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최근 20년간 우리 나라 주요사언의 추이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최근 20년간 우리 나라 주요사언의 추이 "

Copied!
16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임상노인의학회지 제 l 권 제 1호 2000

Korean J Clin Geri Vol. 1, No. 1 January 口원

최근 20년간 우리 나라 주요사언의 추이

김득조, 최봉근, 윤태영, 최중명, 박순영, 유동준

경희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The transition of the Leading Causes of Death during the latest two decades in Korea

Duk-Jo Kim, Bong-Keun Clwi, Tai-Young Yoon, Joong-Myung Clwi, Soon」Young Park, Dong-Joon Lew

Departm£ni of Preventive Medicine, Kyung Hee Univers펴 School of Medicine

저 口

Backgour삐 : Recently the lea띠ng causes of death were remarkably changed from the communi- cable to the non-communicable chronic degenerative 띠seases. We tried to confirm the changing pat- tern and the transition of the recent leading causes of death in Korea.

Me삐ods : We have made an attempt to examine the changing pattern and the transition of the leading causes of death in our country recently since 1977 by analytically reviewing the annual stati- stical data on the causes of death for the latest two decades reported mainly from the Economic Planing Board, National Statistical Office and other infonnative maten외s.

ReSIJts : After the inverting period of the late 1970s and 1980s changing remarkably from the communicable to the non -communicable 이sease, the leading causes of death were changed to the chronic degenerative 이seases such as circulatory disease and malignant neoplasms recently. With the particularly increasing deaths due to the unintentional accidents since the mid -1980s, circulatory dis- ease, malignant neoplasms and accidents became the three major causes of death, and accounted for about 61 percent of the total deaths in 1996.

Conclusion : In reviewing the changing paαem, the transition of the leading causes of death, communicable diseases formidably prevailed for the past decades were rapidly decreased recently, and chronic degenerative disease, so-called, ”Chronic I비1ess" such as circulatory diseases, malignant neo- plasms, and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이sease are in tendency of continuous increase year by year. (Korean J Clin Geri 1 : 29 - 44, 2αη)

Key Words : Causes of death, Changing pattern, Transition, Chronic degenerative disease, Unintentional accidents

29

(2)

김득조 등 ; 최근 20년간 우리 나라 주요사인의 추이

트은

‘-

사빙수준이나 사인구조 그리고 사망원인 통계는 보 건의료분야에서 매우 중요시된다_1,7,15) 특히 사인통게 는 앞으로 예방할 수 있는 사망을 파악하며, 또 질병 의 예방과 치료 그리고 사고의 방지를 통하여 사밍L구 조를 개선시키는데 기초자호캉} 된다_7.8,30, )

일반적A로 사망수준이나 사영구조 또는 사망원인 을 포함하는 사망력은 한 시대의 사회경제구조나 환 경적 여건등에 따라서그양상을달리한다. 3, 14, 3~ 42)

이러한 점은 전통적 사회구조가 근대화되는 과정에

서 특징적으후 나타나는데, 급격한 사o.}-률 저하뿐만

아니라 사망 및 사인구조의 변천에서 관찰할 수 있다.

4, 15“5)

우리 나라의 사망원인 통계가 공식적으로 발표되기 시작한 것은 1980년부터인데 I, 5, 24. 31)사망발생당시의 신고율이 낮을뿐 아니라 사망원인 진단의 정확도에도 제한점이 있었으나ιa 3o. 3tl동안 정부당국의 부단 한 노력에 의해 많이 개선되어, 통계청이 실시한 1992년도 사망원인 특별조사 보고서에 의하연 의사에 의한 진단비율이 75.5%로 매우 향상되 었다. 34, 41)

그러나 사망례의 80%이상이 부검으로 확진되는 선 진국의 사망원인 진단의 정확도외는 아직도 상당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14, 4, 25, 45)

저자는 아직도 사인의 정확도 W외idity)에는 제한성 이 있지만, 우리 나라 경제기획원이 공식적으로 발표 하기 시작한 1000년도 보다 3년 전에 보건사회부 등의 부분적인 자료들을 통하여 대체적언 사언을 알 수 있 었던24, 쩌 1977년 이후부터 갈수록 신빙성이 높아지 는 지금까지의 정부의 주무당국의 통계자료들을 집계 분석하여, 아울러 그동안발표된 학자들의 관계논문들 을 참조, 고찰하여 특히 l언7년부터 1쨌년도까지 가 장 최근 a:J년간에 걸쳐 오늘날 우리나라 주요사인의 변화추이를 파악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방 법

등II)의 논문과 그간 우리 나라의 사망원인의 경시적

변동과 현황을 발표한 김15) 의 논문, 그리고 최근에 1931년대부터 1991년까지 72년간에 걸쳐 우리 나라 주요사인의 변천상을 연구한 윤 동31)의 논문과 또 1983년 한국 인구 보건연구원이 발간한 등5)의 구 단행본 등을 참고자료로 인용하연서, 그 동안 경 제기획원 조사 통계국에서 발표한 1980년도부터 1989

년도까지의 사망원인 통계연보 등을 주 연구자료후

활용하였다_ 1. l l.21. 3, 강 39, 43)

2 연구방법

이들 자료들을 인용하여 사망원인을 연대별로 비교 할 때 가장 문제가 되었던 것은, “사망원인 분류의 차이” 였다. 1980년이후 정부당국이 공식척으로 발표 한 사망원인 통계는 우리 나라의 대표적인 사인A로 서의 편의성은 있지만 진단명의 정확도 차이 등에서 좀 고려되어야 할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점 때문에, 이로 인한 편견을 줄이고자, 17개 헝옥의 대분류로 비교하 고, 필요에 따라서는 124 항목의 한국간이 사인분류 를 쓰면서, 사인순위를 제 1위에서 10위까지의 섭대 사언으로 구분하여, 1977년도부터 1996년도까지 우리 나라에서 최근 a:J년간에 걸쳐 연도별로 주요사망원인 과 이의 변천 그리고 그 추이에 관하여 중접적으로 검토,고찰하였다.

결 과

1. 십대주요사인의 변천

일정시, 즉 1945년 (해방) 이전의 십대 주요사망원인 들을 살펴보면, Table 1 에서와 같이 19a:J년대에는 전엽병를 수위로 하여 소화기질환과 호흉기질환 등이 주요사인의 대종을 이루웠고, 1930년대에는 신경계질 환이나 소화기질환을 수위로 하여 호흉기질환 및 전 염병 등의 순이었고, 1940년대에는 소화기질환을 수 위로 하여 호홉기질환(이중엔 병명미상이 있음), 신 경계질환, 결핵 및 전염병등의 순으로 되어있어, 해방 전 까지는 연대별로(분류기준 관계로) 신경계질환이 1. 연구자료 다소 증강하거나 병명미상이 출현한 것 외에는 별 변 본 연구에서는 1앉}〕년대 일부 경제기획원의 자료 동없이 소화기질환, 호흉기질환 및 전염병 둥이 주종 와, 1970년대의 사망진단서들을 분석하여 발표한 김 을 이루는 양상이었다.'4·22·3'l (Table 1)

(3)

Duk-Jo 때m et al : 만le transition of the Leading [auses of ]))ath during the latest two decades in Korea

Table I. 1맹5년 이천의 10대 사망원인 :1920 ∼ 1942

이꺼

- -

1 2 3 4 5 6 7 8 9

m

Ar-- 1938 ∼ 1942

소화기계 질환 호홈기계 질환 신경 및 감각기 질환 결핵

전영병 순환기계 질환 비뇨생식기계 질환 악성신생물,영양실조 외인사

원인미상 1935

소화기계 질환 신경계질환 호흉기계 질환 전염병 감기 노환

순환기계 질환 전신병 비뇨기계 질환 원인미상

1930

신경계 질환 소화기계 질환 호흉기계 절환 전염병 감기 노환

순환기계 질환 비뇨기계 질환 전신병 피부병

19al

전염병 소화기계 질환 호흉기계 질환 신경계 질환 전신병 순환기계 질환 노환

비뇨기계 질환 감기

각기

; 1쨌∼ 1942년간의 사인은 박재번, “한인의 사망률과 사언에 관한 연구”, 「통계정보」, 3권 6,7.호, 경제기획원, 1961

에의함

자료 ; 조선총독부, 「통계년보」 각 연도판

Table 2. 우리나라 주요 사인의 변화양상 :1953 ∼ 1979

1979')

뇌혈관질환 (93.7) 악성신생물

(74.0)

기타순환기계질환 (54.5)

고혈압 (54.5) 사고

(44.4)

결핵

(30.7)

간경변, 만성간질환 (2A.1)

중독 및 독성영향 (al.이

폐렴

(19.8)

천식, 기관지염, 기종

(15.2) (631.3) 19743)

악성신생물 (43.5) 뇌혈관질환

(40.3)

고혈압성질환

(38.6)

사고 (32.1)

호흉기계 결핵

(21.9)

기관지영 폐기종 (al.이

폐렴 (17.0)

기타심장질환

(16.0)

간경변

(12.4) 불명 (333.6) (725.이 1966 ∼ 19672>

폐렴 및 기관지염 (43.8)

결핵 (35.8) 뇌혈관철환

(26.1)

악성신생물 (25.8) 위장염

(14.2)

사고

(12.8)

심장질환

(11.7)

1958 ∼ 19592)

폐렴 및 기관지염 (73.8)

결핵 (39.5) 위장염

(31.0)

악성신생물 (25.8) 뇌혈관질환

(19.6)

심장질환 (8.5) 사고

(8.2) 감염 및 기생충질환 폐렴, 기관지염

1953')

뇌혈관질환

신경계질환

악성신생물 병인미상 노환 심장질환 위장관영 순위

1 결핵 2 3 4 5 6 7 8 9

m

; ( ) 안의 수치는 인구 10만명당의 사망률엄.

자료 : 1) 김정순 ; E디demiology of cancer in Korea,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임상종양학 (Block 냥cture),

w.50

2) 검일순 외 · “최근 한국인의 사망력의 경향에 관한 연구” 예방의학회지 2(1), l~뼈.

3) 이동우, 검얼순 ; “사망력지표의 개발 및 측정 ;사망신고자료중심으로”, 「한국의 보건문제와 대책 (II) 」, 한

국개발연구원 1977 pp.437∼442.

4) 경제기획원 조사통계국 ; 「사인별 사I앙률」

31

(4)

Table 3. 1980최근 15년간 우리 인의 변화 1980 1981 1982 1983 1984 198.5 1986 1987 1988 1989 1990 1991 1992 1993 1994 붕명 고혈압성 순환기계 뇌혈관질환 뇌혈관질환 뇌혈관질환 순환기질환 악성종양 악성종양 악성종양 악성종양 악성종양 악성종양 악성종양 순환기계질 철환 갤환 (lffi.3) (100.9) (112.2) 061. 순환기계켈 뇌혈관켈환 손상, 중독, 가타의 싱장영 고혈압고혈압성 손상, 중독, 뇌혈관질환 뇌혈관정환 뇌혈관철환 뇌혈관철환 뇌혈관질환 뇌혈관질환 각종암 사고 장병 켈환 질환 사고 (72.6) (00.4) (없8) (IJ4.5) 악성종양 불의의사고 악성종양 불의의사고 불의의사고 심장병 성장병 악성종양 불의의사고 불의의사고 불의의사고 붕의의사고 불의의사고 불의의사각종사고사 o:!.. 」애In (85.8) (81.5) (π6) (74.8) 손상, 중독, 노쇠, 미상 미상(뽑) 노쇠, 미상 교통사고 위앙 위암 소화기계 심장영 싱장병 심장병 싱장병 성장병 성장앵 소화기계 j 사고 질환 (49.5) (43.5) (433) 질환(4Ll) 소화기켈환 위암 소화기계 만성간노쇠(마상) 만성간장병 만성간장병 미상 고혈압성 고혈압성 고혈앙성 고혈앙성 만성간장병 만성간장병 호흉기계 § 철환 젤환 갤환 철환 철환(2).9) (~8) (29.0) 질환(~.l)

~、~

호흉기철환 만성간장영 강영성갤환 위암 만성간장병 간암 간암 호흉기철환 만성간질환 만성간정환 만성간켈환 만성간질환 고혈압성 고혈양성 당뇨병

키j요。

(~.8) 정환(27.3) 질환(27.3) 07.2)

4」뮤L

강영성정환 교통사고 호흉기계 교통사고 위암 교통사고 교통사고 강엠성철환 결핵 결핵 당뇨병 당뇨병 당뇨병 당뇨병 강염성질환

키- 양:‘

젤환 (14.8) (14.8) (16.0) (13.3) 신경계정환 결핵 신경, 강각 고혈압성 고혈압성 붕의의사고 내분비, 혜렴및 펴l렴및 결핵 결핵 결핵 결핵 천식, 기관 천식, 기관 r g 계철환 철환 정환 사장애정환 관지영 관지염 (11.0) (10.4) 지엽(11.2) 지염(122) 키。}{, 내분비, 자상 내분비, 결핵 간앙 결핵 결핵 신경계질환 자살 당뇨병 자살 자살 천식, 기관 자상 사장애질환 사장애켈환 (8.4) 지염(102) (10.l) (9.8) 비뇨생식 만성호흉기 선천성이상 간앙 결핵 만성호홉기 자살 비뇨 당뇨병 자상 혜렴및 천식 자상 자상 결핵 기계철환 젤환 생식기철환 지영 (7.0) (9.0) 9) (9.6) 자료 경제기획원 조사통계국;사망원19801989년, 계청 ;사망원인통계 19901993, ( ) : 인구 10만명사망수 윤치훈 ;우리나라 주요 사인의 변천에 관한 연구, 경회의대 논문집 18 (2) . 137-15.5, 1993

(5)

Duk-JoKimetal : πle transi디on of the Leading 않uses 아 않ath during the latest two decades in Korea

그러나 해방 후에는 이러한 사인의 양상도 차츰 달 라져, 1950년대에는 결핵을 수위로, 1900년대에는 병 명미상(진단불명) 과 호흉기질환(결핵포함) 이 상위권 을, 1970년대에는 뇌혈관질환과 악성신생물이 상위로 급격히 받늄H오다가 l쨌년대에 들어와서는 순환기 질환이 수위권으로 나타나기 시작했다. (1’able 2)

1003년부터 1앓년까지는 연도에 따라 약간의 변동 은 있으나, 대체로 뇌혈관질환(순환기계의 대표적인 부분) 과 악성신생물(암) 이 1, 2위를 다투연서, 사고 (손장 및 중독포함)가 3위, 심장병(순환기계질환의 일부) 이 4위, 소화기계질환(만성간창병포함) 이 5위, 호흡기계 질환이 6위, 내분비 및 대사장애질환이 7위

차지하는 순서로 양상이 변모하였다.s.~ 23.2‘,31,씨,3 9

3)

그런데 1쨌년도부터는 완연하게 특히 삼대주요사 언이 되는순환기계질환(뇌혈관질환, 심장볍, 고혈압 성제질환 포함), 악성 신생물(각종암), 사;요가 1, 2,

3위를 고수하면서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1’able 3)

1007년 12월 통계청에서 발표한 가창 최근 년도언

“1996년도의 우리 나라 사망원인 통계연보”의 분석결 과를 검토하면, 1細년도 총 신고사망자 않7,7'2JJ명중 사망원인의 분류가 가능한 댔,잃4명 (99.4%) 의 사인 구조를 알 수 있는데, 이를 17개 항목의 대분류로 보 면, 순환기계질환(고혈압성, 통맥경화성의 뇌혈관질 환, 허혈성심장질환등의 제질환)이 전체 사망의 24.6

%, 악성신생물(암) 이 21.7%, 사망의 외인즉 기창 사 고가 14.5%를 차지하여 이들 삼대사언군에 의한 사 망이 전체 사망의 60.8%를 정유하고 있음을 파악할 수있었다.

이를 10년전 1987년도 통계와 비교해보면 순환기계 절환의 구성비는 al.4%에서 24.6%로 감소하였지만, 악성신생물운 17.1%에서 21.7%로 중가하고, 또 사고 로 인한 사망도 13.2%에서 14.5%로 증가하여, 전체 척으로 이들 삼대사인군에 의한 사망은 확고하며 서 서히 중가항을 보여준다고 하겠다. (뼈ure 1)

또한 좀더 최근 10년간의 차이라도 그 사언구조를 비교해 볼 수 있도록, 19개 장 분류에 의한 기준으로 이를 ITT년도와 91년부터 96년도까지 발표된 최근 10 년간의 사인구조를 표를 만들어 보아도, 위의 뀐gure 1에서와 같이 확실히 삼대 사인군에 의한 사망의 확

고함과 그 점진척인 변화를 알 수 있다.(Ta비e 4)

이러한 사실과 내용을 근거로 볼 때, 1뻐년대 이 전의 전영병 (결핵 포함)과 소화기계질환이 사인의 수 위를 차지하던 양상이 역전되어, 우리 나라도 이제는 완연히 비전염성의 만성 퇴행성질환인, 소위 “성안 병”(순환기질환과 암)과 사;E가 수위권을 차지하는 선진국형의 사및L양상으로 변모하였음을 알 수 있다.a

19. 31 35 39.

0 43,52)

2. 최근의 남녀벌사망률

96년도의 총신고 사망자수에 대하여 103항목별 분 류기준 (19개 장 제외) 에 따라 사망자수가 %명 이상 인 주요사언을 골라 사망률을 살펴보연, 남녀 전체로 는 뇌혈관질환(뇌졸중)에 의한 사망률이 인구 10만 명당 74.7명으로 가장 높고, 다음은 교통사고(자동차, 철도, 선박, 향공기, 모터싸이클, 자전거 및 기타 운 송장치에 의한 사망)로 38.3명이며, 그 다음은 간창병

(만성간염, 간경변, 알콜성간철환 둥)으로 Z7.3명인 데, 이어 위암 2ε.5명, 간암 및 당관암 21.4명의 순이 었다.

남자의 경우는 뇌혈관질환이 남자인구 m만명당 71.0명으로 가장 높고, 다음이 교통사고 56.6명, 간장 병 44.0명, 이어 간 및 당관암 앓6명, 위암 앓0명의 순이었다‘

여자의 경우는 뇌혈관질환이 여자인구 10만명당 78.4명으로가장높고, 다음이 교통사고 19.9명, 위암 18.9명, 당뇨병 η.3명, 고혈압성 질환 15.7명의 순이 었다.

남자의 사망율이 여자의 사망훌보다 높은 사인은 알콜중독에서 16.3배, 식도암에서 7.8배, 후두암에서 6.0배, 익사사고에서 4.6배, 간장병에서 4.2배, 간 및 당관암에서 3.3배 퉁이었고, 여자사망률이 남자 사망 률보다 높은 사인은(여성특유의 자궁암, 유방앙외에 도) 고혈압성질환에서 1.3배, 뇌혈관절환에서 1.1배 등이었다. (Table 5, 뀐gure 2)

3. 연령별사망률

1앉)6년도의 총사망자의 연령충별로 그 특정적언 사 망률을 간략히 요약해보면 다음과 같다.

0세(영아)의 사망흘은 출생아 10만명당 '2f35.7명 (남 :::00.4명, 여 280.3명)으로 나타나고 있요나, 출생

33

(6)

김득조 등 ; 최근 20년간 우리 나라 주요사인의 추이

〈↑987년〉

강염성질환

2.1%

내분비, 영양및 대사질환 3.6%

〈μ웠년〉

신생물

21.7%

Figlπe 1. 96년 사망원인통계 및 최근 10년간 사인구조 비교(통계청)

Table 4. 19개 장 분류에 의한 최근 10년간의 샤인 구조 비교 (단위 :%)

87 91 92 93 94 95 96

특정감염성 및 기생충성 질환 3.5 2.6 2.6 2.6 2.5 2.2 2.1

신생물 17.l 19.8 21.2 21.5 21.4 21.3 21.7

혈액 및 조혈기관의 질환과 연역기전을 침범한 특정장애 0.2 0.2 0.2 0.2 0.2 0.2 0.2

내분비 영양및 대사질환 1.6 2.6 2.8 3.4 3.5 3.6 3.6

정신 빛 행동장애 0.6 0.9 1.2 1.4 2.0 2.2 2.5

신경계질환 1.1 1.2 1.1 1.4 1.0 0.9 0.9

눈및눈부속기의 질환 0.0 0.(] 0.0 0.0 0.0 0.0 0.0

및유양돌기의 질환 0.0 0.0 0.0 0.0 0.0 0.0 0.0

순환기계질환 30.4 28.7 29.5 30.2 29.9 26.3 24.6

호흉기계질환 4.0 3.9 4.3 4.9 4.9 4.6 4.5

소화기계절한 8.6 7.8 8.1 7.6 7.6 7.4 7.0

피부및 피하조직질환 0.0 0.1 0.1 0.1 0‘1 0.1 0.1

근골격계 및 결합조직질환 0.3 0‘5 0.7 LO LO 0.9 0.9

비뇨생식기계질환 0.9 0.9 0.9 1.0 1.0 0.9 0.9

임신,출산및 산욕 0.0 0.0 0.0 0.0 0.0 0.0 0.0

주산기에 기원한 특정병태 0.0 0.1 0.2 0.1 0.1 0.1 0.1

선천성 기형·변형 및 영색체 이상 0.4 0.6 0.6 0.5 0.5 0.4 0.4

달리분류되지 않은 증상·증후와 임상 검사의 이상소견 18.l 14.6 11.2 10.5 10.5 14.5 16.0

사망의 외인(각종사고) 13.2 15.7 15.4 13.9 13.9 14.3 14.5

초반의 사밍L아 신고누락이 많은 것으혹 보여지기 안하면 선천성기형, 주산기질환 등으로 인한 사망률 문에 실제로는 8fA).0명 수준에 이를 것으로 추정된다‘ 크게 높을것으후 추정된다.

0세의 주요 사인은 선천성 기형 86.4명(남 85.9명, 1∼9세 어린이의 사망률은 인구 100만명당 47.1명 87.0명), 주산기 질환 36.l영(남 39.4명, 32.5 (남 52.9명, 여 40.6명)으로 여아에 비하여 남아의 사 명), 영아 급사증후군 a:J.8명 (남 2'2.8명, 18.6명) 망률이 1.3배나 더 높았다. 주요 사인은 교통사고가 으로 나타나고 있으나, 출생초반의 사망아 누락을 강 15.4명 (남 17.8명, 여 12.6명) 으로 전체의 32.7%를

(7)

Duk-Jo Kim et al : 만le σ외lSition of the Leading [;auses of 많ath during the latest two decades in Korea

Table 5. 주요사인별 사망률 (103항목분류) (단위:해당언구 100,000명당, 명)

사망원인 계 남자 여자 성비

총사망 516.1 581.5 450.0 129.2·

특정감염성 및 기생충성 질환 10.7 14.7 6.7 219.4

호흉기 결핵 7.3 10.7 3.8 281.5

패혈증 1.7 2.0 1.5 133.3

신생물 11.9 142.4 81.[) 175.8

업술,구강, 인두암 1.2 1.8 0.6 300.0

식도암 3.0 5.3 0.7 757.1

위암 25.5 32.0 18.9 169.3

결장, 직장, 향문암 6.3 6.5 6.1 106.6

훼장암 21.4 32.6 10.0 326.0

후두암 4.4 5.1 3.6 141.7

기관, 기관지 및 폐암 19.4 28.7 10.0 287.0

유방암 2.2 0.1 4.3 2.3

자궁경부암 2.9 2.9

방광압 1.2 1.9 0.6 316.7

수막, 뇌 및 기타 중추신경계암 1.7 1.9 1.5 126.7

비호지킨 렴프종 1.6 2.1 1.2 175.0

백혈병 2.9 3.3 2.6 126.9

내분비, 영양 및 대사질환 18.7 18.5 18.8 98.4

당뇨병 17.4 17.4 17.3 100.6

정신 및 행통장애 13.0 11.3 14.7 76.9

정신활성물질 샤용에 의한 정신 및 행동장애 (알콜중독 등) 2.6 4.9 0.3 1없3.3

신경계질환 4.5 5.1 4.1 124.4

순환기계질환 127.0 124.4 129.5 96.0

고혈압성질환 13.8 12.0 15.7 76.4

허혈성 심장질환 13.0 15.4 10.5 146.7

뇌혈관질환 74.7 71.0 78.4 90.6

동맥경화증 1.0 1.0 1.0 100.0

호흉기계질환 23.2 26.8 19.5 137.4

폐렴 4.1 4.8 3.5 137.1

만성하기도질환 14.0 15.4 12.5 122.2

소화기계질환 36.l 53.3 18.6 286.6

위 및 십이지장궤양 1.7 2.0 1.3 153.8

간질환 27.3 44.0 10.5 419.0

근골격근계 및 결합조직의 질환 4.4 2.8 6.0 46.7

비뇨생식기계질환 4.8 5.1 4.5 113.3

선천성기형·변형 및 염색체 이상 2.1 2.2 2.0 110.0 달리분류되지 않은 증상·증후와 임상 빛 검사의 이상소견 82.4 63.2 101.9 62.0

사망의 외인 75.l 109.5 40.2 272.5

운수사고 38.3 56.6 19.9 284.4

추락사고 5.1 7.5 2.7 zπ3

사고성 의수 4.0 6.5 1.4 484.3

연기, 불 및 화염에의 노출 1.84 2.4 1.1 218.2

유독성물질에 의한 사고성중독 및 노출 2.4 3.1 1.7 182.4

자삼 . 14.1 19.4 8.7 223.0

피살 1.9 1.9 1.5 153.3

35

(8)

김득조 퉁 최근 20년간 우리 나라 주요사안의 추이

지하였다. 로 1쨌년도부터 밝혀쳤지만) 의 특수 사망원인 통계 10∼ 19세 청소년의 사망률은 54.7명 (남 71.9명 여 표에 의거 정리한 결과를 다음과 같이 섭대 주요사인 36.4영)으로 남자사망률이 여자에 비하여 2배가량 높 의 순위를 요약하였다. (Table 7)

았다. 주요 사인은 교통사고로 al.6명 (남 잃7명, 여 이 표를 별견하여 최근 al년간 사밍L률의 추이를 상 10.9명) 이며, 전체의 '&.7%를 차지하고 다음이 자살 펴보면 대략 다음과 같이 요약 해석할 수 있겠다.

6.4명, 익사 4.9명 순이었다.

al∼~세 연령층의 사망률은 97.1명 (남 136.6명, 여 55.6명)으로 남자 사멍흘이 여자에 비해 2.5배 정도

더 높았다. 주요 사인은 역시 교통사고로 36.6명 (남 58.8명, 여 13.2명) 인데 전체의 '&.9%를 차지하며, 다 음이 자살 14.1%이었다.

30∼39세 연령층의 사%낼은 1없3명 (남 껑2.7명, 여 힘.4명)으후 남자 사밍L률이 여자에 비해 2.7배가량 더 높았다. 주요 사인은 교통사고 '&.4명, 자살 15.1

명, 간장병 14.9명, 성장병 9.6명, 뇌혈관질환 7.1명의 순이었다.

40∼4.9세 연령충의 사망률은 356.l명 (남 잃4.0명, 여 180.9명)으로 남자 사oJ-률이 여자에 비해 2.9배 정 도 더 높았다. 주요 사인은 간창병 51.3명, 교통사고 45.2명, 뇌혈관질환 28.2명, 간 및 당관암 28.0명, 심 장병 24.5명의 순이었다.

50∼5.9세 연령충의 사망훌운 79'2.6명 (남 1,190.3명, 여 415.5명)으로 남자 사망흘이 여자에 비해 2.9배가 량 더 높았다. 주요 사인은 뇌혈관질환 102.8명, 간창 병 89.9명, 간 및 당관암 75.4명, 교통사고 58.3영, 심 장병 56.1명의 순이었다.

60∼00세 연령층의 사망률은 1,7앓.7명 (남 2,쨌.6 명, 여 1,115.5명)..£...로 남자 사망흘이 여자에 비하여 2.3배 정도 더 높았다. 주요 사인은 뇌혈관질환 318.3

명, 위암 138.6명, 심장병 133.7명, 폐암 123.1명, 간 및 담관암 103.9명의 순이었다.

70셰 이상의 노령층의 사망률운 6,쨌‘9명 (남 7,971.

3명, 여 5짧4명)으로 남자의 사망흘이 1.4배정도 더높았다.

주요 사인은 뇌혈관질환 1,180.1명, 심장병 473.2명, 만성하기도 질환 280.3명, 위암 짧3명, 고혈압성 질 환 247.8명 순이었다. (Table 6)

4. 주요사인의 사망률 추이

1인7년부터 1앉:l()년도 까지 최근 al년간에 결친 제

주요사망원인의 연도별 변화를 인구 10만명당(주

(Figure 3)

1) 악성신생물인 암에 의한 사망흘은 해마다 꾸준 한 증가추세이나, 암의 종류별로는 점차 차이를 보여 사망훌 양상이 다르게 나타나고 있다. 즉 위암, 간암

(특히 여성), 자궁암은 전체암 사망률의 증가속도에 비해 상대척으로 그 속도가 낮아 강소동}는 추세인데, 폐암은 모든 암중에서 그 사망률이 가장 왜}른 속도후 증가하고 있다. 유방암, 식도암은 발생건수는 많지 않 으나 매년 서서히 증가하는 추셰이다. (뀐gure 4)

2) 순환기계질환인 뇌혈관 질환(뇌졸중)은 83년까 진 정체하는 듯 하다가 정차 감소하기 시작하여 %년 에는 약간 증가할 듯 하다가 。l후 계속 감소하는 추 세에 있고, 이전에 낮았던 협성증, 심근경색 풍의 “허 혈성” 심장질환에 의한 사%탤운 최근에 꾸준히 증가 하는 추세로서 1앉Xi년도 사멍훌운(인구 10만명당 13.

이 1잃4년도 (2.8) 에 비하여 약 4.7배의 증가를 보였 다.

3) 만성 간장병(간경변포함)은그증가속도가정 차 둔화되연서 서서히 감소하고 있으나 아직도 그 사 망순위는 제 4위로 그 수준은 높은 편이다.

4) 당뇨병은 계속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언데, 1996 년도의 사밸은 1004년도의 그것에 비하여 약 3.3배 의증가를보이고있다.

5) 각종 사고로 인한 사밍벌운 그 동안 계속 뚜렷 하게 가하여 왔는데, 그 중에서도 특히 교통사고 사망률은 매우 현저하게 증가하여 91년도에는 가장 높았다가 94년도까지는 좀 감소하는 듯 하였다가 여 전히 서서히 다시 층가하는 듯 하다.

6) 전반적으로 감염 ·전염성 질환은 조사시작년도 인 7’7년도부터 계속 꾸준히 감소하고 있는데, 특히 감염(전염)성질환의 대표척언 질병인 결핵은 생활수 준의 향상과 보건의료 여건 퉁의 개선으혹 더욱 현저 히 감소하는추셰이다.

(9)

Duk-Jo 때m et -η1e transition of the Leading 않uses of ~ath during the latest two decades in Korea

00 〈인구 10만명당〉 νι---xi

70 00

fl()

흩훨여

40

口남

3) 2)

10

홉』

홉』

당 뇨

후 두 암

도 암

알 훌 충 톡

간 장

교 통 사 고

0

Figure 2. 주요사안의 생별 사망훌

Table 6. 성·연령별 사인 순위(전체) (단위:명, 인구 100,αm명당)

0 l∼9

5위

괜 암職웹빼뺑때쨌떼웹때빨떼쨌聊짧때뺀뼈織總

U 교 %백nnm추%ω‘뇌야시n떠심m4간쟁 고 뼈 4위 간장병 1252(Z7.3 ) 싱장질환 64(9.3 추락사고

13.5(2.2) 백혈병 157(2.1) 심장질환 잃5(3.7) 심장질환 831(9.6)

간및간내당관암 l쨌 (28.이 교통사고

2364(58.3)

기관·기관지 및 폐암 3133(1껑,1)

위암 4156 (252.3) 3위

심장질환 1쨌4(3.5.7) 영아급사증후군 143(al.8) 선천성기형 214(3.5) 사고성익수 372(4.9) 사고성익수 374(4.2) 간장병 1288(14.9) 뇌혈관질환 1594(28.2) 간빛간내당관암 3)00 (75.4) 심장철환 없04(133.7) 만성하기도철환 4618(280.3 2위

교통사고 17543 (38.3) 주산기절환 없8(36.1) 사고성익수 257(4.3) 자살 쟁9(6.4) 자살 1256(14.1) 자살 1313(15.1) 교통사고 엉5.5(45.2) 간장병

3643(89.9) 위암 3.521 (138.6) 심장질환

7796 (473.2) 1위

뇌혈관질환 34187(74.7) 선청성기형 앓 (86.4) 교통사고 1닮7(20.6) 교통사고 1567(20.6 교통사고 짧2(36.6) 교통사고 잃40(37.4) 간장병 2웠9(51.3) 뇌혈관질환 4168 (102.8) 뇌혈관철환 8104 (318.3) 뇌혈관질환

19440 (1180.1) 10∼ 19

20∼21 30∼39 40-49 50∼59 60∼00 연령 전체

70+

'07

(주) 사인순위 선정올 위한 선태 73항목은 개정된 제3차 한국표준질병사인분류중 WHO가 각 나라에 사용을 권고 한 얼반사망 80항옥 중 나머지 악성신생물, 나머지 순환기계철환, 나머지 호흉기계질환, 모든 기타질환, 모든 기타 외언올 제외하고 허혈성 심장질환과 기타 심장질환을 심장질환으후 통일하고 자궁경부암과 상세불명 자 궁암올 자궁암으로 통합한 뒤, 달리 분류되지 않은 증상 • 칭후와 임상 및 겸사의 이상소견 (ROO-R99) 중에서 영아급사중후군 (R95) 을 선태하여 73개항목으로 조성한 것으로 그동안 사용하던 32향목의 내용과는 벙주가

다르므혹 시계열 비교시 주의바람

(10)

Table 7. 최근 20년간 우리 나라 10대 주요사안의 변화 순위 19'η 1978 1979 1980 1981 1982 1983 1984 198.5 1986 I 불영 뇌혈관젤한 뇌혈관질환 붕영 고혈압성질환 순환기계질환 뇌혈관갤환 혈관질환 혈관질환 순환기질환 악(gJ.생.7선)생물

고 \Ti혈1 외압성 질 환

(76.6) (176.2) 2 순환기질환 악성선생울 순환기계질환 뇌혈관갤환 손상,중독,사고 기다의싱장앵 고혈압성갤환 고혈압성정환 (74.(때8) (48.2) (472) 3 악성종양 고혈압성젤한 기다순환기계질환 악성종양 붕의의사고 악성종양 불의의사고 기타의싱장장병 장병 (없5) (생2) (33.8) (34.2) 4 기다싱장영 기타싱장병 고혈압 손상,중독,사고 노쇠,미상(불명) 노쇠,이상 위암 위앙 위암 (54.

뇌 (34.쇠 11미상) 만

(

잃성 9간)장명 만 ( $성 6간)장영

5 결핵 사고 사고 소화기질환 위앙 소화기계젤환 만성간장뱅 (44.4)

만 (2) .생4간)장 영

(2잉이 (29. 6 사고 결핵 결핵 호흉기질환 만성간장앵 강영성철한 위앙 간암

간(%갱‘ 7연),만성간정한 강영성질환

(29.2) (18.8) (20.9) rl~ 7 만성간장병 만성간장앵 교통사고 호흉기계젤환 교통사고 간암 교통사고 교통사고 」애Jn (없I) (19.9)) (18.6) 09.6) 8 폐렴 예령 중옥빛옥성영향 신경게정환 결핵 신경,강질환 고혈앙성질환 교통사불의사고 내용~1. 써겔연결핵 (20.0) 결 (18.핵4) (18.1) (18.1) 9 중독성질환 중독성칭한 폐렴 내운비, 대사써생환 자살 내분u], 대사절한 켈핵 결핵 ~ (19.8) (18.2) (17.8) (17.1) 「니 10 기관지염, 천식 기관지영,천식,기관지염,혜기종 u]뇨생식 기계 젤환 만성호흉기질환 천성이상 간암 붕의의사고 만성호흉기 가알 (15.2) (16.4) (IJ.2) (10.2)

~ ~ 요」‘

순위 1987 1988 1989 1990 1991 1992 l않~ 1994 1995 1996 키~。 I 순환젤환 악성종양 악성종양 악성종양 악성종양 악성종양 악성종양 환기계정한 순환기계질환 순한기계질한 (171.6) (00.5) (l(X).(I 10.4) 뇌 (!(혈$관3)질환 (1109) (112.2) (1610) ((J~.6) (127.0)

4」 뷰;

2 악성종양 뇌혈관질환 뇌혈관정한 뇌혈관질한 뇌혈관질환 뇌혈관정한 각종앙 신생불 신생물 (없5) (염.3)) (74.1)) (75.7) (72.00 (00.4) (없8) (IJ4.5) (112.1) (111.9)

밟〉

3 사고,손상,중옥 불의의사고 불의의사고 불의의사고 울의의사고 울의의사고 불의의사고 각종사고사 사고 (74.6) (66.7) (72.0) η'5.6) (85.8) (81.5) (π6) (74.8) (75.4) (75.1) 4 소화기계질환 성장앵 싱장병 성장앵 성장병 성장병 소화기계갤환 소화깨질환 소화기계정한 ~-.- 5 이(뼈상9) (뼈.7)

고 (46. 혈3압)성정환

(얘0)

고 (49혈 5압)성생환

(435)

만 (갱성 3간)장앵

(41.1) (:ll2) (~.]) 」으 고혈압성질환 고혈압성정한 만성간장병 호흉기계젤환 호흉기계정한 호흉기계질환 (없2) (:ll.9) (인3) (35.6) (29.9) (28.8)

고 (29.혈 0앙)성정한

당 (26.뇨I병) (24.3) (23.2)

}

6 i흉기젤한 만성간질환 만성간질환 만성간질환 만성간질환 고혈압성젤환 분비대사질환 내분u],대사젤환 (22.8) 결 (28.핵4) rn.(29.6) (28.8) (27.3) (27.3) (172) ((18.7) (18. 7 강영성질환 경핵 당뇨영 당뇨영 당뇨병 당뇨뱅 강염성질환 영성젤환 갱신및 행동장애 (19.9)

폐 (14.령 I) 및 기 관지염

(12.6) (11.8) (14.8) (.8) (16.0) (13.3) (II.6) (130) 8 폐렴 관지염 폐렴 및기관지영 결핵 켈핵( 결핵 천식,기관천식,기관지염 신및 행동장애 강영성절한 (12.3) (102) (9.8) (IJ.7) JI.00.4) (112) (12.2) (IJ.4) (107) 9 신갱계정환 자상 당뇨앵 자살 자살 천식,기관지영 결핵 자살 신경계갤환 비뇨생식기계질환 (7.4) 당 (8.뇨5)영 (9.4) (9.1) (8.4) (10.2) (IQ.I) (9.8) (4.9) (4.8) 10 비뇨생식기자날 페영빛 기관지영 천식 자상 자살 뇨생식기계생한 신경계젤환 (6.2) (7.4) (8.7) (6.2) (7.0) (9.0) (9.(9.6) (4.(4.6) 자료 경제기획원 조사통계국;사망원인 19801989년, 계청 ,사망원인통계 19901993, ( ) . 10만명당 사망 윤치훈 등;우리주요 사인의 변천관한 구, 경회의논문집 18 (2) : 137 -155, 1993

(11)

. 2l ZI)

Duk-Jo 때m et al : πle transi디on of the Leading 않uses of 않ath during the latest two decades in Korea

〈인구 10만명당〉

200 100 100 1<t)

2'.)

m

00 00

<t)

2'.)

0

η

78 79 00

82 83 84 85 86 87 88 89 00 91 92 93 94

~ 96년

%

%%mw

£$g

m

πωm

5 0

Figure 3. 주요 대분류에 의한 사망률 추이 (1얽7 ∼1와%)

〈인구 10만명당〉

자궁암(여)

87 88 89 % 9 92 93 94 ~ 96년

Figure 4. 최근 10년간 주요 악성신생물의 사망률 추이 (1986 ∼ 1996) 주요한 요인이 되고 있다. 5」3.1~2

1안7년 이후의 사언 통계는 사망원언 병명의 정확 성 측면에서는 그전보다 크게 나아진 것은 없으나, 통계표의 체계와 작성되는 시기성과 완전성이라는 측

면에서는 뚜렷하게 매년 개선되고 있다.1.1a II. I~ 21, 25, 31)

1900년도의 사인통계는 의사의 사망진단서가 첨부 된 부분만을 발훼하여 작성한 것이어서 매우 큰 발전

보인 것이다0 I, 12, 14, la 31, 36펴)

우리 나라의 사언 통계는 한때는 의사의 사망진단 이 없이 인우층명으로도 사망신고를 할 수 있도록 되 있어, 완전성과 정확성이 크게 문제되어 왔다.5.13, 15

또 우리 나라에서는, 현재 한의사도 사망진단서를 작성할 수 있게 되어있는데, 의사와 한의사의 병명의 채돼방법에 차이가 있어, 이것 역시 사인분류에 혼란

1981년부터는 임상 각 분야의 전문가들로 구성된 자문위원회에서 개인의 사망진단서와 인우증명서를

39

(12)

김득조 퉁 ; 최근 20년간 우리 나라 주요사인의 추이

검증하여 그 중 분류가능하고 사인기재가 정확하다고 판정되는 부분만을 골라서 사인통계를 작성하고 있 다. 이렇게 작성된 사인통계는, 한 예로 1987년도에 는 전체신고 사망건수 중 약 33%가 의사의 사망진단 서가 첨부된 것이었고, 약 82%가 분류 가능한 것이

었다고 한다 ~ 8, I0, 16, 3, 34, 57, 60)

사실 우리 나라의 사인 통계는 선진국과 비교할 때 아직도 개선의 여지가 많고 사인분석에 난점이 남아

있다. Zl. 3l ·~ Zl 33.

0, ... 46.4~ 56)

그러나 아직도 이렇게 결점이 있는 우리 나라의 사 인통계일지라도 사인구조의 유형적 분석을 하기에는 충분히 활용할 있는 좋은 자료라고 생각된다.2. 8, 10, 21 32, 35)

동5)은 우리 나라 정부가 제작한 사인통계의 신 벙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대조조사를 한 결과 의사의 사망진단부분에 관한 대분류에 의한 사인구조의 양상 에 있어서 신고에 의한 사인통계와 조사자들의 한 연 구결과에서 얻은 사인통계가 별 차이가 없음을 밝히

있다.1.S.14, 21. 30.왜. 40)

이러한 제한점이나 문제점등을 감안하면서, 그러나 그 활용가치성과 이 분야 연구의 발전 등을 위하여 그 간 우리 나라의 주요사안들의 경시척 변동을 먼저 간략히 요약하연; 이전에 주요 사인의 수위, 또는 주 종을 이루던 전염병, 결핵, 소화기계 질환, 일부의 호 흉기계질환, 병명미상(진단불명)등에 의한 사망은 현 저히 감소되고, 최근에는 그 순위나 양상이 역전되어, 순환기계 질환, 악성신생물(암)등의 소위 “성인병”과 사고 등이 현저하게 증가하여 삼대주요사언을 차지하 면서 이들이 l앉)6년도 현재 전체사망의 약 61%를 차 지하고 있으으로, 과연 선진국형의 사망ζ&상으호 변

천했다고 하겠다.8.31, 강j 43)

남녀 합하여 주요 사인의 순위는 Table 5 및 Figure 2 에서와 같이 대체로 순환기계질환, 악성신생물

(암), 사고(사망의 외인), 만성 간장병 등의 순서였 는데, 1000년대에 와서는 통계청의 계통별 질병명이 장기별로 세분화됨과 아울러 남녀별 분류에서는 사인 의 순위가 일부 변경되어, 1992년도 부터는 남성에서 는 1위 뇌혈관질환, 2위 교통사고, 3위 만성간장병, 4

위 고혈압성질환, 5위 위암 퉁의 순서로 바해고, 여 성에서는 1위 뇌혈관질환, 2위 노쇠, 3위 심장병, 4위 고혈압성질환, 5위 위암 동의 순서로 바뀌었다.

이는 공통되는 순환기질환 다음으로 남자에서는 교 통사고와 만성간창병에 의한 사망이 높고, 여자에서 는 고령화에 의한 순환기계질환 및 노쇠와 그 다음으 로 암에 의한 사망이 많음을 나타내는 것이라 하겠다.

8, 10 19. 21, l 34. 41,4l55. 63)

전체사언을 다시 연령군별로 최근의 주요사인의 순 위를 보면 Table 6 에서와 같은데, 영아 (0세) 기의 사 언은 주로 선천척 이상이나 감영성질환으혹 최근 a)

년간 별다른 변통은 없었다. 8, 16‘21, 31, 39, 43)

1 ∼9세군은 불의의 사그l가 가장 많은데, 전체 사인 중 사;l가 차지하는 비율운 1984 년에는 약 36%였으 나 1앉)6년에는 약 51%로 크게 증가하였다. 특히 사고 중, 자동차 사고는 lf용4년엔 4위였던 것이 1쨌년부

터는 1 위가 되었다. 2,8, 9.16. 30, 31,34, 39, 43,54)

10대 연령군에선 사고사, 특히 교통사그l가 역시 가 장 많으냐 정차 익사와 중독사가 증가하면서 자살이 나 자상도 나타나연서, 1996년도에는 전체 사망의 약 53%를 사고사가 차지하였다. 2. 8, 21, 31, 43)

a)대 연령군에서는 사고에 의한 사망률이 가장 높 은 것이 특정인데, 이것도 연도별로 증가하여 1984년 에는 전체사망의 약 43%, 1앉X3년에는 약 58%, 1앉)6 년에는 63%를 차지하였다.2. 8, 9, 31,

I)

3'.)대 연령군에선 사고사의 비율은 a)대보다.는 약 간 주는 듯하연서 자잘, 만성간장병, 고혈압성질환, 그리고 암 등의 소위 “성인병”이 점차 주요사인으로

부」냥하는 것이 특정척이라고 있다_ 1. 2. 8, 21, 30, 31, 32, 34

’‘

l 56)

40대 연령군에서의 사망흘은 세계척으로 우리나라

가장 높다고 하는데2. 8, 21. 25, 30. 31, 34. 39. 4357). 주요사언은

만성간장병, 악성신생물, 사고, 순환기계질환 등이다.

그런데 여기서 주목할 것은 특히 남성에서 만성간장 병에 의한 사망이 타 연령군에서 보다. 매우 월등히 많다는 사실이다. 이는 B형 Virus 간염의 만성화와 무절제한 음주 등이 가장 중요한 위험요인으로 추정

된다 8, l l 19, 28,31, JG 39,

3 %

7, 56)

B)대와 60대 연령군에서는 사인구조7~ 암, 뇌혈관 질환이 1,2위를 다투며 비슷하지만, B)대에서는 만성 간창병, 사고, 심장병이 3,4,5위를 • 60대에선 심장병, 고혈압성질환, 당뇨병 (또는 사고)순이어서 노령화될 수록 순환기계질환이 더욱 많아짐을 알 수 있었다_s.zs.

29, 31, 35 42‘ 4l48,

9,58, 64)

(13)

Duk-Jo Kim et : πle transition of the Leading Causes 아 ~ath during the latest two decades in Korea

70대 이상의 연령군에서는 남녀 공히 뇌혈관질환이 1위이지만 이 뇌혈관질환에 의한 사멍수가 남자에서 는 약 25.2%만이 70대 이상의 고령충에 분포되어 있 는데 반하여, 여자에서는 약 5.9.8%가 70세 이상의 고 령층에 집중척으로 분포되어 있어, 여자의 경우엔 고 령언구가 상대척으혹 많아 뇌혈관질환을 위시한 순환 기계질환에 의한 사망이 남자에 비하여 훨씬 많음을

있었다.8.10,21, 31, 죠.43.59)

l언7년부터 1앉)6년도 까지 최근 a)년간에 걸쳐 주 요사인구성의 연도별 추이를, 정부당국의 자료들중에 서 인구 10만명당의 특수사인통계표와 10대사언의 순 위표 등에 의거하여 정리한 것이 Table 7과 뼈ure 3

인데, 여기서 가장 특징척이라 할 수 있는 것은 악성 신생물인 암에 의한 사體은 매년 꾸준한 증가추세 를 보이고, 전반척인 순화기계질환은 점차 강소하는 경향인데, 이중에서도 뇌혈관질환은 다소 정체하고, 고혈압성철환은 약간 강소하는 듯한 경향이지만, 허 혈성심장질환에 의한 사망률은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 이며, 또한 당뇨병도 꾸준히 서서히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또한 앞으로 가속되는 대기오염과 인구의 노령화로 호흉기계질환에선 만성폐쇄성폐질환이 증가하여 섭대 사언중에서도 중상위를 차지할 것으로 생각된다. 8. 31,4,

4, 50.51 5,58. a

만성간장병은 그 증가속도가 점차 둔화되면서 정체 상태에 이르는 것 같으나 그 사멍수준은 아직도 높은 상태이다 .. 대표적인 전염성질환인 결핵은 꾸준히 감 소되고 있는데, 점차 더욱 감퇴될 것£로 생각된다.'· 2

. 8, 19, 26. 28. 31. 34)

각종 사고 중 특히 교통사고에 의한 사망률은 그간 현저하게 중가하여 왔는데, 1991년부터는 약간 감소 하는 듯하다,가 1994년부턴 다시 서서히 증가하는 추 세에 있어, 전반적으혹 볼 때 우리 나라에서는 각종 사고로 언한 사망률은 매년 층가하는 실정으로, 언구 10만명당 사망흘이 1£용4년의 47.5에서 1996년도엔 75.5로 뚜렷하게 중가하였음을 있다.2. 8. 9, 15, 18. 21, 26

31,34 38.39,‘l‘~61)

를응 ‘-

저자는 최근 우리 나라 주요사안의 변화추이를 고

찰하기 위하여 그간 공포된 정부 당국의 사망원인 통 계자료들과 이에 관련된 주요 논문들을 참고하여 1977년부터 1쨌년까지 최근 a)년간의 주요 사망원 인의 변화와 그 추이를 조사 검토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얻었다.

1. 1밝7년이후 특히 1980년대에 들어와서 순환기계 질환이 완연히 수위권으로 부」&하고, 악성신생물언 암은 그 간 꾸준히 증가해왔으며, 교통사고를 포함한 불의의 사고에 의한 사망은 1980년대 중반부터 현저 히 증가하여 이제는 제 3위의 자리를 굳히어 1앉)6년 도 현재 순환기계질환, 암 및 사고(사망의 외언) 의 순으로 이들 삼대사인이 전체 사망의 00.8%를 차지 하고있다.

2. 최근의 남녀별 주요사인의 변동을 보면, 남자에 서는 암, 불의의 사고, 뇌혈관질환, 만성간;앙병, 심장 병의 순위이고, 여자에서는 뇌혈관질환, 암, 심창병, 고혈압성질환, 불의의 사고의 순이었다.

3. 연령군별 주요 사인은 0세 (영아기) 에서는 주로 선천성 이상과 감염성질환이고, l세에서 :Ii대까지는 사그I가 전체사망의 약 51%를 차지하며, 40대에서 00

대까지는 암, 순환기계절환, 만성간장병 둥의 소위

“성인병”이 주종을 이루고 있으며, 70대 이상의 연령 군에선 뇌혈관질환이 단연 1위를 차지하고 있는데, 갈수록 인구의 고령화와 함께 정차 순환기계질환이 많아지고었다.

4 주요사인의 추이를 보연, 과거에 위세를 떨치던 전염성질환(결핵포함)은 급격히 감소되고 있고, 비전 염성의 만성 퇴행성질환언 소위 “성인병”언 순환기계 질환과 암은 매년 꾸준히 증가하는 추셰이며, 만성간 창병은 그 증가속도가 둔화되는 것으후 보이냐, 아직 도 그 사%셔춘은 높은 실정이다. 또 각종 사로로 인 한 사망률은 매년 꾸준히 증가하여 제 3위의 사언으 로 전체사망의 약 15%를 차지하고 있다.

5. 현재 수위를 차지하는 순환기계질환에서는, 앞으 로 뇌혈관질환은 정체하면서 고혈압성질환은 약간 감 소하고, 허혈성 심장질환은 계속 꾸준히 중가할 것으 로 보이며, 대사장애성의 당뇨병도 더욱 증가할 것으 로 예측된다 .. 또한 교통사고에 의한 사망도 획기적인 대책이 없는한 계속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41

(14)

김득조 풍 ; 최근 20년간 우리 나라 주요사인의 추이

요 약

연구목적 : 최근에 이르러 우리 나라의 주요 사망원인은 전엽성질환에서 비전영성의 만성퇴행성질환으로 현저 히 변화되었다. 이제 저;;(f-들은 최근의 주요 사인의 변화양상과 그 추이를 검토하고저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방 법 ; 그칸 경제기획원, 통계정 및 기타 관련 정부 부서로부터 1언7년이래 발표된 과거 a:J년간의 주요사 언에 관한 통계자료를 수집, 연도별로 분석, 검토하여 최근 우리 냐라에서 주요 사인의 변천양상과 그 추이를 고찰하였다.

결 과 : 1970년대 후반 내지 1980년대 초반에서 주요사인이 전염성질환에서 비전염성의 만성퇴행성 질환 으로 현저하게 역전되었는데, 특히 순환기계 질환과 악성 신생물이 수위권으혹 괄목하게 부장하였다. 또한 1980년 중분이래 사망의 외인(불의의 사고)에 의한 사망이 정차 증가하여, 이제는 순환기계질환, 악성신생물 (압)그리고 사고(사망의 외인)은 三大주요사언이 되어 1앉)6년도 현재 이 3대 사인이 전체사인의 약 61%를 차지하였다.

결 론 : 주요사언의 추이를보면, 과거에 위세를 떨치던 전염성질환(결핵포함)은급격히 감소되었고, 비전 염성의 만성퇴행성 질환언 소위 “성인병”인 순환기계질환과 암 그리고 만성폐쇄성 폐질환 등은 아직도 그 사 밍략준은 높은 실정이다 또 각종 사고로 인한 사멍흘은 매년 꾸준히 층가하여 제 3위 사인으로 전체 사망의 약 15%를 차지하고 있다.

중심단어 ; 사인, 변화양상, 추이, 만성·퇴행성질환, 사망의 外因(사고)

이. 대한의학협회지 1않£; 8(잉 : 132- 144 참 고 문 헌 11. 김일순 이동우. 최근 한국인의 사망력의 경향에

관한 고찰. 대한예방의학회지 1쨌, 2: 61-76 1. 경제기획원 사망원인통계. 1인0, 1980-’84 12. 김일현. 한국인구성장추이와 전망, “한국의 인구 2. 경제기획원 사망원인통계년보. 1985-’89 문제와 대책”. 한국인구보건원, pp49-85, 1989 3. 고갑석 ; 한국인의 최근 사망수준에대한 소고 인 13. 김정근. 질병상과 사망구조. 대한의학협회지

구문제논집

um;

4: 78-85 1985; 28: 119-125

4. 고응린 : 주요사마원인이 인구 구조에 미치는 영 14. 김정근 한국인의 사망원인분석 한국인구보건연 인구문제논집 1973; 16:35-40 구원 1989; pp~-82

5. 공세권, 임종권, 김미경, 한국의 사망력과 사망원 15. 김정순. 우리나라 사망원인의 변천과 전망. 한국 언. 한국인구보건연구원 1983; pp27 174 역학회지 1989; 11: 155-74

6. 권이혁 우리나라 사망에관한 소고, 대한의학협 16. 김정순. 우리나라 사망원인의 변천과 현황. 대한

회지 1968; 11: 972-980 의학협회지 1댔; 36: 271-284

7. 권이혁 최신보건학; 서울 신광출판사 ; 1988. 17. 김정순, 정문희. 사망 및 상병자료에 반영된 한국

pp32- 40 인의 질병양상. 공중보건잡지 1976; 13: 45-00

8. 검득조, 윤태영, 최중명, 박순영, 유통준. 최근 10 18. 김진표, 이시백. 한국인의 주요 사망원인에 대한 년간 우리 니라 주요사인의 변화추이에 관한 연 사망성비분석. 국민보건연구소연구논총 1잃4; 5

구. 경희대학교 논문집 l뾰, 24: 짧-279 (1) :00- 74

9. 김응익, 김종석, 우리나라 자동차사고에 대한 역 19. 남정자. 우리나라 국민의 건강수준과 문제정 (1- 학적 고찰, 한국보건통계학회지 1983; 8: 89-96 5). 의사신문 1998; 3675-3679

10. 김일순. 한국인 5대 사망원인 질환의 현황과 추 a:J. 대한결핵협회 전국결핵실태보고서 1965, 1970,

수치

Table 3. 1980년 이후 최근 15년간 우리 나라 주요사인의 변화  1980 1981 1982 1983 1984 198.5 1986 1987 1988 1989 1990 1991 1992 1993 1994  붕명  고혈압성 순환기계 뇌혈관질환 뇌혈관질환 뇌혈관질환 순환기질환 악성종양 악성종양 악성종양 악성종양 악성종양 악성종양 악성종양 순환기계질  철환 갤환 (lffi.3) (100.9) (112.2) 환061.이  순환기계켈 뇌혈관켈환 손상, 중독
Table 7. 최근 20년간 우리 나라 10대 주요사안의 변화  순위 19'η 1978 1979 1980 1981 1982 1983 1984 198.5 1986  I 불영 뇌혈관젤한 뇌혈관질환 붕영 고혈압성질환 순환기계질환 뇌혈관갤환 뇌혈관질환  뇌혈관질환 순환기질환  악(gJ.생.7선)생물  고 \Ti혈1외압성질환 (76.6) (176.2)  2 순환기질환 악성선생울 순환기계질환  뇌혈관갤환 손상,중독,사고 기다의싱장앵 고혈압성갤환 고혈압성정환  (7

참조

관련 문서

44 글의 첫 번째 문장인 The most important thing in the Boat Race is harmony and teamwork.을 통해 Boat Race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조 화와 팀워크임을

Now that you have the right bike for you, it is important to learn the right riding position.. A poor riding position can lead to injuries

44 글의 첫 번째 문장인 The most important thing in the Boat Race is harmony and teamwork.을 통해 Boat Race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조 화와 팀워크임을

 The Dutch physicist Pieter Zeeman showed the spectral lines emitted by atoms in a magnetic field split into multiple energy levels...  With no magnetic field to align them,

Modern Physics for Scientists and Engineers International Edition,

If both these adjustments are considered, the resulting approach is called a bootstrap-BC a -method (bias- corrected-accelerated). A description of this approach

③ A student who attended Korean course at KNU Korean Language Program and holds TOPIK Level 3 or a student who completed Korean course Level 4 at the KNU Korean Language

· 50% exemption from tuition fee Ⅱ for the student with a TOPIK score of level 3 or higher or completion of level 4 or higher class of the Korean language program at th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