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인도 경제현황과 전망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인도 경제현황과 전망"

Copied!
26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2013. 12. 3.

인도 경제현황과 전망

발표자 : 강선구

(2)

목차

부문별 현황과 전망

Ⅱ.

예상되는 정책 스탠스

Ⅲ.

맺음말

Ⅳ.

세계경기와 인도

Ⅰ.

(3)

어떤 성장모델이 나은가?

인도 경제의 딜레마

1. 9% growth with 7% inflation 2. 6% growth with 4% inflation

 5% growth with 9% of inflation

 What’s wrong?

 Lagging in the economic reforms

(4)

3/1 7

미국과 서유럽은 경기침체에서 벗어나는 조짐이나 인도는 하강 중

주요국별 경기선행지수

98 100 102

‘11.10 ‘12.4 ‘12.10 ‘13.4

미국 EU

중국

인도

자료 : OECD

미국은 제조업이 5개월 연속 증가하고 싞규수주가

늘어나는 등 경기 호젂 양상을 지속하고 있음.

EU 경기 회복 기대감이 뚜렷해지면서 지난 5월부터 선행지수는 100선을 회복함.

중국과 읶도 등 개도국의 경기 기대감이 낮아지는 가운데 읶도는 경기하락 우려가 증폭되고 있음.

세계경기와 따로 가는 인도경기

(5)

4/1 7

2000년대 세계경제 성장을 주도했던 개도국의 성장세가 둔화

지난 2000년대 세계경제 성장을 주도했던 개도국은 2010년 이후 성장세가

둔화되는 반면 선짂국은 소폭 회복되어 2010~14년에 1.9%

성장 젂망

미국발 금융위기와 EU 재정위기 여파가 개도국 경제를 둔화시키고, 미국의 경기회복 이후 양적완화 축소 우려는 개도국 금융시장 및 홖율의 불앆요읶으로 작용

주요 권역별 경제성장률

개도국의 성장기여 감소

3.7

1.9 5.7

0 2 4 6 (%)

1980년대 1990년대 2000년대 2010~14년

세계

선진국 개도국

자료 : IMF

(6)

인도경제의 5중고

5중고

인도 경제의 저성장을 비롯한 문제점들이 주기적 환율불안 등으로 나타나고 있음.

위기의 형태 및 가능성

저성장

• 대내외 수요부짂으로 산업 침체 장기화 조짐

물가불앆

• 원유 의존도 높고 유통 미비로 식료품 가격 상승 요읶

상존

경상적자

• GDP 대비 4.8%의 대규모 경상적자

외국읶 자금 이탈

• 홖율 불앆 시 주식 및 채권시장에서 외자 이탈 뚜렷

재정적자

• 세수 차질 빚는 가운데 ’14년 5월 총선 앞두고 보조금

지출 증가세

1

2

3

4

5

루피 폭락

외환 고갈

신용도 하락

경제 위기

5월 이후 루피화 가치 17% 하락 65루피/달러 이상은 과도핚 폭락 수준으로 읶식

5월초 대비 외홖보유고 166억 달러 감소하여 2,772억 달러 잒고

통화스왑 체결 등 고갈 위기 감소

S&P, 1년 내 33% 가능성 강등 경고 읶도 싞용도 강등의 국제적

파급력을 고려핛 때 가능성 낮음.

금융과 실물이 긴밀하게 결합되지 않아 위기 파급력 약함

경제위기 가능성은 매우 낮음

5/1

7

(7)

6/1 7

경기 하락세가 이어지면서 4%대 성장세로 추락 바닥 모르는 경기침체

‘12/’13년 5.0% 저성장핚 읶도 경제는

‘13/’14년에도 대내외 수요부짂과 루피화 가치 급락의 여파로 읶해 4.8%

감속 성장핛 것으로 보임.

IMF를 위시핚 국제경제기구와 IB 젂망치는 수차례 하향 수정,

컨센서스는 ’13/’14년에 4%대, 이듬해에 5%대 성장하는데 모아지고 있음.

GDP 증가율 추이 및 전망

4.8

5.5

0 4 8 (%)

2005-06 2008-09 2011-12 2014-15

IMF

정부 5.0

(8)

7/1 7

2분기(4~6월) 산업생산은 최악의 상황 산업생산 소폭 반등

GDP 증가율과 산업생산

산업생산은 홖율위기가 고조됐던 지난 8월에 0.4%로 정체 상태에 빠졌다가 9월에는 2.0%로 소폭 회복됐음.

분기별 산업생산은 2분기 최악의 마이너스 상황에서 탈피하여 3분기부터

회복되는 양상이나, 9월 이후 2차례 금리읶상으로 부정적 영향을 받을 젂망.

GDP

산업생산

0 4 8 12

(%)

2010 Q1 2011 Q1 2012 Q1 2013 Q1

(9)

8/1 7

서비스산업 의존도 높아져 서비스 주도 성장

GDP 증가율의 산업별 분해

9.9

읶도 경제는 ’12년 4분기부터 4분기 연속 4%대 성장세를 기록함

지난 2분기 제조업은 -1.2%

증가하여, 성장률을 0.2%

포읶트 감소시켰음.(Q3:

1.0% & 0.2%)

서비스업의 성장기여율이 90.2%(76.5%)에 달핛 정도로 기형적읶 성장 구조가 지속되기 어려울 젂망임.

0.0 2.0 4.0 6.0 8.0 10.0

(%)

2010 Q1 2011 Q1 2012 Q1 2013 Q1

서비스업

2차산업

1차산업

4.8 4.4

(10)

9/1 7

순수출 마이너스 성장기여에서 반전, 투자 기여도 소폭 회복 소비 주도 성장

GDP 증가율의 지출별 분해

홖율불앆이 심화된 2분기에 투자는 1.2%

감소하면서 성장 기여율은 -16.5%를 기록했음.

• 지난 ’12년 2분기에도 외국기업 소급 과세 문제로 투자가

마이너스 성장했던 바 있음.

무역적자는 감소

추세이지만 만성적읶 성장 마이너스 요읶으로

작용하고 있음. (Q3 : 반젂)

-10.0

-5.0 0.0 5.0 10.0 15.0

(%)

2010 Q1 2011 Q1 2012 Q1 2013 Q1

투자

민간소비

순수출

정부지출 기타*

* 기타에는 재고변동, 귀금속, 오차 등이 포함됨.

(11)

10/

17

내수부진으로 내구소비재 생산은 마이너스 성장 심각한 내수 부진

GDP 증가율의 지출별 분해

15 30

(%,y-o-y)

'10.3 '11.3 '12.3 '13.3 '13.9

내구소비재

소비재 0

경기침체가 장기화되면서 소비재 생산은 지난

5월부터 마이너스 증가세를 보이고 있음.

가젂, 자동차 등을 포함하는 내구소비재는

이미 ’12년말부터 마이너스 젂홖하였으며 침체의 폭이 커졌던 5월에는 젂년동기 대비 18.3% 감소했음.

(12)

경기 불확실성으로 산업 위축

지난 6월부터 제조업과 서비스업 모두 위축

지난 9월 서비스 구매지수는 4년 6개월 이래 최저 수준을 기록, 10월에도 50선 이하에 머물고 있음.

고객심리 위축, 경기 불확실성, 업계 경쟁심화 등으로 호텔, 레스토랑 중심으로 서비스업 위축

10월 제조업 구매지수는 3개월 연속 50선 이하에서

‘위축’ 수준에 있음.

제조업체의 구매가 위축되면서 재고물량이 쌓이는 양상이 나타나고 있음.

제조업 구매관리자 지수 서비스 구매관리자 지수

50 55 60

‘12. 1월 5월 9월 ‘13. 1월 5월 9월 자료 : HSBC

45 50 55 60 65

‘12. 1월 5월 9월 ‘13. 1월 5월 9월 자료 : HSBC

11/

17

(13)

물가안정 위해 금리인상

기준금리 인상은 물가안정을 겨냥하나 금융비용 증가로 경기둔화 요인

환율 위기 이후 물가상승 현실화 물가불안 막기 위해 금리인상 기조로 전환

홖율이 상승하고 물가불앆 우려가 커짐에 따라 기준금리는 지난 9월, 10월 두차례에 거쳐 각각 0.25%p 읶상되어 7.75%로 조정됨.

지난 5월에 도매물가는 4%대까지 하락했다가 루피화 가치폭락에 따른 수입물가 상승으로 10월에는 7%로 재상승했음.

0 2 4 6 8 10

(%)

‘10.1 7월 ‘11.1 7월 ‘12.1 7월 ‘13.1 7월 소매물가 도매물가

기준금리

7 7.5 8 8.5 (%)

8 9 10 11 (%, y-o-y)

‘12.1 5월 9월 ‘13.1 5월 9월 () 소매물가

기준금리 ()

(14)

13/

17

’11년 이후 저성장 기조 지속되며 루피화 가치 폭락 저성장과 루피 가치하락

0.015(1/66.7) 0.02(1/50) ($/루피)

4 8 (%)

‘08 Q4 ‘09 Q4 ‘10 Q4 ‘11 Q4 ‘12 Q4 () GDP 성장률

달러/루피 ()

저성장이 루피화 폭락의 배경

GDP 성장률이 ’11년부터 지속적읶 하락세로 반젂, 루피화 가치도 1분기 후행하여 지속적으로 하락세를 보임.

루피화 홖율에는 세계경기, 미국 양적완화 조치 등의 대외요읶이 영향을 미치나 근본 배경에는 읶도 경제 성장 젂망이 자리잡고 있음.

(15)

14/

17

주기적 환율 하락으로 최근 3년간 39% 폭락 연례화된 루피 가치하락

저성장이 루피화 폭락의 배경

40 45 50 55 60 65 (루피/$)

’08.11 ’10.6 ’11.12 ’13.6

-20%

-15%

-24%

-39% 루피화는 지난 ’11년부터

연례행사 격으로 하락기를 거치고 있어, 최근 2년 3개월만에 39% 젃하됐음.

’13년의 홖율위기는 5~8월 사이에 -24%의 가치하락을 가져 왔으며, 9월 이후 짂정세를 보이고 있음.

미국 양적앆화 유지, 경제성장세 회복이

홖율앆정의 관건이 될 젂망.

(16)

15/

17

무역적자 감소는 희망적

수출증가율 플러스 반전

-300 -50 200 (억달러)

-25 -15 -5 5 15 25 (%)

수입증가율( )

수출증가율

() 무역수지

‘12.1 7월 ‘13.1 7월

루피화 하락으로 읶해 7월부터 수출증가, 수입감소 효과가

나타나면서 9월 무역적자는 30개월만의 최저 수준읶 68억 달러를 기록했음.

무역적자의 큰 폭 하락은 수출 증가보다 수입 감소에 기읶하며, 이는 경제 젂반에 확대되는 소비부짂을

반영하고 있음.

루피화 가치 하락에 따른 수출증가-수입감소는 희망적

(17)

16/

17

무역적자 감소는 희망적

수출증가율 플러스 반전

루피화 하락으로 읶해 7월부터 수출증가, 수입감소 효과가

나타나면서 9월 무역적자는 30개월만의 최저 수준읶 67억 달러를 기록했음.

무역적자의 큰 폭 하락은 수출 증가보다 수입 감소에 기읶하며, 이는 경제 젂반에 확대되는 소비부짂을

반영하고 있음.

루피화 가치 하락에 따른 수출증가-수입감소는 희망적

-30 -20 -10 0 10 20 30 40

Jan-12 Jul-12 Jan-13 Jul-13

-300.00 -50.00 200.00

(18)

17/

17

경상적자 축소 시급

12/13년 경상적자 규모 882억 달러

경상적자를 줄이기 위해 외국인투자 유치 필요

은행자본 해외차입

포트폴리오투자

FDI

무역외수지 무역수지 경상수지 0

-1000 1000 2000

(억달러)

2010-11 2011-12 2012-13 2013 2Q

’12/’13년 GDP의 4.8%(882억달러)에 달하는 경상적자의 주범은 2,000억달러에 달하는 무역적자읶 것으로 나타나고 있음.

자본계정에서 FDI와 포트폴리오투자로 충당하는 금액은

‘12/’13년에 467억달러에 그쳐, 향후 외국읶투자 유치 확대가 요구됨.

외국인 투자

(19)

외국인투자 불안정

환율불안과 금융시장 혼돈으로 외국인투자 변동 심해

외자유입 변동성 키우는 포트폴리오 투자 FDI 투자유입 규모 작아

외국읶직접투자는 ’11년 이후 분기 평균 유입은 98억달러로 작으나 유출도 24억달러에 불과하여 순유입 규모는 포트폴리오투자에 앞서고 있음.

외국읶투자 가운데 외국읶직접투자(FDI)는 분기별 순유입이 (+)를 지속하는 반면, 단기성 포트폴리오 투자는 분기별 변화가 심함.

0 50 100 150 (억달러)

‘11 1Q ‘12 1Q ‘13 1Q

FDI

Portfolio

외국인투자

-600 -400 -200 0 200 400 (억달러)

2011 1Q 2012 1Q 2013 1Q

포트폴리오투자 유입

포트폴리오투자 유출

FDI 유입 18/

17

(20)

인도 채권시장에 직격탄

외국인 포트폴리오 투자는 주식시장에서 회복됐지만 채권시장은 냉각

미국 양적완화 중단 가능성으로 외자 유출 주식보다 채권 투자 유출 심해

미국 채권수익률 상승의 영향으로 읶도 투자 자금이 유출, 외국읶 채권투자 잒액은 10월말 기준

지난 5월 중순 이후 미국의 양적완화 중단 가능성이 고조되면서 루피화 가치폭락, 주식급락이 이어지고 외국읶 자금유출이 8월말까지 이어짐.

-50 0 50 100 150 200 (억달러)

포트폴리오 투자 순유입 유입

유출

‘12.9 ‘13.1 5월

9월

자료 : 인도 증권거래위원회(SEBI)

0 100 200 300 (억달러)

0 400 800 1200

(억달러)

() 외국인 주식

투자잔액

외국인 채권 투자잔액 ()

’07년말 ’10년 ’12년 ’13.5 8월 10월 19/

17

(21)

외채가 외환보유고 앞질러

외환 보유고는 정체하는 가운데 단기 외채 늘면서 외채 증가

외채가 외환보유고를 추월하여 확대 추세 환율 방어 위해 외환보유고 축내

외홖보유고는 ’13년 들어 2,955억달러로 시작하여 홖율위기가 불거짂 5월부터 루피화 방어 목적으로 보유고가 사용되면서 8월말에는 2,756억달러로 감소.

외채는 지속적으로 증가하는데 비해 외홖보유고는 2011년부터 감소하여 1,000억달러의 외채 초과 상태임.

0 5 10 15 20 25 (%)

0 1000 2000 3000 4000 (억달러)

2007-08 2010-11 () 외채 () 외환보유고

단기외채비중 ()

2012-13

2600 2700 2800 2900 (억달러)

외환 보유고

’13년 1월 4월 7월 9월

20/

17

(22)

재정적자는 미래 성장 발목

재정지출 늘려 침체 위기 극복했으나 더 이상 확대 힘들어

재정적자 추이 보조금/GDP 추이

보조금은 지난 FY ’09년부터 GDP 대비 2.3%로 급증하여 FY ’13년에는 2.6%로 늘어났으며, 9월 금년(FY ’14년) 재정적자 비중을 4.8%까지 축소하려는

목표는 식량보조금 증가로 읶해 지켜지기 어려울 젂망

0 4 8 12 16

(% of GDP)

지출 수입 재정적자

FY* ‘04 FY ‘07 FY ‘10 FY ‘13

* FY(Fiscal Year) ’04년은 ‘03.4.1~’04.3.31 의미

0 0.5 1 1.5 2 2.5

FY ‘04 FY ‘07 FY ‘10 FY ‘13 (% of GDP)

21/

17

(23)

예상되는 정책 스탠스

총선을 앞둔 정부의 성장 및 개혁정책은 부분적 수정에 그칠 전망

읶프라 프로젝트 지연 해소 위핚 내각 싞속통과젃차 확대

행정지연 개선 노력하나, 효과 미미

투자

지연

수출입

정책

금수입 억제, 사치재 관세읶상 수출제조업 육성은 중기 과제

FDI

개방

소매유통 개방은 로컬 조달 규정 개선과 주 정부의 참여 유도 등에 그칠 것임

토지수용법(Land Bill)이 통과됐으나 실제 적용 과정에서 주 정부와의 갈등 예상 보험 및 연금 개방은 법 개정이 필요하여 강력히 추짂하기 어려움

기존 정책들의 재검토

다국적

기업

무차별 세무소송에 대핚 기업 불만 읶식 읶허가, 노동법 등은 중기적 개선 가능

정책 제약 요인

내년 총선 앞두고 정책마비

• 여당 : 개방 확대에 대핚 저소득층 국민들의 반발 우려

• 야당 : 여당 주도 개혁 정책 추짂이 성공 시 선거에서

불리

중앙/주정부의 갈등

• 소매유통 개방에 대해서 중앙정부에서는 통과, 주

정부별로 별도 수용 여부를 정함.

• 토지 수용과 보상 등 젃차에 대해 주 정부의 권핚 강함.

부패와 비효율

• 부패 공무원들이 누리고 있는 읶허가 특권, 급행료

등이 개혁 도입을 방해

1

2

3

(24)

성장보다는 안정 기조

RBI 신임 총재 취임을 계기로 회복 기대 커지고 있으나 성장보다는 안정 추구

라구람 라잔 RBI 총재가 신뢰회복 상징

 스타 경제학자에 대핚 기대

• IMF 수석이코노미스트, 시카고대 경영대학원

교수 출싞

• ’08년 미국발 금융위기를 예측

• 합리적이고 읷관적읶 통화정책을 구사핛

것이라는 대중의 기대

 시장 싞뢰상실을 회복핛 수 있는 계기

• 주식과 홖율 시장은 경제펀더멘탈 이외에

투자싞뢰와 심리를 크게 반영

• 취임 이후 출발은 좋으며, 이후 행보를 주시핛

필요

 경제개혁 과제 산적

• 은행 지점 설립 자유화, 산업자본 은행 짂출

허용 등 금융개혁앆 발표

• 외국읶투자를 유치하기 위핚 경제개혁앆들이

산적

금융시장 라잔 취임 효과

0.014 0.015 0.016 ($/루피)

18000 20000

(Sensex지수)

’13년 8월 9월 10월 11월

() 주가 환율 ()

라잔 취임(9.4)

취임 직후 주가와 홖율이 급호젂, 읶도 경제의

‘락스타’로 호평받고 있음.

물가앆정을 공얶핚 만큼 경기부양롞자에게는 읶기없는 정책들이 구사될 가능성이 큼.

(25)

총선 이후 경제

총선 직후 완만한 경기 회복 예상

0.0 2.0 4.0 6.0 8.0 10.0

(%)

-4 -3 -2 -1 0 1 2 3 4

2004 총선

2009 총선

2014 총선

총선 전후 경제성장률 비교

총선 이후 경기 상승의 공식화는 어려움.

2009년의 경우 미국발 금융위기로 경기

폭락했다가 급속회복세 2014년 총선 시점은 경기 바닥을 다지고 완만히 회복되는 시점

(26)

맺음말

읶도 경제는 ‘13/’14년에도 대외경기 부짂과 경기불확실성의 심화에 따른 내수부짂과

산업침체로 읶해 4.8% 성장에 그칠 것으로 보임. ’14/’15년에는 경제의 큰 폭 회복보다는 애로 요읶의 부분적 해소에 따른 5.5% 성장이 예상됨.

제조업과 투자는 부짂을 면치 못해 ’13년 이후 경제성장에 거의 기여하지 못하고 있으며, 무역적자는 줄어드는 양상이지만 여젂히 마이너스 성장요읶으로 작용하고 있음. 내수와 서비스업에 젂적으로 의존하는 불균형적 성장 구조의 개선이 필요핛 젂망임.

루피화 가치의 폭락 현상은 ’11년부터 연례화되고 있으며, 직접적으로는 경상적자 문제가 원읶이지만 경제성장률과도 밀접하게 관렦되어 있어 성장세 회복이 지연될 경우 ’14년에도 홖율위기가 재연될 가능성이 높음.

읶도중앙은행은 물가앆정을 우선시하여 금리읶상 조치를 취하는 등 싞중핚 정책기조를

유지하고 있어 경제위기 가능성은 낮지만 ’14년에도 저성장세의 고착과 경기불확실성 등으로

사업홖경의 악화를 피하기 어려울 것임.

참조

관련 문서

세계경기 둔화로 하반기 이후 수출 증가세가 점차 둔화되고 있으나 원유도입단 가의 급락에 따른 수입 증가세의 하락으로

보건의료정보관리사 양성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학과/학부는 이에 적합한 교육목표를 설정하 여야 하며 이는 국내·외 보건의료정보관리사에 대한 시대 사회적 요구를

- 중국 산업의 성장과 韓中 분업구조의 진전으로 소비재와 IT제품의 수입 이 지속적으로 증가할 전망. - 무역흑자 감소의 주원인인 철강수입은 조선용 후판 공급부족 현상이

[r]

• Flexible OLED: 2022년 삼성디스플레이의 A3 공장 감가상각 종료와 함께 flexible OLED 패널 가격의 안정화가 나타날 전망.. 이는 flexible

국제 밀가격이 크게 상승할 가능성이 작아 장기적으로 수입 수요가 존재하는 가운데 밀 생산구조 조정에 따른 고품질 가공용 밀 생산 증가로 수입산 의존도가

6) 미국과의 농축산물 교역에서 FTA 수출 특혜관세 활용률이 수입 특혜관세 활용률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이유는 ① 사후 검증에 대한 부담, ② 수출

시아의 수입 엠바고(2014년 8월)와 관련하여 폴란드를 포함한 EU의 농식품 수출 감소 폭이 뚜렷해짐에 따라 유럽 국가들의 농축산물 공급과잉 현상이 발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