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構造方言學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構造方言學"

Copied!
23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構造方言學

金 芳 遭

(서 울 大 學 校)

1 方힘빠究의 昨今

2. 빼造主훌的 方言Titf究의 옳本問뽑 3. 빼造方읍홍의 &'f究{맺向

4.

111. 方言學의 獨創的인 새 로운 境뾰를 開紹한 질리 에 롱(]. GiJliéron) 의 言語地理뿔이 方 言밟究에 새로운 氣運을 가져 왔고, 오늘날의 方言冊究는 또 다시 構造主義의 훨烈한 빛을 최고 있다. 科學의 發達은 새로운 事實의 發見과 더불어 한 分野全體에 걸친 解釋 • 說明方 法의 繼續的인 同質化를 意味한다. 오늘날의 方言冊究에서도 言語햄究의 다른 部分에 있 어서와 마찬가지로 構造主義的 解釋方法을 얻으려는 努力이 繼續되고 있다. 이것이 近來 構造方言學 (structural dialectology) 이라는 名稱으로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冊究碩 向은 現在 確固한 方法論을 樹立했다기보다 한 模索期에 처해 있다고 보는 것이 옳을 것 이 다. 따라서 그러 한 碩向을 띤 斷片的인 wf究論文을 통해 서 , 새 로운 碩向이 志向하는 大體的인 方向을 찾아 보는 것 이 앞으로의 冊究를 위 해 서 흥칠求되 는 하나의 課題라고 생 각 된다. 本騙에서는 Gilliérøn 의 言語地理學的 wf究와 그 뒤의 짧達, 그리고 그의 wf究에 對 해서 批엠j對象이 되 었 던 몇 가지 點을 살피 고, 最近의 새 로운 햄究碩向을 찾아보려 는 더l

目的이 있다.

112. Gilliéron 以前의 語j킴;冊究 또는 言語要素의 變化에 關한 wf究는 大體로 A>B와 같 이 言語要素가 뺑化하는 出發點과 그 變化의 結果에서 그친다. 그러나 出發點과 結果 사 이에는 실로 여러 가지 複雜한 變化過程이 內包되어 있으며, 이런 中間的인 過鏡的 變化 過程을 究明하려는 것이 Gilliéron 에서 시작된 言語地理學의 커다란 功續의 하나이며, 또 한 Gilliéron 의 言語地理學的 冊究에서 注目되는 것은, 그 wf究가 한낱 方言에 局限되어 있다든지 혹은 낱말의 變避史만을 밝히려는 것이 아니라, 더 넓은 -般的 言語問題에까 지 파들어가는 點。l 다. 이러한 問題며 가장 눈에 띄는 것이 홉題變化의 結果로 생기는 同 意異義語 또는 單意住 (monosemy)• 多義性 (polysemy) 같은 問題로서 , 가령 語源이 다른 두 낱말이 홉융형變化를 겪어, 同一한 語形이 되었을 때, 혹은 그러한 경우, 相異한 意味를 同 -한 語形으로 表現해야 할 言語表現上의 不便에 협面했을 때, 言象은 이것을 어떻게 克 服하려 하는가

?

Gilliéron 은 이 러 한 問題를 햄證的으로 解明하고 있다. 도오자 (A. Dauzat)

- 1 -;-

(2)

2 홈엽!톨&f究 W • 1

가 말한 것저럼 「고양이가 수닭을 죽였다JI 는, 그의 밟究碩向에서 뚜렷한 特色의 -面을 보여 주는 例라 하겠으며, 이 밖에도 아스꼬리 (G. '], AScoli) 의 ffl究에서 浮刻된 l훌層 (substratum) 問題가 言語뼈圖를 통해서 一層 嚴密한 學的 輪郵을 얻게 되었다는 點도 또한 言語地理學의 커다란 功續의 一面이라 하겠다.

121. Gilliéron 은 心理的인 面에서 또 地理的 條件에 의해서 홉훌월變化의 多樣셈i을 週調

하는 나머지, 少lli:文法學派와 理論的 對立을 보게 된 것은 當然한 結果라 할 수 있다. 少 빠文法學派의 理論과 方法에 가장 積純的인 批判的 憶度를 추l 한 것은 슈할트(H. Schuchardt) 와 그리 고 끄로체 (B. Croce) 에 서 理論的 支柱를 이 어 받은 훗스러 (K. Vossler) 等의 理想 主義, 그리 고 다시 言폼地理學派라 하겠는데 , Schuchardt 는 그의 言語混슴 (Sprachmischung) 에 關한 實證的 ffl究에 서 또한 Gilliéron 역 시 言語地理學的 冊究에 서 홉짧法~Ij에 對한 {列 外의 常住性올 밝혔던 것이다. 特히 Gilliéron 은 言語變化에 있어서의 心理的 要因을 重要 視함은 물론이 요, 또한 社會層• 年嚴層 • 性JJIj에 特有한 言語的 表-現上의 各 特徵올 5월調 하고, 限定된 社會的 環境에 있어서의 個A의 創造的 行動으로 생각되는 言語的 表現과,

거 기 對한 思考를 깊이 分析하고 冊究하려 한다. 또한 言語地理學은 홈題法則의 Ø1J外不許 容에서 엿볼 수 있는 一種의 自然科學的인 顧度에 反對하여, 言語의 創造的 活動인 精神 的 價{直를 重要視했기 혜문에, 이 點에서 름語地理學派와 理想主義學派(혹은 름語美學派) 가 比較에 오르게 되지만, 兩者의 理論에는 根本的으로 異質的인 面이 있음은 물론이다, 前者는 詩的創造에서 出發하며, ~흉者는 흡題變化 等으로 일어나는 言語的 均衝狀態를 취 하려고 作用하는 積神的 活훨}을 꿇調한다. 이 兩者는 다 같이 少써;文法學派에 對한 意識 的인 攻훌짖으로 言語變化에 있어서의 精神的要因에 立빼하여 少}바文法學派의 둠짧을 꺼르 고 새로운 方向을 提示한 것은 事實이다. 그러나 이 兩學派의 理論 역시 훨理의 一面만을

1 佛뼈西의 어느 地方에서는 수맑융 表示하는 남말로서 짧맺語 gallus 에서 l초!來한 낱말융 {핏用하고 있다. 그러냐 그 附近의 다른 곳에서는 이 낱말이 없고, 그 대신 vicaire( 助흉허), faisan(雄)과 강 은 낱말로 代置되고 있다. 이 地方에서는 짧뱃語의 gallus( 수탐)과 cattus( 고양이)가 萬一 이 뼈方의 方홈의 홉짧法則에 딱툴 것 갇으연 F펀홈가 다 강이 gat 가 되었올 것이다. 이러한 同홈異훌語가 생 기연 南者中 二 어느 한 쪽에 휩해서 代用語툴 俠用하는 것이 兩者의 W;)jIJ올 위해서 必‘홈하게 왼다.

同홉異훌性에 의해서 에느 한쪽 낱말이 ~H행한마는 것을 發見한 것윤 비난 홉語뼈理홍얀이 아니다.

그 경우 롬폼地理훌的 方法이 直接的인 짧빼흩 提示했다는 홉에 愁餐가 있다. 注텀할 것은 gallus의 領城은 語末홈인 11 이 t로 훌化한 領域, 즉 gallus 가 gat 로 펀 짧域을 보여주는 훌語線에 의해서 限 界가 지어지고 있는 훨이다. 이 領域內에서는 cattus 와 gattus 가 同홈異옳語가 되었융 것이다. 따라 서 gattus 가 死흉한 것이다. Dauzat 의 말융 벌리연 「고양이가 수함올 죽인 것」이다.

2 H. Schuchardt; Der Lautwandel, über die Lautgesetz gegen die Junggrammatiker (pp. 51-87). Sprachmischung (pp. 150- 163) (Hugo Schuchardt-Brevier, Halle 1928). Schuchardt 는 홉閔法則에 對한 ~J外로, 다른 홈짧法則과의 交錯, 홈語(혹은 方합)의 混슴, 樓念的 聯合作用풍의 멍因융 을고 있 다. Die Ausnaharnen, von welchen bei der Ausnahrnslosigkeit der Lautgesetze abgesehen werden sol1, bestehen in der Kreuzung rnit andcren Lautgesetzen in der dialektischen Mischung und in der Einwi- rkung begrifBicher Assoziationen ... Et steht ins Vordergrund der junggrarnrnatischen Ausführungen’‘

rnan bringt ihn gerudczu in Antithese zu der lautlichen Gesetzrnässigheit, als den “psychologischen"

zurn

physiologischen" Faktor. ibid., p. 53.

(3)

.造方홈~ 3

본 것이고 그들에 對한 批判對象도 바로 여기 있는 것이다.

그 뒤 Gilliéron 의 言語地理學的 M究方法을 더 擁大하려 는 것 이 이 른바 新言語學 (ne이rn­

guistica) 이 라고 自稱하는 伊太利의 발3'..리 (M. Bartoli) 를 中心으로 한 言語훌者플입 은 再 論의 必要도 없을 것이다. 그플도 少앞文法學派에 對해서 지냐치게 意識的이고 積極的 인 批判的 顧度를 취하며, 또한 Croce 의 理論을 이어 받아 치나치게 心理的 碩向올 띤 연이 있다. Gilliéron 이 나 Bàltori 나 그들은 이 른바

19

t달紀의 實證主義에 對해 크게 反樓 하나 一面 그러한 碩向이 意識的으로 치나치게 觸大되는 나머지 또한그들이 批判올받게 되는 直因이 된다. Bàltori 는 實로 Gilliéron 의 方法을 印厭語族에까지 擁大시켜 言語地圖 上에 나타나는 言폼層의 解釋方法을 未Ij用하여 , 種端的으로 말하면 比較方法에 代置하려 고 까지 한다. 보며리오니 (G. Bottiglioni) 는 伊太利學者당게 先짧學者들의 方法論이 有效하다 고 暗示하고 있으나, [J우리 가 reolinguistica 에 서 實際로 배 울 것 이 없 고 또 그들이 그들의 固有한 方法으로 立證했다는 것도 實은 옳지 않다』고 Hall 은 짧評하고 있다 그러나 우 리는 여기서 Gilliéron 의 方法이 語族에까지 播大되었다는 事實만을 보려는 것이다.

122.

Gilliéron 은 少싼文法學派에 對해 서 지 나치 게 批判的이 어 셔 , 그들의 理훌움을 거 외 大部分 否認하려 한다. 그러치에 홉題對應의 規則性인 홉領法則과, 심지어는 比較方法의 有效住마저 疑心하게 되지만, 그 後 다시 比較言語學과 言語地理學과의 關係라든가 또는 모든 方言의 分布狀健를 통해서 본 言語層의 比較는 그 固有한 有效柱01 一定한 範圍內에 있다는 짧이 再險討되지 않을 수 없었고, 여기서 또한 少뾰文法學派의 홉題法則의 例外不 許容에 對한 言語地理學의 相反된 見解가 어떻게 止授되어야 할 것인가의 여러 問題가提 起되지 않올 수 없었던 것이다 가령 言語地圖上의 比較에 의해서 同홉異養語가 創造的 要因에 起因한다고 指搖했을 해, 그러면 그러한 活動이 왜 어느 낱말에서만 얼어나고 그 와 유사한 다른 낱말에서 는 얼 어 나지 않았는가 하는 間題가 Gilliéron 의 方法만A로는 全的으로 解明될 수 없는 것이다. 또한 오늘날 우리가 아는 바와 같이, 홉흩융對應의 規則

‘뾰의 有쨌住을 否認할 수는 없 는 것 이 고, 도 Romance 폼의 比較冊究에서 理論的 再構形。l 그 뒤 짧見된 歷史的 文廠과 羅典語에 의해서 直接 確짧된 것처럼 比較言語學的 方·法의 有效住올 全的으로 無視하려는 것은 그들의 지나친 생각이라 하지 않을 수 없다.

123.

Gilliéron 의 1iIf究의 一般的 f뼈向은 大體로 위 와 같은 것 이 어 서 特히 그의 ,[.、理的인 解釋方法은 細部에 들어가서 批判의 對象이 되었으나 여기서는 그러한 事實올 하나하나 다룰 여유가 없고 또 그러한 事實은 -面 固有한 方言目體의 1iIf究와는 距離가 언 것도 있

3 R.A. Hall,

J

r.; Bartoli’s ‘neolinguistica,’ Language XXII, p. 22 ff; ldealism in Romance linguistics, p.47; C. Battisi, Orientamellt gellerali della lùzguistica in Jtalia (C. Mohrmann, A. Sommerfelt &

J.

Whatmough, Trends in European and American linguistics 1930-1960, UtrechtjAntwerp 1961, pp 240-282).

A. MeiIlet, La méthode comparalive en linguÎstique hislorique, Ch.6; A. Dauzat, La géographie linguistique, Ch.3.

(4)

4 語!톨/jJf究 ‘W • 1

기에 여기서는 省略하기로 하고, 다융에는 言語地圖作없에’있어서의 基本的인 節次및 論 議對象이 된 몇 가지 基本問題에 關해서 簡單히 살펴 보려 고 한다

GiJliéroI\과 그를 前後한 言語地理學者들이 가장 鐘調하는 것의 하냐는, 훨}的인 等語 線 ô]란 있올 수 없 고 다만 各 言語現象마다 그 境界線이 다르다는 點이 다. 이 러 한 見解가 極端化되 연 ‘結局 R.M. Meyer 나 G. ‘ Paris 처 럼 方言의 存在를 否認하게 되 는태 , 그러 연 果然 等語線이란 것이 存在할 수 있느냐 없느냐가 問題가 된다 Gilliéron 또한 이 1點을 鐘蘭하는데, 그러냐 쩨이에 (A, Meillet)가 方言의 特質을 들어, r統一에 있어서의 差異요,

差異에 있어서의 統一」이라 하여 境然하지만 一面 巧妙하게 方言의 特徵을 表現하듯大

,體로 이러한 見解가 土台가 되어 方言의 存在를 認定하는 것이 -般的 見解입은 더 말할 必、훌도 없을 것이고, 等語顧 3'..한 Meillet 의 말을 넬려 「特珠事實의 限界線의 웅치 J6 라는 뜻에서 그 存tE를 認定하는 것이 옳다

위 와 같은 웰端的인 ,두 相反되 는 見解를 止짧하려 는 칫 努力은 도루에쓰EL이 (N. S.

Trubetzkoy)에서 찾아괄 수 있다 그는 두 方듬사이에 存在하는 흡的 差異를 세 가지 種 類로 區別하고, 여기 의해서

@

홉領體系를 통해서 본 훌훌홉的 方言差異, @ 여러 홉훌협의 홉聲的 實現을 통해서 본 홉避的 方言差異, @ 낱말에 있어서의 홉짧의 語‘鳳的 分布로 나누어 보게 된 다. 그리 고 홉魔的 差異는 Gilliéron 이 말하는 것 처 럼 여 러 가지 原因에 의 해서 그 境界線이 不明• 不定한 것이지만, 흡짧的 境界짧은 明fì(Þ.한 것이라 하여, 여기 最

初로 方言班究, 特히 等語線 問題에 흡領의 搬;念이 介入하게 된다. 얼릎 생각하연 흡·없 的 差異에 의 한 等語線은 分明한 것 갇고, Trubetzkoy 가 指鋼한 것 은 確實히 따實의 - 面을 보여 준 것 같다. 그러나 그것만으로 等語線에 關한 問題가 모두 解決되는 것은 아 니다. 가령 홉짧的인 見地에서 보더라도 『方言地圖의 f플地記錄은, 1-횡統的인 홉題理해에서 均一• 同質的인 것 으로 생 각하며 다루는 홉料를 n今味해 볼 만한 휠重한 資料가 될 수 있 고, 分明히 均- . 同質的이 아닌 資料를 다루기 마련 인 方言홉짧論의 새 로운 理해을 I해핍 할 수 있는 펌重한 줬料를 提供해 준다』라 하여 모울톤 (Mou\ton)은8 自검의 寶地調훌에서 , 홉짧論에서 -般的으로 생각하는 것과는 分明히 相反되는 펄質올 指純하고 있다. 다시 말 하연 A와 B方言의 限界線上에 있는 어느 地點에서는 兩方言의 어떤 홉領R':J 찜徵이 휠b搖 狀健에 있기 예운에 역시 홉領的인 面에서도 分明한 等語鎬올 긋커 어렵다는 것이다. 그 러 연 等語線의 問題는 또 다시 GiJléron 이 나 Meyer 또는 Paris 로 돌아가야 하는가

?

그러

나 Trubetzkoy 와는 더 좀 다른 點에 서 單純한 홉隨的 觀없!i 에 서 보다는 構造主義的인 立뚫

5 Ce qui caractérise d’abord le

dialecte", c'est donc la diversité dans 1’unité, ’unité dans la diver- sité. ibid., p. 54.

6 On rencontre un faisceau de limites de faits particuliers, limites qui parfois sont parallèles, parafois se croisent ibid., p. 66.

7 N.S. Trubetzkoy, Phonologie und Sprachgeographie, (Grundzüge der Phonologie, 2 Außage, p. 262).

8 W.G. Mou1ton, The short vowel system of Northern Switzerland, Word XVI, p. 155.

(5)

에방 造方콤걷톨 5

에 서 뒤 에 說明하는 바와 같이 等語線을 決定하려 고 한다(~ 431 參照).

131. 調훌地~의 決定: Gi

l1i

éron 의 그 커 다란 功績에 도 不杓하고, 그가 利用했 던 홉料 의 쓸렸性이 批判對象이 되 고 있으며 또 여

7 1

關聯해 서 롬語地圖 作댔上의 節次 빚 調훌 對象에 關해서 GilI iéron 은 여러모로 批判對象이 되고 있다 다옴에는 GiJJiéron 의 方法과 그 뒤의 寶地調훌에서 얻은 方法사이에 差-훗가 생긴 것을 보연서 Giliéron 의 方法을 다 시 考察해 보기로 한다.

Gilliéron 이 佛蘭西言語地圖 (L’atlaslinguistique de la france) 를 作成할 때 에드몽 (Edmont) 은 흉意的인 幾何學的 型으로 調훌地點을 選擇• 決定했다. 따라서 調훌旅行며 事情에 의 해 서 첫 計훌]한 코스를 任意로 變更해 벼 리 는 경 우가 많았고, 自然히 最初에 計훌l했 던 調훌 地點에 많은 變動올 가져오는 結果가 되었다. 그들이 幾何學的인 型으로 적당히 調훌地點 을 마리 決定한 理由는, 賣地調훌에서 흉걷求되 는 홈觀性에 어 떤 偏見이 냐 先入觀이 介入하 기 쉬운 것을 防止하자는 데 텀的이 있었던 것이다. 따라서 그들의 調훌地點決定方法은 一 種의 향、意性올 연 것이파 하겠다. 이더한 事實은 Gilliéron 이 름語地理學이라는 方法올 事前에 樹立해 놓고 言語地l圖를 作成한 것 이 아니 라, 寶은 그와 反對로 言語地圖를 作成한 結果, 言語地理學的 方法이 홉평되 어 나오게 되었다는 前後專實올 생각해 보연, 그들의 調훌地點 選擇엇~E얄í 뀔힘;觸된 수 있올 것이고 또한 이 點이 바로 批判對象이 된 것은 無理 가 아닝을 알 수 있다. 따라서 問題가 되는 것은 調훌地點의‘ 組織網을 어떻게 決定해야 하는가 하는 點이다. 이것은 調훌對家의 決定과도 關係가 있는 것이지만, 主로 調훌對象 이 된 地1或에 關한 從來의 믿을만한 冊究에서 밝혀진 ethno-linguistic原理에 立關해서 決 定되어야 한다고 하는 學흙도 있으나 떻는 그 方言의 어떤 特徵을 어느 程度 마리 알고

(確定的인 것이 아닐 경우도 있겠지만) , 따라서 調훌地點의

또한 自 E 冊究텀的에 맞도록 調훌地點이 選擇되 어야 할 것이다. 密度(다시 말하연 境界線 01 f흉想되는 곳)도 이렇게 해서 決定펼 수 있다.

Mou\ton 은 同一한 言語l짧에 屬하연서도 相異한 f광홉體系를 가진 方듬의 將찢性올 E퓨~E 하기 위 한 調훌地點의 組織網決定의 한 Ø1J를 提示한 바 았다 10 構造主義的 方言‘冊究는 첫 째 그 冊究對象으로 選擇된 言語몇素가 體系的인 혹은 構造if애인 面에서 價{直가 있는 것만 으로 制限되어야 할 것인가, 호L‘으

-,

‘-

밖에 다른 것도 全部有效한 것으로서 選擇되어야 하는가--이 러 한 問題가 생 긴 다.

여기 關해서는 오늘날 여러 가지로 論議되고 있으나, 筆者의 생각으로는 다옴에 考察하 는 것처럼 적어도 構造的인 觀‘웹에서 有췄(하다고 생각되는 것이 짧先的으로 選擇되어야 함 것으로 생각한다 (cf. 9431). 例컨데 A方言과 B方言에서 同一한 홉體으로 /a/가 存在

9 G. Bottiglioni. Linguistic geograþhy. Word X. p. 382.

10 W.G. Moulton. Dialect geograþhy and the conceþt of 'þhonol)gical sþace. W.ord XVIli. pp. 23- 32.

(6)

6 語훨liJf究 W• 1 월*

하연서도 A 方듬에서는 長短에 의한 對立關係가 있고C/ã/

: / ã/ )

, B方言에는 그런 對立이 없다연 A.B 兩 方름에서 /a/는 構造的인 見地에서 먼저 빠究對象으로 選擇되어야 하고,

또 여커 의해서 調훌地點의 大體的인 組織網도 決定되어야 할 것이다. 딱라서 이런 경우,

比較된 흡짧이 相異한 內的 變異흡構造를 갖는 두 地域사이 에 행界線이 그어 절 것 이 다.

이 예 調훌者 自身이 그 方言 에 關한 知짧을 어 느 程度 마리 알 고 있어야 한다는 것 은 말

할 必휠도 없 다. 그라 고 Gilliéron 의 言語地圖는 原則的으로 한 地圖上에 한 낱말의 地理

B':J

:分布狀態를 記入하는 것이지만, 위에서 본 바와 같이 새로운 碩向에서 보면, 體系上

빼係가 있는 둘 혹은 그 以上의 言語훌素가 한 地圖에 同時에 記入되어도 無짜하다. 위의 例에서 보연, A 方言에서는 /ã/와 /ã/를 包含하며 對立하는 낱말, B方言에서는 A方言의 /ã/와 /ã/에 對應하는 /a/를 가진 낱말이 同時에 記入된 다. 이 애 B 方言의 /a/가 寶際로

A

方름의 /ã/나 /ã/에 對應하지 않는 것 도 염f地調훌前에 는 調훌對象으로 i뿔擇될 可能住 í 았으나, 이것은 冊究의 最終段階에서 採擇與否가 決定될 것임은 물롤이다.

132 質問톨의 作없 : Gilliéron 은 模然히 最上의 質問홉 (guestionary) 는 調훌復에 엮 어 져 야 한다고 하는데, 그것은 좋은 意味로는 한낱 理想이요 實際로는 그의 方言갱f究의 텀的 이 當初 그다지 뚜렷하지 않았다는 事賞을 如實히 보여 주는 것이라 하겠다. 따라서 質問 휩의 作成方法에 도 Gilliéron 以復 많은 變動이 생 긴 것 은 富然한 結果라 하겠 다. Gilliéron 以復에 는 冊究對象이 된 地域의 어 떤 方言的 特徵에 맞는 또는 過去의 冊究結果에 비 추어 보아서 흑은 最近 例로는 構造的인 觀點에 서 質問휠의 內容이 엮 어 져 야 한다는 方向으로 흐르고 있음은 周知의 事實이 다.

133. 調훌홈의 性格 : Gillíéron 에 의 하연 , 調훌 • 記錄홈가 客觀住을 維持하기 위 해 서 는 言語學者가 아니어야 한다고 했고, 또한 짧際로 佛짧西言語地圖의 作成에는 를語學꿇가 아닌 Edmont 이 實地調홉에 입 했 던 것 이 다. 그러 냐 一面 Gílliéron 以前 言語地圖作成을 위 한 調훌者가 거 의 全部 言語學휩-이 었 다는 事實에 짧흰‘해 야 할 것 이 다. 實地調훌者가 言 語學.검증。1 었 다 할지 라í. f3'1際로는 그들이 아무런 그릇된 {텀見 혹은 先入觀의 짧響을 방지 않았다는 횡~J월이 立證되었을 뿐만 아니라 어느 面에서는 오히려 有利한 劉í. 있다.

한 地域을 擔當한 調훌:ð가 킹11練을 받은 그리 고 必훨한 f뚫件을 강춘 토박이 라면 有利한 點í 많을 것이 事實이지만, 한 方를圍을 반도시 한 사랍의 로박기가 調훌해야 하고 또 被調훌者가 되어야 할 必홈는 없다. 持히 佛짧西와 伊太利처럼 方言이 多樣性을 며고 있는 넓은 地域에서는, 여러 사람이 共同作業을 하지 않을 수 없는데, 이 애 한 사람 한 사람의 調훌者가 自 E가 맡은 적 은 地웰을 더 忠、實• 正確하게 調훌할 수 있다. 그러 나 Edmont 은 方法論的으로 統一펀 資料를 얻

7 1

위 해 서 必、要한 統-된 調f표116次는 同一A에 의해야 한다고 생각했으나 그것은 實際로 不可能한 경우가 많을 것이고 또한 統-된 調훌 節次에 의 한 統一된 資料라는 觀;운:에 關해 서 는 다읍 idíolect(個A語)에 關한 說明에 마 루

(7)

*홉 a톨 7

기 로 하겠다 (3211 청照).

134.

被빼훌홉의 性格 : 被調훌者의 選擇에 는 두가지 極端論아 可能하다. 伊太쭈Ij-瑞西 言語地圖(Italian-Swiss altas) 의 著者인 야벨크(F. Jaberg) 및 쇼이 옐 P} 이 어 α. Jud-Scheuer- meier), 特히 有能한 調훌者로 알려 진 Scheuermeier 는 를짧훌者가 반도시 한 規則에 얽 ,,~ 일 까Z、要는 없 다고 하나, 또 一面 그 反對로 뽀 (Pop) 은 嚴格한 方法을 要求하며 自己가 直接 루우마니아言語地圖(Rumanian atlas)를 作成찰 얘 被調훌者- 選擇에 適用한 16 項팀의 基뺑 을 提示했다. 또한 Atlas linguistic Roman(로망語 言語地圖)를 作成할 때도 同一한 基摩 을 들고 있는데 , 被調훌者는

(0

調훌地點 出身者라야 하고, (2) 그 家族들도 同地짧의 出身者라야 하며 , (3) 많婚者는 그 配偶者도 그 調훌地點 出身者라야 한다) 즈E (4) 조금 이라도 題土를 가지고 農事에 從事하는 사람아라야 하며, (5) 軍에 入隊한 일이 없고,

(6) 오랫동안 他地方에 %합留한 일이 없어야 한다는 等 嚴格한 16 項目의 基輝을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基本的인 몇 가지 基뺑올 除外하고는 被調훌者의 選擇은 結局 훌훌훌者의 直 觀과 經驗에 의하는 수밖에 없다고 보는 學뽑도 있다 11 한 地짧의 被調훌者의 數에 關

해 서 도 Gilliéron 의 理論에 의 하연 단 한 사람이 理想的일 것 같으나, 近來 大部分의 學

-협들은 實際로 두 사람 흑은 그 以上의 被둥훌훌者를 對象으로 한다.

Bl

och 은 Vosges Atlas

를 作成할 때 12 主被調훌者 한 사람과 副被調훌者 여섯 사람을 擇하고 있다. 이와 감이 한 사랑만을 對象으로 하는 것보다는 主• 副被調훌者를 對象으로 하는 것이 實際로 便利 할 것으로 생각펀다.

現代的인 實地調훌方法에 關해 서 는 로운스버 리 (F. G. Lounsbury) 의 比較的 詳細한 擬 要가 紹介되 고 있 다. 여

71

Lounsbury 는 『樓績的인 實地홈훌훌方法은 完全한 構造的 言語 分析을 志向하고 있다』는 것 올 꿇調하고 있다 13

211. 構造主義的 冊究方法은, 오늘 날 言語冊究의 모든 分野에 續大되 어 가고 있는데 , 여기서 가장 論爭의 對象이 되고 있는 것이 方言冊究와 構造主義的 冊究方法과의 關係라 하겠다. 마르며네 (A. Martinet) 는 말한다, Ii'方言學이라고 大홉 特筆하고 行해지는 짧究活 動에서는, 構造主義的 思考는 그 浪椰..'i.. 찾아보기 힘들며 또 方言學派는 言語의 細部的인 훌素를 印象的으로 記錄해 놓고서도, 아직도 그러한 훨素를 孤立된 채 神聖不可홈한 言語 學的 證據로 볼 뿐, 그것을 言語構造로 統合해 가는데 必훨한 홉料로는 보지 않는 것이 보통이 다jj14. 그러 나 近來 뚜렷 하게 크로즈압되 고 活廢한 冊究活動을 보여 주고 있는 構造 方言學에서는 構造主義的 冊究方法의 理論이 方言冊究에 擺大되어 가고 있다. 構造方言學

11 G. Bottiglioni, op. cit.. p. 384.

12 Atlas linguistique des Vosges m깅:ridionales. Paris 1917.

13 Floyd G. Lounsbury, Field methods and techniques linguislics(Anthropology Today, Chicago, p. 414).

(8)

8 語얻홈liJf究 W.1

이 어떤 理論 위에서 어떤 方法해을 가지고 可能한가 하는 問題를 明白하게 들고 나온 代 表的인 學者가 바인라이히 (U. Weinreich) 라 하겠다. 그는 方言學과 構造主義의 理論이 더 密接하게 接近하먼 , 兩者間에 存tE하는 予屆이 解消되 고 서 로 統一펀 方法請的 理論올 얻 을 수 있다는 可能性을 提示한 바 있다 15

Weinreich 는 먼 저 方言冊究의 첫 段階인 記述對象의 住格에 關하여 idiolect16의 廠念을

批判하고, 첫째 言語의 pattern 은 對話의 E짧境에 있는 두 사람을 考察할 혜, 더 容易하게 把握할 수 있을 것 이 며 , 둘째 로는 한 idiolect 라 할지 라도 그것 은 더 文體 (style)와 같은 것 으로 區別되 는 差異가 있을 수 있기 예 문에 同質的인 記述對象으로서 idiolect 를 擇한다 는 것 은 實際的인 面에서 無意味한 것 이 라고 한다. 一般言語學의 課題가 t날界의 모든 言 語構造를 記述하는 것 이 고 또 -面 그 記述이 어 느 한 持定된 時期의 idiolect 만을 對象으 로 한다면, 理論上 構造言語學은 言語記述에 있어서 無意味한 努力을 無限히 繼網해야 할 것이며, 實際로는 큰 效果를 얻올 수 없는 것이 되고 만다. 따라서 idiolect 의 觀念에 서 a청導되 는 것 같은, 혹은 Gilliéron 이 말하는 것 같이 完全無缺한 同等的 資料에 記述對象 을 限定한다는 것은 한낱 理想詢에 지나지 않는다. 構造言語學의 理歸은 記述에서 歸導 되는, 또한 特有한 形式的(寶質이 아넌)機構를 보여주는 同質的인 몇몇 體系에서 더 高 갖的 段階의 한 體系를 構없할 수 있는 冊究節次가 훌求되고 있는데, 이러한 方法에 의해 서 方言體系 (diasystem)가 形成될 수 있다고 Weirhreich 는 말한다. 이와 같이 方言體系는 部分的으로 類似한 體系에 서 言語分析에 의 해 서 이 루어 진 다(이 것 이 單純한 集合體가 아 닝은 말할 것도 없다 )17.

그러 고 이 것 이 바로 構造主義的 方듬:m~E의 ili發짧이 되 는 것 이 다. 傳統的인 方言學이 部分的 類似性애문에 相異한 體系가 서로 다루어질 때 얼어나는 問題를 冊究하는 것이라 연 特히 構造方言學은 部分l젠으로 類似한 두 方言사이 에 部分的 差異가 있을 애 이 差異의 構造的인 歸結을 冊究하려는 것이라고 하겠다. 즉 橫造方言學은 方言體系間의 類似點과 差異點 그리 고 그러 한 類{以點과 差異點을 가치 게 된 構i훨댄]인 變化의 原因 • 結果를 초對 象으로 하는 것이다. 이와같은 點에서 樞造主義 學者들은 從來의 方言學이 體系內에 있어 서의 要素들의 相표關係를 전혀 :?g察하지 않고, 相異한 方言 體系에 l험하는 떻素들올 그 들 體系와는 빽;關하게 孤立的으로 比較하고 있을 뿐이 라고 批判한다 橫造方言學의 課題 는, 첫 째 言語훌素의 目錄 (inventory) 의 作成과 둘째 는 地理的 分布上의 差異를 통한 構쉰

I

A. Martinet, Structural /inguistics (Anthropology Today, Chicago 1953, p. 574) 15 U. Weinreich, !s a structural dialectology possible? Word XVIIl, pp. 388-400

16 idiolect: The totality of the possible utterances of one speaker at one time in using a language to interact with one other speaker (A glossary oJ AmericaTl techTll'cal linguistic usage 1925-1950, Utrecht/ Antwerp 1957, p, 31). cf. C.F. Hockett, MaTluel oJ phonology pp. 18-23; Course in modern liTlguistics pp. 321-329; C.E. Bazel, Correspondence Jalla"cy in slructural /inguistics (Readings in linguistics

rr

, p. 275)

J7 U. Weinreich, op, cZl., p. 390.

(9)

까빼 造方를i. ~톨 9

的 解釋으로 나누어 지 는데 , 地理的 分布上의 差異.에 關해서 는 方言冊究의 固有한 方法이 홈求되며 。!것은 또한 우리가 考察하려고 하는 것이지만, 첫째 課題에 있어서는 各方言 의 個別的인 g 錄만으로는 不足하며 다옴과 같이 두 方言의 흉힐素들이 體系的인 見地에서 相互比較가 可能하도록 選擇調훌되어야 한다. 例컨데 여기 몇몇 方름이 있다고 할 혜,그 母흡은 各己 다옴과 같이 體系的인 面에 서 서 로 比較펼 수 있도록 提示되 어 야 한다 18

212. 方言 1. 2 가 實際로 同-한 5.母홉體系를 가지고 있다연 이것은 單純하게 다음과

같이 提示될 수 있을 것이다.

1.2/ i'"'-'e"-'a'"'-'o'"'-'u/ /

그러나 兩方言에서 前母홉 e 가 1 에서는

/ e/

, 2 에서는 /e/로 區別띈다변 그 方言體系의 差異·는 다옴과 같。l 表示되 어 야 한다.

l 2//i~ 」Fa~o~u//

2'"

또한 1 에서는 3 前母륨이 區別되고 2 에서는 4 前母홉이 區別된다연 솥홈然허 다음과 같은 텀錄이 作成되어야 한다.

l/ i

,,-,

e'"'-'æj

-2/ /

_ l Ij; _ ---, ~ I

rva'-""""o

…//

2/i'"'-'e"-'e'"'-'æ/

여 71 實例로 Yiddish語의 경우를 들어 보면, 첫째 이 言語는 1. 며央 (P이 ish) , 2. 西南

(Ukrairian)

,

3.

西北(Lituanian) 의 세 方言으로 나누어지는데, 各 方言의 母홉體系에 있

어 서 의 差異는 다옴과 같이 體系的으로 簡單 • 明!際하게 表示될 수 있다.

l/i: "-'i/

da:"-'aj

1.2.31 / -1긴얻/ '"'-'e"-'~τ;g-~o~u//

이 렇게 보면 2,

3

의 /a/는 1 의 /a/와 同-하다 할지 라도 1 의 /a/에 는 長短의 對立이 있 고, 2 , 3 의 /a/에는 그런 長短의 對立이 없기 해문에, 兩者의 /a/는 서로 相異한 體系에 빼하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寶際로는 이러한 點이 考I훌되지 않고, 다만 서로 分離된 텀 錄만이 作成되 며 또한 1 의 /a/와 2,3 의 /a/가 同-하다는 것 만을 提示하는 것 이 從來의 方言冊究의 態度라 할 수 있다. 이렇게 單純하게 보는限 體系的인 把握이 不可能할 것이 다. 이와 같은 事實은 다옴 例를 보띤 더 容易하게 理解펼 것이 다 19

다음 圖表는 言語X 에서 낱말 man 의 母홉에 關해서 假;쩡한 것이다. 圖表 2 에서 單線은 相異한 홉짧 B 錄의 地域을 區別한다(單線의 右떼(1. 2>에서는母홉의 長短이 圖別되며 左때

<3.4.5>에서는 區別되지 않는다). 이러한 경우 圖表 1 촉은 圖表2의

[aJ-[åJ

等올 方言홈 聲的 比較 (diaphonic comparison) 라 하며 , /õ/-/ó/ 를 方言륨짧的 J:t較 (diaphonemic

com.

parison)이라 한다. 樓線은 이 낱말에서 相異한 홉짧을 使用하는 地域을 區別한다. 點線은

18 lbid., p. 394.

19 Jbid.. p. 393.

(10)

10 홈홈!톨liIf究 W 卷'.1 훌

3

(å) '" /0/

5

1. 1f1.統的 2 Mi훌的

變異홉的 差異를 區別하는 것으로 한다. 構造的 見地에서 볼 애, 變異흡的 差異는 륨짧的 差異에 比해서 重要性이 적다. 圖表2 의 全體 /a/地域에서 [a](3) 와 대] (4) 를 區別하는 훌聲的 限界線는 [mån]=/man/(4) 과

[ månJ

=/mon/(5)의 發흡을 區別하는 흡隨的 限界 線보다 重要性이 적다. 後꿇는 實質 (su bstance) 의 差異플 反|決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非構 造的인 圖表1 에서는 對照的으로 나타냐지도 않는 것이다. 構造方言學에서 方言펼素의 體 系的인 把握이란 大體로 이러한 考察을 말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라한 調훌에서는 B] 단 홉짧이 個別的으로만 다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分布에 關해서도 行해진다 가령 짧語方‘言

G

1, G2에서, 前者에서는 /t/앞의 폼頭에서 /\/가 나타나고, 後者에서는 /s/가 냐타나며,

이 와 類似한 現象이 /p/앞에 서 도 나타나고 또 /k/앞에 서 는 兩휴-에 서 [s1 만이 나타나며 , /v/ 앞에 서 는 /\/만이 나타난다면 다음과 같이 提示된 다.

/싸 \t/ Gl/

# \P/

,G

zI /

Gif, ~ l~ft",~ll, ~ ~~/, ".)

# sk/

rv /

# \v /

rv…//

G2/

#

st/ ~ G2/

#

sp/

이와 같은 例로 英語의 東部英國方言 (S8) 에서는 形健素의 末位에서 /i!,

/ ï/

, /d/가 올 수 있는데 對해서 오오스플라리아英폼方言(A)에서는

/ ï/

, /d/ 만이 을 수 있다연 이것도 다옴 과 같이 提示된다.

sß/ i #

/",

/ ï # /

, A /

/~:-;-i

A / ï# /

/+~-"'d#

/ /

221. 方言冊究가 크게 共時方름學과 通時方言學으로 區別된 다면 , 前者는 部分的인 體系

的 差異를 比較하며 類似셈i의 헤 두리 얀에 서 그러 한 差異의 共時的 結果를 다루는 것 이 고 復홈는 類似性의 태 두리 안에서 部分的 差異의 成長을 冊究하며 前段階에 있어 서 의 더 廣 範圍했 던 類似性올 再構하는 것 이 可能한(즉 比較方言語學的 方法) 1Uf究와 또 그 差異는 無視하고 據大되어 가는 部分的인 類似性을 冊究하는 部分으로 區別펼 수도 있올것이다.

여 기 서 構造主義的 冊究는 共時方言學에 있어 서 는 構造의 記述과 더 불어 그러 한 體系의

(11)

빼 i훌方톰톨 11

1t較를 다루며 , 通時的 m究에 서 는 例컨례 어 떤 홉짧의 훌化와 同時에 그 結果 方言의 홉 짧體系內에서 얼어냐는 變化롤 究明하는 것이라 하겠다. 약라서 共時的 m究에셔는 各方 言의 *홈造記述과 또한 g 錄作成에 서 各 方言의 要素플이 빼造的인 面에 서 서 로 比훌훗가 되 도록, 다시 말하연 各 方言의 要素는 體系的인 面에서 어떻게 相효 對應하는가를 뾰定해 야 할 것이다. 그려고 各 方言의 構造를 比較하여 構造的인 差異를 밟究하게 된다. 以上 이 大體로 構造主養的 共時方言學이 志向하는 方向이라 할 수 있겠으나, 이러한 共時的 wf究가 土훌가 되어, 더 나아가서 構造的인 見뼈에서 어떠한 빠究가 實際로 行해져야 하 는가? 다옴에 實例를 들어 그 一面을 살펴보기로 한다.

311. 그라몽(M. Grammont), Meillet 等 Saussure 의 理論올 이 어 받은 關뼈西學派의 大體 的인 特敏은 主로 言語變化에 있어 서 의 , G、理的• 生理的 要因의 究明을 鐘調하벼 , 흉化가 일어냐는 言語體系를 重要視하는 데 있다. 最近에 이르러서는 方言의 一般理論에 關心을 갖는 學者들도 大體로 方言構造의 探究에 힘올 기울이고 있다. 그리고 一般的構造主義理 論을 言語變化에 關한 wf究에 適用하려는 願向이 뚜렷해졌고, 이러한 冊究에 있어서는 心 理 生理的 홈因과 더불어 構造와 機能으로써 內的 言語變化를 說明하려고 한다20

이 러 한 理論올 背景으로 通時論에 있어 서 의 構造主義的 冊究理論이 通時홉題論 (phonologie diachronique21) 이라는 이듬으로 나타나고 있는데, 그 理論과 方法을 가장 解明하게 提示한 것이 Martinet 업은 더 말할 ~、要도 없다22 Martinet 에 의하면 通時홉홉論의 캉좀徵은 機能·

構造 • ↑홉뾰과 不均衝의 세 가지 로 要約된 다. 여 커 서 機能은 示差的 機能을 뭇하며 構造는 홉짧을 形成하는 示差的(흑은 辦別的)特徵이 홉題間의 相關과 相關束올 形成하고 흡題올 統슴하는 것올 말한다. 즉 Martinet 는 機能上의 必要性과 構造上의 .!!力이라는 두가지 內 的 要因 以外에 , 홈聲器官의 惜性과 不均衛이 라는 外的 훌因을 假定하고, 言語훌化는 兩者­

의 對立--다시 말하연 人間의 表現의 必要性과 心的• 生理的 努力올 最大限으로 節約하 려는 二律背反的언 制約 밑에서 이루어지는 것오로본다. 이러한 點에서 近來 構造方言學 에 서 活動的인 웅직 임 을 보여 주고 있는 Moulton 위 여 러 論文에 는 專實上 Martinet 의 方 法論。l 忠、實하게 反映되 어 있으며 ; 또한 어 느 面에 서 는 Martinet 의 理홉움을 立證하려 는 것 도 같다. 一f71J 를 -을연 M-artinet 의 case vide23에 關한 通時옳的 理論올 貝體的으로 호證 하려는 것이 우리가 다옴에 機觀하려는 Moulton 의 北瑞西方言에 關한 짧究이다. 이렇게 볼 예 , 通時的 構造方言學은 通時륨題論과 같은 構造主餐的 方法을 實證的으로 뒷 받침 하

20 A. Sommerfelt, .The French school of linguistics (Trends in European and American Iinguistics 1930-1960. p. 283).

21 通時흩짧짧운 홉題훌化의 /j/f究에 :taíitlll인이며 빼i훌主훌 8인 方‘&율 홉用하려는 것이마. ~뼈 11 西톨界 에서 從來 史的홈g훌훌 (Pbonétique historique) 이 라고 부르는 것과 通時홈짧훌움과의 差異는, 前홈가 홉 連뼈內에서 陽接홉뼈의 ~~흩융 짧明 • 解明하려는데 對해서, 後홈는 主로 때,;훌內의 홈援홈題과의

.m

표빼fJt't 및 作用애 의 해 서 홉짧훌化흩 홈明하려 는데 었 다.

22 A. Martinet

,

Économie des changements phonétique

,

traité de phonologie diachronique.

23 fn. 27 훌照.

(12)

12 語~/j/f究 W 卷.1

려는 듯한 印象까지도 발게 된다.

MHG 北部 (N) 東部 (E) 西南部 (WS) ZH 홈地

11 Ul U1 10>1 UO'1 UO>l 10,1 UO,1 UO,1 10 Uo U 。 10,11 UO>l1 UO>lI

e2 02 02 e1,2 01,2 01'2 e1,2 01

01'2 11 U1

Ul 11 U1 UI

E2 O2 O2 l E2

J

l02

J

O2

e3 EJ ,~ ~2 :>2 EJ :>2 :>2

a

a4 a

æ

a

æ 3

’‘

a

æ3 ,~ a~

이 것 은 다음과 같이 diaphonernic list 로 整理될 수 있다 (ZH,와 西南많의 I , ÜUI양外) N.

E!

e,,-,e/ _::_ N.

dÖ"-'5 /

_,,_, N.

do

,,-,:>/ N/a/

5 1/i

l""V ~'LI ~t::' I """"""Ü"""" _''11' ~/;;.::.. ,-1 l"'Vu ... 1', " L/; n I~'_""

("4:::"' __

,/ /

ws/E/

ws/Ö/ ws/O/ E'WS/æ"-a/

위 의 母홉圖는 Moulton 이 北瑞西의 方言을 調훌한 結果이 다 24 여 커 에 는 複雜한 다른 여 러 가지 휠象이 內包되어 있으냐, 本精에서는 될 수 있는 限 說明을 알기 쉽고 簡單히 하 71 위 해 서 要點만을 提示하 71 로 한다. 圖表中 MHG 는 中期高地獅語, ZH 高地의 ZH 는 調훌 地域의 略廳이며 母흡表示의 右뼈II에 있는 아라비아 數字는 MHG 와 서로 對照하라는 것 을 表示한다. 다만 0 은 特珠한 낱말에 限해서 냐타나는 것을, 그리고 11 은 MHG 의 長 母홉 /ï, û , ú/가 短母홉化한 것을 表示한다.

먼 저 前母홉系列을 볼 때 , (1) Vetter (<MHG e), (2) Wetter (<MHG ë), (3) Wespe

(<MHG ä)와 같은 MHG 에 서 e-ë-ä 로 區別되 는 세 母홉에 對應、하는 母흡을 가진 세 種

類의 낱말들올 讀훌한 結果 다음과 같은 事寶을 알게 된 다. (1) 東部에 서 는 /fett;}r, wEtt;}r,

二펴e shorl 꾀el 잉stems 0/

Norlhern

S띠 'Izerland.

Word XVI. pp. 155-182

(13)

빼造方 13

wæspi/와 같이 /e/rv/e/rv/æ/ 세 母흡이 圖別되 고, (2) 北部에 서 는 /fett;}r, we.tt;}r, wespi/

와 갇이 /e-e/ 두 母홉얀이 區別된다. (3) 西南部를 보연, 그 西方에서는

[f

ett;}r, wætt;}r, wæspi] 와 같이 [e]-[웅], 또 中央에서는

[f

ett;}r, wætt;}r, wæspi] 와 같이 [e]-[웅]로 發홉 이 되 며 , [e] 와 [e] 는 實際로 /E/로 묶을 수 있기 때 문에 여 기 서 는 /E!-/동/ 두 母홉이 區別된다. 이렇게 北部에서는 低母홉 /æ/가 없기 때문에 三角圖가 形成되며, 東部와 西 南部에서는 四角圖가 形成된다. 이러한 여러 事實은 위와 같은 言語地圖에 의해서 앓合된 것이다.

321. 西南 全體地域에서 hert 의 母홉은 [e] 로 나타난다. 그러나 西方에서는 [e] 가 /E/

의 ‘iE常的’ 혹은 ‘規則的’인 變異흡 즉 모든 홉題뭘境에 서 나타나는 것 이 고, 中央에 서 는 [e] 는 /E/의 ‘特~’한 變異홉 즉 /r/ 앞에서만 나타난다. 다시 말하연 西方에서는 홈領

/E/

에 하나의 主뺑異홉 [e] 가 있고 여기서 벗어냐는 것은 所謂 目由變異흘이라고 할 수 있는 대 여 기 對해 서 며央에 서 는 /E/가 大部分의 環境에 서 는 [e]로 또 /r/앞에 서 는 [e] 로 홈現 되며 여기서 벗어냐는 것은 所謂 (地理的인)相補的 分布라고 부르는 것이다. 이렇게 하여 두 地域에서 比較된 하나의 흡題에 相異한 內的 變異홉構造가 있을 해, 嚴洛한 意味에서 그행界線은構造的인 것이 된다. 이것은 위의 言語地圖에서 二重點線으로表示된 것이다25

322. 前母흡系列과 같은 節次에 의 해서 各各 圖l홉前母홉과 後母흡이 決定되 고, 위 에 提

示한 바와 같은 北部 • 東部• 西南部

.ZH

홈地의 各 母홉體系가 꿇定되 었 다연 , 構造方言 學은 이러한 共時的 整理에서 끝이는 것이 아니라, 더 나아가서 그러한 體系가 各方言에 서 이루어지고 또 그러한 體系的인 差異가 各方言間에 생기게 된 原因을 究明한다. 다시 말하연 그러한 差異가 어떠한 構造的 歸結인가를 究明하려는 것이다. 우리는 여기서 먼 저 MHG 의 母흡體系에 ì1:意해 야 한다. 前母홉系列로 /i,e, ë, ä/의 4 母흡이 있는데 훨해 서 後母홉系列로는 /u,o,a/ 3 母흡만이 있 다. 그 對立關係를 보연 /i/-/u/, /e/-/o/, /ä/-/a/

에 對해 서 前母홈 /ë/에 對한 後母홉의 학이 없 다. 다시 말하연 /ë/는 「統슴되 지 않은 홉 領J(phoneme non-intégré)이며 26 /ë/에 對한 「構造上의 구영 J (case vide) 이 있음을 알수 있다? 이것은 홉領體系의 不均衝狀健를 意味하는 것으로, 이 不均衝狀態에서 t성衝狀~~

를 취하려고 할 때, 그 體系內의 要素는 動搖하기 시착하고, 여기서 홉領變化가 얼어난 다. 이러한 變化는 從來 l京因不明의 것으로 보아왔던 것이며, 이것이 바로 通時홉領論의 開招分野라 하겠는데, 이 理論과 方法을 方言冊究에 導入하고 있는 것이 構造方言學持히

Moulton 等의 fi/f究에서 뚜렷하게 볼 수 있는 碩向이다. 이러한 觀點에서 MHG 의 母홉體

系와 위에 링1 用한 北웹西의 몇몇 方롬의 母홉體系를 比較해 보연 다옴과 같은 事實이 훌

25 이것은 所調 뼈理的 相補라고 부르는 것이다. 여기 뼈해서는 뒤에 다시 說明힐 것이다.

26 A. Martinet

,

op. cil.

,

p. 79.

21 lbid., p. 80. Pike 는 hole in the pattern 이 라고 부른다 (Phonemics, Ann Arbor 1959, p. 117).

統合되지 않윤 훌훌짧 즉 빼造上의 쿠영이 있을예는 뼈系的 햇動을 일..2..키는 홉짧햇 it;의 몇因。1 된다.

(14)

14 g홈S úIf究 W 쩔 • 1

面에서 作用하고 있었옴을 알 수 있다.

北 部 훌 部

--- -, , , ‘ . --’ 0

’ •

(結果) MHG (結果)

u u ü u : u u

e 0 0 e

δ 1

0

1

e 0 0

e !i :> e e !i 3

a a a æ a

西빼홉B

MHG (結果)

MHG

ü

u: u u

u u

O

‘ , .. , ‘

l 4 -

e e 0 0

e 0 0

a a

æ a

위에서 言及한 것처럼 MHG 의 後母홉系列에서 o 와 a 사이에 「構造上의 구멍」이 있、고 여 기 體系的인 不均衛狀健가 보인다. 이러한 경우에는 다른 홉題을 끌어당겨서 o 와 a 사이 에 새 로올 흡짧이 나타냐든지 (이 것 을 Martinet 는 「體系의 索引 J (attraction du système)28 이라 한다), 혹운 「統合되지 않은 홈題」인 /ë/가 消澈함으로서 體系的 均衝올 취하게 된 다. 그리 하여 北部에 서 는 /0/가 低좀化하여 여 커 새 로운 母홉 /:>/가 나타나게 된 다. 이 低줌化는 여커서 끝이지 않고 全高母홉序列에서도連짧的인 作用을 일으키게 된다. 北部에 서 MHG 의 /i/가 /e/로, MHG /디/가 /ö/로, 포 MHG /u/가 /0/로 變化한다. 다시 MHG /ö/와 /0/는 低줌化하여 /5/와 /:>/가 냐다나게 된다. 이렇게 하여 不均衝 狀願에서,

/ i /

,

/ ü/

, /u/와

/ ö/

, /0/가 全般的으로 低줌化하게 되 어 /:>/와 /5/의 짧生으로 均衝狀顧를 취 하게 된다. 여기 보는바와 같이 不均衝 狀顧에서 體系內의 各母흡은 같은 方向으로 動搖 하게 된 다. 다얀 低母홉 /ä/만은 오히 려 高좁化하여 /ë/로 變化하여 消짧하여 우l 에 提示 한 바와 같은 體系를 가지게 된 것이다. 東部에서도 大體로 同一한 變化를 일으키고北部 에서와 같은 結果가 되는데 다만 /æ/의 變化가 없어서 四角體系를 가지게 된다.西南部에 서 는 正反對로 「統合되 지 않은 홉짧J /ë/가 /ä/로 廠슴變化 하여 消澈함으로서 體系的 均 衝狀顧를 취 하게 된 다. 그리 하여 /e/, /ö/, /ü/는 各各 그 變異홉域 (allophonic range) 이 넓어지고 /e/는 (e-eJ, /ö/는 [ö-5J, /0/는 [o-:>J 에 걸치게 된다. 그것을 便宜上 大文字 /E, O, O/로 表示했다. ZH高뼈의 경우는, g좀쨌한 휠l搖狀顧에 있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同一한 ZH高地方言에서도 그 下位方言(subdialect) 에 따라서 /O/-/a/의 對立이 [oJ-[aJ로 實現되는 곳도 있고 또 [:>]-[aJ 로 實現되는 곳이 있어서 不規則的이다. 이것은 /E/,/Ö/의 低좀化률 말하는 것인지도 모른다. ZH高地에서 보연 MHG 의 高母흡/i/,

/ ü/

, /u/는 全部 低폼化된 hI,

/ u /

, /u/로 變化했기 예문에

/ E/

, /ö/가 더 低줌化하게 된 것으로 解釋된다.

現在의

/ i/

, /니/, /u/는 모두 特흉한 낱말에서나 혹은 長母홉이 短母홉化하여 생긴 것이다.

2S A. Martinet. op. cil .• p. 50.

2Q On a sévèrement et ajuste titre critiqué la phonétique ((sur le papier)). 11 serait également dang.

ereaux et repréhensible de jougJer arec les symboles de tableaux phonoJogiqument. ... Cependant. on ne saurait hier que les formations des phonèmes. corrélations et. faisceaux. tendent à imposer leur types articuJatoires aux phonèmes isolés. ibid.. p. 80.

(15)

*뼈造方홈흥 15

이와 같은 現象은 西南端에서도 볼 수 있는데, 가령 /E/의 變異홉域은 [e-e] 에 결쳐았다

할지 라도, (ji/))/r/, (jü/))O. (ju/))/u/와 같은 低폼化로 實際로는 各各 [e, 5,:>]에 가깡

게 實現되는 것이다. 이러한 說明을 보면, 종이 위에서 농간을 부라는 홉聲學과 같은, 혹 은 文字 그데로 言語學者들의 슴理化를 위한 技巧를 보여 주는 것 같으나, 위에서 提示한 說明을 주어진 흉料에 의해서 보연, 實證的인 그리고 合理的언 것이라 하지 않을 수 없 다29 或者는 이러한 體系的 均衝이라는 廠念을 「텀的論에 뿜梁된 것」이라고 非難할는지도 모른다30 그러나 構造는 共時性에 있어서 存立할 수 있는 同時에 通時的에 있어서도 存 호할 수 있다. 따라서 歷史는 構造의 歷史라고도 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通時性은 共時 性의 繼起的 連續이라는 點에서 그 正當한 存在理由를 가칠 수 있고 또한 。l 러한 點에서 兩者가 다 갇이 構造的 冊究對象이 될 수 있다. 言語變化의 要因은 決코 時閒이 아니다­

그것은 다만 限界 (cadre) 에 치 나지 않는다. 言語變化의 原因은 一面 言語要素의 性質과 í 다흔 面에서는 그 훌素플의 構造的 關係에 있는 것이다. 그리하여 Benveniste 는 「構造」라 든가 「均衝」의 搬念이 言語體系의 發展을 理解하기 위한 重홈한 닮理라는 點올 꿇調하고 있다31 또한 이렇게 해서 Saussure 以後 흔이 對立되어오던 共時性과 通時性의 훌훌훌도 解 消펀다.

33

1. 지 금까지 考察한 北方瑞西方言의 母홉體系 {91J롤 통해 서 , 構造方言學의 比較的 새 로운 몇 가지 重훌한 戰念윤 얻게 된다. 첫해 地理的 相補 (geographical complementation) 를 들 수 있다. 從來 「相補的 分布」라고 할 경우에는 홉題的(혹은 言語學的)으로 決定된 分布를 意味한다. 그러 나 이 搬念을, 地理的(非言語的)으로 決定된 分布라는 뭇으로 擁大 해서보는 것이 便利하다. 위에서 引用한 前母홉에 關한 言語地圖에서, 西南部의 西方地域 과 中央地域에 는 同一한 홉홉휩體系가 있고 또한 同一홉題 /E/를 가지 고 있다. 그러 나 이 /E/의 變異륨이 西方地域에서는 [e] 이고, 며央域域에서는 (大部分의 경우) [e] 이다. 이러 한 「地理的 變異홉 J (geographical alIophone) 以外에, 中央地域에서 /E/가 [fett;}r] 에서는 [e] 로, 또 [hert] 에서와 같이 [r] 앞에서는 [e] 로 實現되는 (홉題的 相補인) 位置에 의한 變異홉이 있고 또한 西方地域에서 /Ofj, hOs;}/의 /0/가 [0] ".{:>]로 發륨되는 멈由變異홉 의 경우도 폴 수 있다. 0] 세가지 分布型올 地圖에 記入하여 表示한다연 전혀 다른 地理 的 分布相을 보여주게 될 것이다.

332.

훌훌훌웰: 한 흡짧의 變異홈이 걸치는 (혹은 搬布되는) 홉聲的 區域 32에 關한 課훌

30 Sous Ie nom de Structure, un ((bloomfieldien)) décrira un agencement de fait, quiI segmentera en éléments constitutifs, et iI définira chacun de ces éléments par Ia place qu’iI occupe dans Ie tout et par Ies variations et Ies substitutions possibles à cette même place. II repoussera comme entachée de téléologie Ia notion d’équilibre ... C’est même Ie seuI principe qui fasse comprendre 1’évolution des systèmes Iinguistiques, É, Benveniste, Problèmes de linguistique générale, Paris 1966, p. 9.

31 Le temps n’est pas Ie facteur de 1’évolution ... La raison du changement. ... est d’une part dans Ia nature des éléments ... de 1’autre dans Ie relations de structure entre ces éléments. ibid.

,

p. 5.

(16)

16 語칙P-ú1f究 W왈 • 1 號

와 여기 關한 說明은 構造å':J인 面에서 重훨한 意義가 있다. 西部의 [h삶(t) , h6dJ가, (1) 홉짧的으로는 [h6S(t), h6dJ, (2) 홉짧的으로는 [hes(t), hedJ 로 中央地域의 -部에 鐵大되 는데 , 이 얘 中央地域에 [6J가 없 다연 (2) 는 單純한 홉聲的인 交替에 지 나지 않을 것 이 다. 그러 나 中央地域에 는 홉題 /E/의 獲異흡域內에 이

P]

[6J가 있기 때 문에 이 變化는 미 묘한 것이 된다. 이것은 홉聲을 內的 흡題構造에 맞추려는再整理이다. 여기 (1) 과 이P] 存在 하는 홉聲올 再整理하지 않는 借用과 區別되는 差異가 있다. 慶異홉域의 더 좋은 例는

[h6rtJ의 母흡이 다. 이 [6J 기-

ZH

高뼈에서 는 홉題 /E/에 빼하며 , 그 變異홉域은 [eJ-[6J 에 걸친다. 이것은 體系的 均衝을 취하기 위해서 MHG 의 /6/가 없어졌 71 때문에, /E/의 變異홉域이 自然허 [eJ- [6J 로 擬大된 것이다. 그러나 北部와東部에서는 /e/와 /6/가 있기 해문에 위의 母홉 [6J 는 홉賴 /e/에 뼈하는 것이 아니라 /6/에 屬하는 것이 된다. 이와같 이 變異륨域은 홉題體系와 關係가 있음을 알 수 있다.

333 _

音훌的 間隔33. 이것은 樓異홉域과 密接한 關係가 있는 것 o로, 두 홉領領域 사이 에 흡聲的인 間隔이 있는 것을 意味한다-~質的인 言語社會의 테두리 안에서는 各 흡짧 의 正常的인 變異홉域은 憐接해 있는 다른 홉領의 變異홉域과 서로 重合되지 않고 그 사 이에 -種의 無A境。l라고드 할 수 있는 安全關이 있다34 이러한 觀;운:도 또한 目的論的 i닫梁이 라고 批判하는 사랑도 있을 것 이 다. 그러 나 다음과 같은 例를 보면 , 그러 한 機念、이 寶際로는 有效· 便利한 것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_ ZH高地에서는 /i,니, u/와 /r, 0, u/의 實現이 서로 混同되는 順向이 있는데 對해서 西南部에서 이 兩者가 完全히 區7JIJ띈다. 이 러 한 事實은 이 두 地域에 서

/ i

, ü, u/와 /r, Ü, u/間에 相異한 「홉聲的 間隔」이 있음을 보여 주는 것이다. 다시 말하연 閔/開에 의한 區別이 高地에서 보다 西南部에서는 더 넓고 여 기 흡賴的 間隔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334_

對立的 均衝 :/i , ü, u/와 /r, ψ, u/의 對立이

ZH

高地에서 는 비록 混同되 는 碩向운 있

32 ~훌훌찢홈域 Martinet 는 champ de dispersion( 散布圖域)이 라 한닥 (Economie.

2.10). Mou\ton 는 allophonic range 라는 用語가 오히 려 좋다고 한다. 그 理由에 빼해 서 는 Moulton(Word XVI p 178. fn. 21) 융照.

aa Martinet 는 marge de sécurité(安全 l해隔)이 라 한다 (Économie.

2. 11). Moulton 은 phonetic inter- val 라고 부L 른다 (Word XVIII pp. 22-25).

3< Dans le cadre d’une communité linguistique homogène. il est probable que le champ de dispe-

rsion normal de chaque phonème. dans un contexte déterminé. ne sera pas contigu à ses voisins.

mais qu'il y aura entra deux champs une marge de sécurité représentée par une sorte de ((no man’s land)). Martinet. oþ. cit.. p. 47. At first glance. such expressions as “Champ de dispersion". “marge de sécurité" •... might seem to be mere metaphors-useful in describing the processes of diachronic change. but lacking in physical correlates. Martinet has shown. however. that the dimensions of the phonological spac~ implied in there expressions are furnished by the shape of the organs which produce speech. Thus it is the asymmetry of the vocal organs which is responsible for such asymmetries often found within phonological systems as : fewer low vowels than high vowels; fewer back vowels than front unround vowels ... Mouton. Dialect geograþhy and the ccnceþt oJ þhonogicol sþace (Word XVlI' p. 24)

(17)

*빼 造 方 홉 a홈 17

을지라도 對立關係가 多少 鐘하게 維持되는데 對해서 低地에서는 混同이 홉하다. 이러한 現象은 다융과 같은 原因얘 의 해서 짧明할 수 있 다. 高뼈에 서 는

/ i

, 니, u/가 持珠한 낱말에 서 나타날뿐만 아니 라,

MHG

, û, ü/의 規則的인 短母홉化얘 의 한 많은 낱말에 도 나타나 며 또

h. ü

, u/는

MHG /i

,

ü

, 11/의 規則的인 低굵化에 의 한 것 이 기 때 문에 ,

/i

,

ü

, u/와

h.

ü, u/兩者의 頻度가 다 같이 높아서 兩者間의 「對立B'J :l:경衝」狀顧가 잘 維持되고 있다.

여 기 對해 서 低地에 서 는

h.

ü, u/는 少數의 特!l*한 낱말에 서 만 나타나기 혜 문에 ,

/ i

,

ü

,

u/

의 높은 頻度와 「對立的 혐衝狀健」가 高地에 서 보다 確固하지 옷하여 動搖 즉 混同된 다r 335 . • 能負擔.: 위 에서 본 「對효的 均衝」은 機能負擔量;과 混同되 기 쉬 우냐, 兩者는 嚴 格히 區J}IJ되 어 야 한다.

Moulton

에 의 하면 35

Zürich

市의 被調훌者의 말을 觀察한 結果, 흡 調 /E/와 /e/가 거 의 相補的 分布를 보여 준다고 한다. /E/는 거 의 排他的으로

/r

,

x

,

m

,

n

,

0/

앞에서, 또 /e/는 다른 모든 뚫境에서 나타난다. 그러므로 /E/-/e/對立의 機能負擔量은極 히 낮다. 다시 말하연 홉領環境에 의해서 兩者를 據見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一面 /ε/-/e/의 對立的 均衝을 보연 兩者의 頻度가 거의 같다. 다시 말하면 對立的 均f힘을 취 하는 것 이 다. 이 例에 서 와 같이 「對立的 均衝」은, 對立하는 두 音짧의 各 機能負擔量이 大體로 同置임 을 말하는 것 이 다(따라서 한 序例이 나 系列에 屬하는 各 母률의 機能負擁量 의 Zf:féJú直를 다른 序列이 나 系列의 各 母홉의 그것 과 J:t較하는 것도 생 각할 수 있다). 여 기 對해서 單純히 機能負擔;量;이라 할 예는 홉짧 하나 하나에 關한 個別的인 負擔:물을 意 味한다. 이 兩者의 區5J1j이 必、훌한 것은 다음과 같은 事實을 보연 容易하게 알 수 있다.

ZH

高地의

h. ü.

u/와

/ i

,

ü

, u/의 對立을 보연 , 機能負擔뭘;도 各各 낮고 또 對立的 不均衝 狀態에 있기 때문에 위에서 본 것처럼 그 對立。l 混同을 일으키고 動搖한다 (0] 얘 뼈홉題 間의 홉聲的 間隔이 非正常的으로 좁아시는 凰因이 되는 것은 물론이다). 여기 對해서 Zürich市의 /E/-/e/의 對立에 있어서는 各者의 機能負擔옳은 적으나, 兩者間에는 對立的 캠衛。1 있다(兩者間에 正常的인 홉聲的 間隔이 생기는 題因이 됩은 물이다). 이러한 現象 은 「對立의 鐘化」라는 構造的인 結果를 가저오게 되는 것이다.

336. 픔월的 不짧定性 : 이 것은 構造方言學의 새 로운 搬念、은 아니 다. 從來 홉賴記述에 서는 홉짧을 不連總的 그리고 重合(overlél-pping) 이 없는 훨素로 보는 것이 보통。l 기 때문 에 「륨領的 不確定性」이라는 擺念은 重要한 것이 되지 못했다. 그러나 構造方言學에서논 여 기 새 로운 重몇性이 附與된 다. 分析對象의 言語가 萬一構造的인 變化의 過짧期的 狀빼월 에 있올 해는 「不確定性」을 認定할 수 있다. 위에 든 例에서 보면, 北部, 東部에는

/ i

, ü, u/만이 있고, 西南部에 서 는

/ i

, 니, u/가

h

, ü, u/와 對立하나, 特히

ZH

風地에 서 는 어 느 쪽 을 擇해 야할지 망서 리 게 되 는 「홉짧的 不짧定住」을 보여 주는 推移의 過置期에 屬하는 圖 域을 볼 수 있다.

35

Moulton .

op. cit .• p.

1 8

1.

(18)

18 語걷얻liJf究 W .1 월f

共時Ð':J 홉짧論에 서 는, 홉짧을 不連總的 그리 고 重合이 없 는 훌경핫이 며 따라서 한 體系에 서 다른 體系로의 推移는 嚴格하게 區別되 어 야 한다는 것 을 假想한다. 여 71 對해 서 通時 的 흡·짧論에 서 는 한 홉題이 두 홉짧으로 分짧的 變化를 하든지 혹은 두 홉頻이 한 홉웹o 로 밟合的 變化도 하며 또 그러한 짧化에는 體系面에서 흡 ga的으로 不確定한 時期가 包含 되어 있는 것을 假想한다. 方言흡隨論에서는 이 두 觀點이 다 같이 必、要하다36

337. 構造方言學은 構造를 重훌視한다고 해서 홉짧을 抽象的으로만 다루지는 않는다.

홉題의 實現 즉 홉聲的 差異가 짧特한 쟁f究對象으로 重휠視된다. 이러한 碩向은 위에서 본 例에서도 充分히 알 수 있다. 다옴에 極端的인 한 例를 보기로 한다.

標t뿔露語와 며央 Serbocratian語는 同一한 5母흡體系를 가지고 있으연서도 그 慶異띔域 융 보연 놀라윷만한 差異가 있다37

ji

jaj jaj

411. A間이 言語의 方듬的 差異를 意識한 것은 대단히 요랜 일이라 하겠으나 38 方듬­

이 言語學者의 視野에 들어 온 것 은 比較的 새 로운 事寶이 다39 方름의 局部的인 地域的 冊究에 서 시 작하여 方言嚴典의 편 찬등으로 써됐을 받아 方言의 重要性올 全般的인 言語lilf 究의 헤두리 얀에서 認識하게 되고, 方言{j/f究의 새로운 方法論을 樹~한 것이 言語地理學 이라연 Gilliéron의 功績은 높이 評價되야 할 것이다. 그러나 오늘날의 方言冊究는 여71서 머무르고만 있을 수 없다. 이러한 없에서 構造方름學은 또 하나의 새로운 方法論을 提示

86 Dialect phonemics ... , .. On the one hand it must seek a synchronic analysis which will reveal such completely sharp transitions from one system to another as those which we have seen thus far: And on the other hand, like diachronic phonemics, it must allow for gradual transitions with resulting phonemic indeterminancies ... . ibid., p. 167.

37 P. Ivic, On tlze slruclure

0/

dialectal differentiation, WORD XXlII, p. 53.

aa A. Mei1let, lntroduction à l’etude comparative des langues indo-européennes, Paris 1924, p.375

39 1n his review (1812) of Rask

s 1c1andic grammar he (GrimmJ writes.

“ _ ..

".it is desirable that even the smallest and most despired diaJect should be Jeft onJy to itself and to its own nature and in nowis& subjected to violence, because it is sure to have some secret advantages over the greatest and most highly valued language". Here we meet with that valuation of the hitherto overlooked popular dialects which sprang from the Romanticists’ interest in the ‘people’ and everything it had produced. O. ]espersen, Language, London 1925, p. 41.

(19)

m ,월方;격 19

해 주고 있다. 그러나 方言冊究가 어떤 面에서 構i윌E는義f에 方法論과 顧슴되는자 하는 더 嚴密한 問題는 앞으로의 짧展에 期待할 수밖에 없다. 이,련 뭇에서 筆者는 構造方言學이 現在 하나의 換索期에 처 잇 다고 말했 던 것 이 다. 그러 나 構造方言學의 方法論에 는., Martinet

의 理 論 과 方法이 많이 反映되 고 있 음을 위에서 考察한 例에서도 곧 딴 수 있다.

412. 이렇게 볼 예, 우리는 從來의 公式的인 言語地圖에 滿足할 수 없고, 構造빠j 重要

’뾰을 惠‘짧하고 그러한 흉걷素흘 다룬 새로운 資料 수집에 努力해야 할 것이다. 그렇다고構 造方言學이 從來의 方言冊究 혹은 듬語地理學 8성 Jj法을 全와j으로 否認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構造方言 學 이 從來의 冊究와 잘 調和되었을 때 참다 운 方言 冊究의 給寶을 보게 되 는 것이 아닌가 생각띈다. 다만 方言冊究가 從來와 갇이 -種의 「옛말 찾기」 혹은 날말의

變짧史를 追求하는 데 滿足해 서 는 안 띈 다는 것 을 말하는 것 이 다, Gilliéron 流의 言語地 理學도 그대로의 存在理由가 있을 것이나 이것이 構造方言學에 품.~合되었올 때 <1]로소 從 來의 를語地理學이 얻을 수 없었던 새로올 結果를 얻게 펼 것이다.

4.13. 에 롱스레 우(L. Hjelmslev)에 의 하연 , 듬·폼란 本質的으로 內的 相투1.依存關係의 自 律的인 흙在體 - 한 마다 로 훨約하연 構造라 한다40 따라서 *옆i윌::t:義는 言語要素의 內的 相효依存關係에 의해서 言語構造를 究明하려는 것이라고도 하겠다. 이러한 點에서 方言冊 究가 構造主흉를 志向하는 것은 當然한 일이다.

構造方름學은 첫째 共時的 m究에서는 各 方듬의 름‘語홈素의 텀錄이 作成되고그것은 다 시 梅펄的으로 統合되어야 한다. 그리고 그 方를體系는 다시 다른 方言體系와 比較되며 各 方言間에 보이는 構造上의 差異와 類似點을 究明해야 한다. 方言的 特徵은 單純한 細 部事實의 t~合만으로는 밝힐 수 없 고, 各 細部짧實들의 相互關係에 의 해 서 만 決定되 는 것 이 다 따라서 構造듬 語學은 部分B':J 類似性의 대 두리 안에 서 部分的인 差짧가 構造的인 面 에서 무엇을 말하는가를 考察해야 하며, 또 그러기 위해서는 다른 方言體系와도 比較해 보는 것 이 必홈하다. 둘째 로 通時的 갱f究에 서 는 그러 한 體系的 差異를 가지 게 된 짧選過 程괴- 그 結果를 究明한다. 가령 어느 흡領의 變化原因은 바로 그 흡領이 屬해 있는 體系 에 큰 變化를 일으킨다.

414. 構造方言學의 方法論的 背景이 되 는 構造와 橫造變化에 關해서 는 좀 더 仔細히 考察

해 둘必홈가 있다, (共時的)홉gý\詢의 理論과方法을;最'ÐJ-로 言語變化에 適用하려고한것은 Prague 學派가 아닌가 생각된다. 그들은 共時的홉짧論과 通時的 홉領論의 ;;f l펌이 , 홉짧變化 를 그것이 影響을 마치는 홉領體系의 機能面에서 올 때, 비로서 解消된다고 말한 바 있다41

o On comprend par linguistique structurale un ensemble de recherches reposant sur une hypothèse selon laquelle il est scientiiiquement légitime de dÉcrire le langage comme étant essentiellcment une entité autollome de d깅:pandences in!ernes, ou, en un mot, structure. L. Hielmslev, Linguistique structural (TCLC XII 1959, p. 21),

1 Thèses présentée au premier cOllgrès des philologues slaves (J. Vachek, A Prague school reader in inlguistics, Bloomington 1964, p. 34). 1890 年에 이 마 P. Passy 는 홉훨 變化의 機能理짧올 말한바 있었 A 나, 이 理려움이 랩時애는 전혀 웰解되지 않았다고 한다 (Martinet , Economic, p, 42-43).

참조

관련 문서

○ The organizing committee of the Gangwon International Biennale said &#34;We are surprised at the visitors' enthusiastic reactions&#34; and added &#34;the main reason

-The square module stands free in the garden of the house as a canopy -consisted of a thin shell supported at each of its corners by equally thin reinforced concrete piers.

27) Tony Tanner, &#34;The Lost America-The Despair of Henry Adams and Mark Twain,&#34; Mark Twain A Collection of Critical Essays , ed.. Trask, “The End of the

Changes in body, flexibility, and physical strength levels of women participating in Pilates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psychological chan ges.. Summarizing

Boyer (Editor), Atlas of Isothermal Transformation and Cooling Transformation Diagrams, 1977... Boyer (Editor), Atlas of Isothermal Transformation and Cooling

But Japanese do not know the difficult thing for foreigners to learn Japanese one is the usage of a postpositional word. In particular, a postpositional word

– When talking about sandpaper, &#34;grit&#34; is a reference to the number of abrasive particles per inch of sandpaper. – The lower the grit the rougher the sandpaper

&#34;Architecture is the art and science of making sure that our cities and buildings actually fit with the way we want to live our lives: the proces s of manifesting ou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