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건축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건축"

Copied!
62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C o n s t r u c t i o n I n d u s t r y

건축 (시공) 분야 요구분석결과 종합보고서

2015년 산업계관점 대학평가 Ind us try Pe rsp ecti ve Ev

2016. 04

(2)
(3)

요구분석 위원 김영진 김우석 김창수 김종식 봉진균 박창권 임은석 엄윤섭 하희윤 조장환 김기수

삼성물산 부장 현대산업개발 과장

(사)한국건설품질협회 사무국장 간삼건축 상무

㈜대우건설 팀장 범건축 소장

㈜대우건설 과장 롯데건설 차장 쌍용건설 과장 대한건설협회 부장

충북대학교 건축공학과 교수 요구분석 협력관 이석구

곽진영

교육부

한국대학교육협의회

2015년 산업계관점 대학평가

건축(시공) 분야 요구분석결과

종합보고서

(4)
(5)

우리나라 대학교육은 국가의 위기를 극복하고 학문의 발전과 경제도약의 초석이 되 는 중요한 밑거름이 되어 왔다. 특히 대학과 기업의 교류에 의한 상호 협력은 대학에는 새로운 이론을 도출할 수 있는, 기업에는 새로운 이론을 통해 경제가치를 창출할 수 있 는 시너지 효과를 발휘하여왔다.

그러나 점차 대학 교육이 보편화되면서 산업계 관점에서 요구하는 역량이 대학을 졸 업한 학생의 역량과 불일치하는 측면이 있다는 비판이 제기되기 시작하였다. 이에 교육 부는 2008년부터 창조경제 역량을 갖춘 산업수요 맞춤형 인력양성을 목적으로 「산업 계관점 대학평가」를 시행하여, 대학의 자율적 참여와 이를 통한 산업계 요구역량의 교 육과정 반영을 유도하고 있다. 이에 한국대학교육협의회는 경제5단체와 공동으로 산업 계관점 대학평가 사업을 8년 동안 수행하여 왔다.

3주기의 2년차 사업을 수행한 2015년에는 2014년에 진행된 산업계 요구분석에 근 거하여 금속, 게임, 미디어, 식품의 4개 분야에서 평가를 실시하였으며, 건축(시공), 토 목, 기계, 자동차, 조선해양의 5개 분야에서 요구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중 건축(시공) 분야의 요구분석은 2주기 요구분석 내용을 보완하여 해외건설실무 및 건설 안전에 대 한 이해 관련 내용을 보완하도록 분석되었다. 요구분석의 세부 결과는 본 보고서 지면 에 상세히 수록되어 있다.

여기에 제시된 내용은 4년제 대학 교육과정에서 꾸준히 함양되어야 할 근본적 내용도 있으며, 앞으로의 산업 발전 경향을 반영하여 적정 시점에서 수정되어야 할 내용도 있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산업계의 요구를 대학 교육과정에 반영함에 있어서 밀접하게 교류 할 수 있는 소통체제가 구축되어 상호 정예화된 양방향 소통의 결과물이 대학 교육과정에 녹아들고 산업 현장에 투입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를 통해 지속적으로 대학은 대학별 특 화된 교육과정 운영을 통한 자리매김을, 산업은 제3의 도약을 맞이할 수 있는 계기가 되기 를 바란다.

2016. 4.

한국대학교육협의회 한국대학평가원

최 준 열

원장

(6)
(7)

❙제1장

서 론

1. 산업계관점 대학평가의 추진 배경 ··· 3

2. 산업계관점 대학평가의 개념 및 목적 ··· 6

3. 산업계관점 대학평가의 추진경과 및 평가조직 ··· 7

4. 2015년 산업계관점 대학평가의 개요 ··· 15

5. 산업계 요구분석 개요 ··· 22

❙제2장

건축(시공) 분야 산업계 요구분석

1. 산업계 요구분석 추진 배경 및 현황 ··· 27

2. 산업계 요구분석 결과 ··· 33

3. 요약 및 제언 ··· 48

(8)

<표 Ⅰ-1> 산업계관점 대학평가 추진경과 ··· 7

<표 Ⅰ-2> 운영위원회 구성 ··· 13

<표 Ⅰ-3> 실무위원회 구성 ··· 14

<표 Ⅰ-4> 2015년 산업계관점 대학평가 추진경과 ··· 16

<표 Ⅰ-5> 산업계관점 대학평가 요구분석위원회 및 평가위원회 추진경과 ··· 18

<표 Ⅰ-6> 위원회별 주요 역할 ··· 19

<표 Ⅰ-7> 평가대상 산업 분야 및 관련대학 전공 ··· 21

<표 Ⅱ-1> 경제활동별 성장률(전기대비) ··· 28

<표 Ⅱ-2> 30대 건설기업 이자보상배율 현황 ··· 29

<표 Ⅱ-3> 국내건설수주액 ··· 30

<표 Ⅱ-4> 국가직무능력표준 건축시공 부문 분석 현황 ··· 32

<표 Ⅱ-5> 건축(시공) 분야 직무단위 구분 ··· 36

<표 Ⅱ-6> 직무단위별 직무함양단계 ··· 39

<표 Ⅱ-7> 직무단위별 기초 역량 및 필수 함양 수준 ··· 41

<표 Ⅱ-8> 직무역량 및 관련 교과목 중요도 ··· 43

<표 Ⅱ-9> 건축(시공) 분야 학부 졸업생의 일반직무역량 ··· 44

(9)

[그림 Ⅰ-1] 산업계관점 대학평가의 개념 ··· 6

[그림 Ⅰ-2] 평가 추진체계 ··· 11

[그림 Ⅰ-3] 산업계 요구분석 절차 ··· 23

[그림 Ⅱ-1] 연도별 종합건설업체 등록현황 ··· 28

[그림 Ⅱ-2] 최근 5년 간 등록업종 구성비율 ··· 29

(10)
(11)

2015년 산업계관점 대학평가 건축(시공) 분야 요구분석결과 종합보고서 Korean Council for University Education

제 1

서 론

1. 산업계관점 대학평가의 추진 배경 2. 산업계관점 대학평가의 개념 및 목적 3. 산업계관점 대학평가의 추진경과 및 평가조직 4. 2015년 산업계관점 대학평가의 개요 5. 산업계 요구분석 개요

(12)
(13)

서 론

1. 산업계관점 대학평가의 추진 배경

창조경제를 기반으로 한 사회 전환기를 맞아 사회수요에 부응하는 교육과정 운영에 있어 국가의 핵심 지식 인프라이자 국가경쟁력의 원천으로서 대학의 역할 증대

◦ 세계의 일류기업, 인력들이 우수 대학이 소재하여 있는 혁신의 중심지(centers of excellence)를 향해 이동

대학의 역할과 운용방식, 시장구조의 급격한 변화

◦ 상아탑 모형의 대학 기능보다 실용주의적 성향이 강화(산학연 활성화)되는 추세이 며, 상업적 모형의 대학이 대두되는 가운데 국제화・세계화가 진전(유학, 현지진출, 제휴증가)되고 대학 간 및 대학‒외부기관 간의 제휴 증가

‒ 다양화・노령화되는 교육 수요자의 편의를 위하여 원격교육이 확산되며, 고등 교육기관을 포함하는 다양한 사업자간에 치열한 경쟁의 전개(특히,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개발), 사업자간 다양한 제휴관계가 형성

이러한 환경 속에 선・후진국을 막론하고 세계 각국의 대학혁신 경쟁이 본격적으로 전개 되어옴

◦ 모든 선진국들이 대학의 근원적인 개혁 및 전환을 추구하고 있음

‒ 일본 : 도야마 플랜(국립대 독립법인화)

‒ 독일 : 사립대학 도입

‒ 영국 : 학생의 교육비 부담 인상 등

‒ 싱가포르 : 해외 유수대학 유치 및 공동프로그램 운영

‒ 호주 : 고급인력 자격인증제의 혁신, 서비스산업으로서 대학의 국제화 추진

◦후발국(중국) : 대학 초고속 팽창, 구조조정 병행

제 1

(14)

‒ 2・11공정 : 1994년 ‘중국 교육개혁 및 발전 요강’에 중점대학과 중점학과 육성의 일환으로 정식 포함. 이전 중점대학 육성 정책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중점대학

‘선정’에만 치우치지 않고 일부 대학을 ‘중점 육성’하는 데 치중함. 21세기 세계 최고수준 대학 육성을 목표로, 객관적 선정기준과 지속적 평가를 중시함

‒ 985공정 : 세계 일류대학 건설 프로그램으로 1998년 시작. 국가 차원의 행·재 정적 지원을 바탕으로 가시적 성과를 보이고 있음

우리나라 대학의 경쟁력 현황 : 사회수요를 반영한 양적, 질적 체제 개선 요구

◦ 우리는 고등교육의 보편화 등 외형적으로는 고급인력의 대량공급 체제를 구축함

◦ 최근 다양화・전문화되고 있는 산업현장의 수요 충족을 목적으로 산·학·연 협력이 점차 활성화되고 있으나 전반적 혹은 대학별 개선점이 요구되는 상황

◦ 양적 측면 : OECD 조사에 따르면 한국의 대학진학률은 80%를 넘는 높은 수준을 보이고 있음1)

◦ 2015년 현재 총 189개의 고등교육기관(일반대학)에 약 211만 명의 학생이 재학 중임2)

◦ 질적 측면 : 급격한 양적 성장에 비해 질적 수준은 아직 미흡하며, 대학의 전반적인 교육환경도 취약함

◦ 연구성과 : 논문 수는 크게 늘었으나 질적 수준이 선진국에 미치지 못하며, 대학보 유 특허 수준도 선진국에 비해 낮고 사업화 지원 실적도 미흡함

◦ 교육환경 : 학생 수로 볼 때, 2015년 현재 4년제 대학(일반대) 전임교원 1인당 재 학생수 24.6명으로 동일 시점 초등학교(14.9명), 중학교(14.3명), 고등학교(13.2 명)에 비해서 열악한 수준을 보임3). 고등교육기관 기준 OECD 평균 전임교원 1인당 평균 학생 수는 14명으로 한국의 28.7명은 이에 비해 2배 이상 많은 수임4)

1) https://data.oecd.org/eduatt/enrolment-rate.htm 2) 교육통계서비스, 2015년 교육통계연보, 고등교육기관현황.

http://kess.kedi.re.kr/publ/publFile/pdfjs?survSeq=2015&menuSeq=3645&publSeq=59&menuCd=64471&itemCode=02

&menuId=0_3&language

3) 교육통계서비스, 초중고교육기관/고등교육기관현황(유형별, 설립별, 2015)

http://kess.kedi.re.kr/publ/publFile/pdfjs?survSeq=2015&menuSeq=3645&publSeq=59&menuCd=64478&itemCode=02

&menuId=0_10&language=

4) http://www.index.go.kr/potal/main/EachDtlPageDetail.do?idx_cd=1521

http://kess.kedi.re.kr/publ/publFile/pdfjs?survSeq=2015&menuSeq=3645&publSeq=59&menuCd=6448

(15)

수급불균형 및 질적 불일치 : 고학력자의 초과공급 및 질적 불일치(skill mismatch) 문제가 지속되는 가운데, 직종별・전공별로 인력난 문제가 병존

◦ 고급 과학기술인력은 물론 제조업 기술 인력과 기업지원서비스부문의 전문 인력이 부족하여 제조업 및 서비스업의 지속적인 지식기반화를 저해

‒ 중장기 인력수급 전망 결과 : 전문학사 및 학사 수준인력은 초과공급을 예상하고 있으나 미래 성장 동력을 창출할 것으로 기대되는 IT, BT 분야의 고급인력은 향후 부족할 것으로 전망

‒ 고급 과학기술인력 : 예를 들어 앞으로 BNIC(BT・NT・IT・CS[인지]) 등 융합기 술에 기초한 두뇌지향형 산업/기술군(brain‒oriented techno‒logies)을 담당할 초우량인력이 점점 더 중요해지지만, 아직 국내에는 이를 위한 교수인력이나 교육과정이 전무한 상황

◦ 맞춤형 교육 취약 : 스위스 국제경영개발연구원(IMD; International Institute for Management Development)의 2014년 우리나라 대학교육의 경제사회 요구부합도가 58개국 중 53위로 나타남.5) 2015년 대학교육의 국가경쟁력 평가에서 60개국 중 25위로 전년보다 1계단 상승하였음6)

교육・연구의 현장적합성 제고를 위한 산・학 협력 미흡 등 급변하는 산업구조와 노동 시장의 요구에 대한 대응이 부족

◦ 스위스 국제경영개발원(IMD), 세계경제포럼(WEF;World Economic Forum) 등의 조사에서 중하위권(IMD 2015년 조사: 종합순위 61개국 중 31위, 특히 두뇌유출 순위는 61개국 증 44위로 경쟁력 저해를 나타냄)

◦ 세계대학경쟁력평가에서 100위권에 속하는 대학은 3개 뿐(2015년 서울대 36위, 카이스트 43위 포항공대 87위)7)

산업계관점 대학평가의 필요성

◦ 대학 교육과 산업계 요구인력 간 질적 불일치를 해소하고, 대학 교육과정 개선에 필요한 정보 제공

0&itemCode=02&menuId=0_12&language=

5) http://epic.kdi.re.kr/epic_attach/2010/R1005318 6) 2015년 IMD 국가경쟁력 평가결과, 기획재정부, 2015.

7) http://www.qs.com/qs-world-university-rankings.html

(16)

- 과잉 공급되는 대학 졸업자 중 산업계가 필요로 하는 인력이 부족한 현실을 개 선하고, 기업의 신입사원 재교육 비용 부담 완화

- 산업계의 요구를 반영하는 정보와 통로의 역할을 함으로써 대학별 특성을 살 린 산학 협력을 통해 대학과 산업계가 서로 윈-윈(win-win)할 수 있도록 함

2. 산업계관점 대학평가의 개념 및 목적

가. 산업계관점 대학평가의 개념

대학의 인재양성, 지식/기술개발, 그리고 대학이 배출한 인재와 개발한 지식 및 기 술이 창출한 부가가치(사회 환원의 성과)를 평가함으로써 개별 대학의 산업 및 사회 기여도를 알아보는 성과지표 중심의 대학평가

기능수행실적 (Out-put)

부가가치의 창출 (Out-come) 대학 2대 기능

교육 연구

대학 기능수행 사회적 기여평가

대학사명 대학경쟁력

인재육성 실적 연구발표 실적 기술개발 실적

인적자원의 생산성 지식의 생산성 기술의 생산성

국가(산업)경쟁력

[그림 Ⅰ-1] 산업계관점 대학평가의 개념

공급자인 대학이 중심이 되어 평가해 온 기존 평가와 달리, 수요자인 산업계가 중심 이 되어 산업계의 입장에서 공급자인 대학을 평가

산업계가 요구하는 인재상과 대학이 배출하는 인재상과의 불일치, 산업계가 권장하 는 교육과정과 대학 교육과정 운영의 불일치의 구체적 내용을 규명하고 궁극적으로 불일치를 최소화하는 데 중점을 두는 평가

(17)

나. 산업계관점 대학평가의 목적

산업계관점 대학평가는 산업계의 요구를 대학의 교육과정에 수용하여 산업계가 요 구하는 인재를 배출하도록 하여 산업계와 대학 간의 불일치를 최소화하는 한편 궁극 적으로 국가경쟁력 증대에 기여하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을 두고 있음

이에 따른 세부적인 평가 목적은 다음과 같음

◦ 다양한 수요자에 대한 정보 제공 : 대학의 산업요구에 대한 접근 통로, 기업의 신입직 원 채용 시 활용 등

◦ 대학의 교육과정 및 학사운영 혁신 유도 : 산업 및 사회 수요에 부응하는 교육과정 운 영, 대학 경쟁력 증대와 산업경쟁력 강화의 시너지 효과 창출에 초점을 둠

◦ 산학 연계 활성화 : 공동연구, 위탁연구, 기술의 산업이전 확대, 기업의 기부금 확대, 산학연계 주문식 교육과정 확대 등

◦ 궁극적으로, 대학교육과 산업의 경쟁력 확보를 통하여 국가경쟁력 증대에 기여함 대학의 관점에서 볼 때, 교육과 연구에 있어 지속적인 발전을 통하여 산업계가 요구 하는 인재를 양성하는 한편 산업계와 밀접한 자체연구역량을 향상시키는 데 기여할 것으로 판단됨

3. 산업계관점 대학평가의 추진경과 및 평가조직

가. 산업계관점 대학평가의 추진경과

일 자 추 진 내 용

2007. 5. 산·학·관이 협력하여 산업계 관점의 대학평가 추진 합의 2007. 6. 산업계관점 대학평가 방안 기초연구 완료

2007. 6. ~ 10.

T/F회의, 자문간담회를 통해서 방안, 평가분야, 항목 등 논의

일본 미쓰비시연구소 방문하여 사례 조사(기획재정부, 대교협) 예비 직무분석 실시 (7개 산업분야)

<표 Ⅰ-1> 산업계관점 대학평가 추진경과

(18)

일 자 추 진 내 용 2007. 11. 7. 기획재정부 주관 경제5단체 간담회

2007. 12. 7. 산·학·관 간담회에서 사업계획 설명(정부 및 경제 단체 참여) 2007. 12. 11. 한국대학교육협의회 정기이사회 산업계관점 대학평가 추진 계획 보고 2008. 7. 예비조사 실시(현대건설, 삼성화재 대상)

2008. 8. 사업 계획 최종 확정

2008. 8. ~ 2009. 2. 3개 대분야, 7개 소분야에 대한 평가 실시 2009. 3. ’08년 산업계관점 대학평가 결과 보고 2009. 4. 3. 산업계관점 대학평가 개선방안 회의 개최 2009. 7. 1. ’09년도 산업계관점 대학평가 기본계획 수립

2009. 7. ~ 8. 평가지표 및 결과 활용방안 마련을 위한 실무위원회의 개최 2009. 9. 1. ~ 9. 30. ’09년 산업계관점 대학평가를 위한 평가위원 위촉 2009. 9. 22. ’09년 산업계관점 대학평가를 위한 대학관계자협의회 개최

2009. 10. ~ 2010. 1. ’09년 산업계관점 대학평가 2개 분야(석유화학, 정밀화학)의 요구분석 및 평가와 1개 분야(게임산업)의 요구분석 실시

2009. 10. 19. ’09년 산업계관점 대학평가를 위한 제1차 운영위원회 개최 2010. 2. 18. ’09년 산업계관점 대학평가를 위한 실무위원회 회의 개최 2010. 2. 26. ’09년 산업계관점 대학평가를 위한 제2차 운영위원회 개최 2010. 4. 22. ’09년 산업계관점 대학평가 관계자 간담회 개최

2010. 5. 7. ’09년 산업계관점 대학평가 결과 보도자료 발표

2010. 5. 7. ’09년 산업계관점 대학평가 종합보고서 4종(석유화학, 정밀화학 화장품, 제약, 게 임산업) 발간 및 배포(201개 대학, 경제5단체, 조사협조기업 등)

2010. 5. 11. ’10년 산업계관점 대학평가 기본방향 수립을 위한 인적자원개발협의체(SC)와 협의 (전자정보통신협의체, 반도체협의회, 디스플레이어협의회)

2010. 7. 1. ’10년 산업계관점 대학평가의 기본계획 수립 2010. 7. ~ 9. ’10년 산업계 요구분석 실시

2010. 10. 8 ’10년 제1차 실무위원회 개최 2010. 10. ~ 12. ’10년 대기업 대상 설문조사 실시 2010. 11. 4. ’10년 제1차 운영위원회 개최

2010. 12. 1. ’10년 대기업 관점 평가대상 대학 관계자 간담회 개최 2010. 12. 2. ~ 12. 23. ’10년 대기업 관점 대학 제출자료 수집

2011. 1. ’10년 대기업 관점 평가 실시

(19)

일 자 추 진 내 용 2011. 1. 14. ’10년 제2차 운영위원회 개최

2011. 2. ~ 3. ’10년 중소기업 대상 설문조사 실시 2011. 3. 24. ’10년 중소기업 대상 평가대상 대학 선정

2011. 3. 28. ’10년 중소기업 관점 평가대상 대학 관계자 설명회 개최 2011. 4. 19. ’10년 제2차 실무위원회 개최

2011. 4. 22. ’10년 제3차 운영위원회 개최

2011. 5. 19. ’10년 산업계관점 대학평가 세미나 개최 2011. 5. 20. ’10년 산업계관점 대학평가 결과 보도자료 발표

2011. 7. ’11년 평가대상 산업분야 및 학과선정(신소재 및 금속철강 분야) 2011. 7. ~ 8. ’11년 조사대상 기업 선정

2011. 8. ~ 10. ’11년 평가위원 위촉 및 산업계 요구분석 2011. 11. 30. ’11년 제1차 실무위원회 개최

2011. 12. ~ 2012. 2. ’11년 부서장 및 신입사원 대상 설문조사 2012. 2. ~ 3. ’11년 평가대상 대학 선정 및 자료수집 2012. 2. 29. ’11년 평가대상대학 관계자 설명회 개최 2012. 3. ~ 4. ’11년 대학제출자료 및 정보공시자료 평가 2012. 5. ’11년 제2차 실무위원회 및 제1차 운영위원회 개최 2012. 4. ~ 5. ’11년 종합보고서 및 대학별 평가결과 보고서 작성 및 발표 2012. 5. 23. ’11년 산업계관점 대학평가 결과 세미나 개최

2012. 5. ’11년 보고서 배포 및 결산

2012. 6. ~ 7. ’12년 평가대상 산업분야 및 학과선정(평가대상 건축/일반기계/자동차/조선/토목 5개 분야 외 요구분석대상 에너지/환경 2개 분야 선정)

2012. 7. ’12년 제1차 실무위원회, 대학협력위원회, 운영위원회 개최 2012. 8. ’12년 산업계관점 대학평가 대학 설명회

2012. 8. ~ 12. ’12년 평가대상 분야별 요구분석 실시 2012. 9 ~ 12. ’12년 부서장 및 신입사원 대상 설문조사 2012. 11. ’12년 제2차 운영위원회 개최

2012. 11. ~ 12. ’12년 평가대상 대학 선정 및 대학제출자료 수합 2012. 12. ~ 2013. 3. ’12년 요구분석분야 대상 요구분석위원회 개최 2013. 1. ’12년 평가대상 분야 평가위원회 개최

(20)

일 자 추 진 내 용 2013. 2. ~ 2013. 5. ’12년 분야별 종합보고서 및 개별대학 결과 작성 2013. 4. ’12년 산업계관점 대학평가 제2차 실무위원회 개최

2013. 5.

’12년 산업계관점 대학평가 제3차 운영위원회/ 결과발표 세미나 개최

’12년 산업계관점 대학평가 권역별 대학간담회 개최

’12년 보고서 배포 및 결산

2013. 6. ~ 7.

’13년 평가대상 산업분야 및 학과선정(평가대상 전자반도체/정보통신/컴퓨터(SW)/

정유석유화학/정밀화학(화장품) 5개 분야 외 요구분석대상 바이오의약/바이오 의료기기/디자인* 3분야 선정, *디자인 분야는 11월 운영위원회 통하여 최종확정) 2013. 7. ’13년 제1차 실무위원회, 산업별/대학협력위원회

2013. 8. ’13년 제1차 운영위원회, 산업계관점 대학평가 대학 설명회 2013. 8. ~ 12. ’13년 평가대상 분야별, 바이오 분야 요구분석 실시 2013. 11. ~ 14. 1. ’13년 부서장 및 신입사원 대상 설문조사

2013. 11. ’13년 제2차 운영위원회 개최

2013. 11. ~ 12. ’13년 평가대상 대학 선정 및 대학제출자료 수합 2013. 12. ~ 2014. 3. ’13년 디자인 분야 요구분석위원회 개최 2014. 1. ’13년 평가대상 분야 평가위원회 개최

2014. 2. ~ 2014. 5. ’13년 분야별 종합보고서 및 개별대학 결과 작성 2014. 3. ’13년 산업계관점 대학평가 제2차 실무위원회 개최

2014. 4. ~ 5.

’13년 산업계관점 대학평가 제3차 운영위원회/ 결과발표

’13년 산업계관점 대학평가 권역별 대학간담회 개최(총 3회)

’13년 보고서 배포 및 결산

2014. 6. ~ 9. ’14년 평가대상 산업분야 (환경/에너지/바이오의약/바이오의료기기 4개 분야) 및 요구분석대상 산업분야(금속/게임/미디어/식품/바이오의약(대학원 시범)) 2014. 7. ’14년 제1차 실무위원회

2014. 9. ’14년 제1차 운영위원회, 산업계관점 대학평가대학 설명회, 산업별·대학 협력위원회 등 2014. 9. ~ 2015. 3. ’14년 대상 산업 분야 요구분석 실시

2014. 12. ~ 2015. 2. ’14년 부서장 및 신입사원 대상 설문조사 2014. 12. ~ 2015. 1. ’14년 평가신청 접수 확정 및 대학제출자료 수합 2015. 1. ’14년 평가대상 분야 평가위원회 개최

2015. 2. ~ 2015. 4. ’14년 분야별 종합보고서 및 개별대학 결과보고서 작성 2015. 3. ’14년 산업계관점 대학평가 제2차 실무위원회 개최

(21)

나. 산업계관점 대학평가를 위한 평가조직

[그림 Ⅰ-2] 평가 추진체계

일 자 추 진 내 용

2015. 4. ’14년 산업계관점 대학평가 제2차 운영위원회 개최

’14년 결과발표 세미나 및 보고서 배포, 사업 정산

2015. 5. ~ 8. 산업계관점 대학평가 사업 개편 관련 의견 수렴 및 2015년 사업계획 수립 2015. 9. ’15년 제1차 실무위원회

2015. 9.

’15년 제1차 운영위원회(’15년 평가대상 산업분야 (금속/게임/미디어/식품 4개 분야) 및 요구분석대상 산업분야(건축(시공)/토목/기계/자동차/조선해양), 대학 설명회, 산업별·대학 협력위원회 등

2015. 9. ~ 2016. 3. ’15년 대상 산업 분야 요구분석 실시

2015. 11. ~ 12. ’15년 평가신청 접수 확정 및 대학제출자료 수합 2015. 12. ~ 2016. 2. ’15년 부서장 및 신입사원(재학생) 대상 설문조사 2016. 1. ’15년 평가대상 분야 평가위원회 개최

2016. 2. ~ 2016. 4. ’15년 분야별 종합보고서 및 개별대학 결과보고서 작성

2016. 4.

’15년 산업계관점 대학평가 제2차 실무·운영위원회 개최

’15년 산업계관점 대학평가 게임분야 컨설팅

’15년 결과발표(보도자료 및 결과발표세미나), 보고서 배포, 사업 정산

(22)

◦ 교육부

‒ 역할 : 사업의 기본계획 수립 및 예산・결산, 사업 정책수립 및 제도개선, 사업 추진 및 보조사업자 관리, 보도자료 작성・배포 등의 결과 홍보

◦ 한국대학교육협의회

‒ 역할 : 사업 운영 및 관리, 각종위원회(운영, 실무, 협력, 평가) 운영 및 관리, 사업 결산 및 평가결과 종합보고 등

◦ 운영위원회

‒ 역할 : 사업의 계획, 운영, 평가, 결과활용 방안 등 전반적인 사항에 관한 의사결정

‒ 구성 : 관계부처(국장), 경제5단체(본부장), 전국대학교기획처장협의회(회장), 한국공과대학장협의회(회장), 한국공학교육학회(회장), 한국산학협력학회(회장), 한국공학교육인증원(수석부원장), 한국대학교육협의회(원장) 등 20인 내외

◦ 실무위원회

‒ 역할 : 평가내용, 평가방법, 평가결과의 활용방안 모색 등의 운영에 관한 세부 적인 내용 협의

‒ 구성 : 관계부처(과장), 경제5단체(팀장), 산업별 유관단체(센터장), 한국공과대학 장협의회(사무총장), 한국공학교육학회(부회장), 한국산학협력학회(부회장), 한국공학교육인증원(인증사업단장), 산업별 요구분석위원(교수), 한국대학교육 협의회(팀장) 등 30인 내외

◦ 산업별 협력위원회

‒ 역할 : 조사대상 기업 선정, 설문조사 협조, 산업계 협력사항(평가위원 위촉) 등 협의

‒ 구성 : 산업별 유관단체(센터장 또는 실무담당자), 대교협(연구원) 등 6인 내외

◦ 대학 협력위원회

‒ 역할 : 산업계관점 대학평가 추진 관련 의견 조율 및 대학의 참여 독려

‒ 구성 : 전국대학교기획처장협의회(회장), 한국공학교육학회(회장), 한국산학협력 학회(회장), 한국공학교육인증원(단장), 대학별 공학교육혁신센터장, 요구분석위 원회 대학측 위원 등 10인 내외

◦ 산업계 요구분석위원회

‒ 역할 : 각 산업분야별 요구분석 실시

‒ 구성 : 산업계 인사, 산업별 유관단체 인재양성 담당자, 관련학과 교수, 평가전

(23)

문가 등 10인 내외

◦ 산업계 평가위원회

‒ 역할 : 산업계 요구분석 결과 및 대학 제출 자료를 토대로 대학교육과정 평가

‒ 구성 : 산업계 인사(임원, 부서장) 8인 내외

구 분 소 속 직 책 성 명

정 부

교육부 대학지원관 홍민식

기획재정부 미래경제전략국장 백용천

산업통상자원부 산업정책관 원동진

고용노동부 인력수급정책국장 박화진

중소기업청 경영판로국장 백운만

산업계

대한상공회의소 기업환경조사본부장 이경상

전국경제인연합회 경제본부장 송원근

한국무역협회 무역아카데미 상무 김학준

중소기업중앙회 인력지원본부장 김제락

한국경영자총협회 경제조사본부장 하상우

대 학

전국대학교기획처장협의회 회장 이만형

한국공과대학장협의회 회장 이건우

한국공학교육학회 회장 김광선

한국산학협력학회 (前)회장 김우승

한국공학교육인증원 수석부원장 송동주

한국대학교육협의회 한국대학평가원장 최준열

<표 Ⅰ-2> 운영위원회 구성

(2016년 4월 기준)

(24)

구 분 소 속 직 책 성 명

정 부

교육부 산학협력정책과장 이상돈

기획재정부 미래사회전략팀 과장 김명선

산업통상자원부 산업인력과장 박영삼

고용노동부 청년고용기획과장 김형광

중소기업청 인력개발과장 박치형

산업계

대한상공회의소 고용노동정책팀장 김인석

전국경제인연합회 환경노동팀장 정조원

한국무역협회 무역아카데미 교수

(글로벌연수실장) 박윤환

중소기업중앙회 인력정책실장 정욱조

한국경영자총협회 경제조사2팀장 손석호

한국게임개발자협회 이사 김정윤

대 학

한국공과대학장협의회 사무총장 이경우

한국공학교육학회 부회장 이동명

한국산학협력학회 부회장 김병일

한국공학교육인증원 인증사업단장 김종화

한양대학교(ERICA) 재료공학과 교수 박주현

인하대학교 신소재공학과 교수 현승균

호서대학교 컴퓨터정보공학부 게임전공 교수 장희동

경성대학교 디지털미디어학부 교수 권만우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식품공학과 교수 김지연

한국대학교육협의회 평가지원팀장 김정희

<표 Ⅰ-3> 실무위원회 구성

(2016년 4월 기준)

(25)

4. 2015년 산업계관점 대학평가의 개요

가. 2015년 산업계관점 대학평가의 기본방향

◈ 대학의 자율적인 산업 수요 인력양성 노력에 대한 인센티브 부여, 평가결과의 활용지원 강화 및 교육과정 개선 ․운영 중심으로의 평가 개선

⇒ 창조경제 역량을 갖춘 산업 수요 맞춤형 인력양성

평가사업 참여도 제고

◦ 평가결과의 산학협력 재정지원사업* 및 2주기 고등교육기관평가․인증과의 연계, 우 수대학 학생에 대한 기업의 채용 인센티브 부여 권장** 등

* 산학협력선도대학(LINC) 육성사업(’15년 연차평가 시부터), 산업단지캠퍼스 조성사업(’16~)

** 경제5단체와의 상시 협력체제 구축, 산업별인적자원개발협의체(SC) 등의 협조

◦ 단년도 평가에서 다년도 평가로 개선하여 먼저 요구분석을 실시한 후 이를 대학에 제공하고 1년 후 평가 실시(전년도 유지)

‒ 요구분석과 평가의 시점에 시간차를 두어 대학이 교육과정에 산업계의 요구를 효 과적으로 반영할 수 있도록 함

평가사업의 효율적 추진

◦산업별 공통 기본역량*의 분석을 토대로 세부역량을 보완 분석하며, 지역별 주력산업 등 분석이 필요한 경우 지역 특성 반영한 요구분석 추진

* 분야별 공통 역량 및 비교과영역에 대한 요구분석 강화

평가 관련 지원체제 구축

◦ 요구분석 및 평가결과 적용 컨설팅 강화, 평가 참여기업에 대한 인센티브 부여 추진 등

(26)

나. 추진 경과

산업계관점 대학평가는 평가분야 직무군별 요구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해당 기업 별로 최근 5년 이내에 입사한 신입직원을 대상으로 대학에서 이수교육과정에 대한 현장적용 만족도와 해당 기업 부서장을 대상으로 일반 및 전문 직무역량의 수준을 조사하였으며, 교육과정 운영의 실제와 교육 및 기술개발 성과의 우수성 등을 평가 하기 위한 자료를 대학으로부터 제공받아 평가하였음. 세부 절차는 아래 표와 같음

구 분 내 용

2015. 5. ~ 8. 산업계관점 대학평가 사업 개편 관련 의견 수렴 및 2015년 사업계획 수립 2015. 9. ’15년 제1차 실무위원회

2015. 9.

’15년 제1차 운영위원회(’15년 평가대상 산업분야 (금속/게임/미디어/식품 4개 분야) 및 요구분석대상 산업분야(건축(시공)/토목/기계/자동차/조선해양), 대학 설명회, 산업별·대학 협력위원회 등

2015. 9. ~ 2016. 3. ’15년 대상 산업 분야 요구분석 실시

2015. 11. ~ 12. ’15년 평가신청 접수 확정 및 대학제출자료 수합 2015. 12. ~ 2016. 2. ’15년 부서장 및 신입사원(재학생) 대상 설문조사 2016. 1. ’15년 평가대상 분야 평가위원회 개최

2016. 2. ~ 2016. 4. ’15년 분야별 종합보고서 및 개별대학 결과보고서 작성

2016. 4.

’15년 산업계관점 대학평가 제2차 실무·운영위원회 개최

’15년 산업계관점 대학평가 게임분야 컨설팅

’15년 결과발표(보도자료 및 결과발표세미나), 보고서 배포, 사업 정산

<표 Ⅰ-4> 2015년 산업계관점 대학평가 추진경과

◦ 운영위원회

- 1차 2015. 9. 16. 서울 중구(달개비) : 2015년 사업세부 계획에 대한 승인 - 2차 2016. 4. 12. 서울 중구(달개비) : 2015년 요구분석·평가결과 및 평가결과

발표방법 의결, 차년도 평가 분야 의결, 인증패 시상자안 및 최우수대학 졸업 생 취업 인센티브 관련 논의

(27)

◦ 실무위원회

- 1차 2015. 9. 11. 서울 중구(달개비) : 2015년 사업세부 시행계획 검토

- 2차 2016. 4. 1. 서울 중구(달개비) : 2015년 요구분석·평가결과 및 평가결과 발표방법 검토, 차년도 평가 분야 및 인증패 시상자안 검토

◦ 산업별 / 대학협력위원회

- 일시 및 장소 : 산업별 협력위원회 6회(2015. 9~2016. 3), 대학 협력위원회 4회 (2015. 9~2016. 3)

- 내용 : 조사대상 기업 선정 및 설문조사 협조, 대학 의견 수렴 및 대학 참여 독려

◦ 대학 설명회

- 일시 및 장소 : 2015. 9. 24. 세브란스 빌딩

- 내용 : 해당 전공 교수 및 평가담당자를 대상으로 평가의 기본방향 설명 ※ 분야별 신청대학 수(최종): 금속 23교, 게임 13교, 미디어 31교, 식품 32교

◦ 평가대상대학 제출자료 설명회

- 일시 및 장소 : 2015. 11. 13. 세브란스 빌딩

- 내용 : 해당 전공 교수 및 평가담당자를 대상으로 대학 제출자료 협조 요청

◦ 산업분야별 요구분석위원회 및 평가위원회

(28)

※ 대학측 요구분석위원의 경우 차후 평가위원회에는 참여하지 않음

구분 요구분석위원회 평가위원회 요구분석 및 평가위원

건축(시공)

1차: ’15년 10월 17일 2차: 11월 27일 3차: 12월 17일

2016년 사업기간

삼성물산, 현대산업개발, ㈜대우건설, 간삼건 축, 범건축, (사)한국건설품질협회, 쌍용건설, 롯데건설, 대한건설협회, 충북대학교

토목

1차: ’15년 10월 8일 2차: 11월 5일 3차: 11월 24일 4차: 12월 24일

건화, 청주테크노폴리스, 선구엔지니어링, 서 영엔지니어링, 도화엔지니어링, 평화엔지니어 링, 삼성물산, 한국엔지니어링협회, 서울과학 기술대학교, 연세대학교

기계

1차: ’15년 12월 28일 2차: ’16년 1월 20일 3차: 2월 3일 4차: 2월 24일

김경진기술사사무소, ㈜광진테크, KM엔지니어 링, 두산인프라코어, ㈜현대마이크로, ㈜에프 엠솔루션, KMP, 한국기계산업진흥회, 금오공 과대학교, 명지대학교, 한양대학교(에리카)

자동차

1차: ’15년 12월 28일 2차: ’16년 1월 20일 3차: 2월 3일 4차: 2월 24일

현대자동차, 르노삼성자동차, 만도, 동우 HST, 한온시스템, LG전자, 한국기계산업진 흥회, 금오공과대학교, 명지대학교, 한양대 학교(에리카)

조선해양

1차: ’15년 10월 20 일

2차: 11월 12일 3차: 12월 11일

대우조선해양, 삼성중공업, 현대중공업, STX 조선해양, 선박해양플랜트연구소, 조선해양 기자재연구소, 한국조선해양플랜트협회, 경 남대학교

금속

1차: ’14년 10월 2일 2차: 10월 28일 3차: 11월 18일 4차: 12월 9일

1차: ’16년 1월 21일 2차: 1월 22일 3차: 1월 23일

포스코, 두산중공업, 철강산업연구원, 한국철 강협회,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포항산업과학기 술연구원, LG디스플레이, LS Nikko, 한양대학 교(ERICA), 인하대학교

게임

1차: ’14년 10월 30일 2차: 11월 27일 3차: 12월 11일 4차: ’15년 1월 7일

1차: ’16년 1월 23일 2차: 1월 30일

㈜네오위즈게임즈, Crytek, ㈜매니아마인드, 크레타게임즈, 엔씨소프트, 한국컨텐츠아카데 미, ㈜몬스터스마일, ㈜미스터탐커뮤티케이션 즈, 한국게임개발자협회, 한국인터넷디지털엔 터테인먼트협회, 호서대학교

미디어

1차: ’14년 11월 7일 2차: 11월 28일 3차: 12월 23일 4차: ’15년 1월 23일

1차: ’16년 1월 22일 2차: 1월 23일 3차: 1월 29일 4차: 1월 30일

조선영상비전, 나남출판사, 스타트업얼라이언 스, SK브로드밴드, KT미디어허브, CJ헬로비 전, 애드리치, MBC, 경성대학교,, 한신대학교

식품

1차: ’14년 12월 19일 2차: ’15년 1월 9일 3차: 1월 30일 4차: 2월 13일

1차: ’16년 1월 21일 2차: 1월 22일 3차: 1월 29일 4차: 1월 30일

롯데제과, 풀무원, 농심, 푸드원택, 노바렉스, 아모레퍼시픽, 샘표연구소, 서울과학기술대 학교

<표 Ⅰ-5> 산업계관점 대학평가 요구분석위원회 및 평가위원회 추진경과

(29)

◦ 산업계관점 대학평가 컨설팅 시범 운영(대상 분야: 게임) - 일시 및 장소 : 2016. 4. 15.(금) 프레지던트 호텔

- 내 용 : 산학협동 소통 차원에서 2015년 분야별 대상학과 중 참여율이 가장 높은 게임 분야를 대상으로 대학의 신청을 받아 학과 교육과정 운영 의 특장점 및 개선방향을 설계하고, 게임 산업체의 인재 요구사항 및 향후 산업발전 트렌드에 대하여 공유하는 컨설팅 실시

◦ 2015년 산업계관점 대학평가 결과발표

- 일시 및 장소: 2016. 4. 21. 서울 양재(엘타워)

- 내 용 : 석간 보도자료 발표, 결과발표 세미나 및 자료집 배포 * 4월 하순 평가결과 종합보고서 및 개별대학보고서 배포

* 최우수대학 대상 교육부, 경제5단체, 대교협 공동명의의 인증패 시상 및 졸업생 취업 인센티브 권고

◦ 대학 의견 수렴(2016.4.25.~2016.4.28.)

- 2~3주기 참여대학 및 관련 학과 소재 대학에 공문을 통한 의견 수렴 실시

다. 추진기관

사업 운영: 관련기관으로 구성된 ‘운영위원회’가 사업 전반 의사결정 및 조율, 한 국대학교육협의회 평가 실무 총괄

평가: 기업체 부사장, 관련학과 교수 등으로 구성된 평가위원회 주체, 경제5단체, 산업별 협력위원회(인적자원개발협의체(SC; Sector Council) 등) 협조 및 지원

기 관 부서 및 구성원 주요기능 및 역할

교육부 산학협력정책과

사업계획수립, 사업추진, 제도개선, 보 조사업자 관리 및 보도자료 작성・배포 등 결과 홍보

한국대학교육

협의회 한국대학평가원 평가지원팀

사업 운영 및 관리, 각종위원회(운영, 실 무, 협력, 평가) 운영 및 관리, 사업 결산 및 평가결과 종합보고 등

<표 Ⅰ-6> 위원회별 주요 역할

(30)

※ 관련 산업별 유관단체 : 대한건설협회, 한국엔지니어링협회, 한국기계산업진흥회, 한국조선해양플랜트협회, 한국철강협 회, 한국식품산업협회, 한국게임개발자협회 등

기 관 부서 및 구성원 주요기능 및 역할

위 원 회

운영위원회

관계부처(국장), 경제5단체(본부장), 전국 대학교기획처장협의회(회장), 한국대학교 육협의회(원장), 한국공학교육인증원(부원 장), 한국공학교육학회(회장), 한국공과대 학장협의회(회장), 한국산학협력학회(회장) 등 20인 내외

사업의 계획・운영・평가・결과활용 등 전 반적인 사항에 관한 의사결정

실무위원회

관계부처(과장), 경제5단체(팀장), 산업별 유관단체(센터장), 한국대학교육협의회(팀 장), 한국공학교육인증원(단장), 한국공학 교육학회(부회장), 한국산학협력학회(부회 장), 한국공과대학장협의회(사무총장), 산 업별 요구분석위원(교수) 등 30인 내외

평가내용・평가방법・평가결과의 활용방 안 모색 등의 운영에 관한 세부적인 내 용 협의

산업별 협력위원회

산업별 유관단체(센터장 또는 실무담당자), 대교협(연구원) 등 6인 내외

조사대상 기업 선정, 설문조사 협조, 산 업계협력 사항(평가위원 위촉) 등 협의

대학 협력위원회

전국대학교기획처장협의회(회장), 한국산 학협력학회(회장), 한국공학교육인증원(단 장), 한국공학교육학회(회장), 대학별 공학 교육혁신센터장, 요구분석위원회 대학위원 등 10인 내외

산업계관점 대학평가 추진 관련 의견 조율 및 대학의 참여 독려

산업계 요구분석 위원회

산업계 인사, 산업별 유관단체 인재양성 담당

자, 관련학과 교수, 평가전문가 등 10인 내외 각 산업분야별 요구분석 실시 산업계

평가위원회 산업계 인사(임원, 부서장) 8인 내외 산업계 요구분석 결과 및 대학 제출 자료를 토대로 대학교육과정 평가

(31)

라. 평가대상 산업분야 및 대학

’15년 대상 산업분야

구분 산업분야 평가 대상학과 비고

요구 분석

건축(시공) 건축공학과, 건축공학부 등

’16년 평가 토목 토목공학과, 토목환경공학과 등

기계 기계공학과, 기계공학부 등 자동차 기계공학과, 자동차공학과 등 조선해양 조선해양공학과, 해양공학과 등

평가

금속 신소재(재료)공학과, 금속공학과 등

’14년 요구분석 게임 게임공학과(컴퓨터공학과) 등

미디어 신문방송학과, 미디어학과 등 식품 식품공학과, 식품과학과 등

<표 Ⅰ-7> 요구분석·평가 대상 산업분야 및 관련대학 전공

◦ 산업분야 선정 근거8)

- 산업계관점 평가의 특성을 반영 : 제조업 분야를 중심으로 공과 계열의 학문 분야와 연계성이 높은 산업 분야 우선 선정에 더하여 국가신성장동력산업 및 비이공계 분야 산업 추진

* 주기별 산업 현황 업데이트에 근거, 2주기 2012년 추진되었던 분야 보완 - 산업분야 구분 근거: 한국표준산업분류, 학문분류

- 산업의 경제 규모: 산업규모 GDP 1% 이상 분야 중심으로 공학계열 학과와 연관성이 높은 산업9) 선정

- 산업 비전 및 정부 선정: 미래 유망 산업 분야10) 등 고려

8) <산업계관점 대학평가의 주기별 평가 시행방안 연구(오환섭 외, 2012)> 등을 참고 9) 「주요산업동향지표」, 산업연구원, 2011

10) 「경제・산업 전망」, 산업경제원, 2012

(32)

5. 산업계 요구분석 개요

가. 산업계 요구분석 정의 및 의의

◦ 산업계 요구분석이란 산업계 종사자들이 분야별 직무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직무역 량을 정의하고 이를 함양하기 위한 교과목을 도출하는 과정

◦ 산업계 요구분석을 통하여 다양화・전문화되고 있는 산업현장의 수요를 취합하여 대학에 전달하고 교육과정 개선을 유도함

나. 요구분석 절차

◦ 산업별 협력위원회(SC 등)를 통해 요구분석에 참여할 기업을 섭외

◦ 다음 세 단계에 걸쳐 요구분석을 실시 [1단계] 직무단위 구분 및 정의

‒ 직무분류관련 자료 수집 및 분석

‒ 국가직무능력표준 및 해당산업 관련 대표기업의 직무군 조사 등의 문헌조사를 통해 공통 직무추출 및 직무절차(process) 구성

[2단계] 직무단위별 직무역량 정의 및 교육단계 산출

‒ [1단계]에서 정의된 직무단위를 바탕으로 직무가 존재하는 이유, 직무수행의 예 상되는 결과 및 달성해야 하는 수행 목표에 대하여 신입사원이 반드시 갖추어 야 할 직무지식, 능력, 태도(이하 역량)를 제시

∙ 직무수행시 필요한 이론적 지식

∙ 직무수행의 방법, 절차에 대한 지식 이를 수행하기 위한 능력 및 태도

‒ 직무역량 함양을 위한 적절한 교육실시 단계를 정의 ∙ 대학: 학사 수준 함양 역량

∙ 대학원: 석사 이상 수준

∙ 기업: 입사 후 현장훈련(OJT: On the Job Training) 요구 수준 ∙ 역량에 따라 교육실시 단계 중복 제시 가능

[3단계] 직무단위별 직무역량 함양을 위한 교과목 및 중요도 산출

‒ 산업 분야 관련 전공 교과과정 내 개설교과목 분석

(33)

‒ [2단계]에서 「학부」 수준 역량으로 분류된 직무역량을 함양하기 위해 관련 내 용을 포함하는 교과목을 선정

‒ 선정된 교과목에 대해 다음과 같이 중요도를 설정 ∙ ① 매우 낮음 ② 낮음 ③ 보통 ④ 높음 ⑤ 매우 높음 ∙ 중요도의 평균이 3점 이상인 과목에 한하여 목록 제시

1단계

직무단위 구분 및 정의

∙ 직무분류 관련자료(국가직무능력표준 등)를 활용하여 해당 직 무군에 포함되는 직무단위를 정의

2단계

직무단위별로 직무역량 정의 및 교육단계 산출

∙ 해당 직무를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직무역량 추출

∙ 각 직무역량들의 교육시기 : 학부/대학원/기업으로 구분(중복가능)

3단계

직무단위별로 직무역량 함양을 위한 교과목 및

중요도 산출

∙ 추출된 역량을 학부교육과정에 맞추어 재분류 및 학부에서 학습할 교과목 도출

∙ 정의된 교과목의 학부 교육시 중요도 도출

[그림 Ⅰ-3] 산업계 요구분석 절차

(34)
(35)

제 2

건축(시공) 분야

산업계 요구분석

1. 산업계 요구분석 추진 배경 및 현황 2. 산업계 요구분석 결과

3. 요약 및 제언

(36)
(37)

건축(시공) 분야 산업계 요구분석

1. 산업계 요구분석 추진 배경 및 현황

가. 산업계 요구분석 추진 배경

산업계관점 대학평가 평가대상 산업 분야

◦ 건설산업 분야 중 공과계열의 학문 분야와 연계성이 높아 산업계관점 대학평가 1주 기 때부터 대상 산업으로 선정됨

◦ 산업 관련 GDP 규모를 고려하여 2008년 설계, 시공, 엔지니어링, 2012년 건축(시 공), 토목 분야 대상으로 단일 사업 연도 내에 요구분석과 평가가 추진된 바 있음

◦ 3주기 산업계관점 대학평가에서는 ’15년 ‘건축(시공)’ 분야 대상 요구분석 실시 후 분석 내용에 근거하여 ’16년에 해당 분야 평가를 추진할 예정임

나. 건설 산업 현황

국내 건설산업 동향11)

◦ 2014년 중 국내총생산(GDP, 실질 기준) 성장률은 미국 등을 중심으로 글로벌 경 기가 완만한 회복세를 보이고 설비투자가 개선되면서 전년의 2.9%에서 3.3%로 높아졌으나, 민간소비가 둔화되는 등 전반적인 내수 회복세는 미약

11) 대한건설협회, 2014년 민간건설백서.

제 2

(38)

<표 II-1> 경제활동별 성장률(전기대비)

(단위 : %)

2013 2014

연간 1분기 2분기 3분기 4분기

농림어업 3.1 [2.3] 2.6 [2.3] -2.2 -2.0 2.0 2.8 광 업 8.1 [0.2] -0.2 [0.2] 4.2 -1.5 0.5 -6.1 제조업 3.6 [31.0] 4.0 [30.3] 2.2 1.1 -0.9 0.0 전기,가스 및

수도사업 -0.3 [2.3] 2.2 [2.8] -3.3 -1.8 3.5 4.9 건설업 3.0 [4.9] 0.6 [4.9] 1.4 0.1 0.9 -3.0 서비스업 2.9 [59.3] 3.1 [59.4] 0.9 0.3 1.2 0.6

국내총생산 2.9 3.3 1.1 0.5 0.8 0.3

주 : 1) [ ]내는 명목 총부가가치(기초가격 기준)대비 비중 ※ 자료 : 한국은행

◦ 종합건설업체수에 있어서 건설경기 침체로 인해 2005년 이후 지속적으로 감소세 를 보이다 2014년 상반기부터 증가세를 보이며 전년(10,921개사) 대비 51개사 증 가한 10,972개사로 2014년을 마감함

<그림 II-1> 연도별 종합건설업체 등록현황

(39)

◦ 최근 5년 간 등록업종 구성비율은 아래 그림과 같이 건축 분야에서 소폭의 상승세 를 보임

<그림 II-2> 최근 5년 간 등록업종 구성비율

건설경기 동향

◦ 30대 건설사 10곳 중 4곳이 한계기업으로 이자보상배율을 분석한 결과 평균 1.2에서 0.4로 크게 감소하였으며, 연속 1미만인 ‘8곳’은 불안감이 고조되고 있는 상황12)

<표 II-2> 30대 건설기업 이자보상배율 현황

(단위 : 백만원)

12) http://www.mt.co.kr/view/mtview.php?type=1&no=2016040615225430160&outlink=1 구분 2015년 2014년 구분 2015년 2014년

삼성물산 0.4 3.3 한라 0.3 0.4

현대건설 9.6 9.1 금호산업 1.3 1.2

대우건설 3.5 3.5 코오롱글로벌 1.1 0.1

포스코건설 4.0 5.8 쌍용건설 -29.7 -0.1

GS건설 1.0 0.4 태영건설 1.6 0.5

(40)

◦ 국내 건설수주액의 경우는 아래 표와 같은 분포를 보이고 있음13)

<표 II-3> 국내건설수주액

(단위 : 백억원, %)

구 분 합 계

발 주 자 별 공 종 별

공 공 민 간 토 목 건 축

토목 건축 토목 주거 비주거 주거 비주거

2012 10,150 3,407 1,890 1,517 6,742 1,678 2,784 2,279 3,568 6,582 3,429 3,152

2013 9,130 3,617 2,006 1,610 5,513 984 2,423 2,106 2,990 6,140 2,929 3,211

‘14

실 적 10,746 4,073 2,453 1,619 6,673 819 3,582 2,271 3,272 7,473 4,108 3,365 전년

동기비 17.7 12.6 22.3 0.6 21.0 -16.7 47.8 7.8 9.4 21.7 40.3 4.8

‘12년

동기비 5.9 19.5 29.8 6.7 -1.0 -51.2 28.7 -0.4 -8.3 13.5 19.8 6.7

13) 대한건설협회, 2014년 민간건설백서.

구분 2015년 2014년 구분 2015년 2014년

대림산업 3.4 -3.3 삼성엔지니어링 -48.0 5.3

롯데건설 2.1 1.8 계룡건설산업 1.7 -4.2

SK건설 0.1 -0.0 한양 5.5 3.0

현대엔지니어링 37.7 63.5 KCC건설 -7.7 0.1

현대산업개발 6.0 2.7 동부건설 -1.7 -3.0

한화건설 -4.5 -3.7 한신공영 1.2 -1.9

두산건설 -1.1 0.9 경남기업 -3.5 -1.8

두산중공업 0.1 1.4 서희건설 3.1 2.9

(41)

◦ 2016년 2월 국내 건설수주는 민간이 양호해 전년 동월 대비 36.6% 증가한 11.0조 원을 기록함14)

- 11.0조원은 2월 실적으로는 통계가 작성된 지난 1994년 이래 역대 최대치임 - 발주자별로 공공이 전년 동월비 4.8% 감소하였으나 민간이 63.7% 증가함 - 이에 지난 1월 전년 동월 대비 14.4%감소하여 12개월 연속 증가세를 마감하였으

나, 한 달만에 다시 반등함

- 세부 공종별로는 토목과 비교하여 건축에서는 주택, 공장 및 창고, 관공서, 사무 실 등 모든 공종에서 양호함

◦ 해외건설 시장 동향은 중동발 훈풍이 예상되나 수익성이 관건임15)

- 최근 건설업계는 경제 재건을 위해 인프라 건설에 주목하고 있는 이란에서의 특 수를 기대하고 있음. 그러나 이란을 제외하고는 해외건설 시장 상황은 낙관할 수 만은 없음. 해외건설종합정보서비스에 따르면 지난 5월까지 국내 건설업체의 해 외 수주는 220건으로 저년 227건 대비 3% 가량 소폭 하락하였으나, 수주금액은 221억 8727만 달러에서 124억 964만 달러에 그쳐 44% 가량 줄어든 상황임 - 저가 수주로 인한 건설업계의 채산성 악화로 이어지지 않도록 추이를 살피며 수

익성 향상을 모색하는 중임

국내건설 공사실적 동향16)

◦ 토목공사

’14년 토목공사 기성액은 26조 1,709억원으로 금액으로는 전년대비 20.1% 감소 함. 공사건수도 전년대비 25% 감소한 21,979건으로 집계됨. 이에 따라, 1건 공사당 평균기성액은 지난해보다 0.7억원 증가한 11.9억원으로 나타남

세분공종별로 보면, 전년과 비슷한 수준을 보인 모든 공종에서 감소세를 보였고,

14) 2016년 월간건설경기동향 4월호(http://www.cerik.re.kr)

15) http://www.polinews.co.kr/news/article_print.html?no=272899 16) 대한건설협회, 2014년 민간건설백서.

(42)

특히 댐․항만, 상․하수도 등에서 부진을 보였으며, 발주기관별로도 정부기관에서 민간 부문까지 전반적으로 부진한 양상을 보임

◦건축공사

’14년 건축공사 기성액은 금액으로는 전년대비 7.9% 증가한 94조 3,136억원, 공사 건수는 전년대비 1.2% 증가한 60,464건으로 집계되어, 1건 건축공사의 평균기성액 은 15.6억원으로 지난해보다 1억원 증가한 것으로 나타남

세분공종별로는, 주택부분의 단독․연립주택, 비주거 부문의 호텔․숙박시설, 상업용 건물 등이 증가한 반면, 병원, 종교용 건물 공사는 감소한 것으로 나타남

◦ 산업설비·조경공사

산업환경설비 기성실적은 전년대비 10.6% 감소한 15조 373억원을 기록함. 공종별 로는 에너지저장시설과 기타플랜트 설치 부문에서 호조를 보인 반면 그밖에 나머지 하폐수 종말처리장, 쓰레기소각시설, 발전소 등은 모두 감소세를 보임. 조경공사는 2조 7,009억원으로 집계되어 전년대비 3.2% 감소함

(43)

2. 산업계 요구분석 결과

가. 직무단위의 구분 및 정의

건축(시공) 분야 직무단위와 관련하여, 국가직무능력표준(NCS)에서는 아래 <표 II-4>와 같이 구분하여 분석이 진행중임. 상세 내용은 국가직무능력표준 홈페이지 (http://www.ncs.go.kr/ncs/page.do?sk=P1A2_PG01_001) 참조

<표 Ⅱ-4> 국가직무능력표준 건축시공 부문 분석 현황

분야 중분류 소분류 세분류 능력단위명

14.

건설

03. 건축 02. 건축시공

01.건축목공시공

01.건축목공시공 도면파악 02.건축목공시공 현장안전 03.건축목공시공 계획수립 04.시공준비

05.먹매김

06.구조물 제작설치 07.바닥 설치 08.벽 설치 09.천장 설치 10.목재창호 제작설치 11.보양 현장정리 12.검사 하자보수

02.조적미장시공

01.조적미장시공 도면파악 02.조적미장시공 현장안전 03.조적미장공사시공 계획수립 04.작업준비

05.기준설정 및 규준틀 설치 06.벽돌 쌓기 작업

07.불록 쌓기 작업

08.모서리 및 벽면 비드설치 09.시멘트 벽미장

10.단열 모르타르 바름 11.시멘트 바닥미장 12.보양 청소 03.방수시공 01.방수시공 도면파악

(44)

분야 중분류 소분류 세분류 능력단위명 02방수시공 현장안전 03.방수시공 계획수립 04.바탕처리

05.시멘트 액체 방수 06.규산질계 도포 방수 07.시트 방수

08.도막 방수 09.실링 방수 10.방수 검사 11.방수면 보호

04.타일석공시공

01.타일석공시공 도면파악 02.타일석공시공 현장안전 03.타일석공시공 계획수립 04.작업 준비

05.바탕면 준비 06.타일붙임 07.석재붙임 08.검사 보수 09.청소 보양

05.건축도장시공

01.건축도장시공 도면파악 02.건축도장시공 현장안전 03.건축도장시공 계획수립 04.도포면 바탕 처리

05.콘크리트면 수성페인트 도장 06.콘크리트면 무늬코트 본타일 도장 07.콘크리트 우레탄 에폭시 도장 08.목부 유성페인트 도장 09.목부 래커 도장 10.철부 유성페인트 도장 11.철부 래커 에나멜페인트 도장 12.석고보드면 도장

13.건축도장시공 검사 14.건축도장시공 보수 06.철근콘크리트

시공

01.철근콘크리트시공 도면파악 02.철근콘크리트시공 현장안전

(45)

분야 중분류 소분류 세분류 능력단위명 03.철근콘크리트시공 계획수립 04.시공 전 준비

05.자재관리 06.거푸집 설치 07.철근가공 조립검사 08.콘크리트 타설 전 준비 09.콘크리트 타설 양생 10.콘크리트 양생 후 검사 보수

07.창호시공

01.창호시공 도면파악 02.창호시공 현장안전 03.창호 시공계획 수립 04.창호 시공상세도 작성 05.목업(Mock up) 시험

06.제작 자재 수급계획 수립 준비 07.부재 가공 제작

08.시공 준비 09.운반 양중 10.창호 설치 11.유리설치 12.커튼월 설치 13.보양 현장정리

08.가설시공

01.가설시공 도면파악 02.가설시공 현장안전 03.공통가설 계획수립 04.비계 시공계획 수립 05.비계 설치

06.비계 검사 점검 07.비계 해체 정리

08.거푸집 동바리 시공계획 수립 09.거푸집 동바리 설치

10.거푸집 동바리 검사 점검 11.거푸집 동바리 해체 정리 12.가설 안전시설물 설치 점검 해체 09.수장시공 01.수장시공 도면파악

02.수장시공 현장안전

(46)

분야 중분류 소분류 세분류 능력단위명 03.수장시공 계획 수립 04.도배시공 준비 05.도배 바탕처리 06.도배지 재단 07.초배 08.정배

09.바닥시공 준비 10.바닥 정지작업 11.바닥마감재 설치 12검사 마무리 13.보양 청소

10.단열시공

01.단열시공 설계도면파악 02.설계도서 검토 03.단열 시공계획 수립 04.단열시공 현장안전 05.자재 선정 발주 06.벽체 단열시공

07.바닥 천장 지붕 단열시공 08.검사

09.보양 청소

11.지붕시공

01.지붕시공 도면파악 02.지붕시공 현장안전 03.지붕시공계획 수립 04.자재관리

05.시공준비 06.한식지붕 시공 07.트러스지붕 시공 08.슬라브지붕 시공 09.부속공사 10.마감공사

12.구조물해체

01.구조물해체 도면파악 02.해체조사

03.구조물해체 계획수립 04.환경대책

05.안전대책

(47)

국가직무능력표준에서 개발 중인 틀과 건축(시공) 산업 관련학과 현행 교육과정을 고려하여 <표 Ⅱ-5>와 같이 사업관리, 설계, 시공, 영업/Proposal, 기술지원의 5개 직무군 및 그에 해당하는 16개 직무단위, 32개 직무역량을 구분함

<표 Ⅱ-5> 건축(시공) 분야 직무단위 구분

직무군 직무단위 직무단위 세부내용

사업 관리

경영관리

- 거시경제, 산업 동향, 경쟁사 전략 분석 - 각종 제도/규제 변화, 관련 법률 이해 - 사업관리(수주, 매출, 투자 원가관리)

- 신규 투자 관련 환경 및 시장 분석, 투자 경제성 검 - 경영성과 평가

인사관리

- 인사관리(현장인원 선발 및 배치, 평가, 인력계획수립 등) - 프로젝트 규모별 인력투입 모델 개발

- 교육계획수립(역량향상 및 직무교육, 해외연수 등) 공사관리 - 현장 조기 Setting지원

분야 중분류 소분류 세분류 능력단위명

06.시공품질관리 07.해체준비

08.구조물해체 현장안전 09.장비활용 해체작업 10.특수 해체작업 11.폐기물처리 12.해체 마무리

13.강구조시공

01.강구조시공 도면파악 02.강구조시공 현장안전 03.공사준비

04.부재 제작 05.부재설치 06.용접 접합 07.볼트 접합 08.도장 09.내화피복 10.준공

(48)

직무군 직무단위 직무단위 세부내용 - 현장조직 및 인원계획 수립

- 현장경영 실적관리

RM

- 프로젝트 Risk관리(프로세스 단계별 잠재 Risk검토 및 관리) - 계약검토

- 리스크관리 계획수립 및 수행

설계

설계관리

- 수주지원(Design Build, 기술제안 등) - 입찰설계 통합 설계관리

- 설계 단계별 원가 검토 - 설계 단계별 업무프로세스 관리 - 설계 분야간 Coordination - 설계 오류 검토

- 설계 변경 관리 - 설계관리 시스템 구축 - 설계 VE 제안

- BIM/친환경 기반의 설계관리

설계지원

- 시공품질 향상을 위한 설계관리 - 시공성 개선을 위한 설계검토

- 시공성 검토 및 현장상황에 따른 설계대안 검토

시공

공정

- 공사 진행현황 파악 및 계획대비 분석 - 신기술 신공법 검토

- 공정표 작성 및 공종표 관리 - 타공정 연관성 검토

- 건설통합관리시스템 (예, CPMS) 관리 - KISCON (전자대장통보) 등록 및 관리

원가

- 공사원가관리

- 실행예산 편성, 집행 및 관리 - 협력업체 계약관리

- 설계변경(건설 VE 및 ESC 등) - 자재관리, 노무관리, 경비관리 - 자금관리(실적 및 집행, 미수금 등)

현장시공

- 계약 관련 법규 검토(국가를 당사자로 하는 계약에 관한 법률 등) - 시공 관련 법규 검토(건설산업기본법에 대한 이해 등)

- 표준작업계획(공통공사 : Conc타설, 토공사, 장비, 거푸집, 비계 등) - 협력업체 기성 관리

- 시공 도면 검토 및 shop drawing 작성

(49)

직무군 직무단위 직무단위 세부내용 - 현장 시공계획 수립 및 사전점검 관리

- 공정계획 수립, 공사 진행현황 파악 및 계획대비 분석 - 시공 개선안 검토

영업/

Proposal

마케팅

- 시장조사(건설환경, Infra및 조달Resource, 기진출 경쟁사 동향, 관련법 률 및 법규, 각종 Tax, 인건비 수준, 노무생산성 등)

- 시장진출계획 수립

- 해외거점조직관리(지/법인 개설, 인력파견관리 등)

영업

- 국내외 영업(공공/민간/개발/제안형 사업 등) - 입찰정보 수집 및 관리

- 입찰프로세스 운영(입찰참여, 입찰 Proposal작성 및 Post Tender, 계약)

견적

- 기술영업 및 영업초기단계 사업비검토(개산견적) - 전문공종 견적의뢰 /견적서 접수 /Clarification - VE/대안 금액 산정

- 입찰원가 및 제출내역 작성(직/간접비) - 현장실행예산편성

기술 지원

안전

- 안전 실패사례 모니터링 - 안전 우수사례 현장 적용 - 안전관리계획서 작성 - 안전경영시스템 이해

환경

- 환경관리계획서 작성 & 관리 - 현장 환경경영시스템 수립 & 적용 - 환경 실패사례 저감대채 수립 & 적용 - 환경 우수사례 전파를 통한 환경경영

품질

- 품질시험계획서 작성 & 관리 - 시공품질관리계획서 작성 & 관리 - 국제표준 ISO 품질경영시스템 이해 - 품질관리계획서 작성 & 관리 - 현장 품질경영시스템 수립 & 적용

연구개발

- 연구계획서 작성

- 시공 우수사례 전파를 통한 품질 수준 향상 - 부적한 공사 원인분석

- 부적합 공사, 실패사례, 우수사례를 통한 개선점 모색 - 효과성과 효율성을 극대화한 신공법 개발 & 적용

(50)

나. 직무단위별 직무함양단계

위의 직무구분을 토대로한 직무단위별 직무함양단계는 아래 표 <표 Ⅱ-6>과 같음

<표 Ⅱ-6> 직무단위별 직무함양단계

직 무 군

직 무 단 위

직무역량 직무역량 세부내용

역량함양단계 대

학 대 학 원

기 업

사 업 관 리

경영

관리 ㅇ경영계획 및 관리

- 거시경제, 산업 동향, 경쟁사 전략 분석 ○ ○ ○ - 각종 제도/규제 변화, 관련 법률 이해 ○   ○ - 사업관리(수주, 매출, 투자 원가관리) ○ ○ ○ - 신규 투자 관련 환경 및 시장 분석, 투자 경제성 검토   ○ ○ - 사업 리스크 분석, 투자 일정 수립 등   ○ ○

- 경영성과 평가     ○

인사 관리

ㅇ인사관리 - 인적자원관리 기획/수행 ○ ○ ○

- 개인, 부서, 현장 평가     ○

ㅇ교육기획 - 직무교육, 계층 교육, 사례분석 교육 등 기획/수행     ○ 공사

관리 ㅇ현장지원 

- 현장개설지원     ○

- 현장조직 및 인원계획 작성(소장/공무/공사 등) ○   ○

- 현장 공정/손익 모니터링 ○ ○ ○

- 현장 준공평가(공기/손익/품질/안전) ○   ○

RM ㅇ리스크 관리 

- 리스크 관리계획 수립 ○ ○ ○

- 리스크 빈도 및 위험도 분석   ○ ○

- 리스크 통제   ○ ○

- 리스크의 이력관리를 통한 정량화(계량화)   ○ ○

설 계

설계 관리

ㅇ계약 및

업체관리 업무 - 계약서 검토 및 작성, 설계용역비 검토     ○ ㅇ설계진행

관리업무

- 기본 및 실시설계 진행 관리 및 설계일정관리, 설

계변경 관리, 리스크 관리 등 ○ ○ ○

- 설계도면, 시방서, 내역서 등 각종 설계도서 검토 ○ ○ ○

- 인.허가 등 각종 대관업무 ○ ○ ○

ㅇ설계기준 작성 및 적용관리 업무

- 설계관리 시스템 구축     ○

- 상품기준 적용 설계관리     ○

ㅇ 공사용 시공도서(SHOP DWG.) 관리업무

- 샵드로잉 도서작성 계획 및 관리 ○ ○ ○

- 준공도서 작성 및 관리 ○ ○ ○

ㅇ BIM/친환경

설계관리 업무   ○ ○ ○

설계 지원

ㅇ상품개발지원업무 - 고객리서치 및 중장기 상품개발, 개선 등 브랜드 관리   ○ ○ ㅇ시공현장 지원업무 - 시공성 검토 및 현장상황에 따른 설계대안 검토 ○ ○ ○ 시

공 공정 ㅇ공정계획수립 - 주요 공종 파악 및 현장 적용공법 검토 ○ ○ ○ - 공정표 작성(PERT, CPM 방식 등) ○ ○ ○

참조

관련 문서

업무를 수행하는데 시간, 자본, 재료 및 시설, 인적자원 등의 자원 가운 데 무엇이 얼마나 필요한지를 확인하고, 이용가능한 자원을 최대한 수 집하여 실제

업무를 수행하는데 시간, 자본, 재료 및 시설, 인적자원 등의 자원 가운 데 무엇이 얼마나 필요한지를 확인하고, 이용가능한 자원을 최대한 수 집하여 실제

업무수행에 필요한 시간자원이 얼마나 필요한지를 확인하고, 이용가능한 시간자원을 최대한 수집하여 실제 업무에 어떻게 활용할 것인지를 계획하고 할당하는 능력.

하지만 이번에 그를 분석해 보면서 영화 배경 이 얼마나 중요한 역할을 하는지, 소재로써 어떻게까지 활용할 수 있는지 깨닫게 되었다. 배경 소재 자체가

㉥ 재료분리:굵은 골재, 모르타르, 골재와 시멘트 페이스 트가 혼합되어 반죽상태인 콘크리트의 유동성 때문에 골고 루 섞이지 않는 현상으로 콘크리트의 수밀성 저하, 강도

IgE) 검사이다. 2-12) 제1형 과민반응에 적용하는 피부시험 에는 피부단자시험(피부따끔검사, skin prick test), 소피시험 (scratch test), 피내시험(intradermal

인간의 단기기억은 한정된 자원을 가지고 있어 언어이해 과정에서 결 정적 변수로 작용할 수 있다. 장기기억에 저장된 다양한 지식들은 어떻게 구조화되

진보적 변화 추구하는 주체로서 사회 이해하고 보다 활동적, 효과적 사회참여 위해 스포츠에 대한 사회학적 지식 어떻게 활용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