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Ch.4 AC Machinery Fundamentals 3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Ch.4 AC Machinery Fundamentals 3"

Copied!
24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Ch.4 AC Machinery

Fundamentals 3

교류여자기기

- 교류기의 맥동자계

- 3상 합성자계 및 회전자계 - 회전자계의 수식적 표현 - 회전자계의 정역회전

(2)

<유도전동기의 원리 이해를 위한 주요 사항>

<요점 1> 회전자 : 토크 발생

- 동기속도 이하로 회전

- 구리로 된 회전자가 회전자계에 따라 회전

<요점 2> 고정자 : 회전자계 발생

- 회전자계의 발생방법, 원리 및 해석

<요점 3> 유도전동기의 모델링 및 해석 - 변압기 등가회로의 적용

- 다상교류와 회전자계의 관계

- 농형 및 권선형 유도기의 해석

<제7장> 7.1 유도전동기의 주요 사항 - 개요

(3)

<제7장> 4.2 맥동자계 - 단상교류

그림과 같은 코일에 단상교류전류

t I

t

i ( = ) 2

S

sin w

를 흘렸다고 하자

발생되는 자계 H(t) 을 구하면

) ( )

(t = N i t Âf

의 관계를 이용하면 된다.

t H

t

H

( )

M

sin w =

\

) f(t

) (t i

wt

wt p

p

p 2

p

2 <주요사항>

- 자계는 자계의 축 방향으로 크기가 변한다.

) ( )

(t = A B t

f B(t) = m H(t) )

(t i

자계 축

) H(t

(4)

<제7장> 4.2 고정자의 자계 – 고정자 자속축

- 고정자 도체에 흐르는 전류 → 자계발생

ⅰ) 자계의 방향(발생축) ; 오른손법칙에 의해 결정

ⅱ) 자계의 크기 ; 발생축을 중심으로 각도 에 관련되는데

) (t Ci Haa¢ = aa¢

a

ia ¢

t H

Haa M

sin w =

\

¢

- 전류가 다음과 같이 주어지면

t I

t

iaa¢

( = )

M

sin w

- 자계의 크기는 다음으로 구해진다.

a

지금

a

= 0° 이면 자계벡터는 다음으로 표현된다

° Ð

=

\

Haa¢ HM

sin w

t

0

이를 X-Y 축방향기준 벡터형태로 나타내면 Haa¢

=

Haa¢

Ð a

(5)

<제7장> 4.2 3상자계 - 3상교류

t I

t

i

aa¢

( = )

M

sin w

) 120 sin(

)

(

°

¢

t = I t -

i

bb M

w

) 240 sin(

)

(

°

¢

t = I t -

i

cc M

w

) (t Ha ¢a

) (t Hb ¢b )

(t Hc ¢c

) (t ia ¢a

) (t ib ¢b

) (t ic ¢c

공간적으로 120O의 분포를 갖는 3개 권선에

와 같은 대칭전류를 흘렸다고 하자

앞에서 iaa¢

( =

t

)

IM

sin w

t 의 전류에 대해

t H

t CI

Haa¢ = M sin

w

= M sin

w

의 자계이므로 X-Y축 방향기준 벡터

a

Ha ¢

° Ð

=

\ H

aa¢

H

M

sin w t 0

에 전류 ia ¢a

(t )

를 대입하면

a

Ð

=

¢

¢ aa

a

a H

H Haa¢

=

Ciaa¢

=

HM

sin w

t

(6)

<제7장> 4.2 3상자계 - 3상교류

) 120 sin(

)

(

°

¢

t = I t -

i

bb M

w

) 240 sin(

)

(

°

¢

t = I t -

i

cc M

w

° Ð

° -

¢

( t ) = H

M

sin( t 120 ) 120

b

b

w

H

) (t Ha ¢a

) (t Hb ¢b )

(t Hc ¢c

) (t ia ¢a

) (t ib ¢b

) (t ic ¢c

공간적으로 120O의 분포를 갖는 3개 권선에 흐르는 나머지 2상의 전류에 대해서도 같은 자계의 관계를 얻게 된다. 즉

b상 및 c상 권선에 대한 자계의 벡터표현은 다음과 같다.

° Ð

° -

¢

( t ) = H

M

sin( t 240 ) 240

c

c

w

H

° Ð

=

\ H

aa¢

H

M

sin w t 0

t I

t

i

aa¢

( = )

M

sin w

a상 전류에 대해서 구해진 결과를 이용한다

(7)

<제7장> 4.2 3상 합성자계 - 3상교류

) (t

ia ¢a ib ¢b (t) ic ¢c (t) ia ¢a (t)

wt

°

= 90 wt

°

= 90

wt 인 시점에서 3상 합성자계를 생각해 보자

0 ) ( >

¢ t

iaa → a상 자계 Haa¢(t) > 0 ; (+)의 축방향으로 발생

0 ) ( <

¢ t

icc → c상 자계 Hcc¢(t) < 0 ; (-)의 축방향으로 발생

0 ) ( <

¢ t

ibb → b상 자계 Hbb¢(t) < 0 ; (-)의 축방향으로 발생

이상의 값들을 벡터적으로 합해 보면 3상 합성자계를 구할 수 있음 )

(t ia ¢a

0 ) ( <

¢ t ibb

0 ) ( <

¢ t icc

0 ) ( >

¢ t Haa

0 ) ( <

¢ t Hbb 0

) ( <

¢ t Hcc

(8)

<제7장> 7.1 3상 합성자계

) (t

ia ¢a ib ¢b (t) ic ¢c (t) ia ¢a (t)

wt

°

= 90 wt

°

= 90 wt

) (t ia ¢a

0 ) ( <

¢ t

ibb

0 ) ( <

¢ t

icc

0 ) ( >

¢ t

Haa

0 ) ( <

¢ t

Hbb 0

) ( <

¢ t

Hcc

°

= 90

wt 일 경우 합성 공간자속

0 ) ( <

¢ t

Hcc 0

) ( <

¢ t

Hbb

)

net(t H

0 ) ( >

¢ t

Haa

(9)

<제7장> 7.1 3상 합성자계

°

= 210

w

t

0 ) ( <

¢ t

iaa

) (t ib ¢b

0 ) ( <

¢ t

icc

0 ) ( <

¢ t

Haa

0 ) ( >

¢ t

Hbb 0

) ( <

¢ t

Hcc

일 경우 합성 공간자속

Hcc¢( <t) 0

0 ) ( <

¢ t

Haa

)

net(t H

0 ) ( >

¢ t

Hbb

°

= 210 wt

°

= 210 wt

) (t

ia ¢a ib ¢b (t) ic ¢c (t) ia ¢a (t)

wt

(10)

<제7장> 7.1 3상 합성자계

°

= 330 wt

0 ) ( <

¢ t

iaa

0 ) ( <

¢ t

ibb

0 ) ( >

¢ t

icc

0 ) ( <

¢ t

Haa

0 ) ( <

¢ t

Hbb 0

) ( >

¢ t

Hcc

일 경우 합성 공간자속

0 ) ( <

¢ t

Haa 0

) ( <

¢ t

Hbb

)

net(t H

0 ) ( >

¢ t

Hcc

°

= 330 wt

°

= 330 wt

) (t

ia ¢a ib ¢b (t) ic ¢c (t) ia ¢a (t)

wt

(11)

<제7장> 7.1 3상 합성자계

°

= 390 wt

0 ) ( >

¢ t

iaa

0 ) ( <

¢ t

ibb

0 ) ( >

¢ t

icc

0 ) ( >

¢ t

Haa

0 ) ( <

¢ t

Hbb 0

) ( >

¢ t

Hcc

일 경우 합성 공간자속

Haa¢(t) > 0

0 ) ( <

¢ t

Hbb

)

net(t H

0 ) ( >

¢ t

Hcc

°

= 390 wt

°

= 390 wt

) (t

ia ¢a ib ¢b (t) ic ¢c (t) ia ¢a (t)

wt

(12)

) (t

ia ¢a ib ¢b (t) ic ¢c (t) ia ¢a (t)

wt

°

= 90 wt

) (t

ia ¢a ib ¢b (t) ic ¢c (t) ia ¢a (t)

wt

°

= 210 wt

) (t

ia ¢a ib ¢b (t) ic ¢c (t) ia ¢a (t)

wt

°

= 330 wt

) (t ia ¢a

0 ) ( <

¢ t

ibb

0 ) ( <

¢ t

icc

0 ) ( >

¢ t

Haa

0 ) ( <

¢ t

Hbb 0

) ( <

¢ t

Hcc

) (t ia ¢a

0 ) ( <

¢ t

ibb

0 ) ( <

¢ t

icc

0 ) ( >

¢ t

Haa

0 ) ( <

¢ t

Hbb 0

) ( <

¢ t

Hcc ) (t ia ¢a

0 ) ( <

¢ t

ibb

0 ) ( <

¢ t

icc

0 ) ( >

¢ t

Haa

0 ) ( <

¢ t

Hbb 0

) ( <

¢ t

Hcc

<제7장> 7.1 3상 합성자계(요약)

(13)

<제7장> 7.1 회전자계 발생 )

(t

i

a ¢a

i

b ¢b

(t ) i

c ¢c

(t ) i

a ¢a

(t )

회전자계

(14)

<제7장> 4.2 회전자계 – 수식 유도1

) 120 sin(

)

(

°

¢

t = I t -

i

bb M

w

) 240 sin(

)

(

°

¢

t = I t -

i

cc M

w

° Ð

° -

¢

( t ) = H

M

sin( t 120 ) 120

b

b

w

H

) (t Ha ¢a

) (t Hb ¢b )

(t Hc ¢c

) (t ia ¢a

) (t ib ¢b

) (t ic ¢c

공간적으로 120O의 분포를 갖는 3개 권선에 흐르는 3상의 전류에 대해

3상 자계의 벡터표현은 다음과 같다.

° Ð

° -

¢

( t ) = H

M

sin( t 240 ) 240

c

c

w

H

° Ð

¢

( t ) = H

M

sin t 0

a

a

w

H

t I

t

iaa¢

( = )

M

sin w

자계와 자속밀도의 관계를 이용하면, 즉 B

= m

H

° Ð

¢

( t ) = B

M

sin t 0

a

a

w

B

° Ð

° -

¢

( t ) = B

M

sin( t 120 ) 120

b

b

w

B

° Ð

° -

¢

( t ) = B

M

sin( t 240 ) 240

c

c

w

B

(15)

<제7장> 4.2 회전자계 – 수식 유도2

앞에서 구한 자속밀도를

° Ð

¢

( t ) = B

M

sin t 0

a

a

w

B

° Ð

° -

¢

( t ) = B

M

sin( t 120 ) 120

b

b

w

B

° Ð

° -

¢

( t ) = B

M

sin( t 240 ) 240

c

c

w

B

3상의 자속밀도에 대한 총 자속밀도를 구하면

) ( )

( )

( )

( t

aa

t

bb

t

cc

t

net

= B

¢

+ B

¢

+ B

¢

B

° Ð

° -

+

° Ð

° -

+

° Ð

= B

M

sin w t 0 B

M

sin( w t 120 ) 120 B

M

sin( w t 240 ) 240

(16)

<제7장> 4.2 회전자계 – 수식 유도3

yˆ ) cos 5

. 1 ( xˆ ) sin

5 . 1 ( )

( t B

M

t B

M

t

net

= w - w

B

각 성분을 분해하여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앞에서 구한 합성 자속밀도에서

) ( )

( )

( )

( t

aa

t

bb

t

cc

t

net

= B

¢

+ B

¢

+ B

¢

B

2 ) (

2 ) 3

(

M j t

net t B e w

p-

=

-

B

3상의 합성 자속밀도를 x축 또는 y축으로

← Euler equation

(17)

<제7장> 7.1 회전자계의 정회전

) (t

ia ¢a ib ¢b (t) ic ¢c (t) ia ¢a (t)

wt

°

= 90 wt

지금까지 구한 회전자계의 회전방향은 다음과 같다.

지금까지 구한 경우에서 전류의 상순(phase sequence)를 a-b-c로 할 경우 )

(t ia ¢a

0 ) ( <

¢ t ibb

0 ) ( <

¢ t icc

0 ) ( >

¢ t Haa

0 ) ( <

¢ t Hbb 0

) ( <

¢ t Hcc

와 같이 합성자계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18)

<제7장> 7.1 회전자계의 정회전

) (t

ia ¢a ib ¢b (t) ic ¢c (t) ia ¢a (t)

wt

°

= 210 wt

회전자계가 정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를 살펴보자

) (t

ia ¢a ib ¢b (t) ic ¢c (t) ia ¢a (t)

wt

°

= 90 wt

시계방향으로 회전

(19)

<제7장> 7.1 회전자계의 역회전

) (t

ia ¢a ic ¢c (t) ib ¢b (t) ia ¢a (t)

wt

°

= 90 wt

이번에는 회전자계의 회전방향을 반대로 회전시키는 방법을 생각해 보자

각 권선에 흘려주는 전류의 상순(phase sequence)를 a-c-b로 할 경우 )

(t ia ¢a

0 ) ( <

¢ t ibb

0 ) ( <

¢ t icc

0 ) ( >

¢ t Haa

0 ) ( <

¢ t Hbb 0

) ( <

¢ t Hcc

와 같이 합성자계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20)

<제7장> 7.1 회전자계의 역회전

회전자계가 반대로 회전되는 경우를 살펴 보자

) (t

ia ¢a ib ¢b (t) ic ¢c (t) ia ¢a (t)

wt

°

= 90 wt

) (t

ia ¢a ic ¢c (t) ib ¢b (t) ia ¢a (t)

wt

°

= 210 wt

반시계방향

(21)

<제7장> 7.1 유도전동기의 역회전

) (t

ia ¢a ib ¢b (t) ic ¢c (t) ia ¢a (t)

wt

지금 살펴본 회전자계의 회전방향을 반전시키는 방법을 토대로

유도전동기의 회전방향을 역전시키는 방법을 살펴보자

a상, b상 및 c상 전류를

① 입력단자 a-b-c에 주입할 경우 ② 입력단자 a-c-b에 주입할 경우

<방법> 3상 단자중 어느 두 단자에 유입전류를 바꾸어 준다.

a b c

a b c

<정회전> <역회전>

(22)

a

b c

c'

a'

b'

3상 대칭전류 교류입력

권선의 120°공간배치

정방향의 회전자계 발생

5. 회전자계 2 – 2상 이상의 다상 계통에서 발생됨

(23)

a

b c

c'

a'

b'

회전자계 역전

역방향의 회전자계 발생 3상전류의 유입단자중

두 단자를 바꾸면

5. 회전자계 3 – 회전방향 바꾸기

(24)

<제12주> 요약 - 교류기의 회전자계특성

1. 교류기의 합성자계

- 단상교류의 맥동자계

- 3상권선의 배치 및 3상 대칭전류 주입

2. 회전자계

- 전류와 연관된 합성자계 - 회전자계의 수식적 표현 - 회전자계의 정역회전

< 본 자료는 수업자료로써 책 Electric Machinery Fundamentals

(4th – Stephen J. Chapman)의 그림이 이용되었음 >

참조

관련 문서

*단어 사이의 공통성과

회전자와 고정자의 teeth의 alignment로 인해 자속이 변동되어 나타나는 저속에서의 토크의 맥동.. Chapman)의

■ 인접 플랫폼이나 신규 플랫폼을 상시 모니터링 하여 자사의 플랫폼 전략에 반영할 필요 있음. 외부 환경과 기업 상황에 맞는

 아크로뱃 리더 프로그램을 통해서 파일을 볼 수 있으며, 아크로뱃 프로 프로그램 을 통해서 문서를

http://blog.naver.com/op2330

산출 자료에

플래시 이미지 위에 글 흐르는 태그 이용하여 메일 보내기.  플래시 이미지나 움직이는 이미지(gif, png)를 이용하여 이미지 위에서 글을

Chapman)의