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한-OECD 국제학업성취도평가(PISA) 국제 컨퍼런스 개최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한-OECD 국제학업성취도평가(PISA) 국제 컨퍼런스 개최"

Copied!
4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 1 -

한-OECD 국제학업성취도평가(PISA) 국제 컨퍼런스 개최

◇ (행사 개요) 한국 교육부와 OECD는 3.10.~11.간 서울에서「OECD 가입 20주년 기념 한-OECD 국제 교육 컨퍼런스」를 개최

◇ (주요 내용) “PISA와 PISA-D 연구에 기반을 둔 글로벌 역량과 학습의 질 제고*”를 주제로 미래 교육의 방향과 국제협력 연구의 발전 방향에 대해 논의

* Promoting Global Competence and Quality Learning Based on PISA and PISA-D

ㅇ PISA 국제비교 결과를 통해 국제사회가 국제적, 지역적 및 국가적 수준에서 얻을 수 있는 시사점을 공유하고 각 국의 교육정책과 실천 방법 논의

ㅇ 2015 세계교육포럼 인천 선언문에서 발표된 2030 교육을 위한 실행계획*에 따른 국제 교육 분야에서 축적된 후속 연구결과 논의

* Education 2030 Framework for Action

※ 출처: 한국 OECD 가입 20주년 기념 국제 컨퍼런스 결과 (2016.3.10-11, 서울)

1. 행사 개요

□ 교육부와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은 3.10(목)∼11(금), 서울에서「한국의 OECD 가입 20주년 기념 국제 교육콘퍼런스」를 개최

ㅇ 올해는 한국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 가입한지 20주년이 되는 해로, 국제기구와의 교육협력을 다지는 행사의 일환으로 개최

* 우리나라는 1996년 12월 29번째 회원국으로 OECD에 가입

ㅇ 교육부, OECD 사무국, 주오이시디대표부, OECD 주요 회원국, UNESCO 등 국내․외 유관 기관 및 전문가를 비롯하여 관심 있는 연구원, 교수, 대학생 등 200여 명이 참석

- 2 -

□ 이번 컨퍼런스는 “PISA와 PISA-D* 연구에 기반을 둔 글로벌 역량과 학습의 질 제고**”라는 주제로 미래 교육의 방향과 국제협력 연구의 발전 방향에 대해 논의

* PISA-D(PISA for Development) : 개발도상국을 위한 국제학업성취도평가

2. 주요 내용

□ 환영사 및 축사

ㅇ (환영사) 교육부 이영 차관은 환영사에서 한국은 OECD 가입 20주년을 기념하고, 인천에서 열린 ‘2015년 세계교육포럼’에서 선언한

‘2030 교육을 위한 실행’을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밝히고, - 앞으로 인류를 위한 양질의 교육과 미래사회가 요구하는 글로벌

역량 배양 등 국제사회에서 한국의 역할을 다할 것이라고 밝힘

ㅇ (축사) 윤종원 주오이시디 대사는 축사를 통해 우리나라는 PISA 에서 지속적으로 최상위권을 유지하는 등 대한민국의 교육은 OECD 내에서도 경쟁력이 높은 분야로 인식되고 있으나, 학생의 행복도는 낮고 미래사회가 요구하는 새로운 역량과 건강한 시민 으로서의 자질의 배양은 아직 부족하다고 지적하면서,

- 동 세미나가 획일적 학력경쟁에서 벗어나 행복하고 건강한 사회인, 글로벌 역량을 갖춘 세계시민 양성을 위해 교육이 나아갈 방향에 대한 인식을 공유하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고 밝힘

(2)

- 3 -

<한-OECD PISA 국제 컨퍼런스에서 축사하는 윤종원 오이시디 대사>

□ (발표 1) 지속가능한 발전 목표 4: 실행과 학습 중심을 위한 교 육 2030 계획

ㅇ Jordan Naidoo 유네스코 국장은 ‘지속가능한 발전 목표: 실행과 학습 중심을 위한 교육 2030 계획’ 발표에서 세계교육포럼 인천 선언(Incheon Declaration)과 2030 교육을 위한 행동계획(Education 2030 Framework for Action) 등 최근 다양한 측면에서 진행되고 있는 세계 교육의 회담 과정을 소개

ㅇ 포용과 공정한 양질의 교육 보장과 모두에게 평생학습 기회 증진 이란 목표 하에 실천되고 있는 ‘지속가능한 발전 목표4’의 특징을 비롯하여 목표, 시행방법, 직접적인 전략, 효과적 시행, 점검-후속- 심사 과정, 최종 국제지표, 양질의 데이터, 학습과 공정성을 위한 고려사항, 평가 및 그를 위한 UNESCO의 지원방안 등을 논의

□ (발표 2) 민주문화와 세계시민성 역량: 요소와 평가

ㅇ Martyn Barrett(Surrey 대학교 심리학 명예교수)는 ‘민주문화와 세 계시민성 역량: 요소와 평가’ 발표에서 지난 2년간 유럽위원회 (Council of Europe)가 수행한 민주문화 역량(Competences for

- 4 -

Democratic Culture)에 대해 소개

ㅇ 민주문화 역량, 민주역량, 글로벌 역량 등의 개념과 관계성 설명과 함께, 민주역량, 문화간(intercultural) 역량, 글로벌 역량, 세계시민성 역량 등 유사하나 동일하지는 않는 각종 역량들의 특징을 설명하고, 이들 다양한 역량들에 대한 평가와 관련된 주요 현안(신뢰성과 타당성)과 고려사항, 국제적으로 시행될 경우에 우려사항 등을 논의

□ (발표 3) 국제학업성취도평가: 관련성 유지

ㅇ Miyako Ikeda(OECD PISA 선임분석가)는 ‘국제학업성취도평가:

관련성 유지’에 대해 발표

ㅇ PISA가 무엇을 평가하고 무엇을 평가해야 하는가라는 질문을 통 해 PISA 2015에서의 변화와 향후 PISA 2018에서의 변화를 소개 ㅇ 특히 현재 개발과 시행의 준비가 활발하게 진행 중인 PISA에서

처음 소개될 글로벌 역량에 대한 개념과 정의, 영역과 맥락에 대한 설명과 함께, 읽기소양에서의 시나리오 기반 과제의 특징을 설명 ㅇ 글로벌 역량 설문문항의 특징, 해결해야 할 과제, 향후 PISA 2021에

도입될 혁신적 영역과 과제 등을 논의

□ (발표 4) 개발도상국 대상의 국제학업성취도평가

ㅇ Michael Ward(OECD PISA-D 선임 정책분석가)는 ‘개발도상국 대 상의 국제학업성취도평가’에 대해 발표

ㅇ UN의 지속가능한 발전 목표(SDGs)의 체계, UNESCO의 교육 2030 현안, OECD의 교육 2030 의제 그리고 PISA와 PISA-D의 연 관성 등 PISA-D에 대한 개괄적 진행 상황과 배경을 소개

ㅇ PISA-D의 목적과 준비과정, 검사도구, 맥락변인에 대한 설문조사, 학교 밖 청소년 대상의 설문조사에 대해 소개하고 PISA-D 참가 국의 준비 상황, 멘토-멘티 국가 활동, OECD와 기타 국제기구의

(3)

- 5 -

협력 등을 논의

□ (발표 5) 한국 학생 성취 특성의 국제 비교 분석 : PISA 2012 읽기와 과학 성취를 중심으로

ㅇ 박혜영 한국교육과정평가원 부연구위원과 구자옥 한국교육과정평 가원 국제학업성취도평가실장은 ‘한국 학생 성취 특성의 국제 비 교 분석 : PISA 2012 읽기와 과학 성취를 중심으로’에 대해 발표 ㅇ 동 발표에서 PISA 2012 읽기와 과학 성취결과 분석, 한국 학생들의

성취특성 파악 및 학교 교육환경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논의 ㅇ 우리나라 학생들은 읽기와 과학 영역에서는 상위수준 학생의 비

율이 낮았으며 과학과 읽기영역 평가틀 하위 요소에서 우리나라 가 상대적으로 약한 부분임이 확인

ㅇ 교육 개선을 위한 정책으로 비판적․창의적 읽기 역량 함양을 위 한 교육방안, 고차원적 사고 과정을 포함한 과학 탐구 수업, 융합 인재 교육의 활성화를 통한 흥미와 창의력 신장 교육을 제안

□ (발표 6) 일본의 PISA 결과 분석 및 일본 교육 정책에 준 영향 ㅇ Akiko Ono(일본 국가교육정책 연구소(National Institute for

Educational Policy Research)의 국제연구·협력부장)은 ‘일본의 PISA 결과 분석 및 일본 교육 정책에 준 영향’을 발표함

ㅇ PISA 2003과 PISA 2006에서 연속적으로 저조한 일본 학생들의 학업성취도 결과 이후 진행되어온 일본의 세 가지 주요 교육개혁 (교육과정 개정, 교사 지도서 발간, 국가 학업능력 평가)을 소개 ㅇ 교육개혁의 성과로 학업능력성취 결과 향상, 정의적 특성의 긍정

적 변화, 문제해결능력의 우수한 결과 등을 제시

ㅇ TALIS 결과를 활용한 OECD 국가와 일본 교사의 특성과 함께 현재 진행되고 있는 핵심역량 및 21세기 역량 촉진 계획, 차기 교육과정의 방향과 내용에 대한 계획 및 대학입시정책에 대한 변화 계획 논의

- 6 -

□ (발표 7) PISA 2012 상위국의 문제해결력 교육맥락변인 영향 비교 분석 ㅇ 김성숙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선임연구위원과 한정아 한국교육과정

평가원 전문연구원은 ‘PISA 2012 상위국의 문제해결력 성취에 대 한 교육맥락 변인 영향력 비교 분석’에 대해 발표함

ㅇ 동 발표에서 PISA 2012 컴퓨터기반 문제해결력 결과를 중심으로 대한민국, 싱가포르, 일본, 핀란드에서 남녀학생에 따라 교육맥락 변인의 영향이 어떻게 다른지와 상위수준집단에 미치는 영향변인 은 무엇인지에 대한 분석결과를 발표

ㅇ 문제해결력 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학생변인과 학교변인은 비교국 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으며 성차, 학교 간 차이를 설명하는 경제 사회문화지수, 방과 후 학습 유형 및 시간, 학교풍토, ICT 준비 등 주요 영향변수를 제시

ㅇ 결과해석은 비교국의 사회문화구조, 학교의 역할, 학생일과에 대 한 이해가 요구됨

□ (발표 8) 수학과 읽기 성취에 나타난 성별 격차 비교-PISA 결과가 줄 수 있는 시사점은?

ㅇ Joel Rapp(이스라엘 국가교육측정평가국 평가개발부장)은 ‘수학과 읽기 성취에 나타난 성별 격차 비교-PISA결과가 줄 수 있는 시사 점은?’에 대해 발표함

ㅇ 동 발표에서 그동안 고등교육기관과 노동시장에서의 남학생들에 비해 여학생들의 STEM(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and Mathematics) 능력이 저조하다는 일반적 견해와 함께 PISA와 TIMSS, PIRLS의 결과를 통해 남-녀 차이에 따른 수학과 읽기에 특성을 소개

ㅇ 연구에 대한 종합적 분석을 통해 성별 요인이 수학과 읽기 능력에

(4)

- 7 -

미치는 영향보다는 사회문화적 요인이 수학, 과학, 읽기 능력에 더 강하게 작용하고 있음을 설명

ㅇ 남-녀 차이를 설명할 수 있는 구체적인 사회문화적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수행된 최근의 연구를 토대로 개인학생 단위의 수학, 과학, 읽기 능력과 개인과 학교 변인 상관관계 분석 결과 및 시사점 논의

□ (발표 9) 과제 수행을 통한 디지털 읽기 성취 예측: PISA 2009과 PISA 2012 과제 적응 과정의 효과

ㅇ Johannes Naumann(독일 괴테대학 교육과학 교수)은 ‘과제 수행 을 통한 디지털 읽기 성취 예측’에 대해 발표함

ㅇ 동 발표에서 수업참여도와 PISA 2009와 2012 디지털 읽기소양 능 력 예측 가능성의 관계 파악을 위해 과업참여를 측정할 수 있는 것을 적응 네비게이션이라 전제하고 PISA 2009 자료를 중심으로 최근 수행된 두 개의 연구를 소개하고,

- 연구결과를 토대로 과업에 몰두한 시간, 학생의 능력과 과업의 어려운 정도와 필요조건이 어떻게 디지털 읽기 과업능력을 예측 할 수 있는가와 네비게이션 능력이 어떻게 디지털 읽기 능력 수 준을 예측할 수 있는가를 설명

ㅇ 연구 결과, 디지털읽기 능력과 적응은 과업참여와 깊은 관련성이 있는 반면, 과업참여도의 관련성에 대한 증거는 미비한 것으로 나타남.

※ 작성자: 이주희 참사관(원소속: 교육부), mice94@moe.go.kr

참조

관련 문서

[r]

[r]

… The (general government) sector does not include public corporations, even when all the equity of such corporations is owned by government units... + 범위에

5) 한국의 높은 총요소생산성 증가가 어떤 요인에 의해 초래되었 는지를 분석하였다. 한국의 높은 총요소생산성 증가는 과거에는 기술적 효율성 개선 에

[r]

자료: USDA AMS and ERS(Average monthly closing price for the

실질 사용비교표 및

지 금은 세부예산을 수립해 승인받기 때문에 실제 집행의 재량권한이 없는 것과 마찬가지라며, 기획조정실에서 전체 예산금액을 승인하고 의과대학 내에서 집행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