행위 강화프로그램 개발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26)

- 12 -

B. 어머니 대상 자녀 건강증진 프로그램 고찰

자기효능 이론을 기반으로 한 건강증진 교육 프로그램이 자기효능감 향상과 행위 변화에 효과가 있음을 보고한 선행 연구를 살펴보면, 신규간호사, 학령전기 아동 어머니, 수면 무호흡 환자, 노인, 간호장교 등 다양한 간호 대상자에게 적용한 프로그램들이 있었다(Abarashi et al., 2014; Cook et al., 2015; 권용선, 2017; 김주이, 2017; 부은희, 2006; 이동원, 2016; 황선영과 최희승, 2020).

부은희(2006)는 신규간호사를 대상으로 자기효능증진 프로그램을 적용 하였을 때, 자기효능감이 향상되었고, 또한 업무 숙련도를 높이는 긍정적인 변화를 확인하였다. 이동원(2016)은 학령전기 아동과 어머니를 대상으로 아동 건강관리프로그램을 적용하였고, 중재 프로그램이 어머니의 자기효능감과 아동 건강관리수행을 높이는데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권용선(2017)은 65 세 노인을 대상으로 가슴압박소생술 지식과 자기효능감, 소생술 수행 능력 증가를 목표로 맞춤형 가슴압박소생술 교육프로그램을 적용하였을 때, 가슴압박- 소생술 지식과 자기효능감 및 가슴압박소생술 수행 능력이 향상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황선영과 최희승(2020)은 간호장교를 대상으로 군 생명존중 역량 강화 프로그램을 진행하여 자살에 대한 지식과 자살예방 중재수행에 긍정적인 효과를 확인하였다. 국외에서도 이란 어머니를 대상으로 아동발달프로그램을 적용하였을 때, 어머니의 자기효능감이 향상되었고 이에 따른 자녀와의 상호작용 행위가 증가되는 것으로 보고하였다(Abarashi et al., 2014). Cook, Hersch, Schlossberg, and Leaf(2015)은 노인 근로자를 대상으로 자기 효능감과 건강증진 행위 유지 및 운동의지 증진을 목표로 웹 기반 건강증진프로그램을 적용하였고, 그 결과 자기효능감 향상과 건강증진행위 증진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7)

- 13 -

이상의 연구 결과들에서 프로그램 중재 후 증가된 자기효능감이 행위에 대한 변화를 이끌어 낼 수 있고, 중재 방법으로는 자기효능의 원천을 사용하였을 때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첫 자녀를 둔 어머니를 대상으로 한 자녀건강증진 프로그램에서 어머니 역할수행 자신감 향상과 행동의 변화에 효과가 있음을 보고한 선행 연구를 살펴보면, 초산모 어머니를 대상으로 웹기반 어머니역할 지지중재 프로그램을 시행한 연구에서 영아 양육에 대한 정보적 지지와 정서적 지지를 동시에 제공하였을 때, 어머니 역할수행 자신감과 만족감이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김정수, 2005). 또한 초산모에게 신생아 돌보기 정보를 1 회기 제공만으로도 어머니의 양육자신감과 양육행위 정확도가 유의하게 향상되었음을 보고한 연구 결과도 있었다(김현경과 정인숙, 2007). 그러나 행동 변화에 따른 결과를 측정하지 못한 한계와 효과의 지속성에 대한 유효성을 검정을 제언하였으므로, 본 연구는 추후 조사를 통해 행동 변화의 지속성에 대해 확인하고자 한다.

초산모에게 가정간호기반 모성역할 강화 프로그램을 적용한 연구에서 종료 직후 모성정체성과 모성역할수행 자신감이 유의 하게 향상되었으나(채미영과 황문숙, 2011), 프로그램을 원활하게 제공하기 위해 가정방문 간호보다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교육방법을 제언하였으므로, 본 연구는 교육 중재 방법 으로 장소와 시간의 제약이 적은 온라인 중재방법을 선택하였다. 결혼이주여성 초산모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는 교육용 소책자와 CD, 신생아 모형을 활용한 신생아 양육 프로그램을 시행하였는데, 실험군의 초산모 어머니는 프로그램 참여 후 어머니 역할수행 자신감이 향상되었고, 양육 스트레스는 감소하였다 (이진희와 오상은, 2016). 양육스트레스를 경감시키기 위한 간호중재의 보완이 필요하다는 제언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양육 스트레스를 감소시킬 수 있는 정서적 각성 전략으로 음악명상을 실시하여 그 효과를 확인하고자 한다.

이 밖에 어머니를 대상으로 자녀 건강증진 도모를 위한 프로그램을 살펴본 결과, 건강증진 중재프로그램을 통해 어머니의 건강증진관련 지식이 높아지는 효과를 보고한 연구(서지영, 2013; 이경주 외, 2012), 양육스트레스 감소에

(28)

- 14 -

효과를 보고한 연구(김혜영, 2016; 이진희와 오상은, 2016), 사회적 지지 (이혜진, 2013)와 어머니 역할수행 자신감(이경주 외, 2012; 이진희와 오상은, 2016; 장숙과 김일옥, 2015) 향상에 효과를 입증한 연구와 자녀건강관리 행위(이경주 외, 2012; 김혜영, 2016)향상에 효과적임을 보고한 다수의 연구를 확인하였다.

이상의 선행 연구들을 종합해보면, 영아기 첫 자녀를 둔 어머니가 자녀의 건강증진을 위한 영아건강증진행위를 강화하기 위해서는 영아건강증진 지식을 높이고, 양육스트레스를 낮추고, 사회적 지지를 높임으로써 어머니 역할수행 자신감을 향상시켜, 영아건강증진행위가 강화될 수 있는 프로그램이 필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프로그램의 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첫 자녀 어머니의 특성과 관련요인을 고려하여 Bandura 가 제시한 4 가지 자기효능 전략이 포함되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규명하고자 한다.

(29)

- 15 -

III. 개념적 기틀

본 연구는 Bandura(1977) 가 자기효능 이론(Theory of self-efficacy) 에서 제시한 자기효능 원천을 프로그램 중재 전략으로 적용하여 영아건강 증진행위 강화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첫 자녀를 둔 어머니의 영아건강증진행위를 바람직한 방향으로 변화 시키고자 한다.

간호학 분야에서 자기효능을 이용하여 자가간호행위나 건강증진행위의 변화를 유도하는 연구가 시도되었고(Huffman, Pieper, Hall, St Clair, & Kraus, 2015; Marszalek, Price, Harvey, Driban, & Wang, 2017; Min-Hyang Park, 2014; 류은진과 박미경, 2017; 이동원, 2016; 황선영과 최희승, 2020), 연구 결과들을 통해 자기효능 개념이 건강관련 행위를 변화시키고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고 있다.

Bandura(1977)는 자기효능 이론에서 제시한 4 가지 자기효능 원천들이 자기효능감에 직접 영향을 주어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키며, 원하는 행동의 목표로 특정행위(performance)변화를 유도하고, 그 행위를 유지하게 하는 요인으로 설명하고 있다. 자기효능의 4 가지 원천으로 성취 경험(mastery experience), 대리 경험(vicarious experience), 언어적 설득(verbal persu- asion), 정서적 각성(emotional states)을 제시하였다(Bandura, 1977).

성취 경험은 개인의 직접적인 경험의 결과로, 자기효능 원천 4 가지 중 자기효능감에 가장 영향력이 높은 요소이며, 실제적 성공 경험이 반복될수록 자기효능감은 높아진다. 대리 경험은 상황의 어려움을 극복하고, 이루고자 하는 목표를 성공적으로 달성하는 타인의 간접 경험담과 정보에 따라 개인의 효능감을 촉진시킬 수 있는 요인으로, 자신과 비슷한 조건의 동료나 타인에 대한 대리 경험 관찰을 통해 효과적인 대처 전략을 학습하는 모델링이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모델링을 통해 자신감을 향상시키고 통제와 예측의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

(30)

- 16 -

언어적 설득은 주변 사람들의 설득이나 평가를 통해 자신이 목표로 하는 것을 이룰 수 있는 능력이 있다는 믿음을 강화 시킴으로써 목표 달성에 대한 기대감과 성취 능력에 대한 개인의 효능감이 높아질 수 있다(Bandura, 1977).

언어적 설득은 동료, 타인에 의해 자신의 능력을 판단하게 되므로, 언어적 설득을 제공하는 사람의 지위나 전문성, 신뢰 정도가 효능감 향상에 영향을 미친다. 언어적 설득은 교육, 웹기반 학습, 세미나, 대화 등의 다양한 매체를 통해 타인의 행동을 수정하거나 영향을 줄 수 있는 모든 노력을 포함 한다(권용선, 2017).

정서적 각성은 자신이 가지고 있는 수행능력을 판단하려는 순간에, 자신의 신체적 정보에 의존하여 느껴지는 정서적 상태에 따라 자기 효능감에 영향을 미친는 요인이다. 정서적 각성을 통해 신체적 상태를 증진시키고, 자신이 어떤 상황에서 스트레스를 느끼는지 확인하여 부정적인 정서적 경향을 감소시킴 으로써 신체적 상태에 대한 잘못된 해석을 정정할 수 있다(김의철, 1999).

따라서 본 연구는 Bandura(1977)의 자기효능 이론을 이론적 기반으로 프로그램 중재 전략으로 자기효능 원천인 성취 경험, 대리 경험, 언어적 설득과 정서적 각성을 활용하였다.

먼저, 대화 커뮤니티가 건강 행동 변화를 위한 도구로 사용될 때 행동 변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선행 연구 결과를 근거로 하여(Hinyard &

Kreuter, 2007), 성취 경험과 대리 경험의 영역을 높이기 위한 전략으로 단체 온라인 커뮤니티를 운영하여 영아건강증진행위에 대한 성공 경험과 실패 경험담을 공유하고 이야기 나누도록 하였다. 온라인 교육으로 습득한 지식을 바탕으로 가정에서 영아건강증진행위를 실천하도록 하고 변화된 자신의 행동의 성공담을 공유함으로써 성취 경험이 반복될 수 있도록 격려하였고, 타인의 간접 경험담 을 모델링함으로써 영아건강 증진행위의 대리 경험이 증진될 수 있도록 하였다(Schank & Berman, 2002).

언어적 설득을 증진시키기 위한 전략으로 영아건강증진 지식으로 구성된 강의 동영상을 온라인(카카오)으로 제공하였고, 교육 영상을 자가학습 후

(31)

- 17 -

온라인 커뮤니티를 통해 학습 수행결과를 확인하고, 피드백과 함께 응원 메시지를 보냄으로써 목표 달성을 이룰 수 있다는 격려와 지지를 제공하였다.

정서적 각성을 위한 전략으로는 명상이 스트레스 대처에 효과적이며, 부정적 감정을 긍정적으로 변화시키는 전략이 될 수 있다는 선행 연구 결과에 근거하여(Pokorski & Suchorzynska, 2018), 음악명상을 제공하였고, 회기마다 1 회 이상의 음악 명상을 수행한 결과를 확인함으로써 자신의 정서적 상태를 조절할 수 있도록 격려하였다. 이를 통해 부정적 정서적 각성의 상태에 대한 정정이 가능하도록 격려하였다.

이러한 4 가지 자기효능 원천 증진 전략을 활용한 영아건강증진행위 강화 프로그램을 영아기 첫 자녀를 둔 어머니에게 시행한 후 어머니의 영아건강증진 지식, 양육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어머니 역할수행 자신감 및 영아건강증진 행위를 평가하였으며, 이를 도식화한 본 연구의 개념적 기틀은 <그림 1>과 같다.

그림 1. 본 연구의 개념적 기틀

(32)

- 18 -

IV. 연구방법

A. 영아건강증진행위 강화프로그램 개발

본 연구의 영아건강증진행위 강화프로그램은 Bartholomew, Parcel, Kok와 Gottlieb(2006)의 Intervention Mapping Protocol(IMP)의 단계에 따라 개발 하였다. 총 6단계로 구성된 IMP는 프로그램의 흐름을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 고, 확실한 목표를 가지고 중재의 요인들을 명시하기 때문에 근거 기반의 행동 변화 중재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있어 완성도를 올릴 수 있는 적합한 방법이 다(Kok, Peters, & Ruiter, 2017).

1단계는 건강문제에 대한 대상자 집단, 대상자 요구를 사정하는 단계이고, 2단계는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행동 변화 목표를 설정하는 단계이다. 3단계는 이론에 근거하여 목표 달성을 위한 중재 방법과 프로그램 수행 전략을 선택하는 단계이고, 4단계는 사용 가능한 프로그램 자료를 검토하 고 구체적인 자료와 전체 프로그램 구성표를 작성하여 회기 별 수업 계획안을 제작하여 최종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단계이다. 5단계에서는 개발한 프로그램을 적용하고, 수행 방법을 계획하는 단계이고, 마지막 6단계에서 프로그램 평가를 위한 효과 측정을 계획하는 과정을 거친다. 구체적인 내용은 <그림 2>로 제시 하였다.

그림 2. IMP에 따른 프로그램 개발 과정

(33)

- 19 - 1. 요구 사정

1단계는 대상자 집단 선정과 요구도를 사정하는 것으로, 본 중재의 대상 집단은 2개월에서 12개월 사이의 영아기 첫 자녀를 둔 어머니로 선정하였다.

대상자를 선정한 뒤, 연구 대상자인 영아기 첫 자녀를 둔 어머니 20명을 대상 으로 요구도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회수된 16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설문지 는 영아기 자녀를 둔 부모를 대상으로 교육프로그램 요구도를 조사한 선행 문 헌 고찰의 결과를 바탕으로(석현희, 2012; 정보미, 2013; 박선미, 2014; 이명 순, 2016; 이혜순, 2020),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7문항, 영아건강증진을 위한 프로그램 요구도, 교육에서 원하는 내용 등 총 19문항으로 구성하였으며, 부모 교육 전문가 1인과 간호학 교수 2인의 자문을 받아 완성하였다. 대상자는 G시 소재 여성병원 관계자에게 사전 허락을 받고 대상자를 섭외하였으며, 설문조사 는 10분 정도 소요되었다. 설문조사는 2019년 3월 21일부터 3월 25일까지 진행하였으며, 설문 참여에 대한 소정의 답례품을 제공하였다.

요구도 조사 결과, 설문지 회수률은 80%였다. 설문지에 응답한 16명 중 14명(87.5%)이 어머니 교육 프로그램이 필요하다고 하였으며, 13명(81.2%) 이 첫 자녀를 둔 어머니 대상 교육 프로그램에 참여 의사를 표현하였다. 교육 내용에 대한 요구로는 영아 응급상황 대처법, 질병 및 감염관리, 안전사고 예방 및 대처법, 수면 및 영양관리, 영양, 청결과 위생 순으로 필요하다고 응답하였 다. 교육 실시 방법으로는 15명(93.7%)이 웹 기반 활용을 선호하였고, 학습 방법에 대한 요구에서는 15명(93.7%)이 시청각 학습 방식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 목표 설정

2단계를 통해 행동 변화를 유도하고자 하는 행동 변화의 목표는 영아건강

(34)

- 20 -

증진을 위한 어머니의 ‘영아건강증진행위 강화’로 선정하였다. 이에 따른 행동 변화 결정요인은 영유아를 둔 부모를 대상으로 영아건강증진에 영향을 주는 요 인을 조사한 선행 연구 고찰을 토대로(정남옥, 2009; 신순식, 2010; 정소피아 지혜, 2011; 방경숙, 2012; 이경하, 2012; 백희정, 2014; 김혜진, 2015; 손정화, 2016; 방은주, 2018), 영아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주는 중요 요인으로 영아건 강증진 지식, 양육스트레스, 사회적 지지와 어머니 역할수행 자신감을 선정하였 다. 어머니의 영아건강증진 지식은 높이고, 양육스트레스는 낮추고, 사회적 지 지와 어머니 역할수행 자신감은 향상시켜 영아건강증진행위의 수행 정도를 높 이는 것이 본 프로그램의 행동 변화의 목표이다.

3. 이론 기반 중재 방법과 전략 선택

3단계는 프로그램의 목표를 바탕으로 이론에 근거한 중재 방법과 전략 적 용을 선택하는 과정으로, 본 연구에서는 Bandura(1977)의 자기효능 이론을 기반으로 영아건강증진행위 강화라는 행동 변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중재 전 략으로 자기효능 원천 강화를 선택하였다. Bandura가 제시한 자기효능감의 원 천으로 성취 경험, 대리 경험, 언어적 설득, 정서적 각성을 중재 전략으로 선택 하고, 성취 경험과 대리 경험 강화를 위한 방법으로 온라인 커뮤니티 운영을 선택하였다. 언어적 설득 전략은 온라인으로 동영상 교육을 활용한 자기주도학 습 유도와 함께 격려 메시지를 보내는 방법을 선택하였다. 정서적 각성 전략은 음악명상을 제공함으로서 스스로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자기조절을 돕는 방법을 선택하였다. 프로그램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중재 전략과 방법을 적용하여 달 성된 변화 목표는 영아건강증진 지식과 양육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어머니 역 할수행 자신감, 영아건강증진행위 점수를 사전조사, 사후조사, 추후 조사의 방 법으로 확인하고자 한다.

(35)

- 21 - 4. 프로그램 개발

4단계는 앞의 1~3단계를 통해 도출된 목표와 중재 전략을 바탕으로 영아 건강증진행위 강화프로그램을 구성하는 단계이다.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인지, 감정, 행동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메타 분석을 한 박영희(2018)연구에서 회기 별 시간에 따라서는 효과크기가 없었으나 총 회기 수에 따라서는 10~15회 미 만일 때, 주 2회 이상 교육 시 가장 효과가 높게 나타났다는 결과를 참고하여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프로그램에 삽입될 자료를 ppt와 한글 문서를 활용하 여 주차 별로 제작하였고, 간호학 교수 3인, 소아과 의사 1인, 부모교육 전문 가 1인에게 프로그램 내용 타당도(I-CVI)를 받았다. 프로그램의 주제와 구성, 내용, 전달 방법의 적절성 검정을 위해 Likert 4점 척도로 구성된 설문지를 활 용하여 I-CVI 점수를 구하였으며(Lynn, 1986), 일반적으로 .80 이상인 문항 을 선정할 때 도구의 내용 타당도가 인정된다(구미옥 외, 2018). 프로그램 I- CVI는 5명 중 4명이 매우 적절하다고 응답해 I-CVI가 .80 이상으로 나타나 프로그램의 내용 타당도는 검정되었다. 또한 전체 프로그램에 진행에 대한 자 문단의 추가 의견을 반영하였다. 프로그램 중재 전략 중 음악명상 제공에 대한 중재는 모바일 ‘카카오 같이가치’에 명상 프로그램 사용에 대한 카카오의 사전 허락을 구하여 프로그램 중재 내용에 포함하였다.

1회기는 집합교육으로 전반적인 프로그램의 소개와 진행 절차에 대해 설 명하는 순서로 도입부분이 진행되었고, 참여 대상자들의 간략한 자기소개와 참 여 동기에 대해 소개하면서 인사 나누는 시간을 가졌다. 1회기를 온라인으로 진행하지 않고 집합 교육을 실시한 이유는 음악명상을 대상자 스스로 수행해야 하기 때문에 음악명상 시범 교육을 통한 언어적 설득 및 대리 경험과 현장에서 직접 실습을 통해 성취 경험과 정서적 각성의 자기효능 원천을 강화하기 위함 이다. 매 회기마다 진행되는 음악명상 중재 방법은 자기효능원천인 정서적 각 성에 근거를 둔 중재 전략으로 시간과 장소의 제약을 받지 않는 환경에서 수행

(36)

- 22 -

할 수 있도록 설명하였고, 프로그램 진행 중에는 성취 경험과 대리 경험을 중 재 전략으로 카카오 그룹 온라인 커뮤니티 운영을 선택하였으며, 온라인 커뮤 니티를 통해 참여자를 지지하고 격려하여 언어적 설득 전략을 강화시킴으로써 프로그램 중도 탈락을 최소화 하였다.

2회기는 어머니의 영아건강증진행위를 높이기 위한 전략으로 효능 원천 중 언어적 설득 전략 방법은 영아의 정서적 지지 증진을 위한 영아정서발달에 대한 이해로 시작하여 어머니와 교감하기를 통해 올바른 애착을 형성하기 위한 정보를 동영상 강의로 제공하고, 정서적 각성 전략 방법으로‘매일 새로운 하 루의 시작’ 이라는 음악명상을 실시하였다. 또한 성취 경험과 대리 경험 증진을 위한 중재 전략으로 그룹 온라인 커뮤니티를 활용하여 온라인 강의 내용과 관 련된 자녀와의 교감 및 애착 형성을 위한 성공담과 경험담을 공유하는 시간을 가졌다. 또한 음악명상 수행 후 경험담 공유와 함께 언어적 설득 전략을 증진 하기 위해 격려 메시지를 전송하였다.

3회기는 어머니의 영아건강증진행위를 높이기 위한 전략으로 효능 원천 중 언어적 설득 전략 방법은 영아의 올바른 의복 선택 증진을 위한 영아의 체 온조절기전에 대한 이해로 시작하여 계절과 활동에 적합한 의복을 선택하기 위 한 정보를 동영상 강의로 제공하고, 정서적 각성 전략 방법으로‘있는 그대로 의 나를 수용하고 싶을 때’라는 음악명상을 실시하였다. 또한 성취 경험과 대 리 경험 증진을 위한 중재 전략으로 그룹 온라인 커뮤니티를 활용하여 온라인 강의 내용과 관련된 외출 시 자녀의 올바른 의복 선택 성공담과 경험담을 공유 하는 시간을 가졌다. 또한 음악명상 수행 후 경험담 공유와 함께 언어적 설득 전략을 증진하기 위해 격려 메시지를 전송하였다.

4회기는 어머니의 영아건강증진행위를 높이기 위한 전략으로 효능 원천 중 언어적 설득 전략 방법은 영아의 청결과 위생 증진을 위한 적절한 세척제 선택하는 기준에 대한 이해로 시작하여 소재 별 장난감 세척법 및 목욕시키기 와 올바른 구강 관리에 대한 정보를 동영상 강의로 제공하고, 정서적 각성 전

(37)

- 23 -

략 방법으로‘자존감을 높이고 싶을 때’라는 음악명상을 실시하였다. 또한 성 취 경험과 대리 경험 증진을 위한 중재 전략으로 그룹 온라인 커뮤니티를 활용 하여 온라인 강의 내용과 관련된 자녀 목욕시키기 성공담과 이닦기 경험담을 공유하는 시간을 가졌다. 또한 음악명상 수행 후 경험담 공유와 함께 언어적 설득 전략을 증진하기 위해 격려 메시지를 전송하였다.

5회기는 어머니의 영아건강증진행위를 높이기 위한 전략으로 효능 원천 중 언어적 설득 전략 방법은 영아의 안전 증진을 위한 영아 신체발달에 대한 이해로 시작하여 화상 및 낙상, 중독을 예방하기 위한 방법과 영아심폐소생술 에 대한 정보를 동영상 강의로 제공하고, 정서적 각성 전략 방법으로‘걱정 내 려놓기’라는 음악명상을 실시하였다. 또한 성취 경험과 대리 경험 증진을 위 한 중재 전략으로 그룹 온라인 커뮤니티를 활용하여 온라인 강의 내용과 관련 된 자녀의 안전사고예방 성공담과 안전사고 경험담을 공유하는 시간을 가졌다.

또한 음악명상 수행 후 경험담 공유와 함께 언어적 설득 전략을 증진하기 위해 격려 메시지를 전송하였다.

6회기는 어머니의 영아건강증진행위를 높이기 위한 전략으로 효능 원천 중 언어적 설득 전략 방법은 영아의 영양 증진을 위한 영아성장발달에 대한 이 해를 시작으로 올바른 영양관리를 위한 식단과 투약 관리에 대한 정보를 동영 상 강의로 제공하고, 정서적 각성 전략 방법으로‘진정한 행복에 이르는 길’

이라는 음악명상을 실시하였다. 또한 성취 경험과 대리 경험 증진을 위한 중재 전략으로 그룹 온라인 커뮤니티를 활용하여 온라인 강의 내용과 관련된 고형식 성공담과 투약 경험담을 공유하는 시간을 가졌다. 또한 음악명상 수행 후 경험 담 공유와 함께 언어적 설득 전략을 증진하기 위해 격려 메시지를 전송하였다.

7회기는 어머니의 영아건강증진행위를 높이기 위한 효능 원천 중 언어적 설득 중재 전략 방법은 영아의 활동과 휴식 증진을 위한 영아 활동과 놀이에 대한 이해를 시작으로 올바른 수면 교육과 훈육, 놀이에 대한 정보를 동영상 강의로 제공하고, 정서적 각성 전략 방법으로‘스트레스를 느낄 때’라는 음악 명상을 실시하였다. 또한 성취 경험과 대리 경험 증진을 위한 중재 전략으로

(38)

- 24 -

그룹 온라인 커뮤니티를 활용하여 온라인 강의 내용과 관련된 자녀의 수면 교 육 성공담과 자녀 훈육에 대한 경험담을 공유하는 시간을 가졌다. 또한 음악명 상 수행 후 경험담 공유와 함께 언어적 설득 전략을 증진하기 위해 격려 메시 지를 전송하였다.

8회기는 어머니의 영아건강증진행위를 높이기 위한 효능 원천 중 언어적 설득 중재 전략 방법은 영아의 질병예방 증진을 위한 영아기에 잘 발생하는 질 병들에 대한 이해를 시작으로 감염 관리 및 발열 관리와 영아 예방접종 스케줄 에 대한 정보를 동영상 강의로 제공하고, 정서적 각성 전략 방법으로‘원하는 일을 이루기 위한 명상 ’ 을 실시하였다. 또한 성취 경험과 대리 경험 증진을 위한 중재 전략으로 그룹 온라인 커뮤니티를 활용하여 온라인 강의 내용과 관 련된 자녀의 감염 및 발열 관리 성공담과 예방접종 경험담을 공유하는 시간을 가졌다. 또한 음악명상 수행 후 경험담 공유와 함께 언어적 설득 전략을 증진 하기 위해 격려 메시지를 전송하였다.

영아건강증진행위 강화프로그램은 1회기의 집합 교육과 7회기의 모바일 온라인 동영상 강의, 8회기의 모바일 음악명상으로 총 8회기로 구성하였으며, 주요 구성 내용은 <표 1>과 같다.

(39)

- 25 -

회기 시간 주제 교육내용 방법 증진 전략

1 90 분 프로그램 오리엔테이션

*사전조사 및 동의서 작성

*인사 나누기(친밀감 형성)

*프로그램 목적과 내용, 진행방식 안내

*음악명상 프로그램 안내

*음악명상 시범 교육 및 실습

집합 교육 언어적 설득 정서적 각성 성취 경험 대리 경험

음악명상 1 생의 한 가운데서(4 분) 온라인 명상

2 40 분 지식 1- 정서적지지

*영아정서발달에 대한 이해

*어머니 정서와 자녀 애착의 이해

*엄마와 교감하기: 애착

온라인 강의 (카카오톡)

언어적 설득

10 분 음악명상 2 매일 새로운 하루의 시작 온라인 명상 정서적 각성

30 분 경험 공유하기 온라인 강의 내용과 연관된 경험 및 명상 수행 경험 공유하기

온라인 커뮤니티

성취 경험 대리 경험

3 40 분 지식 2- 의복

*영아의 체온조절기전

*계절에 맞는 옷 입히기

*활동하기 편안한 옷 입히기

온라인 강의 언어적 설득

12 분 음악명상 3 있는 그대로의 나를 수용하고 싶을 때 온라인 명상 정서적 각성

30 분 경험 공유하기 온라인 강의 내용과 연관된 경험 및 명상 수행 경험 공유하기

온라인 커뮤니티

성취 경험 대리 경험

4 40 분 지식 3- 청결과 위생

*적절한 세척제 선택하기

*청결: 소재 별 장난감 세척법

*목욕시키기 & 구강관리

온라인 강의 언어적 설득

10 분 음악명상 4 자존감을 높이고 싶을 때 온라인 명상 정서적 각성

30 분 경험 공유하기 온라인 강의 내용과 연관된 경험 및 명상 수행 경험 공유하기

온라인 커뮤니티

성취 경험 대리 경험

표 1. 최종 개발된 영아건강증진행위 강화프로그램

참조

관련 문서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8 weeks trampoline exercise on health promotion (health related fitness, blood lipid) in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Marriage Encounter program(ME program) on marital problem solving behavior.. The overall goal of

The Effects of Career Group Counseling Based Upon Multiple Intelligence Theory on Career Decision-Making, Career Self-Efficacy, and Career Maturity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academic English improvement, interest, and self-confidence through the

The Effect of Shared Leadership on Voice and Knowledge Sharing Behavior: Creative Self-Efficacy and Change.. Self-Efficacy

The purpose of study are analyzing the effects of dance majors' self-management on dance performance ability, self-efficacy and concentration, In the future,

Fifth, Based on Erikson’s Psychosocial Theory, this researcher validated that in-group art therapy of story telling program has influenced a kid’s changes

The program intervenes in self-efficacy, anxiety, and time-managing behavior, which respectively stands for cognitive, emotional, and behavioral variables verified to affe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