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태국어의 유형성조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태국어의 유형성조"

Copied!
67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정 환 승

태국어통번역학과 교수

제 2주차 태국어의 성조

(2)

우리가 비록 늦게 만났다 할지라도 만나지 못한 것보다는 낫지 아니한가

(3)

제 1 교 시

태국어의 유형성조

(4)

성조

타이문자는 문자 위에 성조를 표시하는 유형성조와 자모음

결합관계로 나타나는 무형 성조가 있어

쓰여진대로 읽으면 성조가 실제로 말할 때의 성조와 일치함

(5)

성조

태국어는 성조어로 낱말의 형태는 같더라도 음의 높이에 따라 의미가 달라짐

เขา [그]

เข่า [무릎]

เข ้า [들어가다]

(6)

성조

ขาว [희다]

ข่าว [뉴스]

ข ้าว [밥]

(7)

태국어의 성조

소리의 높이가 일정한 성조 1성

소리의 높이가 낮은 곳에서 일정한 성조 부호 \ 사용

(8)

태국어의 성조

소리의 높이가 일정한 성조 평성

소리의 높이가 중간에서 일정한 성조

부호 ─ 사용

(9)

태국어의 성조

소리의 높이가 일정한 성조 3성

소리의 높이가 높은 곳에서 일정한 성조 부호 / 사용

(10)

태국어의 성조

소리의 높이가 일정하지 않은 성조 2성

소리의 높이가 높아졌 다가 낮아지는 성조 부호 ^ 사용

(11)

태국어의 성조

소리의 높이가 일정하지 않은 성조 4성

소리의 높이가 낮아졌 다가 높아지는 성조 부호 ˇ 사용

(12)

성조 그래프

(13)

자음의 분류

성조와 관련하여 태국어 자음 분류 중자음 9자

ก จ ด ต ฎ ฏ บ ป อ

고자음 11자

ข ฃ ฉ ฐ ถ ผ ฝ ศ ษ

ส ห

(14)

자음의 분류

성조와 관련하여 태국어 자음 분류 저자음 24자

ค ฅ ฆ ง ช ซ ฌ ญ

ฑ ฒ ณ ท ธ น พ ฟ

ภ ม ย ร ล ว ฬ ฮ

(15)

홀음 자음과 짝음 자음

중자

고자음 짝음 저자음

홀음 저자음

ด ต ฎ ฏ บ ป

ข ฃ ผ ฝ

ค ฅ ฆ ช ซ ฌ ฑ ฒ ท ธ พ ฟ ภ

ศ ษ ส ห ฮ ย ร ล ว

(16)

생음과 사음

성조와 관련하여 태국어의 음절을 생음과 사음으로 구분

생음과 사음의 구분은 무형성조와 깊은 관련

(17)

생음과 사음 생음

어두자음과 장모음 그리고 성조로 구성

กา

[까]

ดี

[디]

อู

[우]

โฮ

[호]

(18)

생음과 사음 생음

어두자음과 모음 그리고 어말자음이 /-m/, /-n/, /-ng/등의 비음이거나 또는 /-j/, /-w/등의 반모음이 옴

กัม

[깜]

ดัน

[단]

วัง

[왕]

กาย

[까이]

ดาว

[다우]

(19)

생음과 사음 사음

어두자음과 어말자음 없이 단모음으로 구성

ปะ

[빠]

สิ

[씨]

ดุ

[두]

โนะ

[노]

(20)

생음과 사음 사음

어두자음과 단모음 또는 장모음 그리고 어말자음이 /-k/, /-t/, /-p/등의 폐쇄음 이 옴

ซัก

[싹]

กาก

[깍]

กด

[꼿]

ขูด

[쿳]

พบ

[폽]

โอบ

[옵]

(21)

성조 부호

(22)

성조 부호

(23)

성조 부호

(24)

성조 부호

(25)

고자음의 유형성조

1성부호와 2성부호만 사용

1성부호가 사용되면 1성으로 발음 2성부호가 사용되면 2성으로 발음

ถั่ว

[투아]

สี่

[씨]

ข ้าม

[캄]

건너다

ให ้

[하이]

주다

(26)

중자음의 유형성조

4개의 성조부호 모두가 올 수 있음 사용되는 성조부호와 실제의

성조가 동일하게 발음

กว่า

[꽈]

~보다

กว ้าง

[꽝]

넓다

โจ๊ก

[쪽]

แจ๋ว

[째우]

맑고 깨끗하다

(27)

저자음의 유형성조

1성부호와 2성부호 사용

1성부호가 사용되면 2성으로 발음 2성부호가 사용되면 3성으로 발음

ค่า

[카]

값어치

โซ่

[쏘]

쇠사슬

ซื้อ

[쓰]

사다

ล ้าง

[랑]

씻다

(28)

1성

유형성조 연습

จั่น

[짠]

ปั่น

[빤]

ดั่น

[단] บั่น

[반]

จ่า

[짜]

ฉ่า

[차]

บ่า

[바]

ป่า

[빠]

(29)

1성

유형성조 연습

จ ่า

[짬]

ฉ ่า

[참]

บ ่า

[밤]

ป ่า

[빰]

เจ่า

[짜우]

อ่าว

[아우]

ผ่า

[파]

เป่า

[빠우]

(30)

2성

유형성조 연습

จ ้า

[짜]

ช่า

[차]

บ ้า

[바]

ป้า

[빠]

จี้

[찌]

ซ่า

[싸]

บี้

[비]

ปี้

[삐]

(31)

2성

유형성조 연습

จ ้า

[짬]

ล ่า

[람]

บ ้า

[밤]

ป ้า

[빰]

เจ ้า

[짜우]

เร่า

[라우]

เบ ้า

[바우]

เป้า

[빠우]

(32)

3성

유형성조 연습

กั๊น

[깐]

ง ้า

[응아]

ปั๊น

[빤]

น ้า

[나]

ค ้า

[카]

จั๊น

[짠]

ป๊า

[빠]

ด๊า

[다]

(33)

3성

กั๊น

[깐]

ง ้า

[응아]

ปั๊น

[빤]

น ้า

[나]

ค ้า

[카]

จั๊น

[짠]

ป๊า

[빠]

ด๊า

[다]

유형성조 연

(34)

유형성조 정리

1성부호 2성부호 3성부호 4성부호

고자음 1성 2성

중자음 1성 2성 3성 4성

저자음 2성 3성

(35)

제 2 교 시

태국어의 무형성조

(36)

고자음의 성조

고자음 + 생음 = 4성 1 고자음 + 장모음

2 고자음 + 장모음 + 비음/반모음 3 고자음 + 단모음 + 비음/반모음

(37)

고자음의 4성 성조

1 고자음 + 장모음

ขา

[카]

다리

หา

[하]

찾다

ฝา

[퐈]

덮개 고자음 + 생음 = 4성

(38)

고자음의 4성 성조

2 고자음 + 장모음 + 비음/반모음 고자음 + 생음 = 4성

ผอม

[펌]

홀쭉하다

สอน

[썬]

가르치다

หาง

[항]

꼬리

(39)

고자음의 4성 성조

3 고자음 + 단모음 + 비음/반모음 고자음 + 생음 = 4성

หัน

[한]

향하다

ฝัง

[퐝]

묻다

สงสัย

[쏭싸이]

의심하다

(40)

고자음 + 사음 = 1성

1 고자음 + 장모음 + 폐쇄음 2 고자음 + 단모음 + 폐쇄음 3 고자음 + 단모음

고자음의 성조

(41)

고자음 + 사음 = 1성

1 고자음 + 장모음 + 폐쇄음

หาบ

[합]

(짐을)메다

ขูด

[쿳]

긁어내다

ฝาก

[퐉]

맡기다 고자음의 1성 성조

(42)

고자음 + 사음 = 1성

2 고자음 + 단모음 + 폐쇄음

หัก

[학]

부러지다

ผัก

[팍]

채소

ขับ

[캅]

운전하다 고자음의 1성 성조

(43)

고자음 + 사음 = 1성 3 고자음 + 단모음

สุ

[쑤]

과숙하다

ผุ

[푸]

낡다

สิ

[씨]

어조사 고자음의 1성 성조

(44)

중자음 + 생음 = 평성 1 중자음 + 장모음

2 중자음 + 장모음 + 비음/반모음 3 중자음 + 단모음 + 비음/반모음 중자음의 성조

(45)

중자음 + 생음 = 평성 1 중자음 + 장모음

กา

[까]

까마귀

ตา

[따]

외조부

อา

[아]

삼촌 중자음의 평성 성조

(46)

중자음 + 생음 = 평성

2 중자음 + 장모음 + 비음/반모음

ตาม

[땀]

~을 따라

บาน

[반]

피다

กาย

[까이]

몸 중자음의 평성 성조

(47)

중자음의 평성 성조

중자음 + 생음 = 평성

3 중자음 + 단모음 + 비음/반모음

ใจ

[짜이]

마음

ดัน

[단]

누르다

กัน

[깐]

막다

(48)

중자음 + 사음 = 1성

1 중자음 + 장모음 + 폐쇄음 2 중자음 + 단모음 + 폐쇄음 3 중자음 + 단모음

중자음의 1성 성조

(49)

중자음 + 사음 = 1성

1 중자음 + 장모음 + 폐쇄음 중자음의 1성 성조

กาก

[깍]

찌꺼기

ดูด

[둣]

빨아들이다

จอด

[쩟]

주차하다

(50)

중자음 + 사음 = 1성

2 중자음 + 단모음 + 폐쇄음 중자음의 1성 성조

ดับ

[답]

끄다

ตัก

[딱]

무릎

จัด

[짯]

정리하다

(51)

중자음 + 사음 = 1성 3 중자음 + 단모음 중자음의 1성 성조

ดุ

[두]

꾸짖다

จะ

[짜]

미래

ปะ

[빠]

붙이다

(52)

저자음 + 생음 = 평성 1 저자음 + 장모음

2 저자음 + 장모음 + 비음/반모음 3 저자음 + 단모음 + 비음/반모음 저자음의 성조

(53)

저자음 + 생음 = 평성 1 저자음 + 장모음 저자음의 평성 성조

นา

[나]

รู

[루]

구멍

คอ

[커]

(54)

저자음 + 생음 = 평성

2 저자음 + 장모음 + 비음/반모음 저자음의 평성 성조

คอย

[커이]

기다리다

โมง

[몽]

ยาว

[야우]

길다

(55)

저자음 + 생음 = 평성

3 저자음 + 단모음 + 비음/반모음 저자음의 평성 성조

ยัง

[양]

아직

วัน

[완]

ลม

[롬]

바람

(56)

저자음 + 장모음 + 폐쇄음 = 2성 저자음의 2성 성조

คาบ

[캅]

물다

ซาก

[싹]

시체, 흔적

รอบ

[럽]

주위

(57)

저자음 + 단모음

นะ

[나]

[어조]

แยะ

[얘]

많다

มิ

[미]

부정 저자음의 3성 성조

(58)

저자음 + 단모음 + 폐쇄음

คัด

[캇]

뽑다

คบ

[콥]

사귀다

นัด

[낫]

약속하다 저자음의 3성 성조

(59)

무형성조 정리

자음종류 음절의 종류 성조

고자음 생음 4성

사음 1성

중자음 생음 평성

사음 1성

저자음

생음 평성

장모음+폐쇄음 2성

단모음+폐쇄음 3성

(60)

ห[허힙]에 의한 고자음화

ห 이 홀음 저자음 앞에 오면 홀음 저자음은 고자음화 되고 ห 은 발음되지 않음

หงาย [응아이]

หนู [누]

หลวง [루앙]

(61)

ห[허힙]에 의한 고자음화

หญิง [잉]

หย่า [야]

แหวน [왠]

(62)

일반 고자음에 의한 고자음화

ห 이 아닌 다른 고자음이 홀음 저자음 앞에 오면 홀음 저자음은 고자음화 됨 앞에 있는 고자음은 무형모음 [_ะ]와 결합하여 첫음절을 이룸

ขนุน [카눈]

สง่า [싸응아]

(63)

일반 고자음에 의한 고자음화

สลวย [싸루아이]

เสมอ [싸므어]

ขยัน [카얀]

ขยะ [카야]

(64)

อ[어앙]에 의한 중자음화

อ 이 홀음 저자음 앞에 오면 홀음 저자음은 중자음화 되고 อ은 발음되지 않음

อยู่ [유]

อย่าง [양]

อย่า [야]

อยาก [약]

(65)

일반 중자음에 의한 중자음화

อ 이 아닌 다른 중자음이 홀음 저자음 앞에 오면 홀음 저자음은 중자음화 됨 앞에 있는 중자음은 무형모음 [_ะ]와 결합하여 첫음절을 이룸

(66)

일반 중자음에 의한 중자음화

จมูก [짜묵]

ตลาด [딸랏]

จรวด [짜루앗]

ตลก [딸록]

(67)

감사합니다

참조

관련 문서

우리가 어떻게 에너지를 사용하는지에 대한 것입니다.. 우리가 왜 에너지를

따라서 시중에 나와 있는 모든 교과서를 분석하는 것보다는 교육과정 자 체를 분석하는 것이 좋다..

식물원은 식물의 연구나 식물에 관한 지식을 보급하기 위해 많은 종류의 식물을 모아 기르는 곳입니다.. 또한 공원이나 유원지 등과 같이

• 태국어의 강세는 영어에서의 강세와는 달리 두드러지게 나타 나는 것은 아니며 단지 단어 내에서 한 음절이 다른 음절보다 상대적으로 강하게 발음되는 것을

• 따라서 태국어의 일반 합성어는 단순어와 같이 하나의 단위로 다루어지므로 자율성과 이동 가능성 그리고 분리 불가능성의 성격을 갖게 된다... 따라서 합성

• 이러한 태국어의 특성에 따라 본 장에서의 태국어 문장론은 문장 분 석에 있어서 문장의 구성성분의 위치와 기능을 중요한 기준으로 삼 는

• 태국어의 단어 부류에 대해서 알아보고 문장의 형태와 구조를 분석해보기로 한다.. • 또 문장을 이루는 구와 절의

중재판정이 비록 국내에서 내려졌다고 할지라도 중재판정에 적용 된 준거법이 외국중재판정이라고 보는 국가에서는 이같은 중재판 정에도 뉴욕협약을 적용할 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