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生成音題論에 의 한 現代獨遭語 Umlaut 연쿠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生成音題論에 의 한 現代獨遭語 Umlaut 연쿠 "

Copied!
34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生成音題論에 의 한 現代獨遭語 Umlaut 연쿠

申 球- 松·吳 禮

.:E

I

本 論文의 짧究目的은 현대독일어(New High German)에 나타나는 Umlaut現象의 歷史的 인 변천과정을 生成륨꿇論으로 說明해 보려는 데 있다.

本 論文에서 다루고자 하는 현대독일어의 Umlaut現象은 약 7501건경인 Old High German (OHG)時代에 最初로 나타난 現象이 므로 King1이 提示하고 있는 言語변화類型中 ‘규칙 첨 가

(rule addition) ’에 속하게 된다. 그러묘로 本論에 들어가기에 앞서 King이 提示하고 있는 찰 알려진 言語변화類型을 다음과 같이 간단히 考察해 보고자 한다.

@ 규칙 첩 카 (rule addition)

言語變化의 가장 一般的인 類型으로서, (1)과 같은 OHG의 Umlaut규칙올 규칙첨가의 例 로 들 수 있다.

,려

m 얘 애 매

L

m 뺑 싫

--il--η--

/ 4

h

1k

·땅 £

」 」 --키

|

-----「

V

빼 빼 繼

+ -+

U

/、

W 에서 자세히 다루겠지만 현대독일어에 나타나근 Umlaut現훌은 OHG 以前인 Germanic

(Ger.)에서는 나타나지 않았다. 171J를 들어 Finnish에서 볼 수 있는 patja ‘mattress’는 Early Germanic (EG) 에서 빌려온 외래어이지만 petja2로 Umlaut되지 않았다. 그러므로 Ger. 文 法에 는 (1)의 規則이 있 었 다고 볼 수 없 다. 그러 나 gast : gesti의 alternation을 OHG의 or- thography에서 올 수 있으므로, OHG文法에 (1)의 Umlaut規則이 첨가되었다고 볼 수 있다.

King(1969 : 40) 은 규칙첨가에 對한 例로서 (2) 를 들고 있다.

1-- consonantal -1 (2)

v

• [-backJ/ -C11 +~ig~

1_-back -'

그러나 현대독일어 Umlaut 現象의 歷史的 변천과정을 볼 때, 먼저 750년경에 規則 (1) 이 일어났고, 그 후 1, 000년경에 좀 더 一般化된(general) 規則(2)가 일어났£묘로 規則(1) 에서 規則(2)로 좀더 一般化되게 변천되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King이 규칙첨가의 例 로 들고 있는 規則(2) 는 규칙 첨 가의 例가 아니 라, 오히 려 ‘규칙 단순화(rule simplication)’ 의 例가 될 수 있 다고 본다.

1 King 1969: 39~63. 171--175 참조.

2 King은 petja이외에 pätja의 例주고 있으나 規則(1)이 첨가된 750년경에는 petja만 타나고 칙(1 4)에 의거 1, 000년경에야 비로소 pätja 가 나타나게 된다.

1

(2)

2 語學맑究 第 13卷 第1 號

@ 규칙 상실 (rule loss)

규칙상실이란 言語變化過程中 한 時代에 있었던 규칙이 다음 時代로 내려오면서 상실된 다는 것을 意味하며 이의 結實로서 재어휘화 (relexicalization) 가 되기도 한다. 규칙상실에 對한 例로서는 Ger.방언에서 찾아볼 수 있는 (3)의 Verner法則을 든다. Verner法則의 結果 란, 前홉節 (preceding syllable) 에 Indo-E uropean의 stress가 있을 경 우 Ger. 무성 마찰음 (Ger­

manic voiceless spirant) 은 우성 마찰음으로 남아있고, 前홉節에 Indo-Eú.ropean의 stress가 없을 경우, Ger. 우성마찰음은 유성마찰음이 된다는 것을 意味한다 Verner의 法則(規則 (3) 參照)과 이 에 對한 例 ((4) 參照)를 보자.

I-+obstruent -1 r , ___ ' __

,

r+voice -1

(3) L +~~~ti~~~~LI→ [ + voice]

/1_":'

~~~~~tedJ-[ + voiceJ Inf. Past Sg. Past Pl. Past Part. Gloss (4) OHG ziõhan3 zõh zugun gizogan

to pull'

그러나 Ge r.방언에서는 Indo-European의 액센트(動詞어간의 모음들 中에 重賣한 모음에 액 센트를 주는 것)가 어간의 어느 모음에 있는지 알 수 없기 때문에 Kìng은 Ger.방언들의 文法에 (5) 의 morphological rulé을 주고 있다.

1- + obstruent -1 1- -1

(5) 1 • [+voice]/I +Past Plural 1+

1_+continuenU L+Past ParticipleJ

즉 動詞의 과거복수나 과거분사에서 形態素境界 (morpheme boundary) 앞에 오는 무성마찰 음은 유성마찰음이 된다. 그러므로 Indo-European의 액센트 위치에 따라 適用되는 (3) 의 Verner法則은 Ger. 방언들의 共時文法에 서 볼 때 규칙 상실의 例가 된 다.

@ 규칙 재 배 열 (rule reordering)

규칙재배 열의 例로서는 Low German (LG)에 나타났었던 (6) 의 Final Devoicing規則과 (7) 의 V owel Lengthening規則을 든다.

(6) [+obstruent] • [ -voice] / -

:If

1- + obstruenn (7) V• [+long]/-L+voi e

|

(6) 과 (7)에 對한 15. 16세기경의 derivation (8a) 와 현대독일어의 derivation (8b) 를 보자.

(8) a. 基底表示 /graz/ /graz<1s/

(6) gras

(7) gra:z<1s

홉聲形顧 [gras] [gra:z<1s]

b. 基底表示 /graz/ /graz<1s/

a King (1969:48) 은 OHG의 동사 lnf. ziohan 어 간에 lndo-European의 stress가 없 는 것 을 필 자는 misprint로 간주한다. 왜 냐하연 前音節에 lndo-European의 stress가 있을 경 우 Ger. 무성 마찰음은 우성 마찰음으로 남아 있기 때 문이 다.

本 論文에서는 규칙 (4) 를 척용하고 난 후에 필수적으로 척용되어야 하는 規則, 즉 Ger.우성마찰융 S로부터 유도되 는 유성 마찰음이 폐 쇄 음으로 되 는 규칙 은 생 략한다.

(3)

現代獨進語 Umlaut 3

(7) gra: z gra:z;}s

(6) gra:s

音聲形態 [gra:s] [gra:z;}s]

規則(6) 은 약 1, 000년경 에 規則(7)은 약 1, 400년경 에 LG文法에 첨 가되 었다 이 렇게 規則 이 실제로 文法에 첩가된 年代順 (chronological order) 과 일치하게 規則을 적용하면 LG에 맞는 륨聲形態 (phonetic form) 가 유도되 나 이 와는 달리 nonchronological order로서 규칙 (7) 을 適用한 다음 규칙 (6) 을 適用하면 현대독일어에 맞는 흡聲形態가 유도된다. (83) 와 (8b) 의 derivation을 관찰해 보면 Kiparsky(l968 : 196-20{)) 가 말하고 있는 feeding

,

bleeding 및 fuIIest utilization의 擺念을 찾아낼 수 있다. (8a) 에서는 規則(6) 이 適用됨으로써 規則 (7) 이 適用되 지 않았으며 (bleeding order), (8b)에서 는 規則(7)이 適用됨흐로써 規則 (6) 이 適 用되 었으므로 (feeding order), 言語變化란 Kiparsky의 主張대 로 bleeding order에 서 feeding order로 일어나며, 또한 (8a) 에서 規則(6) 과 規則(7) 은 각각 한 번씩, (8b)에서 規則 (6) 은

한 번, 規則 (7) 은 두 번 適用되 어 모두 (8a) 는 두 번, (8b) 는 세 번 적 용되 었으므로 言語 變化는 fuIIest utilization_으로 흐르게 된다. 또한 (8a) 에서의 變異形態素 (aIIomorphicvaria- tion) 는 lengthening과 voicing value로서 의 두 개 (marked order) (8b) 에 서 의 變異形態素는 voicing value로서 의 한 개 (unmarked order) 이 므로, 이 것 역 시 Kiparsky의 主張과 같이 言 語變化는 marked order에서 unmarked order로 變化한다고 할 수 있다. 이 렇게 (8a) 와 (8b) 에서는 같은 規則들을 가진 한言語라고 하더라도 言語變化過程에서 규칙재배열이 됨으로써 bleeding order에 서 feeding order로, marked order에 서 unmarked order로 變化한다는 事寶 을 볼 수 있다.

@ 규칙 간펀화 (rule simplification)

言語는 單純한 方向으로 變化한다는 마지막 言語變化의 類型£로서 독일어의 Final De- voicing 規則의 例를 든다.

(6) [+obstruent] • [ -voice]/-#

r

+obstruent l

(9)

|

+ continuent

l

• [ -voice]/-#

規則 (6) 은 대 부분의 독일 어 방언文法에 서 볼 수 있는 規則으로서 모든 障펌홉( obstruent) 을 語末에서 무성음으로, 그리고 一部 방언文法에서 볼 수 있는 規則 (9) 는 摩操홉 (fricative) 을 語末에서 무성음흐로 되게 한다 feature counting을 해 볼 때, 規則 (6) 은 3이고, 規則 (9) 는 4이기 때문에, 規則(6)이 더 單純하며, 또한 規則(6) 은 自然部類 (natural class) 얀 開

銷홉 (stop) 및 摩操홉에 適用되나 規則(9) 는 自然部類인 摩據홉에만 適用되기 때문에, 規

則 (6) 을 더 -般化된 規則으로 볼 수 있다.

以上에서 King이 提示하고 있는 言語變化類型을 @규칙첨가,@규칙상실,@규칙재배열

@규칙단순화의 類型으로 나누어 簡單히 考察해 보았다.

11

어린아이들의 言語習得過程으로서도 결코 偶然한 변화가 아니라고하는 事寶을 立證해 줄

ε 規則첨가의 說明은 King 1961: 51參照、.

(4)

음홈學I규究 第 13卷 第1 號

수 있는 1 G)@@@의 言語變化類型中 규칙첨가에 속하는 현대독일어 Umlaut 현상의 歷史 的인 변천과정을 生成흡-꿇論으로 접근하기 전에, Umlaut 現象說明을 寫한 前提條件 o 로서 현대독일어 lexical item의 基底表示 (underlying representation) 에 나타나는 母홉體系 (vowel system) 를 設定해 보고자 한다.

먼저 (10) 과 같이 獨速語의 發達史를 區分6하고 時代었IJ orthography에 나타나는 모음들 을 列學7(lla

, b ,

c

,

d 參照、)하여 이 에 對한 歷史的 변천과정 (lla'

, b' ,

c'

,

d' 參照)과 音價를 規定 (lla끼 b끼c", d" 參照)해 보자.

4

(10) Indo-European 해 체 기 : B.C.3

,

nOOrv B.C.2

,

000 First or Germanic sound shift : B.C.2

,

000rvB.C.500 Germanic: B.C.500rv5C

Second or Old High German sound shift : 5Crv7C OId High German : 7Crv 1

,

050

Middle High German: 1

,

050 rv 1

,

350 Early New High German : 1, 350rvl, 650

현대 독일 어 (New High German) : 1

,

650 rv (11) a. Germanic orthography 에 나타나는 모옴들8

U U

a o

e a e

||l

au el al 01

U

V ” 8μ

U

엄V

<a

歷史的 변천과정

u|||

u l--- e1Il--

’’

-e Indo-European : 햄。

(11) a'. (10a) 의

au

(lla)에 列學한 Ger. orthography에 나타나는 모음들의 홉價를 規定해 볼때 問題가 되 는것 은 ε, ë

,

Õ의 홉價問題이 다. Ger.의 orthography와는 달리 Ger. ë는 [6J9로, ë는 [6:J 10로 6는 [J:J 11로 發륨되 었기 때문에, (11) (a)는 (11) (a") 로 흡價를 規定해 줄 수 있다.

al Germanic: U

(11) a". Germanic의 音聲體系(phone system)

6 Schmidt 1969: Tafe! 2참조.

7 앞 끌 참조.

8 本 論文에 서 는 Ger. OHG. MHG 의 orthography에 나타나는 장모음의 표기 를 A로 통일 하였음.

9 Mitzka 1961: 32 참조,

10 앞 글. p. 25. 창조. H 앞 글. p. 34참조

(5)

5

round

u: U 現代獨進語 Umlaut

:J:

나타나는 모음들

(11) b. Old High German orthography 에

U U

o e o

e

a e a

eu

깨u

eo 1U

10

le stress를 받는 Ger. 단모음 a는 後續音節 (following syllable)에 나타나는 OHG i,î,j 앞에서 OHG !;(이에 對한 音價는 [eJ 12 임)로 되었£며, Ger. 단모옴 U는 OHG a ,e, o, â,ê, ô앞에서 OHG o(이에 對한 륨價는 [oJ 엄)로 되었으며, OHG ë( 이에 對한 흡價는 [5J13 임)는 한현£

로는 Ger. ë(이에 對한 홉價는 [5J 임)로부터, 또 한펀£로는 OHG의 a,e,o,â,ê,ô 앞에 있는 Ger.로 부터 由來하였다. 첫벤째의 경우가 ICD에서 규칙첨가의 例로 든規則(1)로서 750 년경 에 일 어 난 Primärumlaut14 라고도 하며

,

두 번째

,

세 번째 의 경 우를 Brechungl5(規則 (12) 規則(13) 參照)이 라고도 한다.

m

없 V 얹 νr 뼈

u

·|l 쉰 쉰 .μ 니 μμ M 찌μ Aμn

u

a/

/

alμνahμa 鋼

h

m

·G

E

H

뼈 뻐 ·μ V

‘。

(ll) b'. (Ub)의 歷史的 변천과정

al au Germanic: U

ou el

|-

-

+§잃

l

「 -back-l /-q 1--

+high

|

_ + stress-' 1_ - high_1 1_ - back

12 Ehrismann 1968: 21 참조.

13 Mitzka 1961: 26 참조.

14 Schmidt 1969: 169 창조.

15 앞 글, p. 168 창조.

16 本 論文에서는 規則(1)의 환경中 C1에 對한 제약은 생략한다. 즉 ft, ht, hs, consonant+w, ‘III

zweivorhergehende Silbe, d. h. wenn i oder j in der übernächsten Silbe standen’ (Ehrismann 1968: 22, Schmidt 1969: 70)

(6)

6 語學ìiff究 第13卷 第1 號

기|」

1h

빼 v

i l

””

l

1l

///

llll]

w 1n

]

·땅

h

L1

f

l

」| --메셔

Vνm

밟 - +

*」 폐

/ l\

+ ] 」 찌

1n

lll|

0a --

v

1m

Jμ-V 」→

-「니L L

「 」) 이뺑

m

1

L

애 애

-l

-F

1----|l LA1n

LALu

$.땅 £.땅

VKh

V’없h

+ +

-+

- m ---

/1/l

그러므로 (l1b) 는 (llb") 로’홉價를 規定지을 수 있다.

(11) b". Old High German의 홉聲體系

front back

e

u: u

unround round round

사뺀

”띠

W

h m rm

1:

e: 0: o

e

(11) c. Middle High German의 orthography에 나타나는 모옴들

lU U u U

e ·

p

ν æ 0 o 0

e e

æ a a a

(11) c'. (l1c) 의 歷史的 변천과정

뻐파

LV

I 니내

-1시

μ 뻐

” 8νy mA 끼

M

6A

끼” α M 씨 μ ‘ %ν ‘ 8 끼川‘없

u||uA

A

””뻐

jn

[

””’ “

@

.R 니””힌

M

애쉰

” u

”””“

n

뼈 WVa|8h 께빽

m

G

h

.

쩨 빼 뼈

G O

N

Indo-European :

eu

ou

K

10

Je

le IU (l1c)에 列塵된 Middle High German의 orthography에 나타나는 모옴들의 륨價를 規定 해 보자.

Ger. 단모옴 a에 限해 서 만 Umlaut되 었 던 OHG의 Umlaut現象은 좀 더 一般化되 게 stress를 받는 OHG의 後좀母흡 (back vowel) 들이 모두 後續홉節 혹은 그 후속옴절을 따르는 옴절에 나타나는 i , î , j때문에 前흡化(fronting) 되었다. 이를 1 , 000 년경에 일어난 Sekundärumla u t 17

17 이제까지 使用되어온 Sekundärumlaut라함은 stress를 받는 Ger.단모음 a가 i , î , j앞에서 e로 되는 現 짧 (Primärumlaut) 과 stress를 받는 OHG의 단모음 a 가 i,î,j 앞에서 a 로 되는 現象을 구분해 주는데 지

(7)

現代獨進語 Umlaut 7

라고도 히-며 規則드로 表示하면 (14) 와 같다.

V 1-- consonantah

(14)

I

[-backJ/-C1(VC1)1 -back

1-+ stressJ L + high J

(단 規則(14) 에는 단모음의 counterparts인 장모음도 포함된다. )

規則(14)는 규칙첨기-의 例로서 King이 들고 있는 例(規則(2) 參照)를 修正補完한 것이다.

현대독일어 Umlaut現象의 歷史的인 변천과정을 考察해 볼 때 stress를 받는 後눔母홉들이

前륨化하였으므로 King이 規則훈加의 例로 들고 있는 規則 (2)의 V는

[

+~ress] 로 되 어 야

1-- consonanta

I-J

1-- consonantal기

하며 또한 規則 (14)의 환경 c11 +high 은 C1(vc1)1 +high 드로 修正되 어 야

1_ -

back J

1 _ -

back 한다고 본다. 이 에 對한 資料로서 (15) 를 提示한다.

(15) Old High German fravali

Middle High German 현대독일어

frävel Frevel

magadi mägede Mägde

trahani trähene Träne

tagalîh tägelîch täglich

vaterlîch väter1îch väterlich

zahari zähere Zähre

다시 MHG의 orthography에 나타나는 모옴들의 홈價를 規定해보자. MHGiu ,æ, æ는 디,ö , ä 의 장모옴으로 orthography를 하였 다 할지 라도 그들의 즙價는 [ü:J, [<j>:J, [æ:J 이 며 , MHG e는 MHG의 Vowel Reduction現象에 의 해 [aJ 가 된 다.

그러으로 (llc) 는 (llc") 와 같이 音價를 規定지워줄 수 있다.

(ll) c". Middle High German의 홉聲體系

round

u: u

0: 0

여기서 잠시 Herr1itz의 독일어時代區分 및 이에 따른 ‘품領體系 (phoneme system) ’設定 問題, 그리고 이중모옴 (diphthong) 問題를 言及해 보고자 한다.

나지 않았던 용어 로서 사용되 어 왔다. (Sch)1lidt 1969:170-171) 그러 나 本論文에 서 는 stress를 받는 Ger.

단모음 a가 i,î,j 앞에서 e로 변하는 현상 (Primärumlaut) 과 stress'를 받는 OHG의 後눔母音들이 i,î,j 서 모두 Umlaut되는 現象을 區分해 주는 意、味로 않用하고 있다.

또한 이러한 意味로서의 Sekundärumlaut는 비록 대략 1, 000년경에 일어났다 하더라도 MHG에 와서 完全히 完了되었으므로 論文에서는 Sekundärumlaut에 의해서 나타나ö, ä, iu, oe, æ들을 MHG

의 orthography에 넣어 音價를 規定하였다.

(8)

8 語學맑究 第13卷 1

첫째, HerrlitzlB는 各 時代마다의 orthography에 나타나는 모옴들을 모두 各各 그 時代의

‘흡題 (phoneme) ’으로 간주하고 있다. 그러나 各 時代마다 相異한 歷史的 변천을 겪은 現 代獨速語를 生成륨흉물論&로 접근할 때, 各 時代마다의 모옴들을 그 時代의 하나의 흡홉월드 로 각각 對應시킨다고 하는 것은 生成흡題論의 技術方法論에 不適當하다고 본다. 現代獨速 語의 母흡體系에 關해서는 m 에서 자세히 言及하기로 한다.

물해, Herrlitz는 (10) 과는 달리 時代區分을 하고 있다. 즉 하나의 륨題에서 두개의 홉꿇 으로 분리 (Spaltung) 될 때 , 그의 中間段階인 異즙 (aIIophone)의 形成時·期를 하나의 時代로 區分하고 있으나 이 는 不必要한 것흐로 본다. 왜 냐하면 例를 들어 Herrlitz가 말하고 있는 홉體體系를 보면 EG/u/는 OHG의 /u/나 /0/로 분리 되 었는데 그는 EG/u/로부터 OHG의

/u/ 나 /0/로 되 기 前段階이 u ; /~~~ [0]/

/

즈 하

.. ur--f-

나。l 흡題에 서 나온 두개 의 異흡段階를 Ger.드로

하나의 時代的인 區分을 하고 있다. 그러나 그 당시 orthography에서는 이를 찾아볼 수 없 기 때문에 이는 하나의 不必훌한 假定에 지나지 않는다고 볼 수 있다. 本 論文에서는 하나 의 모옴이 다른 모옴들로 변할 때, 그 변한 모옴들이 각각 하나의 모음으로 완전히 흡題化 한 段階만을 하나의 時代로 구분하였다. 그러므로 (10) 에서는 不必훨한 가정에 지나지 않는 異흡段階를 배제한,時代만을 나열하였다.

세 째 장모옴까지 도 그 장모옴이 나타나는 各 時代에 서 하나의 音題으로 간주한 Herrlitz 는 이 중모옴을 단모옴 두개 의 結合으로 보고서 EG 와 Ger.의 홉題體系에 서 는 하나의 흡題 으로 提示하지 않았지만, Early Old High German (EOHG), OHG, MHG, 현대독일어의 륨題體系에서는 이중모옴을 하나의 홉짧으로 提示하고 있다. 이는 HerrIitz 自身이 自家揮 훌에 빡지 고 있는 것으로 본다. 어 떼 한 理由로 해 서 HerrIitz가 어 떤 時代에 서 는 이 중모옴 올 하나의 륨體으로 提示했고, 또 어떤 時代에서는 이중모옴을 하나의 흡題드로 提示하지 않았든지간에, 이중모옴은 단모옴을 根據로 하는 이중모음 自體內의 現象으로서 아니면 文 服制約規則(context-senstive rule)으로서 취 급함이 타당하기 에 (ll) 에 서 는 이 중모옴을 나열 하지 않았다. 따라서 本 論文의 없究課題인 현대독일어의 Umlaut 現象에서도 이중모옴은 다루지 않는다.

Umlaut 현상이외에 독일어의 또 다른 모옴변천 現象인 중모옴화 (diphthongization) , 단모 옴화 (monophthongization) 現象은 다옴 기 회 에 취 급하기 로 한다.

111

n

에 서 Ger. OHG. MHG의 orthography 에 나타나는 모음들을 列짧하여 이 에 對한 歷史 的 변천과정과 時代7J1j 音價를 規定하여 보았다. 그렇다면 이를 根擬로한 현대독일어 lexical item의 基底表示에 나타나는 母홉體系를 어 떻 게 設定해 야 할 것인 가

?

우선 현대독일어에 나타나는 音聲19들과 이에 對應되는 資料들을 나열해 보지-

(6) [aJ : [hat<lJ ‘hatte’ [eJ : [e!fJ ‘e!f’

18 Herrlitz 1970 참조.

19 Wahrig 1971:235 비교 本 論文서는 외래어에 나타냐는 音聲들은 취급하지 않는다.

(9)

現代獨進語 Umlaut 9

[æJ : [hæt.:lJ ‘hätte’ [iJ : [istJ ‘ist’ [:>J : [z:>n.:lJ ‘Sonne’ [æJ : [gæt.:lrJ ‘Götter’ [uJ : [mut.:lrJ ‘Mutter’

[니J20 : [hürd.:lJ ‘Hürde’ [a:J : [ra:tdJ ‘rate’ [æ:J : [bæ:r.:lnJ ‘Bären’ [i:J : [mi:d.:lnJ ‘mieden’ [o:J : [zo:nJ ‘sohn’ [1>:J : [m1>:g.:lnJ ‘mögen’ [u:J : [du:J ‘du’

[디 :J : [m니 :d .:lJ ‘m 니 de ’ [e:J21 : [le:g.:lJ ‘lege’

[.:lJ : [al.:lJ ‘alle’ [aiJ : [aisJ ‘Eis’ [auJ : [frauJ ‘Frau' [:>y J : [h:>yt.:lJ ‘heute’ [UiJ22 :

필자는 (16)에 나열한 모음들을 生成音題論의 홉價規定 ((17) 參照)에 依據 分類하였다.

front

j

central

j

back round

I

unround

I

unround

j

round

23 (17)

high mid-high mid-low low

u Uu e

E

o

3 D

흡聲 [eJ 와 [E:J 가 나타나지 않는 현대독일어의 홉體論에 對한 Wahrig(1971 : 235) 購典 이 나 其他 音題論맑究24에 서 는 흡聲 [EJ 를 front mid-high vowel e 와 front low vowel ä에 對 한 단옴으로서의 흡價로, 흡聲 [E:J 를 low vowel ä에 對한 장옴으로서의 륨價로 規定하고 있 다((18) 參照、)

20 [니J=[yJ 로 간주한다(Hyman 1975: 240)

21 Wahrig (1 971:235) 는 音聲 [eJ提示하고 있지 않으냐 Vennemann(1968: 309) 은 [aJ: [eJ 의 al-

ternation으로서 Land: Länder를 들고 있다_ Land의 복수인 Länder의 歷史的인 변천과정을 찾아볼 것 같으연 OHG의 복수어미 i 때문에 [aJ 가 [eJ 로 (Primärumlaut)된 이후 MHG에서 현대독일어로내려온 과정 에 서 [eJ 가 [sJ 로 lowering되 었으리 라고 추측한다.

22 Warhrig(1971 : 235) 는 [uiJ 를 음성으로 提示하고 있으나 이에 對한 자료를 주고 있지 않으며 그 이외 여러 참고문헌에서도 찾아볼 없다.

23 Hyman 1975 : 240참조.

(10)

10 語學Iif究 第 13卷 第1 號

(18) 傳統的인 현대 독일어 音題論 연구

|

音聲

|

生成音짧論으로의 현대독일어 音

íífl 論연구

대독일어에 音聲 [e] 가 없음 [e] 현대독일어에 音聲 [e] 가 없음

front mid-Iow vowel [e] 에 對한 장 [e:] front mid-Iow vowel [e]에 對한

음으로서의 音價 음으로서의 音價

front mid-Iow vowel [e] 와 front low [E] front mid-Iow vowel [e] 에 對한

vowel [ä] 에 對한 단음으로서 의 音價 음으로서의 音價

front low vowel [ä] 에 대 한 단음으 [E:] 현대독일어에 音聲 [E:] 가 없음 로서의 音價

현대독일어에는 音聲 [æ] 가 없음 [æ] front low vowel [ä] 에 대 한 단음으 로서의 音價

현대독일어에는 音聲 [æ:] 가 없음 [æ:] front low vowel [äJ 에 대 한 장음 으로서의 홉價

그러으로 Wahrig解典이나 其他 륨題論 冊究는 -部 수정될 필요가 있다.

그러 므로 (16) 에 나열한 홉聲들은 辯別資質 (distinctivefeature)에 따라 (19) 와 같이 分類한다.

(19) 에 對한 歷史的인 변천과정은 (20) 을 參照바란다.

(19)

front unround round

high 1l I

mid

e

low æ: æ

(20) (19) 에 대한 歷史的 변천과정 25

back round

u: u

0:

3

U

참기

\-m

·m|||쳐

2

해||||밍

A

시이 꾀

l

//%|·m

· , R!

·R

|||k

짧 죄

I

“뻐

.미lI

1| !·m|| 때

l

뿌 mh 꽤 마뻔 때

「V

\\ 및/ %||ψ 창%의

T

I

.죄 거니m

F

·먹↓

V.

회카|-밍||||-악

---

m

;

-=

,야

-=

α “뻐 -“-이N

uu/

j

=

\\U1|| 페 없임에 ‘샤

L

u

파 Tuhplu-- 삐 고랩땐

illLU[---+f!I|!||!‘----!.밍 얘천↑

6/

=

\”뿌

|lA

파 點멘않

a|νyqLr

mhh

lm||A-u 서셈찌

=

E hnn

-

O

쇄때까

=)

\\\

---。

때마

〈밍l|

《el| ←따”” μ

%μ 川川펴 내뼈돼

-e----e

re---

ln r

”” %

L

8V ‘江 ahn 뻐 M 짧 편

Luhn 파 한와캔

ul--u4||uhnn

υ!lhh-N 따서 W

/

Lnhh 폐 맘 m 聊

1l!14

. ‘ 아미네끼 m 싸씨 -m 냉 h 뼈

e|||“e LNmyne--!|‘“eA내

ιν.e %이의

O/

‘@

e· ‘ nul ----e

l

>

/

\\‘

품매-짧 服씨탤웠

al에----,akr----aknlll|3lnnnυlli

e

i

b

jJ

메」 e

j

니 1 뼈 m 뺀 ε

’m 때

m

c

d4 뺀 m 폐 4 뺑때 따어-% w

L 「

fmE

G m . 이Hnu

MHG

혐이e-

(11)

現代獨進등홈 ÙmÌaut

1i

(ll) 과 (19) 를 根據로 하여 현대독일어 lexical item의 基底表示에 나타나는 母흡體系를 (21)과 같이 간주하고, 이 에 대 한 歷史的인 母音變遭과정 과 生成흡題論上에 서 의 쫓當性을 提示하기로 한다.

(21)

round

U

o

歷史的 변천과정 및 生成音題論上에서 보는 쫓當性을 提示하기 前에 (21)에서 (19) 를 짧 훨해 낼 수 있는 規則과 이의 適用順序를 (22) 외- (23) 과 같이 設定한다.

(22) (a) Vowel Lengthening 規則

V•[

+longJ/A

(b) Mid V owel Lowering規則26

! -

_-long_

-뼈 v - l

[ +lowJ

(c) Umlaut 規則

[+

않essJ

• [ -backJ/B

(d) Vowel Reduction 規則

-back V

ζ-| I I

|--high -| -low -high •

+b잃k I/C

_ -low _1 1_ - round_' (23) (b)• (c)• (a)• (d)

(22c) Umlant規則에 대해서는 W 에서 자세히 說明하기로 하며, (22a), (22c) , (22d) , (24a) , (26a) , (26b) , (28a) , (28b) 의 환경 A, B,C , D, E , F , G, H는 本 論文의 主훨目的이 아 니라 본 論文에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논문에서는 (21)의 현대독일어 모음체계에 서 부터 Ger.,

AHD

,

MHD

, 현대독일어의 음성들을 유도해 내기 위한 적용순서로서 외부 적 인 규칙 순 (extrinsic ordering) 의 규정 이 불가피 한 것 부로 본다.

(21) 에서 (19) 를 홉導해 낸 歷史的 根樓로서 첫째로 Ger.의 홉聲體系를 보자.

(ll) a". Germanic의 흡聲體系

round

U: u

;).

26 本 論文에서는 3개의 vowel height 를 갖는 (2 1)을 현대독일어의 모음체계로 設定하였으므로 (22b) 의 결과로서 나타나는 음성형태는 [eJ 로. (22c) 의 결과로서 나타나는 a에 대한 음성형태는 [æJ 로 본다.

(12)

語學맑究 第13卷 第l 號

비록 Mid Vowel들이 없지만, Ger.의 母륨體系를 (2 1)의 現代獨速 語母흡體系와 볼 경우, Ger. 의 文法에는 (24)의 規則과 (25) 의 適用)1명序가 있다고 본다.

12

Ger. 에는

同-하게

(24) a. Vowel Lengthening 規則

V•[ +longJ/D

b. Mid Vowel Lowering 規則

[

-~gh]

•[

十 lowJ

c. Back Low Vowel Lengthening 規則

| -

V -

+ low

l

• [ +longJ

+back

round_

(25) (b)• (a)• (c)

두번째 로 OHG의 홉聲體系를 보자.

U

o

round

u:

0:

(ll) b". OHG의 흡聲體系

front

Ger.에 없었던 Mid Vowel들이 나타나는 OHG의 홉聲體系도 현대독일어와 同-한 母륨體 系를 根據로 할 때, OHG의 文法에는 (26)의 規則과 (27)의 適用 )1圓序가 있다고 본다.

(26) a. Vowel Lengthening規則

V•[ +longJ/E

b. Front Mid Vowel Lowering 規則

l - v -

-high

l

•[ +lowJ/F

-back - long _ (27) (a) • (b)

(24) 와 (26) 을 比較해 볼 때 OHG에 와서 Ger.의 Vowel Lengthening 規則은 환경이 다른 形態로 나타났고, Mid Vowel Lowering 規則은 Front Mid Vowel에 限定되 었 다.

세 번째 로, MHG의 母홉體系를 보자.

(ll) c". Middle High German의 母륨體系

round unround

round unround

1:

e: e

e æ

U

o u:

0:

a a a:

이띠

W

νmm

æ:

(13)

現ft獨進語 Umlaut 13

MHG의 홉聲體系에 서 는 OHG의 홉聲體系와 달리 , Front Round Vowel들이 나타난다.

MHG의 母륨體系도 (21)의 현대독일어 母홉體系와 同一하게 볼 경우, MHG의 文法에는 (28) 의 規則과 (29)의 適用 }I恨序기 있 다고 본다.

(28) a. Vowel Lengthening 規則

V-• [ +longJ/G

b. Front Mid Vowel Lowering 規則

- V -

-back

- high

|• [

+lowJ/H _-long _

c. Umlaut 規則(n(14) 參照)

[ + stres

~ress]

• [-backJ/ -Cj(VC1

)1 I -

-back

-

consonantal-|

l_+high

J

d. Vowel Reduction 規則

-十back - [ -

-

stress

~ress] • | | - hi사1 lo응

1/1

_-round (29) (a)• (b)• (c)• (d)

(26) 과 (28) 을 比較해 볼 때 OHG의 V owel Lengthening規則과 Front Mid Vowel Lowering

規則은 MHG 에 서 는 환경 이 다른 形態로 나타났£며 , Umlaut規則과 Vowel Reduction規則 이 MHG에 漂加되었다고 볼 수 있다.

또한 (28)과 (22) 를 比較해 보자.

MHG의 V owel Lengthening規則은 현대독일어에 와서 환경이 다른 規則으로 나타났£며,

Front Mid V owel Lowering規則은 文服制約規則에 서 文服自由規則으로, 그리 고 좀더 一般 化된 Mid Vowel Lowering規則으로, Umlaut規則은 환경 이 다른 規則£로, stress를 받지

않는 모음이 모두 [aJ 로 되 는 MHG의 Vowel Reduction規則은 stress를 받지 않는 Front Mid

Vowel만이 [aJ 로 되는 規則으로 각각 變하였다. 그러므로 MHG에서 현대독일어로 내 려 올 때, 규칙첨가나 규칙상실이 되는 큰 변화는 없었으며 단순히 構造記述 (structuraldescrip-

tion) 이 나 構造變化(structural change)만이 변경 된 소규모의 變化를 겪 었다고 볼 수 있다. 이제까지 현대독일어 lexical item의 基底表示에 나타나는 母흡體系를 (21)과 같이 設定 하고 이를 根據로 하여 Ger., OHG, MHG,에서 使用되었던 홉聲들을 各 時代의 共時文法 에서 設定할 수 있는 一般化된 規則들에 依해 릎秀훨해 보았다.

그러나 (19)의 현대독일어 홉聲體系에서 (21)以外의 다른 母흡體系를 홉導해 낼 수 있지 않는가 하는 可能性 여부문제가 남게 된다.

世界의 많은 言語들은 다양한 母률體系를 갖고 있지만 여기서 생각해 보고자 하는 可能 性으로서는 -般化된 母홉體系, 즉 두 개의 Vowel height를 갖고 있는 (30a) 와 네 개의

Vowel height를 갖고 있는 (30b)의 명:音體系를 생 각해 보기 로 한다.

(14)

14 語學lVf究 第13卷 1

(30) a. i u h u -- u

a e 0

e :>

a

만약 (30a) 의 母音體系를 현대독일어의 母홉體系로 간주한다면 너무 抽象的인 記述方法 을 必要로 하게 될 것이고 (30b) 의 -eJ:音體系를 현대독일어의 母흡體系로 간주할 경우에는,

Ger., OHG, MHG에 나타나는 홉聲의 수 27와 비 교해 볼 때 , Cl 1a") 의 Ger. 홉聲 수보다는 세 개 가 더 많고, (l1b") 의 OHG 흡聲 수보다는 한 개 가 더 많고 (l1c")의 MHG 홉聲 수 보다는 두 개가 적게 된다. 이렇게 되면 母홉體系에서 設定하는 母홉의 數는 Ger. OHG의 홉聲體系에 나타나는 흡聲의 數보다 많게 된다. 그러므로 간단한 母흡體系와 좀 더 一般化 된 規則£로 한 나라의 言語를 구체적(concrete) 으로 記述해 주는 것이 natural하다고 보기 에 , 一般化 (generalization) 하고, pattern congruity上 對稱關係 (symmetry) 에 있고, 그리 고

‘markedness’(chomsky and Halle 1968:400-435) 에 依據 ‘less marked’한 (16) 을 현대 독일

어 lexical item의 基底表示에 나타나는 母홈體系로 設定한다고 하는 것은 歷史的인 변천上

으로나 生成홉題論上에서나 쫓當하다고 본다.

IV

m 에서 設定한 (2 1)의 母홉體系를 根爆로 하여 King 이 提示하고 있는 言語變化類型中 규 칙첨가에 속하는 독일어 Umlaut 現象에 對한 歷史的 변천과정을 考察하고 이를 生成흡題 論으로 설명해 보고자 한다.

Umlaut란 後續흡節의 [iJ 때문에 語幹에 있는 後폼母픔을이 前륨化되는 一種의 partial regressive assimilation 現象이 다.

먼저 현대독일어의 Umlaut現象에 對한 歷史的인 發生 및 변천과정을 살펴보자. 대 략 750 년 경 stress를 받는 Ger. 단모음 a 에 限해 서 만 일 어 났던 OHG의 Umlaut現象은 1,000 년 경 에는 좀 더 一般化되게 stress를 받는 모든 後줌母홉에서 일어나기 시작하였다.

L n

, m:에

서 言及한 바와 같이 前者를 Primärumlaut(規則(1) 參照), 後者를 Sekundärumlaut(規則 (1 4) 參照)라고 稱하기 도 한다. 이 에 對한 規則과 例는 (1), (14), (31), (32)이 다.

|-

y - |

-

back1 |-- consonantal-|

(1)

I

-:피w

I

| - high{ /- Cl| 낸gcF |

1-S1:reSS_1 mgn _1

(31) Germanic Old High German Middle High German 현대독일어

alja-lanti e리li-len따l“ti ellende Elend

fatila f~zzil V우zzel Fessel

markian m~rken m~rken merken

pankjan d~nken d'imken denken

wrankjan r~nken r~nken renken

27 모음은 countmg하지 않았다

(15)

現代獨速語 Umlaut 15

Early OId High German OId High German Middle High German 현대톡얼어

angl ~ngl ~nge eng

manmsco m~nmsco m~nsch(e) Mensch

[ V ] [ - consonantal-l

(14)

l

+s'tress [-backJ/- C1(VC1

)1

-þ~c~

+high

(32) OId High German Middle high German 현대독일어

fravali fräveI FreveI

magadi mägede Mägde

mahtîg mähtec mächtig

nahti nähte Nächte

tagalîh tägelîch täglich

trahani trähene Träne

vaterlîch väterlich väterlich

zahari zähere Zähre

dorfir dörfer Dörfer

hornir hörner Hörner

mohtî möhte möchte

dunni dünne dünn

kunni künne Geschlecht

kunsti künste Künste

kurzî kürze Kürze

lugi lüge Lüge

sunt1a sünde Sünde

tUgl tüge tauge

turi tür Tür

wurfil würfel Würfel

ZUgl zuge Zöge

gâbi gæbe gäbe

gibärida gebærde Gebärde

lâri lære leer

nami næme nähme

swan swære schwer

hôhî hoehe höhe

hôhir hoeher höher

hôhist hoehest höchst

hôrjan hoeren hören

skôni schöne schön

brûti briute Bräute

(16)

16 語學&다究 第 13卷 第1

fûli hûsir

fiule hiuser

Fäule Häuser Säure

sun SlUre

그러므로 현대독일어에 나타나는 多樣한 Umlaut의 現象은 (1)과 (14)의 歷史的인 변천을 겪고 나타난 것임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비록 (1)과 (14)의 歷史的인 변천을 겪고 나타난 현대독일어의 Umlaut 現象이라 할지라도 規則(1)과 (14)로서만 說明해 줄 수 없옴은 물론 이다. 왜냐하면 例를 들어, OHG에서 Umlaut시킬 수 있는要困인 복수어마 i는 MHG에서 는 [<!J 로 되었£며(規則 (33)과 例(34) 參照), OHG에서 Umlaut시킬 수 있는 또 다른 훨因 인 j는 Ger.에서 부터 없어지기 시작하여 OHG을 거쳐 MHG에 와서 완전히 剛除(deletion) 되 어 (規則 (35)와 例(36)參照), Ger. causative suffix, -jan은 OHG -an으로, 그리 고 MHG

en으로 되 었다. 그러므로 MHG의 文法에는 規則(33)인 VoweI Reduction規則 28과 規則(35) 인 j-DeIetion規則29 이 훈加된 것 임 을 알 수 있 다. VoweI Reduction規則은

m

에 서 及한

바 있는 規則 (2Sd)에 환경을 표시하여 (33)과 같이 다시 提示한다.

샤유 o

- p

-//

1h

?

1K

n

·땅 써 £

m

」‘ 」 애 매

l

케!

1

V

1111’’L

$

/Il

(34) Old High German Middle High German 현 대 독 일 어

hõhï höhë>höhe hohe

gestJ geste>geste Gäste

fridu frido>fride Friede

sibun sìbon>siben sieben

(35)

[ = 짧헬antal]→rþ/- [ - ~ress1

(36) Germanic Old High German Middle High German 대 독

pankjan dçnken dçnken denken

alja-lanti çlì-lçntì çllende Elend

walljan wçllan wçllen wellen

wrankjan rçnken rçnken renken

그러나 현대독일어의 Umlaut 가 되기까지에는 (33)의 VoweI Reduction規則과 (35)의 J- Deletion規則 等 많은 言語變化를 겪었기 때문에, 規則(33) 과 規則(35) 를 현대독일어의 文法 에서 볼 때, 規則 (33) 은 規則(22d) 로 변경되어 나타났3 며 規則(35) 는 상실된 것으로 볼 수 있다. 특히 規則 (35) 는 상실되었으므로 재어휘화가 되었다. 그러므로 規則 (33) 과 規則 (35) 는 현대독일어文法에 存在한다고 볼 수 없다.

따라서 規則(1)과 規則(1 4) 와 같은 phonological rule로서 만 說明해 줄 수 있었던 OHG

28 King 1969 : 98-99 비 교- 本 論文에 서 는 high vowel들[;)J 로 기 前단, mid vowel들로 는 단계는 제하지 않는다.

29 King 1969 : 95- 96 창조.

(17)

現代獨速語 Umlaut 17

(37) ·강변화 동사 직

설 법 의 conJuga- tion

,

현재 단수 2, 3 인칭

·강변화 동사의 -(+flex)--(+umlaut)-. - (-phon.R)

-1

c~:mju~c~ive, 접

속법 2식

• 명사의 복수형

• 형용사의 비교 급 및 최상급

morpheme-.-

(+umlaut)-

-chen -Iein -eI - er

l-

<- phon R>- l -I-ner ler

I-e

ge-stem(e) -ern - (+bound) -

( -flex) -

-1§h

-ling -(十phon. R)-I-~S댄

-lCnt - ( - bound)

-bar -h~‘ft -sal - ( -umlaut)-I-schaft

-lOS

-tum -unll

foreígn suffix

~m

-ms

<

+ bound) ; bound morpheme

< -

bound) ; unbound morpheme

<

+Hex) ; Hexional morpheme

< -

Hex) ; wordformational morpheme

<

+umlaut) ; umlaut를 킬 수 있는 morpheme

< -

umlaut) ; umlaut를 시 킬 수 없는 morpheme( (54)참조)

<

+ phon.R) ; phonological rule로 설명 있는 morpheme

(-phon.R) ; morphological rule로 설명 없는 morpheme foreign suffix ; ( - (i)ade -or

e

i - Lι 。‘

,‘ “‘“

행 체 폐 떼 영

-ar, -ar -at

- ler -a-ment -e-ment

abel -ibel -al -lere

-ik

- l On

-ose -tät

- l V

- os, -ös -ant, -ent

-eur

댐 뼈

(55) 참조

(18)

18 語學lÞ'f究 第13卷 第1 號

과 MHG의 Umlaut現象과는 다른 현대독일어의 Umlaut現象을 說明하기 f홉한 適切한 方法 을 모색 해 야 할 문제 가 남게 된 다. 즉, phonological rule로서 만 說明해 야 할 것 인 가, mor- phological rule로서 만 說明해 야 할 것 인 가, 아니 면 이 두가지 規則으로 모두 說明해 야 할 것 인가 하는 문제이다.

먼저 현대독일어에서 Umlaut를 일£킬 수 있는 훌因들을 (37)과 같이 分析해 본다.

즉 현대독일어의 Umlaut를 일으킬 수 있는 훌因들은 一種의 bound morpheme으로서 phonological rule로 說明해 줄 수 있는 morpheme들과 morphological rule로 說明해 줄 수 있는 morpheme들로 分類할 수 있 다.

그러므로 현대독일어의 Umlaut現象을 說明하기 위해서는 phonological rule과 morphologi- cal rule로 說明해 주는 것이 적절할 것이다.

(38) 의 資料들을 보자

(38) -ig

Bart : bärtig; Flucht : fìüchtig; gut : gütig; Form: förmig; Kraft: kräftig; Korn: körnig;

Macht : mächtig; Maß: mäßig; Not : nötig; Wasser: wässerig; Krumel: krümelig;

Gnade : gnädig; __ .

-lich

Angst : ängstlich; Arzt: ärztlich; Bruder: brüderlich; Gnade: gnädiglich; Jahr: jährlich;

Gott : göttlich; Jammer: jämmerlich; krank: kränklich; Natur : natürlich; offen : öffentlich Tod : tödlich; Vater: väterlich; Stunde: stündlich;.

- ling

ankommen : Anl

ömmling; dumm : Dümmling; Flucht: Flüchtling; Jammer: Jämmerling;

jung : Jüngling; Lust: Lüstling; schaden : Schädling; schwach : Schwächling;

sproß : Spröß!ing; zart : Zärtling; ...

-isch

Bube : bübisch; lappen: läppisch; Jude: jüdisch; murren: mürrisch; spotten: spöttisch; Storren: störrisch; Volk: völkisch; zanken: zänkisch; Schwaben: schwäbisch;

Franken : fränkisch; Tuck : tückisch; ...

- icht

hohl : Höhlicht; Rohr: Röhricht; Tanne: Tännicht; Tor : töricht;.

- t n

Affe : Aflin; Arzt : Arztin; Franke: Fränkin; Fuchs: Füchsin; Franzose: Französin;

Gott : Göttin; Graf: Grälin; Koch : Köchin; Rat : Rätin; Storch : Störchin; Wolf: Wδlfin;

-nzs

begraben : Begräbnis; Bund: Bündnis; gedacht : Gedächtnis; empfangen: Empfängnis;

~estanden : Gestän~nis; vef!oþen ; Verlöbnis; verh<\ngen : Verhängnis;

(19)

現代짧逢語 Umlaut 19

verstanden : Verständnis; gefangen : Gefängnis; ...

(38) 에 나열한 morpheme들은 wordformational morpheme으로서 i가 나타나는 특정 이 있

다를 Umlaut 시켜주는 要因으로 깐주하고 이를 phonological rule로 표시하연 (39) 와 같

다.

u 1-

V

-1

(39) I.J.. cVtrocc I • [-backJ/-C1 (VC1)

+

(C)I -back I

L -r-

., ...

‘"'''''J 1_

+

highJ

이 에 對한 예 외 로는 (40) 을 參照하기 바란다.

(40) -땅

Duft : duftig; Blume: blumig; Hunger : Hungrig; Trotz: trotzig; ...

-lich

Gast : gastlich; Gedanke: gedanklich; Nachbar : nachbarlich; Hand: handlich Sprache : sprachlich; J ugend : jugendlich; ...

-ling

roh : Rohling; ...

-isch

Jambus: jambisch; Magie: magisch; Titan: titanisch; Schule: schulisch Tyrann : tyrannisch; ...

-icht

Wurm : Wurmicht; ...

-1 π

Barbar : Barbarin; Doktor: Doktorin; Amerikaner: Amerikanerin; Gatte: Gattin Artist : Artistin; Nachbar: Nachbarin; ...

-η IS

bedrohen : Bedrohnis; besorgen : Besorgnis; ersparen: Ersparnis; wagen: Wagnis;

bewandt : Bewandtnis; ...

그러 나 (39)의 phonological rule로서 說明해 줄 수 없늘 資料들 ((46) 흉照)을 보기 前에

,

Vennemann(1968 : 308-375) 이 현대독일어 Umlaut현상설명을 위해 提示하고 있는 規則 (4 1)을 보자.

(41)

[+삶ess]

(V)Co (# C1)

[=않앓]

{ 김

•[ -backJ

(20)

20 語쩔~究 第 13卷 1

휠자는 Vennemann이 設定한 規則(4 1)이 현대독일어의 UmJaut現象을 說明해 주는데 適合 치 옷함을 다음과 같이 指橋한다.

첫 번째 , 모든 前몸母흡(front voweJ) 들 앞에 서 後폼母홉들은 모두 UmJaut될 수 있는가

?

이 에 對한 例로서 OJd EngJish의 UmJaut規則 30(42) 를 보자.

1--consonantaJ-1 (42) V• [a backJ/- C11 +high

I_a

back

J

즉 後續홉節에 j31 나 j가 오면 ij õ 효는 듭

ö

ä가 되고, 後續홉節에 i 나 w 가 오면 1 e a는 i ë a32가 된다. 다시 말해서 後줌母홉들은 後續 high voweJ과 半母흡 (semivoweJ) 의 frontness 에 同化될 뿐만 아니 라, 後續 high voweJ과 半母홉의 backness에 앞에 있는 前줌母홉들이 同化됨을 意味하고 있 다. 이 에 對한 例로서 는 (43) 를 參照바란다.

(43) brücan: brÿcþ(<brùciþ) ‘to need, he needs' clipian : cliopodél (<clipude) ‘call, he called' döm : dreman (<dömjan) ‘judgement, to judge' gold : gylden (<guldin) ‘gold, golden’

hæf (<haf) : heafu34 (<hafu) ‘sea, seas' geset : geseoto35 (<gesetu) ’dwelling’ hlãford : hlæfdige ‘master, mistress’

規則(42) 와 (14) 를 比較해 볼 때, 規則(42) 가 規則(14) 보다 더 -般化된 規則이긴 하지만,

規則(41)에서도 [ +highJ 라는 辯別資質에 中心을 두고 있는 것만은 事實이 다. 또다른 例로

서 paJa taJiza tion 36 (規則 (44), (45) 參照、)의 경 우를 보자.

r+backl r L .1',

r+pig~- I

(44) I T ~a'-" I • [- backJ/-1 - back I

L ~

1 _ V -'

r+backl r , L~L" r-backl (45) I T

ëa'-ft

I • [ +backJ / - I -

ÿ' '-''1

feature counting을 해 올 때 , 規則(44) 는 여 섯 , 規則 (45) 는 다젓 이 기 때 문에 規則 (45)가 規則(44)보다 더 單純하다. 그러 나 世界의 言語에 서 는 規則(45)보다 規則(44)의 現象이 더

많이 나타나므로 비록 feature counting上 規則(45) 가 더 單純하다고 하더라도 規則(44)가 더 一般化되고 딩然、的인 현상이라고 할 수 있다.

30 앞 을, pp. 61-62 창조.

31 Old English에 는 weak stress를 받는 장모음들이 없 다. 즉 모든 모음들은 stress를 받기 혜 문에 high

vowel 는 Umlaut를 일£킬 수 있는 훨因이 되 지 옷하고 high vowel 1 가 Umlaut를 일으킬 있는 훨 因이 된다. v: stress표시 장모음 표시 (King 1969 : 61).

32 多樣한 歷史的인 언어변화때문에 後續音節의 u때에 얼어나는 front long vowel들의 Umlaut倒는 나다나지 않는다 왜 냐하면 Pre-Qld English의 VCo u 나 VC2 U의 경 우에 서 U 는 삭제 되 었기 때 운이 다.

그러 므로 비 록 ï ,è , ã 가 나타난다 해 도 적 당한 환경 에 나타나지 않으으로 (42) 의 backing rule은 척 용되 지 않는다 (King 1969 : 61).

33 orthography io는 m 로 발음하였음 (King 1969 : 61).

il4 orthography ea 는 [a)로 발응하었음 (King 1969 : 61).

35 orthography eo는 [ëJ로 발음하였응 (King 1961 : 61). 86 Hyman 1975 : 159- 160 창조,

(21)

現代獨逢語 Umlaut 21

그러므로 Old English의 Umlaut 規則(39) 와 palatalization 規則 (44), (45) 에서 본 바와

같。] Umlaut를 일으킬 수 있는 要因은 갑 E짧] 라는 辦別資質을 가지는 흡聲的 分節 (seg­

ment)0] 어야 함이 一般化되고 自然的인 現象이라 할 수 있다.

두번째로 현대독일어의 Umlaut를 일으키는 훨因무로서 前굵半훨륨(tront glide) 의 역할

여부이다.

물론 OHG이 나 MHG에 서 j는 Umlaut를 일£키 는 要因£로서 &뿜U을 하였지 만, 規則(35) 에서 言及하였듯이, J는 8세커 37에서부터 없어지기 시작하면서 MI-!G에 와서 完全히 그 자 취를 보이지 않고 있기 때문에, 그 이후부터 현대독일어에 이르기까지 재어휘화가 된다고 볼 수 있다. 그러므로 현대독일어의 Umlaut를 일£키는 要因으로서 j는 삭제되어야 한다.

첫번째와 두벤째의 문제접을 고려해 볼 때, Vennemann이 提示하고 잇는 規則(41)의 構 1- V -1

造記述에 있어서 |=6g많 l 은 , -:- þ~c~ 1으로 修正되어야 할 것이다.

L - U<1""'J

1_ +

highJ

세번째로 規則(41)과 (39) 를 비교해 볼 때, 規則(4 1)의 構造記述中 (V)CO(#C

1

)(39)

와 다르기도 하다.

네번째로, Vennemann이 (4 1)과 같은 phonological rule로서만 현대독일어의 Umlaut현상 을 說明해 줄 수 있다고 한 것은 (46) 에 냐열된 bound morpheme들의 基底表示에 /i/가 나 타나는 것으로 간주하였기 때문이다.

결국 첫번째, 두번째, 세번째, 네번째로 나누어 陳述한 問題點들이 發生되는 根本的인 理 由는 實際的인 資料와는 동떨어지게 設定해 놓은 抽象的인 理論에만 치중해 가는 Venne- mann의 경향과 지나치게 추상적인 基底表示와 規則을 設定한 Vennemann의 誤짧에서부터 基因한다고 볼 수 있다. 그러묘로 本 論文에서는 抽훌的인 方法論보다는現代獨進語 Umlaut 現훌에 對한 寶際的인 資料에 서 부터 出發하는 具體的인 方法論을 택 하여 (39) 의 phonological rule을 設定하였다.

또한 이 와 같은 貝體的인 方法論을 根據로 하여 (39) 의 phonological rule로 說明해 줄 수 없는 資料들을 (46) 과 같이 나열해 보고 이를 說明해 줄 수 있는 morphologìcal rule을 設 定해 보고자 한다. (46) 을 보자.

(46) 강변화동사 직연법의 conjugation

,

현재단수. 2.3 인칭

Infinitive backen blasen braten empfangen fahren fallen fangen geraten

37 Herrlitz 1970 : 52 참조.

2 Person bäckst bläst brätst/bratest empfängst fährst fällst fängst gerätst

3 Person bäckt bläst brät/bratet empfängt fährt fällt fängt gerät

(22)

22 語學liFF究 第 13卷 第1 號

graben gräbst gräbt

halten hältst hält

laden lädst/ladest lädt/ladet

lassen läßt läßt

raten rätst rät

schlafen schläfst schläft

schlagen schlägst schlägt

stoßen stößt stößt

tragen trägst trägt

wachsen wächst wächst

waschen wäscht wäscht

• 동사의 conjunctive 접속법 2식

Ich kam 1ch käme

du kamst du kämest

er kam er käme

Wlr kamen wlr kämen

ihr kamt ihr kämet

Sle kamen sle kämen

brechen; bringen; denken; essen; fahren; ...

명사의 복수형

-e

-er

Apfel : Apfel; Garten: Gärten; Kasten: Kästen; Mangel : Mängel; Mantel: Mäntel;

Nagel : Nägel; Vogel : Vögel; ...

Arzt : Arzte; Ast: Aste; Brand: Brände; Bank: Bänke; Draht: Drähte; Duft: Düfte Dunst : Dünste; Fall : Fälle; Grund : Gründe; Kraft : Kräfte; Lohn : Löhne; Macht : Mächte Sohn: Söhne; Stadt : Städte; Ton: Töne; Turm : Türme; Wunsch: Wünsche; Zug: Züge

Amt : Amter; Bad: Bäder; Band: Bänder; Dach: Dächer; Dorf: Dörfer; Buch: Bücher Gut : Güter; Holz: Hölzer; Horn : Hörner; Korn: Körner; Huhn : Hühner

형용사의 비교급 최상급

비교급 칙상급

alt älter ältest

dumm dümmer dümmst

groß größer größt

gesund gesünder gesündest

hart härter härtest

(23)

現代獨速뚫 Umlaut

kalt kälter kältest

klug klüger klügst

krank kränker kränkst

kurz kürzer kürzest

hoch höher höchst

Jung Junger jüngst

nahe näher nächst

scharf schärfer schärfst

schwarz schwärzer schwärzest

warm warmer warmst

stark stärker stärkst

rot rδter/roter rötest/ rotest

lang länger längst

glatt glätter/ glatter glättest/ glattest

karg kärger /karger kärgst/kargst

-cheη

Blume: Blümchen; Buch: Büchelchen; Karte: Kärtchen; Fahne: Fähnchen;

Flasche: Fläschchen; Kuß: Küßchen; Haken: Häkchen; Mann: Männchen Mantel: Mäntelchen; Schatz: Schätzchen; Stadt: Städtchen; Stall: Ställchen Loch : Löchelchen; Summe: Sümmchen; Vogel: Vögelchen

Zapfen : Zäpfchen; Spaß: Späßchen; Tasche: Täschchen

-lein

-el

-er

Bahnhof : BahnhöfIein; Bruder: Brüderlein; Kast: Kästlein; Fahne: Fähnlein Mann : Männlein; Mutter : Mütterlein; Tochter: Töchterlein; Tod: Tödlein Stunde : Stündlein; Wasser: Wässerlein

Arm : Ärmel; Bund : Bündel; Flug: Flügel; Knocken: Knöckel; Sack: Säckel;

Schlag : Schlägel; Stange: Stengel; Zug: Zügel

Burg: Bürger; Forst : Förster; Kohle: Köhler; Kram: Krämer; Schaf: Schäfer Schule: Schüler; Tat: Täter; Turm: Türmer; fordern: Förderer; tragen: Träger warten : Wärter; fuhr: Führer; sang : Sänger; warm: Wärmer

-ler

Dorf : DörfIer; Fuß: Füßler; AusfIug : AusfIügler; Kunst: Künstler; Land: Ländler Nachzug : Nachzügler; Hauptfach: Hauptfächler; Altertum: Altertümler;

Volkstum : Volkstümler; Zunft : Zünftler

23

(24)

24 5홈學 liff 究 第 13卷 1 號

-η er

-e

Glocke : Glöckner; Pforte: Pförtner; Sold : Söldner; Tasche: Täschner

blaß : Blässe; blasen : Bläse; fahren: Fähre; flach: Fläche; gut: Güte; hohl: Höhle hart : Härte; hoch: Höhe; lang : Länge; nah : Nähe; naß : Nässe; rot : Röte; Rohr : Röhre;

scharf : Schärfe; stark: Stärke; schwach : Schwäche; sanft: Sänfte

ge- stem (-e)

blasen : Gebläse; spotten: Gespött; schwatzen: Geschwätz; Balken : Gebälk;

Busch : Gebüsch; Ast: Geäst; Darm: Gedärm; Horn : Gehörn Stuhl : Gestühl; Wasser: Gewässer; Tafel: Getäfel; Wolk: Gewölk -ern

Holz : hölzern; Loch : löchern; Rad : rädern; Band: bändern; Rand : rändern

(38) 과 (46) 의 資料들을 比較해 볼 때, (46) 의 資料들은 그들의 bound morpheme에 i를 갖고 있지 않다. 그러므로 (46) 의 資料들은 (39) 의 phonological rule로 說明해 주기 보다 는 (47) 과 같이 morphological rule로 說明해 야 할 것이 다.

(47) [

+않ess]

•[ -back]/-C1(VC1)]

( 1 N clas. )

ì

2 num. I

(aBc싫a

(려많p.)

(WM)

規則(46)morphological information은 다음과 같다.

(i) N 에 必용용한 information

a clas. a= 1,2, 1 clas. →강변화영사

2 clas.→약변화 및 흔함변명사 b num. b=l, 2, 1 num. →단수

2 num. →복수

(ii) V에 必훨한 information

e clas. e= 1, 2, 1 clas →강변화동사

2 clas →약변화 및 혼합변화동사

(25)

f ten. f==1.2. 1 ten →현재

2 ten.→과거

g mod. g==l, 2. 1 mod. →직설법

現代獨適語 Umlaut

2 mod.• 2a mod. a==A.B 2A mod.→접 속볍 1식 • 2B mod.→접 속법 2식 h pers. h == 1. 2. 3. 1 pers.→1 인

2 pers. →2인칭 3 pers.→3인

num i==l, 2. 1 num→단

2 num→복수

(iii) ADJ에 必흉흉한 information 1 comp. 1==0.1 0 comp. →원급

1 comp.→비 교급 및 최 상급 (iv) WM에 필 요한 information

-chen. -Iein. - e. - er. -eI. -ler. -ner. ge+stem+(e)

이 에 對한 예 외 는 (48) 을 參照바란다.

(48) 강변화동사 직일법의 conjugation. 혐재, 단수. 2.3 인칭

Infinitive 2 person

rufen rufst

spalten spaltest

tun tust

schaIlen schallst

sa외Ize안n salzt

mahlen mahlst

kommen kommst

강변화 톨사의 conjunctive

,

접속법 2식

spalten; woIlen; soIlen; ...

명사의 복수형

3 person ruft spaltet tut schaIlt salzt mahlt kommt

25

Balken: Balken; Haken: Haken; Hobel: Hobel; Kabel: Kabel; Lagel: Lagel; Knocken:

Knocken; Kucken: Kucken; Tadel: Tadel; Wagen: Wagen; Strudel: Strudel; ...

-e

Grad: Grade; Gas: Gase; Dom: Dome; Dolch: Dolche; Maß: Masse; Mond: Monde; Pfad:

Pfade: Pfund: pfunde; Spalt: Spalte; Tag: Tage; Punkt: Punkte; Schuh: Schuhe;.

--eπj-n

Knabe: Knaben; Dorn: Dornen; Pfau: Pfauen; Strahl: Strahlen; Schmerz: Schmerzen; ...

Vetter: Vettern

(26)

~() 응홈學~究 第13卷 第 a청

형용사의 비교급 및 최상급

원 급 비교급 최상굽

blank blanker blankst

brav braver bravst

dankbar dankbarer dankbarst

dunkel dunkler dunkelst

knapp knapper knappst

klar klarer klarst

lose loser losest

mager magerer magerst

offen offener offenst

rasch rascher raschst

sanft sanfter sanftest

-chen

Onkel : Onkelchen; Tante: Tantchen; Dora : Dorchen; Karl : Karlchen; Kurt : Kurtchen;.

-le찌

-er

Magd : Magdeleín; ...

abtasten : Abtaster; jodeln: Jodler; bohren: Bohrer; kochen: Kocher; Last: Laster Schloß : Schlosser; ...

-ler

Altsprache : Altsprachler; Vorort: Vorortler; Sport: Sportler; ...

-η er

-e

Schuld : Schuldner; Harfe: Harfner; Falke: Falkner; ...

absagen : Absage; anklagen: Anklage; brach : Brache; fuhr: Fuhre; lag: Lage;

suchen : Suche; zusagen: Zusage; folgen: Folge; .,.

-ge' stem (‘e)

fragen : Gefrage; lachen: Gelache; klopfen: Geklopfe; waschen: Gewasche; tanzen: Getanze;.

-ern

folgen : folgern;.

-el

자료조사에 서 bound morpheme 'el의 Umlaut 예 외 는 나타난바 없음.

참조

관련 문서

「무의식적인 원인제공」「무의식적인 조작」「원인제공」등 여러 가지 하위유형 이 존재함을 명확히 했다.또한 이들 하위 유형 중,「무의식적인 조작」의

first, improvement of government organization culture for integrity, second, enforcement of integrity education to the inhabitants, third, enforcement of rigid

이를 집합지식의 구성적 효과(constitutive effect)라 한다.. New York: Columbia University Press, 2011; Iain Johnston, Alastair, Cultural Realism: Strategic

(1979), Poverty and Prostitution: A study of Victorian prostitutio in York, Cambri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現代語가 flj用되는 것은 기껏해야 악센트의 再構를 위해서 려르와니아語의 現代語가 參考될 따름이다. 노오만 1핑土 CNor.. nonsharp 또는 nonflat vs.. Karlgren

툴文題部 以外의 各題部의 推定 홉은 다음과 같다... 下에 서도 규법적으로

다시 말해 독럽한 단어들의 彈勢는 단어마다 따로 외우는 것이 아니라 흡題規則에 의해 얻어지는 것이다... 만약에 전자의 해석을 취하여 Z 가 C를 나다낸다고

그리고 音素의 對應은 續極的언 類似흘 同伴하고 있으므로 그 原因。1 1JiJ컨 대 , 日本語에서 짧球語에의 借用 可能性을 크게 하고 있으며 兩 言語가 親族關係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