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운율론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운율론"

Copied!
44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정 환 승

태국어통번역학과 교수

제 4주차 운율론

(2)

운율론

• 언어는 음성의 연쇄체이다.

• 음성연쇄체의 분할음이 결합되면서 동시적으로 실현되는 음의 높이 (amplitude), 세기(stress), 길이(length)가 한 언어 체계내에서 의 사전달에 유의미한 기능을 가질 때 이 단위들을 운율소(prosodeme) 라 하고 이를 연구하는 분야를 운율론(prosody)이라 한다.

• 태국어에서 음의 높이는 성조와 억양으로 작용하며 세기와 길이 등 도 중요한 운율소로 기능한다.

• 이러한 운율소는 음절이나 단어 등에서 뿐만 아니라 통사구와 문장 전체의 문법구조나 의미를 드러내 주는 데 관여하기도 한다.

(3)

1. 성조

• 음의 높이는 발음할 때 근육의 긴장도가 높아지 면서 일어나는 현상으로 음향적으로 주파수가 많아지면 높은 음으로 들리고 주파수가 낮아지 면 낮은 음으로 들린다.

• 이러한 음성의 높낮이의 변조가 음절 단위에서 일어나 단어의 뜻을 분화시키는 것이 성조(tone) 이다.

(4)

(1) 평성

• 태국어의 평성은 C(C)VV 또는 C(C)V(V)N의 음절구조에서 나타난다.

• 그러나 어두자음과 단모음 또는 장모음 그리

고 어말자음이 폐쇄음인 C(C)V(V)S의 음절

구조에서는 나타나지 않는다.

(5)

1) 어두자음과 장모음으로 구성된 C(C)VV의 음 절구조에서 나타난다.

• โก [ko:]

• แล [lae] 보다

• ตา [ta:]

• รู [ru:] 구멍

(6)

2) 어두자음과 단모음 또는 장모음 그리고 어말자 음이 반모음이나 비음으로 오는 C(C)V(V)N의 음 절구조에서 나타난다.

• เป็น [pen] ~이다

• โยม [jo:m] 시주

• ด า [dam] 검다

• กาง [ka:ng] (우산) 펴다

(7)

(2) 1성

• 태국어의 1성은 C(C)V(V)S 또는 C(C)VV 의 음절구조에서 나타난다.

(8)

1) 어두자음과 단모음 또는 장모음 그리고 어말자 음이 폐쇄음인 C(C)V(V)S 의 음절구조에서 나타 난다.

• แกะ [kae:]

• เกือบ [keuap] 거의

• สาด [sa:t] 내던지다

• กลับ [klap] 뒤집다

(9)

2) 어두자음과 장모음으로 구성된 C(C)VV의 음 절구조에서 나타난다.

• แผ่ [phae:] 확산하다

• เตร่ [tre:] 싸다니다

• ห่อ [heo:] 포장하다

• ขู่ [khu:] 위협하다

(10)

3) 어두자음과 단모음 또는 장모음 그리고 어말자 음이 반모음이나 비음으로 오는 C(C)V(V)N의 음 절구조에서 나타난다.

• ส่วน [suan] 부분

• ป่วย [puaj] 아프다

• ห่วง [huang] 걱정하다

• ฝุ่น [fun] 먼지

(11)

(3) 2성

• 태국어의 2성은 C(C)VV 이나 C(C)V(V)N 또는 C(C)VVS 의 음절구조에서 나타난다.

(12)

1) 어두자음과 장모음으로 구성된 C(C)VV의 음 절구조에서 나타난다.

• ฆ่า [kha:] 죽이다

• กู้ [ku:] 꾸다

• พ่อ [pheo:] 아버지

• แพร่ [prae:] 퍼지다

(13)

2) 어두자음과 단모음 또는 장모음 그리고 어말자음이 반 모음이나 비음으로 오는 C(C)V(V)N의 음절구조에서 나타 난다.

• ช่าง [cha:ng] 기술자

• สั้น [san] 짧다

• พรุ่ง [prung] 내일

• ช่วย [chuaj] 돕다

(14)

3) 어두자음과 단모음 또는 장모음 그리고 어말자 음이 폐쇄음으로 오는 C(C)VV S 의 음절구조에 서 나타난다.

• ชาติ [cha:t] 국가

• คาด [kha:t] 예측하다

• พลาด[pla:t] 놓치다

• ญาติ [ja:t] 친척

(15)

* 어두자음과 단모음 그리고 어말자음이 폐쇄음으로 나 타나는 C(C)V S의 음절구조에서 2성으로 발음되는 단 어는 거개가 의성어이거나 차용어이다.

• คึ่กคั่ก [kheuk-khak] 휭휭, 쌩쌩

• พลั่ก [plak] 콸콸, 부글부글

(16)

(4) 3성

• 태 국 어 의 3 성 은 C(C)VS 이 나 또 는 C(C)VV S 또는 C(C)VV의 음절구조에서 나타난다.

(17)

1) 어두자음과 단모음 그리고 어말자음이 폐쇄음 인 C(C)VS 의 음절구조에서 나타난다.

• พลิก [plik] 뒤집다

• ลึก [leuk] 깊다

• ยึด [jeut] 꽉 붙잡다

• คุก [khuk] 감옥

(18)

*어두자음과 단모음 또는 장모음 그리고 어말자 음이 폐쇄음인 C(C)VV S 의 음절구조에서 3성으 로 발음되는 단어는 모두 차용어이다.

• เชิ้ต [cheuo:t] 셔츠

• โน้ต [no:t] 노트

• กราฟ [kra:p] 그래프

(19)

2) 어두자음과 장모음으로 구성된 C(C)VV의 음 절구조에서 나타난다.

• ค้า [kha:] 장사하다

• พร้า [pra:]

• ช้า [cha:] 느리다

• น้า [na:] 이모

(20)

3) 어두자음과 단모음 또는 장모음 그리고 어말자 음이 반모음이나 비음으로 오는 C(C)V(V)N의 음 절구조에서 나타난다.

• ครั้ง [khrang] 번, 회

• ล้าง [la:ng] 씻다

• ชิ้น [chin] 조각

• เคี้ยว [khia:w] 씹다

(21)

(5) 4성

• 태국어의 4성은 C(C)VV 또는 C(C)V(V)N 의 음절구조에서 나타난다.

(22)

1) 어두자음과 장모음으로 구성된 C(C)VV의 음 절구조에서 나타난다.

• ถือ [theu:] 들다

• แผล [phlae:] 상처

• ขอ [kheo:] 요구하다

• หู [hu:]

(23)

2) 어두자음과 단모음 또는 장모음 그리고 어말자 음이 반모음이나 비음으로 오는 C(C)V(V)N의 음 절구조에서 나타난다.

• สอน [seo:n] 가르치다

• ขวาง [kwa:ng] 가로막다

• ฉวย [chuaj] 나꿔채다

• สิน [sin] 재산

(24)

2. 강세

• 음성의 세기는 날숨의 증가로 인해 생겨난다.

• 음향적으로 소리의 진폭(amplitude)이 크면 귀에 더 돋들리게 되며 진폭이 약하면 상대적으로 약하게 들린다.

• 이러한 음성의 세기를 강세(stress)라고 한다.

• 태국어의 강세는 영어에서의 강세와는 달리 두드러지게 나타 나는 것은 아니며 단지 단어 내에서 한 음절이 다른 음절보다 상대적으로 강하게 발음되는 것을 말한다.

(25)

• 태국어의 2음절로 된 단어는 진성 2음절어와 의 사 2음절어로 나눌 수 있다.

• 이러한 단어에서의 강세는 대개 끝음절에 있다.

(26)

(1) 진성 2음절어

• 음절구조가 다른 두 음절로 이루어져 서로 강세 가 다르다.

• 진성 2음절어의 첫음절은 어두자음과 단모음으 로 구성되며 대개는 어말자음이 오지 않는다.

• 이때 어두자음이 자음군으로 나타나는 경우에 뒷자음은 만이 올 수 있다.

(27)

• 그리고 대부분 1성의 성조를 갖게 되고 약하게 발음된다.

• 반면에 끝음절은 어두자음과 모음으로 구성되며 어말자음이 올 수도 있다.

• 그리고 성조는 평성에서 부터 4성까지 모두 나타날 수 있으며 강세는 첫음절보다 상대적으로 강하게 발음된다.

• 따라서 진성 2음절어에서 첫음절보다 끝음절에 강세가 오게 되는데 이러한 원칙은 태국어 전반에 걸쳐 적용된다.

(28)

ตะกร้า [takra:]

바구니

• ประชุม [prachum]

회의

(29)

*팔리어와 산스크리트 계통의 진성 2음절어

• 순수 태국어에서 진성 2음절어의 첫음절에는 모음 이 /a/ 만 올 수 있지만 팔리어와 산스크리트어 계 통의 외래어에서는 /i/, /u/ 도 올 수 가 있다.

• 또 순수 태국어에서 첫음절의 성조는 대개 1성이 지만 팔리어와 산스크리트어 계통의 외래어에서는 1성과 3성의 성조가 모두 나타날 수 있다.

(30)

• สุเมธ [sume:t]

영특한

• วิชา [wicha:]

과목

(31)

(2) 의사 2음절어

• 단음절어의 음절과 서로 구조가 같은 두 개의 음절로 구성되 어 있으며 각 음절은 자립형태소일 수도 있고 의존형태소일 수도 있다.

• 의사 2음절어는 두 음절 모두가 각기 단음절어의 음절과 동일 한 구조를 가지고 있지만 첫음절 보다 끝음절을 강하게 발음 한다.

• 따라서 의사 2음절어의 강세도 진성 2음절어의 강세와 같은 형태를 띠게 된다.

(32)

• รองเท้า [reo:ngta:w]

신발

• คนสวย [khonsuaj]

미인

(33)

(3) 3음절 이상으로 이루어진 단어

• 음절수가 3음절 이상으로 구성된 단어는 끝음절에 강세를 둔다.

(34)

• รองเท้าแตะ [reo:ngtawtae]

슬리퍼

• ผู้จัดการ [phu:catka:n]

매니저

(35)

*중간음절은 경우에 따라서 강세가 있을 수도 있고 없을 수도 있다. 강세가 없는 음절이 연속될 경우

에는 발음되지 않고 묵음화 되는 경우가 있다.

• เพชรบุรี [phetchaburi] → [phetburi] 펫부리주

(36)

* 강세가 없는 중간음절이 경우에 따라서 삭제 될 수도 있다.

• โรงพยาบาล [ro:ngpyaba:n] → [ro:ngba:n] 병원

• มหาวิทยาลัย [maha:witya:laj] → [maha:laj] 대학교

(37)

(4) 강세와 문장의 의미

• 강세는 주로 단어 차원에서 작용하지만 그 것이 문장과 관련하여 문장의 의미를 달라 지게 하는 경우도 있다.

(38)

• กาแฟเย็นหมดแล้ว 냉커피가 다 떨어졌습니다.

• กาแฟเย็นหมดแล้ว 커피가 다 식었습니다.

• หย่ากันดีกว่า 이혼하는 것이 낫다.

• อย่ากันดีกว่า 가로막지 마라.

• ข้าวเหนียว 밥이 질다.

• ข้าวเหนียว 찹쌀밥

(39)

• ผมเป็นคนใช้ของเขา 내가 그의 물건을 썼다.

• ผมเป็นคนใช้ของเขา 나는 그의 하인이다.

• แกงจืด 국이 싱겁다.

• แกงจืด (맛이 싱거운)국의 일종

• น ้ามันไม่มี 기름이 없다.

• น ้ามันไม่มี 물이 없다.

(40)

• ไก่ตายหมดแล้ว 죽은 닭은 다 떨어졌다.

• ไก่ตายหมดแล้ว 닭이 모두 죽었다.

• แป้งเปียกหมด 아교가 다 떨어졌다.

• แป้งเปียกหมด 가루가 다 젖었다.

(41)

3. 휴지

• 휴지(pause)란 언어음성의 발화 중에 잠시 멈 추는 부분을 말한다.

• 이러한 휴지는 문장의 발화에 있어 리듬을 만 들어낸다.

• 태국어에서 휴지는 문장의 의미를 달라지게

할 수 있다.

(42)

• รถบรรทุกของ + ไปตลาด 화물차가 시장에 갔다.

• รถ + บรรทุกของไปตลาด 차가 물건을 싣고 시장에 갔다.

• อย่าร้องไห้ + คนได้ยิน 울지 마라! 사람들이 듣는다.

• อย่าร้อง + ให้คนได้ยิน 다른 사람에게 들리게 노래하지 마라.

• ลูก + น้องไปไหน 얘야! 동생은 어디 갔니?

• ลูกน้อง + ไปไหน 부하 직원 어디 갔어?

(43)

• ข้าวเหนียว + ด้าหมดแล้ว 찹쌀이 전부 까맣게 됐어요.

• ข้าวเหนียวด้า + หมดแล้ว 검은 찹쌀이 다 떨어졌어요.

• อาบน ้า + เย็นสบาย 목욕을 하니까 참 시원해요.

• อาบน ้าเย็น + สบาย 찬물에 목욕하니까 개운해요.

• แม่ + หนูกินข้าว 엄마! 저 식사할래요.

• แม่หนู + กินข้าว 어미쥐가 밥을 먹는다.

(44)

• ท้าแผน + ที่ประเทศไทย 태국에서 계획을 짠다.

• ท้าแผนที่ + ประเทศไทย 태국지도를 만든다.

• ดื่มน ้า + ร้อนดี 물을 마시니까 몸이 더워서 좋다.

• ดื่มน ้าร้อน + ดี 뜨거운 물을 마시니까 참 좋다.

• ตากลม + เย็นดี 바람을 쐬니까 시원해서 좋다.

• ตากลมเย็น + ดี 시원한 바람을 쐬니까 좋다.

참조

관련 문서

반면 여름철 야간 시간대의 각 시나리오별 수평 지 표기온 분포를 보면 여름철과 달리 낙동강을 중심으 로 강폭 변화에 대한 기온 변화가 매우 뚜렷하게 나타

따라서 M2M 단말이 멀티캐 스트 그룹 존을 월경하거나 멀티캐스트 그룹 존 내에서 멀티캐스트 그룹 존 식별자 변경 시 M2M 단말은 멀티 캐스트 그룹 존 식별자와 해당 그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