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주요 주력산업 동향 및 최근 이슈 - ④ 디스플레이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주요 주력산업 동향 및 최근 이슈 - ④ 디스플레이"

Copied!
6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 디스플레이 산업은 세계 시장의 약 37%를 점유, 17년째 1위를 유지하는 국내 유일 산업

◆ 최근에는 탄소중립 실현, 중국 등 경쟁국의 추격, 인력 부족 및 유출 등이 주요 이슈

1. 산업 개요

● (산업정의) 액정 표시장치, 유기발광 표시장치 등 각종 표시장치 모듈 및 부분품을 제조 하는 산업활동

- 각종 형상의 액정 표시장치(LCD 디스플레이) 모듈 및 부분품을 제조하는 산업활동, 형광성 유기 화합물 등 자체 발광형 유기 물질을 이용한 표시장치를 제조하는 산업활동, 플라 즈마 디스플레이(PDP) 등 기타 표시장치 모듈 및 부분품을 제조하는 산업활동 등

* 한국표준산업분류(세분류 코드 2621(표시장치 제조업) 등)

● (산업규모) ’19년 기준 생산액 58조원(전체 제조업 중 3.8%), 부가가치액 26조원(4.7%),

’20년 기준 수출액 262억 달러(5.1%)를 차지하는 산업

< 디스플레이 산업 주요 지표 및 제조업 내 비중 >

구 분 생산액 부가가치액 사업체수 종사자수 수출액 수입액

디스플레이 산업 58조원 26조원 590개 66천명 262억 달러 99억 달러

제조업 내 비중 3.8% 4.7% 0.1% 1.6% 5.1% 2.6%

* 산업통계분석시스템(ISTANS), 생산액/부가가치액/사업체수/종사자수는 ’19년, 수출액/수입액은 ’20년 기준

● (산업위상) 사업체 및 종사자수 비율은 높지 않으나, 국내 주요 제조업 전체 부가가치액의 4.7%(4위, ’19년), 수출액 5.1%(4위, ’20년)를 차지하는 등 경제 기여도가 높은 산업

- ’20년 기준 세계 시장의 약 36.9%를 점유하며 ’04년부터 17년째 세계 시장 1위를 유지하는 국내 유일한 산업이며, ’05년부터 지금까지 수출 품목 5위권 유지

< ’16∼’20년 디스플레이 시장 점유율(%, 금액기준) > < 한국의 디스플레이 분야 기술 선도 >

국 적 2016 2017 2018 2019 2020 한 국 45.8

(1위)

44.4 (1위)

42.6 (1위)

40.2 (1위)

36.9 (1위)

중 국 17.6 21.0 25.0 29.2 36.2

대 만 21.3 22.9 24.5 21.9 22.6

일 본 14.3 10.8 6.7 5.9 3.6

기 타 0.9 0.9 1.2 0.9 0.7

* OMDIA, 한국디스플레이산업협회(’21)

(2)

KIAT [정책자료 공유] - ◯26 주요 주력산업 동향 및 최근 이슈 - ④ 디스플레이

● (주요특징) 디스플레이 패널기업을 중심으로 전후방 연관효과가 큰 시스템 산업으로서, 시장선도를 위해서는 기술경쟁력, 트렌드 변화 대응 등이 중요

- 규모의 경제와 비용 효율화를 위해 대규모 설비투자가 필요하며, TV·휴대폰 등 완제품 트렌드에 따라 주력 패널 및 기업이 변화함에 따라 트렌드 예측과 선제적 기술투자가 중요 - 국내의 경우 패널생산기업(삼성디스플레이, LG디스플레이)을 중심으로, 패널 제조공정에

사용되는 소재·부품 및 장비 분야 약 1천여개 기업이 산업 생태계를 구성

< 디스플레이 산업 생태계 구성 >

* 한국디스플레이산업협회(’21, 통계청(’20) 기준이며 소재·부품·장비기업은 디스플레이 外 다른 매출처 다양)

2. 글로벌 산업 동향

● 글로벌 디스플레이 시장은 4차 산업혁명에 따른 IoT, AI 관련 수요 등으로 1,500억 달러 이상의 규모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전망이며, OLED 제품의 시장 점유가 확대되는 추세 - 對 중국 TV용 LCD 및 애플 아이폰용 LCD 수요 감소로 국내에서도 LCD 수출은 감소

하고 있으나, OLED 수출은 증가하여 ‘20년 최대치 기록

< ’19∼’27년 디스플레이 시장규모 및 전망(억 달러)> < 국내 디스플레이 수출액 및 증가율(백만 달러)>

* OMDIA, 한국디스플레이산업협회(’21) * 한국무역협회(’21)

(3)

- (패널산업) 초대형 LCD 및 OLED 시장에서 높은 점유율을 보유하고 ‘폴더블, 롤러블, 스트레처블’ 등 혁신 기술에서 세계 최초 타이틀을 차지하고 있으며, 최근 중국의 저가형 LCD 물량 공세와 OLED로의 시장 전환 가속화에 따라 LCD 출구전략* 추진

* LG는 ’20년 LCD 철수를 발표하고 생산 연장 중이며, 삼성도 ’20년 철수를 발표하고 ’22년 철수 전망

< 글로벌 대형 LCD 시장점유율(금액기준, %)> < 글로벌 OLED 시장점유율(금액기준, %)>

* OMDIA, 한국디스플레이산업협회(’20)

- (소재·부품산업) 액정, 글라스 등 LCD 핵심소재는 원천기술력 부족으로 해외 기업이 국내에 공장을 세워 생산하고 있으며, OLED의 경우에도 패널 제조공정용 소재는 일부 국산화하였으나 핵심소재*는 전량 일본·유럽에 의존

* FMM(Fine Metal Mask), Polyimide, Red·Green dopant 등이며, 특히 FMM의 경우 일본의 DNP 제품에 100% 의존, 국산 대체 시도는 있었으나 양산 라인에 적용 실패

< OLED 패널 제조용 소재 평균 국산화 비율 > < OLED 패널 제조용 모듈부품 평균 국산화 비율 >

* 스톤파트너스(’20)

- (장비산업) LG·삼성디스플레이와의 공동 R&D를 통해 국산화 비중을 확대하고 있으나, 초기 진입이 쉬운 장비 위주로 성장하여 일본·미국 기업에 비해 부가가치가 낮은 상황

* PI기판, TFT 공정 등 前 공정 대비 평균 매출이 낮은 모듈 분야에 주로 국내 기업 포진

< OLED 패널 제조장비 평균 국산화 비율 > < OLED 패널 제조용 모듈장비 평균 국산화 비율 >

* 스톤파트너스(’20)

(4)

KIAT [정책자료 공유] - ◯26 주요 주력산업 동향 및 최근 이슈 - ④ 디스플레이

● 최근 중국이 정부 차원의 대규모 투자와 보조금 지원을 통해 ’18년 LCD 분야 세계 1위로 도약하였으며, OLED 시장에서도 한국을 빠르게 추격

* 중국 시장점유율 순위 : [LCD] 4위(’15) → 1위(’20), [OLED] 3위(’15) → 2위(’20)

- 후발주자인 중국의 OLED 제조라인 장비·설비는 한국에 비해 차세대 기술 도입과 활용 방면에서 유리하며, 핵심 인재 유치 등을 통해 OLED 분야 경쟁력 강화에 박차

< 정부 지원을 통한 중국의 부상과 향후 전망 >

* 한국디스플레이산업협회(’21)

3. 주요 이슈 및 현안

● (탄소중립 본격화) ESG 경영, 파리협약 이행 등을 위해 업계와 정부가 다각도로 노력하고 있으며, 저감장치 보급·가동률 제고, 관련 기술개발을 위해서는 보다 효율적 접근이 필요 - 디스플레이 산업은 ’17년 기준 국내 온실가스 배출 총량의 약 0.6%(전력 제외 4.6백만톤),

제조업의 약 1.8%를 차지, 수치는 높지 않으나 제조업 중 5대 多배출업에 포함

- 탄소 배출량은 ’14년까지 증가세를 보이다 저감장치 적용 등으로 감소하였으며, 업계에서는 세계 최초 ‘반도체·디스플레이 2050 탄소중립(‘21.03.)’을 선언하는 등 지속적 노력을 투입

< ’07∼’19년 디스플레이 산업내 원인별 탄소 배출량(천 톤) >

* 한국디스플레이산업협회(’20)

(5)

● (수요변동성 확대) COVID-19 이후 수요 증가로 실적이 개선되며 시장이 안정되었으나, 향후 회복국면 및 스마트폰 시장, 경쟁국 동향 등 수요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 존재 - COVID-19 확산으로 인한 언택트 수요 증가로 패널 가격이 상승하였으며, 집에 있는

시간의 증가로 OTT 및 게임 시장이 성장하여 TV의 대형화 및 프리미엄화로 연결

* 넷플릭스 전세계 구독자 수(백만명) : ’20년(Q1 기준) 182.9, ’21년(Q1 기준) 207.64

< 크기 및 디스플레이별 프리미엄 TV 출하량(천 대) >

* DSCC(’21, 프리미엄 TV에는 OLED, QLED, 8K LCD, Mini LED 등이 포함)

- 애플 아이폰13 모델 OLED 적용, LG 스마트폰 사업 철수, 중국 기업(샤오미, 오포, 비보, 화웨이) 점유율 변동 등 스마트폰 시장 이슈의 향방에 따라 긍정적·부정적 영향이 공존 - 디지털 전환 가속화로 초대형·초고화질 TV 및 모니터, 투명·행동인지·보안·자가제어

디스플레이 등 천문학적 시장이 창출될 것으로 전망됨에 따라 혁신 기술력 확보가 관건

● (경쟁국 추격 가속화) 정부의 집중지원에 힘입은 중국, 전통적 소재 강국 일본 사이에 낀 넛 크래커 상황으로, 추격과 견제에 대응하여 1위를 사수하기 위한 전략적 대응 필요 - (중국) ’03년 하이디스(현대전자 LCD 부문)를 인수한 BOE가 정부의 육성정책*에 힘입어

’18년 LCD 시장점유율 1위를 달성하고, 이제는 OLED 부문 투자를 확대**하며 맹추격

* 신형 디스플레이 육성정책(’14) → 제조 2025(’15) → 신형 디스플레이산업 혁신발전정책(’18)

** ’16년 기준 중국의 OLED 부문 투자는 29.5조원으로 LCD 부문 투자액 22.5조원을 상회

- (일본) 차세대 핵심소재 수출규제 및 특허소송*으로 한국을 견제하고 있으며, JOLED는 잉크젯 프린팅 방식의 OLED, 마이크로 LED 개발 등을 위해 中·美기업과 협업 확대

* 對 한국 불화폴리이미드 등 3개 품목 수출규제(’19), JOLED 對 한국 특허소송(’20)

(6)

KIAT [정책자료 공유] - ◯26 주요 주력산업 동향 및 최근 이슈 - ④ 디스플레이

- (대만) 폭스콘이 ’16년 일본 SHARP를 인수하여 현재 SHARP는 중국에서 10.5세대 LCD를 양산하고 있으며, 더불어 차세대 기술인 마이크로 LED 등으로 사업 확장 모색

< 한국과 중국의 정부지원 및 원가경쟁력 비교 >

* 한국디스플레이산업협회(’21, Deloitte Consulting 자료 재인용)

● (인력문제 심화) 산업구조 전환으로 고용인력은 감소하였으나, 소부장·차세대 관련 고급 인력은 오히려 부족한 실정이며 경쟁국으로의 인력유출까지 발생하는 상황

- LCD에서 OLED로 주력제품이 변화화는 과정에서 고용규모가 약 9% 감소(’18년 6만 4천명 → ’20년 5만 8천명) 하였으며, 중소기업 내 대졸 이상 소부장 인력 및 차세대 디스플레이 관련 인력이 부족한 실정

* ’19년 부족인원 비율 : (패널ㆍ모듈) 17.4%, (공정ㆍ장비) 42.3%, (소재ㆍ부품) 40.2%

- 중국 등 경쟁국에서 OLED 양산기술 및 수율 확보 등을 위해 관련 노하우를 갖춘 한국 인력을 대거 채용하면서 핵심인력의 해외 유출 문제가 점차 심각해지는 추세

[ 참고자료 ]

⇨ 산업통계분석시스템(ISTANS, www.istans.or.kr)

⇨ 산업통상자원부, 산업·통상·자원 주요통계(2021.03.)

⇨ 한국무역보험공사, 디스플레이 산업 기술·시장 동향(2019.02.)

⇨ 한국디스플레이산업협회, 디스플레이 산업 현황 및 주요 이슈(’21년 산업기술 환경예측 발표자료, 2021.06.)

⇨ 산업연구원, 디스플레이 산업 전망과 주요 이슈(’21년 산업기술 환경예측 발표자료, 2021.07.)

※ 한국산업기술진흥원 산업기술정책센터 기술전략팀 진영준 선임연구원 / jinyj87@kiat.or.kr

※ 본 자료는 ’21년 산업기술 환경예측을 위해 한국디스플레이산업협회, 산업연구원에서 발표한 자료와 전문가 토의내용 등을 바탕으로 정리한 내용입니다.

※ 본 자료에 수록된 내용은 작성자의 개인의견으로 기관의 공식 견해가 아님을 밝힙니다.

참조

관련 문서

③ OECD 프라이버시 가이드라인 및 보안위험 권고문 기조 하의 소비자 관련 프라이버시 이슈 및 보안위험에 대한

1 들어가며.. 부동산시장 변화와 진단 인포그래픽스 심층분석 정책과 시장 지역 아파트 시장 동향 지금 세계 부동산시장은? 부동산시장 연구 동향. 이에 이

[r]

[r]

알루미늄 옥사이드의 수분과 산소의 접근을 효과적으로 차단하고 재료의 성질을 이용하여 최근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공정에서의 전기소자의 보호막으로 많이 사용되고있다. 반도체 및

주요 경제지표

주요 경제지표

주요 경제지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