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토공과 주공의 통합방안 연구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토공과 주공의 통합방안 연구"

Copied!
1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6 .8

토공과 주공의 통합방안 연구

A Study o n the Inte g ra tio n Stra te g ie s o f the Ko re a La nd Co rpo ra tio n a nd the Ko re a Na tio na l Ho using Co rpo ra tio n

김정호・유재윤・지대식・김근용・이필호

한국개발연구원 국제정책대학원 : 정희수・유종일・이용만・민태욱・김동건 2001. 4/1책(본보고서 145면)/수탁연구/건설교통부

토공과 주공은 우리 경제의 양적 성장기에 택지와 주택을 대량 공급함으로써 주거생활 증진과 지가 안정에 큰 기여를 해 왔다. 그러나 1990년대 중반 이후 국내외 시장환경의 변화에 따라 양 공사의 역할과 기능을 재정립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이러한 시대적 요구에 따라 1998년 정부는 기능중복 해소와 경영 효율화를 위하여 주공과 토공을 2001년까지 통합하기로 결정한 바 있다. 주공과 토공을 통합하는 궁극적인 목적은 통 합 그 자체에 있는 것이 아니라 양 공사를 공적기능 중심으로 통합함으로써 정부의 토 지・주택정책을 효율적으로 수행하도록 하는 데 있다.

이 연구는 이러한 상황을 인식하여 우선 대내외 환경변화에 따른 정부의 토지・주택정 책을 전망하고, 새로운 환경에 적합한 공기업의 역할과 기능을 재정립하였다. 이와 더 불어 양 공사 통합의 타당성을 검토하고, 양 공사를 통합한다면 바람직한 통합방법은 무엇이며 통합시 예상되는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는 통합전략은 무엇인가를 제시하였 다.

사회・경제적 환경변화에 따라 토지・주택정책의 방향은 종전 정부중심의 양적 공급 정책 에서 향후에는 시장중심의 질적 공급방식 으로 바뀌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아 직 우리나라는 지역별・계층별로 주택수급이 불균형 상태에 있고 토지・주택의 수급 을 완전히 시장에 맡기기에는 시장이 아직 성숙되지 않은 상태이므로 단기적으로는 현 재의 공급체계를 유지하면서 단계적으로 시장중심 의 정책으로 전환해 가야 할 것이다.

이 경우 토지・주택부문에서 정부와 공기업의 역할도 과거 개발・공급 에서 장기적으 로는 계획・지원 으로 바뀌어야 할 것이다.

토지・주택부문에서 정책방향과 정부 및 공기업의 역할이 단기와 장기로 구별되는 것 에 맞추어 현재 토공과 주공이 수행하고 있는 역할 및 기능을 다음과 같은 네 가지 기

참조

관련 문서

1990년대 중반 이후 브라질의 농업생산에 영향을 미친 가장 중요한 경제적 요인은 통화안정화대책(Real Economic Stabilization Plan: RESP)의 성공이었다... 한 편

자료: European Commission(2020d).. 대표적으로 녹색직불제 개편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공공 정책 분석가는 CAP 예산 중 상당 부분이 여전히 일반적이고 대상이

○ 국민 건강을 지키는 것이 헌법에서 규정하고 있는 국가의 최대 목표이므로 식품 정책의 궁극적인 목적은 ‘건강한 국민을 위해 품질 좋은 식품을 통해 적정 영양소

그러나 유럽연 합(EU)의 생산 확대로 인해 세계 우유 생산규모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가격 상승폭은 다소 제한적일 것이다.. 본고는 호주 농업·수산업·임업분야의

이러한 변화 속에서 동 물 위생 전략에 대한 근본적인 재평가가 이루어져야 한다는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이를 바탕 으로 수립된 정책 우선순위는 공감할 수 있는 전략적

본 연구의 궁극적인 목적은 직업교육 환경의 사회적・정책적 변화에 따 라 실업계 고등학교 전문교과 교사에게 요구되는 역할과 자질을 규명하고, 실업계 고등학교

또한 1990년대 이후 음식 문화의 퓨전화가 유행하면서 다양한 형태의 한국 상차 림이 등장하고 있으며 그에 따라 한국 상차림의 정체성을 지키는 일은 중요한 과

둘째로 심리적 접근방법을 취하는 학자들의 조직몰입의 정의를 살려보면 은 조직몰입을 조직의 목표와 가치 이와 관련하여 역할과 도구적 가치와는 별개로 조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