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생태여성주의 현대 미국소설에 나타난 포스트모던 목가의 양상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생태여성주의 현대 미국소설에 나타난 포스트모던 목가의 양상"

Copied!
22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생태여성주의 현대 미국소설에 나타난 포스트모던 목가의 양상

최동오1)2)

Ⅰ. 들어가며

Ⅱ. 포스트모던 목가

Ⅲ. 『천 에이커』와 포스트모던 목가

Ⅳ. 『성하』와 포스트모던 목가

Ⅴ. 나가며

◁ 목차 ▷

1) 충남대학교 영어영문학과 교수

(2)

<Abstract>

Postmodern Pastoral in Contemporary Ecofeminist American Fictions

Choi, Dongoh

This paper reads contemporary ecofeminist fictions, Jane Smiley’s

A Thousand Acres

and Barbara Kingsolver’s

Prodigal Summer

, to find some ecocritical features of postmodern pastoral.

American pastoral was an ideal premised on harmony and balance, while it depended on ownership and conquest in the American history. Postmodern pastoral undresses the ideology of American pastoral which sanctions the oppressions of women and the natural world, and thereby it restores nature and women to their authentic positions.

A Thousand Acres

and

Prodigal Summer

present the natural landscape surrounded by the threatening world-views such as patriarchal instrumentalism and anthropocentric attitudes. They also show women characters that face the androcentric ideology based on the difference in gender. Women characters pursue the world of harmony and equality as they are armed with ecofeminist consciousness.

<Key Words> ecofeminism, postmodern pastoral,

A Thousand Acres

,

Prodigal Summer

, ecocriticism

Ⅰ. 들어가며

(3)

미국의 생태소설은 여러 방법으로 분류가 가능하다. 예를 들어, 작 가의 인종적 측면을 고려한다면 제일 먼저 떠오르는 부류가 북민 인 디언 작가들의 소설일 것이다. 모마데이(N. Scott Momaday)의 『새 벽으로 지은 집』(

House Made of Dawn

)이나 실코(Leslie Marmon Silko)의 『의식』(

Ceremony

), 호건(Linda Hogan)의 『비천한 영 혼』(

Mean Spirit

) 등이 이 작가 군에 속한다. 아니면 작품의 장르적 속성을 고려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사이언스 픽션이 적합한데 르귄 (Ursula Le Guin)의 『어둠의 왼손』(

The Left Hand of Darkness

)이 나 로빈슨(Kim Stanley Robinson)의 화성 3부작(

Red Mars

,

Green Mars

,

Blue Mars

)과 스타호크(Starhawk)의 『제 오 원소』(

The Fifth Sacred Thing

)등이 이 군에 속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분류는 극히 부분적이어서 여러 다른 방식으로도 분류가 가능하다.

본 논문에서 다루고자 하는 생태소설은 생태여성주의를 표방하는 제인 스마일리(Jane Smiley)의 『천 에이커』(

A Thousand Acres

)와 바바라 킹솔버(Barbara Kingsolver)의 『성하』(

Prodigal Summer

) 다. 1991년에 발표된 제인 스마일리의 『천 에이커』는 셰익스피어 (Shakespeare)의 『리어왕』(

Lear

)을 현대적인 시각으로 다시 쓰면서 1970년대 아이오와(Iowa) 주 제블론(Zebulon County)에서 벌어지는 여성과 자연의 억압에 대한 서사를 미국의 목가 형태에 접목시킨다.

스마일리가 생태여성주의라고 하는 주제 의식을 전달하는 소설의 양 식으로 미국문학이 지향했던 목가를 차용한다는 것은 소설에 대한 리뷰에서 잘 드러난다. 마싸 더피(Martha Duffy)는 스마일리의 『천 에이커』를 리뷰하면서 스마일리의 생태여성주의적 시각을 소개한다.

더피에 따르면, “자연이나 땅처럼 여성은 이용되어야 할 무엇으로 간 주된다. 여성주의자들이 여성이 내재적 가치를 지니고 있다고 주장하 는 것처럼 환경주의자들도 자연이 인간의 효용성에 독립된 자체의 가치를 갖고 있다”고 주장한다. 이를 바탕으로 더피는 스마일리의 소 설이 “여성주의자들과 환경주의자들이 자신들의 확신을 표현하기 위

(4)

한 상상의 길을 발견할 수 있는 하나의 희망적인 표식을 제시한다”고 설명한다(92). 생태여성주의 비평가들이 『천 에이커』에서 여성에 대한 억압과 자연에 대한 침탈 사이의 유사성을 발견하려 한다는 점 에서 더피의 설명은 합당하다.

바바라 킹솔버의 『성하』는 애팔래치아 산맥을 배경으로 형성된 농촌 공동체에 속한 세 여성 디아나(Deanna), 루사(Lusa), 내니 (Nannie)의 이야기이다. 킹솔버는 이 세 여성을 통해 미국 농촌 사회 가 만든 목가 신화에 의문을 제기하고, 글렌 러브의 용어를 빌려 표 현하자면, “자연에 대한 새롭고도 복합적인 이해”와 연관지어 “목가 의 의미를 재정립하기”(231)를 시도한다. 이 여성들은 가부장제적 이 원론의 사고에 사로잡혀 있는 남성들을 계도하는 역할을 할뿐만 아 니라 그러한 사고에 의해 위협당하는 농촌의 자연 풍경을 보존하려 고 노력한다. 리차드 매기(Richard Magee)가 지적하듯이, 이 소설의

"여성들은 자연을 나타내고 (농촌의) 남성들은 문화를 나타낸다“(18).

소설에서 여성들은 자연을 보호하거나 유지 가능한 방법으로 농장을 경영하려고 하는 반면, 남성 인물들은 사냥꾼으로 묘사되거나 산업자 본주의적 방식으로 대지에 위협을 가하는 인물들로 묘사된다. 킹솔버 는 농촌 공동체를 바로 세우려는 강인하고 주체적인 여성들의 삶의 변화를 추적하면서 이들이 어떻게 대지와 남성들을 조화의 세계로 인도하는지를 형상화한다.

본 논문의 목적은 생태여성주의 주제를 보여주는 두 소설이 어떻 게 포스트모던 목가의 형식을 드러내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전통적으 로 목가는 문명의 공간에서 지친 인물이 자연 세계로 회귀해서 평안 과 만족의 삶을 되찾는 경향을 보인다. 그래서 목가의 세계는 조화와 균형의 세계로 지칭되곤 한다. 하지만 이러한 조화와 균형이 사실 작 가의 이데올로기적인 편향에 불과하고 자연 세계에 덧씌운 인간의 욕망에 불과하다는 것은 이미 널리 알려진 일이다. 본 논문은 목가 이후의 목가, 조화와 균형이 깨진 포스트모던 목가의 세계를 다룬다.

두 소설에서 여성 주인공들은 파괴된 여성 자신들의 삶을 대면하게

(5)

되고 다양한 종류의 위협에 시달리는 자연 풍경을 목도하게 된다. 여 성의 억압과 자연의 파괴가 상호 연결되어 있다는 것을 주인공들이 인식하게 되고, 이러한 인식은 그들의 성장을 이끌어 새로운 생태여 성주의적 주체로 다시 태어나게 만든다. 본 논문은 두 소설이 농촌 공동체의 위기를 어떻게 그려내는지, 그리고 자연 풍경과 사람들의 삶이 어떻게 위협 받고 있고 소설의 인물들이 그 위협을 어떻게 주 체적으로 극복하는지를 추적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Ⅱ. 포스트모던 목가

미국문학에서 목가의 모습을 찾고자 하는 비평적 노력은 끊임없이 있어왔다. 일찍이 로렌스(D. H. Lawrence)는 『미국 고전문학 연구』

(

Studies in Classic American Literature

)에서 미국의 작가들이 “유 럽이라고 하는 늙은 부모”(4)의 문명으로부터 벗어나고자하는 욕망을 표현하고 있다고 간파한 바 있다. 로렌스의 저작에 기대어 레슬리 피 들러(Leslie Fiedler)는 『미국소설에 나타난 사랑과 죽음』(

Love and death in the American Novel

)에서 미국의 작가들이 도시 생활로 대 변된 문명에서 벗어나 황야에서 도피처를 찾았다고 설명한다. 헨리 내쉬 스미스(Henry Nash Smith)는 『처녀지』(

Virgin Land

)에서 미 국인들이 세계의 정원을 꿈꾸고 있으며 “이상적인 개척농”(123)이 되 고자 한다고 지적한다. 레오 막스(Leo Marx)는 『정원 속의 기계』

(

The Machine in the Garden

)에서 미국문학이 어떻게 목가의 틀을 이용하고 있는지 탐구하며 “미국 작가들이 분리되고 고립된 공간, 울 타리가 처진 지복의 세계를 침범하는 기계를 계속해서 묘사한다”고 주장한다(29). 아넷 콜로드니(Annette Kolodny)는 『지세』(

Lay of the Land

)에서 “미국의 목가 어휘 중심에 풍경을 여성적인 것으로 알 고자 하고 그러한 풍경에 응하고자 하는 열망이 있다”(8)고 주장한다.

로렌스 뷰얼(Laurence Buell)은 『환경 상상력』(

The Environmental

(6)

Imagination

)에서 미국의 학자들이 미국의 문학과 문화를 목가의 양 식으로 설명하고자 하는 오랜 전통을 갖고 있다고 주장한다(8).3)

환경 위기의 시대를 맞이하면서도 미국문학과 목가의 관계를 설 명하려는 시도가 있어왔다. 다나 필립스(Dana Philips)는 돈 드릴로 (Don DeLillo)의 『백색 소음』(

White Noise

)이 포스트모던 목가의 예라고 주장한다. 필립스는 “『백색 소음』이 포스트모던 목가를 통 해 자연 세계와, 대부분 잊히고 사라져버린 미국의 농촌 풍경에 대해 놀랄만한 관심을 드러낸다”고 말한다(236). 필립스에 따르면 『백색 소음』의 화자인 잭 글래드니(Jack Gladney)는 포스트모던 목가와 연 루된 인물이다.

글래드니는 복잡한 것을 단순하게 만들 줄 아는 사람이다. 하지만 그는 또 한 그가 사는 포스트모던한 세계에서 단순한 것이란 없다는 것을 안다. 그 세계는 목가가 익숙하게 의존하는 대립물들이 와해된 세계이다. 그래서 포스 트모던 목가는 목가적 충동과 욕망이 영구히 좌절된 것에 대한 표현으로써 폐쇄된 목가로 이해될 수 있다. (236)

Gladney is someone who would like to very much to put the complex into the simple, but who can discover nothing simple in the postmodern world he inhabits, a world in which the familiar oppositions on which the pastoral depends appear to have broken down. And thus the postmodern pastoral must be understood as a blocked pastoral—as the expression of a perpetually frustrated pastoral impulse or desire.

필립스의 말을 추론해보면 포스트모던 목가는 자연과 문화의 균 형이 복원될 수 없는 세계를 나타낸다. 목가가 전유했던 많은 특징들 이 무효화 되었고 그러한 특징들이 근거했던 이분법적 세계의 구성 이 와해되었다는 것이다. 자연과 문화는 그 어느 쪽도 그것들이 향유 했던 과거의 모습으로 돌아가기 힘들게 된 시대를 만난 것이다. 이러

3) 목가에 대한 이 부분은 Conlogue의 책에서 정리한 것이다(6-7).

(7)

한 진단은 환경 위기의 시대에 대한 하나의 포스트모던한 은유처럼 들린다. 가치의 체계라고 믿었던 이원적 세계가 무너졌다는 사실은 가치의 중심이 사라지고 복원될 수 없는 세계에 이르렀다는 뜻으로 읽힌다.

레글러 그레첸(Legler Gretchen)은 생태여성주의 비평을 논의하 는 한 논문에서 다나 필립스와는 다른 관점으로 포스트모던 목가를 규정한다. 그레첸은 그레텔 얼리히(Gretel Ehrlich), 애니 딜라드 (Annie Dillard), 앨리스 워커(Alice Walker), 루실 클리프톤(Lucille Clifton), 조이 하조(Joy Harjo), 메리 올리버(Mary Oliver), 어슐라 르 귄(Ursula Le Guin), 레슬리 실코(Leslie Silko) 같은 작가들의 작품이 생태여성주의 문학 비평가들에게 풍부한 비평 영역을 제공한다고 지 적하며 이 작가들이 포스트모던 목가를 새로운 모습으로 재현하고 있다고 주장한다. 그레첸에 따르면, 포스트모던 목가는 “인간과 자연 의 관계에 대한 탈인본주의적 구성물이어서 포스트모던 세계에 일치 하며 생태적이고 여성주의적인 이론에 근거한 비전이고, 인간대 자연 의 관계를 상호 주체적인 대화적 관계로 형상화하는 비전”이다 (“Ecofeminist" 229). 자연에 대한 기존의 인본주의적 입장이 자연을 불활성 물질로 파악한다면 포스트모던 목가는 자연을 지식의 대상으 로 보고 스크린이나 배경이 아니라 말하는 “행위자나 에이전트”로 보 는 것이라고 주장한다(“Ecofeminist" 232).

그레첸은 다른 글에서도 포스트모던 목가를 정리하는데 미국의 전통적인 자연문학이 자연과 인간의 관계를 “그래픽 비전”으로 묘사 하고 있다고 규정하고 그레텔 얼리히(Gretel Ehrlich)의 산문이 이러 한 묘사에 도전하고 있다고 평가한다(“Toward” 22). 존 무어나 헨리 데이비드 소로우의 낭만주의 자연문학의 전통에서조차 땅은 작가의 자아를 축조하거나 유지하는 데에 필요한 객체로서의 타자라고 설명 하며, 그러한 자연 풍경은 “에이전트가 아니라, 탐험가나 자연주의자 또는 발견자나 모험가의 자아의 말 없는 거울”에 불과하다고 그레첸 은 말한다(22). 미국의 목가적 충동은 “대지에 여성, 처녀이거나 어머

(8)

니이건 주체성 없는 대상으로서의 여성 이미지를 투사했다”고 설명하 면서 그 결과 미국의 자연문학은 그래픽하게 되었다고 주장한다 (22-23). 그렇다면 그레첸에게 포스트모던 목가란 목가이면서 동시에 인간과 자연의 관계를 수평적이고 대화적인 관계를 유지하는 것을 의미할 것이다. 그런 관계에서 자연은 인간과 같은 동작주이자 주체 자로서의 지위를 부여받게 된다는 것이다.

Ⅲ. 『천 에이커』와 포스트모던 목가

『천 에이커』가 생태여성주의라는 주제 의식을 지향하면서 목가 에 새로운 의미를 부여한다는 사실은 스마일리의 인터뷰에서도 드러 난다. 스마일리는 『천 에이커』에 대한 한 인터뷰에서 여성과 자연 에 대한 억압이 동시적이면서 매우 긴밀하게 엮여있다는 것을 나타 내기 위해 농업을 하나의 은유로 사용하고 있다고 말한다. “농업은 내가 늘 관심을 가졌던 것이다. 그래서 내가 『리어왕』을 이용하려 는 생각을 갖게 되었고 그런 생각을 펼칠 자리를 찾았다는 것은 아 니다. . . . 자연과 여성이 우리 문화에서 착취 가능한 대상으로 너무 나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다는 것을 깨달은 결과”(Conlogue 162, 재인 용)로 농업을 은유로 사용하게 되었다고 말한다. 즉 『천 에이커』는

『리어왕』에 대한 여성주의적 대응이면서 미국의 목가를 구성하는 농업에 대한 여성의 반응인 것이다.

『천 에이커』는 미국의 목가적 열망이 개척 초기의 정신적 토대 역할을 한 미국의 농업과 농업주의에 기반을 두고 있다는 것을 보여 준다. 소설의 처음에서 설명되는 래리 쿡(Larry Cook)의 광활한 농장 의 모습은 이를 잘 반영한다. 농장은 격자 모양을 띤 것으로 그려지 는데, 화자인 래리의 큰 딸 지니(Ginny)는 “시속 60마일로 686번 카 운티 도로를 타고 1분간 달리면 우리 농장을 지나치게 된다. 그곳에 서 그 길은 캐벗 스트리트 도로와 정북으로 만나면서 T자형 교차로

(9)

를 이룬다”(3)고 설명한다. T자형 교차로를 중심으로 사각형 모양의 농장을 묘사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격자 모양의 토지 정책의 기본을 이룬 사람이 제퍼슨이다.4) 그는 1785년 공유지 조례를 제정한 위원회 의장이었고 이후 신생국 인 미국이 미래를 위해 나아가야 하는 방향을 농업에서 찾았다. 제퍼 슨의 농업 우선순위 정책에서 특이한 것은 신생 미국의 정치적 역량 을 도덕성에서 찾고 있다는 것이다. 구세계에 대한 부패와 타락이 해 양 산업의 장려에 있다고 보고 신생국인 미국은 농업을 통해 목가적 조화와 번영을 이루어야 한다고 믿었다.

제퍼슨의 토지 정책이 보여주는 미국의 목가적 열망은 농업에 기 반을 둔 도덕적 국가로서의 미래를 지향한다. 선민으로서 미국의 농 부들은 결코 부패할 수 없고 타락할 수 없는 존재인 것이다. 오로지 근면과 성실로서 신의 정원을 다루듯 미국이라고 하는 정원을 다루 어야 하는 사명을 지닌 것이다. 하지만 그러한 정책에서 나온 격자 모양의 풍경 밑에는 효율성을 지향하는 합리성의 이데올로기가 작용 한다. 스마일리는 그러한 효율성이 가져온 놀라운 토지 변화를 지니 4) 이러한 격자 모양의 농장 모습은 토마스 제퍼슨(Thomas Jefferson) 시대에 구 성된 미국의 토지 정책을 반영한다. 1862년 홈스테드법(Homestead Law of 1862)이 제정될 때까지, 미국의 토지 정책에 관한 기본 조항을 규정하고 있는 1785년 공유지 조례(Land Ordinance)는 공유지 측량 시스템의 기초를 이룬다.

당초 측량은 토마스 허친스에 의해 이루어졌다. 허친스가 1789년에 죽은 후에 는 측량 국장이 측량의 책임을 맡게 되었다. 토지 측량은 한 변이 6마일 (9.6km)로 정한 군·구(township)를 바탕으로 체계적으로 이루어졌다. 1개의 군 지역은 한 변이 1마일(1.6km)인 640 에이커의 도시 구획으로 구성되며 1군·구 에 36개의 도시 구획이 있도록 했다. l이러한 측량 시스템의 정비는 미국 독립 전쟁의 결과 영국에서 얻은 서부의 광대한 영토를 매각해 현금을 확보하자는 목적을 갖고 있었다. 또한 이 공유지 조례는 새로운 영토의 정치 조직화 규정 도 포함되어 있었다. 1784년의 공유지 조례는 애팔래치아 산맥의 서쪽, 오하이 오 강 북쪽, 미시시피 강 동쪽의 땅을 10개 주로 나눌 것을 규정하고 있었지 만, 어떻게 하면 그 영토가 주가 되고, 주로 승격하기 전에 어떻게 통치하고, 또한 개척하는 방법을 규정하고 있지 않았다. 1785년 공유지 조례는 1787년 북서부 조례와 함께 이러한 정치적 필요를 충족시키고자 하는 의도를 보여준 다(Conlogue 160-61, 호톤과 에드워즈 123-129)

(10)

의 입을 통해 다음과 같이 서술한다.

그러나 그 땅은, 아버지가 기분 좋은 목소리로 늘 말하던 대로 마법의 배 수관 덕분에 새롭게 창조된 땅이었다. 배수관은 물을 '빼내고' 땅을 따뜻하게 하여 일하기 쉽게 했으며 아무리 심한 폭풍우가 퍼부어도 24시간만 지나면 농기계를 끌고 들로 나갈 수 있게 해주었다. 무엇보다도 배수관 공사로 수확 이 크게 늘어난 일이 마술 같았다. 해마다 비가 오거나 가뭄이 들어도 에이 커당 수확량은 늘어만 갔다. (15)

but it was new, created by magic lines of tile my father would talk about with pleasure and reverence. Tile 'drew' the water, warmed the soil, and made it easy to work, enabled him to get into the fields with his machinery a mere twenty-four hours after the heaviest storm. Most magically, tile produced prosperity--more bushels per acre of a better crop, year after year, wet or dry.

래리와 그의 선조는 원래 늪이었던 땅 밑에 타일을 깔아 배수로를 만든다. 이러한 노력으로 래리는 자신의 땅이 비옥해졌다고 믿고 있 으며 그러한 노력의 결과로 자신의 토지가 비싼 땅이 되었다고 생각 한다. 어린 지니에게 아버지의 땅은 태초에 만들어진 그대로가 아니 라는 걸 알 길이 없는 그런 땅이다. 즉 그 땅은 태초에 신이 주신 땅 이며 아버지는 마치 신과 같이 쓸모없는 습지를 배수를 통해 수확량 을 올린 기적의 존재로 인식된다. 배수라고 하는 효율적인 농지 관리 가 신의 섭리와 만나 신세계를 창조하고 있는 것이다. 그렇게 만들어 진 새로운 땅은 지니에게 “상층토 밑이 초등학교 여자 화장실의 타일 바닥처럼 옥색과 노란색의 체크 무늬”(15)로 상상된다. 제퍼슨이 제공 한 격자 모양의 토지 정책이 이백년이 지나서도 래리 쿡의 농지에 그대로 반영되어 있으며, 그의 딸에게도 “체크 무늬”의 타일로 이식 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하지만 래리와 그의 선조가 일궈낸 지하 배수로는 독자들에게 자 연이 증식을 위한 수단이자 대상화된 객체라는 사실을 말해준다. 또

(11)

한 이러한 자연 개발이 어떻게 다른 사람들을 희생의 제물로 삼았는 지를 고발해주기도 한다. 배수로를 통한 오염물질의 침투는 식수를 오염시키고 이러한 자연 손상의 희생물은 여성들이다. 이웃인 제스 클라크(Jess Clark)의 엄마는 암으로 죽고(53), 지니의 동생 로즈 (Rose)도 유방암 치료 중에 죽는다(164-65, 370). 지니 또한 다섯 번 의 유산을 겪는다. 이러한 희생이 배수로를 통해 샘물에 유입된 질산 오염물 때문이라고 소설은 밝힌다. 다시 말해 자연에 대한 착취가 곧 바로 여성을 희생시키는 억압의 과정과 일치되는 것이다.

래리와 그의 선조들이 일군 대농장주의 꿈은 미국의 꿈이 말하는 그러한 종류의 성공으로 쉽게 인지된다. 래리는 자신이 일궈낸 성공 이 새로운 영농 방법과 최신 기계를 빠르게 받아들인 자신의 이성주 의적 사유 방식에 있다고 믿는다. 스마일리는 이러한 래리를 환경주 의적 농법을 구사하는 이웃인 칼 에릭슨(Cal Ericson)과 대비시킨다.

가축을 애완동물처럼 아끼고 대규모 낙농업 대신 젖소가 좋아서 소 를 기른다는 에릭슨은 래리의 경멸의 대상이다(43-45). 이 둘의 대비 를 통해 작가는 래리가 자연을 정복의 대상으로 삼고 있으며 이러한 정복욕이 자연에 대한 착취의 근저를 이루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스마일리는 자연에 대한 착취와 여성 억압의 이면에 가부장제적 탐욕이 존재한다고 암시한다. 래리와 그의 선조들이 여성을 대하는 태도는 이러한 탐욕이 그들의 마음 안에 도저하다는 것을 말해준다.

래리의 외할아버지 샘 데이비스는 존의 기술과 토지를 합병하기 위 해 자신의 17세의 어린 딸을 33세인 존과 결혼시킨다. 래리 또한 토 지를 확대시키기 위해 지니를 백육십 에이커를 상속 받은 타이 스미 스(Tyler Smith)와 결혼시킨다. 래리는 자신을 그 어떤 한계도 없는 사람으로 자신을 정의한다. 예를 들어, 그에게 “농부란 무엇인가?” 란 질문의 답은 “농부란 세계를 먹이는 사람”이다. “농부의 첫 번째 의 무는 무엇인가”라는 질문에 그는 “더 많은 식량을 키우는 것”이라 답 하고 두 번째 의무가 “땅을 더 사는 것”이라 대답한다(45). 이러한 탐 욕의 절정에 지니와 로즈에 대한 래리의 겁탈이 있다.

(12)

래리의 탐욕은 남성적 권력에서 나온다. 그 권력은 소설에서 자연 풍경을 개발해서 증식의 수단으로 삼는 모습으로 나타나면서, 동시에 여성들에 대한 억압의 모습으로도 나타난다. 바로 래리의 겁탈은 그 러한 권력체로서의 래리의 모습을 적나라하게 보여준다. 이러한 권력 에 맞서 지니가 살아남는 방법은 자신이 겪은 근친상간의 기억을 지 우는 것이었다.

아버지의 체중, 내 다리 사이를 누르는 그 무릎의 느낌이 기억났다. . . . 하지만 어떤 고통이나 몸에 닿는 손길은 전혀 기억이 나지 않았다. 몇 번이 나 그런 일이 있었는지도 전혀 알아내지 못했다. 내 전략은 자포자기 상태의 무기력증이었다. (280)

I remembered his weight, the feeling of his knee pressing between my legs . . . But I never remembered penetration or pain, or even his hands on my body, and I never sorted out how many times there were. I remembered my strategy desperate limp inertia.

래리가 자신의 땅을 소유해서 마음대로 할 수 있다고 믿듯이 그는 딸들의 육체를 소유하고 전유할 수 있다고 믿는 것이다. 그가 공개적 으로 지니를 “방탕한 매춘부”(181)라고 명명할 때 그 호명에는 자신 의 심리적 수치를 전치시키려는 의도가 보이지만 더 고려해야 할 것 은 그 호명이 담고 있는 의미이다. 래리가 지니를 매춘부라고 명명하 는 행위는 사실과 진리의 문제가 가부장제적 권력자의 담론에 달려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 래리가 농지로 대변된 자연 풍경을 침탈하고 딸들을 겁탈할 수 있는 것은 래리 개인의 탐욕에서만 비롯 되지 않는다. 그것은 가부장제적 질서가 부여한 권력에서 나오는 것 이다. 예를 들어, 로즈가 지니에게 자신과 지니가 아버지에게 당한 학 대를 고발하면서 “그런데 문제는 그가 존경받는다는 거야. 사람들이 아버지를 좋아하고 우러러본다는 것이지”(302)라고 공동체의 공모를 지적한다. 래리의 땅에 대한 오용과 남용, 그리고 딸에 대한 학대가

(13)

“그의 공동체가 암묵적으로 눈감아주고 가부장제의 재산 담론에 의해 정당화된다”(McDermott 395)는 사실에 주목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폭력의 아픈 과거를 되살려낸 지니는 소설의 마지막에서 주체적인 여성으로 다시 태어난다. 이러한 갱생은 스마일리가 지니의 새로운 삶을 통해 지나간 과거의 목가와 구별되는 새 시대의 목가를 구현하 고 있다는 것을 암시한다. 지니는 아버지를 닮은 남편 타이에게 자신 의 과거를 자신이 아버지와 남편의 가부장제적 권력에 종속되었던 미망의 시기였다고 말한다. 그리고 그 시기를 남편 “당신의 방식으로 보던 때”라고 언급하며 그 과거를 기억할 수 있다고 말한다. 그리고 아버지로 대변된 남성들의 “위대한 역사”의 속내를 간파할 수 있게 되었고 남편이 그 역사에 조력했다고 항의한다.

로즈가 내게 보여줬지만 미처 다 보여주기도 전에 그것이 진실이었다는 것을 나는 알았어. 당신은 이것을 위대한 역사로 보겠지만 난 불행을 봐. 당 신이 원했기 때문에 당신은 원하는 것을 가져갔다는 것을 나는 알아. 그 후 당신은 당신이 한 짓을 정당화할 수 있는 어떤 걸 만들어내곤 했지. 나는 사 람들이 그 대가를 치르고 그런 후에 그 대가가 무엇이었는지 잊어버리는 것 을 알아. 아버지가 혼자 생각으로 우리를 때리고 겁탈했다고 내가 생각할 것 같아? . . . 아니야. 아버지는 배운 교훈이 있었고 그 교훈은 꾸러미의 일부 야. 무슨 일이 있어도 아버지가 바라는 대로 이루어 나가려는 욕망과 땅에 질질 끌려 다닌 것이지. 물에 독이 스며들게 하고 상층토를 파괴하고 더 큰 농기계를 구입하고 그리고는 그 모든 것이 당신 말처럼 ‘옳았다’는 확신을 갖 는 거지. (342-43)

Rose showed me, but I knew what she showed me was true before she even finished showing me. You see this grand history, but I see blows. I see taking what you want because you want it, then making something up that justifies what you did. I see getting others to pay the price, then covering up and forgetting what the price was. Do I think Daddy came up with beating and fucking us on his own? . . . No. I think he had lessons, and those lessons were part of the package, along with the land and the lust to run things exactly the way he wanted to no

(14)

matter what, poisoning the water and destroying the topsoil and buying bigger and bigger machinery, and then feeling certain that all of it was 'right,' as you say.

아버지가 만들어낸 농장의 역사는 타이에게 위대한 역사이겠지만 지 니에게는 불행의 역사이고 충격의 역사로 인식된다. 이 불행의 역사 는 미국인들이 추구했던 목가적 삶의 이면에 여성들과 자연 풍경에 회복할 수 없는 타격을 가하여 상처를 남겼으며 조화와 균형의 목가 가 사실은 상처 위에 건설된 타락한 낙원이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Ⅳ. 『성하』와 포스트모던 목가

스마일리의 『천 에이커』처럼 바바라 킹솔버의 『성하』 역시 미 국의 농촌 사회가 꿈꾸었던 제퍼슨 류의 목가 신화를 교정하려 한다.

그 교정의 임무를 갖고 있는 여성 인물들은 환경의식에 고취 되어 있고 자신들이 속한 농촌 공동체에 남으려는 의지를 지니고 있다. 별 개로 보이는 디아나, 루사, 내니의 이야기는 소설의 마지막에 하나로 합쳐지는 특이한 플롯 구조를 갖고 있다. 이야기는 각각의 여성들을 소개하는데 두 이야기는 여성 내레이터가 서술을 하고 하나는 남성 서술자의 시점에서 이야기가 진행된다. 이 인물들이 사실은 서로 인 척이거나 이웃이고 서로 영향을 주고 세계관을 공유하는 관계를 유 지하면서 세 이야기는 소설의 후반부에서 하나로 합쳐진다. 별개의 이야기로 보이던 플롯들이 하나의 이야기로 모아지거나 서로 다른 인물들이 서로 연관 관계를 갖는 것으로 드러난다는 사실은 이 소설 을 이해하는데 매우 중요하다. 킹솔버는 생태학적 상호연결의 그물망 의 모습을 인간 세계에도 적용시키는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소설 의 처음에서 킹솔버는 국립공원 삼림 감시원인 디아나의 입을 빌려 자연 생태계의 그물망 모습을 매우 인상 깊게 그려낸다.

(15)

고독은 단지 인간이 지레짐작일 뿐이다. 조용한 발걸음 하나하나가 모두 발밑에 있는 딱정벌레의 삶에는 하나의 천둥이다. 어떤 선택이나 선택 받은 존재에게는 새로워진 하나의 세상이다. 모든 비밀에는 목격자가 있다. (1)

But solitude is only a human presumption. Every quiet step is thunder to beetle life underfoot; every choice is a world made new for the chosen.

All secrets are witnessed.

고독을 이야기하는 인간의 모습은 자신이 인간중심적 사유에 갇혀 있다는 것을 고백하는 것과 같다. 인간의 발 한 걸음으로 영향을 받 는 무수한 존재가 있다는 것을 망각하기 때문이다. 킹솔버는 인간 세 계와 자연 생태계 사이의 조응에서 한발 더 나아가 소설의 형식에도 생태적 순환의 원리를 도입한다. 도입부의 그물망의 이미지는 소설의 마지막에서 다시 반복된다.

고독은 인간의 추측이다. 조용한 발걸음 하나하나가 모두 발밑에 있는 딱 정벌레의 삶에는 하나의 천둥이고, 짝짓기와 먹이활동을 가능하게 해주는 가 느다란 거미줄을 한번 세차게 잡아당기는 것이며, 시작이나 종말이다. 어떤 선택이나 선택받은 존재에게는 새로워진 하나의 세상이다. (444)

Solitude is a human presumption. Every quiet step is thunder to beetle life underfoot, a tug of impalpable thread on the web pulling mate to mate and predator to prey, a beginning or an end. Every choice is a world made new for the chosen.

킹솔버는 소설의 처음과 끝을 순환의 고리로 만들어 소설의 구조도 이야기의 내용처럼 생태적 세계관을 지향하고 있다는 것을 분명하게 밝힌다. 세계에 고립된 존재가 없다는 주장의 이면에는 모든 자연 현 상이나 인간의 사회에도 상호 연결의 그물망이 깔려있다는 인식이 존재한다.

(16)

디아나의 이러한 목가적이면서 생태적인 세계는 코요테 사냥꾼인 에디 본도(Eddie Bondo)의 등장으로 위협을 받는다. 그러나 사실 엄 밀히 말하면 디아나의 세계는 에디의 등장 이전에 이미 추락한 목가 의 세계였다. 디아나가 코요테를 찾아 보존하려는 이유는 숲 생태계 의 균형을 유지하는데 최고의 포식자가 코요테라는 사실을 알기 때 문이다. 그 코요테가 멸종한 것처럼 보이는 그 “작고 금빛 나는 붉은 늑대의 유령들”(14)로 다시 돌아왔다고 믿기 때문이다. 디아나의 자연 세계가 인간의 탐욕에 의해 타락한 목가로 전락했다는 사실은 디아 나의 여러 설명에서도 보인다. 예를 들어, 웅덩이에서 불가사리의 제 거가 홍합의 번성을 낳고 홍합이 수중생물들을 먹어치워 생태계의 다양성이 파괴되었다는 설명이나, 제불론 카운티의 마합류의 많은 종 이 살충제나 침적토의 유입, 그리고 사향쥐의 과도한 번식으로 사라 졌다는 설명은 디아나의 세계가 처한 생태태계 파괴의 심각성을 드 러낸다(62-63). 문제는 그 생태적 혼란의 정점에 인간이 있고 인간의 중심적인 사유와 세계관이 존재한다는 것이다.

인간들의 탐욕이 생태계의 불균형을 만들고 전원 공동체를 위협하 는 요소라는 것은 루사(Lusa)가 내레이터인 “나방의 사랑” 이야기에 서 극명하게 보인다. 콜(Cole)과의 결혼으로 제불론 카운티에 오게 된 루사가 마주하는 농촌은 배타적인 곳이다. 콜의 가족들은 렉싱톤에서 나방을 연구한 곤충학 박사였던 루사를 “도시 출신이고 기독교인이 아니며 책을 사랑하고, 여성주의를 실천하는”(Jones 88) 자로 규정하 고 가족의 진정한 일원으로 받아들이지 않는다. 또한 콜과 그의 가족 들은 농장인 땅에 대해서도 배타적인 태도를 취한다. 그들은 농장을 사랑하지만 그 땅을 물질 만능의 인간중심적인 태도로 대한다. 그들 은 인간에게 해가 되는 작물인 담배 농사를 짓는다. 다시 말해, 그들 의 편협한 시각은 구태의연한 농업 방식을 고집하는데 영향을 끼치 며, 유기농 농사를 원하여 염소 목축을 하고자 하는 루사의 세계관과 대립하게 되고 루사를 더 소외된 존재로 만든다.

인간본위적인 방식의 농사를 옹호하는 인물의 정점은 “옛날 밤나

(17)

무” 이야기의 가넷(Garnett)이다. 가넷은 이웃인 내니(Nannie)가 농약 을 쓰지 않고 유기농으로 사과 농사를 짓는 것에 반대한다. 살충제를 쓰지 않아 벌레가 생기고 이러한 벌레가 자신이 공들여 만들고자 하 는 “워커 미국밤나무”(132) 생산에 방해가 된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가넷과 내니는 서로 편지를 주고받으면서 자신들의 자연관과 세계관 을 분명히 하는데 이에 따르면 내니는 생태중심의 세계관을 갖고 있 다. 그녀는 “인간이 이 세상에서 특별한 지위를 지키고 있다고 생각 합니다. 이것은 지빠귀 새나 도롱뇽도 마찬가지로 자신들이 특별하다 고 생각할 것입니다”(217)라고 써 보낸다. 내니는 이 세상이 “눈에 보 이지 않는 가느다란 실로 서로 연결되어 있다”(218)고 믿는다. 즉 이 세상의 중심에는 늘 내가 있고 모든 사물과 생명체는 스스로를 나의 존재로 인식하고 내가 이 모든 나와 연결되어 있다는 믿을 갖고 있 는 것이다. 반면에, 가넷은 “가장 분명한 인간중심주의 지지자”이다 (Wenz 110). 가넷에게 인간은 이 세상의 수호자이고 모든 만물을 다 스리는 존재이다. 가넷에게 이러한 인간중심주의적 세계관은 문제 되 지 않는다. 하지만 그가 그렇게 살려내려고 하는 미국밤나무가 멸종 의 위기에 처한 이유가 그러한 인간중심의 세계관에 연유한다는 사 실을 가넷은 전혀 인지하지 못한다.

『성하』의 자연 세계는 겉으로 보면 완전한 목가의 풍경을 갖고 있는 것으로 보이지만 사실 그 세계는 실제적으로 동물과 식물이 멸 종 위기에 처해 있는 세계다. 그것은 인간과 자연이 조화를 누렸던 미국의 목가 세계가 아니며 늘 부조화와 위기를 마주하는 세계이다.

이러한 세계를 만드는 원인 가운데 하나가 물질 만능의 시각이고 이 러한 문명의 병폐는 인간중심적이고 남성중심적인 세계관에서 기인 한다. 디아나는 이혼녀인데 그녀의 남편은 “야외활동에 대한 선호와 역량”(19)을 싫어했을 정도로 가부장적이다. 루사의 막내 시누이인 쥬 얼(Jewel)의 남편 쉘(Shel)은 아내와 아이들을 버리고 도망간다. 루사 의 할아버지는 성가대 소녀와 바람을 피운 것으로 묘사되고, 디아나 의 남자인 에디도 사냥꾼으로서 이기적인 모습으로 그려진다. 루사의

(18)

남편 콜은 가부장적인 삶을 유지하다 차사고로 죽는데, 그는 루사가 자연에 대해 감상적이라고 비판한다(45). 그의 비판의 요점은 루사가 자연 풍경이 농촌 공동체에 만들어내는 문제를 사실적으로 보지 못 해 자연을 감상적으로 대한다는 것이다. 그의 비판은 두 가지 면에서 인간중심적이고 남성중심적이다. 첫째, 그는 자연을 인간과 별개의 존 재로 개념화한다, 도시에서 온 여성 루사는 자연을 모른다는 것이다.

즉 콜의 인식 세계에서 도시는 자연이 없거나 죽어 있는 것이다. 둘 째, 루사가 보여주는 감상적 태도는 농촌의 현실을 직면하는 올바른 태도가 아니라고 감상성을 폄하한다(Magee 16). 이는 플럼우드 (Plumwood)가 설명하듯이, 정서와 감상을 여성과 등치시키고 이성과 합리성을 남성의 영역으로 한정하는 가부장제적 위계의 사고방식을 보여주는 이분법인 것이다.(5) 이렇게 『성하』에서 묘사되는 남성인 물들이 부정적으로 그려지는 이유는 킹솔버가 남성 중심의 내러티브 에서 벗어나 주체적인 여성 인물들이 이끄는 새로운 공동체, 즉 자연 환경과 인간 공동체가 균형을 유지하고 그 균형에 어울리는 새로운 포스트모던 목가의 모습을 재현하려고 시도하기 때문이다.

킹솔버의 이러한 의도는 여성 인물들을 공동체를 변화시키는 주체 적이고 강인한 인물로 묘사하는 것에서 시작한다. 여성 인물들은 남 성성 인물들의 대립 축에 서서 그들의 남성중심적이고 인간중심적인 경향을 비판한다. 그리고 자신들과 남성들이 속한 공동체의 체질을 바꾸려 노력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자연에 대한 자신들의 입장을 바 꾸어 공동체에 조화를 이루려는 노력도 서슴지 않는다. 루사는 소설 초반에 인동덩굴을 제초제로 죽이는 콜에게 불만을 갖지만 콜이 죽 고 농장을 경영하기로 작정하면서 농부로서 인동덩굴을 죽여야 했던 콜의 입장을 이해한다. 비록 그녀가 제초제의 사용이나 화학제품을 이용하여 덩굴을 죽이는 것에 반대하지만 소설의 말미에서 헛간을 점유하는 덩굴을 손으로 뜯어내는 모습을 보임으로써 그 건물에 대 한 책임과 농장에 대한 책임이 자신에게 있음을 분명히 한다(440).

그러한 루사의 모습은 “그녀 스스로가 잘 알지 못하는 장소에 대해

(19)

조언을 줄 수도 있다는 믿음에 오만함이 있었다”(Tassel 88)는 것을 깨닫게 된, 공동체에 대해 겸손을 지니게 된 사람의 모습을 반영한다.

루사처럼 디아나도 다른 인물과 자연 세계에 가졌던 자신의 오만 한 태도를 반성한다. 디아나는 자신의 마음의 한 구석을 차지하고 있 고 산맥 주위를 어슬렁거리는 에디 때문에 자신의 고독한 삶이 방해 를 받고 있다고 생각한다. 에디와의 육체적 관계를 그리워하면서 “네 가 돌아오기를 기다리는”(99) 내가 싫어서 에디를 의도적으로 무시한 다고 고백한다. 또한 에디가 자신의 은신처인 거대한 밤나무 고목을 발견하자 “그것은 내 장소”(95)라고 주장하며 자신의 소유권을 주장 한다. 이러한 태도는 자연 세계가 열려진 다양한 공간이라는 평소의 믿음에 모순된다. “산림이 자신의 것이라는 디아나의 생각은 자신의 노력으로 산림을 신성하게 유지할 수 있다는 믿음에서 나온다”(Leder 233). 에디와의 관계로 인해 생긴 아이를 갖게 되어 산을 떠나기로 결심할 때 디아나는 “자신이 그녀를 둘러싼 자연의 주기에 대한 유일 한 관찰자라는 환상을 더 이상 유지할 수 없다는 것”을 인정한다 (Leder 234). 내니에게 산을 내려간다는 편지를 쓰는 디아나의 행위 를 통해 독자가 짐작하는 것은 디아나가 자신의 새로운 모습에 동의 한다는 사실이다. 즉 디아나는 산에서 자연을 관찰하면서 자신만이 자연의 보호자라는 인식을 가졌고 자신의 고독한 삶을 즐겼다. 하지 만 아이를 갖게 되고 디아나는 자신이 가졌던 오만함을 벗어던지게 된 것이다. 산 아래에 있는 인간 공동체의 도움이 필요해진 것이고, 자신만이 자연 세계를 관찰했던 것이 아니라 사실은 자신이 자연 세 계의 일원이었다는 것을 인식하게 된 것이다. 이런 면에서 보면 디아 나가 산이나 코요테한테 끊임없이 관찰되고 있다는 느낌을 받는 대 목(67)은 중요하지 않을 수 없다. 킹솔버의 내러티브는 관찰의 주체 로 디아나만이 아니라 산이나 코요테로 대변된 자연 세계를 설정하 기 때문이다. 이를 통해 킹솔버는 자연에 동작 주체의 지위를 부여해 서 자연 세계를 인간과 동등한 위치로 바라보고 공동체의 의미를 확 장하고자 한다. 바로 이러한 태도에서 독자는 킹솔버의 생태중심적인

(20)

사고를 엿볼 수 있다.

Ⅴ. 나가며

『천 에이커』와 『성하』는 미국의 전통적 목가 형식이 효력을 상실했다는 것을 알려준다. 인간 세계와 자연 세계의 조화와 균형을 바탕으로 이상적인 농촌을 이야기했던 목가는 더 이상 유효하지 않 다고 이 두 소설은 말한다. 대신에 『천 에이커』와 『성하』는 농촌 사회의 현실을 포스트모던 목가라 칭할 수 있는 그런 목가를 통해 그려낸다. 이 소설들에서 자연 세계와 여성들은 인간중심적이고 남성 중심적인 세계관에 근거한 침탈로 늘 위협에 놓인 존재들이다. 『천 에이커』에서 대지는 가부장제적이고 도구적인 세계관으로 인해 수 탈의 대상이 되고 여성들은 자신들의 신체에 위해를 입는다. 『성 하』에서도 자연 세계는 인간 사회의 보존이라는 명목 하에 더 많은 경제적 이득을 위해 침탈의 대상이 되는 세계다. 이 세계에서 여성들 은 생태여성주의적 성장을 통해 인간대 자연, 남성대 여성의 조화의 세계를 꿈꾼다.

『천 에이커』와 『성하』에서 보이는 포스트모던 목가의 특징을 한마디로 요약하기는 쉽지 않다. 하지만 이 두 소설이 환경 위기를 맞은 현재의 모습에서 그 위기의 원인을 진단하고 새로운 목가를 꿈 꾸는 것은 분명하다. 위협과 파괴의 세상을 넘어서서 조화와 평등의 원칙을 지향하면서 두 소설은 생태여성주의적 자아의 축조를 통해, 그리고 새로운 목가의 모습을 통해 인간 세계와 자연 세계의 관계를 재정립하고자 시도한다.

<주요어> 생태여성주의, 포스트모던 목가, 천 에이커, 성하, 생 태비평

(21)

<참고문헌>

로드 W. 호톤ㆍ허버트 에드워즈(1991). 박거용 역. 미국문학사상의 배경. 도 서출판 터.

Conlogue, William(2001). Working the Garden: American Writers and the Industrialization of Agriculture. Chapel Hill: U of North Carolina P.

Duffy, Martha(1991). The Case for Goneril and Regan. Rev. of A Thousand Acres, by Jane Smiley. Time 11 (Nov. 92).

Jones, Suzanne W(2006). The Southern Family Farm as Endangered Species: Possibilities for Survival in Barbara Kingsolver’s Prodigal Summer. Southern Literary Journal 39(1). 83-97.

Kingsolver, Barbara(2000). Prodigal Summer. New York: Harper Collins.

Leder, Priscilla(2009). Contingency, Cultivation, and Choice: The Garden Ethic in Barbara Kingsolver's Prodigal Summer. Interdisciplinary Studies in Literature and Environment 16(2). 227-243.

Legler, Gretchen T(1997). Ecofeminist Literary Criticism. In Karen J.

Warren(ed.). Ecofeminism: Women, Culture, Nature. Bloomington:

Indiana UP. 227-238.

Legler, Gretchen(2003). Toward a Postmodern Pastoral: The Erotic Landscape in the Work of Gretel Ehrlich. In Michael P. Branch and Scott Slovic(eds.). The ISLE Reader: Ecocriticism, 1993-2003. Athens: U of Georgia P. 22-32.

Love, Glen(1996). Revaluing Nature: Toward an Ecological Criticism. In Cheryll Clotfelty and Harold Fromm(eds.). The Ecocriticism Reader: Landmarks in Literary Ecology. Athens: U of Georgia P.

225-240.

Magee, Richard(2008). The Aridity of Grace: Community and Ecofeminism in Barbara Kingsolver’s Animal Dreams and Prodigal Summer. In Andrea Campbell(ed). New Directions in Ecofeminist Literary Criticism. Newcastle: Cambridge Scholars Publishing. 15-26.

(22)

McDermott, Sinead(2002). Memory, Nostalgia, and gender in A Thousand Acres. Signs 28(1). 389-407.

Phillips, Dana(1998). Don DeLillo’s Postmodern Pastoral. In Michael P.

Branch, et al.(eds.). Reading the Earth: New Directions in the Study of Literature and the Environment. Moscow: U of Idaho P.

235-246.

Plumwood, Val(1991). Nature, Self, and Gender: Feminism, Environmental Philosophy, and the Critique of Rationalism. Hypatia 6(1). 3-27.

Smiley, Jane(1991). A Thousand Acres. New York: Fawcett Columbine.

Wenz, Peter(2003). Leopold’s Novel: The Land Ethic in Barbara Kingsolver’s Prodigal Summer. Ethics and Environment 8(2).

106-25.

투고일 2018/12/05 심사일 2018/12/11 게재확정일 2018/12/19

Name Choi, Dongoh

Belong Dept. of English Language and Literature,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E-mail dochoi@cnu.ac.kr

참조

관련 문서

본 논문의 목적은 질 높은 여가를 위하여 성인학습자들의 전통음악에 대한 흥미 를 유발하고 대금연주에 몰입하도록 함으로써 전통음악 자체를 향유할 수

본 논문의 목적은 열성형을 이용한 미세조류 배양용 평판형 광생물 반응기 케이스 금형 개발에 관한 연구이다.미세조류 배양용 평판형 광생물 반응기 케이스를 개발하

본 연구는 현대 패션에 나타난 기모노와 코르셋의 미적 가치를 이론적 근 거로 하여 현재 패션 디자이너들의 컬렉션에 나타난 기모노룩과 코르셋 , 룩을

본 연구는 현대 패션에 나타난 기모노와 코르셋의 미적 가치를 이론적 근 거로 하여 현재 패션 디자이너들의 컬렉션에 나타난 기모노룩과 코르셋 , 룩을

&amp; Company.Inc.. 인식적 주체, 경험적 주체는 타자성의 영역을 부재의 영 역으로 즉각적으로 일치시킨다. 다시 말해, 이성과 현상이 구축한 총체성의 권한이 상쇄되려할

본 논문의 목적은 여성에 대한 특별한 관심과 그녀들의 세계를 집중적 으로 보여주는 알모도바르 감독이 생산한 &lt;그녀와 말하세요&gt;( Hable con

을 통해 끊임없이 경계넘기를 시도하는 주인공인 영혜의 모습과 그런 영혜를 더욱 더 고립시키는 세계의 대립을 통해 에코페미니즘의 한계와 지향점에

스마트 화분 만들기 프로젝 트의 주제를 명확히 이해하 고 자연과 멀어진 초등학생 의 상황의 문제점을 다양하 게 제시함.. 스마트 화분 만들기 프로젝 트의 주제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