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Right-Hemisphere-Damaged Use analyze method Main Concept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Right-Hemisphere-Damaged Use analyze method Main Concept"

Copied!
15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주요 개 념 분 석법 을 이 용한 알 츠 하이 머 성 치 매 환자 와 우 반구 손 상 자의 담 화 특 성 비교

Discourse Analyses by Alzheimer’Disease and

Right-Hemisphere-Damaged Use analyze method Main Concept

손 은 남*김 효 정**박 선 희***

Sohn, Eun Nam Kim, Hyo Jung Park, Sun Hee

Ⅰ 서 론.

신경언어장애 성인의 연결된 구어를 평가할 때 어떤 측정방법이 가장 유용한

* 가톨릭상지대학 언어재활과 교수 교신저자( : n-nanamu@hanmail.net) Department of Speech Rehabilitation, Catholic Sangji College

** 김천대학 재활과 언어치료전공 교수( )

Department of Rehabilitation, Gimcheon College

*** 대구한의대학교 중등특수교육과 교수

Department of Secondary Special Education, Daegu Haany University Vol. 46, No. 4, pp. 255~269, 2007.

< 요 약 >

주요 개념 분석법은 우반구 손상자 치매 환자나 외상성 뇌손상 환자들처럼 언어의, 문법적 측면의 손상은 적지만 의사소통의 핵심을 정확하게 파악하거나 전달하는데 어, , 려움이 있는 화자들의 담화 특성을 파악하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보여진다 그러므로 이. 연구에서는 우반구 뇌손상자와 여러 원인에 의한 증후군의 일종인 치매환자가 담화 능 력에서 어떠한 차이점이 있는가를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알츠하이머성 치매 환. 자 우반구 손상자 정상 성인 각, , 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주요 개념 분석 결과 알츠하. 이머성 치매 집단과 정상 집단 알츠하이머성 치매 집단과 우반구 손상자 집단에서 유, 의미한 차이(p<.05)가 나타났다 또한 정상 성인이나 우반구 손상자보다 알츠하이머성. 치매 환자들의 발화의 양이 현저하게 부족한 것을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중심으로. 이것은 우반구 손상환자나 치매환자들의 담화 능력 평가에서 가장 적절한 평가와 프로 그램을 적용하는데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핵심어 : 알츠하이머성 치매 주요 개념 문자적 개념 해석적 개념, , ,

(2)

가 하는 것은 언어 손상의 심한 정도와 의사소통적 요구에 따라 달라진다 언어. 가 심하게 손상된 화자의 경우 비록 그들의 연결된 구어가 언어 규칙이나 문법 을 따르지 않고 청자가 메시지를 이해하기 위하여 더 많은 노력을 해야 할지라 도 그들은 메시지를 여전히 효과적으로 의사소통하고 있는 것이 된다 실어증, . 성인의 연결된 구어의 의사소통적 정보성과 효율성을 평가하기 위한 측정방법으 로 내용 단위(content units)(Yorkston & Beukelman, 1980)와 정확한 정보 단위(correct information units)(Nicholas & Brookshire, 1993)의 두 측정법 은 산출한 정보적 단어의 수를 전체 말한 단어 수에 대해서 그리고 전체 말한, 시간에 대해 수량화 한다 예를 들어 정확한 정보 단위에 백분율 분당 정확한. , 정보 단위 수 등이 포함된다 이러한 측정방법들은 의사소통적 정보성과 효율성. 에 대한 몇 가지 측면들을 수량화하지만 화자가 전달하는 주제에 대한 주요한, 개념 혹은 핵심이 얼마나 많은 지와 같은 측면은 잘 측정하지는 못한다.

담화의 전체 구조에서 주요하게 부각된 정보는 청자의 이해에 강력한 영향을 주기 때문에 신경언어장애 성인들이 어떤 주제에 대하여 주요 정보를 성공적으로, 전달하는 것은 그들의 전반적인 의사소통의 성공과 정적인 관계가 있을 것이다.

실어증 환자 치매 환자 우반구 손상자 외상성 뇌손상자 등 신경언어장애인, , , 들의 연결된 구어(connected speech)에 대한 평가의 필요성이 많이 대두되고 있다 이들 신경언어장애인들의 발화를 뇌손상이 없는 일반 성인의 발화와 비교. 하기 위하여 또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신경언어장애인들의 발화에서의 변화를, 평가하기 위하여 많은 측정법들이 사용되어 왔다 문헌에 나타난 이러한 측정방. 법에는 구문 오류의 수(Shewan, 1988; Wagenaar et al., 1975), 종결단위 에 대한 절의 비율 토큰 유형 비율 평균 발화 길이

(T-units) (Hunt, 1965), , ,

그리고 응집성(cohesive)에 대한 주관적 평가(Ulatowska, et al., 1983) 등이 있다.

여러 연구에서 실어증이나 치매 환자 우반구 손상자들이 그림 서술하기와 이, 야기 다시말하기에서 주제에 대한 주요 정보를 얼마나 잘 전달하는가를 평가하 였다(Gleason, et al., 1980; Ulatowska, et al., 1983; Heir, et al., 1985;

이러한 연구들의 결과는 뇌손 Nicholas, et al., 1985; Joanette et al., 1986).

상 성인들은 일반 성인 집단보다 정보의 주요 단위를 더 적게 산출하는 것 같 . Ulatowska 등은(1983)은 연구에서 실어증 성인의 이야기는 다른 사람들보 다 필수적인 정보의 주요 단위를 더 빈번하게 포함시키는 것을 밝혔다.

는 담화에서 정보의 주요 단위의 유무뿐만 아

Nicholas Brookshire(1995)

니라 그 정보들의 정확성과 완전성을 함께 평가할 것을 주장하였고 채점을 위, , 한 자세한 절차를 제시하였다 김효정 등. (2004)은 우반구 손상자의 그림 설명

(3)

하기 담화를 분석하기 위하여 Nicholas Brookshire(1995)의 주요 개념 분석 체계를 사용하였다 우반구 손상자의 경우 정상 화자들보다 주요개념을 적게 산. , 출하는 것으로 보고하였다. Kennedy(2000)에 따르면 우반구 손상자들의 담화, 능력을 조사하는 많은 연구들이 추론적인 사고과정을 필요로 하는 그림이나 이 야기의 이해와 해석에 중점을 두어왔으며 그 결과 문맥적으로 복잡한 이야기, 와 비문자적 언어의 이해와 해석이 우반구 손상 후에 영 (narrative) (nonliteral)

향을 받는다는 상당한 증거들을 제시하였다 또 다른 연구 결과에서는 그들이. 단순하거나 자동적 추론에는 어려움을 가지지 않으며 문제가 되는 추론 생성은

정교한 추론

’이라고 부르는 것에서 발생한다고 제안하였다(Brownell et al., 1986; Myers, 2001).

치매 환자의 경우 주제의 응집력에 있어서 가장 많은 결함을 나타낸다 정보. 와 관련이 적은 단어들과 정보에 대한 의미적인 내용의 감소(Appell et al.,

상투어의 반복

1982; Bayles et al., 1985), (Bayles et al., 1985; Kempler, 주제 유지의 부족과 주제에서 벗어나는 경우 빈번함

1995), (Garcia &

지나치게 장황한 것 이 대표적인 것이

Joanette, 1994), (Appell et al., 1982)

다 손은남. (2003)은 치매인을 대상으로 그림 설명하기 능력을 조사한 결과 정 상 집단에 비하여 주제와 관련된 발화 수가 적게 산출된다고 보고하였고 뇌혈, 관성 치매가 주제 진술 약화의 비율이 높은 반면 알츠하이머성 치매 환자는 주, 제 진술이 완전히 벗어나는 비율이 더 높았다고 보고하였다.

우반구 손상자와 치매 환자의 경우 담화에서의 어려움이 있다는 공통점이 있 다 위의 연구에서 보는 것과 같이 주제 응집력 주요 개념에서 벗어난 발화 주. , , 요 개념을 파악하지 못하는 등의 담화의 문제를 나타낸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 Nicholas Brookshire(1995)의 주요 개념 분석법이 우반구 손상자 치매, 환자나 외상성 뇌손상 환자들처럼 언어의 문법적 측면의 손상은 적지만 의사소, 통의 핵심을 정확하게 파악하거나 전달하는데 어려움이 있는 화자들의 담화 특, 성을 파악하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보여진다 그러므로 이 연구의 목적은 우반구. 뇌손상자와 여러 원인에 의한 증후군의 일종인 치매환자가 담화 능력에서 어떠 한 차이점이 있는가를 파악하고자 한다 이것은 우반구 손상환자나 치매환자들. 의 담화 능력 평가에서 가장 적절한 평가와 프로그램을 적용하는데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우반구 손상자와 알츠하이머성 치매환자의 담화 능력에서 어떠한 차이점이 있 는가를 파악하기 위한 구체적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요 개념이 알츠하이머성 치매 집단과 우반구 손상자 집단 간에서 어, 떠한 차이를 나타내는가?

(4)

둘째 문자적 개념과 해석적 개념이 알츠하이머성 치매 집단과 우반구 손상자, 집단 간에서어떠한 차이를 나타내는가?

Ⅱ 연구 방법.

연구대상 1.

이 연구는 알츠하이머성 치매 환자(Alzheimer’s Disease Patients: AD), 반구 손상자(Right Hemisphere Damage: RHD), 정상 성인(Non-Brain 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모든 대상자는 오른손잡이였다 대

Damage: NBD) 5 . .

상자의 연령은 알츠하이머성 치매 집단은 평균 72 ,세 우반구 손상자 집단은 평 74세이고 정상 집단은 평균, 70세였다 대상자들의 구체적인 정보들은. < 와 같다 통제 집단의 정상 성인은 신경과적 및 정신과적 질 2-1>, < 2-2> .

환을 앓은 경험이 없으며 인지적인 장애가 없는 대상자로 선정하였다, . 대상자의 성비와 평균 연령

< 2-1>

대상자의 구체적 정보

< 2-2>

집단 성비 남 여( : ) 평균연령 연령범위( )

알츠하이머성 치매(AD) 0:5 72 (68-74)

우반구 손상(RHD) 1:4 74 (69-84)

정상 집단(NBD) 2:4 70 (67-74)

알츠하이머성 치매(AD) 우반구손상(RHD) 정상집단(NBD) 대상자 성별 연령 MMSE-K* 대상자 성별 연령 대상자 성별 연령

A1 68 16( ) R1 69 N1 67

A2 73 17( ) R2 74 N2 74

A3 73 15( ) R3 85 N3 70

A4 74 12( ) R4 6 N4 67

A5 72 18( ) R5 73 N5 72

치매의 심한 정도 획득점수 심한정도

*MMSE-K( ) : ( )

(5)

자료 수집 방법 2.

대상자들의 담화 표본은 Boston Diagnostic Aphasia Examination(Goodglass

그림을 이용하여 수집하였다

& Kaplan, 1983) ‘cookie theft’ .

담화 표본 수집자는 대상자에게 그림을 제시하고,“그림에서 어떤 일이 일어 나고 있는지를 자세히 설명해 주세요.”라고 요구하였다 대상자들의 발화가 끝나. 면 더 하실 이야기가 있으시면 해 주세요 .”라고 한 번 더 발화의 기회를 제공 하였다 대상자들의 발화는 시간제한을 두지 않았다 우반구 손상자의 무시현상. . 을 검사하는 절차가 아니므로 좌측 무시 현상이 의심되는 대상자에게는 자료, 그림을 우측에 제시하였다 담화 표본 수집 장소는 대상자에게 친숙하고 가능한. 외부 소음이 없으며 연구자와 대상자만이 있는 공간에서 실시하였다 뇌손상 환, . 자의 경우 작은 소음에도 주의가 산만해져서 담화의 주제를 유지할 수 없기 때 문에 자료 수집 장소는 매우 중요하다.

대상자의 발화 장면은 비디오카메라로 녹화하였고 녹화한 자료를 기록하여, 그것을 토대로 담화 분석을 하였다.

분석 방법 3.

이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두 가지의 담화 분석방법을 시도하였다 첫 번째. 담화 분석방법은 Nicholas Brookshire(1995)에 의해 개발된 주요 개념 분석 에 의한 채점방법이다 이는 실어증 환자를 위하여 개발되었지만 우반구 손상자. , 들의 수행을 검사하기에도 유용할 것이라고 하였다(Myers, 1999). Nicholas

그림에 대한 주요 개념을 다음의 일곱 가

Brookshire(1995) ‘cookie theft’

지로 제시하면서 이 개념에 대한 필수 요소를 제시하였다.

① 각 주요 개념이 정확하고 완전하다면 AC(accurate and complete)로 채점 주요개념의 필수 요소들이 부분적으로 정확하지만 하나 이상의 필수요소,

가 빠져있을 때 AI(accurate but incomplete)로 채점

하나 이상의 필수 정보가 부정확하다면 IN(inaccurate)로 채점

주요개념 자체가 담화에서 나타나지 않을 때 AB(absent)로 채점

채점의 구체적인 예는 <부록 1>에 제시하였다.

두 번째 담화 분석 방법은 담화 분석 방법은 Myers에 의한 문자적 개념과 해 석적 개념을 통한 방법이다. Myers(1979)는 화자가 산출한 개념을 문자적 개 (literal concepts)과 해석적 개념(interpretive concepts)으로 나누었다 문. 자적 개념은 독립적으로 의미를 가지는 것들로 정의하였고 해석적 개념은 그림,

(6)

의 상황 내에서만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정의하였다. 예를 들면,‘cookie 그림에서 여자

theft’ ’는 문자적 개념이 되고,‘엄마’는 해석적 개념이 된다.

해석적 개념은 그림 내의 요소들에 대한 추론과 해석이 요구되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Myers, 1999). 문자적 개념과 해석적 개념 목록을 <부록 2>에 제시 하였다. Myers Linebaugh(1981)는 정상 성인에 의해 산출된 개념 가운데 평균 49%가 해석적 개념이었고 반면 우반구 손상자들에 의해 산출된 개념의, 만이 해석적 개념이었다고 하였다 더불어 이는 우반구 손상자의 담화 수행

29% .

력을 판단하는 데 선별적인 기준으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제안하였다.

평가자간 신뢰도 4.

자료 분석에 대한 신뢰도는 두 명의 평가자간 채점이 일치한 항목수를 세어 전체 항목 수에 대한 비율로 산출하였다 전체 자료에서. 30%를 무선으로 표집 하여 독립적으로 기록하여 분석하였다 평가자간 신뢰도를 측정한 결과 발화 기. 록에 대해서는 97%를 나타내었다 첫번째 분석 방법인 문자적 개념 및 해석적. 개념에 대한 평가자간 100%의 신뢰도를 나타내었고 두번째 분석 방법인 주요, 개념에 대한 분석에서는 94%의 신뢰도를 나타내었다.

자료 처리 5.

주요 개념 분석법을 이용한 알츠하이머성 치매 환자와 우반구 손상자의 담화 비교를 위하여 분석 방법에 의한 점수를 표로 제시하였고 이를 시각화하여 그, 래프로 제시하였다.

Ⅲ 결과 및 고찰.

주요 개념 분석 1.

가 제안한 주요 개념 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알

Nicholas Brookshire(1995)

츠하이머성 치매 집단 우반구 손상자 집단 정상 집단의 그림 설명하기 담화를, , 분석하였다 각 집단의 평균과 표준오차를. < 3-1>에 제시하였다.

(7)

세 집단의 주요개념에 대한 평균 표준오차

< 3-1> ( ) (N=5)

에 대한 결과를 그림 에 제시하였다

< 3-1> < 3-1> .

그림

< 3-1> 세 집단의 주요 개념에 대한 평균

일곱 개의 주요 개념 가운데 정확하고 완전하게(AC) 표현된 것의 점수는 알 츠하이머성 치매집단 우반구 손상자 집단 정상 집단 순으로 높은 점수를 나타, , 내었다 특히 알츠하이머성 치매집단에서는 평균. 0.4점으로 다른 집단보다 매우 낮은 점수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점수는 그림과 관련된 주요한 내용이 거의 한. 문장도 발화 되지 않았음을 의미한다 또한 정상 집단에서도 전체 일곱 개의 주. 요 개념 가운데 2개 정도만 정확한 주제로 설명하였다는 것을 의미한다 김효정. 은 정상 성인을 대상으로 연령에 따른 주요 개념 분석을 실시 결과 연령 (2005)

에 따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난다고 보고하였다. AC의 점수를 20대에서는 5.36, 로 보고한 것과 마찬가지로 이 연구의 대상자들의 평균 50 4.27, 70 3.31

연령이 70세이므로 낮은 점수를 획득한 것으로 판단된다.

  알츠하이머성 치매

집단(AD)

우반구 손상

집단(RHD) 정상 집단(NBD)

AC 0.4(.89) 1.6(.67) 2.2(.73)

AI 1.0(.70) 1.4(.40) 1.6(.81)

IN 0.2(.44) 0.6(.40) 0.4(.24)

AB 5.4(.89) 3.4(.67) 2.6(1.02)

정확하고 완전한 개념 표현 AC:

정확하지만 불완전한 개념 표현 AI:

부정확한 표현 IN:

해당 개념의 부재 AB:

(8)

개의 주요 개념이 대상자의 담화 산출에 나타나지 않은 개념 의 수는 정

7 (AB)

상 집단 우반구 손상자 집단 알츠하이머성 치매 집단 순으로 높은 점수를 나타, , 내었다 알츠하이머성 치매 집단에서는 평균. 5.4점으로 다른 집단보다 매우 높 은 점수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점수는. AC의 점수가 0.4점인 것과 마찬가지로 그림과 관련된 주요한 내용이 거의 한 문장도 발화 되지 않았음을 의미한다.

주요 개념이 알츠하이머성 치매 집단 우반구 손상자 집단 그리고 정상 집단, , 간에서 어떠한 차이를 있는가를 알아보기 위하여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한 결과 주 요 개념이 나타나지 않은 개념 수 AB 점수에서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알츠하이머성 치매 집단과 정상집단 알츠하이머성 치매 집단과 우반구

(p<.05). ,

손상자 집단에서 유의미한 차이(p<.05)가 나타났으며 우반구 손상자 집단과 정, 상집단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정확하고 완전하게 표현된 개념. 정확하지만 불완전하게 표현된 개념 과 부정확하게 표현된 개념

(AC), (AI) (IN)

세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AC 점수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으나, 알츠하이머성 치매 집단은 정상집단 및 우반구 손상자 집단과 평균에서 많이 차 이를 보였다 손은남. (2006)은 노인을 대상으로 이야기 다시하기를 통하여 주제와 관련된 문장 발화에 대한 연구를 실시한 결과 노인이 젊은 성인보다 주제와 관련, 된 발화수가 적었다고 보고하였다 위의 두 가지의 분석 결과에서 통제 집단인 정. 상 집단의 경우 또한 전체적으로 낮은 점수를 획득 한 것을 볼 수 있다.

정상집단에서도 정확하지만 불완전하게 표현된 개념(AI), 부정확하게 표현된 개념(IN), 주요개념의 부재(AB) 요소에서 점수를 획득한 것을 볼 수 있다 노. 년기 대상자들은 이야기의 핵심이 되는 부분이 무엇인지 파악하는데 어려움을 보이며 이는 이야기의 거시적 구조 ’를 보는 눈이 제한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한 다 노년기 대상자들이 이야기와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정보단위를 산출하는 비. 율이 낮다 즉 이야기의 핵심을 피해가는 주변적인 정보단위의 산출이 청년기. 대상자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은 것이다 손은남( , 2006).

요소는 요소와 마찬가지로 알츠하이머성 치매 집단과 우반구 손상자

AC AB

집단 간의 담화 특성을 감별 할 수 있는 요소가 될 가능성이 있다.

문자적 개념과 해석적 개념 2.

의 채점 체계에 따라 두 집단의 그림 설명하기 담화를 문자적 Myers(1979)

개념과 해석적 개념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각각의 개념은 단 한 번만 계수되. 었고 전체 개념의 수에 대한 해석적 개념의 백분율을 구하였다 각 집단의 평균, . 과 표준오차를 < 3-2>에 제시하였다.

(9)

세 집단의 문자적 개념과 해석적 개념의 평균 표준오차

< 3-2> ( ) (N=5)

에 대한 결과를 그림 에 제시하였다

< 3-2> < 3-2> .

그림 세 집단의

< 3-2> 문자적 개념과 해석적 개념의 평균

전체 개념의 수는 우반구 손상자 집단과 정상 집단이 각각 평균 7.4점과 7.0 점으로 거의 유사하게 나타났으나 알츠하이머성 치매 집단에서만 4.2점으로 매 우 낮은 점수를 나타내었다 구체적으로 해석적 개념의 백분율을 살펴보면 우반. 구 손상자 집단과 정상 집단이 각각 30% 34%로 유사하게 나타났으나 알츠, 하이머성 치매 집단에는 24%로 가장 낮은 백분율로 나타났다 문자적 개념과. 해석적 개념이 알츠하이머성 치매 집단 우반구 손상자 집단 그리고 정상 집단, , 간에서 어떠한 차이를 있는가를 알아보기 위하여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그러나 알츠하이머성 치매 집단은 우반구 손상자 집단 및 정상 집단보다 매우 다른 양상을 나타내었다 특히 전체 개념의 수에서는 알츠하이머성 치매 집단이. 평균 4.2점으로 다른 집단보다 절반 정도로 낮은 점수를 획득하였다 전체개념. 의 수는 알츠하이머성 치매 집단과 우반구 손상자 집단 간의 담화 특성을 감별

  알츠하이머성 치매 집단(AD)

우반구 손상 집단(RHD)

정상 집단(NBD) 문자적 개념의 수 3.2(.66) 5.2(1.06) 4.6(.97) 해석적 개념의 수 1.0(.31) 2.2(1.01) 2.4(.74) 전체 개념의 수 4.2(.58) 7.4(1.53) 7.0(1.30) 해석적 개념의 백분율 24(8.60) 30(9.36) 34(7.94)

(10)

할 수 있는 요소가 될 가능성이 있다.

문자적 개념이 과도하게 표현되고 추론을 요하는 해석적 개념의 산출이 적은 우반구 손상 집단과 달리 알츠하이머성 치매 집단의 경우 추론의 여부와 상관없 이 문자적 개념이건 해석적 개념이건 언급된 개념의 양이 전반적으로 적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정상성인이나 우반구 손상자보다 알츠하이머성 치매 환자들의 발. 화의 양이 현저하게 부족함으로 해석할 수 있다.

Ⅳ 결론 및 제언.

알츠하이머성 치매 집단 우반구 손상자 집단 그리고 정상 집단이 담화능력에, , 서 어떠한 차이를 나타내는가를 알아보기 위하여 두 가지 분석 방법을 통해 조 사하였다 분석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

첫째 주요 개념 분석 방법을 이용한 결과 네 개의 요소 중 하나의 요소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주요 개념 분석에서 그림 상황의 중심. 이 되는 개념의 산출유무와 정확성 완전성을 보았을 때 주요 개념이 부재한 경, , 우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알츠하이머성 치매 집단과 정상 집단 알츠하이. , 머성 치매 집단과 우반구 손상자 집단에서 유의미한 차이(p<.05)가 나타났으 , 우반구 손상자 집단과 정상집단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 .‘Cookie theft’그림을 설명하는 데 있어서 그림과 관련된 주요 개념의 표 현 능력 보는 AC, AI, IN과 주요 개념 자체가 전혀 나타나지 않는 AB 요소에 서 알츠하이머성 치매 집단은 다른 정상 집단은 물론 우반구 손상 집단과도 통 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은 수행력을 나타낸 것이다 즉 첫번째 분석에서와 마찬가. 지로 그림을 설명하는 데 있어서 그림에 맞는 주제로 담화를 하는 능력이 떨어 지는 것이다 즉 주요 개념 자체가 전혀 나타나지 않는. AB 요소에서 높은 점수 를 획득 한 것은 주제 유지의 결핍과 주제에서 벗어나는 경우가 빈번(Garcia & 한 언어적 특징 때문인 것으로 해석된다 정확하게 표현된 주

Joanette, 1994) .

요 개념의 수 AC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으나 알츠하이머성 치매 집단, 은 정상집단 및 우반구 손상자 집단과 평균에서 많이 차이를 보였다. AC 요소 AB 요소와 마찬가지로 알츠하이머성 치매 집단과 우반구 손상자 집단 간의 담화 특성을 감별 할 수 있는 요소가 될 가능성이 있다.

둘째 문자적 개념과 해석적 개념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세 집단 간에 통계, 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전체 개념의 수는 우반구 손상자, 집단과 정상 집단의 평균이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알츠하이머성 치매 집단에서만

(11)

매우 낮은 점수를 나타내었다 해석적 개념의 백분율을 살펴보면 우반구 손상자. 집단과 정상집단이 유사하게 나타났으나 알츠하이머성 치매 집단이 가장 낮은, 백분율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알츠하이머성 치매 집단이 우반구 손상자 집단. 및 정상 집단보다 매우 다른 양상을 보이는 것으로 해석된다 특히 전체개념의. 수에서는 알츠하이머성 치매 집단이 다른 집단보다 절반 정도로 낮은 점수를 획 득 하였다 문자적 개념과 해석적 개념을 합한 전체 개념의 수라는 요소는 모두. 그림에 포함되어 있는 핵심단어이다 즉 그림을 이야기 하는

‘cookie theft’ .

데 있어서 그림의 주제와 관련된 단어와 문장인 것이다 이러한 점을 고려한다. 면 알츠하이머성 치매 집단은 문자적 및 해석적 개념에서의 차이를 해석하는 것 에 앞서서 그림의 주제와 관련된 발화 자체가 적다는 것을 볼 수 있다 물론 문. 자적 개념과 해석적 개념에서의 차이를 살펴보면 문자적 개념이 해석적 개념에 서 보다 약 3배 높은 점수를 얻었다 알츠하이머성 치매 집단과 우반구 손상자. 집단 모두 문자적 개념의 비율이 높았고 추론이나 상황을 전제로 하는 해석적, 개념을 산출하는 능력은 낮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선행 연구의 결과와 일. 치하였다(Myers & Linebaugh, 1981; 김효정, 2004). 서론에서 살펴본 여러 연구 결과에서처럼 우반구 손상자들의 경우 추론과정의 결함으로 해석적 개념에 서 낮은 점수를 획득한 것으로 보이며 알츠하이머성 치매 집단의 경우 정보와, 관련이 적은 단어 정보에 대한 의미적인 내용의 감소, (Appell et al., 1982;

상투어의 반복

Bayles et al., 1985), (Bayles et al., 1985; Kempler, 1995) 과 같은 언어적 특징 때문에 전체 개념의 수에서 매우 낮은 점수를 획득한 것으 로 해석되며 높은 발화수에 비하여 그림과 관련된 핵심어의 수가 매우 낮은 것, 과 일치하는 결과이다 손은남( , 2003). 해석적 개념에서의 낮은 획득 점수는 우 반구 손상자 집단과 비슷한 양상을 보인다 해석적 개념 백분율에서 우반구 손. 상자 집단이 조금 더 높게 나타나 알츠하이머성 치매 집단 보다 추론이나 상황 을 전제로 하는 능력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대상자의 수가 매우 적. 으므로 좀 더 많은 대상자로 두 집단의 차이를 살펴보아야 할 것이다 전체개념. 의 수는 알츠하이머성 치매 집단과 우반구 손상자 집단 간의 담화 특성을 감별 할 수 있는 요소가 될 가능성이 있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볼 때,‘cookie theft’그림 설명하기 담화에 대한 분 석 체계로서 해석적 개념과 주요개념 분석 방법은 두 가지 모두 알츠하이머성 치매 집단과 우반구 손상자들의 담화 특성을 설명할 수 있는 도구가 될 수 있을 것으로 보며 특히 주요 개념 분석이 더 정확히 각 집단의 특징을 설명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12)

이 연구의 제한점은 대상자 수가 적고 질환의 정도 집단 간 학력 혹은 연령, , 분포가 동질적이지 못한 점 등이다 따라서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추후 연구를. 하게 된다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발견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

참 고 문 헌

김효정 조성미 정옥란 (2005). 주요개념 분석법을 이용한 정상 성인의 담화 분석. 제 17차 한국음성과학회 추계학술대회, 213-220.

김효정 유영진 정옥란 (2004). 우반구 손상자와 정상 성인의 그림 설명하기 담화의 특성 비교. 언어치료연구, 13(4), 169-178.

손은남 강수균 (2006). 청년기과 노년기의 이야기 담화 능력 특성 연구. 언어 치료연구, 15(1), 71-86.

손은남 (2003). 정상노인과 치매노인의 담화 능력 비교 분석 미간행 석사학위. 논문 대구대학교, .

Appell, J., Kertesz, A., & Fisman, M. (1982). A study of language functioning in Alzheimer patients.

Brain and Language, 16

, 265-280.

Bayles, K. A., Tomoeda, C. K., & Kaszniak, A. W., Stern, L. Z., &

Eagans, K. K. (1985). Verbal perseveration of dementia patients.

Brain and Language, 25,

102-116.

Brownell, H. H., Potter, H. H., Bihrle, A. M., & Gardner, H. (1986).

Inference deficits in right brain-damaged patients.

Brain and Language, 27

, 310-321.

Garcia, L. J., & Joanette, Y. (1994). Conversational topic-shifting analysis in dementia. In R. L. Bloom., L. K. Obler, S. DeSanti & J. S.

Ehrlich (Eds.),

Discourse analysis and applications : Studies in adult clinical populations(pp.161-183).

Hillsdale. NJ : Lawrence Erlbaum Associates Inc.

Goodglass, H., & Kaplan, E. (1983).

The Boston Diagnostic Aphasia Examination

. Philadelphia : Lea & Febiger.

Harden, W. D., Cannito, M. P., & Dagenais, P. A. (1995). Inferential abilities of normal and right hemisphere damaged adults.

Journal

of Communication Disorder, 28

, 247-259.

(13)

Helm-Estabrook, N., & Albert, M. L. (1991).

Manual of aphasia therapy.

TX: Pro-ed.

Kempler, D. (1995). Language changes in dementia of the Alzheimer type. In R. Lubinski (Ed.),

Dementia and communication

(pp.

98-114). Philadelphia : B. C. Decker Inc.

Kennedy, M. (2000). Topic scenes in conversations with adults with right-hemisphere brain damage.

American Journal of Speech-Language Pathology, 9

, 72-86.

Myers, P. S., & Brookshire, R. H. (1996). Effect of visual and inferential variables on scene descriptions by right-hemisphere-damaged and non-brain-damaged adults.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Research, 39

, 870-880.

Myers, P. S. (1979). Profiles of communication deficits in patients with right cerebral hemisphere damage. In R. H. Brookshire(Ed.),

Clinical aphasiology : Conference proceedings

(pp. 38-46). Minneapolis : BRK Publishers.

Myers, P. S. (1994). Communication disorders associated with right hemisphere brain damage. In R. Chapey(Ed.),

Language intervention strategies in adult aphasia

(3rd ed., pp. 514-534) Baltimore: Williams

& Wilkins.

Myers, P. S. (1999).

Right hemisphere damage: Disorders of communication and cognition.

CA : Singular.

Myers, P. S. (2001). Communication disorders associated with right hemisphere damage. In R. Chapey(Ed.),

Language intervention strategies in aphasia and related neurogenic communication disorders

, 4th edition(pp. 809-828). Baltimore :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Myers, P. S., & Linebaugh, C. W. (1981). comprehension of idiomatic expressions by right-hemisphere-damaged adults. In R. H.

Brookshire(Ed.),

Clinical aphasiology: Conference proceedings

(PP.

38-46). Minneapolis : BRK Publishers.

Nicholas, L. E., & Brookshire, R. H. (1995). Presence, completeness, and accuracy of main concepts in the connected speech of non-brain-damaged adults and adults with aphasia.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Research

,

38,

145-156.

(14)

<Abstracts>

Discourse Analyses by Alzheimer’Disease and

Right-Hemisphere-Damaged Use analyze method Main Concept

Sohn, Eun Nam Kim, Hyo Jung Park, Sun Hee

There are common features on right-hemisphere-damaged and dementia. Those are showed subject cohesion, conversation depart from main concept, misunderstanding main concept, and etc.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find conversation specification of right-hemisphere- damaged and Alzheimer’s disease use analyze method of main concept, literal concept, and interpretive concept(Nicholas & Brookshire, 1995).

The subjects of this study is each 5 persons in right-hemisphere- damaged, Alzheimer’s disease, and normal group. And gathered conversation samples use‘cookie theft’pictures. Conversation samples were analyzed with main concept, literal concept, and interpretive concep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 of main concept analyze, Alzheimer’s disease group acquired high score on AB factor which is not show main concept, and showed low performance on conversation.

Second, the result of analyze with literal concept and interpretive concept, the average on right-hemisphere-damaged and normal group is similar, and Alzheimer’s disease group showed very low score.

To infer from these results, method of main concept analyze will be more proper tools to explain conversation specifications on Alzheimer’s disease and right-hemisphere-damaged.

Key Words : Alzheimer’s disease, literal concepts, interpretive concepts, main concept

논문접수 : 2007. 11. 9 / 수정본 접수 : 2007. 12. 10 / 게재 승인 : 2007. 12. 14

(15)

부록

< 1>‘cookie theft’에 대한 Nicholas & Brookshire의 주요 개념 분석의 채점의 예

<부록 2> ‘cookie theft’에 대한 Myers의 문자적 및 해석적 개념 채점 시스템

주요 개념 리스트

1. 여자 엄마( )가 접시를 닦는다.

2. 싱크대가 물이( ) 넘친다.

3. 소년이 의자 위에 있다.

4. 소년이 아이가( ) 쿠키 쿠키 통에 를( ) 잡고 있다 훔치고 있다

( ).

5. 걸상이 기울어지고 있다 소년이 떨어진다( ).

6. 소녀는 쿠키를 잡으려고 한다(소년은 소녀에 게 쿠키를 건네준다).

혹은 소녀의 행동이나 소녀의 위치에 대한 일, , 부 언급들

7. 여자는 엄마는( ) 알아차리지 못한다.

각 주요 개념에서 밑줄 친 부분이 필수 정보이다 각 개념의 유무 정확성과 완. , 정성에 근거하여 채점

정확하고 완전한 개념 표현 AC:

정확하지만 불완전한 개념 표현 AI:

부정확한 표현 IN:

해당 개념의 부재 AB:

문자적 개념

< >

아이들 어린이들( ) 작은

소년 아이( ) 소녀 아이( ) 여자 의자 세 발 의자- ( ) 바닥에 뒤죽박죽

쿠키 과자( ) 높은 선반 찬장

문이 열린 채 손가락을 입에 대고

그녀 뒤에 아이들 ( )

싱크대 접시들

수돗물이 켜져 있다.

창문

흘러넘치다 바닥 위로

더러운 접시들이 남아 있다.

닿다.

잔디

보도 인도 길( , ) 집의 뒷문 옆문( ) 소년에 의해 해석적 개념

< >

오빠 여동생 누나( ) 꺼내다 훔치다( ) 여동생을 위해 여동생에게 건네주다 웃다 기쁘다( ) 엄마

재난 상황 큰일 났다( ) 설거지를 하다.

젖게 될 것 같다 부엌에서 떨어지다

흔들거림 비틀거림( , 균형을 잃다)

상처를 입다.

자신을 위해 쿠키통

쿠키를 얻기 위해 쉿 이라고 말하다

“ ”

도와주려고 한다 도와주려고( 하지 않는다)

말린다. (접시를 닦는다) 무시하다 백일몽( , 생각에 잠 겨 있다)

수치

표 세 집단의 주요개념에 대한 평균 표준오차&lt;3-1&gt;( ) (N=5) 표 에 대한 결과를 그림 에 제시하였다&lt;3-1&gt;&lt;3-1&gt;
표 세 집단의 문자적 개념과 해석적 개념의 평균 표준오차&lt;3-2&gt;( ) (N=5) 표 에 대한 결과를 그림 에 제시하였다&lt;3-2&gt;&lt;3-2&gt;

참조

관련 문서

Ø 집단 k개 중 어느 것과 어느 것의 평균이 같거나 다른지 알고자 함. Ø 어느 집단 간에 차이가 있는지

창의성 높으나, 지능

이에 본 연구자는 정상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카페인 섭취 전과 후 시간의 흐름 에 따라 음성의 음향학적 수치를 분석하고, 음향학적 수치의 변화가 남녀 집단

말더듬아동 집단과 일반아동 집단 간 학교적응 총 점수 평균을 비교한 결과, 말더듬 아동 집단이 일반아동 집단보다 낮은 학교적응 점수를 보이는

본 연구에서 가장 중요한 결과는 파지 단계에서 보이는 집단 비교 결과이다.연 구 결과,초기 연습단계에서 학습한 과제에 대한 절차적 기억량( 반응시간 결과) 의 경우

또한 집단별 상호작용 효과에 따른 각각의 집단(운동집단ㆍ통제집단)에 대한 측점별 구체적 차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반복측정에 의한 일원변량분석을 실시

효과에 대한 만족도는 두 집단 간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즉,효과에 있어서는 특기ㆍ적성 무용활동 참여자와 사설학원에서

그 결과 , 집단 간의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고 있었는데 위험회피 집단 이 불완전감 집단과 통제집단에 비해 뚜렷하게 높은 사고 실재 융합을 보이고 - 있었다.. 이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