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인도의 공용어 정책>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인도의 공용어 정책> "

Copied!
10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인도의 공용어 정책>

제출자: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교육과

201236213 김보루

(2)

목 차

I 서론

1. 연구 목적

II. 인도의 언어 상황

1. 국세 조사에 의한 분류 2. 언어 계통

III. 연방의 언어 정책

IV. 주의 언어정책: 께랄라 주의 경우

1. 교육 2. 일상생활

V. 국가어화와 지역어화

1. 단일언어사회와 다언어사회

VI. 결론

참고문헌

(3)

I 서 론 1. 연구목적

언어 사용은 개인 뿐만 아니라 국가 사회적으로도 매우 중요한 요소임에 틀 림없다. 그것은 언어기 기본적으로 의사 표현의 도구이지만 단순히 도구에 머무 르지 않고 삶의 본질을 결정하는 중요한 핵심요소로서 그것을 어떻게 쓰느냐에 따라 개인이나 국가 사회가 발전 될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기 때문이 다. 따라서 한 국가의 언어정책은 언어의 쓰임을 결정하는 정책으로서 국민통합 은 물론 대중동원의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기능을 한다.

인도와 같은 다언어 국가의 언어정책은 두 가지 국면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하나는 공용어와 관련된 정책이며 다른 하나는 다수 민족으로 구성된 나라에서 소수 비 공용어 사용 집단에 대한 정책이다.

한 국가의 국민이 사용하는 언어를 ‘국어’, 어떤 민족 고유의 언어를 ‘민족어 국 민어’, 어느 사회 집단이나 국가의 구성원이 다양한 언어를 사용할 경우 상이한 언어 사용자간의 의사 소통을 목적으로 지정한 언어를 ‘공용어’, 다 언어 사용 의 상태에서 복수의 언어사용자들을 연결시키는 ‘연결언어’라 구분하여 부를 수 있다. 우리나라와 같은 단일 언어국가에서는 국어와 민족어와 공용어가 한가지 이기 때문에 삼자를 구분할 필요도 없고 구분 할 수도 없다. 그러나 인도와 같 은 다 언어 국가에서는 민족어가 공용어가 아닐 수도 있고 공용어가 한가지 이 상으로 힌디어와 영어 및 17개 지정어를 공용어로 택하고 있다.

지금까지 국내에서 발간된 연구 논저들 중에는 인도의 어문정책 혹은 인도의 언어정책이라는 제목 아래 정부가 아닌 학술기관이 사용언어나 문자에 대한 개 선방안을 제시한 사실이나 사건의 편찬과 언어와 관련되는 개인의 연구 논저까 지 포함시킨 저술들이 있었지만 내용이 상식적 관점에서 부합되지 않는 혼란스 러운 논저들이었다. 이처럼 국내에서는 학술적으로도 참고할 서적들이 극히 드 물고 그 연구도 잘 이루어 지지 않은 상황이다. 때문에 인도 주 정부의 언어정 책을 중심으로 인도의 언어정책 방향과 실행과정을 살펴 인도 언어상황을 이해 하고 인도의 공용어 정책을 소개하는 데 있다.

(4)

II. 인도의 언어 상황 1. 국제조사에 의한 분류

인도의 언어 상황을 조감한다는 것은 무척 어려운 일이다. 그러나 이 어려움이 단 순히 언어의 수가 많다는 것에서 기인하는 것은 아니다. 인도에서는 언어 이외의 요소 예를 들면 종교나 카스트 등이 언어의 변화와 밀접한 관계가 있을 뿐만 아니 라 그 관계가 매우 복잡하게 교차되어 있다. 예를 들어 동일 언어권에 속하는 사람 들 사이에서도 최상층의 브라만과 최하층의 불가촉 천민은 서로 큰 차이가 나는 서 로 다른 형식의 언어를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이 언어들이 과연 동일한 언어인가 부터를 검토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다른 면으로는 계통이 서로 다른 언어를 사용 하지만 인접한 지역의 주민들은 서로 공유하는 요소가 많고 의사소통이 가능한 경 우도 발견된다. 1991년 국세조사 결과로서 인도 헌법 부칙 8조에 명시된 지정언어 및 기타언어의 사용자 비율을 살펴보자.

표1. 인도의 언어상황 (1991)

언어 비율

힌디어 40.22%

방글리어 8.3%

뗄루구어 7.87%

마라티어 7.45

따밀어 6.32

우르두어 5.18

구자라띠어 4.85

깐나다어 3.91

말라얄람어 3.62

오리야어 3.35

빤자비어 2.79

아싸미어 1.56

신디어 0.29

네팔리어 0.25

꽁까니어 0.21

마니뿌리어 0.15

까슈미리어 0.01

산스끄리뜨어 0.01

기타어 3.71

표에서 나타나는 것처럼 대부분의 지정언어들은 상당수의 사용자를 확보하고 있으 므로 인도가 다 언어 사회라는 것을 극명하게 보여주고 있다.

(5)

2. 언어계통

언어상황을 개관할 때 우성적으로 고려되는 것은 언어계통에 의한 분류이다. 언어 계통에 의해 인도에서 사용되는 언어를 분류하자면 인도-아리아계의 언어들이 가장 우세한 형태인 75%의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그 다음으로 드라비디아어의 계통이 많이 사용되고 있어 이 두 언어계통이 전 인구의 96%를 차지하고 있다.

언어의 지리적 분포를 살펴보면 인도 아리아계는 중부에서 북부 드라비디아계는 남 부에서 지배언어계통의 성향을 보이고 있다.

남부: 드라비디아계 언어(께랄라어,따밀어,깐나다어,말라얄람어)가 지배언어 인 지 역, 전 인구의 25.2%

동부: 동부 인도- 아리아계 언어(방글리어,오리야어,아쌈어)가 지배 언어인 지역, 전 인구의 15.2%

서부: 서부 인도- 아리아계 언어(마라티어, 구자라띠어)가 지배언어인 지역, 전 인 구의 13.9%

북부,중앙부: 중앙부 인도-아리아계 언어 (힌디어,우르두어, 힌두스따니어,빤자비어, 까쉬미리어) 전 인구의 45.7%

III. 연방의 언어정책

인도는 연방제 국가이다. 즉 여러 개의 주들이 합쳐서 인도라고 하는 연방국 가를 형성하고 있는 것이다. 인도 연방의 성격에 대해서 주 정부에 비해 연 방정부에 너무 강력한 권한이 부여되고 있다는 점에서 준 연방 이라는 비판 도 있고 주와 연방의 관계에 관해 끊이지 않는 논쟁이 벌어지고 있지만 인 도에서 주가 하나의 언어적 단위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다는 것은 부인할 수 없다. 사실상 인도는 주와 주 사이에 서로 의사소통이 불가능할 정도로 언어 적인 차이가 있다.

하지만 인도 연방이 연방내의 모든 곳에서 통용되는 언어를 추구하는 것은 인도가 하나의 국가인 이상 당연히 추구 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국가가 그 영역 전체에서 동일한 언어를 추구하는 것은 근대 국민국가의 형성 이후 자연스럽게 발전해 왔다. 인도의 언어적 특수성을 이유로 동일한 언어의 추

(6)

구를 포기해서는 안되기 때문이다.

IV. 주의 언어정책: 께랄라 주를 중심으로 1. 교육정책:

1976년 제 42차 헌법 개정에 의해 그 동안 주가 교육에 대해 가지고 있었 던 배타적 관할권이 폐기 되었고 그 결과 연방 전체의 교육제도가 통일되었 다. 주 정부가 각 학교에 내린 지침은 영어는 준 공용어이자 국제적인 연결 어로서 중요하고 힌디는 우리들의 국어 라는 것을 잊어서는 안 된다고 지적 하고 있다. 헌법이 공용어로 규정되고 힌디어를 국어로 규정하고 있는데 이 것은 힌디어를 단순히 공용어가 아니라 국민통합의 하나의 상징으로 취급하 는 연방정부의 방향성을 볼 수 있다.

교육현장에서 사용되는 언어를 살펴보면 께랄라 주의 절대 다수 인구가 말라얄람어를 사용하고 있고 그에 따라 많은 학교들이 말라얄람어를 교육매 개어로 사용하고 있다. 말라얄람어를 교육 언어로 사용하는 학교가 전체의 83%를 차지하고 있지만 이 경향은 고학년으로 올라갈수록 낮아지고 있고 특히 사립학교에서는 영어를 교육언어로 하는 학교가 많다는 것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것은 도시 상층계층 에서는 변함없이 영어를 선호하고 있다 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또 정부 보조를 받는 사립학교에서도 고학년이 되 면 말라얄람어와 영어를 병용하는 학교가 늘어나고 있다. 이것은 인도에서 대학 교육은 영어로 이루어지고 대학 입학시험에서 영어가 필수과목이기 때 문에 일어나는 현상이다. 도시의 상층계층은 영어의 유창함이 장래를 약속받 는 길 이라는 것을 잘 인식하고 있고 중산층 이하의 사람들도 취업의 기회 가 적은 께랄라 주보다는 다른 지역 또는 외국에서 취업을 하려 하기 때문 에 영어가 필수라는 생각을 가지고 있다. 말라얄람어에 대한 애착과 영어를 통해 실질적인 이익을 얻으려는 생각 사이에서 갈등이 존재하는 실정이다.

제도적으로는 말라얄람어의 보급이 추진되고 있지만 영어는 그 나름대로의 구심력을 여전히 유지하고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영어에 대한 애착은 정부 의 언어정책의 결과가 아니고 개인들이 자발적으로 선택하는 경향이 있다.

께랄라 주는 교육내용에 있어서 3개 언어 정책을 지키고 힌디어의 연방공 용어로서의 지위를 존중하면서 지역의 절대다수자들의 모어인 말라얄람어의 진흥에 힘을 기울이고 있다. 그러나 영어와 말라얄람어에 비해 힌디어 진흥 에 대한 정부 또는 개인의 노력은 거의 없는 것으로 보인다. 힌디어가 교육 과정에 포함되고 있고 실제로 교육되고 있지만 다른 분야에서 힌디어가 사 용되고 있는 흔적이 없기 때문이다. 물론 연방정부의 께랄라 주의 파견 사무 소에서는 힌디어가 사용되고 있지만 주 정부의 각 기관에서는 힌디어가 거

(7)

의 무시되고 있는 상황이다. 즉 형식적으로는 힌디어가 존중되고 있지만 실 제에 있어서는 말라얄람어와 영어가 압도적은 강세를 나타내고 있는 것이다.

2. 일상생활 1)영수증, 청구서

께랄라 인들이 일상 생활에서 사용하는 언어에 대해 살펴보면 호텔 ,식당.

상점에서 발급하는 영수증은 모두 영어로 되어있다. 은행의 경우에도 전국 규모의 은행은 물론 께랄라 주 내의 은행들의 청구서도 영어와 힌디어로 되 어 있다. 이와 같이 공적인 성격이 강한 서류에서는 영어를 사용하는 경향이 나타나고 있고 연방 전체에 관한 것은 힌디어와 영어를 함께 사용하고 있다.

2)버스, 도로,간판

행선지 및 정거장의 시간표는 말라얄람 문자로만 되어 있지만 차표에는 말 라얄람 문자와 로마자가 함께 사용되고 있다. 또한 도로와 간판 표지에는 제 한속도와 일방통행 등의 표시는 영어로 되어 있지만 도로의 이름은 말라얄 람 문자와 로마자가 함께 표기되어 있다. 말라얄람어가 중심어이고 보조적으 로 영어가 사용되고 있지만 말라얄람어 또는 영어를 읽을 수 없으면 생활하 기가 곤란하다는 사실은 부정할 수 없다.

지금까지 살펴본 께랄라 주의 언어 상황은 세가지로 정리될 수 있다.

첫째 연방 정부의 공용어에 대한 정책에 따라 말라얄람어를 주의 공용어로 인정하고 있다. 둘째, 교육언어는 물론 신문 잡지에서도 말라얄람어의 우세 가 뚜렷하다. 이것은 께랄라 주의 언어적 균질도가 높음에서 기인하지만 교 육현장에서 영어에 대한 의존도가 낮다는 점도 영향을 주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셋째, 일상 생활에 있어서는 주 정부의 언어정책에도 불구하고 말라얄 람어가 모든 분야에서 우위를 점하고 있다고 볼 수는 없다. 즉 주 정부의 방 향성 자체가 현실에 그대로 일치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또 힌디 어의 경우에는 연방정부의 정책을 잘 이행하고 있는 것으로 보이지만 그것 은 법률이 정하는 테두리 안에서 만의 현상이다.

V. 국가어화와 지역어화

단일언어사회와 다언어사회

사실상 엄밀한 의미에서의 단일언어사회 라는 것은 존재하지 않는다. 이것은 언어란 무언인가 라는 문제와 관련이 있는 것이지만 언어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변화하고 공간적으로 확대되면 방언이라는 변이가 생겨나기 때문이다.

인도가 다 언어사회라는 것은 인도라는 국가의 지역적 범위를 기초로 발생

(8)

한 것이다.. 인도는 우리나라의 14배 크기를 가진 국가이다. 이와 같이 다 인종 국가를 국가라고 하는 하나의 단위로 묶으면 될 수 밖에 없는 것이 다. 오히려 전 인구의 40%에 달하는 사람들이 힌디어라는 같은 언어를 사용 한다는 것이 놀라울 뿐이며 힌디어 다음으로 사용자가 많은 뱅갈어와 뗄루 구어도 각각 전 인구의 8%를 차지하고 있다.

인도에서 연방정부는 힌디어의 보급을 추진하고 있고 힌디어의 사용자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볼 때 그 효과는 큰 것처럼 보인다. 또 주정부 는 주 공용어의 보급을 강력하게 추진하고 있고 해가 갈수록 그 경향은 강 해지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인도의 국내상황과는 반대로 연방정부와 주 정부 모두가 배제하려고 애쓰는 영어가 그 세력을 급격히 넓혀가고 있다.

VI. 결론

다양한 언어를 사용하는 인도는 국어라는 것은 없고 단지 헌법에서만 인 정하는 중앙정부의 공용어인 힌디어와 보조 공용어인 영어, 그리고 17개 지 정언어가 존재하는 다 언어 사용 국가이다. 인도의 경우 연방의 공용어는 힌 디어와 영어 두 가지 만으로 되어있다. 즉 국가 수준에서 인정하는 공용어는 힌디어와 영어뿐인 것이다. 인도의 언어들은 다양한 계층, 인종, 사회, 문화 적 배경과 역사를 바탕으로 각기 다른 기능과 지위를 갖고 있다. 이에 따라 영어 대 힌디어 힌디어 대 지역어 그리고 지역어 대 소수어 간의 갈등이 상 존하고 있으며 비 공용어 사용자들이 하나 이상의 언어 사용이 사회적으로 요구됨에 따라 제2언어 또는 제3언어를 습득해야 하는 문제 등 국가적으로 개인적으로 많은 부담을 갖고 있다. 전체적으로 인도의 언어정책은 중앙정 부의 공용어인 힌디어와 각 주의 공용어인 지역어 들을 강력히 추진하면서 도 영어를 비롯한 외국어 ,고전어, 소수어 등의 보호와 장려에도 세심한 주 의를 기울여 왔다. 국가단위의 공용어가 주 단위의 공용어나 기타 소수어를 그리고 주 단위의 공용어나 기타 소수어를 침해하지 않는 선에서 서로의 발 전을 도모할 수 있는 역할 분담의 상호 보완적 관계를 유지하는 차원에서 언어정책이 발전되어 왔다.

영어가 아직도 중앙정부의 행정, 정보 통신, 고등 교육 등의 분야에서 지 배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지만 힌디어의 위치가 과거보다 월등히 강화되었 고 지역어와 더불어 지속적인 발전과 확장 추세에 있다. 그러나 힌디어가 영 어의 역할을 완전 대체하기 위해서는 상당한 시일과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그만큼 영어가 지배계층과 사회 전반의 주요분야에 뿌리 깊게 자리 잡고 있기 때문이다. 비록 영어가 소수의 인구에 의해 사용되고 있지만 이 소수가 인도의 지배계층을 형성하고 있으며 영어만이 유일하게 지역적인 한 계를 넘어서는 언어라는 점도 큰 장점으로 작용하고 있다.

(9)

지역어 들은 고등 교육 분야를 제외하고는 상대적으로 잘 추진되어 주의 중심어이며 지배어로 자리를 잡아가고 있는 추세이다. 이는 무엇보다 인도의 주 편성이 언어를 바탕으로 되어있는데 연유한다.

소수어는 시간이 경과할수록 행정과 교육 분야에서 소외되어 가고 있다.

그러나 다수의 소수어 들이 소수어 집단의 사회 문화적 전통을 유지하고 발 전 시키는 데 중대한 역할을 하고 있는 데서 그 가치를 확인하고 있다.

독립 이전에는 언어정책의 기본 방향이 인도어들에 비교되는 영어의 우 위적 역할에 중점이 주어진 반면 이후로는 힌디어를 비롯한 각 지역어들이 중시되어 공용어로 채택되고 또한 소수어에 대한 헌법상의 보장 조항도 마 련되었다. 인도의 언어교육정책도 이러한 변화를 수용하고 뒷받침 하는 방향 으로 발전되어 왔다.

교육 대상의 언어의 선정과 관련된 교육정책의 방향은 단계적은 3개 언어 정칙(three language formula)에 잘 나타나 있다. 이 정칙은 언어와 관련된 여러 사회 집단의 요구를 비교적 공평하게 수용한 최선의 해결책으로 인정 되고 있다. 이는 각 언어 집단. 즉 모어와 지역어들의 이익을 보장하고 힌디 어를 통한 국가적 긍지와 통일을 유지하며 영어를 통한 행정상의 효율성과 기술 분야의 진보를 극대화 할 수 있는 방안으로 3개 언어(모어 또는 지역 어, 힌디어 그리고 영어)의 교육을 교육과정에 단계적으로 포함하고 있다.

그러나 결과적으로 이 제도는 지역적 정치성 때문에 성공적이지도 못했고 획일적으로 채택되지도 못했던 것이다. 힌디어 지역에서는 다른 인도의 언어 를 적극적으로 배우려 하지 않았으며 비 힌디어 지역에서는 힌디어가 제 2 언어 전 인도적인 공용어가 되는 것에 반대했기 때문이다.

다언어 사회의 국가형성에서 언어문제는 정치적으로 상당한 비중을 차지 했고 사회와 지역의 정체성 확립에도 종교 이상의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였 다. 다원적인 사화 문화 구조와 여러 집단들의 정치적 이해관계 등의 한계성 을 넘어서지 못했고 결과적으로 힌디어를 비롯한 지정어들의 발견을 원만히 추진하는데 성공하지 못하였다. 인도 정부는 향후 공용어의 강력한 재추진과 동시에 영어 사용의 재 검토 그리고 다원주의적 입장에서 지정어들의 조화 로운 발전과 현실적인 영어사용의 재검토 그리고 다원주의적 입장에서 지정 어들의 조화로운 발전과 현실적인 소수어 보장 정책 추진 등 산적한 과제들 을 남겨놓고 있다.

(10)

<참고문헌>

Aggarwal, Santosh(1991), Three Language Formula: An Educational Problem, New Delhi: Giari Publishing House.

Annamalai, E, (ed.)(1979), Language Movement in india, Mysore:

Central Institute of Indian Languages.

Bakshi, P.M.(1996), The constitution of India, With selective comments delhi: Universal Law publishing.

Basu,Durga Das(1996), Shorter Constitution of India(12th, ed), New Delhi: Prentice-Hall of India.

Baumgardner,Robert J.(ed)(1996), south Asian English: structure,Use, and Users, Urbana: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Bharat Sarkaar (Government of India)(1994), Rabhaasyaa Adhiniyam 1963, Sankalp our Niyan (The official Languages Act 1963, Resolution and Rules), Nai Dilli (New Delhi): Bhaarat Sarkaar(Government of india).

Chandra, Bipan et al. (eds.)(1999), India After Independence, New Delhi: Viking(Penguin in India)

Chatterjee, Partha(ed.)(1997), state and Politics In India, New Delhi:

oxford University.

Das Gupta, Tyotirindra(1970), Language Conflict and National Development, Berkeley: University of California.

Dua, Hans A (1994), ‘Hindi language spread policy and its implementation: achievments and prospects’, International Journal of the sociology of Languagr 107, pp.115~143.

House Government of India.(1997), Census of India 1991, series 6, part Gopal, Ram(1966), Linguistic Affairs of India, Bombay: Asia Publishing.

Gopal, Ram(1957), Report of the Official Language commission 1956, New Delhi: Government of India Press.

Holmes, Janet(1992), An Introduction to sociolinguistics, London:

Longman.

Johari, J.C(1995), The constitution Of India: A Politico-Legal Study, New Edlhi: sterling Publishers.

Jong chan choi, Politics of Language in India, Studies in South Asia3.

Institute of south Asian Studies,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ydies.

245-268. 1998

참조

관련 문서

In general, our system can be divided into two parts – the training part and the recognition part (Fig. Though the two parts are functionally separate from each other,

Kent State University (USA) 8 English Language Skills for University Students Prof..

Index.. Academic Program Roadmap.. This course focuses on the ways the English language has been impacted by modern globalization—on the English language itself and the

North, Douglas C., Institution, Institutional Change and Economic Performance, Cambridge University

Wade (eds), Early Interactions between South and Southeast Asia: Reflectionson Cross-cultural Exchange , Singapore: Institute of Southeast Asian Studies,

In our study of 52 coronary artery disease patients undergoing several mea- surements of studied parameters, we observed a significant association between heart

In 2002 and 2003 field research was conducted in southeast Oklahoma (Lane, OK) to determine the impact of organic and synthetic preemergence herbicides on weed control efficacy,

Looking Good and Doing Good: Corporate Philanthropy and Corporate Power, Bloomington: Indiana University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