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Victimization Characteristics and Severity of Physical Injury by Domestic Violence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Victimization Characteristics and Severity of Physical Injury by Domestic Violence"

Copied!
8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서 론

가정폭력은 배우자, 형제자매, 부모와 자식 간의 다양한 가족 구 성원 사이의 신체적, 정신적 또는 재산상 피해를 수반하는 행위들로 가정폭력의 유형은 신체적, 물리적, 경제적, 심리적 학대 등으로 다 양하다.1) 가정폭력은 4대 사회악 중 하나로 피해자의 신체적, 정신적 피해와 함께 심각한 후유증을 남길 뿐만 아니라 피해자 가족들에게 도 평생의 상처가 되고 있으며 가출, 가정파탄 및 폭력성의 세습 등

을 가져오는 근절되어야 할 범죄이다. 반복되는 가정폭력의 피해자 는 무기력한 상태에 빠지게 되고 터널비전(tunnel vision)이나 인지왜 곡의 증상을 보이게 되고 이는 battered person syndrome이란 개념의 기초가 되기도 한다.2) 또한, 가정폭력의 강도 및 기간이 신체적 및 정 신적 건강문제의 발병 위험성 혹은 증상의 심각성과 관련이 있고3,4) 아이들에게까지 영향을 미친다.5-9) Reijnders 등10)의 연구에 따르면 450명의 가정폭력 피해자 중 85%가 신체 손상이 발견되었다고 보고 하였으며 Saddki 등11)의 연구는 가정폭력 피해자 중 11.2%가 입원 치

Received May 4, 2017 Revised August 10, 2017 Accepted August 15, 2017

Corresponding author Seock-Hwan Lee

Tel: +82-53-560-7390, Fax: +82-53-560-7499 E-mail: fmdsky@hanmail.net

ORCID: http://orcid.org/0000-0002-0638-643X

Copyright © 2018 The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 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Original Article

https://doi.org/10.21215/kjfp.2018.8.2.244 eISSN 2233-9116

Korean J Fam Pract. 2018;8(2):244-251

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

KJFP

가정폭력 피해 특성과 신체 손상의 중증도

박철우, 이석환*, 최덕윤, 양혜영

대구의료원 가정의학과

Victimization Characteristics and Severity of Physical Injury by Domestic Violence

Cheol-Woo Park, Seock-Hwan Lee*, Deag-Yoon Choi, Hye-Young Yang

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Daegu Medical Center, Daegu, Korea

Background: Domestic violence is increasing every year, and is a crime that causes physical, emotional, and mental injur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early detection and treatment of domestic violence victims in primary care by analyzing basic victimization characteristics and physical injuries in these victims.

Methods: This study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initial interview and medical records of 239 victims of domestic violence who visited Sunflower Center and Emergency Center from January 1, 2016 to December 31, 2016. We analyzed the basic characteristics of the victimization and correlation by identifying the type, anatomical location, and severity of the physical injuries.

Results: Of the 239 victims of domestic violence examined in this study, 191 (79.9%) were physically injured by a ssailants, and their average New Injury Severity Score was 2.93 points. The types of injuries included contusions, abrasions, lacerations, fractures, subconjunctival hemorrhages, perforation of tympanic membranes, tooth fractures, and subarachnoid hemorrhages. Most of the physical injuries were observed in the face, upper extremities, and head and neck areas. Of the 47 victims who visited the medical center, 45 (95.7%) persons were physically injured, and the average severity score was 5.40±4.15, which was higher than that of the other group (P<0.000).

Conclusion: Active initial intervention of doctors is needed because most instances of domestic violence are accompanied by physical injuries. When a female trauma patient visits a medical center, the doctors should promptly and accurately check for the existence of domestic violence through physical examination and history taking.

Keywords: Domestic Violence; Physical Abuse; Spouse Abuse; Date Violence

(2)

박철우 외. 가정폭력 피해 특성과 신체 손상의 중증도

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

KJFP

료를 받았다. 또한, 이전의 여러 연구들은 가정폭력으로 인한 외상 의 특징적 양상으로 다발손상, 목 졸림, 두경부와 안면부의 손상을 제시하였다.12-21) 여성 외상 환자들의 가장 흔한 원인 중 하나가 가정 폭력 이지만22) 가정폭력 피해자들의 신체 손상에 대한 국내 연구는 부진한 상황이다.

성폭력, 가정폭력의 증가 추세로 인해 현재 국내에는 여성가족부 와 경찰청이 협업하여 성폭력 및 가정폭력 피해자 통합 지원을 위한 사업의 일환으로 해바라기센터를 운영 중이다. 실제 가정폭력 피해 자들은 피해 시 지원센터, 경찰서, 의료기관을 주로 이용하고 있으나 신체 손상을 동반하는 경우가 대부분으로 지원센터나 경찰서로 내 원하는 경우에는 정확한 신체 손상의 유무와 적절한 의료적 처치가 지연될 수 있다. 반면 의료기관으로 내원하는 경우에는 의료적 처치 이외 사회적, 경제적 도움을 주지 못하는 경우가 많고 피해를 숨기고 신체 손상 치료만을 위한 진료를 보는 경우가 많다. 가정폭력은 신체 손상을 동반하는 경우가 대부분으로 의료적 지원이 선행되어야 하 고 가정폭력 피해자들의 즉각적인 안전을 확보하고 이에 따른 치료 계획 수립과 함께 사회적, 경제적 지원에 대한 체계적 기준 마련이 시급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2015년도 대구의료원 응급실 및

해바라기센터를 방문한 가정폭력 피해자들을 대상으로 가정폭력 의 피해 실태와 임상 양상을 살펴보고 신체 손상의 종류, 다발 부위, 중증도를 분석하여 이를 근거로 일차 진료에서 가정폭력 피해자의 초기 치료 및 조기 발견을 위한 병력 청취와 신체 진찰에 도움이 되 고자 한다.

방 법

1. 연구 대상

본 연구는 2016년 1월 1일부터 2016년 12월 31일까지 12개월 동안 대구의료원 응급실 및 해바라기센터를 방문한 가정폭력 피해자 239 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2. 연구 방법

전체 가정폭력 피해자 239명의 상담 기록 일지와 의무 기록을 후 향적으로 고찰하여, 피해자와 가해자의 나이, 직업, 관계, 피해 당시 의 정신 상태 및 가정폭력 발생 추정 시간을 살펴보았다. 전체 피해 자 239명 중 신체 손상을 입은 피해자 191명의 의무기록과 방문 당시

Original Article

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s of 239 victims

Characteristic Support center (n=129) Police (n=63) Medical center (n=47) Total (n=239) P-value Age (y)

Mean±SD* 41.3±11.6 40.1±12.6 48.0±12.9 42.3±12.4 0.086

≤19 5 (3.8) 3 (4.8) 0 (0.0) 8 (3.4) 0.077

20–29 13 (10.1) 9 (14.3) 5 (10.6) 27 (11.3)

30–39 42 (32.6) 19 (30.2) 8 (17.0) 69 (28.9)

40–49 38 (29.5) 20 (31.7) 13 (27.7) 71 (29.7)

50–59 23 (17.8) 7 (11.1) 11 (23.4) 41 (17.1)

≥60 8 (6.2) 5 (7.9) 10 (21.3) 23 (9.6)

Mental state 0.080

Normal 112 (86.8) 48 (76.2) 34 (72.4) 194 (81.2)

Alcohol 9 (7.0) 13 (20.6) 9 (19.1) 31 (13.0)

Disability 4 (3.1) 1 (1.6) 1 (2.1) 6 (2.5)

Psychogenic disease 4 (3.1) 1 (1.6) 3 (6.4) 8 (3.3)

Occupation 0.451

Unemployed 89 (69.0) 45 (71.4) 37 (78.8) 171 (71.6)

Self-employed 9 (7.0) 5 (7.9) 4 (8.5) 18 (7.5)

Employee 19 (14.6) 5 (7.9) 5 (10.6) 29 (12.1)

Oneday worker 6 (4.7) 2 (3.2) 1 (2.1) 9 (3.8)

Etc. 6 (4.7) 6 (9.6) 0 (0.0) 12 (5.0)

Relationship 0.017

Spouse 106 (82.2) 43 (68.2) 39 (83.0) 188 (78.7)

Cohabitant 7 (5.4) 10 (15.9) 7 (14.9) 24 (10.0)

Lineal ascendant & descendant 16 (12.4) 10 (15.9) 1 (2.1) 27 (11.3)

Values are presented as number (%).

SD, standard deviation.

Statistical analysis was done with chi-square test for all variables, Fisher’s exact test was used when the number was 5 or less.

*Calculated by analysis of variance.

(3)

Cheol-Woo Park, et al. Victimization Characteristics and Severity of Physical Injury by Domestic Violence

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

KJFP

디지털카메라로 촬영한 증거사진을 바탕으로 해부학적 신체 부위 에 따라 안면부, 두경부, 흉부, 복부, 상지, 하지로 나누고 손상의 정 도에 따라 abbreviated injury scale (1–5점)로 측정 후 가장 심한 손상 세 군데의 제곱의 합인 new injury severity score (NISS)로 평가하였다.

NISS (1–75점)가 높을수록 사망률이 높고 재원 기간이 길며 예후가 좋지 않다. 가정폭력 피해자들은 여성 간호사, 상담사, 여성 경찰 입

회하에 피해상담을 시행하고 시진 및 촉진 후 신체 손상이 있는 경 우에 한하여 디지털카메라(Canon E90; Canon Inc., Tokyo, Japan)를 이용하여 손상 부위의 사진을 촬영하였으며 의료진이 필요하다고 판단된 경우에 한하여 X-ray, 컴퓨터 단층촬영(computed tomogra- phy) 및 응급 처치를 하였으며 중증 손상을 입은 피해자는 입원을 권고하였다. 피해자 및 보호자가 진료 및 신체 손상의 사진 촬영에

Table 2. Type and continuity of domestic violence

Type Support center (n=129) Police (n=63) Medical center (n=47) Total (n=239) P-value

Verbal abuse 6 (4.7) 3 (4.8) 1 (2.1) 10 (4.2) 0.026

Threatening 11 (8.5) 2 (3.2) 0 (0.0) 13 (5.4)

Physical assault 112 (86.8) 58 (92.1) 46 (97.9) 216 (90.4)

+ Verbal abuse 60 (46.5) 42 (66.7) 26 (55.3) 128 (53.6)

+ Threatening 46 (35.7) 12 (19.0) 18 (38.3) 76 (31.8)

+ Sexual assault 4 (3.1) 4 (6.3) 0 (0.0) 8 (3.3)

+ Threatening + sexual assault 2 (1.6) 0 (0.0) 2 (4.3) 4 (1.7)

Continuity of domestic violence 0.213

First 31 (24.0) 11 (17.5) 6 (12.8) 48 (20.1)

Ongoing 98 (76.0) 52 (82.5) 41 (87.2) 191 (79.9)

Values are presented as number (%).

Statistical analysis was done with chi-square test for all variables, Fisher’s exact test was used when the number was 5 or less.

Table 3. Attack time and arrived time interval from domestic assault to

the support center

Classification

Support center (n=129)

Police (n=63)

Medical center (n=47)

Total

(n=239) P-value

Attack time 0.606

18:00-22:00 26 (20.2) 16 (25.4) 11 (23.3) 53 (22.2) 22:00-02:00 52 (40.3) 33 (52.4) 22 (46.8) 107 (44.8) 02:00-06:00 8 (6.2) 4 (6.3) 3 (6.4) 15 (6.3) 06:00-10:00 13 (10.1) 4 (6.3) 4 (8.5) 21 (8.8) 10:00-14:00 11 (8.5) 2 (3.2) 2 (4.3) 15 (6.3) 14:00-18:00 13 (10.1) 4 (6.4) 2 (4.3) 19 (7.8)

Unknown 6 (4.7) 0 (0.0) 3 (6.4) 9 (3.8)

Arrived time <0.001

18:00-22:00 11 (8.5) 10 (15.9) 7 (14.9) 28 (11.7) 22:00-02:00 2 (1.6) 21 (33.3) 12 (25.5) 35 (14.7) 02:00-06:00 1 (0.8) 8 (12.8) 3 (6.4) 12 (5.0) 06:00-10:00 3 (2.3) 7 (11.1) 3 (6.4) 13 (5.4) 10:00-14:00 87 (67.4) 12 (19.0) 13 (27.7) 112 (46.9) 14:00-18:00 25 (19.4) 5 (7.9) 9 (19.1) 39 (16.3)

Time interval <0.001

<12 h 40 (31.0) 47 (74.6) 25 (53.3) 112 (46.9) 12–24 h 34 (26.4) 7 (11.1) 5 (10.6) 46 (19.2) 24–48 h 19 (14.7) 3 (4.8) 3 (6.4) 25 (10.5) 48–72 h 13 (10.1) 1 (1.6) 4 (8.5) 18 (7.5) 72 h–1 wk 10 (7.7) 4 (6.3) 5 (10.6) 19 (7.9)

≥1 wk 11 (8.5) 1 (1.6) 4 (8.5) 16 (6.7)

Unknown 2 (1.6) 0 (0.0.) 1 (2.1) 3 (1.3) Values are presented as number (%).

Statistical analysis was done with chi-square test for all variables, Fisher’s exact test was used when the number was 5 or less.

Table 4. General characteristics of 239 assailants Classification

Support center (n=129)

Police (n=63)

Medical center (n=47)

Total

(n=239) P-value

Age (y)

Mean±SD* 56.2±22.1 52.1±20.5 63.7±22.6 48.0±12.2 0.480

≤19 1 (0.8) 2 (3.2) 0 (0.0) 3 (1.3) 0.477

20–29 4 (3.1) 2 (3.2) 1 (2.1) 7 (2.9)

30–39 21 (16.2) 13 (20.6) 5 (10.6) 39 (16.4) 40–49 34 (26.4) 16 (25.4) 7 (14.9) 57 (23.8) 50–59 30 (23.3) 15 (23.8) 12 (25.6) 57 (23.8) ≥60 17 (13.2) 8 (12.7) 11 (23.4) 36 (15.1) Unknown 22 (17.0) 7 (11.1) 11 (23.4) 40 (16.7)

Mental state 0.332

Non alcohol 70 (54.3) 27 (42.9) 24 (51.1) 121 (50.6) Alcohol 59 (45.7) 36 (57.1) 23 (48.9) 118 (49.4)

Occupation 0.153

Unemployed 42 (32.6) 19 (30.2) 23 (49.0) 84 (35.2) Self employed 28 (21.7) 13 (20.6) 8 (17.0) 49 (20.5) Employee 25 (19.4) 15 (23.8) 6 (12.8) 46 (19.2) Oneday worker 15 (11.6) 13 (20.6) 5 (10.6) 33 (13.8) Etc. 19 (14.7) 3 (4.8) 5 (10.6) 27 (11.3)

Threaten 0.023

Absence 75 (58.1) 49 (77.8) 27 (57.4) 151 (63.2) Strangulation 19 (14.7) 6 (9.6) 13 (27.7) 38 (15.9) Sharp weapon 21 (16.3) 4 (6.3) 3 (6.4) 28 (11.7) Blunt weapon 14 (10.9) 4 (6.3) 4 (8.5) 22 (9.2) Values are presented as number (%).

SD, standard deviation.

Statistical analysis was done with chi-square test for all variables, Fisher’s exact was used when the number was 5 or less.

*Calculated by analysis of variance.

(4)

박철우 외. 가정폭력 피해 특성과 신체 손상의 중증도

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

KJFP

동의하지 않거나 피해 이후 2주 이상 경과한 경우는 제외하였다.

본 연구는 임상시험심의위원회(Institutional Review Board, IRB)의 승인(IRB no. DGMC 2016FM05)을 받았으며 자료의 통계분석을 위 해 수집된 자료를 측정하기 위한 변수들의 분석을 위해서 IBM SPSS statistics 23.0 (IBM Co., Armonk, NY, USA)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 석하였다. 피해자와 가해자의 일반적 특성분석은 chi-square와 anal- ysis of variance (ANOVA)를 통한 그룹간 비교를 시행하였으며 신체 손상의 중증도(NISS)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을 위해 일원배치 분산분석(ANOVA)을 실시하였으며, 사후검정으로 Duncan의 방법 을 이용하였다. 유의수준은 P값 0.05 미만인 경우로 하였다.

결 과

1. 가정폭력 피해자의 유형과 연령분포

가정폭력 피해자들의 내원 경로는 지원 기관 129명(54.0%), 경찰서 63명(26.3%), 의료기관 47명(19.7%)으로 나타났고 피해자들의 평균 연 령은 42.3세로 30대 69명(28.9%), 40대 71명(29.7%), 50대 41명(17.1%)으 로 30대 이상의 성인 피해자가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피해자 중 피해 당시 음주를 한 경우는 31명(13.0%), 지체 및 정신 장애를 가진 경우 는 6명(2.5%), 정신 질환을 가진 경우는 7명(2.9%)이었다. 가정폭력의 피해자 중 경제 활동이 없는 경우는 171명(71.6%), 일용직 9명(3.8%), 자영업 18명(7.5%), 회사원 29명(12.1%), 기타 12명(5.0%)으로 경제적 활 동이 취약한 경우가 많았고 피해자와 가해자의 관계는 배우자 188

명, 동거남 24명, 직계존속, 비속 16명으로 나타났다(Table 1).

2. 가정폭력 피해 유형 및 지속 피해 유무

가정폭력 피해 중 폭언을 당한 경우 10명(4.2%), 협박 및 위협을 당 한 경우는 13명(5.4%) 이었으며 폭행과 함께 협박 및 위협을 당한 경 우는 76명(31.8%), 폭행과 성적학대를 당한 경우는 8명(3.3%), 폭행, 협 박, 성적학대를 모두 당한 경우는 4명(1.7%)으로 나타났다. 신체적 폭 행이 동반된 경우는 216건(90.4%)으로 가정폭력 피해자의 대부분이 신체적 폭행을 당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녀 폭행이 동반된 경우가 14건 있었으며 성적 학대로는 원치 않은 성관계 9건, 자녀 성폭행 3건 이 있었다. 가정폭력이 재발된 경우는 191명(79.9%)으로 나타났다 (Table 2).

3. 가정폭력 발생 시간과 내원 시간

피해 시간대는 22시부터 02시까지가 107건(44.8%), 18시부터 22시 까지가 53건(22.2%)으로 가족생활 시간대가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Table 3).

4. 가정폭력 발생 후 센터 및 의료기관 방문시간 및 소요시간

가정폭력 피해 이후 지원센터로는 10시에서 14시, 경찰이나 의료 기관으로는 22시에서 02시에 피해자들이 많이 방문한 것으로 나타 났고 가정폭력 피해 후 12시간 이내에는 경찰이나 의료기관으로의 내원이 많았고 12시간 이후로는 지원센터 방문이 많았다(Table 3).

Figure 1. Distribution of physical inju-

ries by domestic violence. The body part is divided into six parts (head &

neck, face, thorax, abdomen, upper and lower limb). Total physical injuries consist of contusions, abrasions, lacera- tions, fractures, subconjunctival ecchy- mosis, tympanic membrane perfora- tions, subarachnoid hemorrhage. Val- ues are presented as number and per- centage.

Contusion Abrasion Total

Head & neck

Face

Thorax

Upper limb

Abdomen

Lower limb

21.1%

29.8%

8.6%

26.4%

1.1%

13.1%

100%

134

189

55

168

7

83 636 26.8%

32.3%

5.9%

25.2%

0.4%

9.4%

23.5%

16.7%

7.1%

30.4%

1.8%

17.3%

(5)

Cheol-Woo Park, et al. Victimization Characteristics and Severity of Physical Injury by Domestic Violence

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

KJFP

5. 가정폭력 가해자의 일반적 특성

가정폭력 가해자는 2명을 제외한 291명이 남성이었으며, 평균 연 령은 48.0세로 피해 당시 술을 마신 경우는 49.4%, 직업은 무직이 35.2%, 자영업 20.5%, 회사원 19.2%, 일용직 13.8%로 나타났다. 전체 가 정폭력 가해자 중 36.8%가 위협을 가하였으며 목을 조른 경우는 Table 5. Physical injuries and NISS

Classification

Support center (n=129)

Police (n=63)

Medical center (n=47)

Total

(n=239) P-value

Physical injury* 0.003

Absence 35 (27.1) 11 (17.5) 2 (4.3) 48 (20.1) Presence 94 (72.9) 52 (82.5) 45 (95.7) 191 (79.9)

NISS <0.001

Mean±SD 2.13±1.97 2.71±2.13 5.40±4.15 2.93±2.8 Values are presented as number (%).

NISS, new injury severity score; SD, standard deviation.

*Calculated by chi-square test, calculated by analysis of variance.

Table 6. General characteristics as NISS

Classification Number Mean±SD P-value

Victim’s age (y) 0.001

≤19 8 0.75±1.17

20–29 27 2.59±1.99

30–39 69 3.48±3.51

40–49 71 2.56±2.25

50–59 41 3.46±3.20

≥60 23 2.61±2.55

Total 239 2.93±2.86

Victim's occupation 0.045

Unemployed 171 3.14±3.11

Self employed 18 2.17±1.54

Employee 29 2.59±2.20

Oneday worker 9 4.11±1.90

Etc. 12 1.00±1.35

Total 239 2.93±2.86

Assailant's occupation 0.020

Unemployed 84 3.75±3.62

Self employed 49 2.29±1.93

Employee 46 2.76±2.88

Oneday worker 33 2.70±2.07

Etc. 27 2.11±1.63

Total 239 2.93±2.86

Relationship 0.001

Spouse 188 2.84±2.72

Cohabitant 24 5.08±3.94

Lineal ascendant & descendant 27 1.67±1.33

Total 239 2.93±2.86

Threaten 0.021

Absence 151 2.92±3.00

Strangulation 38 3.92±3.10

Sharp weapon 28 1.71±1.78

Blunt weapon 22 2.82±1.92

Total 239 2.93±2.86

Continuity of domestic violence <0.001

First 48 1.58±1.76

Ongoing 191 3.27±2.98

Total 239 2.93±2.86

NISS, new injury severity score; SD, standard deviation.

Statistical analysis was done with analysis of variance.

Table 7. Weapons and arrived time as NISS

Classification Number Mean±SD P-value

Weapons

Support center 0.553

Absence 90 2.11±2.09

Blunt 7 2.86±2.04

Sharp 20 1.75±1.68

Etc. 12 2.50±1.45

Total 129 2.13±1.97

Police 0.149

Absence 52 2.81±2.13

Blunt 5 3.60±2.30

Sharp 4 0.50±1.00

Etc. 2 2.50±0.71

Total 63 2.71±2.13

Medical center 0.015

Absence 34 4.76±3.67

Blunt 4 11.5±6.35

Sharp 4 6.00±2.45

Etc. 5 4.40±3.13

Total 47 5.40±4.15

Arrived time

Support center 0.029

18:00-22:00 11 2.00±1.95

22:00-02:00 2 1.50±2.12

02:00-06:00 1 3.00 –

06:00-10:00 3 6.00±4.00

10:00-14:00 87 2.06±1.64

14:00-18:00 25 2.00±2.47

Total 129 2.13±1.97

Police 0.550

18:00-22:00 10 2.30±3.56

22:00-02:00 21 2.43±1.57

02:00-06:00 8 3.38±2.97

06:00-10:00 7 3.71±1.70

10:00-14:00 12 2.42±0.67

14:00-18:00 5 3.00±2.12

Total 63 2.71±2.13

Medical center 0.010

18:00-22:00 7 5.71±6.40

22:00-02:00 12 3.5±2.54

02:00-06:00 3 9.33±2.89

06:00-10:00 3 2.00±1.00

10:00-14:00 13 6.38±4.48

14:00-18:00 9 6.11±3.02

Total 47 5.40±4.15

NISS, new injury severity score; SD, standard deviation.

Statistical analysis was done with analysis of variance.

(6)

박철우 외. 가정폭력 피해 특성과 신체 손상의 중증도

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

KJFP

15.9%, 칼, 유리조각 등의 날카로운 흉기를 사용한 경우가 11.7%, 둔기 를 사용한 경우가 9.2%로 나타났다(Table 4).

6. 신체 손상 분석 1) 신체 손상 유무 및 분포

전체 피해자 중 191명(79.9%)에서 총 636개의 신체 손상이 발견되 었고 안면부 29.8%, 상지 26.4%, 두경부 21.1%, 하지 13.1%, 흉부 8.6%, 복부 1.1% 순으로 분포하였다(Figure 1).

타박상은 총 336부위, 찰과상은 총 254부위, 열창은 20부위, 골절 20부위에서 나타났고 기타 신체 손상으로는 지주막하 출혈 1명, 치 아 파절 2명, 결막하 출혈 6명, 고막 천공 3명으로 나타났다.

2) 손상의 중증도

NISS에 따른 신체 손상의 중증도는 평균은 2.93으로 의료기관 내 원 피해자의 경우가 신체 손상의 중증도가 높게 나타났다(Table 5).

가정폭력 피해자의 NISS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는 피해자의 나이 가 30대와 50대, 일용직이나 무직인 경우가 높게 나타났고 가해자는 무직, 동거관계, 목을 조른 경우 손상의 중증도가 높았으며 가정폭 력이 초회인 경우는 낮게 나타났다(Table 6). 의료기관 내원 시 둔기 를 사용해 피해를 당한 경우는 11.5로 높게 나타났고 02시에서 10시 사이 지원 센터를 방문한 경우, 02시에서 06시 의료기관을 방문한 경우 손상의 중증도가 높게 나타났다(Table 7).

고 찰

여성의 희생을 강조하는 우리 사회에서 가정폭력 피해자로 알려 지는 것에 두려움을 가지고 가해자보다는 피해자가 오히려 죄의식 을 가진다. 또한, 가해자의 처벌을 원하는 여성들의 경우에도 사법처 리 과정의 어려움과 함께 부모, 자식들의 가족 구성원 모두가 고통 을 겪는 현실이 가정폭력에 대한 신고율을 낮추게 하는 원인인 동시 에 재발되는 결과로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도 가정폭력 피해자의 80%가 최소 2회 이상의 피해를 입은 후 의료기관이나 지원센터를 방문한 것으로 볼 때 실제 보고된 가정폭력의 빈도는 실제 일어난 사 건의 일부일 것으로 추정된다. 가정폭력 피해자 모두가 여성이었으 며 30대와 40대, 무직과 일용직이 대부분으로 경제적 자립도가 낮은 여성이 많았다. 반면에 가해자는 모두 남성으로 40대와 50대 남성이 대부분이었으며 피해 여성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경제적 자립도 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가정폭력의 원인으로는 배우자의 폭력적 인 성향이 106명, 외도 36명, 경제적 무능 25명, 알코올 남용 9명으로 나타났다. 전체 피해자의 90%가 배우자 혹은 동거인에 의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Reijnders 등10)의 연구와도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가정폭력 발생 시 피해자가 음주를 한 경우는 13.0%, 가해자가 술을 마신 경우는 49.4%, 피해자와 가해자가 모두 술을 마신 경우는 10.5%

로 나타났다. 알코올은 가정폭력의 위험인자로 알려져 있으나22,23) 본 연구에서는 음주 여부가 신체 손상의 중증도와는 상관관계가 없 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정폭력의 발생은 연중 및 요일별 차이는 없었 으나 가정폭력이 발생한 시간대는 22시부터 02시 44.8%, 18시부터 22 시 22.2%로 대부분 가족생활 시간대에 발생하였고 이는 Ahn 등24) 의 연구와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대부분의 연구들이 안면부, 두경부, 상지, 하지 및 두 가지 종류 이 상의 손상이 관찰되었다고 보고하였다.5,7-15,20) 본 연구에서는 물리적 폭력이 가해진 경우는 90.4% (216명)로 191명(79.9%)에서 총 636개의 손상이 관찰되었고 평균 3.3개로 안면부 29.7%, 상지 26.4%, 두경부 21.1%, 하지 13.1%, 흉부 8.6%, 복부 1.1% 순으로 나타났다. 다발성 손 상을 가진 경우에는 단일 손상을 가진 경우보다 가정폭력의 가능성 이 15배 이상 높다.16,17) 또한, 목 졸림은 가정폭력에서 흔하게 관찰되 는데12) 본 연구에서는 15.9% (38명)에서 목 졸림으로 인한 위협이 있 었다.

신체 손상의 중증도(NISS)는 상담기관 내원 피해자들보다는 경 찰서나 의료기관 내원 피해자들의 손상의 중증도가 높게 나타났다.

신체 손상 중증도에 미치는 인자로 피해자와 가해자의 나이, 직업, 관계, 정신상태, 피해 지속 여부, 폭행의 유형, 흉기 사용, 발생 장소 등을 조사한 결과 피해자의 나이가 30대와 50대, 무직이거나 일용직 인 경우, 동거 관계인 경우, 목을 졸린 경우, 재발된 경우 손상의 중증 도가 높게 나타났다. 자영업이나 회사원 등의 경제 활동이 있는 경우 에는 낮게 나타난 것으로 볼 때 배우자로부터 경제적으로 독립하지 못한 경우 가정폭력에 더 취약한 것으로 생각된다. 그리고 가해자가 무직인 경우 중증도가 높은 것으로 보아 가정폭력의 원인으로 경제 적인 문제가 작용한 것으로 생각된다. 의료기관 내원 피해자의 경우 에는 피해 당시 둔기를 사용한 경우와 가해자가 술을 마신 경우, 내 원 시간이 02시에서 06시, 10시에서 18시, 노상이나 숙박업소에서 발 생한 경우 높게 나타났다.

일차 진료 시 특별한 원인이 없는 외상을 가진 여성인 경우에는 반 드시 가정폭력과 관련된 것인지를 판단하여야 한다. 환자의 즉각적 인 안전을 평가하는 것은 의사가 진료실에서 시행하여야 하는 가장 중요한 일로서 치료 계획 수립에 없어서는 안 될 단계이다. 즉각적인 환자의 안전 평가의 항목으로는 폭행의 유형, 외상의 유무, 위치, 중 증도, 폭행의 시기와 장소 등이 있다. 구체적으로는 피해자를 죽이겠 다고 위협을 하였거나, 무기를 사용하거나 목을 조른 적이 있는지, 이 전에도 가정폭력 때문에 입원한 적이 있는지 여부와 아동학대 및 성

(7)

Cheol-Woo Park, et al. Victimization Characteristics and Severity of Physical Injury by Domestic Violence

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

KJFP

적 학대가 동반되었는지가 평가에 도움이 되는 항목이다.25) 본 연구 에서처럼 가정폭력 피해자들의 신체 손상의 다발 및 부위와 중증도 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을 바탕으로 일차 진료 시 가정폭 력 피해 환자에게는 피해자와 가해자의 나이, 직업, 관계, 정신상태, 발생 및 내원 시간, 흉기 사용과 목 졸림 유무와 피해 장소를 확인하 여야 하겠고 외상을 입은 여성 환자들의 일차 진료 시에는 손상의 위치, 종류, 중증도, 내원 시간, 배우자 및 본인의 직업, 음주 여부를 확인 등의 자세한 병력 청취와 신체 진찰을 하도록 하여야 하겠다.

가정폭력 피해자는 대부분 신체 손상을 동반함으로 의료인이 초기 에 적극적으로 개입하여야 한다. 또한, 상담기관이나 경찰서를 통해 내원하는 경우 즉각적인 신체 손상의 의료적 지원을 받도록 통합적 인 시스템을 갖춰야 하겠고 의료기관을 내원하는 피해자의 경우는 피해사실을 숨기고 신체 손상의 진료만을 원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일차 진료 시 특징적인 신체 손상을 동반한 여성 환자의 경우에는 반드시 가정폭력에 관한 문진과 신체진찰을 통하여 가정폭력 피해 자를 조기에 발견하여 가정폭력의 재발을 방지해야 하겠다.

본 연구의 제한점으로는 대상 인원이 많지 않고 특정 지역에 위치 한 지원 센터와 의료기관을 방문한 가정폭력 피해자를 대상으로 한 것으로 전체 가정폭력 피해 특성을 대표하기에는 한계가 있으며 가 정폭력 범죄는 신고율이 낮아 본 연구 결과가 전체 가정폭력 피해의 특성을 반영하지 못할 수도 있다. 앞으로 성폭력 및 가정폭력 지원 기관인 해바라기센터와 지역별 24시간 응급의료시스템으로 피해자 들에 대한 지원이 확대되고 가정폭력 피해에 대한 연구의 토대가 마 련되어 전국 단위의 연구가 이루어질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요 약

연구배경:

가정폭력은 신체, 감정, 정신적 피해를 끼치는 범죄로 해 마다 늘고 있다. 이 연구는 가정폭력 피해의 기본 특성과 신체 손상 을 분석하여 일차 진료에서 여성 외상 환자들을 위한 문진과 신체검 사를 통해 가정폭력 피해자의 조기 검출과 초기 치료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방법:

본 연구는 2016년 1월 1일부터 2016년 12월 31일까지 대구의료 원 응급실 및 해바라기센터를 방문한 가정폭력 피해자 239명의 상 담 기록 일지와 의무 기록을 후향적으로 고찰하여 피해자의 기본 특 성을 파악하고 신체 손상의 종류, 부위, 중증도(NISS)를 파악하여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결과:

가정폭력 피해자 239명 중 191명(79.9%)이 신체 손상을 입었으 며 평균 신체 손상의 중증도는 2.93점으로 나타났다. 신체 손상의 종 류로는 타박상, 찰과상, 열창, 골절, 결막하출혈, 고막천공, 치아파절,

지주막하 출혈 순으로 나타났고 다발 부위는 주로 안면부, 상지, 두 경부 순으로 나타났다. 가정폭력 피해 이후 의료기관을 방문한 47명 의 피해자 중 45명(95.7%)이 신체 손상이 있었고 손상의 중증도는 5.40±4.15점으로 지원 기관이나 경찰서를 경유한 경우와 대비하여 신체 손상을 입은 경우가 많았으며 중증도도 높게 나타났다 (P<0.000).

결론:

가정폭력은 대부분 신체 손상을 동반함으로 초기부터 의료 인의 적극적인 개입이 필요하다. 또한, 여성 외상 환자들이 의료 기 관을 방문할 경우 의료인은 신속하고 정확한 신체검사와 문진 후 반 드시 가정폭력 피해 유무를 확인하고 환자의 안전을 확보하여 가정 폭력 피해를 최소화하여야 하겠다.

중심단어:

가정폭력; 신체 학대; 배우자 학대; 데이트 폭력

REFERENCES

1. Lachs MS, Pillemer KA. Elder abuse. N Engl J Med 2015; 373: 1947-56.

2. Walker LE. Battered woman syndrome: empirical findings. Ann N Y Acad Sci 2006; 1087: 142-57.

3. Cascardi M, O’Leary KD, Schlee KA. Co-occurrence and correlates of post- traumatic stress disorder and major depression in physically abused women.

J Fam Violence 1999; 14: 227-49.

4. Golding JM. Intimate partner violence as a risk factor for mental disorders:

a meta-analysis. J Fam Violence 1999; 14: 99-132.

5. Nelson KG. The innocent bystander: the child as unintended victim of do- mestic violence involving deadly weapons. Pediatrics 1984; 73: 251-2.

6. Groves BM, Zuckerman B, Marans S, Cohen DJ. Silent victims. Children who witness violence. JAMA 1993; 269: 262-4.

7. Wolfe DA, Korsch B. Witnessing domestic violence during childhood and adolescence: implication for pediatric practice. Pediatrics 1994; 94: 594-9.

8. McKibben L, De Vos E, Newberger EH. Victimization of mothers of abused children: a controlled study. Pediatrics 1989; 84: 531-5.

9. Penfold PS. Children of battered women. Int J Ment Health 1982; 11: 108- 14.

10. Reijnders UJ, van der Leden ME, de Bruin KH. Injuries due to domestic vio- lence against women: sites on the body, types of injury and the methods of infliction. Ned Tijdschr Geneeskd 2006; 150: 429-35.

11. Saddki N, Suhaimi AA, Daud R. Maxillofacial injuries associated with inti- mate partner violence in women. BMC Public Health 2010; 10: 268.

12. Sheridan DJ, Nash KR. Acute injury patterns of intimate partner violence victims. Trauma Violence Abuse 2007; 8: 281-9.

13. Chien WC, Lai CH, Pai L, Kao S, Chung CH, Chiu YL, et al. A retrospective population-based study of hospitalized injuries associated with intimate partner violence in Taiwan from 1997 through 2009. J Fam Violence 2013;

28: 587-94.

14. Caldas IM, Grams AC, Afonso A, Magalhães T. Oral injuries in victims in- volving intimate partner violence. Forensic Sci Int 2012; 221: 102-5.

15. Sommers MS, Brown KM, Buschur C, Everett JS, Fargo JD, Fisher BS, et al.

(8)

박철우 외. 가정폭력 피해 특성과 신체 손상의 중증도

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

KJFP

Injuries from intimate partner and sexual violence: Significance and classifi- cation systems. J Forensic Leg Med 2012; 19: 250-63.

16. Berrios DC, Grady D. Domestic violence. Risk factors and outcomes. West J Med 1991; 155: 133-5.

17. Biroscak BJ, Smith PK, Roznowski H, Tucker J, Carlson G. Intimate partner violence against women: findings from one state’s ED surveillance system. J Emerg Nurs 2006; 32: 12-6.

18. Fonseka S. A study of wife-beating in the Camberwell area. Br J Clin Pract 1974; 28: 400-2.

19. Petridou E, Browne A, Lichter E, Dedoukou X, Alexe D, Dessypris N. What distinguishes unintentional injuries from injuries due to intimate partner violence: a study in Greek ambulatory care settings. Inj Prev 2002; 8: 197- 201.

20. Muelleman RL, Lenaghan PA, Pakieser RA. Battered women: injury loca- tions and types. Ann Emerg Med 1996; 28: 486-92.

21. Amar AF, Gennaro S. Dating violence in college women: associated physical injury, healthcare usage, and mental health symptoms. Nurs Res 2005; 54:

235-42.

22. D’Onofrio G, Bernstein E, Bernstein J, Woolard RH, Brewer PA, Craig SA, et al. Patients with alcohol problems in the emergency department, part 1: im- proving detection. SAEM Substance Abuse Task Force. Society for Academ- ic Emergency Medicine. Acad Emerg Med 1998; 5: 1200-9.

23. Kyriacou DN, Anglin D, Taliaferro E, Stone S, Tubb T, Linden JA, et al. Risk factors for injury to women from domestic violence. N Engl J Med 1999;

341: 1892-8.

24. Ahn KO, Eo EK, Cheon YJ, Jung KY. Practical analysis of medical care of do- mestic violence victims in emergency department. J Korean Soc Emerg Med 2002; 13: 84-9.

25. Eisenstat SA, Bancroft L. Primary care domestic violence.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1999; 341: 886-92.

수치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s of 239 victims
Table 3. Attack time and arrived time interval from domestic assault to  the support center
Figure 1. Distribution of physical inju- inju-ries by domestic violence. The body  part is divided into six parts (head &amp;
Table 6. General characteristics as NISS

참조

관련 문서

After first field tests, we expect electric passenger drones or eVTOL aircraft (short for electric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to start providing commercial mobility

“Characteristics of Meteorological Variables in the Leeward Side associated with the Downslope Windstorm over the Yeongdong Region.” Journal of the Korean

1 John Owen, Justification by Faith Alone, in The Works of John Owen, ed. John Bolt, trans. Scott Clark, &#34;Do This and Live: Christ's Active Obedience as the

Women, health, and wellbeing(여성 건강 문제와 여성 복지). Finding voice: Feminist music therapy and research with women survivors of domestic violence.

This paper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Anchanghu's literature and the significance of literary history by intensively analyzing the Korean poetry,

H, 2011, Development of Cascade Refrigeration System Using R744 and R404A : Analysis on Performance Characteristic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gineering, Vol.

우리나라 인근의 중국이나 일본에서 규모가 큰 지진이 발생 하여 수많은 인명 피해는 물론 건물과 교량 붕괴, 산사태 등의 일차적인 피해 외에도 수도와 전기 고장, 화재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general characteristics, health characteristics, mental health characteristics, suicid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