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제언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80-107)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본 연구에서 개발된 프로그램을 통해 어머니의 영아건강증진 지식을 높이고, 양육스트레스를 완화하고, 어머니 역할수행 자신감과 사회적 지지를 향 상시키고, 영아건강증진행위가 증가되었다. 따라서 프로그램 효과의 지속성을 파악하기 위한 종단적 연구와 반복 연구를 시행할 것을 제언한다.

둘째, 본 프로그램의 중재는 여성병원 내에 있는 소아과를 내원하는 어머 니 대상자를 중심으로 모집하고, 제공되었다. 그러나 지역사회에는 다양한 양육 자가 있으므로 이를 고려한 대상자 확대 연구를 제언한다.

셋째, 본 프로그램은 8회기의 중재 중 온라인으로 진행되는 7회기의 중재 는 대상자가 의지를 가지고 적극적으로 참여함이 필요했다. 따라서 대상자의 참여와 그 결과를 확인 수 있는 시스템을 반영한 온라인 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을 제언한다. 또한 이번 연구의 사례를 가지고 향후 어머니 대상 교육 프 로그램 개발에 있어 편의성과 효율성을 고려한 온라인 교육으로 확대 적용하여 그 효과를 검정할 것을 제언한다.

- 67 -

참고문헌

구미옥, 양영희, 은영, 이혜경. (2018). 간호연구개론. 서울: 현문사.

권용선. (2017). 노인 맞춤형 가슴압박소생술 교육프로그램의 효과. 건국대학 교, 충주. (국내박사학위논문)

김미옥, 김영란. (2019). 첫 영유아 자녀를 둔 어머니의 모성역할적응 영향요 인.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5), 563-580.

김신정. (1997). 영 유아를 위한 어머니의 건강증진 행위. 이화여자대학교 대 학원, 서울. (국내박사학위논문)

김신정, 강경아, 윤진, 권오진. (2007). 영유아를 위한 건강증진 행위 측정도구 개발.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13(1), 21-32.

김양은, 조복희, 정민자. (2007). 영아기 첫 자녀를 둔 어머니의 임신 및 출산, 양육 변인에 관한 연구 : 2002년과 2007년 실태 비교를 중심으로. 한 국보육지원학회지, 3(2), 68-85.

김영미, 송하나. (2015).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와 긍정적 양육행동간의 관계에 대한 자아존중감의 조절효과. 육아정책연구, 9(2), 71-88.

김영주, 송연숙. (2007). 1세-3세 영유아를 둔 어머니의 양육 지식과 양육 스 트레스. 열린유아교육연구, 12(4), 475-493.

김영혜 외. (2020). (최신) 인간성장발달. 파주: 수문사.

김의철, 박영신, 양계민. (1999). 자기효능감과 인간행동. 서울: 교육과학사.

김정수. (2005). 초산모의 어머니 역할에 대한 웹기반 지지중재 프로그램 개발 및 평가.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5(1), 165-176.

김주이. (2017). 폐쇄성 수면무호흡 환자를 위한 구 인두 운동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연세대학교 대학원, 서울. (국내박사학위논문)

김향란. (2018). 한국 거주 조선족 노인이주자를 위한 건강증진 프로그램 개발

- 68 -

및 효과. 서울대학교 대학원, 서울. (국내박사학위논문)

김현경, 정인숙. (2007). 신생아 돌보기 교육프로그램이 산후조리원 이용 초산 모의 양육자신감과 양육행위 정확도에 미치는 효과.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7(1), 125-134.

김혜영. (2016). 발달장애 아동을 위한 어머니 건강교육프로그램이 자녀 건강 관리행위와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7(6), 338-346.

김혜진. (2015). 영유아 어머니의 아동건강증진행위 영향요인. 경희대학교 일 반대학원, 서울. (국내석사학위논문)

김희순, 심미경, 김태임. (2007). 초산모의 영아 양육자신감에 미치는 영향요인.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13(2), 119-127.

김희순, 오가실, 신영희, 김태임, 유하나, 심미경, 정경화. (2005). 초산모의 양 육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11(3), 290-300.

노미영, 김대욱. (2017). 유아기 자녀를 둔 학부모의 육아휴직 선택의 어려움 과 이유. 열린유아교육연구, 22(5), 325-350.

노지영, 황혜신. (2012).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및 부모역할만족도가 0-3세 자녀와의 애착형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활과학회지, 21(1), 27-40.

류은진, 박미경. (2017). 대학생의 가족기능과 자기효능감이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 한국간호교육학회지, 23(2), 156-164.

민현숙, 문영경. (2013). 어머니의 양육지식, 양육스트레스, 양육행동과 영아의 발달 간의 관계. 한국생활과학회지, 22(1), 43-56.

박미라. (2017). 어머니의 양육신념과 양육 효능감이 영아의 사회정서발달에 미치는 영향. 목포대학교 대학원, 무안. (국내석사학위논문)

박선미. (2014).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 경험 및부모교육에 대한 요 구. 학부모연구, 1(1), 63-87.

박성의. (2019).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역량강화 부모코칭프로그램

- 69 -

개발 및 효과. 부모교육연구, 16(1), 45-67.

박영희. (2018). 부모교육프로그램이 인지, 정서, 행동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경상대학교 대학원, 진주. (국내박사학위논문)

박지원. (1985). 사회적 지지척도 개발을 위한 일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서 울. (국내박사학위논문)

박지은. (2016). QR code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한 결혼이주여성의 양육역량증진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경북대학교 대학원, 대구. (국내박사학위논문) 방경숙, 권미경, 김지수, 김지현, 김현아, 김효신, & 남미정. (2014). 아동간호

학. 서울: 정담미디어.

방경숙, 권미경, 최미영, 허보윤, & 정소피아지혜. (2012). 영유아 어머니와 간 호학 전공 대학원생의 영유아 건강증진행위 중요도에 대한 인식.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18(2), 60-67.

방은주. (2018).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 양육지식, 양육효 능감과의 관계. 영유아교육: 이론과 실천, 3(2), 61-81.

백희정. (2014). 영유아 자녀를 둔 취업모와 전업모의 건강증진행위 비교. 지 역사회간호학회지, 25(4), 282-290.

부은희. (2006). 자기효능증진 프로그램이 신규간호사의 자기효능감과 조직사 회화 결과에 미치는 효과. 연세대학교 대학원, 서울. (국내박사학위논문) 서영선. (2018). 웹 기반 미숙아 어머니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평가. 을지대학

교 대학원, 대전. (국내박사학위논문)

서지영. (2013). 영·유아 자녀를 둔 베트남 결혼이주여성을 위한 감염예방 교 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서남대학교 일반대학원, 남원. (국내석사학 위논문)

서지영. (2019). 결혼이주 베트남 여성을 위한 자녀 양육 통합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아주대학교 대학원 간호학과 박사학위 논문.

석현희. (2012). 영아기 첫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부담과 양육지원요구. 대 전대학교, 대전. (국내석사학위논문)

- 70 -

손승아. (2001). 어머니로의 적응과정에 관한 현상학적 접근. 심리치료: 다학제 적 접근, 1(-), 97-118.

손정화. (2016). 영유아의 기질과 발달,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이 영유아를 위한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 경북대학교 대학원, 대구. (국내석사학위논 문)

송영주, 이미란, 천희영. (2014). 첫 자녀 출산 후 취업모와 전업모의 양육스트 레스 변화. 兒童學會誌, 35(5), 15-35.

신순식. (2010). 다문화 가정 어머니의 특성과 어머니가 지각하는 사회적 지지 가 자녀를 위한 건강 증진 행위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연구, 30(6), 175-194.

양미선, 김양은. (2012). 걸음마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지식과 양육행동, 양육스트레스 간의 관계 연구. 한국보육지원학회지, 8(3), 229-247.

오미연. (2005). 아버지와 어머니의 부모 효능감, 양육지식 및 민감성의 비교 연구 - 영아기 자녀를 둔 부모를 대상으로. 全北大學校 大學院, 전주.

(국내석사학위논문)

우수희, 조규판. (2016).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심리적 안녕감, 가족건강 성, 사회적 지지 및 양육효능감 간의 구조관계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 연구, 16(8), 379-402.

윤형주. (2002). 어머니의 양육지식과 가정의 양육환경과의 관계. 경희대학교 대학원, 서울. (국내석사학위논문)

윤혜정. (1993). 靑小年의 일상적 스트레스와 社會關係網 支持 知覺. 서울大學 校 大學院, 서울. (국내석사학위논문)

이경숙, 정경미, 박진아, 김혜진. (2008). 한국판 부모 양육스트레스 검사-축약 형(Korean versionof Parenting Stress Index-Short Form:K-PSI-SF)의 신뢰도 및 타당도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3(3), 363-377.

이경주, 양수, 장미희, 염미정. (2012). 저소득 가정 영유아 건강 프로그램이 어머니의 양육지식, 행동, 자신감 및 가정환경에 미치는 효과. Journal

- 71 -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42(5), 671-679.

이경하, 서소정. (2012). 영아의 기질, 어머니의 양육지식과 영아발달 간의 관 계 연구: 양육효능감의 매개효과 분석.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9(3), 53-77.

이근영, 장유경, 임현정. (2004). 영아모의 자녀양육지식 수준에 대한 연구. 열 린유아교육연구, 9(1), 45-63.

이동원. (2016). 학령전기 아동 어머니를 위한 협동학습 기반 아동건강관리프 로그램 개발 및 효과. 경상대학교 대학원, 진주. (국내박사학위논문) 이명순, 고여훈. (2016). 영아부모 양육지원 방안 모색을 위한 부모역량 및 요

구 분석.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20(4), 435-456.

이송은. (2012).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지식, 양육수행귀인 및 부모 역할 인식과 그에 따른 양육행동.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서울. (국내석 사학위논문)

이시연. (2017).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심리적 안녕감, 양육지식 및 사회 적 지지가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동국대학교, 서울. (국내석사학위 논문)

이윤정. (2014). 아동 기질과 양육스트레스, 사회적 지지가 취업모의 양육효능 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보육학, 0(85), 117-136.

이정경. (2012). 영유아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농촌지역 어머니의 부모역할만족 도와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목포대학교 대학원, 무안. (국내석사 학위논문)

이주연. (2009).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지식과 양육행동 간의 관계 연구: 양육효능감의 매개효과 분석.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47(5), 35-48.

이주영, 신미진. (2019). 아이돌보미의 영유아 감염예방에 미치는 영향 -지식 과 실천 중심으로.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9(5), 461-470.

이지은. (2016). 유아기 어머니가 지각하는 양육 스트레스와 양육행위. 한림대

- 72 - 학교, 춘천. (국내석사학위논문)

이진희, 오상은. (2016). 결혼이주 초산모를 위한 신생아양육 프로그램이 양육 스트레스와 어머니역할 자신감에 미치는 효과. 스트레스硏究, 24(3), 220-230.

이춘지. (2010). 장애아동의 건강증진을 위한 어머니의 행위. 경북대학교 대학 원, 대구. (국내석사학위논문)

이혜경. (2015). 영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경산. (국내석사학위논문)

이혜순. (2020). 어린이집 신입 영아의 부모를 위한 양육역량 교육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인하대학교 대학원, 인천. (국내박사학위논문)

이혜진. (2013). 선천성 이상아 어머니를 위한 사회적 지지 인터넷 중재 프로 그램 개발 및 효과. 동서간호학연구지, 19(2), 159-167.

장숙, 김일옥. (2015). 영아 수면건강 교육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21(1), 11-19.

정남옥. (2009). 부모의 양육효능감이 영유아를 위한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15(2), 236-244.

정미라, 김지원, 이영은. (2015). 12개월 첫 자녀를 둔 어머니들이 경험하는 양 육 어려움과 그 의미.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6(2), 255-281.

정미현. (2010). 영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척도 개발 : 양육효 능감 증진 부모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부모교육연구, 7(1), 45-58.

정보미. (2013). 영아기 첫 자녀를 둔 맞벌이 부부의 부모교육 현황 및 요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서울. (국내석사학위논문)

정소피아지혜. (2011). 한국인 어머니와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양육효능감과 영 유아에 대한 건강증진행위. 서울대학교 대학원, 서울. (국내석사학위논문) 조복희, 정민자, 김양은. (2006). 영아기 첫자녀를 둔 어머니의 아동발달지식에

관한 연구. 한국보육지원학회지, 2(1), 89-109.

- 73 -

조해련, 민혜영, 김신정. (2018). 아동 어머니의 감염예방에 대한 지식, 태도 및 실천.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24(2), 138-147.

채미영, 황문숙. (2011). 가정간호기반 모성역할강화 프로그램이 초산모의 모 성정체성과 모성역할수행 자신감에 미치는 효과. 가정간호학회지, 18(2), 88-98.

채선미.(2001). 저출생체중아 이행간호 프로그램 (Transitional Care Program) 개발 및 평가. 연세대학교 대학원, 서울. (국내박사학위논문)

천희영, 이현철. (2017). 한국적 양육 문화의 변화 - 자녀 양육 스트레스를 중 심으로. 다문화와 디아스포라연구, 11(-), 27-62.

최수진. (2018). 영아기 첫 자녀를 둔 부모들의 양육경험에서 나타난 긍정적·

부정적 정서 탐색.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서울. (국내석사학위논문) 최우미, 소미숙. (2020). 장애아동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관한 중재프로그

램 연구 동향: 2000-2020년. 인문사회 21, 11(4), 1391-1404.

최유리. (2005). 어머니의 육아방식 및 양육지식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서울. (국내석사학위논문)

최효신, 신영희. (2013). 미숙아 어머니를 위한 체계적인 정보제공이 모아애착, 양육스트레스, 양육자신감에 미치는 효과.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19(3), 207-215.

허보윤, 박영숙, 방경숙. (2012). 학령전기 아동 건강관련 요인의 구조모형. 한 국모자보건학회지, 16(1), 1-13.

황선영, 최희승. (2020). 간호장교를 대상으로 한 생명존중 역량강화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50(4), 599-610.

황지애, 김성재. (2016). 영아기 첫 자녀를 둔 어머니들의 양육에 대한 기대감.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6(12), 153-162.

황지애, 김성재, 김규수. (2016). 영아기 첫 자녀를 둔 어머니들의 어머니 됨의 의미. 열린유아교육연구, 21(1), 297-318.

Abarashi, Z., Tahmassian, K., Mazaheri, M. A., Panaghi, L., & Mansoori, N.

- 74 -

(2014). Parental self-efficacy as a determining factor in healthy mother-child interaction: a pilot study in iran. Iranian journal of Psychiatry and Behavioral Sciences, 8(1), 19-25.

Abidin, & Richard(1990). Introduction to the Special issue: The Stresses of Parenting. Journal of Clinical Child Psychology, 19(4), 298-301.

doi:10.1207/s15374424jccp1904_1

Altobelli, L. C(2017). Sharing Histories—a transformative learning/

teaching method to empower community health workers to support health behavior change of mothers. Human Resources for Health, 15(1), 54.

Bandura, A. (1977).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Psychological review, 84(2), 191.

Bartholomew, L. K., Parcel, G. S., Kok, G., & Gottlieb, N. H. (2006). Planning health promotion programs: An intervention mapping approach, 2nd ed. San Francisco, CA, US: Jossey-Bass.

Britto, P. R., Lye, S. J., Proulx, K., Yousafzai, A. K., Matthews, S. G., Vaivada, T., ... & MacMillan, H. (2017). Nurturing care: promoting early childhood development. The Lancet, 389(10064), 91-102.

Cook, R. F., Hersch, R. K., Schlossberg, D., & Leaf, S. L. (2015). A Web-Based Health Promotion Program for Older Workers: Randomized Controlled Trial. J Med Internet Res, 17(3), e82. doi:10.2196 /jmir.3399

Hinyard, L. J., & Kreuter, M. W. (2007). Using narrative communication as a tool for health behavior change: a conceptual, theoretical, and empirical overview. Health Education & Behavior, 34(5), 777-792.

Huffman, K. M., Pieper, C. F., Hall, K. S., St Clair, E. W., & Kraus, W. E.

- 75 -

(2015). Self-efficacy for exercise, more than disease-related factors, is associated with objectively assessed exercise time and sedentary behaviour in rheumatoid arthritis. Scand J Rheumatol, 44(2), 106-110. doi:10.3109/03009742.2014.931456

Kok, G., Peters, L. W., & Ruiter, R. A. (2017). Planning theory-and evidence-based behavior change interventions: a conceptual review of the intervention mapping protocol. Psicologia: Reflexão e Crítica, 30.

Lederman, R. P., Weingarten, C. G., & Lederman, E. (1981). Postpartum self-evaluation questionnaire: measures of maternal adaptation.

Birth Defects Orig Artic Ser, 17(6), 201-231.

Lynn, M. R. (1986). Determination and quantification of content validity.

Nurs Res, 35(6), 382-385.

Marszalek, J., Price, L. L., Harvey, W. F., Driban, J. B., & Wang, C. (2017).

Outcome Expectations and Osteoarthritis: Association of Perceived Benefits of Exercise With Self-Efficacy and Depression. Arthritis Care Res (Hoboken), 69(4), 491-498. doi:10.1002/acr.22969 Mercer. (2004). Becoming a mother versus maternal role attainment.

Journal of nursing scholarship, 36(3), 226-232.

Min-Hyang Park, H.-S. H. (2014). The Effect of Mother's Health Promoting Behavior for Infants and Toddlers on Parenting Burnout.

한국비교정부학보, 18(3), 287-308.

Parker S, Z. L. (1985). The maternal confidence questionnaire. . Boston:

Boston City Hospital. .

Pokorski, M., & Suchorzynska, A. (2018). Psychobehavioral Effects of Meditation. Adv Exp Med Biol, 1023, 85-91. doi:10.1007/5584

- 76 - _2017_52

Schank, R. C., & Berman, T. R. (2002). The pervasive role of stories in knowledge and action. In Narrative impact: Social and cognitive foundations. (pp. 287-313). Mahwah, NJ, US: Lawrence Erlbaum Associates Publishers.

Sharp, E. A., & Ganong, L. (2007). Living in the gray: Women's experiences of missing the marital transition.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69(3), 831-844. doi:10.1111/j.1741-3737.2007.00408.x

- 77 -

부 록

- 78 -

부록 1. 설문지

[대상자 일반적 특성]

다음은 귀하(부모)의 일반적인 특성에 관한 질문입니다. 문항을 읽고 해 당하는 곳에 V표를 하거나 직접 기록하여 주십시오.

1. 귀하의 연령은 몇 세 입니까? 만_____________세

2. 계획된 임신으로 아이를 출산하셨나요? 예( ) 아니오( )

3. 귀하의 최종 학력은 무엇입니까?

① 초등학교 이하( ) ② 중졸( ) ③ 고졸( )

④ 전문대졸( ) ⑤ 4년제 대학졸( ) ⑥ 대학원졸 이상 ( )

4. 귀하께서는 직장에 다니고 계십니까?

① 네 (직업이 무엇입니까? ) ② 아니요( )

① 농업/임업/축산업 ② 자영업 ③ 서비스·생산직 ④ 기능·숙련공

⑤ 일반·작업직 ⑥ 사무·기술직 ⑦ 경영·관리직 ⑧ 전문직 ⑨ 전업주부

⑩ 학생 ⑪ 무직

5. 영아의 건강증진을 위한 프로그램 교육을 받아본 적이 있습니까?

① 예(몇 번 받아보셨나요? ) ② 아니오( )

6. 귀하의 현재 경제적 수입은 얼마입니까?

① 400만원 이하( ) ② 401만원 이상( )

7. 귀하는 영아건강증진에 관련된 정보를 어디에서 얻습니까?

①의료인(의사, 간호사) ( ) ② 약사( ) ③ 주변인물( )

- 79 -

④책( ) ⑤ 인터넷( ) ⑥텔레비전( ) ⑦기타( ) 8. 어머니는 현재 자신이 건강하다고 생각하십니까?

① 매우 건강하다( ) ② 대체로 건강하다( ) ③보통이다( )

④대체로 건강하지 못하다( ) ⑤매우 건강하지 못하다( ) 9. 어머니는 현재 결혼생활에 대해 만족하십니까?

① 예( ) ② 아니오( )

10. 현재 어머니에게 가장 도움이 되시는 분은 누구라고 생각합니까?

① 배우자( )

② 비슷한 상황의 친구( )

③ 친정 부모님( )

④ 시부모님( )

⑤ 의료인(의사, 간호사)( )

- 80 -

다음은 자녀의 일반적인 특성에 관한 질문입니다. 문항을 읽고 해당하는 곳에 V표를 하거나 직접 기록하여 주십시오.

1. 아동의 생년월일은? _________년 ______월 _______일

2. 아동의 성별은? 여아( ) 남아( )

3. 최근 3개월 이내에 자녀가 아픈 상황으로 병원을 방문한 적이 있습 니까?

① 예(몇 번 있었나요? ) ② 아니오( )

4. 자녀가 현재 건강하다고 생각하십니까?

①매우 건강하다( ) ②대체로 건강하다( ) ③보통이다( )

④대체로 건강하지 못하다( ) ⑤매우 건강하지 못하다( )

- 81 - 다음은 영아건강증진 지식에 관한 문항입니다.

각 문항을 읽고 가장 옳다고 생각하는 칸에 Ⅴ표를 해주십시오.

질문내용 그렇다 아니다

모르겠다 1 아이들은 말의 올바른 사용법을 알려줘도 얼마

동안은 종종 틀린 말을 계속 사용할 것이다.

2 아이들은 자기가 말할 수 있는 단어들만 이해한다.

3 아이가 낯선 상황에서 수줍어하거나 칭얼댄다면 이는 대개 정서적으로 어떤 문제가 있는

것이다.

4 아이를 양육하는 방식은 그 아이의 지능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5 아기가 아주 어린 경우, 부모가 아이를 돌보는 방식은 아기로부터 영향을 거의 받지 않는다.

6 동생이 태어나면 아이들은 밤에 오줌을 싸거나 손가락을 빨기도 한다.

7 대부분의 미숙아들은 결국에는 학대 받거나 방치되거나 정신적으로 발달이 지체된다. ※ 미숙아는 체중이 2.5kg이 못된 채 태어난 아이와 임신 37주 이전에 태어난 조산아를 통칭함.

8 건강한 아기라 하더라도 새로운 음식에 익숙해 질 때까지는 대개 그 음식을 뱉어내기도 한다.

9 아기의 성격 또는 기질은 생후 6개월이면 결정되고, 그 이후에는 잘 변하지 않는다.

10 아이들의 모든 언어는 어른들이 말하는 것을 듣고 따라함으로써 습득된다.

11 부모가 아기에게 생후 첫 몇 개월 동안 반응하는 방식은 이후 아기가 행복하고 잘 적응된 아이로 성장할 것인가, 아니면 우울하고 부적응적인 아기로 성장할 것인가를

결정짓는다.

12 소음이 심하거나 볼거리가 너무 많으면 아기는 자기 주변 상황에 집중하지 못한다.

13 정상적인 아이 중에도 몇몇 아이들은 안기는 것을 좋아하지 않는다.

14 엄마의 정서적지지는 영아의 정서적 발달에만 영향을 미친다.

15 체온을 유지하는데 두꺼운 옷을 입히는 것보다

- 82 -

질문내용 그렇다 아니다

모르겠다 얇고 바람이 잘 통하는 옷을 겹쳐 입히는 것이

더 좋다.

16 영아는 충치가 잘 발생하지 않으므로 치아관리를 할 필요가 없다.

17 영아가 우유를 먹다가 갑자기 캑캑거리며 숨을 쉬지 못할 때는 무릎 위에 영아를 거꾸로 눕히고 등을 쳐준다.

18 영아의 수면시간은 낮이든 밤이든 시간과는 상관없이 8시간만 자면 성장발달에 지장이 없다.

19 영아의 적절한 영양 공급을 위해서는 하루에 한 번 또는 두번의 간식을 먹이는 것이 중요하다.

20 수족구는 바이러스가 원인이며, 전염성이 무척 강한

법정전염병이다.

- 83 -

다음은 어머니 역할수행 자신감에 대한 질문입니다. 평소 생각에 해당하는 부분을 V 표 해주십시오.

No. 문 항 매우

그렇다

자주 그렇다

약간 그렇다

대체로 그렇지 않다

전혀 그렇지

않다 1 나는 우리 아기가 놀아주기 원하는

때를 안다

2 나는 다른 사람 누구보다도 우리 아기 돌보는 법을 더 잘 안다.

3 나는 우리 아기가 보채는 이유를 안다.

4 나는 우리 아기가 피곤해서 잠자야 할 때를 안다.

5 나는 우리 아기를 즐겁게 하는 법을 안다.

6 나는 우리 아기를 목욕시킬 수 있다.

7 나는 우리 아기에게 정확하게 수유할 수 있다.

8 나는 우리 아기를 정확하게 안을 수 있다.

9 나는 우리 아기가 아픈 것을 알 수 있다.

10 나는 우리 아기 돌보는 것에 좌절감을 느낀다.

11 나는 다른 엄마들에게 아기 돌보는 법을 잘 가르칠 수 있다.

12 나는 부모가 된다는 것은 요구는 많으나 보상은 없다.

13 나는 좋은 부모가 되는데 필요한 모든 기술을 가지고 있다.

14 나는 부모로서의 역할에

만족한다.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80-107)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