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1. 해역이용협의 제도 개요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1. 해역이용협의 제도 개요"

Copied!
20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부산가톨릭대학교 환경공학과 4학년

환경영향평가

(2)

Ⅰ. 해역이용협의 제도 개요

Ⅱ. 해역이용관리 관련 법률

Ⅲ. 해역이용협의서 작성

2

(3)

1. 해역이용협의 제도 개요

 해역이용협의 제도의 개념

– 해양을개발 또는 이용하는행위의 해역이용적정성과예상되는 해양환경영향을 사전에검토․평가하는제도

– 사업계획의수립단계에서부터환경적인 측면이고려될 수 있도록 하는사전예방적 환경관리정책수단

 제도의 필요성

– 해양환경훼손, 오염 원인등의 제거 또는최소화유도 – 해양환경정책의사결정을위한 다양한 자료 제공

– 해역이용자간의 갈등 발생최소화에기여

3

(4)

1. 해역이용협의 제도 개요

4

해양에서 주요 개발행위

(5)

1. 해역이용협의 제도 개요

5

영향평가 관련 제도 비교

(6)

1. 해역이용협의 제도 개요

6

평가대상

(7)

2. 해역이용관리 관련 법률

7

(8)

2. 해역이용관리 관련 법률

8

협의실적

(9)

3. 해역이용협의서 작성

9

평가항목 비교

(10)

3. 해역이용협의서 작성

 현황조사

 영향예측

10

해양물리

항목 정점 등

• 수심, 수온, 염분, 탁도(부유사), 조위, 조류(해류), 파랑

• 조석, 조류 등 최적 대표점 선정

※ 해역이용영향평가대상 : 지형변화가 급격하거나 영향범위 넓은 경우 1개 이상

• 과거 10년 이상 관측한 기상자료(강우일수, 강수량, 바람장, 태풍 등)

방법 결과 등

• 조위는 1개월 이상 장기 조위관측자료, 조류는 15일 이상 측정

• 조위, 유속, 유향 시계열 자료, 향류(잔차류), 조류타원도 제시

• 바다골재채취사업 : 파랑분석

※ 해역이용영향평가대상 : 계절별 파랑(30일 이상 파고계 이용)분석

• 기상자료 월별, 연간으로 정리

항목 등 • 해수유동모델, 부유사확산모델

결과 평가 등

• 모델구성 및 검증과정 제시

• 대조기, 소조기, 창조기, 낙조기, 잔자류시 결과 제시

• 바다골재채취사업 : 초과확산농도 다양화(1ppm 등), 계절별/층별 결과(월류수 입경분포 고려)

※ 해역이용영향평가대상 : 배경농도 5%에 해당되는 농도의 확산결과 추가

• 기상변화에 대한 해역이용협의 등 고려

(11)

3. 해역이용협의서 작성

11

해양물리

한국습지학회지, 2002년 하계 마산만의 수질개선을 위한 환경용량산정 모델링

조류타원도

(12)

3. 해역이용협의서 작성

 현황조사

 영향예측

12

해양화학

항목 정점 등

• 수온, 염분, pH, COD, TOC, DO, SS, 대장균수, 총질소, 총인, 투명도, 중금속, CN, 페놀, PCB, 유 기인 등(해양환경기준 고려)

• 바다골재채취사업 : 월류수 부하량, 부유사발생 및 화학성분

• 조사범위는 수치모형실험 등을 통해 영향 예상되는 해역

• 생태계 조사 정점 포함

※ 해역이용영향평가대상 : 수심 5m 이하 표층, 5~10m 사이 표층과 저층, 10m 이상 표〮중〮저층

• 조사시기는 강우의 영향이나 바람의 영향이 없는 날, 대조기와 소조기 고려하여 선택 방법 결과 등

• 해양환경공정시험기준 적용

• 중금속 등은 표준시료를 활용한 검출한계, 회수율 등 자료 질관리(측정분석능력 인증 여부)

• 바다골재채취사업 : 사업지구와 대조구간의 현황과 차이점 등 비교분석

항목 등 • 오염부하 사업의 경우에는 오염부하량과 수질예측모델링

결과 평가 등

• 모델구성 및 검증과정 제시(해수유동모델의 유동장 입력, 별도 검증과정 필요)

• 대조기, 소조기, 창조기, 낙조기, 잔자류시 결과 제시(최악 상황 고려 실험)

• 바다골재채취사업 : 월류수에 따른 화학물질 등의 확산 영향

※ 해역이용영향평가대상 : 과거자료 등과의 비교해서 수질환경변화 평가

(13)

3. 해역이용협의서 작성

 현황조사

 영향예측

13

해양퇴적물

항목 정점 등

• 표층퇴적물 및 주상퇴적물

• 일반항목(입도, 함수율, 강열감량, 산휘발성 황화물, COD, TOC)

유해화학물질(As, Cd, Pb, Zn, Cu, Fe, Cr, Al, Hg, Ni, Co, PCBs, PAHs, 유기인 등) (해양환경기준 고려)

• 수질, 생태계 조사정점과 시기 일치

방법 결과 등

• 해양환경공정시험기준 적용(유해화학물질은 총농도로 표현, 완전 분해시킨 후 측정)

• 표층퇴적물 시료는 그랩 또는 박스코어를 이용하여 표층이 교란되지 않도록 채취

• 중금속 등은 표준시료를 활용한 검출한계, 회수율 등 자료 질관리(측정분석능력 인증 여부)

• 바다골재채취사업 : 사업지구와 대조구간의 현황과 차이점 등 비교분석

항목 등 • 퇴적물 오염이 예상되는 항목

결과 평가 등

• 대조구 정점과 사업지역 정점간의 농도비교

• 중금속의 경우 Al과의 농도비 등 이용 오염정도 파악

• 바다골재채취사업 : 과거자료 등과의 비교를 통해 퇴적물 환경변화 평가

※ 해역이용영향평가대상 : 오염정도 등을 감안하여 저서생태계에 미치는 영향 평가

(14)

3. 해역이용협의서 작성

14

해양퇴적물

(15)

3. 해역이용협의서 작성

 현황조사

 영향예측

15

지형〮지질

항목 정점 등

• 해안지형 : 지형분류, 경사분석, 특이 지형, 자연환경보존상 가치 지형 등

해저지형 : 수심, 지형분류, 특이 지형(바다골재채취의 경우 해저면 영상, 표층퇴적물, 탄성파 탐 사, 시추 등)

해저지질 : 해저지질분포 등

퇴적물 성상 : 입도분석을 통한 퇴적물 분류, 퇴적물 물성시험(입자비중, 함수량 등)

※ 해역이용영향평가대상 : 기간, 빈도 등은 하계와 동계로 구분하여 실시

방법 결과 등

• 지형분류, 경사도분석 지질도 등 작성

• 바다골재채취사업 : 전체 및 세부 광구 지형도, 해저면영상도, 지질현황(모래층 깊이), 바다모래 부존량, 가채매장량 및 품위 정밀분석, 시범시추 등을 통한 검증

※ 다중빔 음향심측기, Side Scan Sonar, Sparker 등 중부지층탐사기 및 시추조사 등 이용

항목 등 • 지형의 변화 및 퇴적물 이동 등의 변화

결과 평가 등

• 수치모형실험 또는 유사사례 참조

• 모델구성 및 검증과정 제시(별도 검증과정 필요)

• 해저지형변화, 입도변화의 정도, 침식과 퇴적 정도 기술

• 바다골재채취사업 : 최대 채취심도와 잔존 모래층 변화 및 수심요철의 되메움정도 중점 평가

※ 해역이용영향평가대상 : 과거자료 등과의 비교

(16)

3. 해역이용협의서 작성

16

바다골재채취사업

(17)

3. 해역이용협의서 작성

 현황조사

 영향예측

17

부유생태계

항목 정점 등

• 식물플랑크톤(수심 25m 이내 표〮저층, 25m 이상표〮중〮저층) - 종조성, 현존량, 우점종, 엽록소 분포

• 동물플랑크톤(수심 25m 이내 경사채집, 25m 이상 표층과 중〮저층에서 예망채집) - 종조성, 현존량, 우점종

• 외곽 대조구 1개 정점 포함, 최소 5개 정점 조사

※ 해역이용영향평가대상 : 대조구 3개 포함, 최소 10개 정점 조사

• 해양화학 등 다른 조사항목과 조사시기 및 정점 일치

방법 결과 등

• 식물플랑크톤 : 정성조사(Net에 의한 수직채집), 정량조사(층별 채수)

• 동물플랑크톤 : NORPAC net(망구 45cm, 망목 330㎛) 경사채칩

• 종조성, 현종량, 우점종, 종다양성 등 해석

• 바다골재채취사업 : 사업지구와 대조구간의 현황과 차이점 등 비교 분석

항목 등 • 식물플랑크톤, 동물플랑크톤 군집의 영향범위와 정도 결과 평가 등 • 물리확산 모델에 근거한 군집의 영향

• 바다골재채취사업 : 과거자료 등과의 비교

(18)

3. 해역이용협의서 작성

 현황조사

 영향예측

18

조간대동물, 해양식물

항목 정점 등

• 대형저서동물군집(조간대와 조하대)

- 종조성, 서식밀도, 생체량, 우점종, 종다양성 지수, 정점간 유사도

• 조간대는 대조구 1개 정선 포함, 최소 3개 정선, 조하대는 대조구 1정점 포함, 최소 5개 정점

※ 해역이용영향평가대상 : 대조구 3개 포함, 최소 10개 정점 조사

• 해양식물 : 해조류 군락구조(잘피류 등 포함)

• 부유생태계 등 다른 조사항목과 조사시기 및 정점 일치

방법 결과 등

• 조간대

- 경성기질은 방형구(10cm*10cm) 3회 반복, 연성저질은 원형코어 등 채집기 3회 사용(0.1㎡)

• 조하대

- 0.1㎡ 그랩을 사용 2회 정량채집 혹은 0.05㎡ 그랩 사용 4회 정량채집(채집면적 0.2㎡)

• 해양식물 : 50cm*50cm 방형구 이용조사

• 분류군별 조성, 조수, 밀도, 우점종, 생체량, 종다양성 지수 등 기재

※ 해영이용영향평가 : 오염도, 건강도지수

• 바다골재채취사업 : 사업지구와 대조구간의 현황과 차이점 등 분석

항목 등 • 저서동물 등 군집의 변동

결과 평가 등

• 물리확산모델, 퇴적환경변화, 입도변화 등에 근거한 군집의 영향

• 바다골재채취사업 : 과거자료 등과의 비료를 통해 저서생태계 변화 등 평가, 채취강도에 따른 직 접, 간접 영향권을 구분하여 우점종 변화 등을 고려한 회복 정도 평가

(19)

3. 해역이용협의서 작성

 현황조사

 영향예측

19

어란 및 자치어

항목 정점 등

• 어업실태

• 수산자원 정량조사(해역이용협의 : 바다골재채취, 준설, 준설토 투기, 해양자원개발)

※ 해역이용영향평가대상 : 수산자원 정량조사, 주요 어종의 산란 서식지 분포특성 조사

• 어란 및 자치어의 군집

• (해역이용영향평가)조사시기는 생태계조사 등과 일치, 조사정점도 최대한 일치

방법 결과 등

• 어업실태(어업권, 어선세력, 생산량 등) 현황 및 변화추세 등 제시

• 수산자원 트롤 또는 최적 상용어구를 이용한 정량조사 - 종조성, 개체수, 우점종 등 제시

• 난자치어 net(망구 60cm 이상, 망목 330㎛)이용 시료 채집 - 출현종, 개체수, 우점조 등 제시

• 주요 수산자원의 산란 및 회유 시기 제시

• 바다골재채취사업 : 사업지구와 대조구간의 현황과 차이점 등 비교분석 부어류 및 저어류, 주요 수산자원 기술

항목 등 • 주요 어류의 산란 서식지 및 주된 어로행위 해역에 대한 영향

결과 평가 등 • 바다골재채취사업 : 과거자료 등과의 비교를 통해 어족자원의 변화 평가, 수산자원의 산란 및 회 유시기 등을 고려하여 채취 금지기간 설정 등 영향 최소화방안 제시

(20)

3. 해역이용협의서 작성

20

경관 및 위락

현황조사 • 경관상 보전가치가 높은 지역(용도지역, 용도지구) 또는 경관이 훼손될 지역의 특성

• 현지조사를 통한 시각환경, 주민들의 생각, 경관분석 종합하여 경관분석도 작성 영향예측 • 경관 변화

• 조망점의 훼손에 의해 이용특성의 변화 평가

보호종 및 보호구역 등

현황조사 • 천연기념물, 해양보호생물, 수산자원 회복 대상어종 등 현황

• 해양보호구역, 습지보호구역, 수산자원보호구역 등의 분포 여부 및 이격거리 영향예측

• 보호종(잘피 등) 및 보호구역에 미치는 영향 분석 평가 및 대책

• 바다골재채취사업 : 채취 금지구역 설정과 같은 보호구역 등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는 실효 적인 대책평가

산업

현황조사 • 영향예상지역의 수산업 현황 등

영향예측 • 바다골재채취사업 : 수산업(어업권 및 어업활동)에 대한 영향 및 대책 평가

참조

관련 문서

부록 경제활동인구조사 개요... 부록

하중저항계수 설계법 (LRFD : Load Resistance Factor Design) (극한)강도설계법 (ultimate strength design). 한계상태설계법(L.S.D)은 설계하고 있는 구조물이

다음 소개하는 모델링

삼각기둥에서 삼각형의 한 변의 길이에 비해 높이를 줄여서 비누막 실험을 하였더니 비누막 안에 삼각형 모양의 비누막이 생기고 각 꼭짓점에 서 삼각기둥의

[r]

합성한 Spiropyran monomer를 CH  Cl  에 녹인 후 UV를 쏘아준 결과 색깔이 무색에서 보라색으로 변했으며 이를 통해 합성한 Spiropyran이 Spiro form에서

본 연구에서 사용된 고분자용 단축 스크류와 다이스의 모델링은 CFdesign의 기준의 시뮬레이션 수행을 위해 CATIA를 사용하여 모델링 작업을 수행하였다.단축 스크류의

특히 농업 분야에서 식물의 생육과 광합성에 필수적인 광원 으로써 이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으며, 여러 작물에서 관련 실험이 진행 중이다.. 따라서 본 실험에서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