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이 연구는 년도 선문대학교 교내연구비에 의하여 연구되었다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이 연구는 년도 선문대학교 교내연구비에 의하여 연구되었다"

Copied!
25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예술적 창조성에 대하여 시각적 사고 예술적 창조성에 대하여 시각적 사고 예술적 창조성에 대하여 시각적 사고 예술적 창조성에 대하여 시각적 사고‘‘‘‘ ’’’’ 개념이 지니는

개념이 지니는 개념이 지니는

개념이 지니는 함축적 의미에 관한 연구함축적 의미에 관한 연구함축적 의미에 관한 연구함축적 의미에 관한 연구 ****

영 ********

들어가기 들어가기 들어가기 들어가기 I.

I.

I.

I.

예술작품을 창작하는 과정에는 독창적인 방식으로 문제를 발견하고 해결하는, 창조적인 문제해결 능력이 요구된다 시인들은 적절한 단어를 찾아내야 하고 화가. , 는 자신이 의도한 의미를 시각적 매체를 사용하여 자신의 독창적인 방식으로 표현 하는 적절한 방법을 찾아내야 한다 그리고 작곡가는 한 멜로디를 가장 잘 완성하. 고 적절한 분위기를 나타내는 화음을 결정해야한다.

과거에는 이러한 창조적인 능력은 몇몇 특별한 재능을 소유한 사람들에게만 한 정된 것으로 간주되었다 오직 창조적 천재만이 순수한 창조적 사고를 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천재론. ‘ (genius view)’이라는 이 견해는 소위 천재라고 알려진 사람들의 자기보고(self report)1)에 의하여 지지되어 왔다.2) 이와 같은 견해에 기 초하여 창조성에 대한 연구는 주로 보통 사람들과 구별되는 창조적인 사람들의 개

이 연구는 년도 선문대학교 교내연구비에 의하여 연구되었다

* 1999 .

선문대학교 산업심리학과 교수

** .

1) 이는 위대한 창조적 업적을 남긴 과학자 예술가 등이 자서전적 보고를 통 , 해 창조적 발견의 과정에 대하여 기술한 것들을 말한다.

2) R. W. Weisberg, “Problem solving and creativity”, In R. J.

Sternberg(ed.), The nature of creativity-Contemporary psychological

perspectiv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1988, pp.148-176

조.

(2)

인적 특성에 초점을 맞추어 진행되어 왔다.

최근에는 창조적인 사람들이 보이는 개인적 특성보다는 창조적 과정에서 작용하 는 인지적 기제에 대한 연구를 통해서 창조성에 관한 문제에 접근하려는 시도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창조적 과정에서 작용하는 사고의 과정에 대하여 많은 예. 술가들과 과학자들은 자신들의 다양한 생각을 기술하여 왔다 시인 아미 로웰. 은 창조적 과정을 전적으로 무의식적으로 그리고 설명할 수 없는 과 (Amy Lowell)

정으로 기술하고 있고 초현실주의 화가인 막스 에른스트(Max Ernst)도 창조적 과 정에 대한 유사한 설명을 하고 있다 에른스트에 따르면 그는 마치 자신의 작품의. 출생을 지켜보는 관찰자와 같이 느꼈다고 기술하고 있다 그러나 이런 설명과는. 정반대로 에드거 엘른 포(Edgar Allan Poe)는 창조적 과정을 우연과 직관을 배제 한 채 철저하게 의식적 계산적 과정에 의하여 지배되어지는 것으로 기술하고 있, 다.3) 이와 같은 상이한 견해에도 불구하고 많은 예술가들과 과학자들의 자기보고 에 의하면 창조적 과정에는 합리적인 의식적인 과정은 물론 의식적 과정 자체의, , 산물이라고 여겨질 수 없는 영감(inspiration) 즉 직관의 과정이 관여하고 있다는, 것을 시사해주고 있다.

그러나 최근의 인지심리학자들은 창조성은 특별한 사람만이 가지는 특수한 능력 이 아니고 일반 사람 모두가 가지고 있는 인지라는 정신작용의 하위개념으로 받아 들이고 있다 따라서 인지심리학자들은 창조적 과정의 비논리적 무의식적 특성을. , 배제하고 창조적 사고과정을 일반적인 문제해결과정과 동일한 인지적 기제에 의하 여 설명 가능한 것으로 간주하고 창조적 사고과정에 내재하는 인지적 기제를 연구 하고 있다.

본 논문은 창조적 사고과정에 대한 설명에서 제기되는 몇 가지 쟁점들을 예술가 들과 과학자들의 창조적 사고과정에 대한 내성적 고찰을 통한 자기보고와 인지심 리학자들의 연구결과에 비추어 구체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루돌프 아른하. (R. Arnheim)의 시각적 사고의 개념이 창조성의 맥락에서 지니는 함축적 의미를 고찰해보고 창조성에서 제기되는 쟁점들의 이해에 기여할 수 있는 측면들에 대하 여 살펴보고자 한다.

3) E. Winner, Invented worlds: The psychology of the Arts, Harvard

University Press, Cambridge, 1987, pp.36-37.

(3)

창조성에서 제기되는 몇 가지 쟁점들 창조성에서 제기되는 몇 가지 쟁점들 창조성에서 제기되는 몇 가지 쟁점들 창조성에서 제기되는 몇 가지 쟁점들 II.II.

II.II.

새로운 것을 발명하는 것과 같은 창조적 행위는 이미 잘 알려진 방법을 단순히 적용하는 것을 포함하지만 또한 발견의 행위를 요구한다 창조적 행위는 이전에. 알려지지 않은 기대되지 않은 아이디어가 갑자기 마음에 떠오르는 통찰, (insight) 형태로 나타난다 이러한 창조적 발견의 과정에 대한 특성들은 특히 유명한 발명. 가 학자 예술가들의 자기보고에 자주 나타난다, , .4) 대표적인 것으로 아르키메데스

의 예를 들 수 있다 (Archimedes) .

1) 그리스 학자인 아르키메데스는 왕관이 순수한 금으로 되어있는지 또는 은이 섞여 있는지 결정해야 하는 문제에 봉착해 있었다 금의 밀도와 왕관의 무게를 . 알고 있었기에 아르키메데스는 순도를 측정하기 위해 왕관의 부피를 측정해야 만 했다 그러나 왕관의 형태는 매우 불규칙해서 그것을 녹여서 측정하지 않고 . 는 왕관의 부피를 측정할 수가 없었다 아르키메데스는 얼마간 그 문제를 가지 . 고 고심을 해왔지만 해결책을 찾지 못했다 그러던 어느 날 그가 자신의 몸을 . 욕조 속에 푹 담그었을 때 욕조의 수위가 높아지는 것을 알아차렸다 아르키메 . 데스는 순간적으로 아무리 불규칙한 형태의 물체라도 액체 속에 담그면 그 물 체의 부피를 측정할 수 있다는 것을 깨닫게 되었다.

5)

2)

발견의 과정에 대한 이와 같은 특징은 예술적 창조성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시인 콜러리지. (Coleridge)는 쿠브라 칸 (Kubra khan)’이란 대작을 쓰기 위해 특별한 노력 없이 단지 눈앞에 떠오른 이미지를 보고 단숨에 그것을 써 내려 갔을 뿐이라고 기술하고 있다 이와 유사한 내용이 자주 인용되는 모차르트.

4) Weisberg, “Problem solving and creativity” 참조 .

5) P. Langley and R. Jones, “A computational model of scientific insight”, In R. J. Sternberg(ed.), The nature of creativity-Contemporary psychological 아르키 perspectiv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1988, p179.

메데스는 이 통찰의 순간 너무나 기쁜 나머지 욕조에서 뛰쳐나와 발가벗은

채로 거리로 달려나와 Eureka!( 나는 발견했다 를 외쳐댔다고 한다 !) .

(4)

의 편지 속에서도 나타난다.

내가 건강하고 기분이 좋을 때 식사후 드라이브를 하거나 산책을, 할 때 또는 밤에 잠을 이룰 수 없을 때 생각들은 당신이 소망하듯이, 그렇게 쉽게 나의 마음속으로 밀려들어옵니다 어디에서 그리고 어떻. 게 그들이 나타나는가 나는 알지 못합니다 그들은 나와 아무런 관계? . 가 없습니다 그들은 나를 기쁘게 합니다 나는 머리 속에 그들을 간직. . 하고 흥얼거려 불러보곤 하지요 그리고 기껏해야 다른 사람들이 내가. 그렇게 하고 있다는 것을 나에게 말해줍니다 일단 한번 테마를 갖게. 되면 전체로서의 구성의 요구에 적합하면서 앞부분에 잘 어울리는 다 른 일련의 멜로디들이 떠오릅니다.6)

발견 또는 창조의 과정에 대한 이와 같은 자서전적 보고는 창조성에 대한 몇 가 지 흥미 있는 문제들을 제기하도록 하고 이에 대한 논의는 창조성에 대한 이해를, 깊게 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일반적 문제해결과정과 창조적 문제해결과정 일반적 문제해결과정과 창조적 문제해결과정일반적 문제해결과정과 창조적 문제해결과정 일반적 문제해결과정과 창조적 문제해결과정 1.

1.

1.

1.

위에 기술한 두 가지 예는 창조적 사고는 습관적이지 않은 과거의 경험과는 동, 떨어진 방식으로 사고하도록 하고 그래서 매우 독창적인 방식으로 문제를 해결하 고 있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이러한 일상적인 견해에 일치하도록 창조성은 독. 특하고 질적으로 매우 가치가 있는 아이디어를 생각해 낼 수 있는 개인의 능력 으 로 또는 새롭고 (novel) 적절한(appropriate)것을 생성해낼 수 있는 개인의 능력 으로 정의되고 있다.7) 동일한 의미에서 보덴(Boden)8)은 산출물이 근본적으로 새

6) Weisberg, “Problem solving and creativity”, p.149.

7) B. A. Hennessey and T. M. Amabile, “The conditions of creativity”, In R. J. Sternberg(ed.), The nature of creativity-Contemporary psychological 참 perspectiv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1988, pp.11-38 조.

8) M. Boden, “Modeling creativity: reply to reviewers”, Artificial Intelligence, 참조 에 의하면 창조적인 문제해결 과정이 일반적 79, pp. 161-182 . Perkins

인 문제해결 과정과 구별되기 위해서는 문제공간에서 해결이 쉽지 않거나 희소성의 문제 규칙을 바꾸지 않으면 도달할 수 없는 다른 공간에 해결책

( ),

(5)

로운 것이어야 하고 규칙을 바꾸거나 규칙을 넘어서는 휴리스틱스(heutistics)를 포 함하고 있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하다마드(Hardamard)9)는 창조성에 대한 그의 이론에서 창조적 사고과정에 대 한 특성을 다음과 같이 기술하고 있다 새로운 아이디어의 발견에는 준비단계: 를 거치게 된다 이 단계동안 정신활동은 문제에 즉각적으로 관련이 (preparation) .

있는 아이디어를 떠올리도록 한다 이러한 기존의 지식에 기초한 아이디어들이 문. 제해결에 성공적이지 못할 때 자신의 관심이 문제로부터 벗어나 있는 듯한 부화단 (incubation)가 이어진다 이 단계에서는 무의식적으로 초기의 준비단계에서 제. 기된 아이디어를 통합하여 대안적 해결책을 강구한다 이 무의식적 과정이 가능성. 이 있는 대안을 이끌어 내면 이 결과를 의식에 보내어져서 통찰의 순간을 경험하 는 조명단계(illumination)가 나타난다 이 새로운 아이디어는 다음단계인 검증단계.

에서 의식적으로 그 가능성이 검증된다

(verification) .

창조적 사고를 일반적 문제해결과정과 구별하는 다른 이론으로 형태심리학 이론 이 있다 형태심리학자들은 과거의 경험을 체계적으로 적용하여 문제에 접근하는. 재생적 사고 와 문제공간의 재구성을 통하여 새로운 아이디

(reproductive thinking)’

어를 창조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생산적 사고 (productive thinking)’를 구분하였다. 생산적 사고는 재생적 사고와는 다르게 문제상황을 기존의 과거 경험에 의존한 방 식으로부터 벗어나 새로운 시각 새로운 관점에서 문제를 바라보는 것을 의미한, 다.10)

그러나 대부분의 인지심리학자들은 두 가지 문제해결과정의 차이는 유형의 문제 가 아니라 정도의 문제라고 간주한다.11) 이들에 의하면 창조적 사고과정은 문제해 결과정과 같이 주어진 문제공간에서 여러 가지 조작을 통해 목표상태에 도달하는,

이 존재해야 하거나 고립의 문제 ( ), 해결책에 근접하기는 쉽지만 적중하기는 쉽지 않거나 오아시스 문제 ( ), 공간상에서 방향설정이 쉽지 않은 것 고원의 ( 문제 과 같은 문제들 중 최소한 하나 이상을 지니고 있어야 한다고 한다 ) .(D.

Perkins, “Creativity: Beyond the Darwinian paradigm”, In M. Boden(ed.), 참조 Dimensions of creativity, MIT Press, Cambridge, 1994, pp.119-142 .) 9) J. Hardamard, An essay on the psychology of invention in the

참조 mathematical field, Princeton University Press, New York, 1945 . 10) M. Wertheimer, Productive thinking, Harper & Row, New York, 1959 참

조.

11) Weisberg, “Problem solving and creativity”, pp.148-176 참조 .

(6)

검색의 과정으로 이해되어 진다 즉 독창적인 문제해결도 기존의 지식을 체계적이. 고 논리적인 방식으로 검색하고 이를 평가하는 과정을 통해 이루어진다.12) 창조적 사고가 기억에 기초한 체계적이고 논리적인 탐색의 과정으로 이해된다면 논리적 사고와 과거경험이 창조성의 중요한 결정 요인이 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다양. 하고 새로운 아이디어를 많이 생성하기 위해서는 많은 과거의 경험이 도움이 된 다.13) 하다마드와 많은 인지심리학자들의 주장에 의하면 창조적 문제해결에는 관 련 분야에 대한 많은 경험과 지식이 중요함을 시사해주고 있다.

그러나 창조적인 문제해결과정은 독창적이고 새로운 아이디어를 생성해야 하고 이는 기존의 지식을 이용한 체계적인 논리적 탐색만으로는 불가능하다 이와는 다. 른 변형적인(transformational) 조작을 가능하게 하는 인지적 조작이 필요하다 물. 론 창조적 사고에는 충분한 기존의 지식과 이들의 논리적인 탐색과 이들에 대한 평가가 요구된다 그러나 새롭고 독창적인 아이디어의 생성에는 기존의 논리적인. 탐색과는 다른 소위 논리적 도약이라는 인지적 과정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

순간적 과정과 점진적 과정 순간적 과정과 점진적 과정순간적 과정과 점진적 과정 순간적 과정과 점진적 과정 2.2.

2.2.

창조적 과정이 순간적인 발견의 과정인지 아니면 계속적인 점진적 과정인지에 관한 문제가 대두된다 아르키메데스의 일화에서는 그가 욕조에 몸을 담그는 순간. 욕조의 수위가 증가하는 것을 관찰한 후 갑자기 문제에 대한 통찰이 이루어졌다.

12) 이러한 가정 하에서 Newell 과 Simon 의 선구자적 연구 이후 인지심리학자 들은 정보처리적 과정으로 계산론적 모델을 제안하여 창조적 사고과정에 대 한 구체적 인지적 과정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이들에 의하면 발견 . 과 문제해결은 저장과 회상의 기제에 중점을 두고 있는 기억관련 현상으로 기술하고 있다 문제해결의 첫 단계는 장기기억

(memory-based) :

으로부터 문제해결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지식을 회상한다 (recognition). 이 가능한 해결책에 대한 지식의 유용성을 확인하기 위한 평가 (evaluation) 를 거치게 되고 그후 관련된 여러 지식을 통합하여 정교화 (elaboration) 하게 된 다 이들 지식은 장기기억에 저장하는 응고 . (consolidation) 의 단계를 거처 문 제해결의 정보처리과정은 종료하게 된다(D. Gentner, “A theoretical

참조 framework for analogy”, Cognitive Science, 7, pp.155-170 ).

13) 그러나 과거경험이 오히려 새로운 아이디어의 창출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연구들이 있다 이 기존의 지식은 새로운 문제에 접근하는 방식 . 을 제한하는 방식으로 사고의 유연성을 억제시키는 경향이 있다(A. S.

Luchins, “Classroom experiments on mental set”, American Journal of 참조

Psychology, 59, pp.295-298 ).

(7)

이는 독창적인 문제의 해결은 체계적인 논리적 사고에 의해서 이루어지기보다는 논리적 도약에 의한 순간적 과정을 통해 갑자기 나타나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 면 찰스 다윈(Darwin)은 그의 자서전에서 그가 멜더스(Malthus)인구론 을 읽고 그곳에서 자연도태를 통한 진화의 이론에 대한 통찰을 얻을 수 있었다고 기 술하고 있다.14) 하다마드의 이론에서는 부화단계에서 무의식적 처리과정을 거쳐 해결책이 제시되어 의식에 전달되면 조명단계에서 순간적으로 통찰의 순간을 경험 하게 된다 형태심리학의 이론도 창조적 문제해결은 문제공간에 대한 재구성이 이. 루어지는 순간 갑자기 나타나는 것으로 이해하고 있다.

그러나 인지심리학자들은 과학에서의 진보는 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집된 데이터 로부터 주의 깊은 추론을 함으로서 이루어지는 것과 같이 문제에 대한 독창적이고 창조적인 해결은 오랜 시간에 걸쳐 이루어지는 의식적이고 점진적인 과정에 의하, 여 성취된다고 주장한다.15) 따라서 이들은 독창적이고 새로운 결과물은 초기의 작 품 또는 연구의 계속적이고 연속적인 확장의 과정으로 간주한다 갑자기 나타나는. 것처럼 보이는 것도 보다 면밀히 그 내적 과정을 분석해보면 계속적인 과정으로 이루어져 있다는 것이다.

14) Weisberg, “Problem solving and creativity”, pp.148-176 참조 .

15) Weisberg, “Problem solving and creativity”, pp. 148-176 참조 인지심리 . 학자들은 다윈 (Darwin) 이 비록 그의 자서전에서 멜더스의 인구론 을 읽고 진화론에 대한 갑작스런 통찰을 얻은 것으로 기록하고 있지만 자연도태를 통한 진화의 이론은 라마르크의 유전이론등 다른 이전의 연구들에 기초를 둔 점진적인 발전의 산물이라고 간주한다 다윈이 기존의 진화이론으로부터 . 자연도태에 의한 진화이론으로 변화를 가져온 것은 이전의 비글 (Beagle) 에 로의 항해동안 관찰한 결과 즉 변이 ( (variation) 는 환경적 변화에 독립적으로 나타난다 따라서 변이는 결과라기 보다는 주어지는 것이다 또한 어떤 종은 . . 다른 종에 비하여 환경에 더 잘 적응하고 그 결과로 그 종의 개체의 수는 증가하게 된다 들에 의하여 점진적으로 이루어졌다고 보고있다 인지심리학 .) . 자들은 멜더스의 『 인구론 은 이미 가지고 있는 생각을 확신시킬 수 있는 』 결정적 인상을 제공했을 뿐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또한 인지심리학자들은 아른하임의 피카소 (Picasso) 의 < 게르니카 분석에서도 새롭고 독창적인 아이디어는 갑작스럽게 나타나기 (Guernica)>

보다는 계속적인 점진적 과정을 거쳐 나타나고 있다고 보고 있다 피카소가 . 케르니카에서 사용한 소재와 이들의 구성은 그의 초기의 그림들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있고 초기의 컨셉은 계속적인 수정을 거쳐 최종작품으로 점진 , 적으로 발전하였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R. Arnheim, The Genesis of a painting. Picasso's Guernic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Berkeley,

참조

1980 ).

(8)

여기에서 중요한 것은 계속적인 내적 과정의 특성이다 이러한 계속적인 내적. 과정에서도 불연속적인 사고의 도약이 나타난다 이 도약의 과정은 계속적인 논리. 적 추론에 의하여 설명될 수 없는 부분으로 창조적 사고의 중요한 측면이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다윈이 자연도태에 의한 진화이론을 제안하기 전에 많은 관찰을. 하였고 이 관찰의 결과들에 기초한 논리적 추론이 이론을 성립하도록 하였다고 한 다 이러한 과정은 점진적인 과정처럼 보인다 그러나 세부적 과정에서는 사고의. . 도약이 나타난다 다윈은 계속적인 관찰을 통하여 변이는 환경적 변화에 독립적이. 다는 결과를 얻는다 개개의 개체의 관찰을 통하여 이와 같은 일반적 진술에 도달 . 하는 것은 점진적인 논리적 추론이라기 보다는 다른 관점에서 현상을 바라보는 관 점의 변화와 같은 사고의 도약에 의하여 얻어진다 토마스 쿤. (Kuhn)16)이 이야기 한 것처럼 인간의 사고는 기존 패러다임의 제약 내에서 이루어지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패러다임을 벗어나서 사고한다는 것은 사고의 도약을 요구한다. . 플레밍(A. Fleming)은 포도상구균을 배양시키는 작업을 하면서 하나의 박테리아 군이 오염되거나 죽어버린 것을 알게되었다 플레밍은 대부분의 학자에 의하여 간. 과되어진 이 우연한 일로부터 놀라운 과학적 발견을 해낼 수 있었다 즉 어떤 현. 상을 새로운 관점으로 바라보는 사고의 전환을 통하여 새로운 아이디어를 창출하 게 되었다 이와 같은 사고의 도약에서 이루어지는 인지적 과정에 대한 연구가 창. 조성 연구의 중요한 부분이 될 것이다.

의식적 과정과 무의식적 과정 의식적 과정과 무의식적 과정의식적 과정과 무의식적 과정 의식적 과정과 무의식적 과정 3.

3.

3.

3.

발견의 행위에서 독창적인 아이디어는 완성된 형태로 갑자기 의식상에 나타나는 것처럼 보인다 아르키메데스와 모차르트는 자신이 어떻게 해서 문제해결에 도달. 하게 되었는지 어떻게 악상이 마음속에 떠오르게 되었는지 자신의 내적 사고 과, 정에 대하여 전혀 의식하지 못하고 있는 듯하다 이는 창조성의 인지적 과정에 대. 한 기술에서 중요한 한 측면을 나타내고 있다 하다마드의 단계이론에 의하면 부. 4 화단계(Incubation)에서 무의식적인 사고과정이 진행되고 이 사고과정의 결과로 새 로운 아이디어의 산출물이 조명단계에서 의식상에 떠오른다.17) 형태심리학 이론도

16) T. S. Kuhn, The structure of scientific revolution (2nd ed.), University 참조

of Chicago Press, Chicago, 1970 .

(9)

통찰에 대한 무의식적 사고과정을 중요시한다.18) 형태심리학이론에 따르면 현재의 문제상황이 목표상황과 차이를 보이면 힘의 균형이 불균형을 이루고 이로 인하여, 새로운 구성과 배열이 나타나게 된다 새로운 구성과 배열은 순간적인 문제의 해. 결로 나타난다 문제해결의 중추적인 재구성의 과정은 무의식적으로 이루어진다. .

그러나 대부분의 인지심리학자들은 부화단계에서 보이는 무의식적 과정을 가정 하지 않고 창조적 사고를 정보처리의 과정으로 설명하고 있다.19) 인지심리학 이론 은 무의식적 추론의 개념을 인정하지 않는다 따라서 모든 유형의 문제해결은 의. 식적인 노력을 요구한다 어떤 새로운 문제에 직면하게되면 문제해결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지식을 기억 속에서 탐색을 하게 되고 이 과정에서 회상되어진 지식들은 평가의 과정을 거쳐 문제해결에의 유용성의 측면에서 평가된다 또한 일련의 탐색. 과 평가 과정이 성공적이지 못할 경우 문제해결과정은 잠시 중단되게 된다 그 후. 어떤 새로운 단서가 제시되면 일련의 탐색과 평가의 과정이 진행되고 유추를 통한 독창적인 문제해결이 일어나게 된다 인지심리학자들에 의하면 이러한 과정은 기. 억에 기초한 점진적 탐색의 과정이지 무의식적 추론의 과정은 아니라고 주장한다.

여기에서 중요한 점은 어떤 단서가 어떤 특정의 기존지식을 회상시키고 순간적 으로 문제해결에 대한 독창적인 아이디어를 생성해내는 과정에 어떠한 인지적 기 제가 작용하는가 하는 문제이다 코카콜라 병 디자인에 관한 일화에서 발명자 루. 드는 병 디자인에 대한 아이디어를 자신의 여자친구의 뒷모습에서 얻었다고 한다.

여기에서 뒷모습이라는 단서가 병 디자인에 대한 생각을 불러일으키고 그 순간 병 디자인에 대한 독창적인 아이디어를 얻을 수 있었다 뒷모습이 병 디자인에 대한. 생각을 불러일으킬 수 있기 위해서는 뒷모습과 병 디자인이 서로 관련되어 있다는 판단이 사전에 요구된다 뒷모습의 형태가 지니는 핵심적 구조와 병 디자인에 대.

17) 그는 통찰에 의한 창조적 사고에 무의식적 추론과정을 중요시하고 있다.

그는 무의식적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마음의 3 수준 을 가정하고 있다 완전 : 한 의식 (the fully conscious), 주변의식 (the fringe conscious), 무의식 (the 그에 의하면 준비단계에서 의식적 사고를 하고 부화단계에서 unconscious).

는 무의식적으로 아이디어의 통합을 거쳐 대안적 해결책을 강구하고 이를 주변의식으로 보내어지면 마음은 이를 포착하여 통찰의 경험과 함께 완전히 의식하게 된다.

18) Wertheimer, Productive thinking 참조 .

19) Langley and Jones, “A computational model of scientific insight”, 참조

pp.177-201 .

(10)

한 생각이 서로 연결되기 이전에 이 두 가지 형태와 사건에 대한 분석이 이루어져 야 한다 이러한 분석은 의식적인 개념적 처리과정이 아니라 지각적 즉 시각적으. , 로 처리되는 무의식적 추론에 의하여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은 인간의 인지적 능. 력을 아른하임은 시각적 사고라고 기술하고 있다.

시각적 표상과 언어적 표상 시각적 표상과 언어적 표상시각적 표상과 언어적 표상 시각적 표상과 언어적 표상 4.

4.

4.

4.

넷째로 창조적인 문제해결에 대한 많은 일화에서 시각적 표상 심상 에 의한 유( ) 추의 중요성이 자주 지적되어 왔다 실제로 많은 과학적 발견에 대한 기술에는 심. 상에 의한 유추의 중요성을 말하고 있다 아르키메데스는 욕조에 자신의 몸을 담. 그는 순간 왕관의 부피를 측정할 수 있는 방법을 깨닫게 되었고 케큘레, (Kekule) 잠이 막 들려고 하는 몽롱한 상태에서 뱀이 자신의 꼬리를 물고 있는 꿈을 꾸고 벤젠고리의 구조를 밝혀낼 수 있었다고 한다 아인슈타인은 창조성의 지각적 특성. 을 하마다드에게 보낸 그의 편지에 다음과 같이 기술하고 있다.

단어나 언어는 나의 사고구조에 있어서 아무런 역할도 하는 것 같지 않다 사고를 구성하는 심령체는 특별한 사인이나 다소 분명한 이미지. 들이 있는데 이것들은 계획적으로 재생산되고 복합될 수 있는 것들이 . …나의 경우에 위에서 언급한 요소들은 시각형 요소와 근육운동 지각형 요소들이다 통상 쓰이는 단어들이나 다른 사인들은 그 다음. 단계에서 찾아져야 했다.20)

이 이외에도 심상이 위대한 발명에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는 많은 보고들이 있 다.21)

20) R. H. Mckim, Thinking visually - A strategy manual for problem 김이환역 시 solving, Lifetime Learning Publications Belmont, California, , 『 각적 사고 』 , 평민사 , 1989, p.30 에서 인용 .

21) 발명가인 하우 (Elias Howe) 는 재봉틀을 발명하기 위해 여러 번의 시도를 했으나 계속실패를 하였다 그러던 어느 날 다음과 같은 꿈을 꾸게 되었다 . . 그가 미개인에게 잡혀서 그들의 왕 앞에 꿇어 엎드려졌다 그 왕은 그에게

“ .

시간 안에 바느질 할 수 있는 기계를 만들어 내지 못한다면 창으로 죽이

24 ,

겠다는 최후통첩을 했다 하우는 그 마감시간을 지키지 못했고 따라서 죽게 .

되었다 하우는 창이 들어 올려지고 다시 내려오는 것을 보았다 이때 하우 . .

(11)

인지심리학의 표상이론에 따르면 지식은 두 가지 표상체계 즉 심상적 표상체계, 와 언어적 표상체계에 의하여 표상되어 진다 심상적 표상이 지니는 특성으로 유. 연한 방식의 정보처리 동시적인 방식의 정보처리 전체적인 방식의 정보처리 그리, , 고 유추적인(analogical)방식의 정보처리 특성들이 제시되고 있다.22) 이러한 특성 들이 독창적인 문제해결에 중요한 유추를 촉진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가 정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심상이 창조적 문제해결을 촉진시키는 문제를 언어적 개념적 사고와 시각적 사( ) 고의 특징에 비추어 생각해 볼 수 있다 언어적 사고는 논리적 사고와 같이 상징. 과 추상적 개념을 사용하여 논리적으로 순차적으로, (serial) 추리하는 능력으로 간 주된다 이에 반하여 시각적으로 사고하는 것은 전체상황에서 작용하는 감각적 데. 이터를 동시에 고려하여 이들간의 상호작용적 효과를 고려함으로써 문제를 재구성 하도록 하는데 도움을 준다 이는 시각적 사고가 지닌 전체적으로 그리고 동시적. 으로 정보를 처리하는 병열적(parallel)처리 방식에 기인하고 있다.

지금까지 창조성에서 제기되는 몇 가지 중요한 쟁점들에 대하여 기존의 다양한 심리학적 설명과 그 한계를 살펴보았다 다음 장에서는 시각적 사고의 개념이 지. 니는 창조성에 대한 함축적 의미를 논의하고 또한 위에서 제기된 문제점과 한계들 에 대한 설명가능성을 살펴보도록 한다.

시각적 사고와 예술적 창조성 시각적 사고와 예술적 창조성시각적 사고와 예술적 창조성 시각적 사고와 예술적 창조성 III.

III.

III.

III.

시각적 사고의 개념 시각적 사고의 개념시각적 사고의 개념 시각적 사고의 개념 1.1.

1.1.

시각적 사고라는 단어는 본다는 의미와 사고한다는 의미를 연결시켜 놓은 개념

이다.23) 일반적으로 본다는 것과 사고한다는 것은 서로 구별되는 인지적 과정으로 간주되어왔다.24) 즉 인간의 인지적 과정은 외부에서 정보를 수집하는 과정과 이를

는 그 창끝에 눈 모양의 구멍이 나 있다는 것을 발견하고는 두려움도 잊어 버렸다 .” 하우는 꿈에서 깨어나 바늘구멍을 바늘의 끝에 위치시켜 재봉틀을 발명하게 되었다 김이환 ,( , 『 시각적 사고 』 , p.152).

22) 성은현 , “ 창조성과 심상에 관한 이론적 고찰 ”, 김재은 , 『 인지와 창의성의 심리학 』 , 창지사 , 1999, p.131.

23) 영문으로는 ‘visual thinking’ 또는 ‘thinking visually’ 로 표기된다 .

(12)

처리하는 과정으로 구분되어 왔다 정보의 수집은 지각이 담당하고 수집된 정보의. 처리는 정신의 고등 인지기능인 사고가 담당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두 개념의 서. 로 구별되는 특성과 역할을 고려한다면 시각적 사고라는 개념은 논리적 모순이다.

그러나 광고 디자인 창조성의 영역에서 시각적 매체가 지니는 중요성이 증가하면, , 서 시각적 매체에 의한 인지적 처리과정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고 실제로 최 근에 시각적 사고라는 개념이 자주 사용되어 지고 있다.25)

지금까지 시각적 사고의 개념에 대한 체계적인 논의가 없어 이 개념의 정확한 정의는 제시되어 있지 않지만 일반적으로 시각적 사고의 개념에는 지각의 과정에 서 보여지는 인지적 기능은 사고에서 나타나는 고등의 인지기능들과 동등하게 지 능적이라는 의미를 포함하고 있다.26) 따라서 보는 것과 생각하는 것은 불가분의 관계로 아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고 본다.

시각적 사고는 시각적 매체를 사용하여 사고하는 디자이너와 화가에게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들에게 있어서는 본다는 것은 사고하는 것이다 디자이너와 화가는. . 여러 시각적 매체를 위치시키고 재조정하며 생각한다 그들은 재료를 보고 만지, . , 고 이리저리 움직임으로써 또 물체를 가지고 정신적 과정을 구체적으로 표현함으, 로써 사고를 한다.

시각적 사고는 건축 디자인 그리고 시각적 매체를 사용하는 예술의 영역에만, 국한되어 적용되는 것은 아니다 시각적 사고는 추상적이고 이론적인 것에서부터. 구체적이고 일상적인 것에 이르기까지 모든 인간활동에 나타나고 있다 축구코치.

24) 플라톤 (Platon) 과 같은 고대 그리스 학자들은 본다는 것 지각 은 생각하는 ( ) 것 사고 을 구별하고 전자는 후자보다 더 많은 오류를 포함하고 있는 열등 ( ) 한 것으로 간주하였다 이와 동일하게 . 18 세기 중엽 철학자 바움가르텐 (A.

은 논리적 합리적 인식 논리학 과 감각적 주관적 인식 미

G. Baumgarten) ‘ - ( )’ ‘ - (

학 을 구별하여 미학을 감각적 인식의 학문으로 규정하였다 이러한 구분과 )’ . 동일하게 인지심리학에서도 지각과 인지의 과정은 서로 구별되는 인지적 과 정으로 기술하고 있다.

25) 아른하임은 Visual Thinking 이라는 저서를, 맥킴 (R. H. Mckim) 은 Thinking Visually 라는 저서를 기술하였고 최근에는 시각적 사고라는 개념 , 을 사용한 논문들이 많이 나타나고 있다 예를 들면 . 시각적 사고에 의한 창의성의 개발 또는 창의성 신장을 위한 시각적 사고력 계발 프로그램 구 안 등을 볼 수 있다 또한 이화여자대학교 매스미디어학과에서는 . 시각적 사고 라는 강좌가 개설되어 지기도 했다.

26) R. Arnheim, visual thinking,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California, 김정오역 시각적 사고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1969, , , , 1982, pp.31-83.

(13)

가 공격과 수비의 전략을 구상한다든지 거실에서의 가구의 배치 장기나 바둑의, , 배치를 마음속으로 그리면서 문제를 해결하는 것들은 일상생활 속에서 시각적 사 고를 적용하는 몇 가지 예들이다.

또한 시각적 사고는 매우 추상적이고 이론적인 사고를 요구하는 과학과 기술의 분야에서 창조적인 사람들의 사고과정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27)

시각적 사고의 작용 시각적 사고의 작용시각적 사고의 작용 시각적 사고의 작용 2.

2.

2.

2.

시각적 사고는 시각적 이미지를 매체로 고등의 인지적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라 고 이해된다 이와 같은 시각적 사고의 개념에 의하면 시지각은 외부 자극을 기계. 적으로 기록하는 수동적이고 수용적인 과정이 아니다 본다는 것은 적극적으로 패. 턴을 추구하는 능동적 작용이다 이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과정에는 다양한 시각적. 사고의 기제들이 작용하고 있다.28)

불완전한 패턴들은 지각의 과정을 거쳐 보다 완전한 패턴으로 지각되어진다 완. 전히 둥글게 차지 않은 둥근 달은 완전한 형태의 원으로 지각되려는 경향을 보인 다 이는 지각이란 외부 대상의 기계적인 기록이 아니라 이 외부 대상에 대한 상. 을 재구성하는 것이라는 것을 분명히 해준다 이러한 지각의 체제화의 법칙에 의. 하여 임의의 외부 자극들은 의미 있는 구조를 지닌 대상으로 지각되려는 경향을 보인다 이러한 지각의 적극적이며 능동적인 기제는 예술과 디자인의 영역에서 중. 요한 역할을 한다 예술가와 디자이너는 시각적 매체를 사용하여 이리저리 움직이. 며 정신적 과정을 구체적으로 표현하며 사고한다 예술가들은 직접 봄으로써 구성. 요소들간의 관계가 의도된 의미를 적절하게 잘 표현되도록 구성되어 있는지를 시 각적으로 파악한다 풍자만화가는 인물의 묘사에서 전체구도가 의도된 감정적 반. 응을 일으키는지를 부분들간의 비례관계를 살펴봄으로서 알아본다 그는 수치에. 의하여서가 아니라 바라봄으로써 질적으로 파악한다 이와 같은 직관적 능력을 칸. 딘스키(Kandinsky)는 내적 필연성 (innere Notwendigkeit)’의 개념을 사용하여 설 명하고 있다.29) 아른하임은 이와 같은 직관적 능력을 시각적 사고의 개념으로 심

27) 김이환 , 『 시각적 사고 』 , pp.26-27.

28) 김정오 , 『 시각적 사고 』 , pp.31-83.; 김이환역 , 『 시각적 사고 참조 』 . 29) W. Kandinsky, Über das Geistige in der Kunst, Benteli, Bern-Bümplitz,

pp.85-86.

(14)

리학적으로 해석하여 다음과 같이 기술하고 있다.

직관은 지각의 독특한 특성으로 즉 전체상황에서 역동적으로 작용, 하는 상호작용의 효과를 지각적으로 직접 파악할 수 있는 능력으로 정 의 될 수 있다 인간의 인식에서 유일 하게 지각만이 역동적 과정을. 가지고 작용하기 때문에 직관은 지각에 국한되어진다.30)

시각적 사고에는 능동적 탐색 선택 추상 핵심의 파악 단순화 분석과 통합 완, , , , , , 성 정정 비교 문제해결 종합과 같은 정신적 조작, , , , (mental operation)이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고등의 정신적 조작은 사고의 범주에만 국한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지각 그 자체의 핵심적인 요소임이 분명해진다.

시각적 사고와 추상 시각적 사고와 추상시각적 사고와 추상 시각적 사고와 추상 3.

3.

3.

3.

시각적 사고는 위에서 언급한 여러 가지의 정신적 조작 이외에 지각대상이 지니 고 있는 구조적 특성의 파악을 포함한다.31) 즉 대상을 지각한다는 것은 지각대상 에서 발견되거나 거기에 부여된 구조적 특성을 파악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보름. 달은 둥글다 둥글다고 보는 대부분의 대상은 엄밀하게 둥글지는 않지만 둥글다고. 지각한다 즉 대상에서 둥글음을 지각한다 보름달의 보편적 구조적 특성인 둥글음. . 을 파악하는 것이다.

따라서 대상의 지각에서는 대상이 지니는 개체들의 특수성이 항상 지각되기보다 는 대상의 종류나 보편성의 파악이 지각의 일차적 관심의 대상이 된다 왜냐하면. 대상의 보편성에 대한 파악이 대상의 인식에 필수적인 조건이 되기 때문이다 이. 와 같이 구체적인 대상에서 그 대상의 보편적인 특성을 파악하는 정신작용을 소위 추상작용(abstraction)이라고 한다.32) 따라서 대상을 지각한다는 것은 그 물체의

30) R. Arnheim, Neue Beiträge, DuMont, Köln, 1991, p.30.

31) 김정오 , 시각적 사고 , pp.217-262 참조 ; R. Arnheim, Toward a 김재은 psychology of art,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California, 1966, 역 , 예술심리학 ,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 1984, pp.43-76 참조 .

32) 김정오 , 시각적 사고 , pp. 217-262 참조 김재은 ; , 예술심리학 , pp. 43-76

참조 형태심리학의 지각이론에서는 대상의 보편적 특성은 대상 자체에 존 .

재하고 이는 그 물체의 본질이라는 철학적 진술을 내포하고 있다 여기에서 .

(15)

보편적 특성인 본질을 직접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시각적 사고에 의한 추상작용. 이라고 한다.

이러한 지각의 추상작용은 고전적 논리학이 기술하는 것과는 차이가 있다 고전. 적 논리학에서는 보통 다수의 사례들에서 공통특성을 추출하여 종합함으로서 소, 위 귀납의 과정을 통해 대상의 보편적 특성을 파악할 수 있다고 본다 고양이라는. 개념을 추상하기 위해서는 모든 가능한 대상들과 비교하여 공통점을 파악해야한다.

왜냐하면 공통점을 가지지 않은 물체들이 없기 때문이다 결과적으로 무한히 많은. 분류하기가 형성될 수 있다 범위를 좁혀 고양이에 분류되는 모든 개체들만을 검. 토해서 공통특성을 파악하여 종합함으로서 가능하다고 해보자 그러나 여기에서도. 모든 개체를 검토한다는 것은 비현실적이고 또는 불가능하다 어떤 공통 특성을. 마련하지 않고 먼저 검토될 개체들을 선택할 수 없다 환언하면 외연은 내포를 전. “ 제로 삼고 또 내포는 외연을 전제로 삼는다, .”33) 지각대상의 보편적 특성인 구조특 성들의 추상적 파악이 지각의 근본기초이자 모든 인지의 시작이 될 수 있는 것이 바로 이와 같은 연유에 기인한다.

3) … 지각의 기본과정은 … 구조를 파악하는 창조적 행위가 아니면 안 된다.

그것은 여러 부분의 단순한 그루핑이나 선택이 아닌 것이다 지각을 통해서 발 . 생되는 것은 고도의 심리학적 수준에서의 이해라든가 통찰이라든가 하는 것과 비슷하다 지각한다고 하는 것은 곧 추상하는 것이고 그 지각 속에서 그 추상 . , 은 일반적인 카테고리의 형태화를 통해서 개개사례를 표상 하는 것이다.

34)

이러한 시각적 사고는 생산적 사고의 기초를 형성한다 비록 귀납적 방법이 과. 학적 사고의 근간을 형성할 지라도 귀납에 의한 철저한 논리적 추론만으로는 발견 적 행위를 설명할 수 없다 귀납적 방법을 채택하여 논리적 추론이 가능하기 전에. 다루어지는 사례에 대한 선정이 먼저 전제되어 있어야 한다 구체적 사례의 선정. 은 선정될 개체들에 분명히 존재하는 어떤 특징들의 사전 추상이 이루어져야 한다.

아리스토텔레스의 entelechy 의 개념과의 유사성을 엿볼 수 있다 형태심리학 . 에서는 구체적 대상에서의 보편성에 대한 파악은 지각적 인식능력 즉 지각 , 적 추상능력의 기제로 설명하고 있다.

33) 김정오 , 시각적 사고 , p.226.

34) 김재은 , 예술심리학 , p.52.

(16)

귀납은 추상을 전제로 한다 이러한 전제 하에서 귀납적으로 논리적으로 추론하여. 새로운 사실을 획득하는 발견의 행위들이 일어날 수 있다.

이와 같은 인간의 인식에 있어서 가장 근본적인 추상작용은 예술적 표현에서 가 장 잘 나타난다 예술가는 자신이 의도한 의미를 표현하기 위해 선 색 공간과 같. , , 은 예술적 매체를 사용하여 구체적인 형태패턴을 만들어낸다 이러한 형태패턴은. 작가가 의도한 의미를 표현하기 위하여 구조적 특징을 지니게 되는데 이를 통해 표현이 가능하게 된다 예술가는 예술적 표현에서 하나의 특수한 대상을 사실적으. 로 기술하려고 하지는 않는다 이것이 예술가의 목적이라면 예술은 더 이상 존립. 의 가치를 지니지 못한다 예술가는 하나의 구체적 대상의 기술에서 그 대상 일반. 을 표현하려고 한다.

초상화 화가는 한 특정 인물의 모습을 묘사하면서 그 인물이 지닌 성품을 표현 하려고 한다 화가는 초상화에서 마음이 고결하고 바르고 청렴한 선비의 모습을. , , 보여줄 수 있다 이는 초상화의 인물의 얼굴표정 눈빛 얼굴윤곽의 선의 기술과 같. , , 은 요소들의 조합에 의하여 얻어질 수 있다 이를 통해 한 특정 인물의 묘사에 의. 해 선비일반을 나타내게 되며 화가는 특수한 개체의 이미지에 의하여 추상적이고 , 일반적인 내용을 창조하게 된다 이와 같은 시각적 사고에 의한 추상이 예술적 표. 현의 본질적인 부분을 차지하게 되고 예술적 창조성의 한 중요한 측면을 나타내게 된다.

창조성에 대한 시각적 사고의 함축적 의의 창조성에 대한 시각적 사고의 함축적 의의창조성에 대한 시각적 사고의 함축적 의의 창조성에 대한 시각적 사고의 함축적 의의 4.

4.

4.

4.

인간의 인식은 크게 논리적 인식과 직관적 인식으로 구분된다 현대학문에서는. 직관적 인식은 등한시되어왔고 심지어는 업신여겨져 왔다 논리적 인식만이 신뢰. 할만한 지식을 획득할 수 있는 유일한 방식으로 간주되었다 이와는 반대로 직관. 적 인식은 진지한 정신적 노력을 요구하지도 않고 몇몇의 신통력이 있는 사람이, 나 예술가들이 지니는 독특한 능력으로 간주되어 왔다 이와 같은 논리적 인식의. 일방적 강조와 직관적 인식의 등한시는 경험의 폭을 제한하고 창조적 사고를 제한 한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35)

35) M. J. Kobbert, “Psychologie in Anwendung auf Kunst,

Kunstwissenschaft und Kunstpädagogik”, In H. Haase & W. Molt (Hg.),

(17)

직관적 인식으로서의 시각적 사고는 새롭고 독창적인 문제해결을 요구하는 과제 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한 예로서 프랑스아즈 질로. (F. Gilot)의 초상화를 그릴 때 피카소는 형태와 색에 있어서는 전혀 닮지 않았지만 비슷한 표현적 느낌을 전, 달하는 한 초상을 창조해야하는 문제를 지니고 있었다 피카소의 독창적인 문제해. 결과정은 그의 창작과정에 대한 질로의 다음과 같은 기술에 잘 나타나 있다.

< Femme Fleur> von Picasso

36)

Handbuch der Angewandten Psychologie. Bd. 3, Verlag Moderne Industrie, München, 1981, pp.734-735.

36) 그림의 출처: E. H. Gombrich, “Maske und Gesicht”, In E. H. Gombrich,

J. Hochberg & M. Black, Kunst Wahrnehmung, Wirklichkeit, Suhrkamp,

Frankfurt am Main, 1977, p.39.

(18)

갑자기 그는 피카소 는 마티스[ ] (Matisse)가 나를 녹색 머리를 가진 초상을 그리려고 했다는 말을 생각해내고 이를 따르기로 했다. … 번에 나의 머리는 나뭇잎의 형태를 지니게 되었다 그후 초상화는 점. 점 상징적인 꽃 모티브로 변해갔다 가슴은 동일하게 부드러운 곡선의. 형태로 다루어졌지만 얼굴은 내내 매우 사실적으로 그려졌다 이는 다. 른 부분에 어울리지 않는 것 같이 보였다 그는 잠시 초상을 유심히. 바라보았다 그는 얼굴에 다른 착상이 부여되어져야 한다라고 확신. 했다 너는 상당히 긴 타원형의 얼굴을 가지고 있지 그러나 정확한. ‘ . 표현을 지니게 되도록 하려면 넓은 타원형이 적합할 것이다 차가운. 색인 청색을 선택하고 길이를 축소시키는 것이 좋을 것이다 그러면. 너의 얼굴은 마치 조그마한 청색의 달과 같이 보일 것이다 그는 종이.’

한 장을 하늘색으로 칠한 후 얼굴에 대한 자신의 이미지를 변화시키며 여러 형태의 타원형을 가위로 자르기 시작했다 처음에는 완전히 동그: 란 두 개 그리고 나서 넓은 얼굴의 이미지에 어울리는 셋 또는 네 개, 의 타원 그는 모두 자르고 난 후 각각에 조그맣게 눈 코 입을 그려. , , 넣었다 그리고 난 후 이들을 하나 하나 좌우로 또는 상하로 이동하면. 서 초상화에 붙여 보았다 모든 다양한 형태를 다양한 장소에 시험하. 여 본 후에 어느 것이 어디에 놓여져야 하는지를 알게되었다 그는 결. 정한 얼굴 형태를 초상화에 붙이고 옆으로 한 걸음 물러나서 말하기를

이제 이것이 너의 초상화다

’.37)

피카소의 작품제작 과정에 대한 위의 기술에서 예술적 창조성에서 시각적 사고 의 역할에 대하여 생각해 볼 수 있다 피카소는 초상화를 그리기 이전에 이미 완. 성된 하나의 컨셉을 지니고 있었던 것은 아니다 그는 초상을 완성해나가는 과정. 에서 형태와 표현간의 일치와 적합성에 대하여 끊임없이 비교하고 판단하는 사고 절차를 통해서 작품을 완성해나갔다 얼굴의 형태를 완성하기 위해서 다양한 형태. 의 얼굴모습을 그리고 이들을 각각 시험해봄으로서 의도된 표현을 가장 잘 나타내 주는 형태패턴을 찾아냈다 이는 마치 우리가 옷을 고를 때 어느 것이 자신에게.

37) Gombrich, “Maske und Gesicht”, pp.39-40

(19)

가장 잘 어울리는 지를 직접 입어봄으로써 판단하는 것과 같은 과정이다 이와 같. 은 판단과정이 시각적 사고과정이다 형태와 표현의 일치 또는 적합성은 의식적인. 논리적 판단이 아니라 바라봄으로써 직접적으로 파악되는 것이다 여기에는 형태. 들을 구성하는 요소들에 대한 분석과 이들을 체계적으로 조작해서 논리적으로 어 떤 결과를 추론함으로서 이루어지는 판단과정과는 다른 인지적 과정이 작용한다.

적합성에 대한 판단은 얼굴을 표현하는 다양한 형태패턴들을 시각적으로 분석하면 서 순간적으로 어느 특정 형태가 표현적 가치와 일치함을 느낌으로 알아차리게 된 다 이와 같은 순간적인 경험은 소위 통찰이라고 여겨지는 과정에 비유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예술적 창조성에 대한 시각적 사고의 함축적 의미를 본 논문의 서두 에서 제시한 일반적인 창조성에 대한 논의에서 제기되는 몇 가지 문제에 대하여 적용시켜 볼 수 있을 것이다 첫째로 창조적인 문제해결과정은 일반적인 문제해결. 과정과 질적으로 다른 인지적 기제가 작용하는가 하는 문제이다 일반적인 문제해. 결은 기존의 지식을 가지고 체계적으로 논리적 조작을 가하여 문제에 적합한 해결 책을 추론함으로서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해결에는 소위 논리적. 사고 재생적 사고라는 것이 요구되어진다 그러나 창조적인 문제해결에는 기존지, . 식에 대한 논리적 조작으로 추론할 수 없는 새로운 아이디어를 요구한다 체계적. 인 논리적 탐색과는 다른 변형적인 조작을 가능하게 하는 인지적 능력을 요구한다.

이런 능력을 분석적이고 논리적인 사고와 대립되는 개념으로 직관적 사고라고 부, 르고 있다.

직관적 사고는 전체상황에서 작용하는 여러 요소들간의 상호작용을 통합적으로 파악하는 능력으로 그 구체적인 인지적 과정은 인식주체에게는 의식되어지지 않는 특수성을 지니고 있다 이러한 직관적 능력은 역동적으로 작용하는 요소들의 상호. 작용적 효과를 지각적으로 직접 파악하는 시각적 사고능력과 동일하다 따라서 창. 조적 문제해결에는 분석적이고 논리적으로 사고하는 능력이외에 시각적으로 사고, 하는 능력이 요구되어진다.

둘째로는 창조적 문제해결과정이 순간적인 발견의 과정인지 아니면 시간을 필요 로 하는 점진적 과정인지에 관한 문제가 제기되었다 발견의 역사에서 보여주는. 많은 일화들은 발견의 과정이 갑작스러운 통찰의 과정을 통해 이루어짐을 시사한

(20)

다 그러나 심리학자들은 독창적인 문제해결도 의식적이고 점진적인 인지과정을. 통해 이루어진다고 주장한다 실제로 창조적인 문제해결도 관련된 여러 기존의 지. 식을 대상으로 체계적인 논리적 조작을 거쳐 문제에 접근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보면 창조적인 문제해결도 점진적으로 진행된다 그러나 독창적인 아이디어를 요. 구하는 문제에서는 기존의 지식에 대한 점진적인 논리적 추론만으로는 문제해결에 도달할 수 없다 창조적인 문제해결은 의식적으로 관심을 집중시켜서는 좀처럼 나. 타나지 않는다 통찰력은 또한 사고가 무의식적으로 진행되는 기간 즉 잠복기를. “ , 필요로 한다 대부분의 창조적인 사람은 하던 일을 제쳐두고 잠시동안 다른 일에. 관심을 돌리는 것이 주는 가치를 안다 휴식하는 것 산책하는 것 또는 잠자는 것. , , 은 사고를 단지 어려운 작업으로 생각하는 사람들에게는 단순히 태만한 것으로 보 여지겠지만 그런 것들은 극히 생산적이다.”38) 창조적인 문제해결은 단계적인 추론 이외에 소위 직관적인 도약에 의하여 나타난다 이러한 사고의 도약은 직관적 능. 력으로 심리학적으로는 지각적으로 직접 파악하는 능력으로 평가된다 시각적 사. 고는 전체상황에서 개개의 요소들에 대한 상호작용의 효과를 통합적으로 병열적, 으로 파악하게 되고 시각적 사고의 결과는 순간적으로 의식상에 나타나게 된다.

셋째로 일반적으로 발견이 순간적으로 나타난다고 하면 이는 의식적 과정의 결 과라기보다는 무의식적 과정의 결과라고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인지심리학자들. 은 부화단계에서 보이는 무의식적 과정 또는 무의식적 추론과정을 가정하지 않고 창조적 과정을 일련의 계속적인 정보처리의 과정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정보처리. 과정에서 나타나는 구체적 과정들 즉 저장 회상과 같은 과정은 의식적 통제를 벗, 어나 있다는 의미에서 무의식적이다 또한 이와 같은 구체적인 정보처리 단계의. 과정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유추가 가능한 두 문제상황이 동일한 문제의 구조를 지니고 있다는 사실에 대한 통찰이 이루어져야한다 이러한 통찰은 정보처리의 과. 정에 의하여 이루어지기보다는 문제의 핵심구조를 파악하는 직관적 능력에 의한 추론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이와 같은 추론은 의식적인 정보처리적 과정에. 의하여 설명하기보다는 무의식적 추론을 가정하는 것이 타당해 보인다.

특히 어떤 문제를 창조적으로 해결하기 위해서는 주어진 문제에서 문제해결의 핵심적인 부분과 중요하지 않은 부분들을 구별하는 것이 요구된다 이는 문제의.

38) 김이환 , 시각적 사고 , p.177.

(21)

구조적 속성에 대한 시각적인 파악을 통해 이루어진다 이는 문제의 핵심구조를. 파악하는 능력으로 시각적 추상에 의하여 가능하게 되고 무의식적 추론의 과정으 로 나타나게 된다.

마지막으로 시각적 심상이 창조적 문제해결에 얼마나 중요한 역할을 하는가하는 문제이다 위대한 발명을 이룩한 많은 과학자들과 예술가들의 자서전적 보고에 의. 하면 시각적 심상이 위대한 발명에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심상을 사용하는 시각. 적 사고는 개념적 사고에 비하여 문제 해결시 알고리즘의 기계적인 사용을 피하도 록 한다 또한 문제공간에 작용하는 관련된 요소들의 상호 작용적 효과를 직접 파. 악하여 문제를 재구성하는데 도움을 준다 이는 시각적 사고가 지니는 정보처리특. 성 즉 전체적으로 그리고 동시적으로 정보를 처리하는 특성에 기인한 것으로 이, 해될 수 있다.

결론 및 논의 결론 및 논의 결론 및 논의 결론 및 논의 IV.

IV.

IV.

IV.

본 논문은 창조적 문제해결에 대하여 시각적 사고의 개념이 지니는 함축적 의미 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그 동안 창조성에 대한 논의에 있어서 자주 제기되어온 몇. 가지 쟁점들에 대하여 인지심리학적 관점에서 검토해보았다 또한 각 쟁점들에 대. 한 인지심리학적 설명에서의 한계들에 대하여 기술해보았고 이를 시각적 사고의 개념 틀에 의해서 어떻게 이해되어질 수 있는지 고찰해보았다 이를 통해 예술의. 인지심리학적 기초를 제공하는 시각적 사고의 개념이 예술의 영역에서는 물론 다 른 과학의 영역에서 보이는 창조성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함을 알아볼 수 있다.

이와 같은 논의를 통해 예술에 있어서의 창조성에 대한 다음과 같은 몇 가지 결론 을 제시할 수 있다.

첫째로 창조적인 문제해결과정에는 해당 영역에 대한 충분한 지식과 체계적인 논리적 탐색이 요구된다 유명한 창조자들의 자선전적 보고에 의하면 특별한 노력. 없이 갑자기 번뜩이는 영감이 떠올라 창조적 업적을 이룩했다고 보고한다 그러나. 창조적 문제해결 과정에 대한 심리학적 연구와 창조자들의 업적에 대한 분석은 문 제해결과정에서 기존의 지식에 기초하여 체계적인 논리적 탐색을 거치고 있음을

참조

관련 문서

Anchored instruction.실재문제상황을 교수매체 (비디 오 , 컴퓨터등)를 활용하여 제시한 다음 문제에 대한 해 결책을 찾도록 하는 수업모형.. 인지적

모습을 되돌아 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문가의 모델링을 통하여 교사는 학 습할 수도 있다 모델링을 통하여 교사는 하나의 사례 또는 문제에 대하여 컨..

본 연구에서 스마트 기기 활용 초등 영어 수업에서 학습자의 정의적 요인과 영어 학습 성취도의 관계를 연구하여 긍정적인 연구 결과를 도출하였지만 몇 가지 제한점을 갖는다

본 연구에서는 종래의 은유에 대한 논의를 검토하고 Miller(1979) 에서 제시한 은유의 형식 즉 명사적 은유 서술적 은유 그리고 문장은유를 , , Strawson(1976)

융합 수업에 대한 본 연구회의 문제의식은 본 연구회의 부족한 연구만으로 명쾌하게 해명될 수 있을 것은 아니나, 이 과정에 서 연구에 참여한 교원 개개인은 융합

이와 더불어 이 구상안의 현실화를 위한 몇 가지 모형(Model)들이 전문가집단 사이에서 제기되어 왔다. 따라서 이러한 제주 ‘平和의 섬’ 모형에 대한 합의

지금까지 본 연구는 국내 지역별․연도별 패널자료 분석을 통해서 주택용 전력소비에 대한 고령화의 효과를 실증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다 음의 2가지 물음에

1.. 즉 그리스도는 십자가, 불교는 부처 를 나타내는 것처럼 상징은 함축적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예술적 상징 속에 조 형미술의 상징을 보면 상징성이 특히 보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