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논의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72-77)

본 연구는 영아기 첫 자녀를 둔 어머니를 위한 영아건강증진행위 강화프로 그램을 개발하고 효과 검정을 하였으며, 그 결과 영아기 첫 자녀를 둔 어머니 의 영아건강증진행위 향상에 효과적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영아건강증진행위 강화프로그램 중재 후 어머니의 영아건강증진 지식 점수 는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시간에 따른 집단 간 효과의 크기가 큰 것(d=1.69)으로 나타났다. 이는 어머니를 대상으로 영유아 건강교육프로그램을 제공한 후 어머니의 양육 지식이 향상된 이경주 외 (2012)의 결과와 유아기 자녀 어머니의 양육역량강화 프로그램을 통해 양육 지식이 향상된 박성의(2019)의 연구 결과와 유사하였다. 어머니의 영아건강증 진 지식은 자녀의 건강증진 및 발달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변수이기 때문에(민 현숙과 문영경, 2013), 영아건강증진행위를 강화시키기 위해서는 어머니의 영 아건강증진 지식을 높이는 것이 우선적으로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프 로그램 개발 당시 문헌 고찰과 사전 대상자 요구도 조사를 통해 연구대상자가 희망하는 교육 방법과 교육 내용을 파악하여 이를 기반으로 교육 강의를 제작 하였다. 교육 내용을 대상자의 수준과 상황에 맞게 정서적 지지, 의복, 영양, 청결과 위생, 안전, 활동과 휴식, 질병 예방 등 7개의 영역으로 나누어 구성하 고, 주 2회, 7회기 동안 온라인 동영상 강의로 제공한 것은 어머니의 영아건강 증진 지식을 높이는데 효과적이었으며, 중재 효과크기도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모바일을 활용한 온라인 강의는 시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고, 연구 대상자 가 필요하다고 느끼는 부분을 반복적으로 학습할 수 있었기 때문에 어머니의 영아건강증진 지식 향상의 효과가 나타난 것으로 볼 수 있다. 모바일을 활용하 여 어머니 대상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한 박지은(2016)과 서지영(2019)의 연 구 결과에서 프로그램 중재 후 어머니의 양육 지식이 증가된 것으로 나타나 본 연구의 결과와 유사하므로, 모바일을 활용한 온라인 교육 방법은 어머니의 영

- 59 -

아건강증진 지식 향상시키기에 유용한 중재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영아건강증진행위 강화프로그램의 양육스트레스에 대한 효과를 보면 대조 군은 양육스트레스가 증가하는 반면, 실험군은 유의하게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 났으며, 시간에 따른 집단 간 중재 효과크기가 큰 것(d=1.93)으로 나타났다.

이는 농촌지역 어머니를 대상으로 양육프로그램을 제공한 후 양육스트레스가 감소하였다고 보고한 이정경(2012)의 연구와 발달장애 어머니를 대상으로 건 강교육 프로그램 적용한 후 양육스트레스가 감소하였다고 보고한 김혜영(2016) 의 연구 결과 및 베트남 어머니를 대상으로 양육프로그램을 적용한 후 양육스 트레스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난 서지영(2019)의 연구 결과와 일치하였다. 양 육스트레스는 어머니 역할수행 자신감에 영향을 주는 가장 큰 요인으로(이윤정, 2014), 어머니 역할수행 자신감을 높이기 위해서는 부적 상관 관계인 양육스 트레스가 감소되어야 한다(방은주, 2018). 영아건강증진행위 강화프로그램이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를 낮추는 효과크기가 크게 나타난 것은 장애아동 어머 니를 대상으로 실시한 명상을 포함한 음악치료 중재 방법이 어머니의 양육스트 레스를 감소시키는 효과적인 방법이라는 최우미와 소미숙(2020)의 선행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음악명상이라는 방법을 선택하였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자기 효능 원천 중 정서적 각성을 높이고자 실시한 음악명상은 기존의 많은 어머니 교육 프로그램과의 차별성을 둔 중재방법으로 음악명상을 통해 어머니 스스로 정서적 안정감을 조절하고 스트레스 대처를 높임으로써 양육스트레스를 감소시 키기 중재 방법으로 효과적이었다. 따라서 어머니 대상 영아건강증진행위 강화 를 위한 양육스트레스를 낮추는 적절한 간호 중재 방법으로 음악명상을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사회적 지지는 어머니 역할수행 자신감과 정서를 긍정적으로 바꿀 수 있는 중요한 변수(이혜진, 2013)이면서, 초산모의 양육스트레스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요인이기도 하다(김희순 외, 2005). 영아건강증진행위 강화프로그램 중재 후 사회적 지지에 대한 변화는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 60 -

나타났고, 시간에 따른 집단 간 효과크기가 큰 것(d=1.86)으로 나타났다. 실 험군의 사회적 지지를 높이기 위한 중재 전략으로 온라인 커뮤니티를 운영하였 다. 온라인 커뮤니티를 통해 첫 자녀를 돌보는 다른 어머니들도 영아건강증진 행위를 함에 있어서 비슷한 문제들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공감대 및 유대감 이 형성되었고, 서로의 영아건강증진행위 성취 경험과 대리 경험을 통해 정서 적 지지가 제공되어 사회적 지지 증가에 효과적이었으며(Altobelli, 2017), 그 중재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선천성 이상아 어머니를 대상으로 사회 적 지지 인터넷 중재 후 어머니의 정서가 긍정적으로 향상된 이혜진(2013)연 구결과를 비추어 볼 때, 사회적 지지 증가 결과가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감소 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는 것을 유추해볼 수 있다.

영아건강증진행위 강화프로그램은 중재 후 어머니 역할수행 자신감을 유의 미하게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시간에 따른 집단 간 효과의 크기가 큰 것(d=1.02)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미숙아 어머니를 대상으로 웹 기 반 프로그램을 제공 후 양육자신감이 향상된 서영선(2018)의 연구 결과와 초 산모를 대상으로 양육 프로그램을 제공 후 어머니 역할 자신감이 향상된 이진 희(2016)의 연구 결과 및 영유아 건강교육프로그램을 제공한 후 어머니의 양 육자신감이 향상된 이경주 외(2012)의 연구와 Abarashi 등(2014) 및 Cook 등(2015)의 연구 결과와 유사하다. Bandura(1997)의 자기효능 이론에 따르면 어머니 역할수행 자신감은 특정 행동을 수행하도록 하는 직접적인 요인이며, 영아건강증진행위를 변화시키는 큰 영향 요인 중 하나이다(이혜경, 2015; 정남 옥, 2009). 이에 본 연구에서 어머니 역할수행 자신감 향상을 위한 전략으로 자기효능 원천 강화를 선택하였다. 첫 자녀를 둔 어머니를 대상으로 자기효능 원천을 중재 방법으로 적용하여 어머니 역할수행 자신감 변화를 확인한 선행 연구가 없어 본 연구의 결과와 비교는 어려우나, 실험군의 어머니 역할수행 자 신감이 대조군보다 향상된 것은 언어적 설득 강화로 영아건강증진을 위한 영아 건강증진 지식을 체계적으로 제공하였고, 온라인 커뮤니티를 통해 자신의 영아 건강증진행위 성공 경험을 공유함으로써 성취 경험이 강화되고, 타인의 성공담

- 61 -

과 경험담을 통해 대리 경험이 강화되었으며, 음악명상을 통해 스스로 감정을 조절하고 스트레스대처를 함으로써 정서적 각성 강화가 일어났기 때문이라 생 각되며, 그 효과도 큰 것으로 나타났다. 어머니 역할은 타고나는 것이 아니라 학습에 의해 만들어 지는 것으로(Mercer, 2004), 학습을 통해 어머니 역할수 행 자신감이 향상된 이진희와 오상은(2016)의 연구 결과를 유추해 볼 때, 본 프로그램은 어머니 역할수행 자신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용한 중재임을 확인 하였으나, 추후 간호연구에서 시간의 흐름에 따라 어머니 역할수행 자신감이 지속적으로 영아건강증진행위 변화에 영향을 주는지를 평가하는 반복 연구가 필요하다.

영아건강증진행위 강화프로그램 중재 후 어머니의 영아건강증진행위 점수 는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시간에 따른 집단 간 효과의 크기가 큰 것(d=1.45)으로 나타났다. 본 프로그램은 Ban-dura의 자기효능 이론에 기반을 두고 4가지 효능 원천 강화를 통해 어머니 역 할수행 자신감을 향상시켜 어머니로 하여금 영아건강증진행위를 더 많이 하도 록 수행의 변화를 이끌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어머니의 영아건강증진행위가 향상된 것은 행위 변화의 큰 영향을 주는 요인인 어머니 역할수행 자신감이 높 아졌기 때문이며(이혜경, 2015; 정남옥, 2009), 이를 위해 자기효능 4가지 원 천 강화를 중재 전략으로 선택한 것이 영향을 주는 요인에 상호작용 효과가 시 너지를 발휘하여 행동 변화로 반영되어 효과가 나타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 는 학령전기 어머니와 아동을 대상으로 자기효능 이론을 기반으로 아동건강관 리프로그램 적용 후 어머니의 아동건강관리 정도와 아동의 건강행위 정도가 향 상된 이동원(2016)과 Cook 등(2015)의 연구 결과와 유사하다. 본 프로그램 은 자기효능 원천을 중재 전략으로 선택한 아동건강관리프로그램을 학령전기 아동 어머니에게 제공한 이동원(2016)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영아기 첫 자 녀를 둔 어머니의 영아건강증진행위를 더 강화시키고자 자기효능 원천을 증진 시키는 전략을 중재 방법으로 선택하였고, 이는 어머니의 영아건강증진행위 변 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 것이라고 생각된다.

- 62 -

이처럼 영아건강증진행위 강화프로그램 중재 후 효과를 살펴본 결과, 프로 그램의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난 것은 먼저, 어머니의 영아건강증진행위에 영 향을 주는 주요 요인들이 서로 상호작용하며 영향을 주고 있음을 확인한 문헌 고찰을 근거로, Bandura가 제시한 자기효능의 원천을 강화시킴으로써 어머니 역할수행 자신감을 높아졌고, 프로그램에서 제공한 음악명상과 온라인 커뮤니 티 중재 방법들이 시너지 효과를 발휘했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영아건 강증진행위 강화프로그램은 영아건강증진을 위한 영아기 첫 자녀를 둔 어머니 의 영아건강증진 지식을 높이고, 양육스트레스를 낮추고, 어머니 역할수행 자신 감과 사회적 지지를 향상시켜, 영아건강증진행위를 강화하는데 효과적인 것으 로 나타났다.

- 63 -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72-77)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