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3. 국내 외국인 유학생의 공간적 분포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3. 국내 외국인 유학생의 공간적 분포"

Copied!
27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외국인 유학생의 국제이주와 지역사회 적응에 관한 연구:

대구·경북지역 대학을 중심으로

박은경*

요약_2007년 국내 고등교육기관에서 수학하고 있는 외국인 유학생의 수는 4만 9천 여명을 넘어섰다. 이러한 분위기에서 외국인 유학생들에 관한 논의들이 몇 가지 측 면에서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대체로 유학생의 유치를 위한 전략 또는 유학생의 학 업적 적응, 문화적 적응과 같은 단편적인 측면에서의 적응만을 조사한 연구들이 대 부분이었다. 이러한 분위기에서 외국인 유학생들에 관한 논의들이 몇 가지 측면에 서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대체로 유학생의 유치를 위한 전략 또는 유학생의 학업적 적응, 문화적 적응과 같은 단편적인 측면에서의 적응만을 조사한 연구들이 대부분 이었다. 이를 바탕으로 진행한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외국인 유학생의 국내 공간적 분포 특성은 유학생 유입 초기단계에는 수도권에 압도적으로 많이 이루였으나, 그 후 수도권의 집중현상은 점차 완화되고 있다. 둘째, 설문조사 에서는 외국인 유학생의 국제이주 원인으로 거시적 차원의 배출-흡인 요소 보다는 미시적 차원의 배출-흡인요소가 더 많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외국 인 유학생의 지역사회 적응에 필요한 각 요소별 적응은 개인별로 상이하게 나타난 다. 특히 한국어 구사능력이 높고 한국인 친구의 수가 많을 수록 대학 및 지역사회 에서 적응하기가 용이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유학생활과 지역사회에서의 적응 정도가 높을수록 지역사회에서 느끼는 정체성도 높게 나타났다. 이를 통해 지역사 회 주민으로서 정체성이 높게 형성된 외국인 유학생에게 지역사회의 발전에 기여하 는 역할을 기대해 볼 수 있다.

주요어_외국인유학생, 국제이주, 외국인 유학생의 지역사회 적응

* 대구시 경일중학교 교사, 지리학, shine0924@paran.com

(2)

1. 서론

최근 들어 대학에서 나타나는 두드러진 변화 중의 하나는 어학연수나 연구 를 위하여 해외에서 유입되는 외국인 유학생 수의 증가이다. 외국인 유학생의 유입은 고등교육기관 정원의 확보나 재정확충의 경제적인 측면을 포함하여 여 러 가지 긍정적 효과를 가져다준다. 예로 문화적 측면에서 국내 학생들은 외국 유학생을 통해서 그 나라의 언어, 역사, 문화, 예술, 사회, 경제 등에 관심을 가 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외국인 유학생들도 우리나라의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 모든 부분에 걸쳐 깊은 이해를 가지게 되어, 장기적인 관점에서 보면 한국에 대한 지지세력을 확보하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노종희 외, 2003).

이러한 점에서 한국의 대부분 대학들뿐만 아니라 한국 정부 역시 외국인 유 학생 유치를 위한 방안으로, 2001년 교육과학기술부에 의하여 입안, 시행되면 서 외국인 유학생 수가 급속히 증가하게 되었다. 정부는 이의 기본 방향을 지 식기반사회에 있어서 국가 경쟁력의 강화에 두고 다양한 유학생 유치활동을 전개함으로써 국가 발전에 기여하는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이에 정부에서는 2010년까지 유학생 5만 명 유치를 목표로 유학생 정책을 추진해 왔는데, 2007 년에 이미 그 수치에 달했으며 앞으로도 유학생의 수는 급격히 증가할 것으로 예측된다. 그러나 정부의 정책 역시 이들의 체계적인 관리보다는 유치에 중점 을 두었기 때문에 여러 문제들을 드러내고 있다는 점에서, 앞으로 지속적인 외 국인 유학생의 확보를 위해서는 관리에도 관심을 가지고 정책을 추진해야할 시점이 되었다고 할 수 있다. 아직까지 미처 체계적인 유치와 관리를 위한 준비 를 하지 못한 우리의 현실에서 이러한 유학생 수의 급증은 유학생들의 부적응 으로 인한 지역사회에서의 문제를 수반하게 될 위험이 있다.

이처럼 외국인 유학생의 대학생활과 지역사회에서의 적응 양상에 따라 긍정 적 영향을 미쳐 세계화 시대에 필요한 유능한 인재를 확보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기도 하지만, 부적응 사례가 나타날 경우 외국인 유학생의 문제가 지역 사회 내에서 해결해야만 하는 또 하나의 과제로 다가올 것이다. 따라서 최근 증가하고 있는 외국인 유학생의 유치 및 관리의 측면에서 정부 차원에서의 지

(3)

원 방안에 머무르는 것이 아닌 지역사회의 적응측면에서 외국인 유학생의 영향 력에 대한 인식과 함께 이들을 위한 적절한 대처방안이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 하고자 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외국인 유학생의 국제이주 및 적응에 관한 이론 들을 고찰하고, 외국인 유학생의 국내 공간적 특성을 분석하고, 대구·경북 지 역을 사례 지역으로 외국인 유학생의 유입 원인과 적응에 따른 실태를 설문조 사 분석을 통해 파악한 후 외국인 유학생의 유입과 적응을 위한 대책을 고찰 하고자 한다.

2. 외국인 유학생 관련 연구동향 및 이론

1) 외국인 유학생의 연구동향

외국인 유학생 관련 연구는 크게 두 가지 분야로 구분할 수 있다. 첫째로 외 국인 유학생의 유치에 관한 연구로 외국인 유학생의 유치 확대 전략, 취업연계 장학 프로그램 개발 등의 연구가 있다(노종희 외, 2003). 둘째로는 유학생의 적 응과 지원에 관한 연구로 유학생의 한국어 교육과정 연구(최윤곤, 2003), 한국 문화 적응과 문화적응 스트레스 연구(엄혜경, 2003), 대학생활 적응에 관한 연 구(이재모, 2007), 유학생 전담기구에 관한 연구(최정순 외, 2007) 등으로 유학 생의 적응과 지원에 필요한 세부 부문별 연구들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선행연구를 검토한 결과 몇 가지 한계점을 파악할 수 있었다. 첫째, 외국인 유학생의 연구 대부분이 2000년대 이후의 연구로 다양한 학문분야에서의 외국 인 유학생에 대한 접근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지리학적 관점에서 외국인 유 학생에 대한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따라서 지리학적 관점으로 외국인 유학 생이 유입된 이후 그 지역에 영향을 미쳐 나타난 변화의 양상을 고찰하는 것이 요구된다. 둘째, 외국인 유학생의 이주와 적응을 함께 다루는 통합적 관점에서 의 연구가 부족하다. 그간 유학생의 유치에만 치중하거나, 유학생의 미시적인

(4)

단위의 적응 양상에 대한 연구에만 관심이 집중되어 왔다. 또한 외국인 유학생 의 적응과 지원에 관한 연구는 적응을 위한 어학, 학습, 문화적응, 대학생활 적 응 등의 연구가 대부분이다. 셋째, 외국인 유학생에 관한 부족한 연구로 인해 이들이 국내로 유입한 후 어느 지역에서 어떠한 생활을 하고 있는 지에 관한 기초연구도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이다. 따라서 외국인 유학생의 국내 공간적 분포패턴을 밝혀 유학생 연구에 보완이 필요하다.

이처럼 기존의 연구에서는 외국인 유학생이 어떤 원인으로 유입되었으며 이 들이 분포하고 있는 공간적인 특성은 어떠하며, 유학생들이 생활하고 있는 지 역사회에서의 공간적 적응 과정을 실증적으로 규명한 연구가 거의 없었다. 따 라서 외국인 유학생이 유입되어 지역사회에 미치는 영향력이 어느 정도인지 파 악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2) 외국인 유학생의 국제이주와 적응

국제이주에 관한 이론 또는 접근 방법은 이주에 관한 이론과 적응과정에 관 한 이론으로 크게 두 가지 측면에서 구분할 수 있다. 석현호 등(2003)은 이주 의 원인뿐만 아니라 이주의 전 과정을 연구대상으로 삼을 필요성을 강조하면 서 이주의 거시적 요소와 미시적 요소를 함께 설명하는 행위체계론적 접근을 제안한다. 본 연구에서는 국제이주와 적응과정이 서로 밀접한 관련성이 있다 는 점을 인식하고 외국인 유학생의 국제이주에 영향을 주는 국제이주이론과 적응 이론을 함께 고려하여 외국인 유학생의 국제이주 전 과정을 포괄적으로 고찰하였다.

(1) 국제이주에 관한 이론적 고찰

외국인 유학생들의 세계적 이동과 국지적 적응 과정은 세계적 공간과 지방 적 공간의 상호 접합과정, 즉 세방화(glocalization)과정을 배경으로 이뤄지며, 따라서 사회 공간적 또는 규모적(scalar)해석을 필요로 한다. 국제적 인구이동 의 한 유형으로써 유학은 세계화나 유학생 교류의 제도화 등과 같은 중요한

(5)

거시적 요인에 의해 규정되기도 하지만, 낯선 타국에서 학업이라는 문화적 조 건과 개인적, 사회적 그리고 경제적 관점에서 기존 생활환경의 변화라는 미시 적 요인과도 깊이 관련 있다(안영진, 2008). 이에 외국인 유학생의 국제적 이주 의 배경에 관한 거시적 측면과 이주의 행위적 차원인 미시적 측면을 상호 연계 시켜 분석할 필요가 있다.

먼저 거시적 차원에서 외국인 유학생의 국제이주 현상은 세계체계적 관점에 서 살펴볼 수 있다. 세계체계론적 접근(Castells, 1989; Sassen 1989; Morawasaka, 1990)에 의하면 자본주의 경제의 주변국 시장 침투가 국제이주를 일으키는 근 본적 원인이라는 것이다. 중심국의 자본가들은 더 높은 이윤과 더 많은 부의 축적을 위하여 농지, 원자재, 그리고 노동 및 소비시장을 찾아 주변국들로 침 투해 들어간다. 이 이론에 의하면 인구이동이란 세계화 과정에서 국가들이 자 본주의 경제속으로 균형적으로 편입됨에 따라 주변부 국가의 저임금 노동력이 중심부 국가로 상대적으로 풍부한 고용기회와 고소득을 찾아서 이동하기 때 문에 발생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인구이동의 유형 중 노동력에만 한정된 것이 아니라 오늘날 세계화 과정에서는 유학생의 국제적 교류와 이동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

국가적 차원에서 인구이동을 설명하는 대표적인 모델로 배출-흡인요인 모 델이 있다. 이 모델은 경제학적 관점보다는 사회학적 관점에서 기원지의 배출 요인과 목적지의 흡인요인을 비대칭적으로 파악하고 있다. 외국인 유학생은 배출국에서의 정치·경제·문화·사회·교육 등의 측면에서 이주에 영향을 미치 는 배출요소와 외국인 유학생의 이주를 끌어당기는 유입국의 정치·경제·사 회·문화·교육 등의 측면에서 나타나는 요소들 간의 비교를 통해서 이주 현상 이 나타나게 된다.

미시적 차원에서 국제이주를 설명하는 이론으로는 인적자본론과 행태적 접 근이 있다. 이주에 대한 신고전경제학의 미시이론인 인적자본론은 이주를 인 적자본 투자 현상으로 개념화 하고, 사람들은 자신의 인적자본(교육, 경험, 훈 련, 언어능력) 등을 투자하여 고용이 가능한 지역, 비용-이익의 계산에 의해 서 가장 큰 순이익을 얻을 수 있는 지역으로 이주한다는 것을 가정한다(석현호

(6)

등, 2003). 또한, 신고전적 접근방법에서 제기되고 있는 이주자의 행태에 관한 연구는 인간이 경제인(economic man)이라는 규범적인 가정에서 벗어나 인간은 만족자(satisfier) 또는 제한적 합리성(bounded rationality)을 가진 자라고 보고 있다. 따라서 행태주의적 접근 방법에서는 현실세계에 대한 단순하고도 왜곡 된 가정을 벗어나 가능한한 개개인의 인지에 기초를 둔 행태를 설명하려고 시 도하고 있다. 인적자본론의 관점과 행태주의적 관점을 외국인 유학생의 국제 이주에 적용시켜 살펴 볼 수 있다. 개인 단위의 국제이주 현상인 유학을 결정 할 때 이주에 따른 비용-이익의 계산을 통해서 순이익을 얻는 지역인 유학 대 상국으로 이주할 수 있다. 여기서 비용-이익의 계산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경 제적 측면인 현금 비용과 비경제적 측면인 심리적 비용을 포함하여 이익이 가 장 큰 쪽으로 유학대상국을 선택할 것이다. 마찬가지로 행태주의적 관점에서 도 인간을 경제인이 아닌 만족자라고 가정하고 유학생 개인의 주관적인 동기 가 작용하여 만족 수준이 가장 높은 지역을 유학 대상국으로 결정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유학생 개인의 주관적 동기요소를 유학에 영향을 미치는 미시 적 차원의 요소로 파악하였다. 외국인 유학생의 이주에 영향을 주는 개인적인 차원의 요소를 개인 내적인 동기와 개인 외적인 동기의 두 가지 측면으로 구분 하였다.

(2) 외국인 유학생의 적응에 관한 이론적 고찰

외국인 유학생의 적응은 유학을 시작한 이후 본국에서의 정상적인 대학생활 보다 더 어려운 적응과정을 겪어야만 하는 어려움을 안고 있다. 외국인 유학 생들이 개인적, 사회적, 환경적 변화에 적응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외국 인 유학생들이 적응에서 겪게 되는 문제들로는 향수병·음식 문제·언어문제·

의료 문제·재정 문제·장래 직업 계획·교우 관계·일상의 문제들·종교문제·

폭력 문제·차별 문제·교육 체제 차이·집을 구하는 일·새 집에 적응하는 일 등이 있다(Philips et al., 1997). 외국인 유학생은 언어 적응, 대학 생활의 학업적 적응, 심리적 적응, 사회적인 적응, 대학생활 적응 등 몇 가지 측면에서 적응이 필요하다.

(7)

외국인 유학생의 지역사회 활동은 외국인 유학생의 생활공간 범위를 모두 포괄한다. 먼저 유학생의 핵심적 활동인 대학 내 활동과 보조적 활동인 지역사 회에서의 활동으로 구성된다. 대학 내 활동은 다시 세부적으로 학교 지원 활 동, 수업·연구활동, 교류활동으로 구분할 수 있다. 또한 지역사회활동은 사회 복리활동, 생존유지활동, 사회공간활동으로 구분한다(그림 1).

(3) 외국인 유학생 연구틀

본 연구에서는 외국인 유학생의 국제이주 현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 석하기 위해서 세계적 배경·국가적 요소·개인 행태적 요소로 세 가지 차원으 로 구분하였다. 외국인 유학생의 국제이주는 앞서 제시한 세 가지 측면의 요 소들이 개별적으로 작용하는 것이 아니라 거시적 배경과 개인의 행위적 차원이 상호 연계되어 나타나는 현상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설문조사 문항으로 국제이주의 원인을 거시적 차원에서 접근하는 질문과 개인 행위적 차원에서 접 근하는 내용으로 구성하였다.

국제이주의 원인에 해당하는 설문조사 문항으로는 거시적 차원에서 배출국 과 유입국의 정치·경제·사회·문화·교육 등의 측면에서 영향을 미치는 정도

그림 1. 외국인 유학생의 지역사회 활동

(8)

를 제시한다. 또한 미시적 차원에서의 이주 원인에 대한 문항으로 개인의 내적 동기와 개인외적 동기를 배출국과 유입국의 상황으로 구분하여 문항을 구성하 였다.

한편 외국인 유학생의 이주 후 지역사회 적응을 위한 환경으로는 대학 내에 서의 학업과 관련된 활동과 지역사회 내에서의 여가생활, 지리적 이동 등의 사 회 공간 활동까지 포함한다. 각각의 환경에 따른 적응의 실태를 설문조사 문 항을 통해 분석하고자 한다. 외국인 유학생의 적응 실태에 관한 문항으로는 대학 내 활동에서 학교 지원활동, 수업·연구활동, 교류활동으로 구분하여 제 시하고, 지역사회 활동에서는 사회복리활동, 생존유지활동, 사회공간활동으로 구분한다(그림 2).

그림 2. 외국인 유학생 연구틀

(9)

3. 국내 외국인 유학생의 공간적 분포

1) 외국인 유학생의 현황

외국인 유학생 수는 1994년에는 1,879명에 불과하였으나 해마다 꾸준히 증 가 하였다. 정부가 본격적으로 유학생 유치정책을 추진한 2001년 11,646명에 서 매년 급격하게 증가하여 2005년 2만 명, 2006년 3만 명을 넘어섰으며, 연도 별 증가율도 30% 이상으로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특히 2007년에는 이미 2010 년 유치목표인 5만 명에 육박하였다(교육과학기술부, 2007 국내외국인 유학생 통계 보도자료). 또한 교육과학기술부의 국내 고등교육기관 정원수 통계에 따 르면 2004년에 국내 대학의 총 정원수는 2,325,389명에서 2007년에는 1,995,236 명으로 14.2% 감소하였는데도 불구하고 국내로 유입한 외국인 유학생의 수는 오히려 2004년에 비해 32,432명(192.7%) 증가한 것으로 나타난다. 외국인 유학 생의 비율 또한 2004년에 0.72%에 불과하던 비율이 2.47%로 증가한 것으로 볼 때 외국인 유학생의 국내 유입이 최근 몇 년 사이에 급격하게 증가하였다는 점 을 확인할 수 있다. 아직까지는 전체 대학 총 정원수에 비해 5%에 미치지 못하 는 적은 수치에 불과하지만 최근 몇 년 사이의 증가 추세로 볼 때 앞으로 국내 대학에 외국인 유학생 수의 증가로 미치는 영향력은 클 것으로 예상된다.

2001년부터 출신 대륙별로 외국인 유학생의 수를 보면 아시아의 비중이 압 도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난다. 2001년에는 8,755명(75.2%), 2007년에는 45,622명(92.6%)으로 외국인 유학생의 수와 비율이 급격하게 증가하였다.

표 1. 국내 대학 총 정원과 외국인 유학생 수

(단위: 명, %)

2004 2007 증감 증감비율

국내 대학 총 정원 2,325,389 1,995,236 -330,153 -14.20 대학 및 대학원 재학

외국인 유학생 수

12,312 (0.53)

35,086

(1.76) 22,774 184.97 외국인 유학생 수

(어학연수 포함)

16,832 (0.72)

49,270

(2.47) 32,438 192.72

(10)

특히 2007년 4월 한국에 유학하고 있는 학생들을 출신 대륙에 따라 나누어 보면, 대륙 간의 불균형이 두드러진다. 아시아지역 출신의 유학생들은 92.6%

를 차지하여 다른 대륙의 유학생 수를 모두 더한 것의 13배를 넘는다. 아시아 대륙 다음으로 유학생 수가 많은 대륙을 순서대로 나열하면 북미, 유럽, 아프 리카, 남미, 오세아니아 순이다. 이러한 아시아 지역의 유학생 수 증가현상은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세계의 다른 국가들에서도 폭넓게 관찰되고 있는 현상이 다. 이는 아시아 국가들의 경제성장과정에서 우수한 인적자원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고 있으며, 이러한 현상이 해외유학으로 이어지고 있다고 분석된다(안영 진, 2008). 또한 아시아 국가가 한국과 지리적으로 인접해있으며, 문화적으로 유교문화권·불교문화권 등의 공통점이 나타나며, 한국의 대학이 미주 및 유럽 에서 보다는 아시아에서 경쟁력이 있기 때문으로 여겨진다. 최근 아시아 지역 에 번져가는 한류열풍 역시 외국인 유학생의 한국 유입을 부추기는 요인으로 작용했음을 추측해 볼 수 있다(한영옥, 2007).

그림 3. 출신 대륙별 외국인 유학생 수

자료: 교육인적자원부, 각 년도, 국내 외국인 유학생 통계보도자료

(11)

2) 외국인 유학생의 국내분포

외국인 유학생의 광역시·도 단위 분포를 살펴보면 2000년대 초기에는 수도 권 집중현상이 뚜렷하였으나 점차적으로 집중현상이 완화되고 비수도권 지역 의 외국인 유학생의 수가 증가하는 양상을 보인다. 수도권인 서울, 경기, 인천 지역의 외국인 유학생의 수를 더하면 2001년에는 8,774명(75.3%)으로 수도권 집중현상이 뚜렷하였다. 2001년에서 2007년 사이 증가율을 비교해 보면, 수도 권 지역은 외국인 유학생 총 수가 3배가량 증가했다면, 비수도권 지역은 2,872 명에서 28,224명으로 10배가량 증가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2005년부터는 비수 도권 지역의 외국인 유학생 수가 수도권 지역의 유학생 수를 초과하면서 가파 른 증가추세를 보였다. 상대적으로 비수도권 지역 소재 대학이 출산율 감소에 따른 정원확보의 어려움을 해결하는 수단으로 외국인 유학생의 유치 노력에 힘썼기 때문이다. 특히 비수도권 지역 소재 대학의 외국인 유학생 유치 노력에 따라 외국인 유학생의 지역별 분포 패턴에 차이가 나타났다.

교육과학기술부의 국내 외국인 유학생 통계자료를 통해서 외국인 유학생의 지역별 분포를 살펴보았다. 외국인 유학생 수의 변화 추이를 2001년과 2007년

그림 3. 출신 대륙별 외국인 유학생 수

자료: 교육인적자원부, 각 년도, 국내 외국인 유학생 통계보도자료

(12)

을 비교하여 보았을 때, 가장 큰 증가를 보이는 지역은 경상북도 경산시이다.

경산시는 2001년에는 외국인 유학생 수가 65명에 불과하였는데, 2007년에 외 국인 유학생 수가 2,165명으로 6년 사이 2,100명이나 증가하였다. 그 다음으로 청주시, 서울 종로구, 서울 서대문구, 서울 동대문구 순이다. 외국인 유학생 수 가 가장 많은 지역은 서울 서대문구로 2007년에 4,549명이다.

표 2는 외국인 유학생의 증감 수가 많은 순서대로 상위 10개 지역을 나타내 었다. 지역을 살펴보면 10개의 지역 중 5개 지역이 서울에 속해있는 지역이고, 해당 지역의 유학생 수도 2,000명 이상인 지역이 2곳이나 있어 서울지역의 외국 인 유학생 수의 비율은 높은 양상을 보였다. 외국인 유학생의 수가 10배 이상 증가한 지역은 대부분 서울을 제외한 지역이다. 이는 비수도권 지역 소재 대학 에서 정원 미충원 현상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외국인 유학생 유치 활동을 더욱 적극적으로 전개해 나간 결과이다.

그림 5, 6은 2001년, 2007년의 외국인 유학생의 분포현황이다. 2001년에는 2,000명 이상의 외국인 유학생 분포지역은 1곳으로 서울 서대문구뿐이다. 서울 성북구는 887명, 충청남도 아산시는 558명이었다. 이들 지역을 제외한 나머지

표 2. 시·군·구 지역의 외국인 유학생 분포

(단위: 명)

  2001년

(A) 2003년 2004년 2005년 2006년 2007년 (B)

증감 (B-A)

경산시 65 321 624 1,053 1,395 2,165 2,100

청주시 119 211 289 575 1,026 1,537 1,418

서울 종로구 198 320 680 560 1,174 1,478 1,280 서울 서대문구 3,310 2,047 2,053 2,219 2,519 4,549 1,239 서울 동대문구 1,136 1,145 1,302 1,398 1,634 2,219 1,083

서울 동작구 129 167 226 357 564 1,196 1,067

서울 성북구 887 537 710 867 2,538 1,870 983

대구북구 76 188 283 320 516 966 890

마산시 62 108 139 252 602 936 874

아산시 558 756 844 1,130 1,291 1,429 871

부산 남구 57 100 190 375 600 912 855

(13)

지역들은 500명 미만이 대부분이었다. 2007년에는 전국적으로 외국인 유학생 이 분포하는 지역이 크게 늘어났음을 확인할 수 있다. 2,000명 이상 3곳, 1,000 명 이상 7곳, 500명 이상 24곳으로 나타났다. 대체로 외국인 유학생의 수는 수 도권 지역과 충청권, 영남권, 대도시 지역으로 조사되었다.

4. 외국인 유학생의 사례지역 연구

유학생들이 인식하고 있는 국제이주의 원인과 적응 과정을 고찰하기 위해 국내 외국인 유학생 중 대구·경북지역을 사례지역으로 선정하여, 대구대학교 와 경북대학교의 외국인 유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2008년 4월부터 5월에 걸쳐 총 회수된 설문지 대구대학교 94부, 경북대학교 85부, 총 179부로 성별은 남자 90명, 여자 89명이다. 국내로 입국한 시기는 2007년에 입 국한 유학생이 98명(54.7%)으로 가장 많고, 출신 국가는 중국이 162명(90.5%) 으로 압도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사례대학인 경북대학교와 대구대학교의 유학 형태별 현황은 2003

그림 5. 외국인 유학생의 시ㆍ군ㆍ구별 분포 (2001년)

그림 6. 외국인 유학생의 시ㆍ군ㆍ구별 분포 (2007년)

(14)

년에는 두 대학 모두 외국인 유학생의 수가 경북대학교는 167명이고, 대구대 학교는 157명으로 각 대학의 총 정원 수에 비해 낮은 비중을 차지하였다(표 Ⅳ -2). 이들 중 자비유학생과 장학생의 비율을 살펴보면, 경북대학교는 89명으 로 장학생이 더욱 많은 편이고, 대구대학은 35명으로 외국인 유학생 중 22.2%

가 대학 초청 장학생이었다. 점차 외국인 유학생의 수가 증가하게 되면서 2007 년에는 2003년 외국인 유학생 수의 3배 이상으로 경북대학교는 730명이고, 대 구대학교는 609명으로 조사되었다. 대학의 총 정원 수와 비교해 보면 2007년 에 경북대학교는 29,163명의 학생 중 2.50%가 외국인 유학생이고, 대구대학교 는 21,424명의 학생 중 2.84%가 외국인 유학생 인 것이다. 전국의 대학생 총 정 원에 대한 외국인 유학생 수의 비율이 2.47%인 것과 비교해 보면 두 대학의 외 국인 유학생 수 비중은 전국에 비하여 약간 높은 경향이 있다.

1) 외국인 유학생의 국제이주 원인

(1) 거시적 차원의 국제이주 원인

거시적 차원에서 국제이주원인을 출신국과 유입국의 경제·노동 측면, 정

표 3. 사례대학의 유학 형태별 현황

(단위: 명)

연도 자비유학 정부초청 대학초청 정부파견 기타 합계

경북 대학교

2003 76 1 89 0 1 167

2004 128 1 103 0 27 259

2005 263 0 32 0 0 295

2006 159 10 192 0 0 361

2007 678 20 30 2 0 730

대구 대학교

2003 122 0 35 0 0 157

2004 143 0 39 0 0 182

2005 243 0 43 0 20 306

2006 389 5 25 0 34 453

2007 538 6 20 0 45 609

(15)

치·사회 측면, 교육·문화의 측면의 요소로 구분하여 조사하였다. 출신국의 배출 요인으로 세 가지의 측면 중 가장 높은 값이 나타난 부분은 경제·노동의 측면인 ‘낮은 경제수준’, ‘고용기회부족’, ‘낮은 임금’이다. 이는 외국인 유학생이 유학을 결정 할 때 유학을 학업으로만 인식하는 것이 아니라 유학이후 자신의 사회적 진출까지 고려한 유학 결정임을 확인할 수 있다.

유학 대상국인 한국의 상황에 대해서 유학에 영향을 미친 요인을 살펴보았 다. 각 항목에서 점수가 대체로 3점 이하로 확인되었다. 이는 영향을 미친 정도 가 보통이하의 수준인 것이다. 출신국과 유입국의 상황을 비교해 볼 때, 유학 생들은 출신국에서의 배출 요소에 대해서는 2점 이하로 매우 낮게 인식하고 있 었으며, 유입국의 유입요소에 대해서는 2점 이상으로 출신국에서의 배출요소 보다 더 높게 나타나고 있다. 이는 유입국의 유입요인이 더 강하게 작용하여 외국인 유학생의 국제 이주가 발생한 결과로 볼 수 있다(그림 7, 8).

이상에서 유학에 영향을 미친 간접적인 요소로서 국가적인 배경에 대한 조사 를 실시하였다. 유학에 영향을 미친 국가적인 배경의 요소로 배출-흡인 요인 을 세부적으로 구성하여 각 요소간의 차이를 확인하려 하였으나, 실제 설문조 사 결과 각 세부 영역별 요소간의 뚜렷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 었다. 설문조사 결과에서는 대체로 3점 이하로 거시적 측면의 이주 원인의 영 향력이 낮게 나타나고 있지만 거시적 차원의 이주원인은 유학생에게 무의식적

그림 7. 유학에 영향을 미친 출신국의 요소 그림 8. 유학에 영향을 미친 유입국의 요소

(16)

으로 영향력을 미쳤을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2) 미시적 차원의 국제이주 원인

외국인 유학생이 유학을 결정하는데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친 출신국의 요소 중 ‘학력 및 연구 능력 향상’(3.92점)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개인 내적 동기의 출신국 요소로 ‘학력 및 연구 능력의 향상’, ‘학문적 욕구의 충족’, ‘사회적 신분 상승’, ‘취업에 유리 부분’이다. 대체로 이들 네 가지의 부분이 외국인 유학생의 개인적 요소에서 3점 이상으로 나타나 영향을 미친 정도가 개인 외적 동기들보 다 높게 나타났다.

개인 외적 동기인 ‘유학 및 박람회’, ‘부모의 권유’, ‘학교나 교수의 권유’, ‘주 변 사람들의 권유’, ‘정부·대학의 장학제도’ 측면에서는 3점 이하로 개인 내적 동기에 비하여 영향을 미친 정도가 낮게 나타나는 편이었다. 특히 ‘유학 및 박 람회’를 통해서 유학을 결정하게 되었다는 경우는 43.9%가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고 응답하여 평균 점수가 2.20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본 연구와 같이 최정순 등(2007)의 연구에서도 대학 외국인 유학생의 유치를 위한 방안으로 유 학박람회 및 유학원을 통한 유학생의 유치 효과를 낮게 평가하고 있었다. 또 한 사례대학의 유학생 업무 담당자와의 인터뷰에서도 유학생의 유치에서 박람 회를 통한 효과에 대해서는 낮은 수준의 영향을 지적하였다.

대체로 외국인 유학생의 경우 출신국에서 미시적 차원의 국제이주 요소들에 대해서는 국가적 차원의 요소보다 영향을 미치는 정도가 높은 경향을 보인다.

특히 미시적 요소들 중에서 개인 내적 동기에 따른 영향 정도가 가장 높게 나 타났다.

외국인 유학생이 유학을 결정하는데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친 개인적 요소를 알아보기 위해 한국의 상황에 맞는 요소들의 영향 정도를 알아보았다. 먼저 개 인적 동기에 해당하는 내용은 ‘한국 문화에 관심 정도’가 3.34점이고, ‘한국어 능력 필요’가 3.65점으로 둘 다 3점 이상으로 비교적 높은 영향을 미쳤다. 그 외 에도 점수가 3점 이상인 문항은 ‘대학의 명성 정도’가 3.24점, ‘지리적 인접성’이 3.41점, ‘다른 선진국과 비교했을 때 저렴한 생활비’ 정도가 3.12점으로 나타났

(17)

다. 먼저 유학 온 ‘친구나 선배의 권유’나 ‘한국에서의 아르바이트가 가능’한 부 분은 2.56점으로 다른 요소에 비해 낮은 점수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살펴보았을 때 외국인 유학생이 유학을 결정할 때 영향을 미 치는 개인적인 요소 중 한국의 상황은 한국어 능력이 필요하고, 한국 문화에 관심이 높으며, 상대적으로 가까운 거리에 있는 국가이면서 선진국에 비해 저 렴하기 때문이다.

2) 외국인 유학생의 적응과정

(1) 대학생활 적응

외국인 유학생이 인식하는 대학생활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를 살펴보았다.

설문조사 결과 ‘보통’ 97명(55.4%), ‘다소 만족’ 57명(32.6%), ‘매우 만족’이 12명 (6.9%), ‘다소 불만족’(4.0%), ‘매우 불만족’(1.1%) 순으로 나타났다. ‘다소만족’

이상의 응답자가 39.5%로 외국인 유학생의 대학생활에 대한 만족도는 비교적 높은 편인 것으로 이해된다.

영역별 비교를 위해서 대학 생활과 관련 있는 세부영역별 응답결과를 5점을 부여해 전체 평균점수를 계산해 보았다. 응답의 내용을 살펴보면 대학 생활 내 세부 영역별 만족도가 대체로 3점 이상으로 보통이상의 만족 수준이 나타남

그림 9. 유학에 영향을 미친 개인적 요소(출신국) 자료: 설문조사에 의함.

그림 10. 유학에 영향을 미친 개인적 요소(유입국) 자료: 설문조사에 의함.

(18)

을 확인할 수 있다. 가장 높게 나타나는 부분은 ‘교내 행정기관 및 편의 시설의 이용’으로 3.58점으로 나타났다. ‘교우관계’는 3.44점, ‘전공의 학업성취 정도’는 3.34점, ‘한국어 교육지원 프로그램’과 ‘대학의 장학 및 지원제도’는 3.30점, ‘학 교 밖의 교류활동’은 3.29점 순으로 나타났다.

(2) 지역사회 적응

외국인 유학생의 대구·경북지역 생활에 대한 만족도는 다소 만족 31.8%, 다 소 불만족 29.0%, 보통 27.3%, 매우만족 10.8%, 매우불만족 1.1%로 나타났다.

5점 척도 점수는 3.22로 대학생활 만족도의 3.40점 보다 약간 낮은 수준으로 확인되었다.

지역사회 정체성 정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지역사회 주민으로서의 느낌을 조 사한 결과는 ‘여전히 외국인이다’라고 응답한 유학생이 48.6%, ‘가끔씩은 지역 사회 주민으로 느낄 때가 있다’라고 응답한 유학생은 20.6%, ‘외국인으로 느낄 때와 지역사회 주민으로 느낄 때가 비슷하다’라고 응답한 유학생은 19.4%로 응 답하였다. 이를 5점 척도로 나타내면 1.99점으로 낮은 수준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외국인 유학생이 국내에 유입되어서 활동하는 지역사회에서 의 전반적인 생활에 대한 만족도 수준은 보통수준 이상으로 평가 되고 있지만, 실제로 이들이 인식하고 있는 지역사회의 구성원으로서 소속감은 아직 형성되 지 못하여 낮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인다. 따라서 외국인 유학생이 지역사회에 서 적응하기 위해서는 이들이 지역사회 구성원으로 소속감을 가질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외국인 유학생의 지역사회 적응에 관한 활동부문별 세부영역의 5점 척도 점 수를 비교해 보면, 사회복리활동 부분의 5점 척도 점수는 ‘행정 기관 및 의료 기관의 이용’은 3.37점, ‘여가시간을 이용한 아르바이트’는 3.03점으로 행정기관 및 의료기관에 대한 만족도가 더욱 높게 나타났다. 생존유지활동 부문의 점수 는 ‘주거 시설 및 주변 환경’이 3.39점, ‘기후·지연환경’은 3.42점이었다. 사회공 간활동 부문의 세부영역별 5점 척도 점수를 살펴보면 이웃과 의사소통은 3.11 점, 여가생활은 3.49점, 지리적 이동 3.28점으로 여가생활에 대한 만족도 점수

(19)

가 높은 편이었다. 전체적으로 지역사회 적응에 관한 활동부문별 세부영역의 5 점 척도 점수가 가장 높게 나타나는 영역은 ‘여가생활’이며, 여가시간을 이용한 아르바이트 활동에 대한 만족도는 가장 낮다.

각 집단 간 적응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지역사회 적응의 세부영역과도 교 차분석을 실시해 보았다. 각 집단 간의 적응은 세부영역별로 뚜렷한 경향성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이들 집단 중에서 한국어 구사능력 수준에 따른 집단 간의 적응특성은 한국어 구사능력이 높은 집단일 수록 적응 정도가 높은 경향 성을 보였다(표 4). ‘이웃과 의사소통’을 제외한 나머지의 모든 영역에서 한국어 구사능력이 ‘어려움’에 해당하는 집단보다 ‘보통이상’에 해당하는 집단의 적응 정도가 높았다. 이는 의사소통 능력이 유학생이 지역사회에 적응하기 위한 기 본조건이 됨을 나타내 준다. 따라서 대학을 비롯한 지역사회의 측면에서 한국 어 구사능력이 저조한 학생들에 대해 지속적인 관심으로 한국어 교육을 지원 해 주고, 이들이 타국에서 학습을 위해 머무르는 기간 동안 적응 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할 것이다.

외국인 유학생의 사회공간활동 중 이웃과의 의사소통을 살펴보기 위해 교우 관계의 특성을 조사하였다. 유학생이 현재 친하게 지내고 있는 한국인 친구의

표 4. 한국어 구사능력에 따른 지역사회 생활 만족도

  행정 및

의료기관

여가이용 아르바

이트

이웃과 의사소통

주거 및 주거 주변

환경

기후 자연 환경

여가 생활

지리적 이동

한국어 구사 능력

어려움 3.26 2.91 3.19 3.34 3.28 3.38 3.21 보통 이상 3.44 3.13 3.04 3.42 3.52 3.56 3.33

표 5. 한국인 친구에 따른 유학생활 만족도

유학생활 만족도 대구·경북지역 생활 느낌 지역사회 주민 느낌

없음 3.36 3.04 1.78

1~2명 3.41 3.16 1.88

3명 이상 3.42 3.40 2.27

(20)

정도를 조사한 결과는 외국인 유학생은 한국인과 친하게 지내는 친구의 수가 전혀 없는 유학생이 26.6%, 1~2명은 39.0%, 3~5명 이상은 34.4%로 나타났다.

외국인 유학생의 한국인 친구 정도를 3개의 집단으로 구분하여 각 집단에 대한 유학생활 만족도를 5점 척도로 알아보았다. 한국인 친구의 수가 많을수록 유 학생활의 만족도가 높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였다(표 5).

3) 외국인 유학생의 유치·지원제도와 문제점

(1) 정부의 외국인 유학생 정책과 문제점

교육인적 자원부는 ‘해외 인적자원 개발을 통한 동북아 중심국가로의 도약’

을 위한 『외국인 유학생 유치확대 종합방안(Study Korea 프로젝트)』을 마련하 였다. 이 방안은 2001년 수립하여 추진하기 시작하였으며 2004년에 수정안을 내놓았다. 정부차원에서는 유학생 유치 확대를 위한 장학사업, 해외 네트워크 구축, 유학 박람회개최 등을 시행하고 있으며, 유학생을 위한 지원으로 유학생 의 생활환경 개선, 한국어 보급, 효율적인 행정 지원 체제의 구축 등을 외국인 유학생 지원을 위한 중장기 대책을 마련하여 시행 중에 있다.

사례 대학에서 나타난 정부차원의 외국인 유학생에 대한 문제점을 살펴보기 위해서 입국과정에서 개선점과 유학 결정과정 중의 어려움을 조사하였다. 유학 입국 과정 중에서 나타나는 문제점은 ‘중개인이나 유학원 비용’이 30.6%로 가 장 큰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정부에서 추진하고 있는 유학홍보 전략에서 유학박람회를 통한 홍보의 비중이 다른 부문에 비하여 높은 편이다. 유학 결정 과정 중의 어려움을 질문한 결과 35.8%가 ‘유학 정보의 부족’에 응답하였다. ‘새 로운 환경에 대한 두려움’은 26.5%, ‘유학 경비 마련’도 19.2%로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내용은 정부에서 실시하고 있는 유학생 홍보 방법에서 개선이 필요함 을 알려주는 결과이다. 정부에서는 유학생이 원하는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서 실제 유학하고 있는 유학생들의 현재 생활에 대한 정보를 더욱 구체적으로 제 공하거나 먼저 유학하고 있는 유학생과 연결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구성하여 야 한다.

(21)

(2) 대학의 외국인 유학생 제도와 문제점

대학에서는 대학의 국제화 이미지 형성 및 대학의 정원 부족 문제의 해소 등 을 위해서 외국인 유학생을 유치하고 있다. 국내의 대학들은 해외 현지 유학 원, 자매 대학 연계, 현지 고교 연계, 유학 박람회 등을 활용하여 유학생을 유 치하고 있다. 대학에서 시행하고 있는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지원제도로는 학 교생활 안내서의 발간, 외국인 유학생의 의사소통 공간 조성, 국제 학생 사무 실의 개설, 외국인을 위한 강의 확충, 한국학생을 1대1도우미로 배정하여 외국 인 유학생을 돌봐주는 프로그램 등을 실시하고 있다.

사례 대학에서 나타난 외국인 유학생의 어려움을 살펴보기 위해서 교우관계 에 대한 어려움과 지역사회 생활에서의 어려움, 수업·연구활동에서 개선점을 조사하였다. 교우관계에 있어서 어려운 점에 대한 질문 결과 가장 높은 부분 이 문화의 차이에 따른 이해부족이 29.7%로 나타났고, 의사소통이 24.7%, 외 국인 편견이 19.0% 순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외국인 유학생은 교우관계에 있어 서 문화적 장벽을 가장 큰 장애요소로 느끼고 있으며 그 외에도 의사소통, 외 국인 편견 등의 문제로 한국인과의 교우관계에 있어서 어려운 점들을 지적하 고 있다. 외국인 유학생의 지역 생활 적응에 어려운 점으로는 ‘의사소통의 어려

그림 11. 한국 유입 과정 중 개선점 자료: 설문조사에 의함.

(22)

움’이 가장 높은 비율인 29.9%로 나타났고, ‘비싼 생활비’ 22.4%, ‘외국인에 대 한 편견’ 15.0%, ‘지리적 이동의 어려움’ 12.9% 순으로 나타났다. 지역 생활에 있 어서 유학생이 겪고 있는 가장 큰 어려움이 의사소통 문제이므로 지역사회에 잘 적응하기 위한 방안으로 대학에서 지역생활에 유용한 한국어를 우선적으로 교육하는 것이 필요하다. 수업·연구 활동에 개선할 사항에 대해서 조사한 결 과 35.4%가 ‘외국인에 대한 배려’가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다음으로는 ‘기타’

25.5%, ‘전공 교육과정의 적절성’이 22.4% 순으로 나타났다. 국내 대학에서는 외국인에 대한 배려가 부족한 점을 인식하고 이에 대한 대처방안을 모색하여 야 한다. 예를 들어 외국인만을 위한 전공 강의를 따로 개설하여 운영하는 것 도 한 가지 방법이 될 수 있다.

5. 결론

본 연구는 외국인 유학생의 국제이주의 원인을 파악하고 유학생의 국내 공 간적 분포 특성을 파악하였다. 또한 대구·경북지역의 대학을 중심으로 유학생

그림 12. 교우관계에 있어서 어려운 점 자료: 설문조사에 의함.

(23)

의 지역사회 적응 양상에 대하여 고찰하고 이에 대한 대책을 간략히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첫째, 외국인 유학생의 공간적 분포 특성은 유학생 유입 초 기단계에는 수도권 지역의 유학생이 압도적으로 많이 분포하였으나, 점차적으 로 수도권의 집중현상은 완화되고 있다. 둘째, 외국인 유학생의 국제이주 원인 으로 거시적 차원의 배출-흡인 요소 보다는 미시적 차원의 배출-흡인요소가 국제이주 결정에 높은 영향을 주었다. 거시적 차원의 이주 요인은 출신국의 경 제·노동의 측면, 유입국의 교육·문화적 측면의 요소가 높은 이주요인으로 작 용하였다. 또한 대체로 출신국에서의 배출요인보다 유입국에서의 흡인요인이 유학 결정에 더 크게 영향을 미쳤다. 미시적 차원의 이주 원인들 중에서 유학 생에게 큰 영향을 미친 요소로는 출신국 요소로는 학업과 관련된 욕구의 향상 및 취업의 요소가 크게 영향을 미쳤고, 한국의 강한 흡인 요소로는 상대적으로 가까운 거리, 한국문화와 언어에 대한 관심, 저렴한 생활비 등으로 나타났다.

셋째, 외국인 유학생의 지역사회 적응에 필요한 각 요소별 양상은 개인별로 상 이하게 나타났다. 적응 양상을 5점 척도로 나타낼 때 대학생활에 대한 적응은 3.40점, 대구·경북 지역사회에 대한 적응은 3.22점, 외국인 유학생의 지역사회 정체성대한 조사에서는 1.99점이다. 지역사회 정체성이 높을수록 외국인 유학 생의 적응이 높게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국어 구사능력이 높으며 한국 인 친구의 수가 많을수록 대학생활 및 지역사회에서의 적응에 용이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외국인 유학생의 국제이주와 적응에 대한 대책과 제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외국인 유학생의 이주 과정 중 유학생은 정보가 부족하고 높은 중개비용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실질적으로 외국인 유학생 이 필요로 하는 다양하고 종합적인 정보를 제공해야 한다. 특히 성공적인 유학 사례를 중심으로 유학정보를 제공하는 홍보 전략을 필요로 한다. 유학원 및 중개업체에 대해서도 우수 유학원에 대한 인증제, 유학원 허가제도 등의 적절 한 방안이 도입되어야 할 것이다.

외국인 유학생을 단기적으로 이주하는 유학생의 관점에서 벗어나 장기적인 차원에서 지역사회 구성원임을 인식하고 이들이 지역사회에서 영향력을 발휘

(24)

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를 마련해야 한다. 뿐만 아니라 외국인 유학생이주 원 인을 알고 이들을 국가 내에서 전문 인력으로 활용 될 수 있도록 해야 하며 이 를 위한 제도로 취업활동을 지원해 줄 수 있는 비자 전환이 요구된다.

유학생이 실제로 생활하고 있는 지역사회에서의 적응을 높이기 위해서는 지 역사회를 바로 알려야 한다. 이를 위한 방안으로 대학 내에서 유학생을 대상으 로 지역사회의 역사, 지리, 문화 등의 강좌를 개설하여 지역사회의 이해를 돕도 록 해야 한다. 정부나 대학뿐만 아니라 지역사회 차원에서도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배려가 필요하다. 내국인의 외국인 유학생에 대한 편견을 줄이기 위해 다 문화 축제 등을 개최하여 외국인 유학생에 대한 내국인의 바른 이해를 도와야 한다. 또한 외국인 유학생이 참여할 수 있도록 지역사회에서 구성원으로 인정 하고 이들의 자연스러운 참여를 유도하는 분위기를 형성해야 한다.

우리나라의 경우 아직까지는 외국인 유학생 유입의 초기단계로 유학생이 지 역사회에 미치는 영향력이 낮은 수준이라 할 수 있지만, 앞으로 외국인 유학생 들이 급속히 증가하면 이들이 지역사회에 미치는 영향이나 지역민들과 접촉할 수 있는 기회는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세계화와 지방화의 시대 에 경쟁력 있는 지역사회로 발돋움하기 위해서는 외국인 유학생의 적응에도 세 심한 관심이 필요할 것이다. 이러한 상황에 대비하여, 본 연구 결과는 외국인 유학생의 유입 원인과 지역사회에서의 적응 특성제안으로써 지역사회, 정부 및 대학의 외국인 유학생 유치와 지원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해 줄 것으로 기 대된다. 앞으로의 연구에서는 유학생이 유입된 이후 지역사회 내에서의 동화와 갈등 과정을 통해서 나타나는 구체적인 지역사회의 변화양상을 고찰하는 연구 가 필요하다.

2011년 11월 15일 접수, 2011년 12월 28일 채택

(25)

참고문헌

교육과학기술부, 2001, 국내 외국인 유학생 유치확대 종합방안(안),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2004, 외국인 유학생 유치확대 종합방안(‘Study Korea’ 프로젝트), 서울.

노종희·이일용·유길한, 2003, 외국인 유학생 유치확대를 위한 국가별, 지역별 마케팅 전략, 교육과학기술부 연구논문.

석현호·정기선·이정환·이혜경·강수돌, 2003, 외국인 노동자의 일터와 삶, 지식마당.

안영진, 2008, 외국인 유학생의 이주 현황과 특성: 이론적 논의와 실태 분석, 한국지역지리학 회 동계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엄혜경, 2003, 국내 외국 유학생의 한국 문화 적응에 관한 연구: 서울 5개 대학교를 중심으 로, 중앙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이재모, 2007, 국내 외국인 유학생의 적응 실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 학위 청구논문.

최정순·송향근·박석준, 2007, 해외인적자원 유치 확대 및 활용을 위한 유학생 지원 전담기 구 설립방안 연구, 교육과학기술부.

Castells, M., 1989, The Informational City: Information Technology, Economic Restructring and the Urban-Regional Process. Oxford; Basil Blackwell.

Morawasaka, E. 1990, The Sociology and Histography of Immigration, in Virginia Yans- MacLaughlin (ed.), Immigration Reconsidered: History, Sociology, and Politics.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Philips, T., and Bob, N. 1997, The World at Your Door. Minneapolis: Bethany House Publishers.

Sassen, S., 1989, The Mobility of Labor and Capital: A Study of International Investment and Labor Flow,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6)

A Study on International Migration of Foreign Students and Their Adaptation to Local Community:

Focusing on Daegu/Gyeongbuk Area

Eun-Kyoung Park*

Abstract_The number of foreign students studying in domestic higher educa- tional institutes in South Korea exceeded 49,000 in 2007. One reason to pay attention to the rapid expansion of foreign students is that the impact of them on local community also becomes greater as their proportion increases. Under this circumstance, considerable discussions concerning them from several aspects have been undertaken. However, most of researches are limited to partial aspects of either strategy to attract foreign students or their academic and cultural adap- tation. Therefore, this study selects universities in Daegu and Gyeongbuk area and intends to analyze the migration causes, to figure out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spatial distribution, to examine their adaptational patterns and finally to suggest some measures for them. The study results based on these are summa- rized as follows: Firstly, as for foreign students’ spatial distribution, Seoul and its surrounding area was where foreign students are most frequently located at the early stage of their migration. Secondly, the questionnaire survey results show that the macro level of push-out/pull-in factors has a greater impact on foreign students’ migration than the micro level of them. Thirdly, the adaptation patterns across each dimension show individual differences. In particular, the foreign stu- dents who have a higher Korean language ability and more Korean friends show a better adaptation to university and local community. In addition, the results show that those with higher adaptation level to the life of study abroad and local community have a higher level of perceived identity as a member of their local community, through which a contribution of those foreign students with higher

* Daegu Kyung-il Middle School Teacher, Geography, shine0924@paran.com

(27)

identity as a community member to the development of the local community may be anticipated.

Keywords_ Foreign Students, International Migration, Adaptation to Local Community of Foreign Students

참조

관련 문서

□ 고급기술 보유 외국인 근로자에 대한 이민 개방정책을 유지하는 반면 저기술 외국인 근로자 유입에 대한

생활안정 외국인 상담소 의료지원 후원 교육지원 외국인 상담소 상담 및 통역. <표 6-13> 국제자원봉사활동의 종류와

* 배우자가 국내 거주하지 않는 재외국민이거나 외국인 등록을 하지 않은 외국인인 경우(국적상실자 포함) 그와 혼 인관계에 있는 자는 임대주

고용허가제는 매년 산업별로 외국인 근로자 신규 도입 규모 (Quota) 를 정한다.. 「출입국 외국인 정책 통계월보」. 계절근로자 제도는 고용허가제와 마찬가지로

받고 정규학교로 입학이 가능해진다.또한 출입국관리소에서 외국인 등록,국 적 취득 시부터 입학 절차 안내가 강화되고,교육청에 다문화 코디네이터를

자연스레 학교 에서도 이러한 4차산업혁명 시대에 발맞춘 인재를 양성하기 위하여 새로운 교구 와 교육방식을 제공할 수

국내 최고수준의 교육중심대학이라는 비전에는 지역대학으로서 지역발전과 혁 신에 기여할 수 있는 지식을 개발하고 인재를 양성하겠다는 지역혁신

분석 결과, 대체로 외국인 투자자는 국내기업의 재무성과와 기업가치에 유의한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 으로 나타나 외국인 투자자가 국내기업들에 대해 기업경영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