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진단검사의학과 검사실의 공간 환경만족도 조사 연구 - 근무자 중심으로 -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진단검사의학과 검사실의 공간 환경만족도 조사 연구 - 근무자 중심으로 -"

Copied!
7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진단검사의학과 검사실의 공간 환경만족도 조사 연구

- 근무자 중심으로 -

안산1대학 임상병리과

심 문 정

A Study on Spatial and Physical Environment Satisfaction of Clinical Laboratory Scientists

Moon-Jung Shim

Department of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nsan college, Ansan 426-701, Ko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basic guidelines of spatial and physical environment for the planning and design of clinical laboratory by analysing the extent of satisfaction of clinical laboratory scientists. The data for this analysis was gathered from March to May 2005 by the questionnaires of 208 clinical laboratory scientists who work in the 13 hospitals. All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the SPSSWIN program. In this study, the satisfaction measurement tool was composed with 8 items and 5 score scale. The mean score of satisfaction for spatial and physical environment was 2.89 out of 5.0, "noise" was the lowest 2.40, "temperature and moisture of the lab." was 2.72, "lab. area, service area and administration area" was 2.77, "passageway space" was 2.94, circulation of workers was 2.94, "color of finish" was 3.19,

"lighting of lab." was the highest 3.39. In conclusion, various factors, noise, temperature and moisture, clinical lab area, were evaluated to moderate dissatisfaction. Noise was especially the first serious problem in clinical lab. Considering the high growth of the number of tests, the planning of the clinical laboratory size should be considered not only to provide the optimal size but how it will correspond to the growth of the number of tests. Therefore the arrangement of each section need to be flexible in arrangement which is inevitable in expansion and reconstruction in the future.

Key Words : Spatial and physical environment, Satisfaction degree, Clinical laboratory scientists, Laboratory medicine, Laboratory design

대한임상검사학회지 : 37권 제2호, 111-117, 2005

1)

I. 서 론

오늘날 우리의 생활이 복잡해지고 진보적 양상을 띠어 갈수록 의료 환경에 대한 의존적 경향은 더욱 높아가고 있다. 의학이 발달하면서 과거의 의학이 주관적이고 경험

교신저자 : 심문정, (우)426-701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일동 752, 안산1대학 임상병리과

Tel : 031-400-6938, 017-202-7020 E-mail : mjshim@ansan.ac.kr

적이었던 것에 반하여 오늘에 이르러서는 과학적인 데이 터를 중심으로 한 객관적이고 분석적인 의학으로 바뀌었 다. 이와 같이 현대의학이 더욱 적극적으로 과학적 수단 을 이용하고 과거의 치료중심에서 조기진단과 예방의학 위주로 그 양상이 바뀌어 감에 따라 객관화된 정보의 활 용이 절실해 졌다. 특히 진단검사의학과는 병원의 주기능 인 진단과 치료를 뒷받침하기 위해서 검사업무를 수행하 는 곳으로서 정도관리를 생명으로 하는 검사업무에 지장

(2)

을 초래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공간의 확보 가 중요하다(양, 1983). 앞으로 검사건수의 계속적인 증가 가 예상되며, 병원 내에서 진단검사의학과의 기능을 보장 하려면 검사실의 효율적인 운영계획이 필요하다. 그 가운 데에서 인간과 장비의 작업환경으로서의 건축적인 공간 계획은 변화, 발전하는 검사실의 환경에 대응하여야 하 며, 검사실내외의 변동을 수용할 수 있는 건축 계획적 대 응방법이 요망된다고 하겠다(김, 1980). 하지만 국내 병원 의 진단검사의학과의 환경에 대한 연구는 제대로 진행되 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병원 내에서 차지하는 진단검사의학과 의 검사실 위치와 구성을 살펴보고 근무자들의 공간 환 경에 대한 만족도를 살펴봄으로써 장래의 효율적인 검사 실 계획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II. 연구대상 및 방법

1. 연구대상

본 연구의 대상은 진단검사의학과의 검사실 위치와 구 성에 관한 정보를 얻을 수 있었던 13개 병원을 선택하였 으며, 공간 환경 만족도 조사는 진단검사의학과에서 근무 하는 20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생리기능 검사실은 병원 에 따라서 진단검사의학과에 두기도 하고, 특수검사로 분 리하기도 하여 본 연구에서는 제외시켰다.

2. 조사방법

자료수집기간은 2005년 3월부터 2005년 5월까지 설문 지를 배부하여 조사하였으며, 조사내용은 대상자의 일반 적 특성문항과 검사실의 바닥면적, 병상수와 근무자 수, 검사건수 등을 조사하였으며, 위의 병원 검사실에서 근무 하고 있는 208명에게 물리적, 공간 환경만족에 관한 8문 항, 병원의 진단검사의학과에 관한 21문항으로 하였다.

3. 자료분석

수집된 자료는 SPSSWIN 11.5 package 프로그램을 이 용하여 각 항목별로 분포와 비율을 구하였으며, 일반적 특성과의 관련여부를 파악하기 위해 one-way ANOVA와 t-test를 실시하였다.

III. 결 과

1. 대상자들의 일반적 특성

전체 조사대상자 중 진단검사의학과 기사장 및 팀장이 13명(6.3%), 부기사장 및 각 파트수석기사가 50명 (24.0%), 임상병리사가 140명(67.3%), 행정 및 실험 보조 원 5명(2.4%)이 본 조사 설문에 응하였다. 그 중 남자는 92명(44%), 여자는 116명(56%)이었으며(Fig. 1), 본 조사 에 참여한 병원들의 병상수는 다음과 같았다(Table 1).

Table 1. The distribution of hospital by number of beds

Hospital size (No. of beds) N (%) Less than 150 18 (8.6)

150 - 299 14 (6.8)

300 - 499 11 (5.3)

500 - 999 103 (49.5)

More than 1,000 62 (29.8)

Fig. 1. The distribution of subjects by gender.

2. 진단검사의학과 검사실의 위치 및 공간구성

1) 위치

진단검사의학과의 위치를 조사한 결과 대부분 2, 3층 에 위치하고, 4층 이상인 병원이 2곳 있었다. 채혈실과의 분리여부를 살펴본 결과, 9개 병원에서는 채혈실과 검사 실을 따로 분리 운영하고 있었으며, 대부분 1, 2층에 위치 하고 있었다(Table 2).

(3)

Table 2. The location of blood drawing room and clinical laboratory

Hospital A B C D E F G H I J K L M

No. of beds* 4 3 5 4 4 5 1 1 4 2 5 4 4

Separation of blood drawing room X O X O O O X X O O O O O

Location of blood

drawing room (F) 2 1 2 1 1 1,2 3 3 1 2 1,2 1 3

Location of clinical lab. (F) 2 1 2 4↑ 1 2 3 4 4↑ 2 2 2 3

* No. of beds : 1, Less than 150; 2, 150-299; 3, 300-499; 4, 500-999; 5, More than 1,000

2) 공간분류 현황

본 연구에서는 진단검사의학과를 구성하고 있는 공간 을 Fig. 2와 같이 크게 3구역, 검사공간, 보조공간, 관리 기타공간으로 구분하여(정, 1988) 병원별 현황을 살펴보 았다(Table 3, 4). 보조공간은 직접 검사를 하지 않으나 검사작업의 준비와 뒤처리, 보관과 같은 검사보조기능을 갖는 곳으로, 멸균세척실, 시약창고가 11개 병원에 설치 되어 있었으며, 나머지 냉장실, 천평실 순이었다. 관리공 간은 검사작업외의 사무와 관리를 위한 곳으로, 기타 기 계실로 나누었으며, 관리 기타공간의 경우 갱의실, 기사 장실, 화장실, 의국, 회의실 순으로 나타났다. 자체적인 냉난방의 기계실과 전산기록실, 천평실 같은 공간이 많이 부족한 편으로 나타났다. 특히 기계실은 규모가 적은 병 원의 경우 별도의 냉난방 시설로 운영이 되며, 대부분 규 모가 큰 병원인 경우는 중앙공급식 시스템으로 운영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대부분 검사실 운영방식은 모든 검사를 독립된 구역으 로 만들지 않고, 꼭 필요한 몇 개의 경우, 즉, 미생물검사 실, 분자유전검사실, 형광현미경실 등을 제외하면 12개 병원에서 개방형을 취하고 있었으며, 1개의 병원만이 폐 쇄형이라고 응답하였다. 폐쇄형인 경우 독립된 환경을 유 지할 수 있는 반면 작업에 필요한 기기가 중복되고 동선 이 길어지는 단점이 있다. 그러므로 대부분의 병원에서는 서로 정보와 물자 및 환경을 공유할 수 있는 검사들을 모 아 하나의 홀방을 형성시키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중앙 의 검사실과 다른 검사를 위한 방 사이를 완전히 차단하 지 않고 유리를 끼움으로써 시각적인 관리를 쉽게 하고 있다.

3) 진단검사의학과와 병리과와의 분리여부

병리과는 병원의 규모와 운영방식에 따라 진단검사의 학과에 속하기도 하지만, 어느 정도 이상의 규모가 되면

Laboratory area

- Hematology

- Chemistry

- Microbiology

- Cytology

- Serology etc.

Administration area

- Conference room

- Restroom

- Lab manager's room

- Locker room etc.

Service area

- Reception room

- Sterillzing &

washing room

- Cold room

- Storage Zone I

Zone II Zone III

Fig. 2. Zoning of clinical laboratory space.

분리되어 병리과로 독립하는 경향이 있다. 조사의 범위에 든 13개의 병원을 조사한 결과 다음과 같았으며(Table 5), 6개 병원인 경우 병리 검사실이 수술실과 멀리 떨어져 있 어 불편하다고 응답하였다. 대부분 500병상 이상인 경우 공간과 행정이 완전분리되었으며, 그 중 G, H병원의 경 우 병상수는 150병상 미만으로 규모는 작지만 여성전문 병원이라는 특수성을 지닌 병원이라 조직검사 건수와 중 요도를 볼 때 분리된 것으로 생각된다.

2. 물리적, 공간 환경 만족도

조사대상자의 진단검사의학과 검사실의 물리적, 공간 환경 만족도를 총 8개 항목에 대해 Likert 5점 척도로 조 사한 결과는 Table 6과 같았다. 그 중 물리적 환경에 대한 만족도는 Fig.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소음의 경우가 2.40±0.84로 가장 낮았으며, 검사실 조명에 대한 만족도 (3.39±0.74)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평균은 2.93으로 나 타났다. 또한 공간 환경에 대한 만족도는 검사실 통로와 동선에 대한 만족도가 각각 2.94±0.87, 2.94±0.71이며, 검 사실의 면적이나 규모 등의 공간에 대한 만족도가 2.77±0.87, 보조공간 및 관리공간에 대한 만족도가

(4)

Table 3. Survey results of service area

Hospital A B C D E F G H I J K L M

Reception room O O O O O O O O

Sterilizing & washing room O O O O O O O O O O O

Cold room O O O O O O O O

Balance room O O O O O

Storage O O O O O O O O O O O

Table 4. Survey results of administration area

Hospital A B C D E F G H I J K L M

Doctor's room O O O O O O O O O O

Lab. manager's room O O O O O O O O O O O

Locker room O O O O O O O O O O O O

Conference room O O O O O O O O O

Restroom O O O O O O O O O O

Computer room O O O O

Machine room O O O O O O

Table 5. The present situation of dept. of pathology

Hospital A B C D E F G H I J K L M

No. of beds* 4 3 5 4 4 5 1 1 4 2 5 4 4

Separation ● X ● ◎ ● ● ● ● ● X ● X ●

* No. of beds : 1, Less than 150; 2, 150-299; 3, 300-499; 4, 500-999; 5, More than 1,000

● : 공간과 행정의 완전분리, ◎ : 행정상 분리(하나의 검사실내에 공존), X : 분리안됨

Table 6. Distribution of mean value of satisfaction degree and frequencies

Characteristics Mean value Very unsatisfactory Unsatisfactory Moderate Satisfactory Very satisfactory Temp & Moisture 2.72±0.85 13 (6.3) 71 (34.1) 87 (41.8) 35 (16.8) 2 (1.0)

Color 3.19±0.64 0 (0.0) 25 (12.0) 121 (58.0) 60 (28.8) 2 (1.0)

Lab. area 2.77±0.87 10 (4.8) 77 (37.0) 72 (34.6) 48 (23.1) 1 (0.5)

Service area 2.75±0.77 5 (2.4) 77 (37.0) 94 (45.2) 30 (14.4) 2 (1.0)

Lighting 3.39±0.74 2 (1.0) 21 (10.1) 84 (40.4) 96 (46.2) 5 (2.4)

Passageway 2.94±0.87 8 (3.8) 57 (27.4) 86 (41.3) 53 (25.5) 4 (1.9)

Circulation 2.94±0.71 5 (2.4) 42 (20.2) 123 (59.1) 36 (17.3) 2 (1.0)

Noise 2.40±0.84 29 (13.9) 86 (41.3) 74 (35.6) 19 (9.1) 0 (0.0)

(5)

Table 7. Distribution of satisfaction degree by hospital size

No. of beds Temp/moisture Color Lighting Noise* Lab. area

administration Service/area Passageway* Circulation Less than 150 2.75±0.33 3.41±0.49 3.52±0.56 2.06±0.58 2.40±0.35 2.45±0.50 2.47±0.31 2.95±0.43 150-299 2.64±0.49 3.00±0.67 3.14±1.03 1.93±0.99 2.29±0.99 2.71±0.73 2.14±0.66 2.57±0.85 300-499 2.82±0.60 2.91±0.30 3.00±0.77 2.82±0.60 3.09±0.83 3.09±0.70 3.18±0.60 3.27±0.65 500-999 2.67±0.94 3.16±0.67 3.43±0.68 2.44±0.80 2.75±0.89 2.67±0.76 2.94±0.92 2.91±0.74 More than 1,000 2.84±0.85 3.32±0.65 3.45±0.78 2.50±0.88 2.92±0.84 2.87±0.84 3.15±0.83 2.98±0.69 Total 2.72±0.85 3.19±0.64 3.39±0.74 2.40±0.84 2.77±0.87 2.75±0.77 2.94±0.87 2.94±0.71

* p<0.01 by One-Way ANOVA

0 1 2 3 4 5

Temp.

Moisture

Color Lighting Noise

sa ti sf ac ti on sc or e

2.72

2.40 3.19 3.39

0 1 2 3 4 5

Temp.

Moisture

Color Lighting Noise

sa ti sf ac ti on sc or e

2.72

2.40 3.19 3.39

Fig. 3. The satisfaction degree of physical environment.

0 1 2 3 4 5

Lab. area Service/

Administration area

passageway Circulation Of workers

satisfaction score

2.75

2.77 2.94 2.94

Fig. 4. The satisfaction degree of spatial environment.

2.75±0.77로 모두 3.0 이하의 낮은 만족도를 나타냈다 (Fig. 4).

3. 병원규모에 따른 만족도

병상수별 병원규모에 따른 만족도를 보기 위해 one- way ANOVA 분석을 실시한 결과 소음과 통로공간에 대

한 만족도에서 각 그룹간에 유의한 차이를 볼 수 있었다 (p<0.01)(Table 7). 또한, 연구결과에 나타내지는 않았지 만, 500병상 이상의 병원과 그 미만 병원간의 만족도를 살펴본 결과, 온도, 습도 및 색채에서 500병상 이상인 경 우 만족도가 유의하게 더 높게 나타났으며(p<0.01) 나머 지 요인들에서는 그룹간에 별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었 다.

IV. 고 찰

근대적인 병원관리가 확립되어 병원의 조직이 합리화 되어감에 따라서 진단검사의학과도 없어서는 안 되는 중 요한 부분으로 성장하게 되었다. 이와 같이 검사실이 중 앙화되어 감에 따라 공간, 환경적인 측면에서 여러 문제 가 대두되게 되었다. 우선적으로 해당시설 전체에 예상되 는 수요를 충분히 충족시킬 수 있도록 하고, 또 효율적으 로 운영될 수 있도록 계획하는 것이 중요하다(유, 1980).

검사실의 위치를 결정하는 데에 가장 중요한 요소는 동선이다. 즉 병원 내에서 검사실과 관련된 동선을 가능 한 한 짧게 만들어야 혼란을 방지할 수 있을 뿐더러 검체 의 전달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어서 그만큼 신속하게 처 리하게 되기 때문이다(정, 1988). 응급환자의 검체나 수술 중의 조직검체는 신속하게 처리하기 위해서는 또한 동선 을 고려하여야 하며, 특히 외래환자의 경우 병원 내 시설 의 위치나 흐름에 민감하지 못하기 때문에 요즘 채혈실 을 1, 2층에 검사실과 분리하여 따로 두는 병원이 늘어나 고 있다. 살펴 본 바와 같이 검사실의 위치는 병동부, 외 래부, 응급실 및 수술실과의 연결이 좋아야 한다.

본 연구의 제한점으로는 13개 병원의 진단검사의학과

(6)

에 근무하는 직원들을 대상으로 하여 모든 병원의 검사 실을 대변할 수 없다는 것이다. 그러나 연구결과, 진단검 사의학과는 대부분의 병원에서 2층이나 3층에 두고 있었 다. 1층은 외래부와 응급실, 로비 등으로 인하여 복잡하 고 혼잡을 일으킬 우려가 있으며, 지하는 습도조절이나 환기상의 어려움으로 세균이 번식할 가능성이 높으므로 적당치 않다. 또한 여러 병원에서 1, 2층에 외래환자만을 위한 채혈실을 운영하고 있었다.

본 연구에서, 개방형의 질문에 가장 많이 나온 내용 중 의 하나가 장비위주의 동선고려로 인한 업무의 비효율이 었다. 특히 야간 당직 시 동선이 길다고 하였으며, 처음보 다 늘어나는 장비로 인해 통로공간의 부족, 이로 인한 갱 의실이나 직원 휴게실의 이동 또는 축소 등의 의견이 대 부분이었다. 따라서 검사실의 배치 시 예상되는 인원의 증가나, 검사건수의 증가를 고려해 융통성 있는 장비의 배치가 필요하다. 이와같이 융통성있는 배치는 설비공급 방식에 따라 크게 좌우되므로, 설비용량의 확충 및 수리 하는 데 있어서 타 부문에 영향을 주거나 검사실 자체에 지장을 주지 않고 쉽게 대응할 수 있는 설비 시스템을 이 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검사실 환경 만족도 결과 가장 큰 문제점으로 지적된 소음방지대책으로는 우선 작업의 업무흐름에 맞 춰서 공간구획을 하고, 대기공간이나 복도와 같은 완충공 간을 만들어 소음을 감소시키는 것이다. 소음이 큰 장비 는 가능하다면 따로 분리하거나, 칸막이를 설치하되 이 때 칸막이는 천정 속까지 붙게 시공하는 것도 고려하여 야 한다. 그리고 장비의 구입 시 그동안 간과해 왔던 소 음부분에 있어서도 구입조건으로 고려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실내 환경으로서 벽과 천정, 바닥 등의 적절한 계획 은 검사실의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데에 크게 기여하 므로 작업환경으로서 뿐만 아니라 안전대책으로도 중요 하며(Everett와 Hughes, 1975), 별도의 공조시스템을 두는 것이 바람직하겠다. 특히 앞으로의 검사건수 증가와 장비 의 확충 등 확장과 변화에 대응하기 위하여 신축성의 공 간을 반드시 고려하여야 하며, 검사실 위치는 한 방향 이 상으로의 확장이 가능한 외부공간을 가지는 곳이 좋을 것이다. 병원은 어떠한 이유이든 성장, 발전, 변화한다.

당초에 지어진대로의 상태를 유지시킬 수는 없다(김, 1982). 따라서 오늘날의 진단검사의학과 검사실은 현재의 기능 및 공간요구에 충실해야 함과 동시에 미래의 성장 과 변화에 대한 건축적 대응을 쉽게 할 수 있도록 계획되 어야 하겠다.

V. 결 론

본 연구는 진단검사의학과 검사실의 실태 및 공간 환 경만족도를 조사하기 위하여 진단검사의학과 근무자 13 개 병원의 20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수집은 2005년 3월부터 2005년 5월까지 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WIN package를 이용하여 통계처리 하였다.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병원내에서 진단검사의학과의 위치를 조사한 결과 대부분 2, 3층에 위치하고 있었으며, 그 중 9개 병원 에서는 채혈실과 검사실을 따로 분리, 운영하고 있 었다.

2. 검사실 공간을 검사공간, 보조공간, 관리 기타공간 의 3개 구역으로 분류하고 병원별 현황을 살펴본 결 과, 자체 냉난방의 기계실, 전산기록실, 천평실, 갱의 실 등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3. 검사실 운영방식은 대부분 개방형 시스템을 취하고 있었으며, 병리과와의 분리여부에 있어서는 9개 병 원이 완전분리, 1개 병원이 공간은 같이 사용하고 행 정상으로만 분리, 3개 병원의 경우는 분리되지 않고 같이 속해 있었다.

4. 진단검사의학과의 물리적, 공간 환경 만족도 조사 결과 평균이 2.89로 나타났으며, 그 중에서 소음부분 에서의 만족도가 2.40±0.84으로 가장 낮았으며, 검사 실 조명이 3.39±0.74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5. 병상수에 따른 만족도를 살펴본 결과, 소음과 통로 공간에 대한 만족도에서 각 그룹 간에 유의한 차이 를 보였다(p<0.01).

위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초기 검사실 계획시 검사실 의 소음, 온도, 습도, 환기 등 물리적 환경을 고려하여야 하며, 검사건수 및 인원의 증가와 이에 따른 장비의 증가 를 염두해 두고 확장과 변화에 대응하기 위하여 신축성 의 공간을 반드시 고려하여야 할 것이다.

참 고 문 헌

1. Everett K, Hughes D. A Guide to laboratory design. 1st ed, p10-12, Butterworths London, 1975.

(7)

2. 김광문. 중소병원의 표준화에 관한 연구. 한양대 석사 학위논문 p42-45, 1980.

3. 김용익, 병원계획의 원리와 절차. 병원연구 1(2):14-18, 1982.

4. 양래원. 종합병원 임상병리 검사부에 관한 건축계획적 연구. 한양대 석사학위논문 p26-27, 1983.

5. 유영민. 종합병원의 방사선 진단부에 관한 연구. 한양 대 석사학위논문 p58-60, 1980.

6. 정재욱. 우리나라 종합병원의 임상병리검사부 계획에 관한 연구. 고려대 석사학위논문 p8-10, 1988.

7. 정재욱. 우리나라 종합병원의 임상병리검사부 계획에 관한 연구. 고려대 석사학위논문 p18-20, 1988.

수치

Table 1. The distribution of hospital by number of beds
Fig. 2.  Zoning of clinical laboratory space.
Table 6.  Distribution of mean value of satisfaction degree and frequencies
Fig. 4. The satisfaction degree of spatial environment.

참조

관련 문서

1 John Owen, Justification by Faith Alone, in The Works of John Owen, ed. John Bolt, trans. Scott Clark, &#34;Do This and Live: Christ's Active Obedience as the

Purpose: This study was designed to evaluate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the treatment of colonoscopic perforation and the availability of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ituations of violating the right to learn and violence in student-athletes from an ethnographic view a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and design the characteristics of summer resorts according to the design manual, develop cultural products using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provide a reference for balancing local folk songs educational research by analysing folk songs in middle schoo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fine the concept of affordance in multi-media environment and to seek development plan of more efficient interfa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auses of the income inequality and to find the improvement schemes of tax system for the elimination of

머리 가속 또는 감속 움직임시 TM joint 손상 탈구 시 연부조직 손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