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빗물 등 대체수자원 전문가 세미나 빗물 등 대체수자원 전문가 세미나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빗물 등 대체수자원 전문가 세미나 빗물 등 대체수자원 전문가 세미나"

Copied!
122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빗물 등 대체수자원 전문가 세미나 빗물 등 대체수자원 전문가 세미나

○ 일 시 : 2006년 1월 20일(금) 14:00 ○ 주 최 : 국토연구원

○ 후 원 : 건설교통부

국 토 연 구 원

(2)

- 목 차 -

1. 제 1 주제발표

○ 이수, 치수, 환경 등 다목적의 빗물관리 방안 &

서울대학교 기숙사 빗물이용시설의 평가 (한무영 교수 서울대학교)

2. 제 2 주제발표

○ 빗물관리기술 개발 현황과 향후 전망 (김이호 박사 한국건설기술연구원)

3. 제3 주제발표

○ 대체수자원 확보 방안

(이승복 박사 국토연구원)

(3)

제 1 주제발표

이수, 치수, 환경 등 다목적의 빗물관리 방안 및 서울대학교 기숙사 빗물이용시설의 평가

발 표 자

서울대학교 빗물연구센터장 한무영 교수

(4)

- 3 -

1. 우리의 물관리 시스템, 과연 안전한가?

우리나라는 해마다 반복되는 가뭄과 홍수피해를 겪고 있으며, 기후변화에 의하여 그 피해는 점점 더 커질 전망이다. 태풍에 의한 피해규모는 2002년 태풍 루사의 경 우 재산피해 약 5조 4,700억원, 이재민 2만 7,619세대에 이르렀고 2003년 태풍 매미 의 경우 재산피해 4조 5,000억원, 사망자만 해도 131명에 달했다. 재산피해 보상액 은 우리나라 한해 예산의 5-10%에 달하는 엄청난 금액이다. 가뭄의 경우도 최근 10년간 겨울과 봄을 중심으로 지역적 혹은 전국적으로 8회 정도 발생하였다.

이처럼 매년 발생하는 엄청난 재해는 그 근본대책을 세우지 않는 한 반복되지 않으리라는 보장이 없다. 매년 되풀이 되는 풍수해, 가뭄피해를 경감하기 위한 지금 까지의 대처방법에는 한계가 있는 듯하다. 지금부터라도 원인을 찾아서 그 대책을 세우고 실행에 옮겨야 반복되는 피해를 막을 수 있을 것이다.

1.1 도전받고 있는 우리의 물관리 시스템

사회의 기반시설인 물관리 시스템은 상수, 하수, 빗물배제시스템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시스템의 안전하고 효율적인 운전은 국민의 안전과 행복을 위해 반드 시 필요하지만, 최근 물관리 시스템의 안전성은 많은 도전에 직면해 있다 (그림 1).

물관리 시스템이 직면한 도전에는 그림 1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이상기후 현상 에 따른 가뭄, 홍수 등 자연적 요인은 물론, 도시화와 산업화에 의한 불투수층의 증 가, 상하수량 증대, 시민의 기대심리 상승 등의 인위적 요인도 있다. 그 외에 국제 정세의 변동과 유가상승 및 기후협약에 따른 에너지 사용량 감축 필요성 등과 같은 보이지 않는 요인들이 있다.

(5)

- 4 -

방 재 하 수

건 축

도 시 계 획

환 경 방 재

하 수 건 축

도 시 계 획

환 경

자연적 자연적 요인요인

홍수와 가뭄

•기후변화에 의한 홍수와 가뭄

•기후변화에 의한

인위적 인위적 요인요인

및 불투수층의 증가

•도시화

및 불투수층의 증가

•도시화

비가시적 비가시적 요인요인

•유가상승

•국제정세

•유가상승

•국제정세

상 수

그림 1. 물관리 시스템의 안전성 저해요인

최근 우리나라 물문제의 가장 큰 특징은 기후변화 등에 의해 1980년대 초반부터 본격화된 강우패턴의 변화이다. 그림 2는 과거 30년간 서울의 월평균 강우량과 최 근 5년간의 월평균 강우량을 비교하고 있다. 최근 들어 연간 총강우량이 증가한 것 은 물론 홍수기 강우집중도 더욱 심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앞으로 이와 같은 강우 패턴의 변화가 심화될 경우 도시지역의 경우 기존의 하수도 및 하천의 설계홍수량 을 초과하게 되어 도시 내의 홍수피해는 전국의 모든 도시에 예상된다. 또한, 홍수 기 강우집중도의 심화와 함께 가뭄철 비강우 기간동안의 강우량도 더욱 감소하고 있는 추세로써, 가뭄에 의한 피해도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0 100 200 300 400 500 600

Jan. Feb. Mar. Apr. May Jun. Jul. Aug. Sep. Oct. Nov. Dec.

month

precipitation (mm)

monthly average for 30 years monthly average for recent 5 years

그림 2. 우리나라의 최근 강우패턴의 변화

(6)

- 5 -

도시화 및 산업화로 인한 불투수층의 증가는 물관리 시스템이 직면한 인위적인 위협요소이다. 그림 3은 서울 강남 일부 지역의 GIS 사진으로써 20년 동안 지역개 발로 인해 불투수층이 증가한 것을 한눈에 보여주고 있다. 불투수층의 증가는 갑자 기 많은 양의 빗물이 빨리 흘러 내려가게 되어 하류에서의 홍수 위험을 증가시키 고, 비가 온 다음에는 하천의 건천화 및 지하수 수위 저하등으로 도시내의 건전한 물순환을 왜곡시키는 근본 원인이 된다.

삼 성 역 주 변 (1 9 8 1 ) C = 0 .4

삼 성 역 주 변 (1 9 8 1 ) C = 0 .4 삼 성 역 주 변 (2 0 0 1 ) C = 0 .7삼 성 역 주 변 (2 0 0 1 ) C = 0 .7

그림 3. 서울 강남 일부 지역의 불투수층의 변화

에너지는 사회 모든 분야에 걸쳐 큰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써, 안전한 물관리 시 스템을 위해 에너지를 적게 사용하도록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에너지를 많이 소모하는 물관리 시스템은 에너지에 대한 대외 의존도가 높은 우리나라와 같은 상 황에서 국제유가 및 이를 결정하는 국제정세에 민감하게 반응하여 그 기반 자체가 불안정해지게 된다. 국제유가는 해마다 그 변동폭이 크고 최근 배럴당 $70에 육박 할 정도로 가격이 치솟고 있는 상황이다. 우리나라는 에너지 사용량 및 증가율이 세계적인 수준으로써, 앞으로 이와 같은 비용과 에너지를 많이 사용하는 물관리 설 비는 설치만 해놓고 가동조차 할 수 없는 경우가 많아질 것이다. 따라서 안전한 물 관리 시스템 구축을 위해서는 저비용 저에너지 시스템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1.2 새로운 빗물관리 패러다임에 의한 도전의 극복

현재의 빗물관리 시스템에 대한 자연적, 인위적 도전은 이 시설이 만들어질 때는 생각하지 못한 것이다. 즉 우리의 빗물관리 시스템은 처음 보는 새로운 병에 접해 있는 것이다. 새로운 병에는 새로운 처방이 필요하듯이, 우리의 빗물관리 시스 템은 새로운 패러다임에 의한 대처방법이 필요하다. 본고에서는 현재의 빗물관리 방법의 문제점을 제시하고, 그 해결을 위한 새로운 빗물관리 방법을 제안한다.

(7)

- 6 -

2. 현행 물관리 방법의 문제점

물관리의 주요 관점은 홍수 및 가뭄방지, 산불방지, 수자원확보, 건전한 물순환, 에너지 절약, 시민참여, 친환경 등의 여러 가지 관점에서 생각해 볼 수 있다(그림 4). 현재는 각 부처별로 여러 법들에서 개별적으로 이러한 요소들은 고려하고 있다.

그러나 모두 다 물과 관련이 있는 것이기 때문에 서로 유기적인 관계를 맺고 있으 므로 통합적인 차원에서 바라보는 것이 필요하다. 현재 시행되고 있는 물관리 방법 들을 점검해 보기 위해 하천법, 수도법, 자연재해대책법을 중심으로 그 내용들을 살 펴보았다.

하천법은 하천의 유수로 인한 피해를 예방하고 하천 사용의 이익 증진과 하천환 경의 정비, 보전을 위한 내용들을 규정하고 있다. 하천법에는 유역조사의 실시 (제 18조의2항) 하천구역의 정비, 홍수예보 및 수해방지대책의 수립 등을 위한 하천범람 상황 조사, 댐 등 설치자의 재해방지 시설의 설치 (제22조), 홍수조절을 위한 조치 및 홍수예보시설의 설치 (제25조) 등 홍수 조절을 위한 많은 내용들이 담겨있다. 또 한, 자연형하천공법의 전파 등 친환경적 하천보전 및 조성을 위한 노력을 함께 기 울이고 있다. 그러나 하천법에서의 홍수에 대한 대책은 불어난 물을 원활히 배제하 여 피해가 없도록 하는 방법으로써, 근원적 대책이 아닌 방어차원에서의 대책이며, 면적인 관리가 아닌 선적인 관리에 치중하는 한계를 갖고 있다. 가뭄이나 방재 등 에 대해서는 역할이 미미하다.

수도법은 “수도의 설치·관리에 관한 사항”을 규정하기 위하여 제정된 법률이다.

수도법은 물의 원활한 이용과 수자원관리 측면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으 며, 심하지 않은 경우 가뭄 등에도 대처할 수 있다. 그러나 홍수나 심한 가뭄 또는 방재 등에 대해서는 그 역할이 미미하며, 자연계에서의 친환경적 물순환과는 거리 가 있다. 최근 수자원의 근원적 관리를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수도법에 빗물과 관 련된 조항들이 신설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조항은 대규모 체육시설 등 일부 대규모 시설에 빗물이용시설 설치를 명시하는 등 제한적인 내용만을 담은 한계가 있다.

자연재해대책법은 태풍․홍수 등 자연현상으로 인한 재난으로부터 국토를 보존 하고 국민의 생명․재산과 주요기간시설을 보호하기 위하여 자연재해의 예방․복구 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을 규정하고 있다. 재난에 대해 다루고 있는 법이므로 홍수 와 가뭄에 대해 중요한 역할을 하며, 홍수와 가뭄의 대책으로써 우수유출저감시설 을 도입하고 있다.

(8)

- 7 -

그림 4. 물관리 시스템의 고려대상

현재 시행되고 있는 우리의 물관리는 개별법과 기관들에 의해서 제한적인 범위 들만이 다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통합적 관점에서의 물관리 시스템 부재로 물관리 의 허점이 반복적으로 드러나게 되고 새롭게 직면한 도전들에 대해 능동적으로 대 처하기 어려운 상황에 있다.

3. 새로운 패러다임의 다목적 빗물관리

물 관리도 이제는 멀티플레이어 전략을 사용할 때가 됐다. 모든 수자원의 근원인 빗물관리를 통한 다목적 물관리가 바로 그것이다. 빗물관리를 잘하면 그림 5와 같 이 치수, 이수, 친환경조성의 세 가지 목표를 동시에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다.

빗물관리에 있어 빗물의 저류와 침투는 첨두 홍수량을 경감시키는 것은 물론, 홍수 의 총 유출량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때 유출되지 않고 저장되거나,

(9)

- 8 -

지하수에 저류된 물은 상수도 사용량을 줄이고, 산불 등과 같이 비상시 또는 가뭄 시 용수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지하수 보충을 통해 건천화된 하천을 되살리거나, 도시 조경용수확보가 용이하고 열섬현상도 방지 할 수가 있어서 친환경적인 생활환 경 조성효과도 얻을 수 있다. 또한 빗물이 가지고 있는 열적 특성을 이용하여 냉방 과 난방에 드는 에너지를 절약하는데 사용할 수도 있다.

홍수 경감

친환경 가뭄 경감 조성

홍수 경감

친환경 가뭄 경감 조성

그림 5. 물관리의 다목적 전략

다목적 물관리 사례로 먼저 서울시를 들 수 있다. 서울시에서는 세계 최초로 물 관리의 멀티플레이어 전략을 선보이고 있다. 이것은 그림 6과 같이 “홍수방지와 물 절약을 위한 빗물저류조 설치 및 원격 감시 제어”에 관한 조례이다. 도심지역에 발 생하는 홍수나 침수에 대해 멀리 있는 댐은 전혀 도움을 주지 못한다. 댐이 아무리 크더라도, 물을 비워둬야 그 다음에 오는 홍수에 대비할 수 있다. 반면 도심지역에 수많은 작은 저류조를 만들어두고 IT를 이용해 감시하고 관리하면 댐의 기능을 충 분히 할 수 있다. 비가 온 다음 모인 물은 화장실 용수나 조경 용수로 사용해 물 절약 및 시민들의 친환경적인 욕구를 채워줄 수 있다.

(10)

- 9 -

우수 관제 시스템

00 구청

기 상 청

00 구청

인터넷

빗물수위정보

저수개방제어 저수개방제어 빗물수위정보

빗물저수조 탱크

빗물저수조 탱크

수위모니터링 수위모니터링

인터넷 빗물수위정보

저수개방제어 저수개방제어 빗물수위정보

빗물수위정보 저수개방전송

(유사시) 인터넷

빗물방재대응 HOT-LINE 기상정보 (자동 단문전송 기능 및 유선전화 통보)

SMS문자 (자동)

전화

서울시 수방대책본부 우수 관제 시스템

00 구청

기 상 청

00 구청

인터넷

빗물수위정보

저수개방제어 저수개방제어 빗물수위정보

빗물저수조 탱크

빗물저수조 탱크

수위모니터링 수위모니터링

인터넷 빗물수위정보

저수개방제어 저수개방제어 빗물수위정보

빗물수위정보 저수개방전송

(유사시) 인터넷

빗물방재대응 HOT-LINE 기상정보 (자동 단문전송 기능 및 유선전화 통보)

SMS문자 (자동)

전화

서울시 수방대책본부

그림 6. 서울시의 다목적 물관리 전략

4. 새로운 패러다임의 빗물관리

기후변화에 대비하고 사회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지금까지의 개념과는 다른 새로운 패러다임의 빗물관리가 필요하다(그림 8). 가장 중요한 것은 빗물이야 말로 모든 수자원의 근본이라고 인식하는 것이다. 하천수, 호소수, 지하수 등 모든 수원은 빗물에서부터 시작된다. 또한 홍수, 가뭄 등 물에 의해 발생하는 문제의 근 본 원인은 강수의 집중과 부족에 의한 것이다. 빗물관리란 수자원 문제해결의 근본 적인 열쇠인 빗물을 적극적으로 관리하는 것이다. 빗물관리는 하천과 제방 중심의 기존의 선적인 관리에서 벗어나 면적으로 빗물을 관리하자는 목표를 가지고 있다.

유역의 전역에 걸친 분산화된 시스템을 활용해 지표수 및 지하수 흐름이 시작되는 발생원에서부터 수량과 오염의 조절이 가능해 질 것이다. 또한 유역공간내의 지역 주민들의 물의식을 고취하고, 각자 개인적으로 또는 각종 단체 활동을 통해 적극적 이고 능동적으로 물관리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가 마련된다.

(11)

- 10 -

1. 빗물은 모든 수자원의 근원

2. 선의 관리에서 면의 관리로 3. 집중화에서 분산화로

4. 발생원에서 수량 및 오염 조절

線 面

5. 지역적 단위의 참여활동

그림 8. 빗물관리의 새로운 패러다임

빗물은 모든 수자원의 근원

우리나라는 다른 국가에 비해 대부분의 수원을 하천에 의존하고 있으며, 이 하 천의 환경, 수량 및 수질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것이 빗물이다. 이러한 빗물을 효 율적이고 직접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모든 물문제의 근본적인 출발점일 것이다. 빗 물관리는 그동안 수자원으로서의 인식이 부족했던 빗물을 적극적으로 관리하고자 하는 기술이다. 또한 빗물을 저류하는 것은 물론 토양으로 침투시켜 기존의 물공급 체계와 하수도에 의해 왜곡된 자연스런 물순환을 회복시켜 홍수와 물부족에 동시에 대처하면서 친환경적인 생활여건을 조성하는 통합적 물관리 방안이기도 하다. 빗물 은 대체 수자원이아니라 수자원 그 자체이다.

선의 관리에서 면의 관리로

기존의 수원확보 및 방재시설물은 선으로 이루어진 하천 유로의 흐름만을 관 리하는 것이었다. 하지만 하천의 수량 및 수질을 근본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하 천의 유역에 대한 관리가 필수적이다. 빗물관리는 이러한 유역을 빗물의 집수, 저장 및 침투가 이루어지는 공간으로 활용하는 방안으로 유역단위의 면적인 관리가 효율 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지붕면 및 도로면은 물론 운동장 등을 이용하여 빗물관 리를 도입하게 되면 유출량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빗물침투를 통한 지하수 보충, 중대규모 지하 빗물저류조 건설 등을 통해 지하공간까지 홍수방재와 용수확보를 위 한 공간으로 활용하게 될 것이다.

집중화에서 분산화로

중앙정부가 중심이 되어 대규모로 이루어지던 기존의 방재사업은 막대한 규모 와 재원의 한계는 물론 사회분쟁의 한 요인으로 많은 문제점을 드러내고 있다. 이 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중소규모 시설을 널리 보급하고, 재원부담을 분산

(12)

- 11 -

시키는 것은 물론 사회각층의 협력을 통한 사업추진이 이루어 져야 한다. 여러 개 의 중소규모 방재시설의 보급은 기존 대규모 댐 건설에 필요한 건설지 선정에 따른 재정적 부담과 사회적 갈등 요소를 사전에 최소화 시킬 수 있다. 분산화된 시설에 서는 집중화된 시설보다 낮은 안전도 고려가 가능하다는 면에서 관리의 부담이 적 어지는 장점도 있다.

발생원에서 수량 및 오염 조절

빗물이야 말로 모든 수자원의 출발점이다. 물로 인한 홍수 및 가뭄 등의 수량 적 문제와 하천오염과 같은 수질의 문제 모두 강우현상에서부터 출발한다고 할 수 있다. 도로나 토지를 흘러내린 빗물은 오염되어 있으나, 빗물관리를 통해 집수면에 서 받은 빗물은 깨끗하여 다른 용도로의 사용이 가능하다. 발생원에서 빗물을 집수 하게 되면 수량과 수질을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관리가 용이해 진다.

지역단위의 참여활동

앞에서 제시된 면적인 관리, 분산화된 관리시스템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방재 사 업에 있어 지역적 단위의 민간참여 활성화가 필수적인 사항이다. 지역적 단위의 사 업추진을 통해 사회적 불만 요인을 최소화 시키는 것은 물론 유역내에서 지역의 특 성과 기능에 적합한 빗물관리가 가능해 진다. 또한 인센티브 제도를 활용한 자발적 인 민간의 참여유도는 방재에 대한 일반의 관심과 적극성을 높이는 동시에 나아가 국가의 재정적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을 것이다.

5. 결 론

전 세계적으로 기상이변에 의한 기후변화에 의하여 홍수와 가뭄 등의 자연재해 는 더욱 더 심화될 전망이다. 또한 에너지를 적게 쓰고자 하는 노력이 개발도상국 이나 선진국이나 할 것 없이 모두 진행되고 있다. 최근의 물관리에 있어서 가장 중 요한 새로운 화두는 지속가능성 (sustainability)과 분산화 (decentralization) 이다.

부처의 전통적인 영역을 뛰어넘어 종합적인 물관리를 할 수 있도록 새로운 패러다 임의 빗물관리가 필요하다.

(13)

- 12 -

서울대학교 기숙사 빗물이용 시설의 평가

서울대학교 빗물연구센터 한 무영, 김 상래

1. 서론

2005년 1월 서울시에서는 빗물저수조 설치지침을 만들어 빗물이용시스템의 설치와 이용 을 권장하고 있다. 일본과 대만의 경우는 이미 지자체의 조례가 정하는 바에 따라 빗물저장 조의 용량별로 설치 보조금을 지원하고 있어 관련 산업의 육성 및 기술개발이 활발하게 이 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우리나라에서도 최근 몇 년간 전국적으로 빗물이용시설이 설치되 어 운전되고 있으며 그 결과 사용자는 물론 언론과 일반 시민들의 호응도가 높아 빗물이용 시설의 확산을 위한 요청이 급격히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최근빗물이용시설이 점차 확산되 어 가고 있지만 실제적으로 운전 자료가 빈약한 실정이다.

본고의 목적은 서울대학교 기숙사에 설치된 빗물이용시설의 설치부터 현재까지 약 2년 간의 운전 자료와 경험을 분석하고, 앞으로 빗물이용시설의 설계나 운전시 제언이나 물 정 책결정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2. 빗물이용시설 개요

2003년 11월에 준공된 서울대학교 대학원기숙사는 국내에서 가장 먼저 주거지역에 빗 물이용시설을 만들어 화장실과 조경에 사용하는 시스템을 선택하여 가동에 들어갔다. 설계 당시에는 모든 세대에 화장실용수로 중수를 공급하고자 하였으나 설계변경을 통해 4개동 중 2개동은 빗물을 이용하고, 나머지 2개동은 중수를 이용하여 각각의 시스템을 비교 분석 하고자 하였다. 2004년 4월에 내린 빗물을 받아서 4월 27일 부터 빗물이용시설이 본격 가 동에 들어갔다. 각 동의 수용가능 인원과 수세변기수는 다음의 <표 1>과 같다.

<표 1> 서울대 대학원 기숙사 수용인원 및 수세변기수

세대 수용가능인원 인원 수세변기수

919A(남) 42 252 245 42(중수)

919B(여) 55 330 320 55(중수)

919C(남) 36 216 213 36(빗물)

919D(남) 34 204 200 34(빗물)

167 1002 978 167

서울대학교 기숙사 빗물이용시스템은 상수사용량의 절감, 홍수방지, 비상시의 수원확보, 교육 및 연구에 목적이 있으며 실제 주거지역에서 처음으로 빗물을 화장실 용수로 이용된다 는 점, 중수와 계곡수까지 연계되어 있다는 점, 신․증축되는 빗물이용시설의 설치에 좋은 예 가 될 수 있어 의의가 깊다.

(14)

- 13 -

<그림 1> 서울대 기숙사 개요도

빗물이용시설은 집수시설, 운반시설, 처리시설, 저류시설, 펌프시설, 모니터링시설과 수세 변기로 구성되어 있다. 각 시설에 대한 개요는 다음 <표 2>와 같다.

<표 2> 서울대학교 기숙사에 설치된 주요 빗물이용 관련 시설물

집수시설

집수면적 ① A 동 : 547 m2 ② B 동 : 762 m2 ③ C, D동 : 789 m2

계곡수 집수시설 종단면도 <표 2> 계속

(15)

- 14 - 운반시설

계곡수 운반시설 ① 65A DC 관

② 65A Stainless Steel

기숙사 건물의 운반시설 ① 100A PVC

② 250A Stainless Steel 처리시설(Voumenfilter VF6)

VF 6의 재원

Filter 빗물 유입관

빗물 배수관

탱크 유입관

A (mm)

B (mm)

C (mm)

D (mm)

E (mm)

F (mm)

G (mm)

최대 유량

최대집수 면적 VF6

DN250

DN250

DN200 670 540 575 980 325 275 880 70.5ℓ/sec 2350m2 VF 6의 특징

① 연결관 구경 : 250 mm ② 필터 그물망 크기 : 0.55 mm

③ 유입수의 90%만 필터 통과하고 나머지 10%는 배수되게 설계됨 저류시설

용량 : 200 m2, 재질 : 철근콘크리트

(16)

- 15 - 빗물이용시설 P&ID

빗물저장조 종단면도

빗물저장조 횡단면도

(17)

- 16 - <표 2> 계속

펌프시설

빗물저장조 내 펌프 2대

형식 용량

(LPM) 양정(M) 구경 전동기출력 (kW) 흡입 토출

수중형 250 10 50 50 1.1

화장실 공급펌프 3대

형식 용량

(LPM) 양정(M) 구경 전동기출력 (kW) 흡입 토출

부스터 260 43 65 65 1.5

Cross Connection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였고 빗물이 부족할 경우에는 상수를 공급하도록 함.

모니터링 시설 유입부 Calm-Inlet

모니터링 항목 ① 빗물저류조 및 중수조의 low 및 high alarm 제어

② 시상수도, 빗물, 중수에 설치된 meter 기의 유량감시(6개소).

가압탱크 빗물 공급 화장실

(18)

- 17 - 3. 빗물이용시설 운전시의 경험들

다음은 약 2년 동안 서울대 대학원 기숙사 빗물이용시설을 모니터링하면서 얻어진 자료 들이다. 이것을 문답식으로 정리하였다.

3.1 수량적 부분

▶ 서울대학교 대학원 기숙사에서 1일 생활용수를 얼마나 사용할까요? 그중 화장실용수는 어느 정도를 차지하고 있을까요?

서울대학교 대학원 기숙사에서 학생들이 사용하는 물의 용도는 세면 및 화장실용수이다.

수량 모니터링 결과 세면용수로는 일평균 1인당 170ℓ(89%)를 사용하고 화장실용수로는 21 ℓ(11%)를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세변기 1회 사용량이 6ℓ를 감안하여 하루 평 균 3.5회의 화장실을 사용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는 절수형 수세변기 사용과 주간 옥외생 활로 인하여 일반가정의 1인 급수사용량 359ℓ 중 세면 및 화장실용수 사용량 비율이 각각 32%와 18%와 비교하여 화장실용수사용량 비율이 상대적으로 낮은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여름방학 중에는 학기중보다 세면 및 화장실용수사용량이 일평균 3톤 증가하였다.

▶ 빗물이 상수를 대체할 수 있는 양은 얼마나 될까요?

생활용수 중 세탁, 화장실용수, 세차 및 조경용수 등 인체와 접촉이 없는 용도에 한하여 빗물을 사용할 수 있다. 서울대 대학원 기숙사에서는 2004년 4월 27일부터 C, D동 화장실 용수로 빗물을 공급하기 시작하여 2004년에는 1,405.5톤, 5월에서 10월까지는 월평균 200 톤, 일평균 6.7톤의 빗물이 상수를 대체하고 있어 200톤 저장조 만수시 최대 30~40일을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전체공급량의 7.3%를 대체한 것으로 상․하수도요 금과 물이용부담금 1,100원을 감안하면 매달 220,000원을 절감한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중수 대신 상수를 공급하고 있는 A, B동 화장실까지 빗물을 공급하면 일평균 21톤, 전체공 급량의 11%를 대체할 수 있고 최대 9~10일 동안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매달 720,000원을 절감할 수 있는 양이다. 2005년의 경우 10월말 까지 총 1,045톤의 빗물 을 사용하였다. 이는 4월~6월까지 빗물저장조 내에서 수리실험을 수행하느라 빗물을 적게 받아 집수량 및 공급량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후 7월부터 10월 말까지 월평균 약 200 톤씩 공급을 하고 있으며 11월 말까지 공급이 이루어질 것으로 판단된다.

2004년 빗물사용량

1,405.5

0 200 400 600 800 1,000 1,200 1,400 1,600

4 5 6 7 8 9 10 11 12

(㎥)

화장실사용량(빗물) 빗물누적사용량 화장실사용량 (상수)

(19)

- 18 -

2005년 빗물사용량

1,045.5

0 200 400 600 800 1,000 1,200

1 2 3 4 5 6 7 8 9 10

(㎥)

화장실사용량(빗물) 빗물누적사용량 화장실사용량 (상수)

<그림 2> 2004년, 2005년 빗물사용량

본 기숙사의 빗물이용시스템은 관악산 계곡수와 연계되어 있어 비가 그친 후에도 얼마동 안 빗물이 저장조에 유입하여 빗물이용 효율을 증대시키고자 하였다. 만수되어 하수도로 버 려지는 빗물을 A, B동 화장실용수로 공급하는 중수조에 보내어 빗물이용효율을 증대시키는 한편 중수시스템의 유지관리비용을 저감코자 하였다. 현재는 연구목적으로 지붕면만을 집수 하여 모니터링을 하고 있지만 앞으로 이 두 시스템을 사용한다면 상수를 대체할 수 있는 빗 물량은 훨씬 증가할 것으로 기대된다.

3.2 수질적 부분

▶ 빗물저장조에 유입되는 오염물질은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일반적으로 빗물저장조로 유입되는 물질은 매년 5~10월 까지 약 6개월 동안에 나타나는 꽃가루, 3~5월 사이 동안의 황사, 대기중에 부유하면서 강우시 빗물에 함유되어 떨어지는 분진이 있다.

<그림 3> 부상 및 침전하여 제거중인 송홧가루(좌)와 분진, 황사(우)

특히 5월에 다량 유입되는 송홧가루는 저장조에 유입되자마자 수면으로 부상한다. 그러나 저장조 바닥면 부근에 위치한 취수구를 통해 공급되기 때문에 용수의 수질에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 또한 본 기숙사의 빗물저장조는 두 개의 지로 나누어져 있다. 한쪽에는 유입구, 다 른쪽에는 유출구가 있어 저장조 바닥면의 수중오리피스를 통해 유출구쪽으로 빗물이 이동한 다. 유입된 송홧가루는 부상하게 되고 수위가 오리피스의 높이보다 높아 부상된 송홧가루는 유출구쪽으로 이동하지 못하고 유입구에만 머무르게 되어 두 개 지로 나누는 것은 송홧가루 확산 방지에 효과적인 역할을 한다.

(20)

- 19 -

황사입자의 크기는 일반적으로 1~10㎛이고 분진은 0.01~100㎛이다. 황사와 분진의 경 우 빗물과 함께 저장조로 유입되면 12㎛ 이상의 입자들은 침전을 통하여 빨리 제거되고 이 하의 입자들은 저장조내에 부유상태로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두개 지에서의 부유상태 입자수를 비교해 볼 때 왼쪽지에 비해 오른쪽지에서 극히 감소하는 것으로부터 입자들이 부 유상태에 있기 때문에 바닥면에 위치한 오리피스를 쉽게 통과하지 못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 산성비로 인하여 빗물을 이용하는 것이 부적합하지 않나요?

대부분의 빗물은 약산성이다. 이는 공기 중의 이산화탄소가 물에 녹아서 약한 산성인 탄 산을 형성하기 때문이다. 여기에 공장이나 자동차 등에서 대기 중으로 방출된 황산화물이나 질소산화물과 같은 대기오염 물질이 대기 중의 수증기와 작용하여 황산이나 질산을 형성하 고 이것이 빗물에 씻겨 떨어지면서 pH 5.6이하의 산성비가 되는데 서울지역의 일반적인 pH는 4.3~5.5 범위의 산성을 나타낸다. 그러나 대기 중에 존재하는 먼지가 강우시 흡수되 면서 빗물에 양이온 성분이 다량 녹아들어가 빗물을 중화시킨다. 특히 황사시 빗물 중에는 양이온이 풍부하게 존재하여 황사는 중화제의 공급처 역할을 한다. 그래서 초기강우에 pH 가 높고 점점 감소하다가 대기중의 황산화물이나 질소산화물의 농도가 감소하면 다시 증가 하는 경향이 있다.

서울대 대학원 기숙사의 빗물이용시스템 모니터링 결과 산성비는 지붕면과 배관을 지나 면서 pH가 증가하여 저장조에 유입되기 전 pH 범위는 6.5~9.0이고 저장조에 저장된 빗물 의 pH 범위는 6.8~8.4이다. 빗물의 pH가 증가하여 주로 약알칼리성을 띄는 이유는 학교가 관악산에 위치하여 서울도심부보다 대기중에 황산화물이나 질소산화물이 적고 대기중과 옥 상면, 배관의 분진과 혼합되어 pH를 높일 뿐만 아니라 저장조에 유입되기 전 콘크리트 맨 홀을 거치면서 콘크리트에서 CaCO3 성분이 용출되어 알칼리성으로 바뀌었기 때문이다. 이 렇게 바뀐 약알칼리성 빗물은 저장조에 저장되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자연적으로 중성화가 되어 pH 7.0에 가까워진다. 따라서 빗물을 이용하는데 산성비로 인한 영향은 전혀 없다.

▶ 화장실용수로 공급된 빗물이 탁하거나 냄새가 나지 않을까요?

빗물이용에 있어서 색과 냄새는 사용자들에게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가장 민 감하고 가장 중요한 부분이다.

배관을 타고 내려오는 오염물질은 꽃가루, 황사, 분진 외에도 나뭇잎, 학생들이 옥상에서 버린 쓰레기들이 있지만 0.55mm 이상의 오염물질들은 저장조로 유입되기 전 필터를 통해 제거되기 때문에 이하의 입자들 즉, 꽃가루, 황사, 분진만이 저장조 안으로 유입된다.

(21)

- 20 -

0 50 100 150 200

04/

4/2 6

04/5/17 04/6/7

04/6/28 04/7/19

04/

8/9 04/8/30

04/9/20 04/

10/11 04/11/1

04/

11/22 04/

12/13 05/

1/3 05/1/24

05/2/14 05/

3/7 05/3/28

05/4/18 Date

Turbidity (NTU)

받은빗물 모은빗물

<그림 4> 받은빗물과 모은빗물의 탁도 변화

위의 <그림 4>에서 받은빗물의 탁도는 10.6~207 NTU로 넓은 범위를 갖지만 저장조에 모아진 빗물의 경우 1.35~2.35 NTU로 일정한 범위로 나타났다. 5월달 받은빗물의 탁도가 높게 나타난 것은 꽃가루의 유입에서 기인된 것이며 나머지 달의 탁도는 분진과 황사의 영 향을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체류시간이 길기 때문에 대부분의 입자들은 시간이 지남에 따 라 부상 및 침전을 통해 제거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림 5> 청소 후 1주(좌)와 3주(우) 경과한 수세변기

빗물이 화장실용수로 공급되는 건물에서 거주하는 학생 3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한 결과 냄새문제는 전혀 없었으며 장기간 사용했을 때 스케일 발생문제는 36.7%였고 나머지 는 문제가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스케일은 강우시에 발생되지만 1~2주 간격의 주기적인 청소로 인해 쉽고 깨끗이 지워지기 때문에 그다지 문제가 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화장실용 수는 음용수만큼 깨끗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빗물을 이용하는 것이 좋다는 것이 학생들의 의견이었다.

▶ 모아진 빗물속에는 인체에 해로운 금속이 많이 함유되어 있지 않을까요?

황사나 분진에는 알루미늄, 철, 칼륨, 나트륨, 아연 등의 성분이 함유되어 있고 대기중과 옥상면에서 빗물과 만나 함께 저장조로 유입된다.

우선 빗물의 용도가 음용수가 아닌 화장실용수로 사용되기 때문에 인체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22)

- 21 -

0 0 .1 0 .2 0 .3 0 .4 0 .5 0 .6 0 .7 0 .8 0 .9 1

Al As Cr M n Z n

측 정 항 목

금속(ppm)

3 월 2 4 일 4 월 7 일 4 월 2 6 일 5 월 2 5 일 6 월 2 2 일 7 월 7 일 8 월 3 일

수 질 기 준 ( 1 .0 )

수 질 기 준 ( 0 .3 ) 수 질 기 준 ( 0 .2 )

수 질 기 준 (0 .0 5 ) 수 질 기 준 (0 .0 5 )

<그림 6> 모은빗물의 금속농도

서울대 기숙사 빗물저장조 내 빗물에 대해 Al, As, Cr, Cu, Cd, Fe, Mn, Pb, Zn 9가지 금속 및 중금속 항목에 대해 모니터링한 결과(그림 6) 모든 항목에 대해서 음용수 수질기준 에 훨씬 못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시간이 지남에 따라 농도가 감소되는데 침전을 통하여 제거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3.3.유지관리상 문제점

▶ 일반적인 문제

<그림 7> 옥상 안테나(좌)와 옥상면 분비물(우)

모든 건물에는 안테나가 있다. 새는 안테나를 휴식처로 사용하면서 빗물집수구역인 옥상 면에 분비물을 배출하여 빗물의 수질을 변화시킨다. 실제로 옥상에 분비물들이 관찰되면서 모은빗물에서 대장균군이 검출되고 잇따라 분원성대장균군이 검출되었다. 빗물이 화장실용 수로 사용되기 때문에 대장균군이 검출되어도 무방하지만 미생물의 호흡으로 인하여 용존산 소를 감소시켜 혐기성 상태로 전환시키는 2차적인 영향을 예방하기 위하여 주의를 기울일

(23)

- 22 -

필요가 있다. 그러나 모니터링 결과 용존산소가 감소하는 도중 강우로 인하여 증가하고 감 소와 증가를 반복하여 혐기성 상태로 전환되지 않았고 앞으로 상수가 공급되고 있는 A, B 동 화장실에 빗물을 공급하면 저장조에 모아진 빗물이 전부 사용되는 기간(최대 9~10일) 에 비해 용존산소가 감소하는 기간이 길어 문제가 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새의 접근을 피해 빗물의 수질 개선을 위해서 안테나의 형태를 고려하거나 안테나 부근 에 떨어지는 빗물을 빗물집수배관과는 따로 우회시킬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 건물의 용도에 따른 문제

본 빗물이용시설이 설치된 건물의 용도는 대학원 기숙사이다. 그래서 다른 빗물이용시설 과는 달리 옥상은 학생들의 흡연 및 음주장소로 사용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렇기 때문에 일반적인 오염물질인 꽃가루, 황사, 분진 외에도 쓰레기들이 옥상면을 오염시키고 강우시 저장조로 유입되지만 유입전 필터를 거치면서 0.55mm를 초과하는 물질들은 제거되고 이하 의 물질들만 유입된다. 또한 저장조에 모아진 빗물에서 암모니아성질소와 질산성질소가 검 출되었고 그 농도가 봄철에 높은 것은 학생들이 음주 후에 방뇨를 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질소농도는 자연적으로 제거되지만 이는 용존산소의 농도를 감소시키는 원인으로 작용한다.

고농도의 암모니아성질소가 유입된다면 용존산소 감소에 치명적인 역할을 할 수 있기 때문 에 옥상면관리 및 안내표지판 부착을 필요로 하게 되었다.

▶ 건물의 위치에 따른 문제

서울대학교는 관악산하에 위치하기 때문에 봄철에서 여름철로 접어들면서 옥상면에 벌레 들이 증가하였고 강우시 벌레들은 빗물과 함께 저장조에 유입되지만 필터를 거치면서 제거 되었다. 제거된 벌레들은 필터초과유출수와 함께 필터박스에 있는 배수관을 통하여 배수되 는데 자연유하식레벨을 맞추지 않아 필터박스에 어느 정도량의 빗물이 차있게 되고 죽은 벌 레들 또한 필터박스에 남게 되어 미관상태 문제가 발생하였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현재 는 필터박스에 밸브를 달아 강우 후 인위적으로 필터박스 안의 빗물을 배수시키고 있다.

4. 맺음말

약 2년 동안 빗물이용시설을 모니터링한 결과

(1) 서울대학교 대학원 기숙사의 지붕면(2,098㎡)을 통해 집수된 빗물을 C,D동의 화장실 용수로 2004년에 1,405.5톤, 2005년에는 1,045.5톤을 공급하였다. 공급된 빗물이 상수를 대체할 수 있는 양은 일평균 6.7톤으로 매달 약 220,000원을 절감한 것으로 나타났고 전체 동에 공급한다면 일평균 21톤의 상수를 대체할 수 있어 매달 약 700,000원을 절감할 것으 로 기대된다.

(2) 빗물을 이용하는데 산성비, 냄새, 중금속에 의한 영향은 없었고 강우시 수세변기에 스 케일이 생기는 문제가 발생하였지만 2주 간격의 주기적인 청소로 인해 쉽고 깨끗하게 제거 되기 때문에 문제가 되지 않았다.

(3) 화장실용수는 음용수만큼 깨끗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빗물을 이용하는 것이 좋다는 학 생들의 인식 측면에서 결과적으로 사용하기에 좋다는 것이 결론이다. 보다 나은 빗물이용시 설을 계획하도록 앞으로도 계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그 결과를 보고할 예정이다.

현재 빗물이용시설을 궁금해 하는 학생이나 단체들의 좋은 현장견학장소 및 언론매체 등

(24)

- 23 -

의 홍보장소로서 이용되고 있다. 또한 새로 신축되는 건물에 빗물이용시설을 설치할 경우 기존시설에서 발생된 문제점들을 번복하는 일없이 보완하여 설치하도록 참고자료로서 이용 되고 있다. 이와 함께 빗물이용을 널리 전파하는데 참여하고자 하는 지방공무원, NGO 등을 대상으로 빗물이용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앞으로 새로운 수자원인 빗물의 활용과 활성화를 위해서 빗물이용시설 적정 관리방안의 제시, 정책 결정 및 설계 기준 설정에 기여하도록 실제적인 설치 및 운전자료들의 축적과 지속적인 연구가 뒷받침되어야 한다고 생각된다.

참고문헌

1. 한무영․김영완․김상래(2003) 서울대학교 기숙사 빗물이용시스템, 제 3회 빗물모으기 국제 워크샵, UNEP-SNU 빗물연구센터, pp.105-112

2. 환경부(2003) 상수도 통계 2004

3. 한무영(2004) 서울대 기숙사 빗물이용시설 운전사례 중간보고, 대한토목학회지, 52(8), pp 42~48

(25)

제 2 주제발표

빗물관리기술 개발 현황과 향후 전망

발 표 자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김이호 박사

(26)

빗물관리기술 개발 현황과 향후 전망

빗물관리기술 개발 현황과 향후 전망

김 이 호 수석연구원 건설환경연구부

발 표 순 서 발 발 표 표 순 순 서 서

‰

연구개발의 필요성 및 빗물관리 목적

‰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

연구개발 성과

‰

2단계 2차년도 연구실적

‰

결론

(27)

연구개발의 필요성 및 빗물관리 목적 연구개발의

연구개발의 필요성 필요성 및 및 빗물관리 빗물관리 목적 목적

‰

연구개발의 필요성

‰

빗물관리 목적

도시화의 환경적 영향

Urbanization

Water Climate

Energy

연구개발의 필요성 및 빗물관리 목적 연구개발의

연구개발의연구개발의필요성필요성필요성빗물관리빗물관리빗물관리목적목적목적

(28)

도시환경과 물·열순환

물순환 (Water

Cycle

)

열순환 (Heat Cycle) 도시환경

강우 / 유출 / 증발 / 침투 태양열의 복사 / 전도 / 대류

건전한 물순환 및 열순환 체계 유지는 안전하고 쾌적한 도시환경을 위해 필수적 연구개발의 필요성 및 빗물관리 목적 연구개발의

연구개발의연구개발의필요성필요성필요성빗물관리빗물관리빗물관리목적목적목적

순환 체계의 파괴

도시환경

- 도시형 침수

- 지하수 고갈 및 하천 건천화 - 증발량 감소

- 도시 사막화 - 국지적 열섬 현상 - 도심 열대야 현상

무엇이 물·열순환의 파괴를 가져오는가?

연구개발의 필요성 및 빗물관리 목적 연구개발의

연구개발의연구개발의필요성필요성필요성빗물관리빗물관리빗물관리목적목적목적

(29)

불투수면의 확대 : 서울시의 예

도시화 지역의 73% 이상이 불투수성 토양의 70% 이상이 포장면

열섬현상 도시형 침수

연구개발의 필요성 및 빗물관리 목적 연구개발의

연구개발의연구개발의필요성필요성필요성빗물관리빗물관리빗물관리목적목적목적

1200 1300 1400 1500 1600 1700 1800 1900

1954년 1959년 1964년 1969년 1974년 1979년 1984년 1989년 1994년 1999년

강수일수(일)

0 10 20 30 40 50 60 70

호우일수(일)

호우일수 강수일수

선형 (호우일수) 선형 (강수일수)

최근 50년간 14개 관측지점에서 강수일수는 감소하였으나, 80 mm 이상의 호우일수는 증가

강수의 편중성으로 인한 물 관련 재해 증가

한국의한국의기상현상기상현상

도시화로 인한 환경변화 도시화로도시화로도시화로인한인한인한환경변화환경변화환경변화

(30)

[건설교통부, 2001]

301

337

367

324

344 347

7.7%

2.1%

-5.5%

예비율

용수수요 용수공급

  1994      2001      2011

단위:억톤/년

향후

향후부족부족우려우려 대체 수자원 확보 요구

2011년 약 18억㎥

물 부족 예상

Water-stressed nation

한국 한국 장래 장래 수자원 수자원 예측 예측

도시화로 인한 환경변화 도시화로도시화로도시화로인한인한인한환경변화환경변화환경변화

- 친자연적인 외부공간 수요증대 - 녹지율 수요증대 및 수공간 선호 -비점오염물질 유출 가중 -하천 건천화 및 열섬현상 가중

친수공간의 욕구 증대 및 환경 재해

연구개발의 필요성 및 빗물관리 목적 연구개발의

연구개발의연구개발의필요성필요성필요성빗물관리빗물관리빗물관리목적목적목적

(31)

z 황사 및 대기 비산분진

z 황사로 인한 다량의 오염물 유입

z 이로 인하여 초기우수의 오염수준이 높음

z 강우의 계절적 변동

z 여름에 강우가 집중되므로 우수활용시 장기간 저류가 불가피

z 장기저류시 미생물 증식제어 필요

z 우수의 효율적인 처리

z 경제적, 고효율 우수처리 필요

z 활용 시에 나타나는 오염물질

z 옥상녹화시설로부터 질소, 인 등 유출

z 옥상녹화시설이 비점오염원으로 작용

우수 활용시 우리나라에서의 문제점

연구개발의 필요성 및 빗물관리 목적 연구개발의

연구개발의연구개발의필요성필요성필요성빗물관리빗물관리빗물관리목적목적목적

빗물관리 목적

물이 풍부하고 쾌적한 도시 Too little water?

Too little water? , , Too much water?Too much water?

빗물 관리를 통해 도시 안전성을 향상시키고 쾌적한 도시환경을 창조함으로써방재도시, 친환경 도시 실현

침수에 안전한 도시 갈수/ 재해에 대비한 도시

연구개발의 필요성 및 빗물관리 목적 연구개발의

연구개발의연구개발의필요성필요성필요성빗물관리빗물관리빗물관리목적목적목적

(32)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연구개발 연구개발 목표 목표 및 및 내용 내용

단계별 연구 목표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연구개발연구개발연구개발목표목표목표내용내용내용

국내 적용가능 기술구축 및 시범

적용 국내국내적용가능적용가능 기술구축기술구축및시범시범

적용적용 1 단계1 단계

2 단계2 단계

시스템 적용 및 공 동주택 우수 이용시스템 개발 시스템시스템적용적용및

동주택동주택우수우수 이용시스템 이용시스템개발개발

성능향상 및 연계활용 성능향상성능향상및

연계활용 연계활용

우수 저류

및활용

시스템적용

우수우수 저류 저류

및및활용활용

시스템 시스템적용적용

3 단계3 단계

(33)

1단계 연구목표 및 내용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연구개발연구개발연구개발목표목표목표내용내용내용

··우수우수유출유출수질특성수질특성조사조사

·

·우수저류우수저류침투침투기반기술기반기술

·

·도로배수도로배수처리처리요소기술요소기술

·

·우수우수용수화용수화기반기반기술기술 1

1

1차년도1차년도 2차년도2차년도 3차년도3차년도

기초연구단계 기초연구단계 기초연구단계

··건축물건축물우수이용우수이용기술기술개발개발

·

·운동장운동장우수저류우수저류기술기술개발개발

·

·우수모니터링우수모니터링최적관리최적관리 수질인자

수질인자개발개발

··우수저류이용우수저류이용시스템시스템지침(지침(안안))

··한국형한국형학교학교우수이용우수이용시스템시스템개발개발

·

·한국형한국형건축물건축물우수이용우수이용시스템시스템개발개발

··모니터링모니터링시스템시스템관리관리기술기술개발개발

2 2

n 시스템 적용 및 공동주택 우수이용 시스템 개발

3 3

n 성능 향상 및 연계 활용 기술 개발

국내 적용가능 기술구축 단계 국내국내적용가능적용가능 기술구축

기술구축단계단계 한국형 기술개발, 시범적용 단계 한국형한국형기술개발, 기술개발,

시범적용 시범적용단계단계

• 학교 우수저류활용시설 적용성 연구

• 공동주택 우수저류침투시설 설계기술 개발

• 선형침투시스템 Proto-type 개발

• 공동주택단지 빗물관리시설 기본계획 수립 및 성능평가 2

2

•우수저류침투기술 가이드라인 제시

•공동주택 우수저류침투시설 설계기술 적용

•선형침투시스템 Proto-type 적용 및 모니터링

•공동주택단지 빗물관리 기반 시스템 구축방안 마련 및 설계변경

•빗물관리최적화 모형, LCA를 이용한 우수저류침투시설 평가기법 개발

• 개발기술 보급 및 홍보

• 공동주택 우수저류활용 기술 적용 및 성능향상

• 옥상녹화 및 단지 내 녹지 집수 및 설계기술 개발

• 투수성 포장 설계기법 실용화

• 한국형 우수저류활용시설 의사 결정지원시스템 개발 및 적용

• 빗물통합 운영관리를 위한 우수 저류침투시설 네트워크 구축

3 3

국내 적용가능 기술 구축 및 시범적용

1 1

성능 향상 및 연계 활용 기술 개발

시스템 적용 및 공동주택 우수이용 시스템 개발

1차년도1차년도 2차년도2차년도 3차년도3차년도

2단계 연구목표 및 내용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연구개발연구개발연구개발목표목표목표내용내용내용

참조

관련 문서

 생태학적 접귺방법에서는 생태계 내 각 구성부분의 역핛 및 생태계 내 물질 과 에너지의 흐름에 초점을 두는 생태계의 수직적 측면을 중시하는 반면,

만약 1%만 발아된다고 하여도 전 세계에서 인구당 16개의 말징버섯이 돌아가게 된다... 중국 버섯 산업에 대한 이해 전

* (우리나라 시장점유율) Eng.. 전문가 양성) 금융, 계약, 사업관리 등 고부가가치 엔지니어링 영역에 대한 학위 과정 등을 통해

하수 처리수 재이용 시설은 법적 기준값 이내로 처리하기 위해 수질 관리 자동화 시스템 이 구축되어야 하며, 빗물 재이용 시설은 지붕면 빗물 집수, 도로면 집수 및 이용 시설

이 연구를 통하여 학생들은 에너지 자원의 유한성에 대해 깨닫고 에너지 자립 운동을 하는 과정에서 전기와 관련된 물리개념, 태양 광 발전 시설과 빗물 재활용

따라서 공간이 사회적으로 형성될 수 있도록, 도시 공간이 정부에 의한 단일 한 공간적 체계로 완성시키지 않고 상호 작용하면서 변화될 수 있는 다각적인 공간을 형성하는

&lt;인터뷰&gt; 남현미(경남 고성군 문화관광체육과) : “여기 있는 시설은 빗물을 이용해 만든 빗물 벽천 분 수입니다.”.. 관광지 여기저기

&lt;인터뷰&gt; 남현미(경남 고성군 문화관광체육과) : “여기 있는 시설은 빗물을 이용해 만든 빗물 벽천 분 수입니다.”.. 관광지 여기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