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유방암 환자의 인지기능 측정도구 개발 정복례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유방암 환자의 인지기능 측정도구 개발 정복례"

Copied!
8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유방암은 우리나라 암 전체 유병률의 약 10%를 차지할 뿐 만 아 니라 여성에게서는 갑상선암 다음으로 두 번째로 유병률과 유병자 수가 많은 암으로서 2013년 대비 2014년에도 5.9%나 증가하였다.1) 이 는 유방암 발생빈도 증가와 함께 유방암 환자의 생존율 또한 높아 지면서 유방암을 가지고 삶을 유지하는 대상자가 많아지고 있음을 의미하며 유방암을 경험하면서 발생하는 문제에 대한 관심이 필요 함을 제시한다.

유방암으로 진단받은 환자들은 빈혈, 치료과정 동안의 신체적 고통, 갱년기 증상, 우울과 불안, 주관적 인지기능 저하, 삶의 질 저 하 등을 경험하는 것으로 밝혀졌다.2) 이 중 유방암 환자의 인지기능 저하는 항암화학요법을 적용한 후에 16~61%가 경험하는 것으로 나 타나3,4) 항암화학요법을 적용하는 유방암 환자에게 흔히 나타나는 증상임을 알 수 있다.5)

현재까지 항암화학요법을 받은 유방암 환자의 인지기능 저하는 다른 부위의 암 환자와 항암화학요법을 받지 않은 유방암 환자보다 높게 나타났다.6-7) 이는 인지기능저하가 자주 동반되는 약물로 알려 진 5-Fluorouracil, doxorubicin, cyclophosphamide 등이 유방암 치료 에 흔히 사용되는 항암제이기 때문일 수 있다.8)

유방암 환자들의 인지기능저하는 미묘하게 발생하며9) 치매와 노 화로 인한 인지기능 장애와는 달리 심리적 영향이 크다.10) 그러나 현 재 유방암 환자에게서 발생되는 인지기능저하를 측정하는 구체적 인 도구가 개발되어 있지 않아 정확한 실태파악이 어렵다.

현재까지 유방암 환자의 인지기능저하에 대한 실태는 계속 보고

되고 있으며3-10) 항암화학요법으로 가장 영향을 많이 받는 인지 범주

가 작업 기억과11) 기억력과 주의력이라는 것까지도 밝혀졌다.12) 그러 나 유방암 환자의 인지기능을 파악하기 위해 사용된 도구가 유방암

유방암 환자의 인지기능 측정도구 개발

정복례1 · 최은희2 · 김경덕3 · 김경혜4 · 변혜선2

1경북대학교 간호학과·간호과학연구소, 2영남이공대학교 간호학과, 3동양대학교 간호학과, 4경북보건대학교 간호학과

Development of the Cognitive Function Scale for Breast Cancer Patients

Chung, Bok Yae1 · Choi, Eun Hee2 · Kim, Gyung Duck3 · Kim, Kyung Hae4 · Byun, Hye Sun2

1College of Nursing, Research Institute of Nursing Scienc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2School of Nursing, Yeungnam University College, Daegu; 3Department of Nursing, Dongyang University, Yeongju; 4Department of Nursing, Gyeongbuk College of Health, Gimcheon, Korea

Purpose: This is the methodological study to develop the cognitive function scale for breast cancer patients. Methods: Study was

consisted with 1st and 2nd items developing and testify for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m. 94 breast cancer patients in 2 university hospitals and 1 general hospitals responded to a questionnaire that assessed cognitive function scale. Collected data were analysed us- ing the program SPSS/PC Win 21.0. Structural validity was determined factor analysis and convergent validity. This method yielded Cronbach’s α value as an internal consistency for the reliability. Results: Factor analysis resulted in six factors and 24 items accounted for 76.31% of the variance. Cronbach’s α of scale developed was high as a .95. Conclusion: The developed cognitive function scale in breast cancer patients scale has reliability and validity as linear analogue scale witch quantitatively measure the subjectivity. Over these results, providing the way on an assessment in cognitive function in effect for breast cancer patients, it is supposed to contribute the development of nursing knowledge about the cognitive function in breast cancer patients.

Key Words: Breast Neoplasms, Cognition

주요어: 유방암, 인지

* 본 논문은 2010년도 정부(교육과학기술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기초연구사업임(No. 2010-0011091).

* This research was supported by Basic Science Program through the National Foundation of Korea (NRF) Fund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No.

2010-0011091).

Address reprint requests to: Choi, Eun Hee

School of Nursing, Yeungnam University College, Daegu 42415, Korea Tel: +82-53-650-9388 Fax: +82-53-625-4705 E-mail: eh5472@ync.ac.kr Received: Oct 17, 2016 Revised: Jan 26, 2017 Accepted: Mar 15, 2017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3.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2)

환자의 특성을 반영한 것이 아닌 High Sensitivity Cognitive Screen (HSCS),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MMSE), 신경심리검사(Neu- ropsychiatric test) 등으로5,13-15) 노인, 치매 환자 및 신경계 문제가 있는 환자의 인지기능을 측정하기 위해 개발된 것을 사용하여, 유방암 환자의 인지기능을 측정하였다고 보기가 힘든 실정이다. 이러한 도 구들은 연구자의 의도에 따라 여러 도구를 통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으므로16) 유방암 환자의 인지기능에 대한 결과해석에 있어 타당 성이 의심될 수 있다.17) 이는 연구자가 현재 개발된 인지기능 도구들 을 복합적으로 측정도구에 포함시키게 되면 유방암 환자의 인지기 능을 민감하게 측정하기 힘들 수 있음을 의미한다.

유방암 환자를 대상으로 사용된 도구에 대한 평가로, Jansen, Mi- askowski, Dodd와 Dowling18)은 유방암 환자의 주의와 집중력을 측 정하는데 많이 사용되는 HSCS 중 집중을 측정하는 하부항목, Wechsler Adult Intelligent Scale (WAIS)의 digit와 Spatial span 검사 모 두가 민감성이 없다고 하였다. 또한 실행기능과 정보처리능력을 측 정하는데 많이 사용되는 Booklet Category Test, Trail Making Test (TMT)의 Part A와 B, HSCS의 하부항목인 자기조절과 계획 영역, Stroop test, WAIS 등도 민감하지 않은 것이 많으며, 다만 언어능력에 서만 HSCS가 작지만 유의하게 민감하다고 하였다. 이는 신경심리 검사가 개개인이 지각하는 인지기능의 미묘한 손상을 측정하기에 는 민감성이 떨어진다는 것을 의미하며19) 유방암 환자의 인지기능 을 민감하게 측정하기에는 부적절함을 알 수 있다. 왜냐하면 유방 암 환자의 인지기능저하는 뇌신경계 병변으로 인해 나타나는 전반 적인 인지기능 장애가 아니라 집중력, 학습 및 사고의 속도 장애, 기 억과 집중력 장애 등에 제한되기 때문이다.20,21) 즉, 정상적인 생활을 하면서 인지기능 장애를 호소하는 유방암 환자의 인지기능을 노 화나 신경계 기능 이상으로 야기되는 인지기능 장애와 동일한 도 구로 측정하는 것은 부적절하다.17)

이에 본 연구에서는 문헌고찰을 통해 항암화학요법을 받는 대상 자의 인지기능저하와 노화나 치매로 인한 인지기능저하의 차이가 있음을 파악한 후에 인지기능 측정도구를 개발함으로서 유방암 환자의 건강관리를 위한 기틀을 마련하고자 한다.

2. 연구목적

본 연구는 유방암 환자의 인지기능을 측정할 수 있는 도구를 개 발하여 신뢰도와 타당도를 평가하고자 하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 음과 같다.

첫째, 유방암 환자의 인지기능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를 잠정적 으로 개발한다.

둘째, 개발된 유방암 환자의 인지기능 측정도구의 신뢰도와 타당 도를 평가한다.

3. 용어 정의 1) 인지기능

인지기능이란 무엇을 알아차리고 지각하거나 함축적인 사고로 깨닫게 되는 지적인 과정을 의미하는 것으로 지각, 사고, 추리 및 기 억의 모든 측면과 관련된다.8) 본 연구에서는 문헌고찰을 통해 유방 암 환자에게 흔히 문제가 되는 인지영역과 본 연구의 질적 연구를 통해 분석되어지는 주제, 주제모음 및 범주를 의미한다.

4. 연구 제한점

본 연구에서는 유방암으로 진단받은 대상자에게 연구에 대한 동 의를 받는 것이 어려워, 도구개발을 위한 연구로는 표본수가 작았 다. 그러므로 연구결과를 일반화하기에는 제한이 있다고 사료된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유방암 환자 인지기능 측정도구를 개발하기 위한 방 법론적 연구로 1차 예비문항 작성, 2차 예비문항 작성, 신뢰도와 타 당도 검증의 3단계로 구성되어 있다.

1. 1차 예비문항 작성

1차 예비문항을 작성하기에 앞서 문헌고찰을 통해 유방암 환자 의 인지기능 영역이 기억력, 집중력과 실행력 등이5,11,13,21) 주요 영역 임을 파악하였다. 이후 유방암 환자를 대상으로 한 질적 연구를 시 행하였으며, 질적 연구에 참가한 연구대상자는 총 10명으로 모두 병원의 외래에서 치료 중인 환자와 추후 관리 중인 환자로 연령은 50대가 6명, 40대가 4명이었고 학력은 고졸이 9명, 대졸이 1명이었 다. 항암화학요법 기간과 관련해서는 1년 미만이 2명, 1년 이상에서 3년이 5명, 3년 이상이 3명이었다. 대상자의 질적 자료는 분석의 타 당성을 확인하기 위해 질적 연구를 수행한 경험이 있는 본 연구에 참여하는 교수가 내용분석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처음 분 석된 질적 연구참여자로부터는 10개의 범주, 27개의 주제모음과 64 개의 주제가 도출되었다. 그러나 정신적인 괴로움, 인지장애 대처전 략 및 중재 및 교육 프로그램의 필요성 범주에 해당하는 8개 주제 모음, 25개 주제는 인지기능 영역 저하에 따른 대처에 해당한다는 전문가들의 의견에 따라 삭제한 후에 인지장애와 직접적인 관련이 있다고 합의가 이루어진 총 7개의 범주, 19개 주제모음과 39개의 주 제가 Table 1과 같이 도출되었다.

2. 2차 예비문항 작성

전문가 집단의 내용 타당도를 검증을 받아 2차 예비 문항을 작성 하였다. 문헌 고찰과 질적 연구를 통해 구성된 1차 예비 문항의 내

(3)

용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유방암 환자를 간호한 경험이 있은 간호사 5인, 유방암 환자 치료를 전문으로 하는 의사 3인, 인지기능 관련 연구를 하는 심리학 교수 2인으로 구성된 전문가 집단을 구 성하여 도구의 내용타당도를 검증하였다. 검증 시 같은 범주에서 다른 문항과 내용이 중복되면서도 의미 전달이 덜 되어 내용타당 도 지수(CVI)가 0.8 이하로 나타난 문항은 제거하였으며 1차 예비

문항 작성을 위한 질적 연구의 주제를 설명할 수 있는 CVI가 0.8 이 상인 문항을 추출하였다.22) 마지막으로 대상자의 도구 이해도를 재 확인하기 위하여 1차 예비문항개발에 참여했던 대상자와는 다른 항암화학요법을 받고 있거나 받은 경험이 있는 유방암 환자 10명으 로 하여금 문항의 이해도를 검증 수정 하여 10점 linear analogue 척 도로 구성된 기억력(17), 지남력(6), 집중력과 주의력(9), 구조력(8), 실 Table 1. Experiences of Cognitive Function Disorder after Chemotherapy in Breast Cancer

Categories Theme clusters Themes

Memory Short-term memory disorder Forgetfulness like an amnesia

Reducing of moment memory Long-term memory disorder Delaying of past memory

Disconnecting of memories Working memory disorder Forgetting what doing

Forgetting what to do Language memory disorder Forgetting of words

Reducing of language fluency Visual memory disorder Forgetting of persons

Delaying of image memory Recognizing of memory decrease differences Mild reducing of memory

Sever memory reducing over than 50%

Reducing of memorization Differencing of number memory

Memory differencing of access number

Perception Reducing in sense of direction Confusing of place

Getting lost Reducing in sense of time Confusing of time

Entirely forget of time

Attention & concentration Reducing of attention Attention difference due to visual loss

Distraction

Not wishing to attention Reducing of concentration Not perception of danger

Burning food due to not turning off the gas

Organization Reducing of thinking power Spacing out

Thinking simply

Frantic like dementia Reducing of decision making Reducing of judgement Exectutive function Reducing of computability Difficulty of money account

Difficulty in solving of mathematics

Delaying of response Delaying of response

Understanding Reducing of learning ability Slowing of learning flow

Scaring of learning

Reducing of understanding Misunderstanding of book or newspaper

Not progressing of reading

Difficulty of analysis

Impetus Reducing of exercise function Slowing of acting

Reducing of muscle function

Dull of hand motion Slowing of hand motion

Difficulty of house work

(4)

행력(15), 이해력(5), 운동력(5)의 7개 영역의 총 65문항으로 수정·보 완하여 2차 예비문항을 작성하였다.

3. 신뢰도와 타당도 검증을 통한 도구 완성

양적 연구를 거쳐 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여 최종 도 구로 완성하는 단계이다.

유방암 환자는 유방에 발생하는 악성종양으로 치료를 받아야 할 사람으로17) 본 연구에서는 병원에서 유방암으로 진단 받고 수술 여부와 상관없이 항암화학요법을 치료적 요법으로 채택한 대상자 로 병실이나 외래에서 지속적으로 항암화학요법 치료가 진행 중인 환자를 의미한다.

본 조사에서는 대상자를 연구 표적 집단에서 선정하였다. 연구 대상은 D시 소재 3개 대학병원에 입원하거나 외래 및 주사실을 방 문한 전체 유방암 환자 9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표본크기는 G- power 3.1 for window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효과크기(f2) .3, 신뢰도(

α) .05, 검정력(1-β) .95로 하고 7개 요인을 변수로 했을 때 표본수가 81 명이었으므로 탈락율을 고려했을 때 96명은 적절하다고 할 수 있 으며 구체적인 선정기준은 다음과 같다.

- 항암화학요법을 받고 있거나 받은 자 - 자신이 유방암 환자임을 알고 있는 자

- 항암치료가 아닌 다른 2차적인 질환의 치료를 받고 있지 않는 자 - 본 연구목적을 이해하고 연구참여에 동의한 자

- 항암요법을 받기 전 인지기능 손상이 없었던 자

1) 자료수집

본 연구의 자료수집은 임상연구윤리위원회의 허락을 받은 후 (CR-11-019-PRO-01-R) 연구보조원 9인으로 구성된 팀이 수행하였 다. 연구보조원은 대학원생 3인과 학부생 6명으로 구성되었으며, 연구보조원 훈련을 위해 유방암 환자에게 이루어지는 항암화학요 법,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과 설문지 내용을 읽어 숙독하게 한 다음 의문점에 대해 질문하도록 하였고 질문에 답하여 자료수집에 대해 충분히 숙지하도록 하였다.

자료수집은 연구 보조원 9인이 3개 팀으로 나누어 유방암센터, 병 실과 외래를 방문하여 의사와 간호사로부터 환자를 소개 받은 후 환자에게 연구의 목적과 방법을 설명하여 환자가 연구참여를 허락 한 경우에 설문을 할 수 있도록 하였다. 환자 스스로 설문에 답할 수 있는 경우는 환자가 직접 하도록 하였으나, 환자가 스스로 기록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연구보조원이 설문지의 내용을 읽어 준 다음 설 문의 내용을 기록하였다. 환자가 너무 힘들어 하거나 고통스러워하 는 경우에는 자료수집을 중단 하였으며 설문을 중단하더라도 치료 또는 간호에는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설명하였다.

설문지는 총 96부를 배부하였으며 회수율은 100%였다. 그러나 무응답이 20% 미만인 경우만 하겠다는 연구자들의 원칙에서 벗어 난 2부를 제외하여 총 94부가 분석되었다.

2) 자료분석

설문 조사를 통해 수집한 자료는 SPSS/WIN Program (version 21.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질병 관련 특성은 빈도와 백분율로 분석하였으며 문항들 간의 상관성은 피 어슨 상관관계를 사용하였다. 구성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요인분 석을 하였으며, 요인분석의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 Kaiser-Meyer- Olkin (KMO)와 바틀렛 구형성 검증(Bartlett)을 한 후 Varimax회전 을 이용한 분석을 하였다. 수렴타당도와 하부요인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피어슨 상관관계를 분석하였으며 내적 일관성 은 Cronbach’s α 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1. 대상자 특성

본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나이, 경제 상태, 학력 수준, 결혼 상태, 직업 유무, 종교, 가족구성형태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나이 는 51~60세가 40.2%, 41~50세가 34.8%로 가장 많았으며, 경제 상태 는 ‘중’ 정도가 79.6%, 학력은 고졸이 44.1%, 결혼을 한 경우가 81.7%

로 나타났다. 직장을 가지고 있는 사람은 21.1%, 종교가 있는 사람 이 83.9%였다. 질병 치료 관련 특성으로 대상자의 유방암 치료를 위 해 항호르몬제제를 투여 받은 대상자는 28.6 %였고 항호르몬제 복 용 기간은 1년 미만이 42.1%였고, 항암화학요법 치료 기간은 1개월 미만이 84.0%였다(Table 2).

2. 신뢰도 검증

본 연구에서 개발된 5개 요인의 총 24문항의 각 하부 요인의 신뢰 도는 Cronbach’s α 계수가 기억력 .94, 실행력 .91,주의력과 집중력 .93, 구조력 .88 및 지남력 .74로 나타나 하부요인의 신뢰도가 유지되 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Table 3). 또한 24개 항목의 신뢰도 계수인 Cronbach’s α 는 .95 으로 높게 나타나 도구 측정이 일관성이 있음 을 알 수 있었다(Table 4).

3. 타당도 검증

본 연구에서는 도구의 구성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유방암 환 자를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일차적으 로 65 문항을 분석하여, 각 문항 간의 상관계수가 r<.30 또는 r >.90 로 나타나는 문항은 이를 제거하였다.

(5)

첫 번째 요인분석에서 12문항(8, 9, 10, 20, 30, 35, 38, 39, 40, 43, 44, 46)은 어느 문항에도 유의하게 적재되지 않았다. 이 후 반복적으로 유의하게 적재되지 않는 문항을 삭제한 후 요인분석을 계속한 결 과 최종적으로 24개 문항 5 개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를 구체적으 로 확인하면 요인 1은 7문항, 요인 2는 6문항, 요인 3은 4문항, 요인 4 는 5문항, 요인 5는 2문항으로 나타났으며 이 도구의 설명력은 76.31%였다(Table 5).

하부척도가 특유의 속성을 가지고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하부척도의 상관관계와 신뢰도계수를 측정한 결과 하부척도 간

의 상관계수는 하부척도 내의 Cronbach’s α계수보다 낮게 나타나 각각의 하부척도가 특유의 속성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 다(Table 3).

논 의

현재까지 유방암 환자의 인지기능 확인은 치매와 노화와 같은 기질적 변화로 인한 인지기능변화와는 차이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10) HSCS, MMSE와 신경심리검사 등을 통해 측정되었다.13-15) 특히, 노 인과 치매 환자 및 신경기능 이상으로 인해 감소된 전반적인 인지 기능을 측정하기 위한 MMSE는 인지기능 중 시공간 기능과 집행 기능에 집중되어 있어23,24) 유방암 환자의 주요한 인지기능 장애 영 역이 기억력과 주의력인 것을 감안한다면11,12) 부적합한 면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문헌고찰과 질적 연구를 통하여 문항 개발 을 시행한 후, 문항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여 항암화학요법 을 받는 유방암 환자의 인지기능을 측정하는데 민감한 도구를 개 발하고자 하였다.

먼저 1, 2차 예비문항 작성을 위해 항암화학요법을 시행한 유방 암 환자를 대상으로 질적 연구와 내용타당도 검사를 시행한 결과 기억력 범주에 해당하는 주제가 14개로 가장 많았으며 주의력과 집중력과 이해력이 각각 5개로 다음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유방암 환자의 인지기능 저하가 기억력이 가장 영향을 많이 받는다는 기 존 연구들의11,12) 결과를 지지하고 있어 본 연구에서 수행된 질적 연 구의 타당도가 유지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신뢰도와 타당도 검증을 통해 도구를 개발하기 위해서 상관관 계 분석을 한 결과 상관계수가 .3 미만이나 .9를 초과하는 것은 군 집을 이룰 가능성이 희박하거나 중복적 내용을 지닌 문항이므로

22) 본 연구에서는 제거하였다. 처음 상관관계 분석을 하였을 때 31 번 문항과 32번 문항의 상관계수가 .95, 50번과 52번 문항의 상관계 수가 .94, 문항 56번과 57번 문항의 상관관계가 .96, 63번과 64번 문 항의 상관관계가 .91로 매우 높게 나타나 서로 같은 내용이라 할 수 있으므로 포괄적 의미를 가지고 있는 문항인 31, 50, 57, 64번 문항을 Table 2. Characteristics of Subjects (N=94)

Characteristics Categories n (%)

Age (year) 35~40

41~50 51~60 61~75

6 32 37 17

(6.5) (34.8) (40.2) (18.5) Economic state High

Middle Low

1 70 17

(1.1) (79.6) (19.3) Education level ≤Middle school

High school College or university

29 41 23

(31.2) (44.1) (24.7) Marital status Single/divorced/

separated/widowed Married

17 76

(18.3) (81.7)

Occupation Yes

No 19

71 (21.1) (78.9)

Religion Yes

No

78 15

(83.9) (16.1) Antiestrogen medication Yes

No

26 65

(28.6) (71.4) Duration with antiestro-

gen medication (year)

< 1 1~2

≥2

8 6 5

(42.1) (31.6) (26.3) Duration with cancer che-

motherapy (year) < 1 1~2

≥2

68 10 3

(84.0) (12.3) (3.7) Note. Missing data is excluded.

Table 3. Inter-subscale Correlations and Reliability Coefficients of Each Scale

Factors 1 2 3 4 5

Cronbach’s α

r (p) r (p) r (p) r (p) r (p)

1 1 .94

2 .53 (<.001) 1 .91

3 .58 (<.001) .48 (<.001) 1 .93

4 .56 (<.001) .62 (<.001) .67 (<.001) 1 .88

5 .54 (<.001) .54 (<.001) .47 (<.001) .48 (<.001) 1 .74

(6)

선택하였다. 또한 상관계수가 .30 이하인 3, 4, 5, 6, 7, 10, 20, 21, 33, 35, 36, 42, 53, 59, 61번 문항이 제거되어 결과적으로 65문항 중 19문항 을 제외하고 46문항이 요인분석에 사용되었다.

구성타당도는 측정 개념과 이론적 개념의 연결을 확인하는 것으 로22) 본 연구에서 구성타당도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요인분석을 하 였다. 요인회전방식은 각 요인의 특성을 알고자 하는데 유용한 직 교회전인 Varimax를 이용하였다. 요인추출은 요인고유치(eigen value)가 1.0 이상인 것과 스크리 도표 상 기울기가 평탄해지는 지점 을 기준으로 총 8개의 요인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40 이상의 요인 적재값이 2개가 있는 것은 유클라디안 거리가 상대적으로 멀어 개 념의 동질성이 낮은 것을 확인한 후 삭제하여 최종 5개 영역 24문 항이 추출되었다. 개발된 유방암 환자 인지기능 측정도구의 구성 타당도는 요인분석을 시도한 결과 5개 요인의 24개 문항으로 총 설 명변량은 76.31%로 나타났다. 각 영역별로 살펴보면 제 1요인인 기 억력에서 7개로 가장 많은 문항 수가 포함되어 유방암 환자의 인지 기능 특성을 나타낸 것이라 할 수 있으며 문항별로 ‘나는 냉장고 문 을 열어놓고 무엇 때문에 열었는지 모를 때가 있다’ 가 가장 높았다.

이는 본 연구의 질적연 구에서 도출된 결과를 지지하고 있으며 Shilling과 Jenkins20)의 연구에서 유방암 환자의 인지기능 저하가 기억력과 집중력에 편중되어 있다고 보고한 논문과 유사하다고 할

수 있으므로 유방암 환자의 기억력 변화가 인지기능 변화의 많은 부분을 차지함을 지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 도구의 신뢰도를 검증한 결과 Cronbach’s α 값이 .95 으로 높게 나타나 내적일관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 서 신뢰도의 정도가 높게 나타난 것은 유방암 환자의 인지기능을 측정하는 문항을 도출하기 위해 문헌 고찰과 질적 연구를 수행하 였을 뿐 만 아니라 유방암 환자의 인지를 표현할 수 있는 의사, 간호 사, 심리학자 및 표적 대상자인 유방암 환자에게도 문항의 구성과 의미의 이해에 대한 의견을 수렴한 3차에 걸친 내용타당도를 파악 한 결과로 사료된다.

그러므로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도구는 신뢰도와 타당도가 비 교적 높은 도구로서, 일상생활에서 민감한 변화를 보이고 있는 유 방암 환자의 인지기능을 측정할 수 있도록 대표성과 동질성이 잘 반영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Chung 등25)이 한국연구재단의 연 구비로 항암화학요법을 받은 유방암 환자를 대상으로 도구개발에 대한 보고서를 제출했을 뿐만 아니라, 2013년 도구개발에 참여한 Kim 등26)이 본 도구를 사용하여 유방암 생존자와 중년여성의 갱년 기 증상 및 인지기능 비교하면서 타당도를 증명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 제한점에서도 제시하였듯이 대상자 수를 확대하여 타당도를 높이는 후속연구가 필요하며 객관적인 지표인 생화학적 지표와의 Table 4. Reliability of Each Subscale

Factors No Item Corrected term

- total correlation

Memory 1

2 3 4 5 6 7

Forgetting why I open refrigerator Forgetting purpose of doing Write on memo not to forget Hard to remember where key is Experiences for difficulty on speaking Feeling stupid myself

Absentminded

.77 (<.001) .76 (<.001) .69 (<.001) .73 (<.001) .74 (<.001) .84 (<.001) .78 (<.001)

Executive function 12

13 14 15 17 18

Sloppy work

Slower in writing or cooking than before Difficult to do more than 2 things at a time Slower working speed than before Forgetting of promise

Misunderstanding about time

.63 (<.001) .64 (<.001) .61 (<.001) .66 (<.001) .66 (<.001) .70 (<.001) Attention & concentration 21

22 23 24

Difficult concentration on working Difficult concentration on minor things Difficult reading a newspaper constantly Difficult listening carefully

.72 (<.001) .70 (<.001) .71 (<.001) .70 (<.001)

Organization skill 25

27 29 32 33

Not careful decision making Difficult thinking carefully Difficult decision making Loss of direction senses Difficult collecting the data

.66 (<.001) .59 (<.001) .60 (<.001) .53 (<.001) .70 (<.001)

Perception 41

42 Repeated newspaper reading

Repeated asking because of misunderstanding .68 (<.001) .65 (<.001)

Cronbach’s α .95

(7)

Table 5. Factor Loadings and Accumulative Variance in the Items (N=94) No Factor loading-Ia Factor loading-IIb Factor loading-IIIc Factor loading-IVd

1 2 3 4 5 6 7 8 1 2 3 4 5 6 1 2 3 4 5 1 2 3 4 5

1 .82 .82 .84 .84

2 .82 .84 .84 .84

3 .81 .80 .83 .83

4 .81 .81 .81 .81

5 .76 .78 .79 .79

6 .69 .69 .70 .71

7 .61 .68 .68 .70

8 9 10 11 .53

12 .83 .88 .90 .90

13 .82 .82 .84 .84

14 .70 .71 .73 .73

15 .68 .69 .68 .68

16 .68

17 .63 .62 .62 .61

18 .61 .67 .70 .70

19 .59

20

21 .83 .84 .85 .86

22 .83 .82 .86 .86

23 .80 .83 .83 .83

24 .69 .69 .69 .70

25 .72 .79 .65 .64

26 .63

27 .61 .68 .77 .76

28

29 .58 .63 .59 .57

30 31

32 .79 .78 .82 .82

33 .68 .66 .66 .65

34 .61

35

36 .71

37 38 39 40

41 .77 .73 .70 .71

42 .74 .66 .73 .75

43 44

45 .60 .56

46

TVE 73.36 76.83 75.17 76.31

TVE=Total variance explained; Criteria of value of loading>.50.

aKaiser-Meyer-Olkin (KMO)=.86, Bartlette’s test of sphericity=4,616.31, p<.001; bKaiser-Meyer-Olkin (KMO)=.86, Bartlette’s test of sphericity= 2,418.54, p<.001; cK- aiser-Meyer-Olkin (KMO)=.87, Bartlette’s test of sphericity=1,966.96, p<.001; dKaiser-Meyer-Olkin (KMO)=.86, Bartlette’s test of sphericity=1,905.17, p<.001.

(8)

관계를 파악하는 것도 유용할 것이라 사료된다.

결 론

본 연구는 항암화학요법을 받는 유방암 환자의 인지기능 측정을 위해 보다 쉽고, 사용이 간편하며, 신뢰성과 타당성이 높은 도구를 개발하기 위한 방법론적 연구이다. 본 연구에서 항암화학요법을 받는 유방암 환자의 인지기능 저하는 기억력 범주가 가장 많았으 며 이에 근거하여 예비문항이 개발되었다. 그러므로 항암화학요법 을 받는 유방암 환자의 인지기능을 측정할 수 있는 특이성이 높은 도구라 사료된다. 특히 연구를 통해 개발된 유방암 환자의 인지기 능 측정도구는 전문가 집단의 반복적인 검증 뿐 만 아니라 표적 집 단인 유방암 환자의 내용타당도 검증을 통해 타당성을 확보하려 고 노력하였으며 10점 linear analogue 척도로 구성되어 대상자가 응 답하는데 용이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도구의 타당성 확보를 위 해 대상자 수를 확대한 반복연구를 통해 도구를 정련화할 필요가 있다.

REFERENCES

1. Statistics Korea. Cancer registration statistics: 24 cancers [Internet].

Available from: http://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17&

tblId=DT_117N_A00023 [Accessed January 20, 2017].

2. Lee JR, Oh PJ. Cognitive decline and quality of life among patients with breast cancer undergoing chemotherapy: the mediating effect of health promotion behavior. Korean J Adult Nurs. 2016;28:202-12.

3. Jansen CE, Cooper BA, Dodd MJ, Miaskowski CA. A prospective lon- gitudinal study of chemotherapy-induced cognitive changes in breast cancer patients. Support Care Cancer. 2011;19:1647-56.

4. Collins B, Mackenzie J, Kyeremanteng C. Study of the cognitive effects of chemotherapy: considerations in selection of a control group. J Clin Exp Neuropsychol. 2013;35:435-44.

5. Tager FA, McKinley PS, Schnabel FR, El-Tamer M, Cheung YK, Fang Y, et al. The cognitive effects of chemotherapy in post-menopausal breast cancer patients: a controlled longitudinal study. Breast Cancer Res Treat. 2010;123:25-34.

6. Shockney LD. Breast cancer survivorship care: a resource for nurses.

Sudbury, MA: Jones and Bartlett; 2011.

7. Quesnel C, Savard J, Ivers H. Cognitive impairments associated with breast cancer treatments: results from a longitudinal study. Breast Can- cer Res Treat. 2009;116:113-23.

8. Wefel JS, Saleeba AK, Buzdar AU, Meyers CA. Acute and late onset cognitive dysfunction associated with chemotherapy in women with breast cancer. Cancer. 2010;116:3348-56.

9. Brezden CB, Phillips KA, Abdolell M, Bunston T, Tannock IF. Cogni- tive function in breast cancer patients receiving adjuvant chemother-

apy. J Clin Oncol. 2000;18:2695-701.

10. Bender CM. Chemotherapy may have small to moderate negative ef- fects on cognitive functioning. Cancer Treat Rev. 2006;32:316-9.

11. Calvio L, Peugeot M, Bruns GL, Todd BL, Feuerstein M. Measures of cognitive function and work in occupationally active breast cancer sur- vivors. J Occup Environ Med. 2010;52:219-27.

12. Oh PJ, Kim JH. Chemotherapy related cognitive impairment and qual- ity of life in people with colon cancer: the mediating effect of psycho- logical distress. J Korean Acad Nurs. 2016;46:19-28.

13. Vardy J, Wong K, Yi QL, Park A, Maruff P, Wagner L, et al. Assessing cognitive function in cancer patients. Support Care Cancer.

2006;14:1111-8.

14. Yamada TH, Denburg NL, Beglinger LJ, Schultz SK. Neuropsychologi- cal outcomes of older breast cancer survivors: cognitive features ten or more years after chemotherapy. J Neuropsychiatry Clin Neurosci.

2010;22:48-54.

15. Lejbak L, Vrbancic M, Crossley M. Endocrine therapy is associated with low performance on some estrogen-sensitive cognitive tasks in postmenopausal women with breast cancer. J Clin Exp Neuropsychol.

2010;32:836-46.

16. Debess J, Riis JØ, Engebjerg MC, Ewertz M. Cognitive function after adjuvant treatment for early breast cancer: a population-based longitu- dinal study. Breast Cancer Res Treat. 2010;121:91-100.

17. Freeman JR, Broshek DK. Assessing cognitive dysfunction in breast cancer: what are the tools? Clin Breast Cancer. 2002;3 Suppl 3:S91-9.

18. Jansen CE, Miaskowski CA, Dodd MJ, Dowling GA. A meta-analysis of the sensitivity of various neuropsychological tests used to detect che- motherapy-induced cognitive impairment in patients with breast can- cer. Oncol Nurs Forum. 2007;34:997-1005.

19. Cimprich B, So H, Ronis DL, Trask C. Pre-treatment factors related to cognitive functioning in women newly diagnosed with breast cancer.

Psychooncology. 2005;14:70-8.

20. Shilling V, Jenkins V. Self-reported cognitive problems in women re- ceiving adjuvant therapy for breast cancer. Eur J Oncol Nurs. 2007;11:6- 15.

21. Wefel JS, Lenzi R, Theriault RL, Davis RN, Meyers CA. The cognitive sequelae of standard-dose adjuvant chemotherapy in women with breast carcinoma: results of a prospective, randomized, longitudinal trial. Cancer. 2004;100:2292-9.

22. Lee EO, Lim NY, Park HA, Lee IS, Kim JI, Bae JL, et al. Nursing research and statistical analysis. Paju: Soomoonsa; 2009.

23. Harvan JR, Cotter V. An evaluation of dementia screening in the pri- mary care setting. J Am Acad Nurse Pract. 2006;18:351-60.

24. Shulman KI. Clock-drawing: is it the ideal cognitive screening test? Int J Geriatr Psychiatry. 2000;15:548-61.

25. Chung BY.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cognitive function en- hancement program for breast cancer patients receiving chemotherapy.

Seoul: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013.

26. Kim GD, Chung BY, Kim KH, Byun HS, Choi EH. Comparison of cli- macteric symptoms and cognitive impairment in breast cancer survi- vors and healthy women. Asian Oncol Nurs. 2013;13:11-7.

수치

Table 3. Inter-subscale Correlations and Reliability Coefficients of Each Scale
Table 5. Factor Loadings and Accumulative Variance in the Items   (N=94) No Factor loading-I a Factor loading-II b Factor loading-III c Factor loading-IV d

참조

관련 문서

[r]

내과적, 외과적 질환으로 치료를 받고 있는 환자의 경우, 다양한 정신과적 증상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평 가 및 적절한 치료가 필요하게 된다. 스트레스

[r]

[r]

사후 만 측정 하였지만 본 연구에서는 인지기능 우울 삶의 질을 , , 3 차례 반복측정 하고 분석하여 IT -healthcare 프로그램 치매 예방 프로그램이 신체적 건강과

-공간의 폐쇄성이 결여되어 장소적 특징이 약함 -보행자전용도로, 녹도 등으로 단조로운 공간에 특성을 부여하는 것이

Ashke naz i등 3 2 은 악치모형이나 환자의 구강 내에서 칫솔질 방법을 시범보이고,환 자가 자신의 구강 내에서 실습교육을 하는 동안 검사자가 잘못된 점을

이때, 쓰이는 것이 바로 기구가 과학적 원리를 이용한 것들이다.. 유능한 의사는 얼마나 정확하게 환자의 질병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