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대사증후군에 대한 순환기내과 견해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대사증후군에 대한 순환기내과 견해"

Copied!
2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71 -

대사증후군에 대한 순환기내과 견해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박 재 형

대사증후군에 대한 각 분야별 견해

Table 1. Criteria for clinical Diagnosis of the metabolic syndrome

Measure Categorical Cut Points

Elevated waist circumference Population- and country-specific definitions

Elevated triglycerides ≥ 150 mg/dL (1.7 mmol/L)

Reduced HDL-C < 40 mg/dL (1.0 mmol/L) in males

< 50 mg/dL (1.3 mmol/L) in females Elevated blood pressure Systolic ≥ and/or diastolic ≥ 85 mmHg

Elevated fasting glucose ≥ 100 mg/dL

대사 증후군(metabolic syndrome)은 심혈관 질환과 당뇨병 의 위험 인자들의 복합체다. 위험 인자는 하나가 있을 때보 다 여러 가지가 함께 있을 때 질병을 일으키기 쉬우므로 대 사 증후군은 의학적으로나 경제 사회적으로 의미가 크다고 하겠다. 1947년 Vague는 복부 비만이 제2형 당뇨병이나 심 혈관 질환의 고위험군임을 증명하였다[1]. Reaven 등은 복부 비만, 당뇨병, 고혈압, 내당능 장애, 이상 지혈증 등을 각각 개별화된 질환으로 다루지 않고 공통된 점을 모아 하나의 증후군으로 규정하고 이를 통합하여 관리하고자 하는 목적 으로 명명하였다[2]. 이런 위험인자들은 혈압 상승, 이상 지 혈증(중성지방의 상승과 고밀도 콜레스테롤의 감소), 공복 혈당 상승, 복부 비만 등이다. 여러 가지 연구와 진단 기준들 이 있어 왔으나, The National Cholesterol Education Program (NCEP/ATP III)가 가장 널리 쓰인다(Table 1) [3].

미국의 경우 2009년-2010년에 7천 8백만 명 이상이 비만 환자였다. 비만은 고혈압, 이상 지질 혈증, 당뇨, 관상 동맥 질환, 중풍, 담낭 질환, 골관절염, 수면 무호흡증과 일부 암 의 위험 인자이다. 또한 비만은 전체 사망과 심혈관계 사망 의 위험을 높인다. 과체중은 체질량 지수(BMI) 25-29.9 kg/m2 을 말하고 비만은 30 kg/m2 이상이며 69% 이상의 성인이 과 체중이고 35% 이상이 비만이다. 복부 비만이 인슐린 저항성과 대사 증후군에 상관 관계가 더 큰 점을 강조하여 NCEP/ATP

III 보고서에는 비만 지표를 허리 둘레로 단순화시킨 점이 특징이다. 종족별 허리 둘레의 기준은 표 2와 같다.

정상인에 비해 비만 환자의 경우 환자당 입원 비용이 46% 증가하고, 외래 방문과 비용이 27% 증가하고, 약물 처 방도 80% 증가한다. 따라서 비만 환자의 경우 생활 습관 변 화를 통해 체중을 줄이도록 권장되며 먹는 칼로리를 줄이고 운동량을 늘리고 목표치에 대한 점검을 위해 전문가의 지도 를 받도록 권장된다.

심혈관 질환은 경제적으로 발전한 현대 사회에서 가장 중 요한 보건 관련 문제이고 미국에서도 매년 천오백만 명의 환자가 발생하고 그 중 20%가 사망하는 질환이다. 따라서 이를 치료하고 특히 예방하는 것이 큰 이슈가 되어 있다.

대사 증후군은 심혈관 질환의 위험 인자들의 복합체이므로 대사 증후군에 해당하는 사람은 심혈관 질환 발생의 위험이 높음이 알려져 있다[4]. 또한 주로 문제가 되는 급성 허혈성 사건(acute ischemic events)이 대사 증후군이 없는 환자에 비 해 더 자주 일어난다.

대사 증후군 환자 중 관상 동맥 협착 질환을 가지고 있는 환자는 많게는 절반 까지 보고되고 있다[5]. 스웨덴과 핀란 드에서 이루어진 역학 연구에 의하면 대사 증후군 환자는 대조군에 비해 관상 동맥 질환의 발생이 3배 이상 높았고 그 로 인한 사망률은 5배 이상 높았다[6].

(2)

- 2014년 대한내과학회 춘계학술대회 -

-72 - Table 2. 종족별 허리 둘레 기준

나라/종족 허리 둘레 (~cm 이상)

미국 남자 102 여자 88

유럽 남자 94 여자 80

서구인 (NCEP ATP III 2005) 남자 102 여자 88 아시아 (NCEP ATP III 2005) 남자 90 여자 80

일본 남자 85 여자 90

아프리카/사하라 이남 남자 94 여자 80

대한민국 (비만 학회) 남자 90 여자 85

복부 비만은 인슐린 저항성과 만성 염증 그리고 대사 증후 군의 현상으로의 진행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leptin, adipo- nectin과 같은 adipokine과 TNF-a, IL-6와 같은 cytokine 을 통해 진행되어 죽상 경화증(atherosclerosis)과 혈전증을 발생시키 게 된다.

대사 증후군은 심혈관계 질환의 독립적인 예측 인자이다.

Kuopio 연구 결과에 따르면 대사 증후군은 중년 남성에서 관상 동맥 질환에 의한 사망률의 증가와 연관이 있었다[7]. San Antonio 심장 연구 결과에 따르면 남녀 모두에서 대사 증후 군은 심혈관계 위험도와 관련이 있었고 그 위험은 여성에서 더 크게 나타났다[8]. 특히 대사 증후군 중에 내피 세포의 염 증이 중요한데 hsCRP의 수치가 상승되어 있는 대사 증후군 에서 상승되어 있지 않은 경우보다 심혈관계 위험도가 낮게 나온 연구 결과가 이를 뒷받침한다.

대사 증후군에서 심혈관 질환의 예방을 위해서는 생활 습관 변화(Lifestyle modification)가 가장 중요하고 우선적으로 필 요하다. 체중 감소, 운동량의 증가, 금연 등은 관상 동맥 질 환을 의미 있게 감소시킨다. 생활 습관 변화 치료에서 식습 관 역시 중요한 부분인데 포화 지방의 섭취를 7% 미만으로 줄이고 트랜스 지방과 콜레스테롤 섭취를 줄일 것을 권유하 고 있다. 또한 설탕의 섭취를 줄이고 과일 채소, 곡물의 섭취 를 늘이도록 권유하고 있다. 2013년 AHA 가이드라인에 따 르면 심혈관계 위험도를 낮추기 위해 염분(Sodium)의 섭취 는 하루 2,400 mg 이하로 권장되고, 운동의 경우 중등도에서 고강도 사이의 유산소 운동을 평균적으로 40분 정도 일주일 에 3-4회 시행하도록 권장된다.

또한 대사 증후군의 치료에 있어 콜레스테롤 수치가 중요 하다. LDL 콜레스테롤이 130 mg/dL 이하인 10,001명의 관상 동맥 환자를 atorvastatin 80 mg과 10 mg 군으로 나누어 진행 한 TNT 연구에서, 대사 증후군을 가진 5,584명의 분석을 보

면 80 mg군의 LDL 평균은 72.6 mg/dL인데 비해 10 mg 군은 99.3 mg/dL였고, 약 5년의 추적 관찰 후 주요 심장 사건은 80 mg 군에서 29% 감소하였다. 이 결과는 대사 증후군와 관상 동맥 질환을 가진 환자에서 LDL 콜레스테롤을 70 mg 이하 로 낮추는 것이 유익함을 보여 주었다[9].

대사 증후군은 심혈관 질환의 위험 요소의 집합체인 만큼 관상 동맥 질환과 깊은 연관성을 가지며 따라서 적절한 대 사 증후군의 예방과 치료는 심혈관 질환과 당뇨병의 발생을 감소시켜 국민 건강과 불필요한 사회적 비용을 줄이는데 매 우 중요하다.

참고문헌

1. Vague J, Combes R, Tramoni M, Angeletti S, et al. In Medical complications of obesity. Edited by M Mancini, B Lewis, and F Contaldo, London, Academic Press, 1979.

2. Reaven GM, Banting lecture 1988. Role of insulin resistance in human disease. Diabetes 37:1595-1607, 1988.

3. Alberti KG, et al. Harmonizing the metabolic syndrome: a joint interim statement of the International Diabetes Federation Task Force on Epidemiology and Prevention: National Heart, Lung, and Blood Institute; AHA, WHF, IAS, 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the Study of Obesity. Circulation. 2009 Oct; 120(16):1640-5.

4. Alexander CM, Landsman PB, Teutsch SM, Haffner SM.

NCEP-defined metabolic syndrome, diabetes, and prevalence of coronary heart disease among NHANES III participants age 50 years and older. Diabetes 2003;52:1210-1214.

5. Solymoss BC, Bourassa MG, Lesperance J, et al. Incidence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of the metabolic syndrome in patients with coronary artery disease. Coron Artery Dis 2003;14:207-212.

6. Wang J, Ruotsalainen S, Moilanen L, Lepisto P, Laakso M, Kuusisto J. The metabolic syndrome predicts cardiovascular mortality: a 13-year follow-up study in elderly non-diabetic Finns.

Eur Heart J 2007;28:857-864.

7. Lakka HM, Laaksonen DE, Lakka TA, et al. The metabolic syndrome and total and cardiovascular disease mortality in middle-aged men. JAMA 2002;288:2709-2716.

8. Hunt KJ, Williams K, Hazuda HP, Stern MP, Haffner SM. The metabolic syndrome and the impact of diabetes on coronary heart disease mortality in women and men: the San Antonio Heart Study. Ann Epidemiol 2007;17:870-877.

9. Deewania P, Barter P, Carmena R, et al. Reduction of LDL cholesterol in patients with coronary heart disease and metabolic syndrome: analysis of the Treating to New Targets study. Lancet 2006;368:919-928.

참조

관련 문서

A case study on the insurance business of the National Agricultural Cooperative

In 2005 IDF (International Diabetes Federation) guideline, it is essential to have central obesity in defining metabolic syndrome, therefore, this figure

플록 구조의 측면에서 볼 때 폴리머를 일차 응집제로 사용하면 플록 강도와 크기가 향상되었지만, 다른 처리 옵션과 비교해 볼 때 플록 침전 속도에는 개선이 없었으며 유기 물질

12) Maestu I, Gómez-Aldaraví L, Torregrosa MD, Camps C, Llorca C, Bosch C, Gómez J, Giner V, Oltra A, Albert A. Gemcitabine and low dose carboplatin in the treatment of

Practice guidelines for perioperative blood transfusion and adjuvant thera- pies: an updated report by the American Society of Anesthe- siologists Task Force

The Institute of International Affairs of the Graduate School of International Studies(GSIS)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and the Vale Columbia Center

2) National Heart, Lung, and Blood Institute. The definition of emphysema. Report of a National Heart, Lung, and Blood Institute. Division of Lung Diseases Workshop.

A literature review and update on the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fluid overload in endometrial resection 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