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소아 상완골 외과 골절에 대한 임상적 고찰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소아 상완골 외과 골절에 대한 임상적 고찰"

Copied!
7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Vol.11, No.4, October, 1998

소아 상완골 외과 골절에 대한 임상적 고찰

서울위생병원 정형외과

김형석・홍기도・하성식・김범수

= Abstract =

A Clinical study of the Lateral Humeral Condyle Fractures in Children

Hyung-Seok Kim, M.D., Ki-Do Hong, M.D., Sung-Sik Ha, M.D. and Beom-Soo Kim, M.D.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Seoul Adventist Hospital, Seoul, Korea

Fracture of the lateral humeral condyle is a relatively common injury in children. It is an itraarticular fracture involving the growth plate so, the treatment should be done very carefully to reduce additional damage and complication. The authors analyzed 34 fractures of the lateral humeral condyle in children who were treated from Mar. 1993 to Feb. 1998, to know the releationship between the factors affecting the development of complications and the results.

The results were summerized as follows ;

1. There were 1 case (2.9 %) of Milch type I and 33 cases (97.1 %) of Milch ype II, and according to Jakob’stage , 9 cases (26.5 %) of stage I, 19 cases (55.9 %) of stage II, and 6 cases (17.6 %) of stage III.

2. They were treated with cast immobilization in 5 cases ( 14.7 % ), with closed reduction and percutaneous K-wire pinning in 8 cases (23.5 %), and with open reduction and K-wire fixation in 21 cases (61.8 %).

3. According to the criteria of Hardacre, the result of 5 cases of cast immobilization were excellent, 8 cases of closed reduction and percutaneous K-wire pinning were 3 excellent, 4 good, 1 poor, and 22 cases of open reduction and K-wire fixation were 19 excellent, 2 good, so there were 22 cases (64.7 %) excellent, 11 cases (32.4 %) good, and 1 case (2.9 %) poor.

4. The complications were 11 cases (32.4 %) of bony spur, 6 cases (17.6 %) of overgrowth of

※통신저자 : 김범수

서울시동대문구휘경2동 29-1 (130-092) 서울위생병원정형외과

Tel : 210-3477 Fax : 217-1897

(2)

서 론

소아의상완골 외과골절은소아주관절부손상중 과상부골절다음으로흔한골절로, 성장판을포함하 는 관절내 골절이다6 , 1 5 ). 소아기의 주관절 상당부분 이연골로구성되어있을뿐만아니라초기전위가없 던 골절도신전근의작용으로인한정복의상실이나 변형및부적절한치료방법등으로인한불유합, 지연 유합, 성장판의 조기유합, 주관절의 운동범위 제한, 무혈성 괴사, 내반 및 외반주 각형성과 같은 합병증 의 발생이 많은 골절이므로 치료시 골절의 안정성, 골절편의전위여부및전위 정도를정확히판단한후 정확한 해부학적 정복과 견고한 고정이 필요하다1 -

4 , 6 , 1 5 ). 골절형태와골절편의전위정도에 따라치료방

법이다를수있고 , 그에따라합병증도발생할수있 으므로 치료방법에있어서아직논란이많으며전위 의 정도가 미세한 경우 더욱 그러하다. 이에 저자들 은 1 9 9 3년 3월부터 1 9 9 8년 2월까지 서울위생병원 정 형외과에서치료한소아상완골외과골절환자총 4 3 명중 최단 1년이상 추시가 가능하였던 3 4명의 환자 에 대해 골절의 치료 방법과 합병증의 발생에 대해 임상적분석을하고그결과를문헌고찰과함께보고 하는바이다.

연구대상 및 방법

1. 연구대상

1 9 9 3년 3월부터 1 9 9 8년 2월까지서울위생병원정 형외과에상완골외과골절로내원하여도수정복이 나 관혈적정복으로치료받은환자총 4 3명중 최단 1 년이상 추시가 가능하였던 3 4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2. 연구방법

연령 및 성별 분포, 수상원인, 동반손상등을 알아 보고, 외과 골절의 형태 및 전위정도에 따라 M i l c h1 4 ) 분류법과 J a k o b등1 0 )의 s t a g e별 분류법에 따라 분류하 였으며, 도수정복및석고고정후추시관찰, 도수정복 후 경피적 K -강선 고정, 관혈적정복 및 K -강선 내고 정술로 치료후 운반각의 변화를 포함한 H a r d a c e r등9 ) 의판정법을기준으로치료결과및 합병증을 분석하 였다.

1. 연령및성별분포

연령분포는최소 2 5개월부터 1 3세까지로 평균 6 . 2 세였고, 5세에서 7세 사이가 1 4례 (41.2 %)로 가장많 았으며, 성별 분포는 총 3 4명의 환아중 남아 2 3명 (67.6 %), 여아 1 1명 (32.4 %)이었다(Table 1).

2. 골절원인

실족사고가1 8례 (52.9 %)로주된원인이었으며, 그 외추락사고 1 2례(35.3 %), 교통사고 3례 (8.8 %), 기타 1례 (2.9 %)의순이었다.

3. 골절의분류

1) 골절의형태에따른분류

M i l c h1 4 )분류법을이용하였고, 총 3 4례중 Milch type the lateral condylar or capitellum, 1 case (2.9 %) of premature epiphyseal fusion, and 2 cases (5.9 %) of pinning site infection.

Key Words : Humerus, Lateral condyle, Fracture , Children

Table 1.

Age and sex distribution

Age Male Female Total (%)

below 3 2 1 3 (8.8 %)

3-5 6 4 10 (29.4 %)

5-7 9 5 14 (41.2 %)

7-9 4 1 5 (14.7 %)

above 9 2 0 2 (5.9 %)

Total 23 (67.6 %) 11 (32.4 %) 34 (100 %)

(3)

I이 1례 (2.9 %), Milch type II가 3 3례 (97.1 %)로거의대 부분을Milch type II가차지하였다.

2) 골절편의전위정도에따른분류

J a k o b등1 0 )의 분류법을 이용하였으며, 총 3 4례중 stage I 이 9례 (26.5 %), stage II가 1 9례 (55.9 %), stage III 가 6례 (17.6 %)를차지하였다(Table 2).

4. 동반수상

총 3 4례중 2례에서 척골 주두 골절이 있었고 상완 골 외과 골절과 함께 척골 주두골절에 대해 관혈적 정복및내고정술을시행하였다 (Fig 1-A,B,C).

5. 치료방법

치료방법의선택은골절편의 전위정도와정복여 부에 따랐는데, 초기 방사선 사진 소견상 전위가 없 는 경우는 도수정복 및 석고고정후 약 3 - 5일 정도의 주기적추시관찰을하였으며, 중등도의 2-4mm 전위 가있는경우는도수정복후 경피적K -강선고정술을 시행하였으며, 정복이만족스럽지못한경우와전위 가 심한 경우나 회전을 일으킨 경우 관혈적 정복 및 내고정술을시행하였다. 본연구에서는 Jakob stage I 5 례에서 도수 정복후 석고붕대 고정만으로 치료하였 으며, 정복후 골절편의 전위가우려되는 Jakob stage I 의 4례와 Jakob stage II의 4례에서는도수정복후경피 적 K -강선고정술을이용하였다(Fig 2-A,B,C,D). 도수 정복이힘들었던 Jakob stage II의 1 5례와 Jakob stage III 의 6례에서는 관혈적 정복 및 내고정술을 시행하였 는데 전례에서 K o c h e r의 외측도달법을 이용하였으 며, 경우에따라 2 - 3개의 K -강선을 사용하였다( T a b l e 3). 총 3 4례중 Milch type I의경우는 1례였으며관혈적 정복 및 내고정술을 시행하였고 나머지 Milch type II

Table 2.

Type of fracture and degree of

displacemen

Jakob Total

I II III

Milch I 0 1 0 1 (2.9 %)

II 9 18 6 33 (97.1 %)

Total 9 19 6 34 (100 %)

Fig 1-A.

A 7-year-old male patient had lateral condylar fracture of left humerus associated with ipsilateral olecranon fracture.

Fig 1-

B.

Both fracture were operated with open reduction and internal fixation.

Fig 1-

C.

Union of both fracture site was achieved at 6 weeks after operation and the clinical result was good.

A

C

B

(4)

는 Jakob stage에 따라 치료하였다. 수상후 수일경과 후내원한 2례를제외한전례에서수상후 2일이내에 치료가시작되었으며, 술후석고붕대고정기간은약 4 내지 6주사이였다.

결 과

도수정복 및 석고붕대 고정술을 실시한 5례의 경 우술후 평균 7주에 골유합을 얻었으며, K-강선고정 술을실시한경우와관혈적정복을시행한경우최단 6주에서 최장 1 1주로 평균 8주에 골유합을 얻었다.

주관절의 운동범위회복은 1 2주이내회복되었다. 마 지막추시방사선사진상운반각의변화는 8°증가를 보인 1례를 제외한 3 3례에서 5°이내의 감소 혹은 증 가를보였다(Table 4). 주관절의굴신운동은정상측에

비해큰차이를보이지않았다.

H a r d a c r e의기준에의거한치료결과의판정은우수 2 2례 (64.7 %), 양호 1 0례 (29.4 %), 불량 2례 (5.9 %)였 다(Table 5). 치료방법에 따른 결과를 보면 도수정복 후석고붕대고정으로치료한5례는모두양호판정을 받았고, 도수정복후 경피적 K -강선 고정을 이용한 8 례중 우수 3례, 양호 4례, 불량 1례의 판정을 받았으 며, 관혈적 정복후 K -강선 고정을 한 2 1례중 우수1 9 례, 양호 2례의판정을받았다. 골절형태에따른결과 로 Jakob stage I에서우수 3례, 양호 6례, Jakob stage II에 서 우수 1 5례, 양호 3례, 불량 1례, Jakob stage III에서 우수3례, 양호 3례를받았으며, 불량판정을받은 1례 는 Milch type II, Jakob stage II로도수정복후 K -강선고 정술로 치료후 추시관찰 2년에 조기 성장판 유합이 발생했던경우였다.

Fig 2-A.

A 3-year-old male patient with Milch type II, Jakob stage I fracture.

Fig 2-B. Closed reduction and percutaneous pinning with 2 K-wire was done.

Fig

C,D.

In the 36 months follow-up radiograph, lateral condylar and capitellar overgrowth and bony spur was seen. The clinical result was good.

A

C D

B

(5)

합병증

합병증은 골극 형성 1 1례 (32.4 %), 외과골 혹은 소 두의 과성장 6례 (17.6 %), 성장판 의 조기 유합 1례 (2.9 %), 핀고정부위의 해리 및 핀 주위 감염 2례 ( 5 . 9

% )가 발생하였으나 불유합, 지연유합, 무혈성괴사, 척골신경 지연성마비등은발생하지않았다. 골극 형 성은 1 1례 모두 K -강선을이용하여고정했던경우였 으며, 주로외과골간단외측이나후방에발생하였으 나 이로인한 기능장애는 보이지 않았다. 외과골, 소 두의 과성장은 도수정복후 석고붕대고정으로 치료 한 Jakob stage I 2례와도수정복후경피적 K -강선고정 한 Jakob stage II 1례, 관혈적정복후 K -강선고정을한 3례중 Jakob stage II 1례와 Jakob stage III 2례에서발생 하였다. 전례에서경한내반각형성을보였으나운동 범위제한은보이지않았다. 성장판조기유합을보인 1례의 경우는 Jakob stage II로 도수정복후 K -강선 고 정을한후 2년추시방사선소견상에서관찰되었고, 운반각의 변화는 8°증가를 보였으나 이로인한 기능 장애는 보이지 않았다. 핀 고정부위의 해리 및 핀 주

위감염 2례의경우 적절한항생제의투여와핀제거 로치료되었다.

고 찰

소아의상완골외과골절은상완골과상부골절다 음으로 가장 많이 발생하며 R o c k w o o d등1 6 )은 상완골 원위골단 골절의 16.8 %, 골단판 손상중 54.2 %를 차 지한다고보고한바있다. 연령별분포는주로 6 - 1 0세 사이에발생한다고보고되고있고6,15,18), 본연구의 경우에도 5 - 7세사이가 1 4례 (41.2 %)로가장많은분 포를 보였다. 골절의 발생기전은 본 연구의 경우 주 관절신전상태로팔목을뒤로짚으면서넘어진경우 가 2 5례 (73.5 %)로 가장 많았다. 골절의 형태에대한 분류로 M i l c h1 4 )는골절선이 활차능의외측을 통과하 는 경우를 제 1형이라하여 소두 활차능이 보존되어 주관절의안정성이유지된다고 하였고, 골절선이활 차능을 통과하거나 그내측을 지나는 경우를 제 2형

Table 3.

Method of traetment

Method \ Jakob stage I II III No. of Patients (%)

Cast immobilization 5 5 (14.7 %)

Closed reduction and percutaneous

K- wire pinning 4 4 8 (23.5 %)

Open reduction

and K-wire fixation 15 6 21 (61.8 %)

Total 9 19 6 34 (100 %)

Table 4.

Change of carrying angle

Change of carrying angle No. of Patients

Below 5° 33

Above 5° 1

Total 34

Table 5.

The result by Hardacre Criteria

result Criteria No. of patients (%)

Excellent no loss of motion 22 (64.7 %)

no alteration in carrying angle asymptomatic

Good lacked no more than 15°of complete extension 11 (32.4 %) inconspicuous difference in carying angle

no arthritic or neurologic symptoms

Poor disabling loss of motion 1 (2.9 %)

conspicuous difference of carrying angle arthritic or neurologic symptoms nonunion or avascular necrosis

Total 34 (100%)

(6)

이라하여주관절의불안정성으로인해요골, 척골의 후외방 전위가 가능하다는 점에서 제 1형과 구별하 였다. Jakob등1 0 )은골절편의전위정도에따라 stage I, II, III로 분류하여 외측능의 연골경첩의 파손여부에 따라 stage I을 안정성 골절, stage II,III를 불안정성 골 절로분류하여치료방법에차이를두었는데, 본연구 에서는 Milch type 2형이 3 3례 (97.1 %), Jakob stage II가 1 9례 (55.9 %)로대부분을차지하였다. 외과골절의치 료방법에 대해 여러 의견이 있으며, 특히 경미한 전 위를 보이는 골절의 경우 학자들간의 논란이 많다.

M c L e a r i e와 M e r s o n1 3 )은 보존적치료방법으로우수한 치료성적을 얻었다고 보고한 바 있으나, Blount와 I r w i n6 ), Conner와 S m i t h7 ), Hardacre등90, McDonnel과 W i l s o n1 2 )등은 관혈적 정복 및 내고정술을 주장하였 고, 특히 B a d e l o n등5 )은방사선소견상 2mm 이내의미 세골절이라도관혈적정복및 내고정술의시행을주 장하였고, Fontanetta등8 )은 모든 상완골 외과 골절에 서불유합을방지하기위해반드시관혈적정복및내 고정술을 실시할 것을 주장하였으나 수술시 연부조 직의손상으로인한불유합과무혈성괴사의빈도도 높음을주장하였다. 저자들의경우 Jakob stage II, III의 2 1례에서관혈적정복및 K -강선을이용내고정하여 좋은 결과를 얻었다 . 술후 고 정 위 치 에 대해 Rockwood 등1 6 )은 굴곡 9 0°전완부 회내전 상태를 주 장하였으나, Tachdjian1 8 )은 주관절굴곡 9 0°전완부회 외전위치를주장하였고, 저자들의경우도이방법을 이용하였다. 치료결과의판정은 주관절의 운동범위, 운반각의 변화, 환자의자각증상과방사선학적소견 에 의한 H a r d a c r e등9 )의 판정법을 이용하였는데 우수 2 2례, 양호 1 1례, 불량 1례의성적을얻었다. 합병증으 로외과골단의과성장및골극의형성 , 불유합및지 연유합, 내반주및외반주변형 , 골단판의 조기유합, 외과의 무혈성 괴사, 지연성 척골신경 마비, 주관절 의 운동범위 제한등이 나타날 수 있다. 외과골의 과 성장이 가장 흔한 합병증으로 알려져 있으며 , W a d s w o r t h1 9 )는 28%, Rang1 7 )은 6 0 %의 발생율을 보고 한바있으며본연구에서는 6례 (17.6 %)가관찰되었 다. 이는골절후혈류량의증가나무리한연부조직의 박리가 그 원인으로 알려져 있으며6 , 1 9 ), 본 연구에서 발생한 6례의 경우 경한 내반변형을 보였지만 진성 내반 같은 변형은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 와과

골, 소두의 과성장과 골절의전위정도나치료방법과 의특별한상관관계는발견하지못하였다. 다만관혈 적정복후발생한 4례외에 폐쇄적 도수정복 및 경피 적 K -강선고정을 한 2례에서도 관찰된 점으로 보아 그원인이 무리한 연부조직의 박리외에도 K -강선에 의한자극도그 원인이 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골 극형성은M a y l a h n과 F a h e y1 1 )가 2 8 %의발생빈도를보 고한 바 있으며, 본연구에서는 1 1례 (32.4 %)에서 관 찰되어 가장 많은 합병증이었고, 이들 모두 K -강선 고정을시행한경우였다. Wadsworth1 9 )는과도한연부 조직의 박리나 원위골편의 관상면 회전으로 발생한 다고 하였고, 골극으로 인한 주관절의 외측 돌출로 가성내반이생길수있으나임상적으로큰의미는없 다고하였다. Jakob stage II로도수정복후경피적 K -강 선고정을실시한후추시관찰 2년방사선소견상성 장판의 조기유합이 1례에서 발견되었다. 운반각이 8°증가를보였으나이로 인한임상적문제점은발견 하지못하였으나향후 추시관찰이필요하리라생각 된다. 핀 주위감염이 2례에서 있었으나 항생제의 투 여와핀제거로후유증없이회복되었다.

요 약

1 9 9 3년 3월부터 1 9 9 8년 2월까지서울 위생병원 정 형외과에상완골외과골절로내원하여도수정복및 관혈적 정복으로 치료받은 환자중 최단 1년이상 추 시가가능하였던 3 4명의환자를대상으로다음과같 은결과를얻었다.

1. 골절형태는Milch type II가 3 3례로거의대다수를 차자하였으며, 전위정도는 Jakob stage II가 1 9례로 가 장많았다.

2. 치료방법은 5례에서 도수 정복후 석고붕대 고 정, 8례에서는도수정복후경피적 K -강선고정술, 21 례에서는관혈적정복및 K -강선을이용, 내고정술을 시행하였다.

3. Hardacre에의한결과판정상우수 2 2례 (64.7 %), 양 호 1 1례 (32.4 %), 불량 1례 (2.9 %)였다. 골절 형태별로 Jakob stage I에서우수 3례, 양호6례, Milch type I을포함 한 Jakob stage II에서 우수 1 5례, 양호 3례, 불량 1례, Jakob stage III에서우수 3례, 양호 3례였으며, 치료방법

(7)

별결과로도수정복후석고붕대고정으로치료한 5례 는모두양호판정을받았고, 도수정복후경피적 K -강 선고정을이용한 8례중우수 3례, 양호 4례, 불량 1례 의판정을받았으며, 관혈적정복후K -강선고정을한 2 1례중우수1 9례, 양호2례의판정을받았다.

4. 합병증은골극형성이 1 1례 (32.4 %)로가장많았 으며, 외과골 및 소두의 과성장이 6례 (17.6 %), 조기 성장판유합이1례 (2.9 %), 핀해리및핀주위감염이 2례 (5.9 %)있었다.

5. Jakob stage II, III에서는 정확한 해부학적 정복을 위해 관혈적 정복이 필요하겠으나Jakob stage I의 경 우무리한 연부조직의박리나 혈액순환의손상을피 하기위해서는도수정복을통한치료도좋은성적을 얻을 수있으며, K-강선 고정이 필요한 경우는 무리 한 반복조작을 피하고 smooth K-강선을 사용함으로 써합병증의발생을줄일수있을것으로사료된다 .

REFERENCES

1) 강충남, 김종오, 김동욱, 고영도, 고상훈, 황승현: 폐쇄적도수정복및경피적 핀고정술을이용한 소아상완골외과골절의치료 . 대한골절학회지, 10-1:218-225, 1997.1) Badelon O, Bensahel H, Mazda K and Vie P : Lateral humeral condylar fractures in children : A report of 47 cases. J Pediatr Orthop, 8:31-34, 1988.

2) 박상원, 한승엽, 변영수: 소아상완골외과골절 의임상적연구 . 대한정형외과학회지, 26:408- 411, 1991.

3) 유총일, 서정탁, 서근택, 김용진, 김휘택,박원욱: 소아상완골외과골절의임상적고찰 . 대한정형 와과학회지, 28:781-792, 1993.

4) 이석현, 임홍철, 신홍철, 채동주, 김경수: 소아상 완골외과골절의수술적치료 . 대한정형외과학 회지, 28:226-233, 1993.

5) Badelon O, Bensahel H, Mazda K and Vie P : Lateral humeral condylar fractures in children : A report of 47 cases. J Pediatr Orthop, 8:31-34, 1988.

6 ) Blount WP and Irwin Schulz : Fracture of the elbow in children. J A M A, 146:699-703, 1951.

7) Conner A, and Smith MGH : Displaced fractures of lateral humeral condyle in childen. J Bone Joint S u r g, 52:460-464, 1970.

8) Fontanetta P, MacKenzie DA and Rosman M : Missed, maluniting and malunited fractures of the lateral humeral condyle in children. J Trauma, 18:329-335, 1978.

9) Hardacre JA, Nahigian SH, Froimson AI and Brown JE : Fractures in childen. J Bone Joint Surg, 57B:430-436, 1975.

10) Jakob R, Fowles JV, Rang M and Kassab TM : Observation concerning fractures of the lateral humeral condyle in children. J Bone Joint Surg, 87:110-115, 1972.

11) Maylahn DJ and Fahey JJ : Fractures of the elbow in children. Review of 300 consecutive case. J A M A, 166:220-228, 1958.

12) McDonnell DP and Wilson JC : Fractures of the lower end of humerus in children. J Bone Joint Surg, 30:347-358, 1948.

13) McLearie M and Merson JC : Fractures of the elbow epiphysis of humerus in children. J Bone Joint Surg, 36:84-89, 1959.

14) Milch H : Fractures of the external humeral condyle.

J A M A, 160:641-646, 1956.

15) Ogden JA : Skeletal injury in the children.

Philadelphia, WB Saunders Co.: 399-415, 1990.

16) Rockwood CA, Wilkins KE and Beaty JH : Fractures in children. 4th ed. Phiadelphia Lippincott Co.:752-776, 1996.

17) Rang M : C h i l d r e n’s fractures. 2nd ed. Phiadelphia, Lippincott Co: 173-179, 1982.

18) Tachdjian MO : Pediatric orthopedics. 2nd ed.

Phiadelphia Saunders Co.:3108-3119, 1990.

19) Wadsworth TG : Injuries of the capitellar epiphysis. Clin Orthop, 85:127-142, 1972.

수치

Table 1.  Age and sex distribution
Fig 1- B. Both fracture were operated with open reduction and internal fixation.
Fig 2-A. A 3-year-old male patient with Milch type II, Jakob stage I fracture.
Table 5.  The result by Hardacre Criteria

참조

관련 문서

건강은 각 기관의 개별적 문제가 아니라 조화와 협응의 문제 -양생법:변화무쌍한 자연의 조화에 순응하고 자연의 이치에..

조직의 활동이 현재의 환경적 조건과 양립할 수 있도록 조직의 일부 또는 전체를 변화시키는 것으로 환경변화에 대한 조직의 기술적 핵심을 보호하기 위한 것..

한동대 교수,변호사/법학박사 한동대 통일과 평화연구소 부소장.. 국유재산 사유화의 중요성 II. 통일의 방식과 국유재산 사유화.. 통일의

신이 보내는 신하인 고달에게 건위장군 광양 1) 태수 겸 장사직을 수 행하게 하였고 , 신하인 양무에게 건위장군 조선태수 겸 사마직을 수행하게 하였고 ,

Seven patients underwent H. pyroli eradication therapy. Three patients showed complete response, but four patients failed... Conclusion

Pennel 등 36) 은 비구 골절의 임상적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는 골절양상,체중 부하 부위의 손상 정도,치유시의 전위 정도,골반환의 동반 손상 여부,환자의 나

[r]

Networking in Innovative High-Technology Regions," ESRC Centre for Business Research, University of Cambridge, Work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