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담석 환자의 임상과 역학 변화 분석 -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담석 환자의 임상과 역학 변화 분석 -"

Copied!
9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대한소화기학회지 2007;50:42-50

접수: 2006년 12월 11일, 승인: 2007년 7월 4일 연락처: 김선회, 110-744, 서울시 종로구 연건동 28번지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외과학교실 Tel: (02) 2072-2315, Fax: (02) 766-3975 E-mail: sunkim@plaza.snu.ac.kr

Correspondence to: Sun-Whe Kim, M.D.

Department of Surgery,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28, Yeongeon- dong, Jongno-gu, Seoul 110-744, Korea

Tel: +82-2-2072-2315, Fax: +82-2-766-3975 E-mail: sunkim@plaza.snu.ac.kr

담석 환자의 임상과 역학 변화 분석

- 지난 25년간 수술 치료를 받은 환자 중심으로 -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외과학교실, 내과학교실*

양성훈ㆍ이승은ㆍ장진영ㆍ류지곤*ㆍ김용태*ㆍ윤용범*ㆍ김선회

Clinical and Epidemiological Analysis of Gallstone Patients

- Focused on 25-year Experience of Surgically Treated Patients -

Sung Hoon Yang, M.D., Seung Eun Lee, M.D., Jin-Young Jang, M.D., Ji Kon Ryu, M.D.*, Yong Tae Kim, M.D.*, Young-Beum Yun, M.D.*, and Sun-Whe Kim, M.D.

Departments of Surgery and Internal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Seoul, Korea

Background/Aims: To investigate the epidemiologic changing patterns of gallstone diseases in Korea during past 25 years. Methods: A total of 5,671 gallstone patients who underwent surgery in our center during 1981-2005 were analyzed. The patients were divided into 5 periods: period I (1981-1985, n=831), period II (1986-1990, n=888), period III (1991-1995, n=1,040), period IV (1996-2000, n=1,261) and period V (2001-2005, n=1,651).

Korean literatures published from 1961 to 2005 were reviewed to elucidate the nationwide trends of gallstone diseases. Results: Number of gallstone disease cases were gradually increasing. Female predominance was not noted (male/female ratio, 1.07-1.37). Patients with common bile duct (CBD) stone were older than those with gallbladder (GB) stone or intrahepatic duct (IHD) stone. During past 25 years, relative proportion of GB stone cases increased from 53.0% to 89.7%, while that of CBD stone cases decreased from 68.0% to 15.1%. Relative proportion of IHD stone patients remained stationary. In rural areas, tendency of increasing GB stone and de- creasing CBD stone disappeared since period III. However, in urban areas, these tendencies remained till period V. Relative frequency of IHD stone group remained unchanged in two areas. The body mass indexes of the GB stone group, CBD stone group, and IHD stone group were higher than that of the average population.

Conclusions: In gallstone disease, increasing tendency of GB stone and decreasing tendency of CBD stone in ru- ral area have disappeared. However, relative frequency of IHD stone is still high in Korea. (Korean J Gastroen- terol 2007;50:42-50)

Key Words: Gallstone disease; Epidemiology; Surgery

(2)

양성훈 외 6인. 담석 환자의 임상과 역학 변화 분석 - 지난 25년간 수술 치료를 받은 환자 중심으로 - 43

Table 1. Classification of Groups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the Stones

7 subgroups 1: GB

2: GB and CBD 3: CBD

4: GB and CBD and IHD 5: IHD and GB

6: IHD and CBD 7: IHD

3 stone groups

GB stone group: subgroup 1, 2, 4, 5 CBD stone group: subgroup 2, 3, 4, 6 IHD stone group: subgroup 4, 5, 6, 7

GB, gallbladder stone; CBD, common bile duct stone; IHD, intrahepatic bile duct stone.

Table 2. Total Number, Sex Ratio, and Mean Age of the Pa- tients according to the Classified Period

I II III IV V

('81-'85) ('86-'90) ('91-'95) ('96-'00) ('01-'05) No. of cases 831 888 1,040 1,261 1,651 Sex 1.25 1.37 1.28 1.17 1.08 (female/male)

Mean age, yr 51.4 53.2 53.3 54.0 55.0

서 론

담석 발생과 연관 인자로는 연령, 성별 외에도 비만 지수, 고 지혈증, 당뇨병, 경구 피임제 사용, 알코올 섭취 등이 있다.1-4 이전까지 우리나라의 경우 서양에 비해 색소 담석이 많고, 담 석의 위치에서도 총담관결석과 간내담관결석이 상대적으로 많 으며 여성에서 호발하는 경향이 적다고 알려져 있었다. 하지만 근래 들어 일본과 대만 등이 사회 경제 수준이 향상되고 생활 습관이 서구화되면서 담석의 역학 양상도 점차 서구화되는 변 화를 보이고 있고,5,6 우리나라도 이러한 경향을 보이고 있다.7-11 저자들은 우리나라의 담석증에 대하여 1982년부터7 보고하기 시작하였고 그 이후 네 차례에8-11 걸쳐 서울대학교병원에서 담 석 질환으로 수술 치료를 받은 환자의 역학 변화에 대하여 발 표한 바 있으며, 이번 연구에서도 우리 나라에서 사회 경제 환 경의 서구화에 따른 담석증의 역학과 임상 특징의 변화 양상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 대상

이번 연구에서는 2001년 1월부터 2005년 12월(V기)까지 5 년간 담석으로 담낭절제술, 총담관 절개와 T-관 삽입, 혹은 부분간절제 등의 수술 치료를 시행 받은 1,651예를 대상으 로 하였다. 그리고 그 결과를 이전의 네 차례에 걸쳐 보고 한 바 있는 1981년에서 1985년(I기)까지 831예, 1986년에서 1990년(II기)까지 888예, 그리고 1991년에서 1995년(III기)까 지 1,040예, 1996년에서 2000년(IV기)까지 1,261예와 비교 분 석함으로써 담석 위치에 따른 빈도의 변화와 역학적인 변화 의 양상이 연도별 시기에 따라 어떻게 변하였는지 알아보고

자 하였다. 환자 중 잔류 담석으로 재수술을 시행 받은 예와 다른 질환으로 개복수술을 시행 받던 중 우연히 발견된 담 석 질환들은 제외하였다.

2. 방법

이번 연구에서도 연도별 시기에 따라 담석 위치에 따른 빈도의 변화와 담석 질환의 역학 변화 양상이 어떻게 변하 였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네 차례의 보고에서와 동일한 연 구 방법을 적용하였다.

환자 분류는 담석 위치에 따라 담낭결석 소군, 담낭-총담관 동시 결석 소군, 총담관결석 소군, 담낭-총담관-간내담관 동시 결석 소군, 간내담관-담낭 동시 결석 소군, 간내담관-총담관 동 시 결석 소군, 그리고 간내담관결석 등 7개의 소군으로 분류하 였고, 이들은 다시 담낭결석을 가진 담석 질환 환자들을 담낭 결석군, 총담관결석을 가지고 있는 담석 질환 환자들을 총담관 결석군, 그리고 간내담관결석을 가지고 있는 담석 질환 환자들 을 간내담관결석군으로 분류하였다(Table 1). 각 담석군의 상대 적인 빈도와 성비를 분석하였으며, 환자의 거주지에 따라 도시 와 농촌으로 구분하고 각 군에서의 거주지 분포를 비교하였다.

도시는 편의상 서울특별시를 비롯하여 서울 주위 위성도시와 광역시 및 도청 소재지로 하였다. 각 소군의 상대적인 빈도와 성비, 평균 연령 등을 분석 비교하였으며, 환자의 비만 정도와 담석 분포의 연관 유무를 파악하기 위하여 비만 지수인 Quete- let index (kg/m2)를 이용해 각 군을 비교하였다.

그리고 1961년부터 1980년까지 국내 문헌에 보고된 2,252 예7의 담석 증례 및 1981년부터 2005년까지 국내 문헌에 보 고된 9,761예12-23를, 서울대학교병원에서 1981년부터 2005년 까지 담석 질환으로 수술을 시행 받은 5,671예8-11와 함께 총 17,684예를 통합 분석하여 한국에서 1961년부터 5년마다 시 기별로 각 담석군의 상대적인 빈도 변화 양상과 경제 수준 을 반영하는 엥겔 지수와의 상관관계를 확인하여 경제 수준 과 담석 질환의 종류와의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다섯 시기의 변화 양상을 비교하기 위하여 Student t-검정 혹은 카이제곱 검정을 시행하였고, 각 담석군의 상대적인 빈도 변화 양상과 엥겔 지수와의 상관관계를 선형회귀분석

(3)

44 The Korean Journal of Gastroenterology: Vol. 50, No. 1, 2007

Fig. 1. Relationship between the location of stones and residence of the patients.

GB, gallbladder stone; CBD, common bile duct stone; IHD, intrahepatic bile duct stone.

Table 3. Relative Frequency of Each Group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Stone ('81-'85/'86-'90/'91-'95/'96-'00/'01-'05) Location of stone

No. of total cases (%) GB group CBD group IHD group

Male 290/310/381/493/716 140/119/133/120/135 50/49/56/60/62 369/375/457/581/793 (44.4/42.2/43.9/46.1/48.0) Female 383/413/510/552/766 143/149/114/118/115 58/85/65/105/96 462/513/583/680/858

(55.6/57.8/56.1/53.9/52.0) Total No. 673/723/891/1045/1482 283/268/247/238/250 108/134/121/165/158 831/888/1,040/1,261/1,651

(100/100/100/100/100) Total % 81.0/81.4/85.7/82.9/89.7 34.1/30.2/23.8/18.9/15.1 13.0/15.1/11.6/13.1/9.6

GB, gallbladder stone; CBD, common bile duct stone; IHD, intrahepatic bile duct stone.

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통계는 SPSS 13.0 (SPSS, Chicago, IL)을 사용하여 시행하였고, p value가 0.05 미만인 경우를 유의한 것으로 하였다.

결 과

1. 25년간의 담석 질환 환자의 수 및 성별과 연령 (Table 2)

담석 질환으로 수술을 시행 받은 환자수는 I기에서 831예, II기에서 888예, III기에서 1,040예, IV기에서 1,261예, V기에 서 1,651예로 지속적으로 증가하였다(p=0.011). 남녀 비는 I 기에서 IV기까지는 여자에서 높은 빈도를 보였으나, V기에 서는 1:1.08로 남녀 발생비가 거의 유사하게 바뀌었다. 담석 질환으로 수술을 시행 받은 환자의 평균연령은 I기에서 51.4세, II기에서 53.2세, III기에서 53.3세, IV기에서 54세, V

기에서 55세로 점차 증가하였다(p=0.010). 각 담석군에서의 남녀비는 총담관결석군과 간내담관결석군의 경우에는 시기 별로 별로 변화가 없었으나(각각, p=0.126, p=0.319), 담낭결 석군에서는 I기에 1:1.32에서 V기에는 1:1.06으로 감소하였 다(p=0.002).

2. 위치에 따른 각 담석군 빈도의 변화(Table 3) 수술을 시행받은 담석 질환 환자를 위치에 따라 3가지 담 석군으로 분류할 때, 지난 25년간의 담낭결석군 환자의 빈 도는 I기에서 81%, II기에서 81.4%, III기에서 85.7%로 증가 하다가 IV기에서 82.9%로 약간 감소하였지만, V기에서 89.7%로 다시 증가하고 있다(p<0.001). 반면 총담관결석군은 I기에서 34.1%, II기에서 30.2%, III기에서 23.8%, IV기에서 18.9%, V기에서 15.1%로 지속적으로 감소하였다(p<0.001).

간내담관결석군은 I기에서 13.0%, II기에서 15.1%, III기에서 11.6%, IV기에서 13.1%로 별 변화가 없었으나(p=0.514), V기

(4)

Yang SH, et al. Clinical and Epidemiological Analysis of Gallstone Patients - Focused on 25-year Experience of Surgically Treated Patients - 45

Fig. 2. Age distribution of the subgroups. In the early 80s, the IHD stone-only subgroup patients are 11 years younger than the GB stone-only subgroup, but in the V (2001-2005) period, this difference is reduced. In the V period, the GB and CBD stone subgroups, and the CBD stone-only subgroup patients become older than the GB stone-only subgroup.

Table 4. Relative Frequency and Age Distribution of the Patients according to the Subgroups ('81-'85/'86-'90/'91-'95/

'96-'00/'01-'05)

Relative frequency (%) Mean age (yr) GB 61.9/63.9/72.0/73.4/79.5 51.5/51.2/52.1/52.9/54.0 GB and

14.8/12.7/11.3/8.2/8.1 55.5/61.6/60.0/59.8/60.8 CBD

CBD 10.3/8.6/5.0/5.2/2.8 51.7/56.4/57.8/61.8/62.3 GB and CBD

3.5/4.1/1.6/1.0/1.3 50.8/55.4/54.2/58.6/60.9 and IHD

GB and

0.8/1.0/0.7/0.1/0.8 41.3/51.2/54.7/52.0/53.0 IHD

CBD and

5.4/4.8/5.8/5.3/2.9 44.7/49.2/53.7/51.8/58.5 IHD

IHD 3.2/5.1/3.6/6.7/4.5 40.5/41.5/47.5/51.5/53.7 GB, gallbladder stone; CBD, common bile duct stone; IHD, intrahepatic bile duct stone.

에서 9.6%로 최근 들어 감소하였다(p=0.003).

3. 도시와 농촌에서의 시기별 담석 위치 변화(Fig. 1) 도시와 농촌에서 수술을 시행 받은 담석군의 변화를 시기 별로 살펴보면, I기에서 담낭결석군은 도시에서 67%로 농촌 의 44.7%보다 월등히 많았고(p<0.001), 총담관결석군 및 간 내담관결석군은 농촌에서 35.9% 및 19.3%로 도시의 24.7%

및 8.3%보다 많았다(p<0.001). 농촌에서는 I기에서 III기까 지 시기가 지남에 따라 담낭결석군 빈도가 증가하였고 (p=0.002), 총담관결석군 빈도가 감소하였으나(p=0.030), III 기를 지나면서는 이들 두 담석군의 이러한 변화가 없어졌다 (각각 p=0.881, p=0.603). 하지만 도시에서는 I기에서 V기까 지 연도별 시기가 지남에 따라 담낭결석군 빈도는 지속적으 로 증가하였고(p=0.010), 총담관결석군 빈도는 지속적으로 감소하였다(p=0.007). 간내담관결석군 빈도는 연도별 시기가 지남에 따라 농촌과 도시에서 모두 특징적인 변화 양상을 보이지 않았다(각각 p=0.215, p=0.733).

4. 각 소군의 빈도 및 연령(Table 4)

수술을 시행 받은 환자를 담석의 위치에 따라 7개의 소군 으로 나누어 상대적인 빈도를 살펴보면, 담낭결석 소군의 경우 I기에서 61.9%, II기에서 63.9%, III기에서 72%, IV기에 서 73.4%, V기에서 79.5%로 꾸준히 증가하였다(p<0.001).

담낭-총담관 동시 결석 소군의 경우 I에서 V기에 걸쳐 14.8%, 12.7%, 11.3%, 8.2, 8.1%로 점진적으로 감소하였고(p

<0.001), 총담관결석 소군에서도 역시 10.3%, 8.6%, 5.0%, 5.2%, 2.8%로 감소하였다(p<0.001). 총담관-간내담관 동시 결석 소군의 상대적인 빈도는 I기에서 IV기까지는 특징적인

변화가 없었으나(p<0.854), V기에 2.9%로 감소하였고(p=

0.001), 담낭-총담관-간내담관 동시 소군에서는 II기에 4.1%

에서 III기에 1.6%로 감소하였으나(p=0.001), III기 이후로는 빈도의 변화가 없었다(p=0.998). 간내담관결석 소군과 담낭- 간내담관 동시 결석 소군에서는 전시기에 걸쳐 빈도의 변화 를 볼 수 없었다(각각 p=0.074, p=0.287).

각 소군별 평균 연령은 전반적으로 약간씩 증가하는 추세 였다. I기에서는 간내담관-총담관 동시 결석 소군과 간내담 관결석 소군의 평균 연령이 담낭결석 소군에 비해 각각 7 살, 11살 낮았다. 간내담관결석 소군의 평균 연령은 담낭결 석 소군의 평균 연령에 비해 I기에서 11살 정도 낮았으나, 이후 시기가 지남에 따라 그 차이는 점차 감소하여 V기에 는 각각 53.7세와 54세로 거의 비슷해졌다(p=0.004). 총담관 결석 소군과 담낭-총담관 동시 결석 소군의 평균 연령은 전 시기에 걸쳐 담낭결석 소군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았다(각각 p=0.022, p<0.001) (Fig. 2).

5. 담석 위치에 따른 비만 지수

비만 지수인 Quetelet index와 수술을 시행 받은 담석군과 의 비교에서 담낭결석군은 I기에서 IV기로 시기가 지남에 따라 지속적으로 비만 지수가 증가하였으나(p<0.001), IV기 에 23.7 kg/m2에서 V기에는 23.5 kg/m2로 약간 감소하였다.

총담관결석군은 I기에서 IV기로 시기가 지남에 따라 비만 지수가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나(p=0.052), V기에는 전 시기 와 동일하였다. 간내담관결석군에서는 I기에서 V기로 시기 가 지남에 따라 지속적으로 비만 지수가 증가하였다(p=

0.005). 담낭결석군의 비만 지수는 전 시기를 통해 우리나라

(5)

46 대한소화기학회지: 제50권 제1호, 2007

Fig. 3. Comparison of Quetelet index among the stone groups. Quetelet index of all stone groups increased over the study period.

Quetelet index of the GB stone group was always above the average and higher than those of the CBD stone group and IHD stone group throughout the study period.

GB, gallbladder stone; CBD, common bile duct stone; IHD, intrahepatic stone.

* 21.8 kg/m2, average of male in 1985.

20.9 kg/m2, average of female in 1985.

22.6 kg/m2, average of male in 1995.

§ 21.7 kg/m2, average of female in 1995.

22.5 kg/m2, average of male in 2003.

21.5 kg/m2, average of female in 2003.

Fig. 4. Chronological changes of relative frequency of gall- stone diseases in Korea and re- lationship between Engel's co- efficient. Relative frequency of gallstone over the period of 17,684 cases were analyzed by literatures review.

GB, gallbladder stone; CBD, common bile duct stone; IHD, intrahepatic stone.

평균 비만 지수보다 높았고, 총담관결석군과 간내담관결석 군의 비만 지수보다 모두 높았다(각각 p=0.002, p=0.009) (Fig. 3).

6. 한국인에서 담석 위치의 시기별 변화

1961년부터 1980년까지 서울대학교병원 증례 1,142예를 포함하여 국내 문헌에 보고된 2,252예 담석증 증례와 1981 년부터 2005년까지 국내 문헌에 보고된 9,761예 및 서울대 학교병원의 5,671예(1981-2005년)를 합한 17,684예의 담석증 을 통합 분석하여 한국에서 각 담석군의 시기별 빈도와 변 화 양상을 알아보았다. 전체 담석 질환 환자에서 담낭결석

군의 경우 1960년대 초 53%에서 점차 증가하여 1970년대 말 69%까지 증가한 후 1980년대 전반에는 약 81%로 급격히 증가하였으며, 그 이후로 증가 추세가 다소 둔화되었지만, V기에도 89.7%로 증가하는 추세였다. 반면 총담관결석군은 1960년대 초 68%인 것이 점차 감소하여 1990년대에는 23.5- 25.5%로 감소하였으며, V기에는 15.1%로 더욱 감소하였다.

간내담관결석군의 경우는 9-15%로 큰 변화가 없었다(Fig. 4).

7. 엥겔 지수와 각 담석군의 상대적 빈도와의 관계 담석 발생의 양상과 사회 경제 상황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통계청에서 보고한 우리나라의 총괄적인 사회경제

(6)

양성훈 외 6인. 담석 환자의 임상과 역학 변화 분석 - 지난 25년간 수술 치료를 받은 환자 중심으로 - 47

지표인 엥겔 지수의 변화와 각 담석군의 상대적 빈도의 변 화 양상을 5년마다의 각 시기별로 비교하여 보았을 때, 엥 겔 지수와 총담관결석군의 빈도가 거의 일치할 정도로 비례 하여 낮아지는 양상이었으나(r=0.958, p<0.001), 간내담관결 석군의 빈도 변화는 엥겔 지수의 변화와 상관관계가 없었다 (r=0.039, p=0.613) (Fig. 4).

고 찰

이번 연구의 환자들은 수술을 시행 받은 후에 담석 질환 으로 진단되었기 때문에 한국인의 담석 질환의 역학 변화 양상을 정확히 반영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그러나 지난 25 년간 동일한 방법으로 동일한 병원에서 5년이라는 같은 기 간의 환자를 지속적으로 분석하였기 때문에 한국인의 담석 증의 역학 변화 양상을 추론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이번 연구에서 담석질환으로 서울대학교병원에서 수술을 시행 받은 환자의 수는 지난 25년간 점차 증가하였지만, 이 것이 우리나라 담석 발생률의 증가를 의미한다고 할 수 없 다. 우리나라에서 담석증의 전체적인 발생률 또는 유병률에 대한 보고는 없으나, 건강 검진자들을 대상으로 담석 질환 의 유병률을 조사한 연구들에서는 2.3-4.9% 정도로 보고되 고 있다.24-27 미국의 경우 성인의 10-15%가 담석 질환을 가 지고 있으며, 빈도는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 을 보인다.28 이번 연구에서 담석 질환으로 수술 받은 환자 의 평균연령은 I기에 51.4세에서 V기에 55세로 점차 높아지 고 있다. 이는 한국 사회의 고령화를 반영할 수 있다.

담낭결석군으로 수술을 시행 받은 환자는 I기에 81%에서 III기에 85.7%까지 증가하다가 IV기에 82.9%로 감소하였지 만 V기에는 89.7%로 다시 증가하였다. 이처럼 담낭결석군 이 IV기에 감소하였던 것이 일시적이었는지는 향후 변화 양상을 지켜 보아야 할 것이다. 복부 초음파를 통한 정기 검 진의 증가와 복강경 담낭절제술의 보편화로 인하여 담낭결 석만으로 수술을 시행 받는 예가 증가하고 있지만, 이것이 담낭결석의 발생 빈도가 증가한 것을 의미한다고 볼 수는 없다.

이번 연구에서는 총담관에만 결석이 있고 내시경제거술 로 완전히 제거된 환자들은 포함하지 않았고, 총담관과 담 낭에 동시에 결석이 있는 경우에 내시경총담관결석제거술 을 시행하여 총담관결석이 완전히 제거된 후 담낭결석은 수 술을 시행한 경우는 담낭-총담관 동시 결석 소군에 포함하 였다. 수술을 시행 받은 총담관결석군은 지난 25년간 지속 적으로 감소하였고, 이러한 변화는 지난 보고에서 언급하였 던 것처럼 총담관결석을 일으킬 수 있는 담낭결석의 수술 증가, 내시경총담관담석제거술의 확대 및 발전 등이 아직도 주요한 원인이라 여겨진다. 또한 총괄적인 사회 경제 지수

인 엥겔 지수의 변화와 총담관결석군의 비율은 거의 일치할 정도로 비례하여 낮아지는 양상을 보이고 있기 때문에 사회 경제와 환경 여건의 개선이 총담관결석의 발생 감소를 잘 반영한다고 할 수 있다.

간내담관결석으로 수술을 시행 받은 환자는 총괄적인 사 회 경제 지수인 엥겔 지수의 변화와 관계없이 지난 25년간 별 변화가 없었고 최근 5년 들어 9.6%로 감소하고 있지만 서양 혹은 다른 나라보다 아직 높은 빈도를 보이고 있다. 서 양에서의 간내담관결석은 매우 드문 질환으로 상대적인 발 생 빈도는 0.6-1.3%이며,29 일본은 2.2-6.9%,30,31 대만은 4.5%

32 보고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간내담관결석 환자의 비율 에 대한 연구가 거의 이루어져 있지는 않지만, 1999년에 담 석 질환에 대해 수술과 비수술 방법으로 치료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다기관 연구를 통하여 해부학적인 분포에 대해 분 석한 보고에 의하면 전체 담석 질환 환자에서 간내담관결석 환자의 비율이 14.2%로 이번 연구의 결과보다 높게 나타났 으며, 지난 20년간 큰 변화가 없었다.22 이것으로 보더라도 한국의 간내담관결석 환자의 빈도는 서양을 포함한 다른 나 라보다 높고 시기가 지남에 따른 빈도의 변화가 없다고 할 수 있다.

이번 연구에서 도시를 서울특별시, 서울 주위 위성도시, 광역시와 도청 소재지로 편의상 나누었고, 도시와 농촌의 경계가 불분명한 도시와 과거에는 농촌에 가까운 지역이 시 기가 지남에 따라 오히려 도시화되고 있음을 고려하지 못하 였고, 농촌에서 도시로 거주지를 바꾼 환자들을 파악할 수 없었다는 한계가 있기는 하지만, 농촌에서 1980년대부터 1995년까지는 담낭결석군은 증가하였고 총담관결석군은 감 소하였으나, 그 이후로는 두 담석군 모두에서 이러한 변화 가 없어졌다. 이러한 것으로 볼 때 농촌의 식생활 및 생활 습관의 도시화가 1996년대 이후로 둔화되었음을 의미할 수 도 있다. 실제로 2003년도 농촌경제연구원의 보고에 의하면 1970년대부터 1980년대를 거치면서 급격한 도시화가 이루 어졌고, 1990년대 이후로 농촌인구의 도시 유입이 증가하였 으며, 1990년대 중반 이후로는 농촌 인구가 감소하였고, 도 시화 양상이 둔화되었다.33 도시에서는 1996년 이후로도 담 낭결석군의 증가와 총담관결석군의 감소가 지속되었지만, 간내담관결석군의 빈도는 농촌과 도시 모두에서 특징적인 시기별 변화 양상을 보이지 않았고, 전 시기를 통해 농촌에 서 도시보다 높았다.

간내담관결석의 발생 원인으로 고탄수화물, 저지방, 저단 백식이 등의 식이 습관과 현재 논란의 여지는 있지만 간흡 충, 회충 등의 감염이 주로 거론되어 왔다.22,34-36 지난 보고 에서 우리나라의 간내담관결석 빈도가 여전히 높은 이유가 식생활이 많이 서구화되어 육류의 소비가 증가하고 단백질 과 지방의 섭취량이 증가하였지만, 아직도 쌀을 주식으로

(7)

48 The Korean Journal of Gastroenterology: Vol. 50, No. 1, 2007

하는 근본 식생활 습관이 크게 변하지 않았고, 아마도 변화 될 수 없는 한국인의 유전 소인 때문일 것이라고 보고 한 바 있다.11 그러나 사회 경제적인 서구화로 우리나라의 식생 활 습관이 서구화되고 있기는 하지만 완전한 서구화는 어려 울 것으로 보이며, 간내담관결석의 비율도 서구의 발생 비 율 만큼 감소하지는 않을 것으로 추정한다. 물론 추후 변화 양상과 간내담관결석의 빈도가 높은 이유에 관하여 좀 더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비만이 담석, 특히 콜레스테롤 담석 형성에 중요한 위험 인자라는 것은 잘 알려져 있다.37 이번 연구에서도 담낭결석 군 환자의 경우 정상 한국인의 평균 비만 지수에 비해 전 시기에서 높았으며, 총담관결석군 환자와 간내담관결석군 환자의 비만 지수보다도 높았다. 이는 담낭결석, 특히 콜레 스테롤 결석이 고지방, 고칼로리식이와 이에 따른 비만과 연관되어 있기 때문이라 생각한다. 그러나 한국인의 비만 지수 증가와 담낭결석군 환자의 비만 지수의 증가가 2000년 대에 들어서 약간 감소하고 있어 향후 비만 지수의 변화와 담낭결석, 특히 콜레스테롤 담석의 빈도 변화에 대한 추이 를 지켜보아야 할 것이다.

담낭결석만 있는 환자들의 평균 연령이 담낭결석과 총담 관결석을 동시에 가진 환자들보다 5-10세 낮았던 것은 총담 관결석의 일부는 담낭결석에서 기인하고 있음을 반영한다.

최근 들어서는 간내담관결석 소군 환자와 담낭결석 소군 환 자의 평균 연령 차이가 거의 없어졌는데, 이러한 이유로는 감염, 불결한 환경, 부실한 영양 상태 등 위험 인자의 개선 으로 인하여 비교적 젊은 나이에 발생하던 전형적인 임상상 의 간내담관결석 소군 환자가 감소한 것에 기인하지 않나 추측한다.34

서양에서는 여성호르몬과 담석 발생의 연관성이 높기 때 문에 여성에서 담석이 2-3배 호발한다고 알려져 있다.38,39 이 번 연구에서 담석 질환 환자의 남녀 비는 1:1.07-1:1.37이고, 최근 들어서는 남녀비가 거의 유사할 정도로 바뀌었다. 남 녀 발생비가 서양과 다른 이유로는 여성 호발 경향이 덜한 총담관결석과 간내담관결석의 빈도가 상대적으로 높고, 우 리나라의 경우 색소 담석의 빈도가 높은 것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보이며, 건강 검진을 시행 받는 남녀 비가 1:0.7-0.8 정도로 남성이 더 많은 것으로 보아24-26 병원을 방문하여 수 술을 시행 받는 환자들이 남성에서 상대적으로 많은 것과도 연관이 있을 것이다. 또한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에서 1999 년부터 2002년까지 조사한 미국인에서 30 kg/m2 이상의 비 만 지수를 보이는 여성은 33.7%였고, 25 kg/m2 이상은 63.6%

였으나, 우리나라 보건복지부 보고에 따르면 비만 지수가 25 kg/m2 이상인 여성의 경우 2001년과 2005년에 각각 27.9%와 28%였다. 이처럼 서구에 비해 우리나라 여성의 비 만 여성 비율이 적은 것도 서구보다 담석증이 여성 호발 경

향을 적은 이유와 연관이 있으리라 추정한다. 여성 호발 경 향이 서구와 다른 원인에 대하여는 추후 연구가 필요하다.

이번 연구에 포함된 1981년부터 2005년까지 서울대학교 병원의 5,671예와 1961년부터 2005년까지 국내 문헌에 보고 된 12,013예를 통합 분석하여 지난 45년간의 담석증의 시기 별 위치 변화 양상을 알아보았다. 시대가 지남에 따라 담낭 결석군의 빈도가 증가 추세이고, 총담관결석군의 빈도는 감 소 추세를 보였으며, 간내담관결석군은 아직도 높은 빈도를 보이고 있어 서울대학교병원 환자를 대상으로 한 결과와 다 르지 않았다. 총괄적인 사회 경제 지수인 엥겔 지수의 변화 와 담석의 위치별 변화 양상을 비교하여 보았을 때에도 지 난 보고에서와 마찬가지로 엥겔 지수와 총담관결석군의 비 율은 거의 일치할 정도로, 비례하여 낮아지는 양상이었다.

이러한 결과가 국내 전체 담석 질환 환자의 역학 변화 양상 을 제대로 반영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을 수 있지만, 25년간 단일 기관의 담석 질환의 수술 치료 경험과 국내 문헌에 보 고된 담석 질환 증례를 통합 분석하여 이러한 한계를 조금 이라도 극복하고자 하였다.

요 약

목적: 서울대학교병원에서 수술로 확인한 담석 질환 환자 의 역학과 임상 특징의 변화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저자들이 보고했던 지난 1981년부터 2000년까지의 20 년간의 증례 4,020예와 2001년부터 2005년까지의 1,651예를 I기(1981-1985년, 831예); II기(1986-1990년, 888예); III기 (1991-1995년, 1,040예); IV기(1996-2000년, 1,261예); V기 (2001-2005년, 1,651예)로 나누어 비교분석하였다. 여기에 지 난 약 40년간 국내 문헌에 보고된 결과를 더하여 종합하여 비교하였다. 결과: 지난 25년간 담석 질환의 수술 예는 서서 히 증가하였다. 수술 받은 담낭결석군은 I기에 81%에서 III 기에 85.7%까지 증가하다가 IV기에 82.9%로 감소하였지만 V기에는 89.7%로 다시 증가하였다. 총담관결석군은 I기에 는 34.1%에서 V기에는 15.1%까지 지속적으로 감소하였다.

간내담관결석군은 I기에서 IV기까지는 별 변화가 없었으나, V기에는 9.6%로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국내 문헌을 분석한 결과와 일치하였다. 담석질환의 여성 호발 경향은 서양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았으며 발생 연령은 사회의 고령 화로 인해 증가 추세인데, 총담관결석 환자의 발생 연령이 62세로 가장 높았다. 농촌 지역에서 I기에서 III기까지 담낭 결석군 환자는 증가하였고 총담관결석군 환자는 감소하였 으나, III기 이후로는 이러한 변화 양상이 없어졌다. 그러나 도시에서는 이러한 변화 양상이 V기까지 지속되었다. 간내 담관결석군은 두 지역 모두에서 빈도의 변화를 보이지 않았 다. 담낭결석군 환자는 다른 담석증 환자 및 일반인에 비해

(8)

Yang SH, et al. Clinical and Epidemiological Analysis of Gallstone Patients Treated - 25-Year Experience of Surgically Treated Patients - 49

비만하였고, 경제적인 수준이 향상되면서 엥겔 지수의 감소 와 총담관결석의 빈도가 감소하는 추세가 일치하였다. 결 론: 농촌에서 담낭담석의 증가 및 담관담석의 감소 양상이 1995년 이후로는 없어졌고, 간내담관결석군이 상대적으로 많기는 하지만, 전체적으로 담낭결석군의 빈도는 증가 추세 이고, 총담관결석군은 감소 추세로 담석 질환의 서구화가 지속되고 있다.

색인단어: 담석 질환, 역학, 수술, 빈도

참고문헌

1. Moro PL, Checkley W, Gilman RH, et al. Gallstone disease in high-altitude Peruvian rural populations. Am J Gastroenter- ol 1999;94:153-158.

2. Buchner AM, Sonnenberg A. Factors influencing the preva- lence of gallstones in liver disease: the beneficial and harmful influences of alcohol. Am J Gastroenterol 2002;97:905-909.

3. Kratzer W, Kachele V, Mason RA, et al. Gallstone preva- lence in relation to smoking, alcohol, coffee consumption, and nutrition. The Ulm Gallstone Study. Scand J Gastroenter- ol 1997;32:953-958.

4. Liu CM, Tung TH, Chou P, et al. Clinical correlation of gall- stone disease in a Chinese population in Taiwan: experience at Cheng Hsin General Hospital. World J Gastroenterol 2006;

12:1281-1286.

5. Nakayama R, Miyake H. Changing state of gallstone disease in Japan: composition of the stones and treatment of the con- dition. Am J Surg 1970;120:794-799.

6. Su CH, Lui WY, Peng FK. Relative prevalence of gallstone diseases in Taiwan: A nationwide cooperative study. Dig Dis Sci 1992;37:764-768.

7. Kwon OJ, Park YH, Kim JP. A clinical study of chol- elithiasis in Korea. J Korean Surg Soc 1982;24:1052-1057.

8. Park YH, Kim SW. Epidemiological and clinical character- istics of gallstone disease in Korea. J Korean Surg Soc 1988;35:29-36.

9. Kim SW, Park YH, Choi JW. Clinical and epidemiological analysis of 10-year experienced 1,719 gallstone patients. Ko- rean J Gastroenterol 1993;25:159-167.

10. Chang MC, Kim KW, Kim SW, et al. Clinical and epidemio- logical analysis of 15-year experience of 2,759 patients with gallstone. Korean J Gastroenterol 1998;31:100-106.

11. Park SJ, Kim SW, Park YC, et al. Clinical and epidemio- logical analysis of a 20-year experience of surgically treated gallstone patients. Korean J Gastroenterol 2003;42:415-422.

12. Han DR, Chang SK, Song YT, et al. Clinical analysis of gallstones in Korea. J Korean Surg Soc 1988;34:564-574.

13. Kim SJ, Lim HM, Chang IT, et al. Clinical analysis of bili- ary stone disease in Korea. J Korean Surg Soc 1991;41:

325-334.

14. Kim JH, Cho BH, Kang NP. Surgical treatment of gallstones in Korea. J Korean Surg Soc 1985;28:726-736.

15. Shim CS, Lee JH, Ko SW, et al. Clinical observation of 204 cases of gallstone. Korean J Intern Med 1984;27:1487-1493.

16. Ko BG, Lee SG, Min PC. A clinical analysis of gallstones in Asan Medical Center for 2 years from 1989 to May 1991. J Korean Surg Soc 1993;45:234-239.

17. Kim BR, Sho EY. Characteristics and changes of gallstone in Korea. J Korean Med Assoc 1988;31:23-29.

18. Chung WM, Chung JH, Chung ID. A clinical study of gall- stone disease. J Korean Surg Soc 988;38:209-216.

19. Lee JH, Lee WJ, Choi DH. Clinical analysis of biliary stone.

J Korean Surg Soc 1996;51:266-272.

20. Hahm JS, Lee OC, Park KK, et al. Changing state and pres- ent features of gallstone disease in Korea. Korean J Intern Med 1994;47:485-492.

21. Kim SP, Kim JY, Cho HJ. Chronological changes of chol- elithiasis in the southwestern part of Korea. J Korea Surg Soc 1991;41:195-202.

22. Kim MH, Lim BC, Myung SJ, et al. Epidemiological study on Korean gallstone disease; a nationwide cooperative study.

Dig Dis Sci 1999;44:1674-1683.

23. Choi KJ, Lee SH. A clinical review of biliary tract stone.

Korean J HBP Surg 2001;5:117-126.

24. Kim SJ, Lee MH, Shin KS. Prevalence of asymptomatic gall- stones in heath screening subjects. J Korean Soc Med Ultra- sound 1988;7:11-13.

25. Jung HW, Kim YS, Kim MW, et al. Prevalence of gallstones in Korea. J Korean Acad Fam Med 1992;13:581-591.

26. Lee SY, Lee SK, Kim JW, et al. Clinical study on gallstone prevalence in general health screening people. Korean J Intern Med 1994;47:352-358.

27. Lee JK, Rhee PL, Lee JH, et al. Prevalence and risk factors of gallstone in health screening people. Korean J Gastroenter- ol 1997;29:85-92.

28. Mullen JL, Rosato FE, Rosato EF, Miller WT, Sullivan M.

The diagnosis of choledocholithiasis. Surg Gynecol Obstet 1971;133:774-778.

29. Simi M, Loriga P, Basoli A, Leardi S, Speranza V. Intrahep- atic lithiasis. Study of thirty-six cases and review of the literature. Am J Surg 1979;137:317-322.

30. Ohnishi H, Tanimua H, Uchiyama W, Ishimura K. Recent

(9)

50 대한소화기학회지: 제50권 제1호, 2007

progression of hepatolithiasis in Japan. Kan Tan Sui 2000;40:

523-530.

31. Nakayama F, Koga A, Ichimiya H, et al. Hepatolithiasis in East Asia: comparison between Japan and China. J Gastroen- terol Hepatol 1991;6:155-158.

32. Zhu X, Zhang S, Huang Z. The trend of the gallstone disease in China over the past decade. Zhanghua Wai Ke Za Zhi 1995;33:652-658.

33. 김경덕. 농촌지역 인구이동: 실태·요인·전망. 농촌경제연 구원 2003.

34. Nagase M, Hikasa Y, Soloway RD, Tanimura M, Setoyama M, Kato H. Gallstone in western Japan. Factors affecting the prevalence of intrahepatic gallstones. Gastroenterology 1980;

78:684-690.

35. Wen CC, Lee HC. Intrahepatic stones: a clinical study. Ann

Surg 1972;175:166-177.

36. Chiam HK, Unni PN, Hwang WS. Cholelithiasis in Singa- pore. II. A clinical study. Gut 1970;11:148-152.

37. Bernstein RA, Giefer EE, Vieira JJ, Werner LH, Rim AA.

Gallbladder disease--II. Utilization of the life table method in obtaining clinically useful information: A study of 62,739 weight-conscious women. J Chronic Dis 1977; 30:529-541.

38. Everson GT, McKinley C, Lawson M, Johnson M, Ken F Jr.

Gallbladder function in the human female: effect of the ov- ulatory cycle, pregnancy, and contraceptive steroids. Gastroen- terology 1982;82:711-719.

39. Ryan JP, Pellecchia D. Effect of ovarian hormone pretreat- ment on gallbladder motility in vitro. Life Sci 1982;31:1445- 1449.

수치

Table  1.  Classification  of  Groups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the  Stones
Fig.  1.  Relationship  between  the  location  of  stones  and  residence  of  the  patients.
Table  4.  Relative  Frequency  and  Age  Distribution  of  the  Patients  according  to  the  Subgroups  ('81-'85/'86-'90/'91-'95/
Fig.  3.  Comparison  of  Quetelet  index  among  the  stone  groups.  Quetelet  index  of  all  stone  groups  increased  over  the  study  period

참조

관련 문서

It considers the energy use of the different components that are involved in the distribution and viewing of video content: data centres and content delivery networks

After first field tests, we expect electric passenger drones or eVTOL aircraft (short for electric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to start providing commercial mobility

Chronic kidney disease (partial update): Early identification and management of chronic kidney disease in adults in primary and secondary care (Clinical

Elevated body mass index as a causal risk factor for symptomatic gall- stone disease: a Mendelian randomization study.. Banim PJ, Luben RN, Bulluck

1 John Owen, Justification by Faith Alone, in The Works of John Owen, ed. John Bolt, trans. Scott Clark, &#34;Do This and Live: Christ's Active Obedience as the

Finally the reason for the cosmetic consumption tendency dependent on the containers used was proposed.. According to a statistical report, a quarter of

KEY WORDS : Computed tomography, Dual energy, Renal stone, Uric acid stone, Non-uric acid stone,

Relative density(RD), relative coverage(RC) and relative frequency(RC) of species in groupⅢ at Suak valley a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