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시각디자인 석사학위과정에서 작품논문을 위한 스튜디오 시스템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시각디자인 석사학위과정에서 작품논문을 위한 스튜디오 시스템"

Copied!
16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투고일_2018.12.10 심사기간_2019.01.01-16 게재확정일_2019.01.23

시각디자인 석사학위과정에서 작품논문을 위한 스튜디오 시스템

The System of Graduate Studio for Thesis Project in Visual Communication Design

이주훈, 홍익대학교 조형대학 디자인컨버전스학부 부교수

Lee, Joo Hoon_School of Design Convergence, Hongik University

차례 1. 서론

1.1. 연구배경

1.2. 연구목적과 연구범위 1.3. 연구방법

2. 프로젝트논문의 의미와 내용

2.1. 전통적 논문의 의미 확장으로서 프로젝트논문 2.2. 디자이너로서 프로젝트 논문의 가치

2.3. 프로젝트 논문의 내용적 구성

3. 프로젝트 논문의 학제제안

3.1. 프로젝트논문 과정을 위한 기본교육체계 제안 3.2. 프로젝트논문 프로세스 제안

4. 사례분석

5. 결론

참고문헌

(2)

시각디자인 석사학위과정에서 작품논문을 위한 스튜디오 시스템

The System of Graduate Studio for Thesis Project in Visual Communication Design

이주훈, 홍익대학교 조형대학 디자인컨버전스학부 부교수

Lee, Joo Hoon_School of Design Convergence, Hongik University

요약 예술 디자인분야 석사과정에서 작품논문으로 학위를 수여받는다는 의미는 작품을 완성하고 그 결과가 심사에

통과됨으로서 학위를 수여받는 협의 이상에 많은 의미를 담고 있다. 그것은 첫째, 그래픽디자이너로서 자신이 관심을 가지고 있는 이슈가 무엇인지를 찾아내고 그 이슈에 대한 대사회적 발언을 하는 기회이다. 둘째, 아트 디렉터로서의 승격을 준비하면서 프로젝트 전체와 부분을 전문적으로 운용하는 능력을 갖는 기회이다. 셋째, 다 양한 리서치 경험을 토대로 디자인 교육자가 될 수 있는 기회를 갖는다. 이러한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2년간의 석사과정은 학생들로 하여금 체계적으로 논문 프로세스를 진행시킬 수 있게 치밀해야 한다. 유기적으로 연결된 수업구성은 물론 수업마다 프로젝트를 진행시키는 프로그램이 지도 방법과 함께 마련되어야 한다. 또한 프로포 절을 포함한 논문 심사 시스템 그리고 논문지도위원회의 구성과 운영방법이 학생들에게 명확하게 제시되고 운 영 되어야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그래픽디자인 관련 석사학위논문으로서 프로젝트를 진행하는데 필요한 모든 체계와 방법에 대하여 그 개요를 정리하고 설명하였다. 특히 논문을 실질적으로 진행시키는 수업이 어떻게 구성 되어야 하며 이들 수업에서 다루어져야할 항목들은 무엇인지에 대해 구체적인 사례와 함께 설명하였다. 이는 한 국 그래픽디자인 분야 석사논문으로 지금까지 리서치 근간의 학술적인 연구논문이 주로 출판되었다면 최근에는 개인 작업 기반의 프로젝트형 논문이 확산되고 있으므로 이에 대한 올바른 지도 방향과 방법을 제시하여 보다 체계적인 교육시스템 안에서 수행된 프로젝트형 논문이 한국 시각디자인 분야 발전에 기여하게 하는 궁극적인 목적을 갖는다.

Receiving MFA (Master of Fine Art) through a project based thesis in graphic design major means much more than just passing the reviews and getting the degree for students. First of all, it is an opportunity of finding one’s interest as a graphic designer, and making a statement about the issue to our society. Secondly it could train students to be an art director as they run the whole project professionally. Third, students also have an opportunity to be a design educator through diverse research process. In order to give all the possibilities stated above to students, the process of project thesis must have a detailed system for 2 years of course work. The structure of curriculum that all subjects are organically connected is highly required. Also the program for both supervising and advising to the students’ project is mandatory. It is necessary that the students clearly understand the process of thesis reviews including proposals, to organize committee members, and to manage the whole review system. This study shows the idea about the process and states the specific methodology to run the system of project thesis for MFA in graphic design department. This paper also suggests what kinds of subjects are required for the project based thesis and what are the important factors in those subjects. The most MFA thesis in graphic design has completed as publishing books in the past. However, it is obvious that the project based thesis for MFA degree is getting more sense in every aspect than research based one ever was.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provide a preferable direction and methodology for thesis process and let it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visual communication design field in Korea.

중심어

작폼논문 커리큘럼 논문 프로세스

ABSTRACT Keyword

thesis project curriculum thesis process

본 연구는 2016학년도 홍익대 학교 학술연구진흥비에 의하여 지원되었음

(3)

1. 서론 1.1. 연구배경

시각디자인은 전통적인 인쇄매체 디자인을 넘어서 상호관계성을 중요시하고 기술적인 진보의 지원을 받은 다양한 커뮤니케이션 매체를 위한 디자인으로 확장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그 표현 양식도 그것에 걸맞게 다양하게 모색되고 있다. 이러한 경향과 맞물려 한국 시각디자인 전공 대학원 학위논문의 목적과 방향은 실제 디자인현장에서 이슈화 되고 있는 실용적 연구 주제와 그것들의 학술적으로 근본이 되는 주제들을 과학적 그리고 인문학적 연구 방법을 이용하여 연구해왔던 일반적인 디자인 학위연구 뿐만 아니라 자기 내면의 예술적 성향을 드러내고 경험 과 자기 가치관 그리고 철학에 근거한 자신 고유의 주장을 담아내는데 주제를 다루는데 맞추어 지고 있다. 후자의 경우와 같은 주제를 다루는 학위논문은 현재까지 디자인학 연구가 학문으로 자리 잡기 위하여 과학적인 연구방법을 적극적으로 수용하면서 연구 형식을 객관화 시키고자 했던 방향과는 정 반대로 더욱 다양한 연구주제를 가지고 그것을 입론하는 목적과 방향도 매우 자유롭고 그것을 주장하는 방법이나 증명하는 방식도 대부분 시각실험과 그 시각적 결과물에 의존하기 때문에 연구의 타당도를 객관화하기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이에 대한 해결방법은 학위과정 안에서 논문 프로세스가 체계적으로 진행되는 것이다. 만약 이러한 시스템이 갖추어 진다면 지금까지 체계화되어온 디자인학 연구와 더불어 개인적인 성향이 강한 연구주제와 실 험적인 결과물을 생산해내게 되어 시각디자인 영역을 더욱 확장하고 그 근간을 견고하게 만드 는 디자인연구의 영역으로 자리 잡을 수 있다.

프로젝트형태의 석사학위논문은 미국 대학 석사과정에서는 보편화 되어 있다. 특히 역사와 전 통을 자랑하는 유명 디자인학교들은 그 학교마다 독특한 특성을 가진 체계적인 논문지도시스템 이 갖추고 있고 그 결과물들이 그래픽디자인 역사에 반향을 일으키면서 그 프로그램과 학교의 정체성을 만들어내고 있다. 반면 한국 시각디자인관련 대학의 석사 학위 프로그램은 지금까지 리서치 근간의 학술 연구논문이 보편화 되어왔다. 이 논문은 별도의 프로포절 없이 2년(4학기) 으로 구성된 학사편제에서 마지막 학기에 예심과 본심을 받고 이를 통과하면 학위를 취득한다.

상당한 기간 동안 정착되어온 이 석사논문 취득 시스템은 프로젝트형 논문을 진행시키기 위한 학제 시스템과 심사방법과 진행절차, 논문구성 등 많은 차이가 있다. 프로젝트 논문들은 지금까 지 이러한 이유로 이를 완벽하게 지원하는 학제 시스템 안에서 다루어지지 못하고 소극적으로 개인의 취향에 따라 원하는 소수 학생들에게만 제한된 형식 안에서 허용되어왔다. 하지만 외국 유명 디자인 대학에서 프로젝트형 논문 학위 시스템을 경험한 교수들이 대학원 과정에 유사한 유형의 학위논문 시스템을 도입하면서 프로젝트형 논문의 중요성 인식이 점차 확대 되면서 프로젝트형 논문을 진행하는 전문적인 학제시스템을 개발하여 활용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프로젝트형 논문 학제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한 기반작업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프로젝트형 논문 진행을 위한 기본 학제 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1.2. 연구목적과 연구범위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시각디자인 전공 대학원 학생들 중에서 석사학위취득을 위해 프로젝트 논문을 고려중인 학생들과 프로젝트논문 지도 시스템 구축을 고려중인 관련 교수들에게 프로 젝트 논문에 대한 이해를 확대시키는데 있다. 둘째, 프로젝트 논문을 위한 전문적인 학제를 개발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도록 기본적인 커리큘럼의 골격을 제시하는데 있다. 특히 프로젝트 논문과 밀접하게 연관된 석사 스튜디오(graduate studio)와 논문 스튜디오(thesis studio)의 수업 내용에 대해 그 방향과 목표를 제시한다. 셋째, 수업내용 내 외적으로 학생들이 수행해야 할 주요 항목들을 포함하는 프레임워크를 제시하고 그 수행내용에 대해 설명함으로서 논문과 정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자 한다. 넷째, 제시된 수업 내용에 근거하여 진행했던 학생들의 작품을 소개하고 그 의미를 분석한다.

위와 같은 연구목적과 범위는 결과적으로 학생들이 우수한 프로젝트 논문을 완성할 수 있는 교육시스템 개발에 도움을 주고자 함이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그 교육시스템이 프로젝트 논문

(4)

을 독립적으로 지원하는데 초점이 맞추어져야 한다는 것을 전제로 한다. 왜냐하면 프로젝트 논문의 주제는 지극히 개인적일 수 있고 자유로우며 형식의 경계는 예술과 디자인을 넘나들며 확장될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이를 진행하게 하는 시스템이 매우 견고하게 갖추어져야 한다.

그럼으로 해서 학생들은 자신 내면에 있는 실험 욕구를 끌어내고, 자신만의 프로젝트논문 진행 과정에 진지하게 연류 될 수 있으며, 그러는 동안 자기 자신의 생각과 행동 패턴은 하나의 독특한 작품논문 시스템 환경을 설정하면서 그 안으로 들어갈 수 있기 때문이다.

1.3. 연구방법

위와 같은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첫째 프로젝트논문에 대한 의미와 가치 그리고 내용에 대하여 규정을 시도하였고, 둘째, 프로젝트논문이 원활하게 수행되기 위한 대학원 학제를 제시 하기 위해 미국 유명 디자인대학 학제를 분석하였고 학제 안과 밖에서 프로젝트 논문이 성공적 으로 수행되기 위한 논문 수행과정과 항목을 학기별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그동안 본고의 연구자가 본고에서 제시한 프로젝트논문의 과정을 2013년부터 2017년까지 홍익대학 교 대학원 시각디자인전공에 적용하면서 수업에서 그리고 논문지도를 통하여 진행한 프로젝 트 논문의 과정과 결과들을 사례로 설명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최종적으로 프로젝트 논문이라는 형태로 완성된 하나의 디자인결과물에 대하여 단순하게 디자인 진행과정을 설명 하는 것이 아니다. 지금까지 석사과정의 교육체계로 자리 잡고 있지 않았던 새로운 형태의 논문 취득과정 즉 프로젝트논문 과정을 지속적으로 학제화 시키면서 그 가능성을 수업을 통해 실험하고 그 결과물을 통해 다시 학제화 시키는 반복된 과정을 통해서 하나의 완성된 학제 시스템으로 제안하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연구방법은 연구자 본인의 프로젝트 논문 경험1) 을 토대로 유사한 수업목표를 가진 수업에서 교육한 경험2), 프로젝트 논문을 소개하는 세미나 발표3), 그리고 그 교육방법에 대한 학술연구발표4), 실제 프로젝트 논문 지도5), 그리고 실제 프로젝트 논문 교육시스템 제안6) 등의 과정들에서 얻은 결과와 노하우를 근거 하였다.

2. 프로젝트논문의 의미와 내용

2.1. 전통적 논문의 의미 확장으로서 프로젝트논문

“논문(thesis, 또는 dissertation)”의 사전적 의미는 “어떤 문제에 대하여 작자의 의견 · 사상

· 주장 등을 논리적으로 논증하는 글”이다.7) 즉 어떤 문제에 대한 자신의 의견을 제시하고 그 정당성을 증명하는 글을 말한다. 여기서 자신의 의견을 설립하는 것을 “입론(立論)”이라고 하는데 입론은 최대한 독창적이어야 한다. 또한 입론한 의견을 진술하는 것을 “논단(論斷)”이 라고 하는데 논단은 매우 명확해야 한다. 또한 논단은 객관적으로 증명하는 “논증(論證)” 과정 을 거쳐야 하는데 이 논증은 최대한 타당해야 한다. 이러한 입론, 논단, 논증의 과정은 일관성 이 있어야 하고 통일성 있게 “구성(構成)”되어야 하는데 이것이 논문의 4대 원칙이다.8) 논문 의 글이 위와 같이 구성되어 있지 않거나, 그 구성이 일관성 있게 명확한 하나의 진술을 하고 있지 않거나, 또는 그 진술의 증명과정이 타당하지 않을 경우 논문의 연구결과는 신뢰할 수 없게 된다. 본고가 다루고자 하는 학위논문은 석사 또는 박사학위 취득을 목적으로 학문상의

1) 미국, 로드 아일랜드 스쿨 오브 디자인 대학, 그래픽 석사과정, 2000년~2002년.

2) 2006 홍익대학교 시각디자인전공 편집디자인(졸업프로젝트지도), 2009 커뮤니케이션디자인, 홍익대학교, 2013년, 2014년 시각디 자인스튜디오, 홍익대학교.

3) 2006년 홍익대학교 시각디자인과 브라운백 세미나, 2005년 홍익대학교 대학원 시각디자인 박사과정 세미나(안상수교수).

4) 이주훈,「리서치를 기반으로 한 시각디자인전공 졸업프로젝트의 디자인프로세스와 방법론에 관한 연구」, 기초조형학연구, Vol.12, No.2, 2011., pp.379-388., 이주훈.「자기진술로서 시각디자인전공 졸업프로젝트의 의미와 교육체계」, 기초조형학연구, Vol.10, No.3, 2009. pp.333-343., 이주훈.,「시각적 관계성에 초점을 맞춘 기초디자인교육과정의 입체디자인교육시스템 연구」, 기초조형 학연구, Vol.13, No.3, 2012., pp.291-301.

5) 2014년~2017년 프로젝트 논문 지도교수 및 논문 심사위원.

6) 2014년 홍익대학교 대학원 시각디자인전공 프로젝트논문 학위과정 설립 (논문 시스템 개발 참여).

7) 이응백, 김원경, 김선풍, & 감수. (1998). 국어국문학자료사전. 서울. 한국사전연구사.

8) 이응백, 김원경, 김선풍, & 감수. (1998), 앞의 책.

(5)

연구결과를 논술하는 글로서 사실의 진위를 순이론적으로 논증9)하는 학술논문에 해당한다.

소정의 교과 과정을 이수하고 졸업하기 위하여 제출하는 졸업논문과 연구결과를 학술대회에 발표 또는 학술지에 게재함을 목적으로 하는 연구논문 또한 학술논문에 해당한다. 지금까지 한국 디자인분야 석사과정에서는 일반적으로 이와 같은 학술논문을 지향하여왔다.

본고에서 사용하고 있는 “프로젝트 논문”이란 용어는 이와 같은 전통적인 논문(thesis, dissertation)과 의미적으로 구별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되어 왔다. 다시 말해 통상적으로 한국 디자인분야 석사과정에서 지금까지 지향해 왔던 인문학과 공학 분야와 같이 오랜 기간 동안 체계화한 연구 방법과 형식을 예술, 디자인연구에 적용시킨 논문을 “연구 논문”이라고 일컬어왔으며 이와 구별되는 논문의 형식으로서 “프로젝트 논문”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기 시작 하였다. 이 용어는 전통적인 논문의 의미를 확장하여 실용학문인 디자인분야에서 보다 디자인 프로젝트(design project)와 더욱 연관된 연구 주제의 입론을 증명하기 위하여 실험 도구로서 보다 창의적인 실험설계를 구상하고, 보다 다양한 리서치에 의해 연구 방법을 선정하며, 창의 적인이면서도 기술적인 디자인 실험을 시행, 그 결과를 기술하고 그 의미를 논의하는데 초점을 맞춘 논문을 의미한다. “프로젝트논문”은 개인작품을 주로 다루는 공예, 예술 분야에서 보편적 으로 불러온 “작품논문”이라는 용어와도 구별된다. 왜냐하면 프로젝트 논문은 개인적인 예술 성을 부각시키기 보다는 전체 논문 구성에서 디자인 제작 과정으로서 하나의 프로젝트를 수행 하는 것을 중요하게 강조하기 때문이다.

프로젝트논문이 일반 논문과 차별화 될 수 있는 것은 디자인프로젝트를 통해서 입론한 주장을 증명하는데 있는 것만은 아니다. 어떤 분야를 막론하고 학위를 수여받기 위하여 학위 후보자들 은 논문을 통해 자신의 능력을 인정받아야 한다. 그 능력들 중에서 가장 중요한 능력은 첫째, 연구 영역에서 연구자가 진술하고자 하는 아이디어의 독립성과 독창성(originality)이다. 즉 어떤 문제에 대한 본인의 의견이 다른 사람들의 의견과 구별될 수 있게 독창적이고 신선해야 한다. 둘째, 이러한 의견을 입증하는 과정에서 중요한 정보들을 의미 있는 전체로 조직화할 수 있어야 한다. 셋째, 이러한 증명과정을 명확한 글쓰기로 설명할 수 있어야 한다.10) 그만큼 글쓰기는 학위논문을 통해 증명해야할 중요한 능력에 해당한다. 프로젝트논문 역시 학위논문 을 통하여 이러한 능력을 확인할 수 있어야 한다. 학위논문은 분야별로 입론으로부터 모든 결과가 기술(記述)되어 담아지는 도큐멘테이션에 이르기까지 그 과정과 형식이 조금씩 다르 지만 본질적인 논문골격을 공유한다. 프로젝트논문은 그 골격 안에서 유연성을 발휘하며 독자 적임을 드러내야 한다. 그 독자적임 즉 창의적임은 모든 연구과정과 결과를 통해 드러날 수 있다. 학위 후보자가 특정한 문제에 대하여 독창적인 의견을 제시하고 이것과 관련된 중요한 문제들을 정의하고 그것들을 조사하며, 밝혀진 사실들을 분석하고 그것들과 중요한 개념들 또는 이슈들을 연관시킴으로서 명확하게 그 함의와 결과들을 객관적인 글쓰기를 통해 전달11) 한다는 공통된 골격 안에서 모든 과정이 창의성을 좌우하는 요인이 될 수 있다. 특히 창조적인 작업자로서 시각디자이너가 프로젝트 논문을 통하여 창의성을 드러내고 확인 받아야 하는 것 은 연구자가 가지고 있는 특정 문제에 대한 의견을 탐구하는 과정에서 그 방법들과 이론들을 시각디자인 분야의 그것들에 의존하거나 새로운 방법들을 시도하면서 자신의 아이디어에 대 한 진술을 능수능란하게 시각화하는 능력이다.12) 학위 후보자들은 프로젝트논문을 진행하면 서 자신의 시각화 능력을 승격시키고 이 능력을 프로젝트를 통하여 증명하며 논문을 통해 확인 받아야 한다. 이것이 프로젝트 논문이 전통논문으로부터 확장된 고유 개념이자 특징이라고 말할 수 있다.

9) 이응백, 김원경, 김선풍, & 감수. (1998), 앞의 책.

10) Mauch, J., & Park, N, 『Guide to the successful thesis and dissertation: A handbook for students and faculty』, CRC Press, 2003.

11) 앞의 책.

12) West, A., 『Thesis Guide Book』, RISD, 2000.

(6)

2.2. 디자이너로서 프로젝트 논문의 가치

학위후보자들은 석사학위과정이 디자이너로서 자신이 필요한 능력을 승격시켜줄 수 있을 것 이란 기대를 가지고 입학하였기 때문에 학위과정은 그러한 요구를 충족시켜 주어야 한다. 프로 젝트논문을 수행하는 과정은 그 능력을 승격시킬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고 그 결과로서 학위후보자들의 승격된 능력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프로젝트 논문은 전통적인 연구논문과

달리 보다 차별화된 능력을 함양할 기회를 제공한다.

<그림 1> 에서 ⓐ와같이 프로젝트 논문을 진행하는 과정에 서 학생들은 시각디자이너로서 자신의 정체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다양한 노력을 기울여야한다. 그것은 자신이 프로젝 트를 통해서 대중들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가 무엇인 가를 찾는데 중요한 요인이 되기 때문이다. 또한 그 주장을 소통시킬 시각디자인 결과물(output)이 자신의 어떤 능력에 의해 만들어 질 수 있고 어떤 능력을 함양해야 하는지에 대 해 판단해야 하며 그 능력이 학위과정을 마쳤을 때 자신의 특정 전문분야로 인정받을 수 있는지도 가늠해야한다. 그렇 기 때문에 프로젝트 논문은 자신의 정체성을 찾을 기회<그 림 1, ①>, 자신 내면에서 강하게 요구하는 대 사회적 발언 (주장)을 발견할 수 있는 기회<그림 1, ②> 그리고 자신이 희망하는 전문영역을 발견하거나 자신이 가지고 있는 전문 가로서의 능력을 발견<그림 1, ③>하게 하여야한다.

프로젝트논문의 주제가 정해지면 ⓑ와같이 프로젝트의 그 림을 그리고 그 구조를 조직화해야한다. 이 프로젝트는 어 떤 분야에 포지셔닝하고 있는지를 파악하고 어떤 분야의 기 술과 이론이 필요하며 어떤 문제점들이 발생할 수 있는지 그 솔루션은 어떻게 찾을 수 있을지를 예상하고 어떤 전문 가들과 협업을 해야 하는가를 결정해야한다. 이 모든 것이 전체 프로젝트를 제안하는 단계에서 필요한 능력이다. 즉 프로젝트의 디렉터로서 역할이 필요한 것이다. 이와 함께 리서치 방법론과 시각커뮤니케이션 이론들을 학습하여야만 프로젝트를 원활하게 진행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학생들은 시각 커뮤니 케이션 이론, 논리적 글쓰기 등을 포함하여 디자인 리서치 능력을 향상시킬 기회를 갖고<그림 1, ④>, 프로젝트 전체를 이끌면서 결과물의 수준을 극대화시키는 디렉터로서의 역할을 경험

<그림 1, ⑤>하게 된다.

이 단계를 거쳐 프로젝트의 실험 계획이 세워지면 ⓒ와같이 다양한 시각실험을 해야 한다.

이것은 한 번도 본적이 없는 학생 고유한 창의적인 작업이며 문제 해결방법을 찾는 탐구과정으 로 가득 차게 된다.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로부터 의견을 수렴해야 하며 지도교수와 심사위원들 의 조언을 수용해야한다. 이 단계에서 학생들은 새롭고 다양한 문제점들을 극복하기 위한 전문 가들의 조언을 수렴하는 기회<그림 1, ⑥>를 가질 뿐만 아니라 가장 논리적이고 체계적이면 서 자기 자신만의 고유한 창의적인 창작 실험을 할 수 있는 기회<그림 1, ⑦>를 갖는다.

마지막으로 프로젝트는 ⓓ와같이 초기부터 프로젝트의 제안, 진행과정, 결과에 이르기까지 단계마다 자신의 주장이 글쓰기와 시각디자인물을 통해 프레젠테이션 자료로 통합되어 구술 로 설득하는 전문가다운 발표능력<그림 1, ⑧>을 발휘하게 된다. 이러한 앞의 모든 과정은 시각디자이너로서 자신의 능력을 승격시킬 뿐만 아니라 그 능력을 교육적인 목적으로 활용할 기회<그림 1, ⑨>를 갖게 된다. 석사학위는 교육자로서 자격을 얻는 기회이기 때문에 모든 논문 수행과정에서 교육적 능력을 승격시키는 노력 또한 기울여야 한다. 대학원 과정에서는 학생들에게 교육조교(teaching assistant), 연구조교(research assistant)의 기회를 주어 교육 자로서의 길을 열어주어야 한다.

<그림 1> 프로젝트 진행에 따른 학습내용

(7)

2.3. 프로젝트 논문의 내용적 구성

시각디자인분야의 프로젝트논문은 소극적으로는 전 통적인 논문의 구조를 크게 벋어나지 않으면서 시각 디자인관련 문제에 대하여 그것을 입증하는 방법으 로 프로젝트를 실험 방법으로 활용, 그 진행과정과 결과를 기술하는 내용적 구성을 가질 수 있다. 하지 만 창의적인 분야의 프로젝트 연구인만큼 문제를 바 라보는 관점과 내용적 측면 그리고 그 구성적 골격 의 측면에서 모두 전통적인 논문으로부터 실험적인 확장을 시도할 수 있다. 이를 전통적인 논문으로 부 터 실험적인 확장 순으로 정리하면 <그림 2>와 같 다. 첫째. A의 모델과 같이 시각디자인과 관련된 특 정 문제에 대한 개인적 주장을 강화하고 그 주장을 증명하기 위하여 기존 디자인방법론 또는 이론들을 적용하여 시각디자인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그 과정 과 결과를 논문의 주 내용하며 논문 형식은 학교가 보편적으로 제시하는 전통적인 방식을 따른다. 둘 째. B와 같이 시각디자인과 관련된 특정 문제에 대 한 개인적 주장을 시각디자인 프로젝트를 통해 증명하되 그 프로젝트의 범위를 시각디자인범 주로 부터 확장하면서 실험하고 그 모든 과정을 논문의 주 내용으로 기술한다. 이때 논문 형식 과 구성은 A와 같이 전통적 방식을 크게 벗어나지 않는다. 셋째. C와 같이 시각디자인관련 여부를 떠나 특정 문제, 개인적 흥미, 실험적 아이디어에 대한 어떤 주장 또는 생각을 진술 또는 증명하기 위하여 다양한 실험적, 융합적 프로젝트를 진행한다. 그 프로젝트들은 하나하나 가 그 주장을 다양하게 지지하는 시각적 진술 매체가 되며 논문 자체가 그 프로젝트의 통합물 이 될 수 있다. 이때 진술을 위한 매체적인 제한과 이론적인 범위의 한계는 없으며 논문의 구성방식과 전개방식 또한 논리적이고 체계적인 설명과 타당함이 확인된다면 독창적인 방식 을 허용한다. 이와 같이 세 가지 기준에서 학교의 공식적 제출방식이나 전공에서 요구하는 프로젝트 논문의 내용적 구성을 따를 수 있다. 하지만 궁극적으로 프로젝트 논문의 목적을 가장 잘 반영할 수 있는 내용적 방향은 세 번째 C모델이라고 할 수 있다.

이와 함께 프로젝트논문은 내용과 형식을 어느 정도까지 확장할 수 있는가라는 문제를 떠나서 갖추어야 할 논문으로서의 기본구성을 갖는다. 논문 구성은 1. 표지(cover page): 논문 제목 (thesis title), 후보자 이름(candidate’s full legal name)이 들어가야 하며 속표지엔 논문 위원 회의 승인과 승인날짜가 표시되어야 한다. 2. 요약(abstract): 1페이지정도 분량의 논문을 요 약한 것이며 논문 전체에 대해 매우 명확하고, 간결하며 정확하게 설명하여야 한다. 이것은 마치 예술가의 진술처럼 읽혀질 수 있어야 한다. 3. 목차(table of contents) 4. 도판 리스트(일 러스트레이션, 슬라이드, 사진 등등) 5. 본론(body of thesis): 논문에서 가장 핵심이 되는 부분이다. 본문은 위에서와 같이 논문 모델에 따라 첫째, 전통적인 논문 형식에 시각 실험들 전체를 요약하여 설명하거나 둘째, 개개의 시각실험들을 특정한 순서에 따라 체계적으로 요약 나열하면서 설명하거나, 셋째, 시각실험들이 하나로 묶여 전체가 하나의 설명적 구조를 가지면 서 도큐멘테이션을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첫 번째의 경우 프로젝트에 대해서 a) 소개 (introduction): 논문 프로젝트에 대한 일반적인 설명 b) 맥락정보(contextual information):

프로젝트에 대한 타당한 배경과 이해를 제공 c) 논의(discussion): 논문의 의도, 주장, 또는 가설에 대한 시각 실험들의 결과가 가지고 있는 의미를 프로젝트의 결과물들을 예를 들어 설명 의 순서로 구성할 수 있다. 8. 결론(summation)은 모든 논문내용에 대한 의미에 대해 간단하 게 언급한다. 9. 참고문헌(bibliography and footnotes) 순으로 이루어진다.

<그림 2> 프로젝트 논문의 내용적 구성 유형

(8)

3. 프로젝트 논문의 학제제안

3.1. 프로젝트논문 과정을 위한 기본교육체계 제안

<그림 3> 미국 유명 디자인대학원의 학제(CMU, RISD, PRATT)

미국 유명 디자인대학에서는 이미 오랜 기간 동안 프로젝트 논문이 보편화 되어왔다.13) 본고 가 분석한 대학은 미국 로드 아일랜드 스쿨 오브 디자인(Rhode Island School of Design)의 그래픽 디자인 석사과정14), 카네기멜론대학(Carnegie Mellon University)의 디자인학부15), 프렛대학(Pratt Institute) 커뮤니케이션 디자인 대학원 과정(MFA, communication desig n)16)이다. 이들 대학 시각디자인 관련전공 석사과정 커리큘럼을 살펴보면 수업과목의 구성에 서 학교의 교육목표와 방향17)이 반영되면서도 프로젝트논문을 지향하는 공통적인 구조가 드 러남을 알 수 있다. <그림 3> 에서와 같이 가장 중요한 교과목의 축은 1, 2차 학기에 개설된

“석사 스튜디오1, 2(graduate studio1, 2)” 수업으로부터 3, 4차 학기에 개설된 “석사 논문 (graduate thesis)” 수업으로 이어지는 실습과목들이다. 카네기 멜론 대학의 디자인학부는 “스 튜디오”를 1, 2학기에서 그리고 “논문 준비(thesis prep)”수업을 2학기에서 동시에 이수한 후 3, 4학기에 “논문 프로젝트”를 이수해야한다. 여기서 스튜디오 수업은 각각 “인터렉션 디자인”

과 “리서치 근간의 인터렉션 디자인”으로 부재가 있어 스튜디오 수업의 수업목표가 학교의 교육목표를 반영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리즈디(RISD)는 각 학기별로 “스튜디오 1, 2” 그리고

“석사 논문 1, 2”로 진행시키며, 프랫(PRATT)은 1학기에서 “스튜디오” 수업을 2학기에 “스튜 디오” 대신 리서치를 위한 수업(MFA Thesis Research)을 개설하고 3학기에서 “스튜디오”와

“논문” 수업을 병행시킴으로서 프로젝트에 대한 집중성을 강화하고 4학기에 논문을 마무리하 게 하고 있다. “세미나(seminar)” 또한 이와 같은 학제 구성과 맞물려 프로젝트 논문을 지원하 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리즈디 세미나 수업 개요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석사세미나 1(graduate seminar 1)”은 그래픽디자인 분야에 대한 비평적 이슈들을 논의하게 하고, 문화와 자신의 경험 그리고 디자인적 맥락을 연결시킴으로서 그래픽디자인의 개념 확장을 탐험하게

13) 로드 아일랜드 스쿨 오브 디자인은 1976년 대학원 프로그램이 시작되었으며 현재에 이르기까지 동일한 프로그램 목표와 수행과 정을 유지하고 있다.(프로그램 창시자인 Thomas Ockerse의 Shot Bio와 인터뷰를 근거로 함).

14) https://www.risd.edu/academics/graphic-design/courses/

15) https://design.cmu.edu/content/master-design

16) https://www.pratt.edu/academics/school-of-design/graduate-school-of-design/grad-communications-design /communications-design-mfa/

17) 일반적으로 미국 대학원 프로그램은 프로그래머의 역할을 맡고 있는 교수의 교육철학에 따라 교육방향이 좌우된다.

(9)

하는 목적을 달성하고 “석사스튜디오 1”의 원활한 수행을 지원한다. 또한 “석사스튜디오 2”와 연관시켜 잘 디자인된 프로포절의 구축, 탐험, 조사를 위한 리서치 방법론을 학습하게 함으로서 최대한 흥미로운 아이템을 찾고 최상의 프로포절이 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목적을 갖는다.

본고는 이와 같은 미국 대학원의 학제들에 대한 리서치와 리즈디 대학에서 수학한 경험 그리고 홍익대학교 메타디자인 시각디자인전공 프로젝트 논문을 지도한 경험을 근거로 다음과 같이 학제를 제안한다.

<그림 4> 프로젝트 논문 수행을 위한 커리큘럼 제안

첫째 <그림 4> 에서처럼 “석사스튜디오 1, 2”와 “석사논문 1, 2”로 연결되는 실습과목들이 첫 번째 학기부터 마지막 학기까지 핵심 축(core course)을 이루게 한다. 주된 실습과목(main practice course)으로서 “스튜디오(studio)”와 “논문(thesis)” 수업은 학생들이 논문을 성공적 으로 완료할 수 있도록 하는 기본적인 교육목표와 함께 대학원 프로그램 매니저가 지향하는 프로그램의 세부적인 방향에 따라 특징화 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스튜디오1 수업은 논문에 대한 이해, 논문 아이템 선정을 위한 리서치가 수행되며, 스튜디오2 수업은 논문 프로포절 준비를 통해 논제의 방향을 결정하고 그 타당성 논의를 시작한다. 석사논문 1 수업에서는 자기 주장 세우기로써 논제 선정과 그 논제를 증명하기 위한 시각표현 탐구를 활발하게 진행하여야 한다. 그 과정에서 개인의 문제해결능력 계발이 이루어지며 다양한 시각실험들이 논제를 지지 하면서 하나의 프로젝트로 조직화되고 논문 몸체로 실체화된다. 이들 수업은 논문 지도교수 위원회의 가장 활발한 지원이 필요하다. 석사논문 2 수업에서는 논문 프로젝트에 대한 탐색과 실험을 통해 자기주장을 증명하는 과정을 마무리하고 학교에서 제시하는 논문집(documentation) 을 완성하는데 초점을 맞춘다. 또한 모든 과정을 요약하여 발표하고 심사 위원들에게 심사를 받는 최종 프레젠테이션(논문심사)과 이를 위해 개인의 주장을 대중들에게 작품을 통해 설명 하는 논문작품전시를 준비해야 한다.

둘째, 이 핵심 교과목들을 지원하는 여러 가지 트랙과목 또는 선택과목이 개설되어야 한다.

그 중에서 가장 중요한 지원 과목들 중 하나는 세미나 수업이다. 세미나 수업의 목적은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대학원과정 학생들에게 필요한 다양한 비평적 능력을 향상시키는데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또한 논문 프로젝트를 진행시키는 기본 연구 방법을 학습하게하고 개인 프로젝 트 진행에 도움이 될 수 있는 다양하고 깊이 있는 리서치가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셋째, 세미나 수업과 스튜디오 수업에서 충분히 학습될 수 없다고 판단되는 학습 분야를 과목 으로 분리시킬 수 있다. 그것은 조금 더 전문적인 리서치 방법을 학습하게 하고 논문 프로젝트 를 진행시키는 다양한 방법을 제안하는 “리서치 방법론(design research)”, 전문적인 디자인 글쓰기 능력을 향상시키는 “디자인 글쓰기(design writing)”, 개인적인 흥미를 조사하고 논문 프로젝트에 대한 프레임을 구조화하는데 더욱 초점을 맞출 수 있는 “논문 준비(thesis preparation)”, 디자인이론을 학습하고 디자인의 영역 확장을 실험하며 디자인 이론을 프로젝 트에 적용하는데 더욱 초점을 맞출 수 있는 “디자인스튜디오(design studio)”가 그것이다. 또 한 세부 디자인분야에서 도움을 받기 위해 디자인선택과목(design electives)을 학부과정에서 이수할 수 있고 다른 학문 분야의 학부 과목을 이수함으로서 해결할 수 있다.18)

(10)

3.2. 프로젝트논문 프로세스 제안

프로젝트 논문이 원활하게 진행되고 성공적으로 마무리될 수 있도록 앞에서 제안된 학제뿐만 아니라 운영 프로그램이 교과 내, 외에서 견고하게 짜여 져야 한다. 이를 위해 본 절에서는 논문 진행과정을 다음과 같은 기준에서 제안하고자 한다. 그것은 첫째, 논문 토픽 매핑 (mapping thesis topic), 둘째, 리서치(research), 셋째, 논문 글쓰기(thesis writing), 넷째, 시각탐험(visual exploration), 다섯째, 발표(presentation), 여섯째, 논문심사(thesis review), 일곱째, 전시(exhibition), 여덟째, 논문 기록(thesis documentation), 아홉째, 논문위원회 (thesis committee) 열 번째, 논문지도(guide on thesis)이다. 논문 수행 과정은 이들 기준에 서 4학기 동안 시기별로 진행해야 하며 그 항목들은 <표 1>과 같다.

첫째, 논문 토픽 매핑은 논문을 위한 프로젝트의 토픽을 정하는 단계로서 그 토픽들이 자신의 흥미로운 관심사이며 논문 주제가 될 가능성을 가지고 있고 자신이 그 주제에 대하여 어떤 주장을 펼칠 것인가를 결정하는 과정이다. 그렇게 선정한 논문 주제는 그 가능성을 프로포절을 통해 검증받게 되는데, 그 이후로도 주제에 대한 주장이 무엇이며 어떤 시각실험을 통하여 그 주장이 입증될 수 있 것인가를 결정하는데 매핑 과정을 거친다. 또한 프로젝트에 의해 제작 된 시각 작품들의 표현과 내용이 그 주장을 잘 반영하고 효과적으로 소통하고 있는지를 확인하 는 것도 매핑 과정에 포함 된다. 하지만 매핑의 가장 중요한 역할은 프로젝트 전체를 하나의 시각디자인 활동으로 보고 모든 소통 주체와 그 요인들 그리고 소통 내용을 규정하고 구조화함

18) 일반적으로 학제간(interdisciplinary)연구를 위해서 논문심사위원 구성에서 도움이 필요한 타분야 교수를 지정하기도 한다. 그 교 수의 수업을 수강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다.

1차학기 GRADUATE STUDIO 1

2차학기 GRADUATE STUDIO 2

3차학기 GRADUATE THESIS 1

4차학기 GRADUATE THESIS 2

Mapping thesis Topic

∙ 프로젝트논문 오리엔테이션, 논 제 흥밋거리 찾기(개방형, 모험 적 탐색)

∙ 예비 프로포절, 초기 기반작업

∙ 논문토픽의 초점을 좁힘

∙ 논문 토픽에 대한 구조화

∙ 논제 이슈로서 그리고 개인적 흥미로서 토픽들의 관계성 매핑

∙ 논문 토픽 확정을 위한 진전

∙ 구체화된 논문 주제와 시각적 진술과의 연관성 매핑

∙ 글쓰기와 시각실험은 서로를 뒷 받침하면서 논문 몸체를 구성,

Research ∙ 개인 흥밋거리의 논리적 확장, • 논제 발상 자극을 위한 리서치

∙ 리서치 강화

∙ 리서치 영역 확장

∙ 논제의 시각적 진술 방법 탐색

∙ 논문 토픽 확정을 위한 리서치

∙ 논문 내용 완성을 위한 최종 리 서치

∙ 논문 주제를 뒷받침하는 시각실 험에 대한 객관적 증거확보

Thesis writing

∙ 시각탐험에 대한 의미와 생각을 글쓰기를 통해 구체화하고 통찰

∙ 맵핑한 아이디어를 글쓰기로 정리

∙ 프로포절을 위한 프로젝트 요약

∙ 논문목표, 논제, 토픽, 매핑 결과 에 대한 글쓰기

∙ 초록(논문요약) 글쓰기 시도, • 논문초안완성

∙ 논문 글쓰기(몸체) 착수

∙ 초록완성

∙ 논문 내용완성

Project (Visual Exploration)

∙ 수업 과제를 통한 흥밋거리의 시각적 탐구, •막연한 생각의 구 체화를 위한 시각적 진술시도

∙ 프로포절을 위한 초기 기반작업

∙ 프로포절의 시각적 뒷받침을 위 한 시각실험

∙ 논문 주제 확정을 위한 시각실험

∙ 논문주제의 시각적 증거마련을 위한 시각실험

∙ 시각 진술의 타당성을 증명하기 위한 프로젝트의 진전

∙ 프로젝트(시각실험) 완료

∙ 청구작품전 준비

Presentation ∙ 수업 결과 발표 ∙ 프로포절 발표 ∙ 2차 심사를 위한 발표 ∙ 프로젝트 최종 결과 발표

Thesis review ∙ 1차 심사(학기말) ∙ 2차 심사(학기말) ∙ 3차 심사(학기중)

∙ 재심(학기말)

Exhibition ∙ 수업결과물 전시(개인적 흥밋거 리의 대중 반응 확인)

∙ 프로포절 전시(프로포절의 도구 로서 시각진술 또는 증명)

∙ 2차 심사를 위한 전시(논문 주제 와 일치된 시각진술 또는 증명)

∙ 최종 논문 청구작품전(모든 진 술을 대신하는 시각 진술 자료 준비)

Thesis document ∙ 논문 도큐멘테이션(논문집) 제작

Thesis committee ∙ 지도교수 선정 ∙ 논문심사위원회 선정 ∙ 논문 진행 가부를 결정 ∙ 논문 최종 통과 여부 결정

Guide on thesis ∙ 논문주제 탐색, 논의

∙ 위원회 위원들과 프로젝트의 가 능성 논의

∙ 지도교수와 프로포절 준비

∙ 위원회 위원들은 프로젝트에서 발견한 문제들에 대한 솔루션 제공

∙ 지도교수는 프로젝트 진행 방향에 대한 면밀한 확인과 조언 제공

∙ 위원회 맴버는 논문 주제가 시 각실험을 통한 시각증거들이 논 리적 연결성을 가지고 풍부하게 증명되고 있는지 확인

∙ 지도교수는 모든 프로세스가 완 성되도록 조언

<표 1> 프로젝트 논문을 위한 학기별 수행과정 제안 내용

(11)

과 동시에 전체와 부분의 관계를 연류 시켜 소통 효과를 극대화하는데 있다.19) 둘째, 리서치는 개인적인 흥밋거리를 논리적으로 확장하며 이론적인 근거를 지속적으로 제공한다. 또한 시각 적인 진술 방법 또는 시각 탐험의 논리적 근거를 제공하며, 논제를 확정하는 이론적인 근거를 제시하고, 자기주장을 증명하기 위하여 프로젝트 과정과 결과를 논리적으로 기술하는 근거를 제공한다.20) 셋째, 논문글쓰기는 일반적으로 논문 도큐멘테이션(dissertation)을 위한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진행과정에서 개념을 실체화하고 시각탐구 과정 전 후로 작업에 대한 계획을 분명하게 하거나 작품을 통해 표현하려고 하는 메시지를 명확하게 풀어내고 설명할 수 있게 해준다. 이것은 “말로 하는 표현”이라는 의미를 가진 “articulation”인데, 프로젝트 논문에서 매우 중요한 개념이다. 작품을 제작하기 전에는 글쓰기가 작품이 어떤 내용을 어떻게 전달하는 지를 예상하고 작품이 어떤 내용을 전달하고 있는지를 확인하며 작품이 어떤 의미를 갖는지를 설명하는데 글쓰기가 먼저 소통의 역할을 담당하게 되지만, 작품이 완성된 후에는 그 역할을 작품이 대신하게 된다.21) 그렇기 때문에 글쓰기는 프로젝트 논문의 주제를 탐구하는 과정, 프로포절을 위해 논문의 주제, 목적, 요약 등을 명확하게 하는 과정, 프로젝트를 계획하고 실행 하고 해석하는 과정, 그리고 논문의 도큐멘테이션 과정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넷째, 시각탐험은 논문 글쓰기와 반드시 병행하여야 하는 항목이다. 시각탐험은 논문과정에서 크게 논문 주제 선정을 위한 흥밋거리 탐구과정, 프로포절에서 논제의 타당성을 증명하는 자료로서 프로토타이핑 과정, 그리고 확정된 논제에 대해 시각진술을 가능하게 하는 다양한 관점에서의 실험적 시각탐구 과정으로 나눌 수 있다. 프로젝트 논문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 전체 과정이 논문으로 보고될 수도 있고 시각탐구과정에서 나온 결과물만 정리해서 보고될 수 있지 만 모든 과정들이 동일하게 중요하다. 다섯째, “발표”는 공식적으로 여섯 번째, “심사”와 일곱 번째, “전시”와 함께 수행된다. 발표는 논문 과정에서 자신이 진행하고 있는 각 단계별 결과를 확인받는 중요한 절차이다. 발표가 중요한 이유는 논문 과정이 시작단계부터 도큐멘테이션으 로 정리되어 마무리 될 때까지 끊임없이 논문심사위원들을 포함하여 대중들로부터 자신의 주 장이 효과적으로 소통되고 있는지 확인 받아야하기 때문이다. 공식적인 발표의 시작은 스튜디 오1 수업의 결과물에 대한 발표이다. 이것은 수업 결과물에 대하여 명확하게 설명하는 자리이 지만 논제로서 다양한 토픽들과 아이디어들이 자유롭게 논의 되어야 한다. 프로포절을 위한 발표는 논제에 대한 자신의 주장을 처음으로 명확하게 설명하는 공식적인 단계이다. 이 자리에 서 학생은 자신의 주장이 명확하게 요약된 글쓰기와 이해를 돕는 프로토타입 만큼이나 준비된 모든 자료들을 프로포절 참관인에게 최대한 이해 가능하게 구두로 설명하는 것이 중요하다.

왜냐하면 공식적으로 논문계획을 대중에게 설명하는 자리이며 특히 논문심사위원들로부터 피 드백을 받고 심사위원들로부터 부족한 부분에 대해 조력을 받을 수 있는 기회이기 때문이다.

그 다음 단계에서는 글쓰기와 시각탐구의 결과물이 훨씬 더 소통의 비중에서 발표보다 훨씬 더 커져야하고 발표는 이해를 돕는 수준의 간단한 설명으로 충분해야 한다. 일곱 번째, 전시는 프로포절 부터 매 심사 때마다 시각탐구의 결과물을 드러내 보여주는 기회이다. 그렇기 때문에 시각탐구 결과물의 진열은(display) 대중과의 소통이 극대화 되는 방식이어야 한다. 왜냐하면 전시장이라는 공간은 작품 스스로가 효과적으로 디자이너의 주장을 의도대로 전달해야하기 때문이다. 논문심사가 전시 장소에서 이루어지는 이유는 발표한 내용이 작품을 통해 대중에게 그대로 전달되는지 확인할 수 있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논문 심사위원회는 논문심사에서 합격 여부를 판정하는 역할 뿐만 아니라 최대한 프로젝트 진행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점들을 해결하는데 도움을 주는 조력자의 역할을 해야 한다. 그렇기 때문에 논문심사는 심사위원들이 각 과정(심사단계)마다 합당한 수준에서의 논의가 가능한지에 대한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며, 기대 수준의 논의가 이루어지지 않을 때 추가 진행을 거부(reject)함으로서 불합격 시킬 수 있다.

19) Thomas Ockerse,『Graduate Studio 1, syllabus』, RISD, 2000.

20) Michael Vanderbyl,『Teaching Graphic Design: Graphic Design Thesis』, Allworrth Press, 124.

21) West, A., 『Mapping: The Intelligence of Artistic Work』, Moth Press, 2011.

(12)

4. 사례분석

사례분석은 홍익대학교 메타디자인대학원 시각디자인전공 대학원 시각디자인스튜디오 1, 2 수업 지도와 논문심사위원회 소속으로 논문 지도와 심사를 했던 경험을 근거로 대표작품 3개 를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이 학생들의 결과물은 본고에서 제안한 이상적인 프로젝트 논문 시스 템 하에서 나온 결과물은 아니지만 시스템을 구축하는 과정에서 수업을 들었던 학생들의 작품 으로서 본고가 제안한 지도체계의 결과물을 미루어 예측할 수 있다.

<그림 5> 프로젝트 A. 자신의 정체성 탐구 결과물

∙ 논제의 실체화 과정으로 프로젝트 A

석사 스튜디오 1(graduate studio 1)에서의 주된 수업 목표는 논문 주제로 발전 가능한 자신의 흥밋거리(논문 아이디어)를 찾아보고 그것들 중 하나를 선정하여 그것에 관하여 발언하고자 하는 자신의 주장을 디자인 프로젝트를 통해 명확하게 설명하는데 있다. 이 단계에서 학생들은 본인이 겪었던 과거의 경험을 끌어내고 분석하며 여러 관점에서 의미 있는 사건들을 조직화하 는 매핑작업을 하게 된다. 이를 통하여 대부분의 학생들은 그동안 미뤄왔던 자신의 “정체성 발견”이라는 긴 과정에 몰입하게 된다. 즉 “나는 누구인가?” “내가 세상 사람들에게 나에 대해 서 말하고 싶은 것은 무엇인가?” “왜 그 이슈에 관하여 대중과 소통하고 싶은가?” 등이다. 프로 젝트 A를 위해 학생은 매핑을 통해 “육상선수를 꿈꾸다 부상당한 나”, “사회 부적응”, “우울증”,

“진로변경으로 활로 모색”, “시각디자인전공 선택”, “교직”, “가르치는 행위를 통한 마음의 상처 와 치유”, “미술 심리치료” 라는 키워드를 뽑아냈다. 이 학생의 초기 주장은 자신의 희망이 절망이 된 사건과 다시 희망을 준 시각디자인이라는 전공에 대한 무한한 기대가 시각디자인의 학습욕구로 이어졌다는 매우 단순한 것이었다. 하지만 많은 토론을 통하여 끌어낸 주장은 이 학생이 자신의 인생에서 중요하게 생각하고 몰입했던 순간마다 그리고 중대한 변화를 겪을 때마다 선(line)이라는 요소가 반복적으로 자신의 마음을 움직였고 영감을 주었다는 것이다.

이러한 리서치와 매핑결과를 근거로 프로젝트를 진행하였다. 프로젝트는 선으로부터 시작하 여 선으로 끝나는 지금까지의 인생 과정을 “from line to line”이라는 주제로 큰 변화를 겪을 때 마다 다양한 맥락 안에서 눈으로 들어왔던 선들이 자신의 인생에 어떻게 연류 되었는지를 보여주는 방식으로 이야기를 엮어 내었다. 그러면서 자신을 스스로 뒤돌아보았고 자신의 그러 한 진솔한 모습에서 선이라는 단순한 시각적 요소가 자신의 경험과 당시의 마음을 되새기게 하는 결정적인 요인이라는 것을 깨닫게 되었다. 그래서 그에게 선은 자신의 내면을 드러내는 상징적인 요소가 되었고 다른 사람들과는 차별화된 관점에서 선을 보게 되었다.

∙ 논제 확정을 위한 프로포절 프로젝트 B

석사 스튜디오 2(graduate studio 2)의 수업목표는 석사 스튜디오 1에서 얻은 수업 성과를 바탕으로 프로포절을 준비하는데 있다. 수업 성과는 첫째, 자신이 경험한 의미 있는 사건들을 통해 자신의 정체성을 알아보는 것, 둘째, 자신의 정체성과 관련된 논문 주제로 가능한 흥밋거 리들을 발견하는 것, 셋째, 여러 흥미로운 아이디어 중에서 자신의 주장이 강하게 반영될 수 있는 아이템을 선정하는 것, 넷째, 자신의 주장이 시각적으로 조직화되어 설명될 수 있는지에

(13)

대한 가능성을 발견하는 것 등이다. 석사 스튜디오 2에서는 이러한 아이템을 논문 주제로 확정 하는데 도움을 준다. 프로포절이라는 공식적인 절차는 학생이 발견한 아이디어가 논문의 주제 로서 가능성을 확인받을 수 있는 기회이다. 이를 위해 학생들은 논제를 확정하고 자신의 주장 을 명확하게 해야 하며 자신이 논문 프로젝트를 통해 무엇을 증명해야 하는지를 계획하여야 한다. 이때 주의해야 할 것은 주장은 명확하나 답이 뻔하지(obvious) 말아야 하며 어떤 결론을 단언하는 것 또한 쉽지 않아야 한다.22) 프로젝트 B을 위해 학생은 “입체의 물리적 구조”라는 주제로 입체를 2차원 평면에 표현하는 방법이 원근법에 의한 시각적인 착시 뿐만 아니라 더욱 다양할 수 있고 이것을 그래픽디자인의 관점에서 새롭게 찾을 수 있다는 주장을 하였다. 이를 위해 입체라는 용어를 재규정하고 입체가 느껴지는 요인을 다양하게 분석하여 그 요인들을 시각적으로 설명함으로서 2차원 그래픽이 어떤 요인으로 구조화되었을 때 강하게 3차원적인 볼륨 또는 입체적인 공간을 느끼게 되는지를 증명하였다. 예를 들어 구조적 모듈과 볼륨이라는 주제로 3차원 형상을 구조화하는 기본 모듈을 추출하여 그것을 다시 재형성 시키면 흥미로운 입체 형태가 느껴지며 새로운 그래픽 표현으로 활용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림 6> 프로젝트 B, 시각탐험 결과물

∙ 자기주장의 증명과정으로서 프로젝트 C

석사 논문 1, 2(graduate thesis 2)의 수업목표와 동일하게 홍익대학교 메타디자인대학원 시 각디자인전공에서는 시각디자인스튜디오 3, 4를 개설하고 있다. 이 수업에서는 프로포절을 통과한 학생들이 프로젝트 논문에 본격적으로 몰입할 수 있는 기회를 갖게 한다. 특히 스튜디 오 3에서는 논문 주제에 대한 자기주장을 지지하는 과정으로서 풍부하게 시각탐험과 리서치를 병행하면서 효과적인 시각디자인 결과물을 제작하는데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프로젝트 C는 프로포절을 통하여 자신의 주장을 명확하게 설명한 사례이다. 이 프로젝트를 높이 평가할 수 있는 것은 프로포절을 위해 제작된 모든 시각디자인 증거물들을 책으로 종합 정리하여 시각적 인 설명의 완성도를 높였을 뿐 아니라 이를 유명 디자인 공모전(red dot award)에 출품하여 본상을 수상하였기 때문이다. 이는 마치 학술논문연구 분야에서 논문연구내용을 논문심사 이 전에 국내외저명학술지에 게재하는 것을 장려하듯이 연구내용이 학위논문심사를 넘어서 또 하나의 공식적인 외부 인증 절차를 거쳤다는 의미를 갖는다. 그렇기 때문에 학생은 프로포절에 서 제시한 논제와 주장 그리고 그 증거로서 시각적 탐구 방향에 대해 확신을 가지고 더욱 깊이 있는 연구가 진행 될 수 있었다. 이 프로젝트의 주제는 소리의 재생산(reproduction of sound) 이다. 소리는 의성어로 글자 그대로 재현하거나 움직임 등을 의태어로 재현하면서 소리로 전환 된다. 이 두 가지 모두 문자언어이기 때문에 읽을 때 음소가 가지고 있는 소리로 변환된다.

하지만 이것은 특정 소리나 움직임을 정확하게 재현할 수 없고 그것에 대한 고정관념과 차이가 클 수 있다. 이 프로젝트는 이러한 전제 하에서 의성어와 의태어에 대한 글자의 형태적 변형과 그 형태를 조작하는 방법에 따라 소리에 대한 연상이 다른 소리로 전환될 수 있다는 주장을 갖는다. 이 프로젝트는 이와 같은 주장을 시각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다양한 시각탐구를 수행하

22) Michael Vanderbyl, 『Graphic Design Thesis: A Surviver’s Guide』, In Steven Heller (Eds.), Teaching Graphic Design, Allworrth Press, 2003, pp.124-134.

<그림 7> 프로젝트 C 공모전 수상

(14)

였다. 예를 들어 의태어가 없이 의태어의 의미를 암시하는 종이의 구조적 형태를 먼저 보여주 고 그 구조 안에 의태어를 병치할 경우 어떤 소리가 느껴지는지를 알아보는 실험, 또는 의성어 를 흰 종이위에 인쇄하고 그 단어의 형태를 분리시키거나 부분적으로 접을 수 있게 했을 때 그 행위에 따라 소리가 어떻게 다르게 느껴지는지를 알아보는 실험 등이다. 이 프로젝트는 최종 심사까지 하나의 아이디어가 풍부한 시각탐구의 지지를 받아 논의되고 논리적인 결과로 귀결될 수 있는가를 보여준 사례이다.

<그림 8> 프로젝트 C 결과물, 프로포절 및 최종 심사 장면

5. 결론

본고는 시각디자인 분야 석사학위과정으로서 프로젝트 논문의 성공적인 완수를 위한 보다 체 계적인 학제를 제시하는 목적을 갖는다. 연구자는 미국 로드 아일랜드 스쿨 오브 디자인 대학 에서 직접 경험한 것을 바탕으로 한국 홍익대학교 메타디자인대학원에 프로젝트 논문 제도를 도입하였고 이 과정에서 직접 관련 수업을 맡아 가르치고 심사위원회에서 논문심사 및 지도를 하면서 그 수행 과정에 대해서 참여교수들과 논의, 분석하였다. 그리고 프로젝트 논문 지도를 위한 모든 기본적인 시행항목들을 찾고 정리하여 이를 수행항목, 수행시기, 수행절차, 수행내 용 등의 관점에서 구조화하는 상향식 접근방법을 통하여 효과적이고 체계적인 대학원 커리큘 럼을 세우는 목표에 도달하였다. 본고가 제시한 커리큘럼은 단순히 대학원 과정에서 일반적으 로 개설된 스튜디오 수업을 넘어 학생들과 지도교수들이 프로젝트 논문을 정해진 기간 동안 효과적이고 성공적으로 수행하고 지도할 수 있도록 실질적인 가이드라인을 만들었다는데 의 미가 있다.

본고가 제안한 학제는 프로젝트 논문을 통해 시각디자인 석사과정 학생들이 가질 수 있는 다양 한 기회를 극대화시키는 궁극적인 목적을 갖는다. 앞의 2장 2절에서와 같이 프로젝트 논문은 연구결과의 가치를 떠나 연구 과정에서 학생들이 얻는 경험적인 의미가 크다고 할 수 있다.

그 의미를 3가지로 요약하면 첫째, 끊임없는 자기 발견 기회를 갖게 한다. 2년간의 장기 프로 젝트로서 기획하는 단계에서 부터 프로젝트의 주제, 목표, 주장, 대상, 소통방법, 리서치영역과 방법, 매체활용기술 등 프로젝트 전체 프레임워크와 자신이 주도하여 만들고 수행해야 한다.

여기서 이 프로젝트가 자신의 작은 흥밋거리 또는 자신의 작은 발언에서 조차도 만들어질 수 있다는 것을 깨닫고 그것이 자신의 경험과 배경에서 나오는 것이며 프레임워크를 세우고 이끌 고 나가는 모든 방식이 자신으로 부터 나오는 것이라는 것을 깨닫게 된다. 그 속에서 자신의 한계와 그 한계를 뛰어넘어야 하는 도전이 매 순간 뒤따르게 된다. 프로젝트 논문은 이러한 도전의 기회를 제공하고 한계를 느끼게 하며 그것을 스스로 극복 하게하여 최상의 성취감을 느끼게 해주는데 의미가 있다.

둘째, 디자이너를 위한 디자인사고(design thinking) 능력을 갖게 하는 기회를 제공한다. 디자 인은 문제점을 발견하고 해결하는 과정 속에서 확산적 사고와 수렴적 사고를 거듭하면서 최상 의 결과를 도출해야한다. 프로젝트 논문은 주제가 자유롭고 그 주제에 대한 자기 고유의 주장 을 전달하기 위하여 효율적이면서도 실험적인 시각표현방법을 찾아야 함은 물론 과정마다 그 결과를 논리적으로 정리하여 다른 사람들과 그 타당성을 논의하여야 한다. 또한 최종적으로는

참조

관련 문서

• 그러나 중생의 체험을 통해 새로운 피조물 이 됨으로 완전한 본질적인 변화의 가능성 을 밝혔다. • 타락한 인간이

전사적 지식관리 시스템(Enterprise-Wide Knowledge Management Systems).

3) 신규 방송서비스 제공을 위한 시그널링 시스템 기술: 다양한 신규 방송서비스 제공을 위해 UHD방송 표준에 따른 시그널 링(signaling)

 지면에 충분히 여백을 두어야 한다...  문항 형식이

 클러스터 미들웨어: 단일 시스템 이미지(single system image : 통합 시스템 이미지(unified system image))를 제공해주며, 시스템 가용성 (system

그리하여 언어학적 모형이 기호학적 모형의 바탕이 됨으 로써, 그 틀 속에서 문학적인 것에서부터 문자에 의하지 않는 비문학적 인 것에 이르기까지, 의미를 내포하고 산출하는

마음이 주가 되어 모든 일을 시키나니 마음속에 긍정적인 생각을 하면.

– 관리시스템: 분석이나 의사결정을 위한 시스템으로 정보계 시스템 또는 분석계 시스템으 로 불리기도 함(ex. 온라인분석처리On-Line Analytical Processing: OLA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