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지속가능한 도시 에너지 시스템으로의 전환 방안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지속가능한 도시 에너지 시스템으로의 전환 방안"

Copied!
11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 파리 COP21 에서 합의된 기후목표 달성을 위한 탄소 배출 감축 목표를 이행하기 위해서는 도시에서의 실천 행동이 중요

ㅇ 파리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1)에서 타결된 합의가 실행된다면 전세계의 에너지시스템을 지속가능한 방향으로 전환 시킬 수 있을 것임

◇ 도시는 탈 탄소화의 중심에 있으며, 지속 가능한 도시를 위한 에 너지 정책 추진은 국가 차원에서뿐만 아니라 세계적으로도 저탄 소 목표를 달성하는데 핵심적인 과제

ㅇ 도시는 1차 에너지 수요의 2/3와 전체 에너지 관련 이산화탄소 배출의 70%를 차지하고 있음

* 2013년 기준으로 도시에는 전세계 인구의 절반 이상이 살고 있으며 도시는 전세계 GDP의 약 80%를 차지

ㅇ 도시에서의 탄소배출은 빌딩과 교통 부문이 상당한 비중을 차 지하는 바, 도시 에너지시스템은 수송 및 빌딩 부문 탈탄소화의 열쇠가 될 것임

◇ 지속가능한 도시 에너지시스템으로의 전환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정책 추진을 위한 정부의 리더십 발휘와 행동이 중요

ㅇ 도시당국의 효과적인 대응능력 확보, 혁신 에너지기술 및 비즈 니스 모델 적용, 검증된 정책 메커니즘 활용, 중앙정부의 참여 와 협조 등이 중요

지속가능한 도시 에너지 시스템으로의 전환 방안

* IEA(국제에너지기구)의 “Energy Technology Perspectives 2016 - Towards Sustainable Urban Energy Systems” 보고서(2016.6.1발간)의 주요 내용을 요약

(2)

1. 필요성

□ COP21합의 이행을 위한 핵심중의 하나는 도시 에너지 전환

ㅇ 제 21차 파리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1)에서 타결된 합의가 이행된다면 지속가능성에 반하는 지금의 전세계 에너지시 스템 경향을 역전시킬 역사적 전환점이 될 수 있음

- COP21은 저탄소기술 보급을 크게 가속화시켰으나, 야심찬 목표에 합당한 구체적인 행동이 수반되어야 함

ㅇ 도시는 탈탄소화의 중심에 있으며, 이를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은 도시 에너지 전환을 위한 각국 정부의 지원

- 각국의 중앙정부와 지방정부가 산업계와 공조하여 도시의 빌딩․

교통 부문의 에너지 효율화를 도모해야 할 것임

□ 지속 가능한 도시 에너지 정책을 추진하는 것이야말로 국가 차원 에서뿐만 아니라 세계적으로도 저탄소 목표 달성의 핵심 요소임 ㅇ 도시 에너지시스템의 잠재성을 발굴하고 이를 기후변화 저감으로

활용해야 함

* 도시에서 활용 가능한 비용대비 효율이 높고 지속가능한 방향으로 에너 지 전환을 위한 대안들이 다양하게 존재하고 있음

2. 탈 탄소화 관련 도시 현황

□ 도시는 1차 에너지 수요의 2/3와 전체 에너지 관련 이산화탄소 배출의 70%를 차지하고 있음

ㅇ 2013년 기준으로 도시에는 전세계 인구의 절반 이상이 살고 있 으며 도시는 전세계 GDP의 약 80%를 차지

(3)

□ 도시에서의 에너지 및 탄소발자국

*

은 도시화 및 도시 경제활동이 더욱 활성화되면서 증가할 것임

* 탄소발자국(carbon footprint)은 어떤 주체가 일상생활 또는 경제활동 과 정에서 얼마나 많은 이산화탄소를 만들어내는지를 양으로 표시한 것 ㅇ 2050년까지 도시인구는 전세계 인구의 2/3 수준까지 증가할 것

이고 세계 GDP에서 도시가 차지하는 비율은 약 85%에 달할 것임 ㅇ 현재의 에너지시스템 추세가 지속되고 6DS 시나리오 하에서 기존

정책이 계속 추진된다면, 2050년 도시의 1차 에너지수요는 2013년 수준보다 약 70% 증가한 620 엑사줄(EJ)에 이르러 전체 에너지 수요의 66%를 차지하게 될 것임

* 줄(Joule) : 에너지 및 일의 단위로 1W의 전력에 의해서 1초간에 하는 일을 1줄이라 하며, 엑사줄(Exa Joule)은 백경(1018)줄

< 도시의 1차 에너지 수요 전망(2013~2050) >

* IEA가 2050년 에너지 미래에 대한 시나리오를 분석한 것으로서, 6°C 시 나리오(6DS)는 세계가 재앙에 가까운 결말로 치닫는 시나리오이며, 2°C 시나리오(2DS)는 온실가스 및 이산화탄소(CO2) 배출이 감소하는 지속가 능한 에너지 시스템으로의 전환 시나리오임

ㅇ 그뿐만 아니라 도시에서 에너지사용에 따른 탄소 배출(전력 및 열 발전으로 인한 직접 배출 포함)은 현재보다 50%가 증가할 것임

(4)

□ 도시에서의 탄소배출은 빌딩과 교통 부문이 상당한 비중을 차지 ㅇ 도시 에너지시스템은 수송 및 빌딩 부문 탈탄소화의 열쇠를 지고

있음

* 2DS 시나리오하에서 도시의 빌딩 및 수송 부문 최종 에너지수요는 2050년을 기준으로 6DS 시나리오 대비 약 60% 감소 가능

< 빌딩과 교통부문의 탄소배출 감축 전망 >

3. 부문별 접근

< 빌딩 부문 >

□ 현황

ㅇ 오늘날 도시의 빌딩은 전체 빌딩 부문에서의 최종 에너지 소비의 약 2/3를 차지함

* 6DS 시나리오에 의하면, 도시 빌딩의 에너지 소비는 2013 년 수준과 비교해 볼 때 70%까지 증가할 것임

ㅇ 최근의 빌딩 에너지 수요는 주로 도시에서의 냉난방 수요가 대부 분을 차지하고 있음

(5)

- 전 세계 빌딩 에너지 소비의 약 40%를 차지하고 있는 실내 난방 과 냉방은 특히 도시 지역의 빌딩 부문에서 행동이 필요한 핵심 분야가 되고 있음

- 특히 신흥 경제국에서 실내 냉방 수요는 상당한 수준의 증가가 예상됨

* 6DS 시나리오의 경우, 2050년까지 실내 냉방 에너지 수요는 OECD 비회원국 국가의 도시에서 5배 이상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특히 인도의 경우 냉방 수요 증가는 25배에 달할 전망

< 전 세계 난방과 냉방 수요 전망 >

□ 빌딩 부문 효율 개선을 위한 주요 고려 사항

ㅇ 고효율 빌딩을 새로 건립하고 기존 빌딩 에너지 효율을 개선하기 위해 대대적인 리노베이션을 추진하며 에너지 효율적인 실내난방 및 냉방 기술 적용

ㅇ 지자체 정책 입안자들은 획기적인 건설환경을 조성하거나 기존의 환경을 획기적으로 개선하는 방향의 접근

(6)

- 지방의 정책 입안자들은 건축 법규를 강화하는 토지이용계획 규제 제도와 효율적인 저탄소 또는 제로 탄소 지역 에너지 망 계획의 수립을 통해 도시 빌딩 부문의 탈탄소화를 장려할 수 있음

ㅇ 빌딩 부문 전체에 영향을 미치는 메커니즘 분석

- 지속 가능한 도시 토지이용계획 체제를 도입하고 지역 계획전문가 의 역량을 강화하여 개별 도시 건물에 영향을 주는 메커니즘 등을 포함한 분석이 필요

ㅇ 정책의 우선순위 파악을 위한 기회, 도전, 상호 절충 사항 등을 충 분히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데이터 수집 및 분석 역량은 매 우 중요

- 지방 정부가 계획을 수립할 때, 빌딩 에너지 측면에서 지속 가능성 을 최대한 실현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청정 에너지 솔루션 간 장단 점에 대한 충분한 이해가 필요

* 지방의 정책 입안자가 리노베이션이 필요한 기존 빌딩군의 리노베이션 패키지를 분석하여 추가적인 수선이 더 이상 비용 효율성을 잃게 되는 한계점을 파악한다면 빌딩 에너지효율 정책 추진에 큰 순기능으로 작용

< 교통 부문 >

□ 현황

ㅇ 도시 내부 및 도시 간 직접적인 승객운송활동과 도시주민들의 상 품수요 충족에 필요한 간접적인 화물운송활동으로 도시는 전세계 이동수요의 가장 큰 동인이 됨

- 2013년 도시에서의 운송 활동은 전체 수송 에너지 사용량 및 수송 연료 생산부터 소비까지 과정에서 발생하는(Well to Wheel) 온실 가스 배출량의 약 40%를 차지

(7)

ㅇ 도시 이외 지역에서의 운송 활동의 상당 부분이 도시 내 기업 및 가계의 원자재 및 제품 수요에서 기인함

□ 교통 부문 효율향상을 위한 주요 점검 항목

ㅇ 운송부문의 2DS 시나리오 목표 달성을 위해서는 개인 교통 수단에 서 대중 교통 수단, 도보 또는 자전거 이용으로의 전환이 필수적

* OECD 국가에 있어 대부분의 도시 이동성은 자가 경상용차로 해결됨

ㅇ 도시 운송 부문의 저탄소화 촉진

- 고연비 및 저탄소 연료는 도시 운송부문 저탄소화에 필수적인 두 가지 핵심요소이며, 이 두 부문은 배출 감소 가능성의 2/3를 차지함

< 도시와 신재생에너지 >

□ 현황 및 여건

ㅇ 도시 지역에 적용할 수 있는 신재생에너지 중에서 지붕형 태양광 발전(PV), 도시고형폐기물(MSW), 오폐수 및 가스는 비용 대비 효 과적이며 도시 내 전기, 냉난방 수요를 충족시키는 데에 적절한 역 할을 수행할 수 있음

- 절대적인 측면에서 도시 고형폐기물, 하수, 폐수가스 활용의 잠재성 은 그다지 높지 않지만, 신재생에너지원은 도시에서 제공하는 폐기 물 및 하수처리 서비스 측면에서 유의미한 비용절감효과 산출 가능

ㅇ 지붕형 태양광발전시스템은 도시의 전기 수요 충족에 기여

(8)

- 지붕형태양광 시스템의 기술적 잠재력은 2DS 시나리오에서 2050 년까지 도시 전기 수요에 있어 최고 32%, 전세계 전체 전기 수요 의 17%를 충족시키는 것이 가능

ㅇ 도시 근교에 위치한 산업 설비에서 발생하는 폐열의 재활용

- 에너지 집약적 산업에서 회수 가능한 중〮고온 산업시설 폐열의 전세 계적 기술적 잠재역량은 2DS 시나리오 하에서 2050년까지 현재의 산업 최종 에너지 사용량의 2%, 도시 빌딩 에너지 사용의 3%에 해당함

* 지역적으로는 산업시설 폐열 잠재역량의 80%가 OECD 비회원국가에 있 기 때문에 개발도상국 도시들은 중요한 기회를 맞고 있음

□ 도시의 신재생 에너지 활용도 제고를 위한 주요 고려 사항

ㅇ 도시 내 분산된 에너지 서비스의 시스템통합

- 에너지 서비스의 통합을 통해 분산된 에너지원과 근교의 신재생에 너지원 보급을 촉진할 수 있으므로 도시 및 국가 차원의 에너지 시스템의 탄력성과 안정성 제고가 가능

ㅇ 산업시설의 폐열 확보를 높이기 위한 정책 프레임워크 개발

- 산업 현장에서 공정 통합 기술을 권장하고 지방 에너지 자원과 도 시의 수요간 매핑을 도모하는 방향으로 정책 접근 필요

< 지능형 도시에너지망 >

□ 현황 및 여건

ㅇ 다양한 신재생에너지와 분산발전(DG)이 특징인 글로벌 시나리오 하에서 지능형 도시에너지 인프라는 2DS 시나리오 달성의 중요한 전제조건

(9)

□ 지능형 도시에너지망 구축을 위한 주요 고려 사항

ㅇ 도시 수준에서 효과적인 시스템 통합을 위해서는 새롭고 혁신적 인 비즈니스 모델이 필요

* “마이크로 그리드 서비스” 모델, 소비자를 생산자 및 “프로슈머”로의 전 환 모델 등을 통해 도시 지역사회의 에너지 비용 절감, 에너지 접근성 확대 및 공급 안전성 제고 등을 도모할 수 있음

ㅇ 중앙과 지방의 협력 필요

- 중앙 정부 및 지방 정부의 정책 입안자들은 정책 시너지를 실현하 고 중앙 정부 및 지방 정부 단계에서 더욱 스마트화된 도시 에너지 망의 혜택이 활용될 수 있도록 협력할 필요

ㅇ 지능형 ICT를 활용하여 도시 에너지망의 스마트화로 전력, 열, 연 료망을 통합

* 지능형도시 에너지망을 통해 전체 비용을 줄이고 국가 차원의 전기 시 스템에 더 많은 유연성을 부여 가능

4. 정책 제언

□ 정책 실천을 위한 리더십 발휘와 실천적 행동

ㅇ 도시 내 에너지 절감 및 탄소 배출 감축 잠재역량의 대부분은 정 책적 실천이 강화되지 않으면 실현되지 못한 채로 남을 것임

ㅇ 비효율적인 에너지 시스템이 고착화되는 것을 막기 위해서는 조 율을 거친 실효성 있는 조기 행동이 필요

* 일단 건설되면, 빌딩, 도로 및 대중 교통 시스템은 수년간 유지되지 때문임

(10)

□ 도시 당국의 효과적인 대응 능력 확보

ㅇ 지역의 에너지 지속 가능성 이슈에 대한 도시당국의 효과적 대응 능력은 국가 차원의 에너지 정책 목표를 달성하는데 있어 기회의 폭이 넓어질 수 있음

ㅇ 최종 사용 수요를 줄이고 탈탄소화 하며 도시 에너지 공급을 촉 진할 수 있는 도시의 역량은 국가 정책의 전략적 전제요인

* 필요시 자치입법권을 확대하는 등 지방정부의 효과적인 지속가능 에너 지 정책 시행 역량을 강화해야 함

ㅇ 도시가 수익을 창출하고 저렴한 비용에 자금을 조달할 수 있는 능력이 강화되면 지속 가능한 에너지 프로그램 수행 및 인프라 건설 프로젝트 수행이 수월함

ㅇ 지역 단위의의 에너지 지속가능성 문제를 해결할 수 있기 위하여 는 도시 행정부의 인적, 법제적, 재정 역량 확보가 필요

* 토지이용 및 교통계획과 같은 전통적인 고유분야에서 조차 도시 행정 부의 역량이 부족한 경우가 많음

□ 혁신 에너지기술 및 비즈니스 모델 적용

ㅇ 도시의 에너지 체제는 혁신적인 에너지 기술이(예, 전기 자동차, 건물 일체형 태양광 등) 실증 단계에서 보급 단계를 지나 상업적 성숙 단계까지 발전하는데 있어 최적의 환경을 제공할 수 있음

ㅇ 기술 확산이 가속화되면 새로운 기회가 창출되고 새로운 비즈니 스 모델에 대한 수요가 발생

ㅇ 중앙 및 지방 정부의 정책에는 이러한 혁신적인 기술 및 비즈니스 모델로 인해 촉진된 변화를 지원할 수 있는 수단들이 많이 존재

(11)

□ 검증된 정책 메커니즘 활용 고려

ㅇ 지방정부는 도시 에너지 지속 가능성을 효과적으로 추진하기 위 한 몇 가지 정책 메커니즘을 활용할 수 있음

* 혁신적인 재정 메커니즘(예: 자산 평가 청정에너지 메커니즘, Property Assessed Clean Energy) 및 거버넌스 방법(예: 지속 가능한 에너지 활 용 모델)

□ 중앙 정부의 참여와 협조

ㅇ 각국의 중앙 정부는 기본 프레임워크와 규제방안을 조합하여 지 역의 에너지 전환을 성공적으로 추진할 수 있음

- 각국 중앙정부의 정책 결정자들은 도시 당국이 지역의 에너지 지 속가능성 목표를 추진할 수 있도록 다방면

*

으로 지원 가능

* 지역의 계획전문 인력을 위한 역량 강화 프로그램 도입, 지방세, 토지 이용 및 교통 계획 수립 관련 법적 권한 확대, 도시 인프라 투자를 위 한 전용재원 계획 수립 지원 등이 있음

- 국가 차원의 재정 관련 법제 제정을 통해 지역의 토지개발 및 사 용 부담금, 고밀도의 개발을 유도하기 위한 강력한 인센티브를 제 공하는 재산세에 관한 구체적인 조항을 마련함으로써 도시 난개발 확장을 제어할 수 있음

ㅇ 국가가 자금을 지원하는 역량 관리 프로그램을 통해 지자체 정책 입안자의 역량을 강화하여 통합 토지 사용/수송 계획 및 지속가 능한 에너지 계획을 수립할 수 있도록 도와 줌. (끝)

작성 : 박상희 1등서기관(원소속:산업통상자원부), parksanghee33@gmail.com

참조

관련 문서

탄소배출을 줄이는 에너지 고효율 장비의 도입, 친환경 원료 사용, 재생에너지 활용, 기술혁신 등을 추진하는 것이 중요한 한편, 청정에너지 발전 설비, 탄소 포집·저장

– 중앙정부 부처별 먹거리 관련 정책 간 일관성 있는 정책 수립을 위해 타 부서와 상호 협력하 고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의견 수렴을 통해 정책 방향을 설정함.

 요소기술의 통합적인 연구 및 적용을 통해 효율적인 에너지 자립화 가능...

- 에너지 제품을 지원할 것인가 아니면 에너지 설비를 지원할 것인가에 대 한 판단에도 신중할 필요가 있음. 대북 인도적 에너지 지원의 초기단계에 서는 에너지 제품

에너지 산업의 업종간 경쟁과 규제 영역

계속운전은 원전의 핵심 설비와 중요 설비, 그리고 부속 설비의 상당 부분을 교체하거나 안전하게 유지 관리하는 노력을 통하여 이루어낼 수 있는 가장 효과 적인

지구 적 차원에서 에너지 자원의 분포와 소비 실태를 이해하고,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개인적 노력과 제도적 방안을 찾아 일부 설명할 수 있다. 지구적 차원에서

거북 이 롤러코스터와 골드버그 장치를 꾸미면서 학생들은 에너지 전환 과 지레 , 도르래 , 경사면 등의 종합적인 도구의 활용에 대해 이해 하고 특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