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The association of lipid profile and depression scale in mild cognitive impairment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The association of lipid profile and depression scale in mild cognitive impairment"

Copied!
5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Original Article

pISSN 2233-9019 · eISSN 2233-9116

Korean J Fam Pract. 2015;5(3, suppl. 2):943-947

KJFP

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

Original Article

pISSN 2233-9019 · eISSN 2233-9116 Korean J Fam Pract. 2015;5(3, suppl. 2):PB-1

KJFP

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

서 론

노인 인구가 급속히 증가함에 따라 노인성 치매인구 수도 급증하 고 있다. 보건복지부가 발표한

2012

년 치매 유병률 조사에 따르면

2012

65

세 이상 노인의 치매 유병률은

9

.

18

%로 환자수는 약

54

만명 으로 추정된다.1) 급속한 고령화로 치매 유병률은 계속 상승하 여 환자수는

2030

년에는 약

127

만명,

2050

년에는 약

271

만 명 으로

20

년마다 약

2

배씩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치매의 위험인자들 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고 특히 혈관성 위험인자들이 주목을 받 고 있다. 대사증후군을 가지고 있는 노인에서 치매가 더 많이 발생한 다는 연구결과가 있으며2) 대사증후군 중에서도 고지혈증, 고콜레스 테롤혈증 등의 지질 농도의 이상이 치매로의 진행과 관련이 있다는

선행 연구들이 있다.3, 4)

또 노년기 우울증은 특징적으로 인지능력의 저하와 밀접하게 연 관되어 있으며 치매의 위험인자로 고려되기도 한다.5) 실제로 치매가 없는 노년기 우울증 환자의

57

%가 추적 조사 시 치매로 전환되었다 는 연구도 있었다.6)

이렇듯 치매와 지질 이상, 우울증에 대한 연구는 있으나 치매의 전 단계라고 할 수 있는 경도인지장애(

mild cognitive impairment

,

MCI

) 노인들의 혈중지질 수치와 우울 지수 사이에 어떤 관련성을 가지고 있는지에 대한 연구는 외국은 물론 국내에도 거의 없는 실정 이다.

2012

년 치매 유병률 조사1)에서 경증 치매의 바로 전 단계라고 할 수 있는

MCI

의 유병률은

27

.

82

%로

65

세 이상 전체 노인 인구의

1

/

4

를 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Peterson

7

)의 연구에서

MCI

경도인지기능장애군에서 지질 농도와 우울 지수와의 관계

조지연, 강인웅, 범인규, 손효림

*

광주보훈병원 가정의학과

The association of lipid profile and depression scale in mild cognitive impairment

Ji-Yeon Cho, Kang-In Woong, In-Gye Bum, Hyo-Rim Son

* 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Gwangju Veterans Hospital

Background: As the size of the geriatric population is increasing rapidly, the size of the Alzheimer's dementia population is also increasing.. Senile depression is closely associated with decreased cognitive function and is often considered to be a risk factor for dementia. Many studi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ementia, dyslipidemia, and depression have been reported; however, studies on mild cognitive impairment are lacking. Therefore, this study evaluated the association between lipid profile and depression scale on mild cognitive impairment.

Methods: From January 2014 to August 2014, 152 outpatients visited the department of neurology in Gwangju Bohun hospital to be tested for decreased cognitive function. We checked the Seoul neuropsychological screening battery II test, and 28 patients were diagnosed with subjective memory impairment and 69 patients were diagnosed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We checked their serum lipid levels and depression scale.

Results: In the mild cognitive impairment group, the short version of the geriatric depression scale is slightly high, but there is no sta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subjective memory impairment group and the mild cognitive impairment group. Some neuropsychological tests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dyslipidemia and mild cognitive impairment.

Conclus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mild cognitive impairment might not be correlated with depression, but is related to dyslipidemia.

Keywords: mild cognitive impairment, short version of the geriatric depression scale, lipid profile

Received February 28, 2015 Revised September 24, 2015 Accepted September 24, 2015 Corresponding Author Hyo-Rim Son

Tel: +82-62-602-6267, Fax: +82-62-602-6982 E-mail: petitejjy@hanmail.net

Copyright © 2015 The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3.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2)

Ji-Yeon Cho, et al. The association of lipid profile and depression scale in mild cognitive impairment

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

KJFP

있는 노인의

10

~

12

%가

1

년 내 치매로 진행한다고 보고 되었는데, 정상노인 인구에서는

1

~

2

%만이 치매로 진행되는 것과 비교해보면 상당히 높은 수치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경한 정도의 치매가 많이 진단되는 추세인 것으로 보아 바로 그 전단계인

MCI

에 대한 연구 의 중요성도 더욱 강조되고 있는 시점이다. 앞서 언급한 대로 치매 가 있는 노인들에서 지질 농도와 인지기능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는 많으나

MCI

에서 순수하게 신경 심리 검사 결과가 지질 양상과 어 떤 연관을 가지는지를 확인한 연구는 없고, 있다고 하더라고 간이 정신상태검사(

mini

-

mental state examination

,

MMSE

)와 같은 비 교적 간단한 검사를 사용하였다. 좀 더 체계적인 평가를 통하여 인 지기능과 지질 농도가 연관되는지를 살펴보는 것이 임상적 의의가 있다고 판단하여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억 력 저하를 주소로 본원 신경과 외래를 내원하여 시행한 서울 신경심 리검사

2

판(

Seoul neuropsychological screening battery II

,

SNSB II

)결과에서

MCI

를 진단 받은 군에서 지질 양상들, 즉 혈중 콜레스 테롤(

total cholesterol

,

TC

), 중성지방(

triglyceride

,

TG

), 고밀도 지 단백 콜레스테롤(

high

-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

HDL

-

C

), 저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

low

-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

LDL

-

C

)과의 연관성과 우울 지수와의 상관 관계에 대해 연구하였 다.

방 법

1. 대상 및 방법

본 연구는

2014

1

월부터

2014

8

월까지 기억력 저하를 주소 로 광주보훈병원 신경과 외래로 내원하여

SNSB

-

II

를 시행한 환자

152

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내원시 명백한 우울증의 삽화가 있거나 정신병적 삽화가 있는 경우는 제외하였다.

SNSB

-

II

와 뇌 영상검사를 통해 알츠하이머형 치매, 혈관성 치 매, 파킨슨 병 치매로 진단된 환자는

46

명, 주관적 기억력 장애로 진단된 환자는

28

명, 경도인지장애로 진단된 환자는

69

명이었고, 자료가 부족하여 연구에서 제외된 환자는

9

명이었다.

2. 지단백 콜레스테롤 분석

대상자들의

8

시간 공복 후 채취한 정맥혈을 이용하여

TC

,

TG

,

HDL

-

C

,

LDL

-

C

의 농도를 조사하였다. 최근

1

년 이내 지단백 콜 레스테롤 검사결과가 있는 환자는 이전 검사결과를 바탕으로 하였 다. 혈액 검사는 생화학 자동분석기를 사용하였다.

3. 우울증의 평가

우울증의 평가는

SNSB

-

II

검사 결과지 내의 단축형 노인우울척 도(

Short version of the Geriatric Depression scale

,

SGDS

)를 사용

하였다.

15

문항의, “예, 아니오”의 양분 척도로 구성되어 있으며, 점수 가 높을수록 우울 정도가 높음을 의미하고 주요 우울증 선별을 위한 기준선은

8

점으로 선정하였다.9)

4. 통계적 분석 방법

일차적으로 성별, 나이집단 등의 범주형 변수에 대해서는 카이제 곱 검정, 연령이나 학력 등의 연속형 변수에 대해서는

T

검정을 통 해 비교 분석하였다.

MCI

아형과

SGDS

평균 점수와의 비교는 일 원 배치 분산 분석을 실시하였다. 신경심리 검사와 혈청 지질 농도 간의 상관성은 연령, 교육 정도 등의 주요 인구학적 변인 및

SGDS

점수를 통제하는 편 상관 회귀분석을 통하여

TC

,

TG

,

HDL

-

C

,

LDL

-

C

를 포함하는 지질 농도와 함께 상관관계 분석이 시행되었 다. 통계 분석은

IBM SPSS statistics 20

을 이용하였다. 모든 통계의 유의 수준은

p

<

0

.

05

로 하였다.

결 과

1. 연구대상자들의 일반적 특성 및 인지기능 저하의 위험 인자와의 관계

전체

97

명 중 남자는

73

명, 여자는

24

명 이었다.

MCI

는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P

=

0

.

008

). 그러나 성별을 제외한 연령, 평균 교육 연수, 음주여부, 흡연력, 당뇨와 고혈압의 병력, 뇌졸중 의 병력 모두 주관적 기억력 저하(

Subjective memory impairment

,

SMI

)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Table 1

).

2. MCI와 우울증과의 관계

MCI

군의 평균

SGDS

6

.

8

점 ,

SMI

군의 평균

SGDS

5

.

79

으로 나타났다.

MCI

군에서의 평균

SGDS

가 높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P

=

0

.

31

) (

Table 1

).

MCI

는 대체적으로 세 가지의 아형으로 분류할 수 있는데10), 기 억력 장애와 더불어 두 가지 이상의 기능 영역에서 장애를 보이는 다영역 경도인지장애(

Multiple domain MCI

)가

37

명으로 가장 많 았고, 그 뒤로 기억력 저하를 주로 보이는 기억성 경도인지 장애 (

amnestic MCI

), 기억력 이외의 실행기능 또는 언어기능 등과 같 은 단일 영역의 저하를 보이는 비기억성 단일영역 경도인지장애 (

single

-

nonmemory domain MCI

)순이었다.

세가지 아형의

MCI

군에서

SGDS

의 평균 값은

multiple domain MCI

군에서

6

.

68

점으로 가장 낮았으나 세 군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 었다(

Table 2

).

3. MCI와 혈청 지질 농도와의 관계

SMI

MCI

두 군간의 혈청 지질농도의 차이는 유의한 차이를

(3)

조지연 외. 경도인지기능장애군에서 지질 농도와 우울 지수와의 관계 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

KJFP

보이지 않았다(

Table 3

).

MCI

에서 성별, 교육연수,

SGDS

점수를 통제한

6

가지 신경심 리검사 영역과 지질농도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SVLT

-

delayed recall

HDL

-

C

,

TG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 으며(

r

=

0

.

255

,

P

=

0

.

01

) (

r

= -

0

.

216

,

P

=

0

.

03

),

Color reading

사에서는

TC

LDL

-

C

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

r

= -

0

.

265

,

P

=

0

.

01

) (

r

= -

0

.

027

,

P

=

0

.

009

).

K

-

mmse

검사와

TG

사이에서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r

= -

0

.

273

,

P

=

0

.

008

) (

Table 4

).

고 찰

인지기능장애는 경미한 상태부터 매우 심한 경우까지 다양하게 나타난다. 경도인지장애는 인지 기능의 저하 정도가 경하고, 일상 생활 수행능력에는 장애가 없는 상태로, 이후 치매로 진행하는데 예측 인자로 인식되기도 한다.10) 현재의 치매 진단에 대한 목표 중 하나는 임상적으로 진단이 가능한 시점 이전에 인지기능의 장애를 발견하고 교정 가능한 위험 인자에 대한 적절한 조치를 취함으로써 치매로의 진행을 늦추는 것이다. 일반적인 알츠하이머형 치매의 위 험인자로 고령, 성별, 유전인자, 음주 여부, 흡연력, 고혈압 등이 알 려져 있다.11) 본 연구에서는 치매의 전 단계라고 할 수 있는 경도인 지기능장애의 위험 인자와 관련하여, 연령, 성별, 교육수준, 음주여 부, 흡연력, 고혈압, 당뇨병의 유무 등에 대해 살펴보았으나 성별, 남성만 유의한 수준으로 연관성을 보였다. 일반적으로 알츠하이머 형 치매의 유병률은 여성에서 월등히 높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나

12), 이번 연구에서 기존 연구와 차이점이 발생한 이유는 본 연구에 서 조사한 대상자에 남성 환자가 월등히 많이 포함 되었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MCI

와 우울증의 동반 이환과 관련된 여러 연구들에서

MCI

자군에서 일반 인구에 비해 높은 우울증의 유병률을 보고하였는 데, 한 유병률 연구에 따르면

MCI

환자 중 우울증의 누적 유병률 이

26

%까지 보고하였고13), 다른 연구에서는

MCI

환자 중

63

.

3

%가 우울 증상을 갖고,

49

%가 경한 우울 증상,

14

%가 심한 우울 증상이 동반된다고 하였다.14) 본 연구에서는

MCI

군이

SMI

군에 비해 통계 적으로 유의한 높은 우울 증상을 보이지 않았고,

MCI

의 세가지 아 형 간에도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Table 1. Socioepidemic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SMI MCI P

Age(years) 68.9 70.1 0.46

Gender(%) Male Female

57.1%

42.9%

82.6%

17.4%

0.008

Education(years) Alcohol(%) Not drinking Drinking

6.07 57.1%

42.9%

6.13 43.5%

56.5%

0.82 0.22

Smoking(%) 0 0<pack year

67.9%

32.1%

56.5%

43.5%

0.30

History of HTN(%) Absent Present

55.6%

44.4%

38.2%

61.8% 0.12

History of DM(%) Absent Present

22%

5%

47%

21%

0.22

History of CVA Absent Present

89.3%

10.7%

79.7%

20.2%

0.69

SGDS, Mean 5.79 6.80 0.31

SMI: Subjective memory impairment, MCI: Mild cognitive impairment HTN: Hypertension, DM: Diabetes mellitus, CVA: Cerebrovascular accident SGDS: Short version of the geriatric depression scale

Table 2. SGDS in MCI patients

MCI subtype Number SGDS, Mean F P

Amnestic MCI 24 6.83

0.05 0.95

Multiple domain MCI 37 6.68

Single-nonmemory domain MCI 8 7.25

SGDS: Short version of the geriatric depression scale, MCI: Mild cognitive impairment

Table 3. Lipid profile in study patients

SMI MCI P

Total cholesterol(mg/dL) 171.5± 39.3 178.2± 54.9 0.50 HDL cholesterol(mg/dL) 49.7± 11.4 47.4± 11.8 0.39 LDL cholesterol(mg/dL) 112.5± 34.3 114.6± 36.9 0.80 Triglycerides(mg/dL) 141.3± 75.0 160.4± 112.4 0.41 SMI: Subjective memory impairment, MCI: Mild cognitive impairment HDL: High-density lipoprotein, LDL: Low-density lipoprotein

Table 4. The relationship between neuropsychological test scores and lipid level in MCI

SVLT delayed

recall

RCFT relayed

recall

K-BNT RCFT copy

Color

reading K-mmse TC

r P

- 0.101 0.33

- 0.097 0.35

- 0.32 0.76

- 0.006 0.95

- 0.265 0.01

- 0.51 0.62 HDL-C

r P

0.255 0.01

- 0.102 0.32

- 0.029 0.78

0.095 0.36

- 0.173 0.09

0.193 0.06 LDL-C

r P

- 0.115 0.27

- 0.077 0.45

0.049 0.63

0.002 0.98

- 0.027 0.009

- 0.014 0.89 TG

r P

- 0.216 0.03

0.016 0.88

0.020 0.85

- 0.096 0.35

- 0.036 0.73

- 0.273 0.008 TC: Total cholesterol, HDL-C: High-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LDL-C: Low-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TG: Triglyceride, SVLT: Seoul verbal learning test, RCFT: Rey complex figure test , K-BNT: Korean-Boston naming, K-mmse: Korean- mini mental state examination

(4)

Ji-Yeon Cho, et al. The association of lipid profile and depression scale in mild cognitive impairment

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

KJFP

콜레스테롤과 알츠하이머형 치매와의 연관성을 살펴보면 뇌는 신체에서 콜레스테롤이 가장 많은 기관으로 콜레스테롤은 마이엘 린(

Myelin

)과 세포막(

cell membrane

)의 주성분이며 뇌조직의 기 능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알츠하이머형 치매에서 기억 과 학습의 중추인 해마(

Hippocampus

)의 막 조직 유동성이 감소되 어 있으며, 이는 콜레스테롤 농도저하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 다.15)

Merched

16)의 연구에서 치매 환자의 혈청

HDL

-

C

의 농도 는 대상군에 비하여 낮았고, 그 감소 수준은 치매의 심한 정도와 비 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MCI

환자를 대상으로 한 본 연구 에서는

SMI

군과

MCI

군과의

Total cholesterol

,

HDL

-

cholesterol

,

LDL

-

cholesterol

,

Triglycerides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MCI

군에서의 지질농도는 인지기능 검사의 결과와 일부 통계적으 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혈청지질농도, 우울 지수와 인지기능 저하와의 연관성에 대해 조 사한 본 연구는 몇 가지 제한점이 존재하였다. 첫째, 연구의 대조 군을 정상인으로 하지 않고 기억장애를 주소로 내원하여 시행한 신 경심리검사상 주관적 기억력 저하로 진단받은 환자군으로 한 점이 다. 주관적 기억력 저하는 경도인지장애, 치매와 달리 기억력 저하 가 없다고 간주할 수 있으나, 정상인에 비해 우울 지수나 고지혈증 의 정도에 대해 차이를 보일 수 있다. 둘째, 우울증의 평가를 위해

SNSB

-

II

검사 결과지 내의

SGDS

를 이용하여

8

점 이상을 우울증이 동반된 경우로 간주하였으나 경한, 중증도의 우울증이 동반된 경우 를 설명하는데 부족함이 있다. 셋째, 고지혈증의 여부와 관계 없이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추는 약물의 복용 여부가 파악되지 않았다.

향후 이런 제한점에 대한 보완을 통하여

MCI

와 우울 지수, 지질 농도의 관련에 대한 의미있는 연구가 이루어질 수 있을 것으로 생각 된다.

요 약

연구배경: 노인 인구가 급속히 증가함에 따라 노인성 치매인구 수 도 급증하고 있다. 치매의 위험인자들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 고 특히 혈관성 위험인자들이 주목을 받고 있다. 또한 노년기 우울 증은 특징적으로 인지능력의 저하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으며 치 매의 위험인자로 고려되기도 한다. 치매와 지질 이상, 우울증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는 있으나 치매의 전 단계라고 할 수 있는 경도인 지장애(

mild cognitive impairment

,

MCI

) 노인들의 지질 양상들과 우울 지수의 연관성에 관한 연구는 미미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 구는 경도 인지장애군에서 지질 양상과 우울 지수와의 상관관계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본 연구는

2014

1

월부터

2014

8

월까지 기억력 저하를 주

소로 광주보훈병원 신경과 외래로 내원하여 서울 신경심리검사

2

(

Seoul neuropsychological screening battery II

,

SNSB II

)을 시행 한 환자

152

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조사하였다. 주관적 기억력 저하

28

명, 경도인지장애가

69

명으로 이들에 대해 단축형 노인우울척도 (

Short version of the Geriatric Depression scale

,

SGDS

)와 지단백 콜레스테롤(

TC

,

TG

,

HDL

,

LDL

-

cholesterol

)를 분석하였다.

결과: 주관적 기억력 저하군에 비해 경도인지장애군에서 평균 단축 형 노인우울척도(

Short version of the Geriatric Depression scale

,

SGDS

)가 높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을 보이지는 않았고 지 질 양상에서도 두 군간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경도인지장애군에 서 일부 신경심리검사항목과 지질 농도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론: 본 연구에서 경도인지장애군에서 우울 지수는 상관관계를 보 이지 않았으나, 지질농도는 일부 영향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중심단어: 경도인지기능장애(

MCI

), 우울지수, 지질농도 REFERENCES

1. The estimation of Dementia in Korea. The ministry of healthe and welfare :2012

2. Razay G, Vreugdenhil A, Wilcock G. The Metabolic syndrome and Alzheimer disease. Arch Neurol 2007;64:93-96

3. Kivipelto M, Helkala EL, Häanninen T, Laakso MP, Hallijkainen M, Alhainen K, et al. Midlife vascular risk factors and late-life mild cognitive impairment: A population-based study. Neurology 2001;56:1683-1689.

4. Yaffe K, Barrett-Connor E, Lin F, Grady D. Serum lipoprotein levels, statin use, and cognitive function in older women. Arch Neurol 2002;59:378-384

5. Graves AB, Van Duijin CM, Chandra Vm Fratiglioni L, Heyman A, Jorm AF et al. Alcohol and tobacco consumptions as risk factors for Alzheimer’s disease: collaborative Reanalysis of case control studies.

Int J Epidemiol 1991;20:48-57

6. Reding M, Haycox J, Blass J. Depression in patients referred to a dementia clinic: a-3year prospective study. Arch Neurol 1985;42:894-896

7. Petersen RC, Smith GE, Waring SC, Ivnik RJ, Tangalos EG, Kokmen E. Mild cognitive impairment: clinical characterization and outcome. Arch Neurol 1999;56:303-308.

8. Green RC, Cupples LA, Kurz A, Auerbach S, Go R, Sadovnick D, et al. Depression as a risk factor for Alzheimer disease. Arch Neurol 2003;60:753-759.

9. JI Sheikh, JA Yesavage. Geriatric Depression Scale (GDS): Recent Evidence and Development of a Shorter Version. 5(1/2): Clin Gerontol 1986;34:165-173.

(5)

조지연 외. 경도인지기능장애군에서 지질 농도와 우울 지수와의 관계 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

KJFP

10. Lee JH, Choe YM, Byun MS, Choi HJ, Baek HO, Sohn BK, et el.

Prevalence and Associated Factors of Depression in Mild Cognitive Impairment. Journal of Korean Geriatric Psychiatry 2014;18(2):86- 91

11. Suh GH, Kim JK, Yeon BK, Park SK, Yoo KY, Yang BK, et al . Prevalence and risk factors of dementia and depression in the elderly.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 Assoc. 2000 Sep;39(5):809-824.

12. Korean dementia association. Dementia a clinical approach.

2011;53-55

13. Lyketsos CG, Lopez O, Jones B, Fitzpatrick AL, Breitner J, DeKosky S. Prevalence of neuropsychiatric symptoms in dementia and mild cognitive impairment. JAMA: the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2002;288:1475-83.

14. Solfrizzi V, D’Introno A, Colacicco AM, Capurso C, Del Parigi , Caselli R.J, et el. Incident occurrence of depressive symptoms among patients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the Italian longitudinal study on aging. Dementia and Geriatric Cognitive Disorders 2007;24:55-64

15. Eckert GP, Cairns NJ, Maras A, Gattaz WF, Muller WE. Cholesterol modulates the membrane disordering effects of beta-amyloid peptides in the hippocampus specific changes in Alzheimer’s disease. Dement Geriatr Cogn Disord 2000;11:181-186

16. Merched A, Xia Y, Visvikis S, Serot JM, Siest G. Decreased high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and serum apolipoprotein A1 concentrations are highly correlated with the severity of Alzheimer’s disease. Neurobiol Aging 2000;21:27-30

수치

Table 2. SGDS in MCI patients

참조

관련 문서

Visual Space Perception. Visual

Real-time processing implications of aspectual coercion at the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how the Korean-Chinese cultural differences and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influence the spirituality and stress coping

Lumbar discogenic radiculopathy (LDR) is one of the most common spinal disorders which can lead to high medical expenses for the patient, occupational impairment,

19) Yu Y, Kang J., Clinical studies on treatment of chronic prostatitis with acupuncture

The hospital anxiety and depression scale (HADS) and the 9-item patient health questionnaire (PHQ-9) as screening instruments for depression in patients with cancer.. Age

따라서 본 연구는 아쿠아로빅 운동이 노인의 건강관련체력에 어떠한 영향 을 미치는지를 규명하고 노인들의 건강증진과 생활의 질이 향상될 수 있도록 , 도움이 될 수

Key words : Alzheimer's disease, mild cognitive impairment, apo E genotype, homocysteine, hs-CRP, plasma antioxidants, albumin, uric acid, bilirubin, lipid profi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